KR20120041087A -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1087A
KR20120041087A KR1020100112737A KR20100112737A KR20120041087A KR 20120041087 A KR20120041087 A KR 20120041087A KR 1020100112737 A KR1020100112737 A KR 1020100112737A KR 20100112737 A KR20100112737 A KR 20100112737A KR 20120041087 A KR20120041087 A KR 2012004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drying chamber
hot air
dry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오미 다카야마
다쓰오 오바타
Original Assignee
크린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린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4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과제] 필요에 따라서 덮개부(22)를 개방 이동시켜 건조실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여 통지 작업이나 지승 롤러(20)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하 2층 구성의 필요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고, 비용 다운도 도모할 수 있으며, 열풍 배관 구조도 용이해지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막도공 장치에 의해 도공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반송 통과시키는 건조실을 상하 2층에 마련하여 양면의 도공막(3)을 차례로 이 상하의 건조실에서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부측 건조실(5B)의 덮개부(22)를 상승시켜 열풍 배관의 접속을 떼어낸 후 가이드부(23)를 따라서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켜 개구하여 건조실 내의 지승 롤러(20)를 노출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이 덮개부(22)에는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 도입부(11)와 덮개부(22)를 닫았을 때에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이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접속부(26)를 마련한 건조장치.

Description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DRYING EQUIPMENT PROVIDED TO FILM CO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예컨대 슬릿 형상의 선단 토출구멍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는 노즐부에 대하여,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반송하여 표면에 박막을 도공 형성하도록 구성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로서,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열풍이 부는 건조실을 반송 통과시켜 도공막을 건조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공급부로부터 공급된 도공액을 슬릿 형상의 선단 토출구멍으로부터 토출하는 노즐부를 가지며, 이 노즐부의 선단 토출구멍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면서, 이 노즐부와 대향하는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이 노즐부에 대하여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도공액을 막 형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한 막 도공 장치에서는, 그 반송 하류측에 건조장치를 마련하여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도공막을 건조한다.
이 필름 도공의 양산성을 향상시키려면, 이 건조장치의 반송 길이(건조 길이)를 길게 하거나 건조 기능 자체를 높이거나 하여, 건조 능력을 높여 반송 스피드를 올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양면에 도공할 경우, 일단 피도공체의 편면에 도공한 후 이 도공막을 건조하고, 계속해서 반대면에도 도공한 후 이 반대면의 도공막도 건조하기 때문에, 각 건조장치의 반송 길이나 건조 기능의 향상에 의한 건조 능력의 향상이 양산성에 한층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구리제 등의 금속제 필름을 피도공체로 하고, 이 표면에 코발트산리튬 등의 양극 활성 물질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음극 활성 물질에 바인더(NNP 등의 용매) 등을 혼합하여 이것을 도공액으로 하여, 100㎛ 오더의 박막을 도공 형성하는 리튬 이온 전지 형성재를 제작할 경우, 도공은 스피디하게 균일하게 행할 수 있어도, 이 도공 후의 건조를 스피디하게 행할 수 없으면 양산성은 향상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능한 한 건조 기능을 높인다고 해도 양산성 향상을 위해서 반송 스피드를 올리고자 하면 그만큼 건조장치는 길고 대형이 되며, 또한 양면 도공에서는 이 길고 대형의 건조실을 옆에 늘어놓을 공간이 없는 경우에는 공간 절약을 위해서 2층 구조물 구성으로 하여 반복 건조시키는 구성으로 하지 않을 수 없고, 어떻게 하든 양산성을 높이려면 대형화하여 비용이 매우 상승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리튬 이온 전지 형성재를 제작할 경우, 양산성의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편면 도공?건조?반대면도공?건조의 공정을 하나로 이어 스피디하게 행하고자 하면, 반송 길이(건조 길이)를 길게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공장내에 반복 건조시키는 2층 구조물의 건조장치를 구축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건조 길이를 길게 확보하여 건조 능력을 높이고 반송 스피드를 올려 양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열풍 건조를 행하는 편면 건조실을 하부측 건조실로서 구축하고, 공간절약화나 공장 공간의 한계로 인해 그 상부에 더 틀을 짜서 반대면 건조실을 상부 건조실로서 구축하여 2층 구조물의 대규모 건조장치를 공장내에 구축하고, 한쪽에 마련한 막도공 장치에 의해서 편면에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상기 하부측 건조실로 반송 통과시켜 열풍 건조하고, 이어서 이 하부측 건조실을 빠져나간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반대쪽에 마련한 막도공 장치로 반대면에도 도공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반복 반송(방향 전환)하여 반대쪽으로부터 이번에는 상부측 건조실로 반송 통과시켜 이 반대면의 도공막도 열풍 건조하여 빠져나간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꺼내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상하의 건조실은, 상술한 바와 같이 모두 충분히 길게 확보하여 건조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고, 이것을 공간절약화나 공장내에서의 공간의 제약으로부터 2층 구조물로서 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각 공장에서는 대규모인 건축 작업을 요하고, 그로 인해 이 양면 도공의 스피드업?양산화에는 비용이 많이 들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건조실내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승(support) 롤러를 다수 더 병설 가설하고, 이 지승 롤러상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통지(通紙)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받아들여 수평 반송하도록 구성하지만, 이 건조실을 본체부와 이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로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고,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통지 작업이나 떼어내는 작업, 및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의 점검?수리?교환 등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지도록 구성하고자 한다.
그 때문에, 이 개부를 위쪽으로 자유로이 기복 개폐 회동하도록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실을 상하 2층으로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높이 치수를 한층 요하게 되고, 또한, 이 덮개부에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 도입부나 열풍 도출부를 마련하여, 덮개부를 들어 올려 상부 개구부를 개구했을 때에는, 이들 열풍 도입부 등도 덮개부와 함께 걷어 치워져서 지승 롤러가 노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뒤쪽에서 열풍을 공급?배출하는 대형의 배관 설비도 덮개부의 기복 개폐에 따라서 자유로이 가동하도록 마련해야 하므로, 비용이 매우 상승한다.
즉, 이러한 2층 구조물로 해야 하는 상하 2층 구성에서는,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덮개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마련하면, 2층 구조물의 필요 높이 치수가 매우 높아지고, 또한 대형화하지 않을 수 없는 열풍 배관 구조도 가동부가 필요하여 복수로 대규모가 되어 버려 한층 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상부측의 건조실은 높은 위치가 되어 메인터넌스성이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조장치의 건조 능력을 높여 반송 스피드를 높이고 필름 도공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간절약화 등을 위해서 상하 2층 구조로 해야 하는 이 건조장치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며, 메인터넌스성도 양호해지는 동시에, 상하 2층 구성의 높이 치수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 되고, 비용 다운도 도모할 수 있는 등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양산성을 높여,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지금까지의 2층 구조물 구성의 건조장치, 특히 양면 도공의 경우의 편면 건조실과 반대면 건조실을 지금과 같이 상하 2층 구조로서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반송 길이(건조 길이)를 확보하여 건조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건조장치를, 필요에 따라서 덮개부를 개방 이동시켜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여 통지 작업이나 지승 롤러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하 2층 구성의 필요한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어, 한층 메인터넌스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비용 다운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열풍 배관 구조도 용이해지며, 혹은 미리 상하에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를 마련한 블록체를 차례로 인접시켜 연결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하부측 건조실을 구축한 후에 계속해서 상부측 건조실을 구축하는 것과 같은 대규모의 건축 작업을 공장내에서 행할 필요도 없고, 용이하게 이 상하 2층 구성의 건조장치를 연결 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양면 건조를 차례로 진행할 수 있는 상하 2층의 건조실을 메인터넌스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어,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한다.
노즐부(1)의 선단 토출구멍(2)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면서, 이 노즐부(1)와 대향하는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이 노즐부(1)에 대해서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도공액을 막 형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반송 통과시키는 건조실을 상하 복수단 마련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5A)과 하부측 건조실(5B)의 한쪽의 건조실을,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편면에 도공한 도공막(3)을 건조하는 편면 건조실로 하고, 다른쪽의 건조실을, 이 건조가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반대면에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더 도공하고, 이 도공이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반대면의 도공막(3)을 건조하는 반대면 건조실로서, 이 상하 2층의 건조실이 되는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양면의 도공막(3)을 차례로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5A) 및 하부측 건조실(5B)은, 각각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수평 반송 통과시키는 본체부(21)에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20)를 복수 가설 상태로 마련하고, 이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22)를 각각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 (22)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건조실내의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는 구성으로 한 상하 2층의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을 형성하는 하부측의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22)를 각각 가이드부(23)를 따라서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덮개부(22)에는, 적어도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상기 덮개부(22)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접속부(26)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각 덮개부(22)를,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로부터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마련하는 동시에, 이 상승 후에 상기 덮개부(22)를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22)를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22)를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의 접속을 어긋나게 하고 이 상승 후에 뒤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반대로 이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의 상기 덮개부(22)를 앞쪽으로 되돌려 슬라이드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 (24)가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22)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대향 상태로 마련하고, 이 열풍 도입부(11)와 열풍 도출부(12) 사이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 (4)의 위쪽에 근접 상태로 배치하여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상면의 상기 도공막(3)을 가열 건조하는 건조용 히터(13)를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22)에, 상기 덮개부(22)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도출부(12)로부터의 상기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배출부(28)에 접속하는 열풍 배출 접속부(29)를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22)를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 및 상기 열풍 배출 접속부(29)와 상기 열풍 배출부(28)의 각 접속이 어긋나는 동시에, 상기 건조실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개구한 상부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2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한 상기 건조용 히터부(13)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25)와 접속하는 열매체 공급 접속부(27) 및 열매체 배출부(30)와 접속하는 열매체 배출 접속부(31)를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22)의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회동하고 이 열매체 공급부(25)와 열매체 공급 접속부(27) 및 이 열매체 배출부(30)와 열매체 배출 접속부(31)의 접속을 유지하는 추종 회동 접속부(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노즐부(1)의 선단 토출구멍(2)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면서, 이 노즐부(1)와 대향하는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이 노즐부(1)에 대해서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도공액을 막 형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반송 통과시키는 건조실을 상하 복수단 마련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의 한쪽의 건조실을,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편면에 도공한 도공막(3)을 건조하는 편면 건조실로 하고, 다른쪽의 건조실을, 이 건조가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반대면에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더 도공하여, 이 도공이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반대면의 도공막(3)을 건조하는 반대면 건조실로서, 이 상하 2층의 건조실이 되는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양면의 도공막(3)을 차례로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5A) 및 하부측 건조실(5B)은, 각각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수평 반송 통과시키는 본체부(21)에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20)를 복수 가설 상태로 마련하여, 이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22)를 각각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22)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건조실내의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는 구성으로 한 상하 2층의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블록체(6)의 상하에, 이 블록체(6)를 차례로 옆쪽에 인접시켜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1)와 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22)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이 상하에 병설 형성되는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마련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는, 상기 블록체(6)를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1)가 형성되어 분단 본체부(33)와 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덮개부(22)로 구성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혹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와 연이어 통하며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가 반송 통과하는 출구 혹은 입구가 되는 출입구부(8)를 상기 각 블록체(6)의 양측 상하에 각각 마련하여, 상기 분단 본체부(33)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덮개부(22)를 개방 이동하여 개구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출입구부(8)도 분단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출입구부(8)가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각 블록체(6)를 이동시켜 차례로 옆쪽으로 인접시켜 횡렬 상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각 블록체(6)의 각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가 연이어 통하며 상하 2층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5A) 및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 블록체(6)의 바닥부에 캐스터(9)를 마련하여 마루면 위를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마련하고, 이 각 블록체(6)를 차례로 상기 상하의 각 출입구부(8)가 대향 배치되도록 인접시켜 연결하여, 상하에 소정 길이의 상기 본체부(21)와 상기 복수의 덮개부(22)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을 이어맞춤 병설 형성하고, 각 상부측 건조실(5A) 및 하부측 건조실(5B)은 상기 덮개부(22)에 의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각 블록체(6)는, 이동 접지 고정이 가능한 크기의 틀 구성체(10)에, 열풍을 도입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마련한 상기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및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상하에 수평 병설 형성하여,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피도공체(4)가 반송 통과하는 상기 출입구부(8)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이 출입구부(8)는, 하부측의 분단 본체부(33)에 대하여 상부측의 상기 덮개부(22)를 개방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분단 본체부(33)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출입구부(8)도 분단 개방하여 상기 분단 본체부(33)에 마련한 상기 지승 롤러(20)에 지승되는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상방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각 블록체(6)의 상하의 출입구부(8)가 각각 맞대어져 연이어 통하도록 각 블록체(6)를 차례로 인접시켜 배치하고, 이 각 블록체(6)의 연결 부분에 열풍이 누설되지 않는 시일부(7)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을 이 각 블록체(6)의 연결에 의해 상하에 소정 길이 이어맞춤 병설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블록체(6)의 적어도 상기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형성하는 상기 분단 본체부(33)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덮개부(22)를, 가이드부(23)를 따라서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덮개부(22)에는, 적어도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11)와, 상기 덮개부(22)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접속부(26)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7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각 덮개부(22)를,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로부터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마련하는 동시에, 이 상승 후에 상기 덮개부(22)를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22)를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22)를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의 접속을 어긋나게 하고 이 상승 후에 뒤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반대로 이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의 상기 덮개부(22)를 앞쪽으로 되돌려 슬라이드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가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22)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대향 상태로 마련하여, 이 열풍 도입부(11)와 열풍 도출부(12) 사이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 (4)의 위쪽에 근접 상태로 배치하여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상면의 상기 도공막(3)을 가열 건조하는 건조용 히터부(13)를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22)에, 상기 덮개부(22)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도출부(12)로부터의 상기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배출부(28)에 접속하는 열풍 배출 접속부(29)를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22)를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 및 상기 열풍 배출 접속부(29)와 상기 열풍 배출부(28)의 각 접속이 어긋나는 동시에, 상기 건조실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 (4)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개구한 상부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9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한 상기 건조용 히터부(13)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25)와 접속하는 열매체 공급 접속부(27) 및 열매체 배출부(30)와 접속하는 열매체 배출 접속부(31)를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22)의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회동하여 이 열매체 공급부(25)와 열매체 공급 접속부(27) 및 이 열매체 배출부(30)와 열매체 배출 접속부(31)의 접속을 유지하는 추종 회동 접속부(3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였기 때문에, 편면 도공?건조?반대면도공?건조의 공정을 행하는 양면 도막 도공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건조장치의 건조 능력을 높여 반송 스피드를 높이고 필름 도공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공간절약화 등을 위해서 상하 2층 구조로 해야 하는 이 건조장치의 구축을 용이하게 하여, 메인터넌스성도 양호해지는 동시에, 상하 2층 구성의 높이 치수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이 되고, 비용 다운도 도모할 수 있는 등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가 된다.
즉,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충분한 반송 길이(건조 길이)를 확보하여 건조 능력을 높일 수 있는 건조장치를, 필요에 따라서 덮개부를 개방 이동시켜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여 통지 작업이나 지승 롤러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상하 2층 구성의 필요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으며, 한층 메인터넌스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비용 다운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열풍 배관 구조도 용이해지는 등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 2, 3, 9,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한층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특히 청구항 3, 10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열풍에 의한 표면 건조에 더하여 건조용 히터부에 의해서 도공막은 내부 가열되어 한층 건조기능이 향상한다.
또한, 청구항 4,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 건조용 히터부에의 열매체의 공급?배출도 양호하게 유지되어 실용성이 더욱 뛰어나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미리 상하에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를 마련한 블록체를 차례로 인접시켜 연결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하부측 건조실을 구축한 후에 계속해서 상부측 건조실을 구축하는 대규모의 건축 작업을 공장내에서 행할 필요도 없고, 용이하게 이 상하 2층 구성의 건조장치를 연결 제작할 수 있고, 비약적으로 비용 다운을 도모하며, 이에 따라 한층 양산성이 뛰어난 본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극히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 6, 7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또한 본 발명을 한층 간단하고 쉬운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한층 실용성이 뛰어난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 8, 9, 10,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청구항 5, 6, 7에 기재된 발명에 더하여 상기 청구항 1, 2, 3,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도 발휘하는 극히 뛰어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가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일부의 개략적인 구성 설명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요부의 설명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덮개부 개방 위치에서의 설명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덮개부 폐색 위치에서의 작동 설명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덮개부 상승 위치에서의 작동 설명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덮개부 개방 위치에서의 작동 설명 측면도이다.
바람직하다고 생각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나타내어 간단하게 설명한다.
막도공 장치에 의해서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는, 상하의 건조실{상부측 건조실(5A) 및 하부측 건조실(5B)}을 반복 반송 통과시킴으로써 이 피도공체(4) 표면에 도공 형성된 도공막(3)이 건조된다.
즉, 각 건조실에 마련한 열풍 도입부(11)로부터 보내진 열풍으로 상기 피도공체(4)의 도공막(3)을 열풍 건조하고, 예를 들면 이 열풍을 상기 열풍 도출부(12)로부터 상기 건조실 외부로 배출시킨다.
예를 들면 이 도공막(3)으로부터, 폭발성을 갖거나 그대로 무조작으로 건조실 외부로 배출할 수 없는 성질의 기화 가스가 발생한다고 해도, 이것을 열풍 도출부(12)로부터 열풍과 함께 항상 배출하면서 열풍 건조함으로써 기화 가스가 건조실내에서 위험 농도가 되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또한, 이 열풍에 의한 표면 건조에 더하여 내부로부터 가열 건조하는 IR히터 등의 건조용 히터부(13)를 더 마련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건조실에서의 건조 기능을 높이는 것에 의해 반송 스피드를 올릴 수 있지만, 이 기능 업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 능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반송 길이(건조 길이)를 길게 확보하여 건조 능력을 더 향상시키고 반송 스피드를 높여 양산성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실은 가로로 길어지고, 또한 공간절약화를 위해서 2층 구조물(상하 2층 구성)로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양면 도공에서는 각 도공면의 건조에 각각 충분한 길이의 건조실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층 길고 큰 건조장치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역시 공간절약화나 공장 공간의 제약 등에 의해서 2층 구조물로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2층 구조물의 건조장치는, 하부측 건조실을 구축한 후 그 위에 틀을 더 마련하여 상부측 건조실을 적층 상태로 구축해야만 했었고, 공장내에서 대규모의 건축 작업을 요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통지 작업이나 이것을 치워버리는 작업 및 지승 롤러(20)의 수리?교환 등의 메인터넌스성 향상을 위해서, 건조실은 각각 이것을 형성하는 본체부(21)와 이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22)로 이루어지고, 이 덮개부(22)측에 열풍 도입부(11)나 열풍 도출부(12)를 마련하여, 이 덮개부(22)를 들어 올려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여 본체부(21)의 지승 롤러(20)를 노출하는 구성으로 하기 때문에, 이 2층 구조물의 높이 치수도 높게 취할 필요가 있고, 그 만큼 한층 공장내에서 대규모의 건축 작업을 요하여, 2층부의 상부측 건조실이 높은 위치가 되어 메인터넌스성도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덮개부(22)를 자유로이 기복 회동하도록 마련하여, 앞을 위쪽으로 들어올리는 것에 의해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고,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개폐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마련하고, 이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의해,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는 동시에, 이 개폐 이동에 의해서 이 덮개부(22)의 열풍 공급 접속부(26)나 열풍 배출 접속부(29)와, 열풍 공급부(24)나 열풍 배출부(28)의 접속이 어긋나고, 또한 되돌려 슬라이드시켜 폐색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이들 접속이 다시 이루어져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실내에 송풍되고, 열풍 도출부(12)로부터 열풍 배출부(28)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적어도 아래쪽의 하부측 건조실(5B)을 이렇게 수평 슬라이드가 자유로운 덮개부(22)로 구성함으로써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대형 배관을 필요로 하는 열풍 공급?배출의 배관 구조도 이러한 접속부(26,28)에 의한 탈착식으로 함으로써 대형 배관 자체에 가동부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접속부(26,28)의 탈착이 간이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행하여지도록 덮개부(22)를 승강시키는 것에 의해 탈착시키고, 이 상승 이탈 후에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접속부의 탈착에 필요한 승강 높이와 메인터넌스시에 필요한 상방 공간을 확보하면 좋기 때문에, 역시 이 경우에도 상하 2층 구성의 높이 치수는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상부측 건조실(5A)의 위치, 즉 위쪽의 본체부(21){각 분단 본체부(33)}의 위치를 낮게 설계할 수 있어, 제작도 또한 메인터넌스성도 한층 향상하게 된다.
즉, 높이 치수를 억제하는 것에 의해 상부측 건조실(5A)을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구축 작업도 용이해지고 메인터넌스성도 더 향상하며, 또한 가동식의 덮개부(22)로서 메인터넌스성 향상을 위해 이 덮개부(22)에 열풍 도입부 (11)나 열풍 도출부(12) 등을 마련하여도, 이 덮개부(22)의 가동(약간의 승강과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의해서 열풍 공급부(24)나 열풍 배출부(28)의 접속이 탈착되어, 이들을 덮개부(22)의 개폐 이동(수평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열풍 배관을 가동이 자유로운 구성이나 굴곡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고, 이 대형이 되는 열풍 배관 설비도 이와 같이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구성이 되어 비약적인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접속의 탈착을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덮개부(22)의 승강으로 행하여 뒤쪽으로의 슬라이드에 의해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면, 한층 용이하게 본 발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11에 기재된 본 발명에서는, 이동 가능한 소형의 블록체 (6), 즉, 마루면을 따라서 압동 슬라이드 자유로운 혹은 용이하게 매달아 올림 반송이 자유로운 크기로 한 블록체(6)를 미리 제작하여, 이것을 필요에 따라서 현장(공장내)에서 이어맞춤 연결하여 소망의 건조 길이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이동 가능한 크기로 설정한 각 블록체(6)의 상하에,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마련하고, 이 블록체(6)를 차례로 옆쪽에 인접시켜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소망 길이, 즉 양산성 향상을 위해 반송 스피드를 높일 수 있는 건조 길이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이 상하로 이어맞춤되어 병설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계속 설명하면, 이동이 가능한 블록체(6)의 상하에, 이 블록체(6)를 차례로 옆쪽에 인접시켜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1)와 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22)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이 상하에 병설 형성되는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마련하여,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는, 상기 블록체(6)를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21)가 형성되게 되는 분단 본체부(33)와 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덮개부(22)로 구성하여,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혹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와 연이어 통하며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가 반송 통과하는 출구 혹은 입구가 되는 출입구부(8)를 상기 각 블록체(6)의 양측 상하에 각각 마련하고, 상기 분단 본체부(33)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덮개부(22)를 개방 이동하여 개구함으로써 이 출입구부(8)도 분단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출입구부(8)가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각 블록체(6)를 이동시켜 차례로 옆쪽으로 인접시켜 횡렬 상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하부측 건조실을 구축한 후에 계속해서 상부측 건조실을 구축하는 대규모의 건축 작업을 공장내에서 행할 필요도 없고, 미리 양산한 이동 가능한 이어맞춤 파트인 블록체(6)를 공장내에 운반하여 차례로 연결시켜 나가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이 상하 2층 구성으로 상하의 건조실 모두 소망 길이가 되는 건조장치를 연결 제작할 수 있어, 비약적으로 비용 다운을 도모하고, 이에 따라 한층 양산성이 뛰어난 본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획기적인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가 된다.
또한, 청구항 8, 9, 10, 1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 쌍방의 발명의 효과, 즉 청구항 1, 2, 3, 4의 발명의 효과 및 청구항 5, 6, 7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를 모두 발휘하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권취 롤(17)로부터 꺼낸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도공용의 노즐부(1)와 대향하는 지지 롤러(15) 등을 통하여 끌어당기며 반송하고, 이 노즐부 (1)의 선단 토출구멍(2)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시켜, 이 지지 롤러(15)로 지승되고 있는 피도공체(4)의 편면에 이 도공액을 도공한 후, 건조장치의 하부측 건조실(5B)을 수평 반송 통과시켜 건조하고, 계속해서 이 빠져나간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그대로 연속하여 동일한 막도공 장치에 의해서 반대면에도 도공한 후에, 반복 반송(방향 전환)하여 건조장치의 상부측 건조실(5A)을 계속해서 수평 반송 통과시키고 건조하여 상기 회수 롤(18)로 권취하는 양면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상하 2층 구성의 상기 건조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이 건조장치는 상하 2층 구성으로 하여, 노즐부(1)의 선단 토출구멍(2)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면서, 이 노즐부(1)와 대향하는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이 노즐부(1)에 대하여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도공액을 막 형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한 막도공 장치를 좌우에 마련하고, 각각의 막도공 장치에 의해 편면 및 반대면에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차례로 반송 통과시키는 건조실을 상하 2단으로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한쪽에 마련한 막도공 장치로 편면에 도공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받아들여 반송 통과시키며 건조시키는 편면 건조실과, 또한 반대쪽에 마련한 반대면에 도공하는 막도공 장치로 반대면에도 도공한 피도공체(4)를 받아들여 반송 통과시키며 건조하는 반대면 건조실을 상하에 마련한 건조장치로서, 이 상부측 건조실(5A)과 하부측 건조실(5B)의 한쪽을 상기 편면 건조실로서 반송 통과시킨 후, 방향 전환하여 다른쪽의 건조실을 반대면 건조실로서 반송 통과시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양면에 도공한 도공막(3)을 연속하여 차례로 건조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 상부측 건조실(5A) 및 하부측 건조실(5B)은, 각각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수평 반송 통과시키는 본체부(21)에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20)를 복수 가설 상태로 마련하여, 이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그 각 구획마다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22)를 각각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22)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의 그 구획 부분이 개구하여 상기 건조실내의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제거하는 것에 의해 지승 롤러(20)가 교환이 자유롭도록 노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건조실내, 즉 본체부(21)의 오목부 내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승 롤러(20)를 다수 병설 가설하고, 이 지승 롤러(20) 상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통지하여,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받아들여 수평 반송하도록 구성하지만, 이 건조실을 이 본체부(21)와 이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22)로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22)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개구부의 그 덮개부(22)로 폐색하고 있던 부분(구획 부분)이 개구하여,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통지 작업이나 떼어내는 작업, 및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20)의 점검?수리?교환 등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해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덮개부(22)를 안쪽을 지지점으로 바로 앞쪽을 들어 올리는 자유로이 기복 개폐 회동하도록 마련하는 구성으로 하면, 상하 2층으로 구성해야 하는 건조장치의 전체의 높이 치수가 매우 높아져 버리고, 또한, 이 덮개부(22)에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 도입부(11)나 열풍 도출부(12)를 마련하여, 덮개부(22)를 들어 올리는 것에 의해 이들 열풍 도입부(11) 등이나 덮개부(22)와 함께 치워져서 지승 롤러(20)가 노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뒤쪽에서 열풍을 공급?배출하는 대형의 배관 설비도 덮개부(22)의 기복 개폐에 따라서 자유로이 가동하도록 마련해야 하므로, 비용이 매우 상승한다.
즉, 이러한 2층 구조물로 해야 하는 상하 2층 구성에서는,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덮개부(22)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마련하면, 2층 구조물에 필요한 높이 치수가 매우 높아지고, 또한 열풍 배관 구조도 복수이고 대규모가 되어 한층 비용이 상승하고, 또한 위쪽의 건조실의 메인터넌스성에도 뒤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예는, 상부측 건조실(5A) 및 하부측 건조실(5B)을 형성하는 위쪽의 본체부(21) 및 아래쪽의 본체부(21)의 각각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22)를 각각 가이드부(23)를 따라서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덮개부(22)에는, 적어도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상기 덮개부(22)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접속부(26)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각 덮개부(22)를,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로부터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마련하는 동시에, 이 상승 후에 상기 덮개부(22)를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22)를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22)를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의 접속을 어긋나게 하고 이 상승 후에 뒤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본체부(21)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반대로 이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의 상기 덮개부(22)를 앞쪽으로 되돌려 슬라이드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가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더욱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덮개부(22)에는,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대향 상태로 마련하여, 이 열풍 도입부(11)와 열풍 도출부(12)의 사이에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위쪽에 근접 상태로 배치하여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상면의 상기 도공막(3)을 가열 건조하는 건조용 히터부(13)를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22)에, 상기 덮개부(22)를 폐색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상기 열풍 공급부(24)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에 열풍을 공급하는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도출부(12)로부터의 상기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배출부(28)에 접속하는 열풍 배출 접속부(29)를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 (22)를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공급부(24) 및 상기 열풍 배출 접속부(29)와 상기 열풍 배출부(28)의 각 접속이 어긋나는 동시에, 상기 건조실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개구한 상부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승 롤러(20)가 노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한 상기 건조용 히터부(13)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25)와 접속하는 열매체 공급 접속부(27) 및 열매체 배출부(30)와 접속하는 열매체 배출 접속부(31)를 상기 덮개부(22)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22)의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회동하여 이 열매체 공급부(25)와 열매체 공급 접속부(27) 및 이 열매체 배출부(30)와 열매체 배출 접속부(31)의 접속을 유지하는 추종 회동 접속부(32)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각 블록체(6)를 구성하는 틀 구성체(10)에 가이드부 (23)로서 가이드 레일부(23) 뒤쪽으로 병설 상태로 하여 수평으로 돌출형성하고, 이 가이드 레일부(23)에 자유로이 슬라이드하도록 걸어맞춤하는 슬라이더로서의 프레임(35)을 마련하고, 이 프레임(35) 사이에 상기 덮개부(22)를 마련하는 구성으로서, 덮개부(22)를 상기 프레임(35)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가이드 레일부(23)를 따라서 매달아내린 상태로 하여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프레임부(35)의 수군데에 승강장치(34)를 사이에 두고 덮개부(22)를 늘어뜨려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승강장치(34)의 진퇴 로드에 덮개부(22)를 늘어뜨려서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이 진퇴 로드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덮개부(22)를, 상기 접속부(26,28)의 접속이 어긋나 뒤쪽으로의 슬라이드가 가능해지는 스트로크만큼 상승시키고, 반대로 진퇴 로드를 눌러 내리는 것에 의해 이 덮개부(22)를 하강시켜 각 접속부(26, 28)가 패킹 등을 누르면서 기밀 상태로 눌려 접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정측이 되는 열풍 공급부(24), 열풍 배출부(28)의 접속받음부를 상방을 향해서 이 접속받음부에 대하여 덮개부(22)의 뒷부분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형성한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26)와 상기 열풍 배출 접속부(29)가 덮개부(22)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여 패킹을 눌러 기밀 상태가 되도록 누름 접속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수증기 등의 열매체를 건조용 히터(13)에 보내는 열매체 공급부(25)와 열매체 공급 접속부(27)나 열매체 배출부(30)와 열매체 배출 접속부(31)는, 대형의 배관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추종 회동 접속부(32)를 사이에 끼워 접속하며, 덮개부(22)가 상승하여 수평 슬라이드하여도 접속이 어긋나는 경우 없이 추종 절곡 회동하여, 접속이 유지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위벨 조인트로 접속하여 자유로이 절곡하도록 마련한 복수의 배관으로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이 가능한 소형의 블록체(6), 즉, 마루면을 따라서 압동 슬라이드 자유로운 혹은 용이하게 매달아 올림 반송 자유로운 크기로 한 건조장치 형성용 파트로서의 블록체(6)를 미리 제작하고, 이것을 필요에 따라서 현장(공장내)에서 이어맞춤 연결하여 소망의 건조 길이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이동 가능한 크기로 설정한 각 블록체(6)의 상하에,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마련하여, 이 블록체(6)를 차례로 옆쪽에 인접시켜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소망 길이, 즉 양산성 향상을 위해 반송 스피드를 높일 수 있는 건조 길이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이 상하에 이어맞춤되어 병설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각 블록체(6)는, 이동 접지 고정이 가능한 크기의 틀 구성체(10)에, 열풍을 도입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마련한 상기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및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상하에 수평 병설 형성하고 있다.
이 각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및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는, 각각 분단 본체부(33)와 이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22)를 틀 구성체(10)에 상하 2단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분단 본체부(33)와 덮개부(22)로 이루어진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피도공체(4)가 반송 통과하는 상기 출입구부(8)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이 출입구부(8)는, 하측의 분단 본체부 (33)에 대하여 위쪽의 상기 덮개부(22)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분단 본체부(33)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는 동시에 이 출입구부(8)도 분단 개방하여 상기 분단 본체부 (33)에 마련한 상기 지승 롤러(20)에 지승되는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의 상방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각 블록체(6)의 상하의 출입구부(8)가 각각 맞대어져 연이어 통하도록 각 블록체(6)를 차례로 인접시켜 배치하고, 이 각 블록체(6)의 연결 부분에 열풍이 누설되지 않는 실부(7)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측 건조실 (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5B)을 이 각 블록체(6)의 연결에 의해 상하로 소정 길이 이어맞춤 병설 형성하고 있다.
예를 들면 각 블록체(6)의 측면을 맞대어 각 출입구부(8)가 맞대어져 배치되고, 이것을 걸어맞춤 고정시키거나, 패킹부를 누르면서 걸어멈춤 잠금시키는 등 연결 고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지만, 단지 이 맞댄 상태(조인트)를 테이프 등으로 감아붙여 시일하여 연결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출입구부 (8)를 둘러싸도록 실부(7)로서의 패킹부(7)를 돌출 상태로 마련하여, 이 패킹부(7)를 눌러 각 블록체(6)를 맞대어 테이프 등을 감아붙여 더 시일 고정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블록체(6)의 바닥부에 캐스터(9)를 마련하여 마루면 위를 용이하게 슬라이드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마련하고, 이 각 블록체(6)를 차례로 압동하여 인접시키는 것만으로 각 출입구부(8)가 대향 배치(맞대어져 연이어 통함)하도록 구성하고, 여기에 실부를 형성하는데,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실부로서 출입구부(8)의 주위의 측면을 돌출한 패킹부(7)를 눌러, 이 맞대어 연결한 부분을 테이프로 감아 돌려 시일하는 동시에 고정하여 붙임으로써 연결하고, 이 연결에 의해 상하에 각 블록체(6)의 각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에 의해서 소정 길이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5A)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 (5B)이 이어맞춤 병설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각 블록체(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하는 각 공장에 운반이 용이한 크기로 설정한 틀 구성체(10)에, 열풍을 도입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마련한 상기 분단 본체부(33)와 덮개부 (22)로 이루어지는 상기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및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상하에 수평 병설 형성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 (7B)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피도공체(4)가 반송 통과하는 상기 출입구부(8)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 공장 반입 후에는 하부의 캐스터(9)에 의해서 마루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여 이 각 블록체(6)의 상하의 출입구부(8)가 각각 맞대어져 연이어 통하도록 각 블록체(6)를 차례로 인접시켜 배치하고, 이 각 블록체(6)의 연결 부분에 열풍이 누설되지 않는 상기 실부(7)를 형성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연결 후에는 접지각부(19)를 신장하여 접지시켜 고정 유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블록체(6)의 분단 본체부(33)를 폐색하는 덮개부(22)에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7A) 및 하부측 건조실(7B)에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12)를 마련하고, 이 열풍 도입부(11)로부터 불어오는 열풍으로 도공막(3)의 표면을 가열 건조하고, 이 열풍 건조하는 열풍을 이 도공막(3)으로부터 발생하는 기화 가스와 함께 열풍 도출부(12)로부터 건조실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 열풍 건조와 병용하여, 복사열로 도공막(3)의 내부를 가열 건조시켜 건조기능을 높이는 건조용 히터부(13)를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 (4)에 대향 상태로 근접 배치하는데, 이 건조용 히터부(13)는, 플레이트체로 하지 않고, 상기 열풍이 통과하는 통풍 간극을 두고 복수의 히터 막대 형상부(14)가 상기 피도공체(4)의 면방향으로 병설한 구성으로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에 필름 진동이 생기는 경우에 접촉해 버리는 위치까지는 접근하지는 않지만, 상술한 열풍 건조나 기화 가스에 의한 폭발의 우려 등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한 근접하여, 복사열에 의한 건조를 병용 하여 건조 능력의 향상을 한층 도모하고 있다.
또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제 또는 구리제 등의 금속제 필름을 피도공체(4)로 하고, 이 표면에 코발트산리튬 등의 양극 활성 물질 또는 그라파이트 등의 음극 활성 물질에 바인더(NNP 등의 용매) 등을 혼합하여 이것을 도공액으로서 100㎛ 오더의 박막을 양면에 도공 형성하는 리튬 이온 전지 형성재를 제작하는 막도공 장치로서, 이 편면마다 도공하는 각 막도공 장치의 반송하류측에 각각 마련되게 되는 상부측 건조실(5A)과 하부측 건조실(5B)을 상하2단으로 배치한 건조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 건조실(5A,5B)을 각 블록체(6)에 의해 복수 블록으로 나누어 각각이 출입구부(8)에서 연이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하고, 각 블록 건조실마다 반송 상류측에 반송 방향을 향하여 열풍을 송출하는 열풍 도입부(11)와, 이것과 대향하도록 반대쪽에 열풍 도출부(12)를 한 쌍 혹은 복수 쌍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이 각 블록 건조실의 아래쪽에 마련한 지승 롤러(20)에 지승시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4)를 건조실내를 반송 통과하도록 받아들여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건조실의 위쪽에서 열풍 도입부(11)로부터 열풍 도출부(12)로 열풍이 송풍되어 이 피도공체(4)의 상면에 도공 형성된 도공막(3)을 열풍 건조하고, 또한 이 피도공체(4)와 근접 대향 상태로 하여 피도공체(4)의 면방향으로 병설 상태로 배치하는 다수의 상기 히터 막대 형상부(14)로 이루어진 상기 건조용 히터부(13)를 이 피도공체(4)의 위쪽에 배치하여, 이 히터 막대 형상부(14) 간의 상기 통풍 간극을 통하여 열풍이 오고가며 그 아래쪽의 피도공체(4)의 도공막(3)에 송풍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이 히터 막대 형상부(14)에 열풍 도풍부를 돌출형성하는 등 상기 통풍 간극을 통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11)로부터 불어오는 열풍을 상기 피도공체(4)의 도공막(3)을 향하여 바람이 유도되도록 구성하여, 건조용 히터부(13)를 접근시켜 효율을 높여도, 확실하게 열풍을 도공막(3)에 보내어 열풍 건조를 유지하면서 기화 가스를 정류시키지 않고 열풍과 함께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히터 막대 형상부(14)는, 전열선 등의 열원을 내장하거나, 고온 수증기나 오일 등 고온 매체를 유통시켜, 이 열에 의해 표면의 (세라믹)으로부터 적외선을 발하는 적외선 히터(IR 히터)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 수증기를 유통시키는 파이프를 세라믹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세라믹을 피복하여, 이 히터 막대 형상부(14)를 단부에서 되접혀 피도공체(4)의 소정 범위를 이 되접히는 다수의 병설한 히터 막대 형상부(14)로 덮고, 이 연이어 통하는 각 히터 막대 형상부(14)에 고온 수증기를 유통시켜 표면으로부터 발해지는 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에 의해서 도공막(3)을 내부로부터도 가열 건조하는 되접힘 막대 형상부 병설형의 IR히터로 구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IR히터가 아니라, 고온 수증기를 통과하여 표면으로부터 적외선을 발하는 좌우로 반복 반전하는 연이어 통하는 다수의 히터 막대 형상부(14)가 병설된 타입의 IR히터로 하고, 이 각 히터 막대형상부(14)의 길이 방향이 상기 피도공체(4)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하여 이 피도공체(4)의 반송 방향으로 병설 상태가 되도록 하여, 피도공체(4)의 위쪽에 대향 상태로 덮개부(22)를 폐색함으로써 근접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열풍 도입?도출 덕트를 연결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 (11)와 상기 열풍 도출부(12) 및 상기 IR히터 등의 상기 고온 매체의 도입?도출관과 연결하는 상기 건조용 히터부(13)를, 각 블록체(6)의 각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 (7A),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7B)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16)에 마련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구성 요건의 구체적 구성은 적절히 설계할 수 있는 것이다.
1 노즐부
2 선단 돌출구멍
3 도공막
4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
5A 상부측 건조실
5B 하부측 건조실
6 블록체
7 실(seal)부
7A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
7B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
8 출입구부
9 캐스터
10 틀 구성체
11 열풍 도입부
12 열풍 도출부
13 건조용 히터부
20 지승 롤러
21 본체부
22 덮개부
23 가이드부
24 열풍 공급부
25 열매체 공급부
26 열풍 공급 접속부
27 열매체 공급 접속부
28 열풍 배출부
29 열풍 배출 접속부
30 열매체 배출부
31 열매체 배출 접속부
32 추종 회동 접속부
33 분단 본체부

Claims (11)

  1. 노즐부의 선단 토출구멍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면서, 이 노즐부와 대향하는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이 노즐부에 대해서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도공액을 막 형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반송 통과시키는 건조실을 상하 복수단 마련하여, 이 상부측 건조실과 하부측 건조실의 한쪽의 건조실을,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편면에 도공한 도공막을 건조하는 편면 건조실로 하고, 다른쪽의 건조실을, 이 건조가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반대면에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더 도공하고, 이 도공이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반대면의 도공막을 건조하는 반대면 건조실로서 이 상하 2층의 건조실이 되는 상기 상부측 건조실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양면의 도공막을 차례로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및 하부측 건조실은, 각각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수평 반송 통과시키는 본체부에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를 복수 가설 상태로 마련하여, 이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를 각각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를 개방 이동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건조실내의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가 노출하는 구성으로 한 상하 2층의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하부측 건조실을 형성하는 아래쪽의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를 각각 가이드부를 따라서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덮개부에는, 적어도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열풍을 송풍하는 열풍 도입부와, 상기 덮개부를 폐색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열풍 공급부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접속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덮개부를,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로부터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마련하는 동시에, 이 상승 후에 상기 덮개부를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를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를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공급부의 접속이 어긋나서 이 상승 후에 뒤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반대로 이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의 상기 덮개부를 앞쪽으로 되돌려 슬라이드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공급부가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3. 제 1, 2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를 대향 상태로 마련하여, 이 열풍 도입부와 열풍 도출부의 사이에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위쪽에 근접 상태로 배치하여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상면의 상기 도공막을 가열 건조하는 건조용 히터부를 상기 덮개부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에, 상기 덮개부를 폐색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열풍 공급부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도출부로부터의 상기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배출부에 접속하는 열풍 배출 접속부를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를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공급부 및 상기 열풍 배출 접속부와 상기 열풍 배출부의 각 접속이 어긋나는 동시에, 상기 건조실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가 노출하여,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개구한 상부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승 롤러가 노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마련한 상기 건조용 히터부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와 접속하는 열매체 공급 접속부 및 열매체 배출부와 접속하는 열매체 배출 접속부를 상기 덮개부에 마련하여, 이 덮개부의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회동하고 이 열매체 공급부와 열매체 공급 접속부 및 이 열매체 배출부와 열매체 배출 접속부의 접속을 유지하는 추종 회동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5. 노즐부의 선단 토출구멍으로부터 도공액을 토출하면서, 이 노즐부와 대향하는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이 노즐부에 대해서 반송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도공액을 막 형상으로 도공하도록 구성한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로서,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반송 통과시키는 건조실을 상하 복수단 마련하여, 이 상부측 건조실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의 한쪽의 건조실을,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편면에 도공한 도공막을 건조하는 편면 건조실로 하고, 다른쪽의 건조실을, 이 건조가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반대면에 상기 막도공 장치에 의해 더 도공하여, 이 도공이 종료된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반대면의 도공막을 건조하는 반대면 건조실로서, 이 상하 2층의 건조실이 되는 상기 상부측 건조실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에 의해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양면의 도공막을 차례로 건조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및 하부측 건조실은, 각각 상기 도공이 종료된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수평 반송 통과시키는 본체부에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지승 롤러를 복수 가설 상태로 마련하여, 이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복수의 덮개부를 각각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이 각 덮개부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건조실내의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가 노출되는 구성으로 한 상하 2층의 건조실을 구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이동 가능한 블록체의 상하에, 이 블록체를 차례로 옆쪽에 인접시켜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와 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상기 복수의 덮개부로 이루어진 소정 길이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이 상하에 병설 형성되는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를 마련하여,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는, 상기 블록체를 복수 횡렬 상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본체부가 형성되어 분단 본체부와 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폐색하는 상기 하나 혹은 복수의 덮개부로 구성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 혹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와 연이어 통하며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가 반송 통과하는 출구 혹은 입구가 되는 출입구부를 상기 각 블록체의 양측 상하에 각각 마련하여, 상기 분단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덮개부를 개방 이동시켜 개구함으로써 상기 출입구부도 분단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출입구부가 연이어 통하도록 상기 각 블록체를 이동하여 차례로 옆쪽으로 인접시켜 횡렬 상태로 연결한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각 블록체의 각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가 연이어 통하며 상하 2층의 상기 상부측 건조실 및 상기 하부측 건조실을 형성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블록체의 바닥부에 캐스터를 마련하여 마루면 위를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마련하고, 이 각 블록체를 차례로 상기 상하의 각 출입구부가 대향 배치되도록 인접시켜 연결하여, 상하에 소정 길이의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복수의 덮개부로 이루어진 상기 상부측 건조실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을 이어맞춤 병설 형성하고, 각 상부측 건조실 및 하부측 건조실은 상기 덮개부에 의해 상부 개구부를 자유로이 개폐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각 블록체는, 이동 접지 고정 가능한 크기의 틀 구성체에, 열풍을 도입하는 열풍 도입부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를 마련한 상기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 및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를 상하에 수평 병설 형성하고, 이 상부측 건조실 형성부와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의 좌우 양단부에 상기 피도공체가 반송 통과하는 상기 출입구부를 마련한 구성으로 하여, 이 출입구부는, 하측의 분단 본체부에 대하여 위쪽의 상기 덮개부를 개방 이동시킴으로써 분단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는 동시에 상기 출입구부도 분단 개방하여 상기 분단 본체부에 마련한 상기 지승 롤러에 지승되는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상방을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각 블록체의 상하의 출입구부가 각각 맞대어져 연이어 통하도록 각 블록체를 차례로 인접시켜 배치하고, 이 각 블록체의 연결 부분에 열풍이 누설되지 않는 실부를 형성하며, 상기 상부측 건조실과 상기 하부측 건조실을 이 각 블록체의 연결에 의해 상하에 소정 길이 이어맞춤 병설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의 적어도 상기 하부측 건조실 형성부를 형성하는 상기 분단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상기 덮개부를, 가이드부를 따라서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덮개부에는, 적어도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와, 상기 덮개부를 폐색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열풍 공급부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공급 접속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각 덮개부를,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 위치로부터 자유로이 승강하도록 마련하는 동시에, 이 상승 후에 상기 덮개부를 뒤쪽으로 자유로이 수평 슬라이드하도록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를 자유로이 개폐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덮개부를 상기 폐색 위치로부터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공급부의 접속을 어긋나게 하고 이 상승 후에 뒤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개구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반대로 이 뒤쪽으로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의 상기 덮개부를 앞쪽으로 되돌려 슬라이드시킨 후, 하강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동시에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공급부가 접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에 열풍을 송풍하는 상기 열풍 도입부와 이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도출부를 대향 상태로 마련하여, 이 열풍 도입부와 열풍 도출부의 사이에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위쪽에 근접 상태로 배치하여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의 상면의 상기 도공막을 가열 건조하는 건조용 히터부를 상기 덮개부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에, 상기 덮개부를 폐색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열풍 공급부에 접속하여 상기 열풍 도입부에 열풍을 공급하는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도출부로부터의 상기 열풍을 배출하는 열풍 배출부에 접속하는 열풍 배출 접속부를 마련하여 상기 덮개부를 뒤쪽으로 수평 슬라이드시킨 개방 위치에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열풍 공급 접속부와 상기 열풍 공급부 및 상기 열풍 배출 접속부와 상기 열풍 배출부의 각 접속이 어긋나는 동시에, 상기 건조실의 상부 개구부가 개구하여 상기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지승하는 상기 지승 롤러가 노출하고, 이 필름 형상의 피도공체를 개구한 상부 개구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승 롤러가 노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 마련한 상기 건조용 히터부에 열매체를 공급하는 열매체 공급부와 접속하는 열매체 공급 접속부 및 열매체 배출부와 접속하는 열매체 배출 접속부를 상기 덮개부에 마련하고, 이 덮개부의 뒤쪽으로의 수평 슬라이드에 추종하여 회동하고 이 열매체 공급부와 열매체 공급 접속부 및 이 열매체 배출부와 열매체 배출 접속부의 접속을 유지하는 추종 회동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KR1020100112737A 2010-08-26 2010-11-12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KR20120041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0082A JP2012047401A (ja) 2010-08-26 2010-08-26 膜塗工装置に設ける乾燥装置
JPJP-P-2010-190082 2010-08-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087A true KR20120041087A (ko) 2012-04-30

Family

ID=45902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37A KR20120041087A (ko) 2010-08-26 2010-11-12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2047401A (ko)
KR (1) KR201200410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80260B (zh) * 2017-03-01 2020-05-22 温州富明印刷材料有限公司 一种印刷烘干装置
CN107032278A (zh) * 2017-05-08 2017-08-11 厦门强力巨彩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模组灌胶设备及工艺
CN109267365A (zh) * 2018-10-12 2019-01-25 浙江禾欣新材料有限公司 一种合成革用智能高效省空间环保干法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47401A (ja)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499A (ko) 박막 도공 장치에 설치되는 건조장치
JP2012037163A5 (ko)
KR20120083193A (ko) 막 도공기
CN201648512U (zh) 连续真空镀膜装置
KR20120041087A (ko) 막도공 장치에 마련하는 건조장치
TWI558835B (zh) Continuous physical vacuum coating equipment
CN100544084C (zh) 燃料电池用电极层的制造方法
CN108642478A (zh) 一种镀膜系统及镀膜工艺
KR20150034973A (ko) 건조장치 및 건조방법
WO2015024339A1 (zh) 基板干燥装置及基板清洗系统
US20140193762A1 (en) Heat treatment furnace
JP2001358206A (ja) 基板の冷却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14084530A (ja) スパッタリング成膜装置及び真空成膜設備
JP2012212873A (ja) 電極製造装置、電極製造方法、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記憶媒体
CN104501546A (zh) 皮具生产用烘箱
CN208649462U (zh) 一种镀膜系统
KR101302850B1 (ko) 연속경화장치
CN214183904U (zh) 一种环保喷涂烤漆设备
CN102445056A (zh) 湿坯制品室式干燥二次码烧方法及其码烧系统
JP2000260715A (ja) 薄膜半導体の製造装置
CN203274459U (zh) 大型真空干燥箱的高密度传导式加热装置
CN203426025U (zh) 板类制品单面粉体涂装暨干燥设备
CN205993766U (zh) 鞋子烘干设备
CN205964485U (zh) 高效包衣机
CN217110362U (zh) 一种表面金属处理后节能型干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