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40964A -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 Google Patents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40964A
KR20120040964A KR1020100102500A KR20100102500A KR20120040964A KR 20120040964 A KR20120040964 A KR 20120040964A KR 1020100102500 A KR1020100102500 A KR 1020100102500A KR 20100102500 A KR20100102500 A KR 20100102500A KR 20120040964 A KR20120040964 A KR 20120040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group
resin composition
acrylate
malei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228B1 (ko
Inventor
최은정
서재범
강병일
승유택
한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10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2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40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0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2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i)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60~98 중량부, (ii)폴리카보네이트 1~10 중량부, 및 (iii) 적어도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 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필름은 연신율 200%를 초과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광학적 특성 및 색상이 우수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RESIN COMPOSITIONS FOR OPTICAL FILMS AND OPTICAL FILMS FORM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적어도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 광학 기술의 발전을 발판으로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체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액정 디스플레이 등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폴리머 소재는 그 요구 특성이 한층 더 고도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박막화, 경량화, 화면 면적의 대형화가 추진되면서 광시야각화, 고콘트라스트화, 시야각에 따른 화상 색조 변화의 억제 및 화면 표시의 균일화가 특히 주효한 문제가 되었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기 때문에 광학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판을 설치한 기본 구성을 가지며, 구동회로의 전계 인가 여부에 따라 액정 셀의 배향이 변하게 되고, 그에 따라 편광판을 통해 나온 투과광의 특성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빛의 가시화가 이루어진다. 이 때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빛의 경로와 복굴절성이 변화하게 되는데, 이는 액정이 두 개의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이방성 물질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액정 디스플레이는 시야각(viewing angle)에 따라 상이 얼마나 뚜렷하게 보이는지를 가늠하는 척도인 콘트라스트 비(contrast ratio)가 달라지고 계조 반전(gray scale inversion) 현상이 발생하여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을 지닌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액정 셀에서 발생하는 광학 위상차를 보상시켜 주는 광학 보상 필름(compensation film)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다양한 보호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연신 복굴절 고분자 필름의 재료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스티렌(PS), 폴리카보네이트(PC),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및 환상 폴리올레핀(환상 PO)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및 환상 폴리올레핀은 그 분자 사슬을 연신 배향시키면 배향 방향으로의 굴절률이 커지는 광학 이방성 고분자 재료이다. 반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폴리스티렌은 그 분자 사슬을 연신 배향시키면 배향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의 굴절률이 커지는 광학 이방성 고분자 재료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의 시야각 개선을 위한 광학 보상 필름에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분자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 말레이미드계 공중합체 그리고 환상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편광판은 일반적으로 편광자에 보호 필름으로서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필름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용액으로 이루어진 수계 접착제로 적층시킨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편광자로 사용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과 편광자용 보호 필름으로 사용된 TAC 필름을 모두 내열성과 내습성이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필름들로 이루어지는 편광판을 고온 또는 고습의 분위기 하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편광도가 저하되고, 편광자와 보호필름이 분리되거나 광특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용도 면에서 여러 가지 제약을 받고 있다.
또한 TAC 필름은 주변 온도/습도 환경 변화에 따라 기존에 가지고 있는 면내 위상차(Rin)와 두께 방향 위상차(Rth)의 변화가 심하며, 특히 경사 방향에서의 입사광에 대한 위상차의 변화가 크다.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TAC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하면, 주변 온도/습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시야각 특성이 변화하여 화상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AC 필름은 주변 온도/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변화율이 클 뿐만 아니라 광탄성 계수 값도 상대적으로 커서, 내열, 내습열 환경에서의 내구성 평가 후 국부적으로 위상차 특성의 변화가 발생하여 화상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
이러한 TAC 필름의 여러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소재로서 아크릴계 수지가 잘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내열도가 충분히 높고 연신 후 면내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갖는 보호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새로운 원료 물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우수한 광학 특성을 가지며, 강도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한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하면, i)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60~98 중량부, (ii)폴리카보네이트 1~10 중량부, 및 (iii) 적어도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 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식(I)로 표현되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at00001
식(I)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C1-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12 시클로알킬기, C6-12의 아릴기 및 C6-12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로 치환된 C1-3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는 다가 카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R1 및 R2이 독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기인 하기 식(II)로 표현되는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2
식(II)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의 유도체는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이미드계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상기 식(I)로 표현되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이며, 단량체가 공중합된 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 및 불포화유기산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상기 불포화유기산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및 말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C1-5알킬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광학 필름은 면상 위상차의 절대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이 각각 5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필름은 연신율 200 %를 초과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광학적 특성 및 색상이 우수한 광학용 필름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광학 특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정의와 관련하여, "공중합체"는 2종 이상의 단량체가 반복단위로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 형태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종류의 공중합체, 예를 들면, 교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메타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i)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60~98 중량부, (ii)폴리카보네이트 1~10 중량부, 및 (iii) 적어도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 1~3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광학 필름의 강도 및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식(I):
Figure pat00003
식(I)
로 표현되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는 다가 카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고, R1 및 R2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기인 하기 식(II)로 표현되는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4
식(II)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의 유도체는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페닐 말레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고리형인 지방족 또는 방향족 부(moirty)를 함유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C1-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12 시클로알킬기, C6-12의 아릴기 및 C6-12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로 치환된 C1-3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각각 60~90 중량부, 1~30 중량부, 및 1~2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내열도 향상이 미미하고, 상기 범위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고리형(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상기 범위로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폴리카보네이트 함량에 따라 가공 및 체류 온도에 따른 투명도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고리형(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추가하는 경우 가공 온도가 더 높아졌을 때 헤이즈 발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으나, 과도하게 첨가되는 경우 내열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당 각각 60~90 중량부, 1~30 중량부, 및 1~20 중량부 함량 내에서 결정되는 조성에 따라 이후 폴리카보네이트와의 혼합양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60~98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6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도 감소 및 위상차 조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98을 초과하는 경우 위상차 조절 및 수지의 연신 강도 향상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티렌계 단량체는 가공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 중에 스타이렌 골격을 갖는 화합물을 말하며, 예를 들면 치환되지 않은 스티렌 단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스티렌의 벤젠고리 또는 비닐기에 지방족 탄화수소 및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기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스티렌을 포함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C1-4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단위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α-메틸스티렌, p-브로모 스티렌, p-메틸 스티렌 및 p-클로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전체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 당 폴리카보네이트를 1~10 중량부의 범위로 포함한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위상차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제1 아크릴계 단량체 조성에 따라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5nm~5nm, 바람직하게는 -3nm~3nm, 더욱 바람직하게는 0이 되도록 함량을 조절하여 첨가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양은 스티렌 또는 매트릭스 수지의 조성에 따라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위상차 값이 0에 가까운 값을 갖도록 함량을 조절한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양이 증가하면 면내 위상차값(Rin)도 영향을 받으나,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이 함량에 따라 감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고분자량의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언급된 단량체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에틸에타크릴레이트 및 부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부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80,000 내지 2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80,000 미만인 경우는 제막, 연신한 필름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200,000을 초과하여 수지의 분자량이 너무 높아지는 경우는 벌크 중합을 통해 얻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상기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00 내지 3,000,000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100,000 미만인 경우는 수지의 강도 향상에 기여하지 못할 수 있으며, 3,000,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용융 혼합이 잘되지 않거나 겔(gel)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 1 아크릴계 공증합체에 비해 분자량이 높은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첨가하여 수지를 제조하며, 이를 통해 제조되는 광학필름에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즉, 분자량이 높아서 MI(melt index)가 너무 낮을 경우 공정에 따라 색상 변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적정 수준으로 내열도를 확보하도록 제조한 후, 상기와 같이 높은 분자량의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혼합함으로써 연신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 및 불포화유기산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C1-5알킬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젠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사용된, R1 및 R2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기인 식(II)로 표현되는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의 유도체는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페닐 말레이미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불포화유기산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및 말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 또는 불포화유기산 단량체가 포함되는 경우 이들의 바람직한 함량은 제 2 아크릴 공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비닐계 단량체 1 내지 30 중량부,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 1 내지 10 중량부 및 불포화유기산 단량체 1 내지 10 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할 경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에서 내열도 및 수지의 물성을 고려하여 조성을 결정하고,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감소시키는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을 조절하여 위상차가 0에 가까운 보호필름을 제조한다. 한편,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수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제2아크릴계 수지 조성에 따라 다시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유리전이 온도가 120℃이상, 바람직하게는 123℃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광학 필름은 백라이트 등에서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되기 쉽기 때문에, 내열성이 높은 것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전이 온도가 높기 때문에, 열 등에 의해 쉽게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한 성분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예를 들면, 착색제, 난연제, 강화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와 같은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는, 해당 성분들을 당해 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공중합체 제조 방법, 예를 들면, 용액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등의 방법으로 중합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특히 괴상 중합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광학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용액 캐스트법 또는 압출법 등과 같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필름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광학 필름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조된 필름은 위상차 발현을 위해 일축 또는 이축 연신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개량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연신은 종 방향(MD) 연신, 횡 방향(TD)연신을 각각 행할 수도 있고, 모두 행할 수도 있다. 종 방향 연신과 횡 방향 연신을 모두 실시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쪽을 먼저 연신한 후, 다른 방향으로 연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두 방향을 동시에 연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신은 1단계로 실시될 수도 있고, 다단계에 결쳐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연신은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온도를 Tg라 할 때, (Tg-20)℃ 내지 (T+30)℃정도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유리전이온도에서 실시되는 것이 좋다. 유리전이온도는 수지 조성물의 저장 탄성율이 저하되기 시작하고, 이에 따라 손실 탄성율이 저장 탄성율보다 커지게 되는 온도로부터 고분자 사슬의 배향이 완화되어 소실되는 온도까지의 영역을 말하며, 시차주사형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연신 속도는 소형 연신기(universal teating machine, Zwick Z010)의 경우는 1 내지 100mm/min의 범위에서, 그리고 파일로트 연신 장비의 경우에는 0.1 내지 2m/min의 범위에서 연신 조작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신율은 5 내지 3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편광자 보호필름은 550nm에서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면방향 위상차 값(Rin)이 -5nm 내지 5nm, 바람직하게는 -3nm 내지 3n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 nm이 되도록 수행할 수 있고,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이 -5nm 내지 5nm, 바람직하게는 -3nm 내지 3n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 nm이 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보상 필름은 투명도, 내열도, 광학적 특성 및 색상이 우수하며, 특히 향상된 연신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상 위상차값(Rin)은 하기 [식 1]로 정의되는 값을 말하며,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은 하기 [식 2]로 정의되는 값을 말한다.
[식 1]
Rin=(nx-ny) × d
[식 2]
Rth=(nz-ny)× d
상기 [식 1] 및 [식 2]에서,
nx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가장 굴절율이 큰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의 면 방향에 있어서, nx 방향의 수직 방향의 굴절율이며,
nz는 두께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5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96wt%, 폴리카보네이트 2 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부틸아크릴레이트(BA)-스티렌(SM)이 75:20:5의 중량비로 포함된 공중합체 2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펠렛을 건조시킨 후 T-다이를 포함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240 ㎛ 두께의 압출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필름을 130℃에서 100%*100% 이축연신하여 연신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5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96wt%, 폴리카보네이트 2 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부틸아크릴레이트(BA)가 8:2로 포함된 공중합체 2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4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5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88wt%, 폴리카보네이트 2 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메타크릴산(MAA)이 9:1로 포함된 공중합체 1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5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87wt%, 폴리카보네이트 3 wt%,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스티렌(SM)-말레산 무수물(MAH)이 7:2:1로 포함된 공중합체 1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5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77wt%, 폴리카보네이트 2 wt%,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부틸아크릴레이트(BA)가 8:2로 포함된 공중합체 1wt%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메타크릴산(MAA)이 9:1로 포함된 공중합체 2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5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88wt%, 폴리카보네이트 2 wt%, 분자량이 13만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수지 1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
메틸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10 비율로 이루어진 중량평균 분자량 9만의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87wt%, 폴리카보네이트 3 wt%, 분자량이 13만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 1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98wt%, 폴리카보네이트 2 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N-페닐 말레이미드 조성이 90:5:5 비율로 이루어진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88wt%, 폴리카보네이트 2wt%, 분자량이 8만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수지 10wt%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대해 펜타에리스리올 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0.2phr을 드라이 블렌드 한 후, 동방향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펠렛 상태의 내열성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 조성물의 조성비를 상이하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그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물성 평가 방법은 하기와 같으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 Tg(유리전이온도): TA Instrument사의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위상차값(Rth/Rin): 필름의 유리전이온도에서 연신 후 Axometrics 사의 AxoScan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 TE(Tensile elongation) 조건: 100mm/min의 속도로 연신 전 240 um의 필름을 Tg 근처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4. 헤이즈(haze) 값(투명도):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사의 HAZEMETER HM-150을 사용하여 헤이즈 값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Tg(℃) 125 125 124 126 126 123 125 125 124 123
헤이즈 0.3 0.4 0.2 0.3 0.3 0.3 0.4 0.3 0.2 0.3
Rin/Rth 2/2 2/3 2/-3 3/3 2/2 2/2 2/3 2/2 4/5 2/2
TE(%) 300 320 230 250 280 260 230 200 170 180
실험예 2
본 발명에 있어서,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녹여 겔 삼투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각 수지 조성물에 포함된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제 2 아크릴 공중합체 조성 조성비 Mw*(104)
실시예 1 MMA-BA-SM 75:20:5 100
실시예 2 및 5 MMA-BA 80:20 300
실시예 3 및 5 MMA-MAA 90:10 12
실시예 4 MMA-SM-MAH 70:20:10 12.5
실시예 6 및 7 MMA 100 13
비교예 3 MMA 100 8

Claims (20)

  1. (i)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및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이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 60~98 중량부, (ii)폴리카보네이트 1~10 중량부, 및 (iii) 적어도 1종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 1~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식(I)로 표현되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at00005
    식(I)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를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C1-5의 알킬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6-12 시클로알킬기, C6-12의 아릴기 및 C6-12의 아릴기 또는 아릴옥시기로 치환된 C1-3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기로 치환된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나프틸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는 다가 카르복실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는 R1 및 R2이 독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기인 하기 식(II)로 표현되는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6
    식(II)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의 유도체는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이미드계 유도체인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하기식(I)로 표현되는 단량체로부터 선택되며,
    Figure pat00007
    식(I)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30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1, R2 및 R3 중 적어도 하나는 에폭시기일 수 있으며,
    R4는 수소 또는 C1-6의 알킬기이며,
    단량체가 공중합된 분자량이 100,000 내지 3,000,000인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타크릴레이트 및 에틸에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스티렌계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산무수물 단량체 또는 그 유도체 및 불포화유기산 단량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는 R1 및 R2이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6알킬기인 하기 식(II)로 표현되는 말레산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Figure pat00008
    식(II)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산무수물 단량체의 유도체는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메틸페닐 말레이미드, N-에틸페닐 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이미드계 유도체인 수지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유기산 단량체는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및 말레산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C1-5알킬기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벤젠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지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수지 조성물.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은 면상 위상차의 절대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의 절대값이 각각 5nm이하인 광학 필름.
KR1020100102500A 2010-10-20 2010-10-20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KR101471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00A KR101471228B1 (ko) 2010-10-20 2010-10-20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500A KR101471228B1 (ko) 2010-10-20 2010-10-20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0964A true KR20120040964A (ko) 2012-04-30
KR101471228B1 KR101471228B1 (ko) 2014-12-10

Family

ID=4614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500A KR101471228B1 (ko) 2010-10-20 2010-10-20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2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631A1 (ko) * 2013-07-08 2015-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혼합물
WO2015009014A1 (ko) * 2013-07-15 2015-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혼합물
EP3054322A1 (en) * 2013-09-30 2016-08-10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optical film formed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TWI642548B (zh) * 2016-09-20 2018-12-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具有高膠黏性的光學膜與包括其的偏光板
US10392458B2 (en) 2013-07-08 2019-08-27 Lg Chem, Ltd. Resin blend
KR20190112976A (ko) * 2018-03-27 2019-10-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아크릴계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US10882989B2 (en) 2013-07-15 2021-01-05 Lg Chem. Ltd. Resin ble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334A (ko)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재료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3021A (ja) * 2008-05-09 2009-12-17 Sanyo Chem Ind Ltd 光学材料用透明樹脂組成物
KR101003698B1 (ko) * 2008-12-17 2010-12-30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091537B1 (ko) * 2009-01-06 2011-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429759B2 (ja) * 2009-02-18 2014-02-26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樹脂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液晶表示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05631A1 (ko) * 2013-07-08 2015-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혼합물
US10392458B2 (en) 2013-07-08 2019-08-27 Lg Chem, Ltd. Resin blend
WO2015009014A1 (ko) * 2013-07-15 2015-0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지 혼합물
US10882989B2 (en) 2013-07-15 2021-01-05 Lg Chem. Ltd. Resin blend
EP3054322A1 (en) * 2013-09-30 2016-08-10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optical film formed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EP3054322A4 (en) * 2013-09-30 2017-05-03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optical film formed using same, and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TWI642548B (zh) * 2016-09-20 2018-12-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具有高膠黏性的光學膜與包括其的偏光板
KR20190112976A (ko) * 2018-03-27 2019-10-08 엘지엠엠에이 주식회사 아크릴계 광학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228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913B1 (ko)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전자 장치
KR101471228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KR101914815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533050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KR101123007B1 (ko) 투명한 수지 조성물
JP2007171577A (ja) 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示装置
KR101377203B1 (ko)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한 광학 필름용 수지 제조
KR101623218B1 (ko) 광학용 연신 필름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101335618B1 (ko) 광학 필름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JP5888571B2 (ja) 光学フィルム
JP5433328B2 (ja) 位相差フィルム
KR20120055061A (ko)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KR101508038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JP2009276420A (ja) 光学フィルム及び位相差フィルム
KR102063204B1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68430A (ja) 位相差フィルム
KR101638666B1 (ko) 표면 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필름
KR20130036721A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보상필름
KR101304589B1 (ko) 투명성, 인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1521682B1 (ko)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546197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565629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190051662A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55601A (ko)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