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662A -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662A
KR20190051662A KR1020170147539A KR20170147539A KR20190051662A KR 20190051662 A KR20190051662 A KR 20190051662A KR 1020170147539 A KR1020170147539 A KR 1020170147539A KR 20170147539 A KR20170147539 A KR 20170147539A KR 20190051662 A KR20190051662 A KR 20190051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m
monomer
copolymer
meth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803B1 (ko
Inventor
구준모
박종선
조익환
최승만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8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51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제1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중합체를 광학필름 중 2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이고,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10nm 이하,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가 -50nm 내지 -10nm이며, 식 1과 식 2를 만족하는 것인,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OPTICAL FILM,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광학기술의 발전을 발판으로 종래의 브라운관을 대체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 여러 가지 방식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제안 및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폴리머 소재는 그 요구 특성이 한층 더 고도화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의 경우 박막화, 경량화, 화면 면적의 대형화가 추진되면서 광 시야각화, 고 콘트라스트화, 시야각에 따른 화상 색조 변화의 억제 및 화면 표시의 균일화가 특히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플라스틱 기판, 도광판 등에 여러 가지의 폴리머 필름이 사용되고 있으며, 액정은 트위스티드 네메틱(twisted nematic, TN), 슈퍼 트위스티드 네메틱(super twisted nematic, STN), VA(vertical alignment), IPS(in-plane switching) 액정 셀 등을 이용한 다양한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들 액정 셀은 모두 고유한 액정 배열을 하고 있어, 고유한 광학 이방성을 갖고 있으며, 이 광학 이방성을 보상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폴리머를 연장하여 위상차 기능을 부여한 필름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수지를 이용한 예로서 일본 특허 특개평 1997-304619 공보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연장하는 경우, 위상차 필름으로서 충분한 위상차 기능의 부여는 가능하지만 연장 정도에 따라 위상차 변화율이 크고, 보다 균일하게 안정한 위상차를 갖는 필름을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서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cyclic olefin polymer, COP)를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특개 2001-350017 공보, 특개 2004-051928 공보). 그러나, 환상 폴리올레핀 수지는 다른 필름 등의 기재와의 접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연장에 따른 위상차 변화율이 작아 위상차 필름으로서 충분한 위상차가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아크릴 필름의 문제는 아크릴의 고유특성인 내 굴곡강도(brittle)가 부족하여 고무 등 첨가제를 적용하게 되며 원가상승, 헤이즈 상승 등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가 소정의 범위를 만족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헤이즈가 낮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변화를 적게 하여 대각 빛샘을 억제하는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정적으로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 구현이 가능하고 필름의 강도가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제1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중합체를 상기 광학필름 중 2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이고,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10nm 이하,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가 -50nm 내지 -10nm이며, 하기 식 1과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Rth(550) - Rth(450) ≤ 3nm,
<식 2>
Rth(550) - Rth(650) ≤ 3nm.
(상기 식 1, 식 2에서 Rth(550), Rth(450), Rth(650)은 하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가 소정의 범위를 만족하고, 내열성이 우수하고, 헤이즈가 낮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변화를 적게 하여 대각 빛샘을 억제하는 광학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안정적으로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 구현이 가능하고 필름의 강도가 우수한 광학필름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였다.
첨부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면내 위상차(Re)"는 하기 식 A로 표시되고, "이축성 정도(NZ)"는 하기 식 B로 표시될 수 있다:
<식 A>
Re = (nx - ny) x d
<식 B>
NZ = (nx - nz)/(nx - ny)
(상기 식 A 내지 식 B에서, nx, ny, nz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광학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광학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본 명세서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Rth)"는 하기 식 C로 표시되고, 두께 방향 위상차는 측정 파장 450nm, 550nm, 650nm에서 측정될 수 있다:
<식 C>
Rth = ((nx + ny)/2 - nz) x d
(상기 식 C에서, nx, ny, nz는 측정 파장에서 각각 광학필름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광학필름의 두께(단위:nm)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필름은 굴절률 분포가 nz>nx≥ny 또는 nz>ny≥nx를 만족하는 양의 1축성 광학 소자의 광학보상필름(포지티브 C 플레이트 필름)이 될 수 있다. 상기 "nx≥ny"와 "ny≥nx"에서 "nx=ny"는 nx와 ny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x와 ny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상기 "nx와 ny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는 광학필름의 면내 위상차가 10nm 이하인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광학필름은 면내 위상차가 10nm 이하, 두께 방향 위상차가 -50nm 내지 -10nm,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은 소정 범위의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는 액정층에 적층되어 목표로 하는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고, 내열성이 좋을 수 있다. 광학필름은 하기 식 1과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식 1>
Rth(550) - Rth(450) ≤ 3nm,
<식 2>
Rth(550) - Rth(650) ≤ 3nm.
(상기 식 1, 식 2에서, Rth(550)은 광학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450)은 광학필름의 파장 4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650)은 광학필름의 파장 6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면을 기준으로 측면에서 보는 것을 대각 관찰이라고 하는데, 대각 관찰 상태의 관찰자가 있을 때 정면과 측면의 화면의 시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대각 빛샘이라고 한다. 대각 빛샘은 관찰 각도에 따라 위상차가 달라지면서 발생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대각 빛샘을 조절하기 위해서 광학필름의 파장 450nm, 550nm, 650nm에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제어하고,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로서 상기 식 1, 식 2를 만족함으로써,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변화를 적게 하여 대각 빛샘의 시감 차이를 억제할 수 있었다.
상기 식 1에서, Rth(450)은 -45nm 내지 -25nm가 될 수 있다. 상기 식 2에서 Rth(650)은 -40nm 내지 -24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대각 빛샘을 억제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필름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5nm 이하, 3nm 이하, 구체적으로 0nm 내지 5nm, 0nm 내지 3nm,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가 -50nm 내지 -20nm, 유리전이온도가 120℃ 내지 150℃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필름은 상기 식 1의 Rth(550) - Rth(450)가 0nm 내지 3nm, 상기 식 2의 Rth(550) - Rth(650)가 -3nm 내지 -1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액정층에 적층되어 목표로 하는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를 나타낼 수 있고, 내열성이 좋을 수 있고, 파단이 적으며, 대각 빛샘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유리전이온도, 상기 식 1, 식 2를 동시에 만족시킨 광학필름을 특징으로 한다.
광학필름은 음의 복굴절 수지를 적용한 광학필름이 될 수 있다.
광학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제1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공중합체를 광학필름 중 2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유리전이온도, 파장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인 상기 식 1, 식 2를 동시에 만족시킨 광학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두께 방향 굴절율을 크게 하여 포지티브 C 필름의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와 상기 제1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은 헤이즈 상승 및 광학필름의 깨짐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와 상기 제1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은 투과율이 낮아지고 헤이즈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제2공중합체를 2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함으로써 광학필름의 내열성과 본 발명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확보할 수 있고, 2개 공중합체 간의 상용성을 높여 필름 헤이즈를 낮출 수 있다. 광학필름은 헤이즈가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가 될 수 있다.
제1공중합체는 호모(homo), 교호(alternate) 또는 블록(block)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로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광학필름에 포함되어 투과율을 높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제1 공중합체에 복수 개로 포함될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제1공중합체 중 3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8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75중량% 이상 98중량% 이하, 80중량% 이상 95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 내열을 가지면서 투과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필름은 제1공중합체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1원 공중합체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광학필름은 제1공중합체로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의 3원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가 제1공중합체에 복수 개로 포함될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산 무수물계 단량체가 제1공중합체에 복수 개로 포함될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는 단량체 구조가 서로 다르다. 제1공중합체는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광학필름의 유리전이온도를 높여 내열성을 높일 수 있고,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함으로써 산 무수물계 단량체와 (메트)아크릴레이트계의 단량체와 잘 혼합되어 헤이즈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낼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산 무수물계 단량체의 총합은 제1공중합체 중 2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리전이온도를 높혀 내열성 개선,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인 식 1, 식 2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75중량% 내지 98중량%,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1중량% 내지 20중량%, 산 무수물계 단량체 1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80중량% 내지 95중량%,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1중량% 내지 15중량%, 산 무수물계 단량체 1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80중량% 내지 94중량%,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1중량% 내지 14중량%, 산 무수물계 단량체 5중량% 내지 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유리전이온도,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를 확보할 수 있다.
제1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과 중합 가능한 공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로서, 노르보르넨계 단량체(예: COP)를 포함할 수 있다. 공단량체는 제1공중합체 중 1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25만, 바람직하게는 13만 내지 20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의 깨짐의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로 포함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광학필름에 포함되어 두께 방향 굴절율을 크게 하여 포지티브 C 필름의 효과를 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로 된 제1공중합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로 포함하는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제2공중합체를 2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인 상기 식 1과 식 2를 만족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낼 수 있었다.
다른 구체예에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각각 포함하는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되, 제1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로 포함하고, 제2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주요 단량체로 포함하고, 제2공중합체를 2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인 상기 식 1과 식 2를 만족하고 동시에 본 발명의 유리전이온도를 나타낼 수 있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제2공중합체 중 75중량% 내지 99중량%, 바람직하게는 80중량% 내지 9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두께 방향 위상차를 확보할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제1공중합체 중 15중량% 이하, 제2공중합체 중 75중량%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식 1, 식 2,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호모(homo), 교호(alternate) 또는 블록(block)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단량체 구조가 서로 다르다. 제2공중합체를 위한 단량체 혼합물은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가 각각 제2 공중합체에 복수 개로 포함될 경우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75중량% 내지 99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중량%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80중량% 내지 90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0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2원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유리전이온도,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인 상기 식 1, 상기 식 2를 확보할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중 하나 이상과 중합 가능한 공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단량체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다른 단량체로서, 노르보르논계(예: COP)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공단량체는 제2공중합체 중 10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 카르복시산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카르복시산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제2공중합체가 (메트)아크릴산 등을 포함할 경우 광학필름의 헤이즈 상승, 깨짐 발생이 있을 수 있다. 제2공중합체는 단량체 혼합물 중 말레산 무수물 등의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비-산 무수물계 공중합체일 수 있다. 제2공중합체가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할 경우 광학필름의 투과율이 낮아지고 헤이즈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제2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만 내지 20만, 바람직하게는 13만 내지 20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의 깨짐의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제1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제2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 범위보다 높다. 제1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제2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 범위보다 낮은 경우 필름상의 내열도가 낮아지며,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와 혼합시 광학필름의 헤이즈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제1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8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제2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중량% 내지 25중량%가 될 수 있다.
제1공중합체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제2공중합체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 범위보다 낮다.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유리전이온도, 파장 분산에 따른 두께 방향 위상차 차이인 상기 식 1, 상기 식 2를 확보할 수 있다.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설명한다.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환족기를 갖는 단량체,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상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며;
m은 1 내지 10의 정수이며; p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q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X는 단일 결합, -C(R2)(R3)-, -C(=O)-, -O-, -OC(=O)-, -OC(=O)O-, -S-, -SO-, 및 -SO2-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의 기이다(여기서, R2 및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상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상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10의 분지상 알콕시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이며; R2 및 R3은, 상호 연결되어, 이들이 결합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탄소수 3 내지 10의 사이클로알킬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알킬기의 탄소수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 내지 4인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지환족기를 갖는 단량체는 치환 또는 비치환되고 탄소수가 5 내지 20의 지환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트) 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은 해당 작용기 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수산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0의 아릴알킬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기에 1개 이상의 비닐기가 결합된 단량체로서 상기 "방향족기"는 비치환된 벤젠 고리 또는 벤젠 고리에 1개 이상의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할로겐이 치환된 벤젠 고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스티렌, 알파 - 스티렌, 파라 - 스티렌 또는 메타 - 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이 될 수 있다.
산 무수물계 단량체는 다가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무수물 또는 그의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 무수물계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 무수물계 단량체는 말레산 무수물이 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킬기이다).
제1공중합체, 제2공중합체는 각각 단량체 혼합물을 이용해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합은 단량체 혼합물의 현탁 중합, 용액 중합, 계면 중합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광학필름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10중량% 내지 25중량%, 바람직하게는 13중량% 내지 20중량%, 15중량%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이축성 정도, 상기 식 1과 식 2가 나올 수 있다.
광학필름은 이축성 정도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대각 빛샘의 차단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광학필름은 굴절률이 1.40 내지 1.60, 구체적으로 1.48 내지 1.56,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53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에 액정층 적층시 투과율이 높아서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소자로서 반사방지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학필름은 두께가 5㎛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더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광학필름은 단일층 필름일 수 있다. 그러나, 광학필름이 2층 이상의 다층인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필름은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3층의 필름일 수 있다. 이때, 제1층과 제3층 전체의 두께의 합은 제2층의 두께보다 작다.
광학필름은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 이외에,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가소제, 열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대전방지제, 상용화제, 가교제 증점제, 레벨링제, 소포제, 부식방지제, 안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첨가제는 광학필름 중 2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첨가제 효과를 낼 수 있다.
필름 성형은 공중합체의 조성 및 종류, 성형 가공 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압출 성형법이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면 200℃ 내지 400℃에서 가열 용융한 공중합체를 시트 형성으로 토출하고, 이것을 인취 롤(냉각 드럼) 등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저온으로 서서히 냉각시키는 방법이 선택될 수 있다. 솔벤트캐스팅 방식으로도 제작할 수 있습니다.
연신은 임의의 적절한 연신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종 1축 연신, 횡 1축 연신, 종횡 동시 2축 연신, 종횡 축차 2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종"은 필름의 MD(machine direction), "횡"은 필름의 TD(transverse direction)을 의미한다. 연신 수단은 롤 연신기, 텐더 연신기, 2축 연신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가열 연신시 연신 온도는 (필름의 유리전이온도 + 10℃) 내지 (필름의 유리전이온도 + 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연신은 1회로 수행될 수도 있고, 2회 이상의 다단 연신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가열 연신시 완화 공정을 거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름을 종횡 동시 2축 연신 또는 종횡 축차 2축 연신하여 연신할 수 있다. 2축 연신일 경우 MD 연신 비율: TD 연신 비율은 1:0.5 내지 1:3, 예를 들면 1:1 내지 1:3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의 유리전이온도와 전광선 투과율을 만족하면서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MD 연신 배율은 1.5배 내지 6.0배, 바람직하게는 2.0배 내지 3.0배가 될 수 있고, TD 연신 배율은 1.5배 내지 6.0배, 바람직하게는 2.0배 내지 3.0배가 될 수 있다. 연신 시의 필름의 전송 속도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연신 장치의 기계 정밀도, 안정성 등에서 바람직하게는 50mm/분 내지 300mm/분의 속도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광학필름을 설명한다.
광학필름은 상술한 광학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필름과 액정층은 서로 다르다. 상기 "액정층"은 액정 필름, 액정 코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네마틱 액정상, 스메틱 액정상, 콜레스테릭 액정상, 원통 액정상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액정 조성물은 액정 화합물 이외에 키랄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요구되는 굴절률을 갖는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액정 조성물은 레벨링제, 중합 개시제, 배향 보조제, 열안정제, 윤활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액정층은 굴절률이 1.48 내지 1.58,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5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소자의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액정층은 두께가 0.1㎛ 내지 30㎛, 구체적으로, 0.1㎛ 내지 15㎛, 더 구체적으로 0.3 ㎛ 내지 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될 수 있다.
액정층은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액정층일 수 있다. 액정층과 본발명의 광학필름의 적층체는 면내 위상차가 120nm 내지 160nm 예를 들면 130nm 내지 145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OLED 제품(예:휴대폰, 테블릿 등) 사용시 외부광을 차단하여 화면을 잘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는 반사방지필름, 편광자 보호필름, 시야각 보상필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 및 본 발명의 광학필름 상 즉 광학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반사방지필름이 될 수 있다. 종래 무 위상차 광학필름에 위상차를 갖는 액정층을 2층 형성하여 반사방지필름을 제조하였으나, 광학필름에 상기 위상차를 부여함으로써 광학필름과 액정층 1층의 적층으로도 반사방지필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사방지필름 제조 공정을 최소화하고 원가 절감을 가능하게 하였다. 액정층 일면 또는 양면에 광학필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소자에 있어서, 액정층은 광학필름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액정층은 광학필름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액정층과 광학필름 사이에 다른 임의의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이 개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또는 액정층은 광학필름 상에 배향막을 형성한 후 액정 조성물을 코팅하고 액정을 배향시켜 형성될 수 있다. 배향막 형성 및 액정 배향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소자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이하, 제1광학필름) 및 본 발명의 광학필름 상에 형성된 다른 광학필름(제2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광학필름은 제1광학필름과 다르다. 제2광학필름은 통상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필름으로, 보호필름, 편광자, 편광판, 위상차필름, 편광자 보호필름, 시야각 보상필름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본 발명의 광학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판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의 광학필름과 광학보상필름의 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필름과 광학보상필름은 서로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본 발명의 광학필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소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장치, 발광소자 표시 장치, 바람직하게는 발광소자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 표시 장치는 유기 또는 유무기 발광소자를 포함하고,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QLED(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형광체 등의 발광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소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첨가하고,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을 첨가하고, 질소를 첨가하면서 승온시켰다. 승온에 따른 환류가 시작된 후, 중합개시제로서 t-아밀퍼옥시드를 첨가하고, 약 100℃ 내지 150℃에서 중합하였다. 얻은 중합 용액을 감압하고 건조시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된 1원 공중합체로 제1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중량%, 스티렌 80중량%가 중합된 제2공중합체를 상기 제1공중합체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제1공중합체 80중량부와, 제2공중합체 20중량부를 혼합하여 T - 다이 용융 압출기에 넣고 용융시킨 다음 압출하여 두께 30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을 전송 속도 100mm/분, 연신 온도 130℃에서 연신하되, 필름 MD로 2.0배, 필름 TD로 2.0배로 축차 2축 연신하여 두께 40㎛의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장치에 단량체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을 첨가하고, 중합 용매로서 톨루엔을 첨가하고, 질소를 첨가하면서 승온시켰다. 승온에 따른 환류가 시작된 후, 중합개시제로서 t-아밀퍼옥시드를 첨가하고, 100℃ 내지 150℃에서 중합하였다. 얻은 중합 용액을 감압하고 건조시켜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94중량%, 스티렌 1중량%, 말레산 무수물 5중량%가 중합된 3원 공중합체로서 제1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20중량%, 스티렌 80중량%가 중합된 제2공중합체를 상기 제1공중합체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제1공중합체 80중량부와, 제2공중합체 20중량부를 혼합하여 T - 다이 용융 압출기에 넣고 용융시킨 다음 압출하여 두께 300㎛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필름을 전송 속도 100mm/분, 연신 온도 130℃에서 연신하되, 필름 MD로 2.0배, 필름 TD로 2.0배로 축차 2축 연신하여 두께 40㎛의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
실시예 1, 실시예 3에서, 제1공중합체의 단량체 조성, 제2공중합체의 단량체 조성, 제1공중합체와 제2공중합체의 각각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압출한 필름의 연신비는 MD 연신비는 2.0배, TD 연신비는 2.0배로 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실시예 1, 실시예 3에서, 제1공중합체의 단량체 조성, 제2공중합체의 단량체 조성, 제2공중합체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광학필름을 제조하였다. 압출한 필름의 연신비는 MD 연신비는 2.0배, TD 연신비는 2.0배로 하였다.
제1공중합체 제2공중합체 제2공중합체 함량
(중량%)
MMA ST MA MMA ST
실시예 1 100 - - 20 80 20
실시예 2 100 - - 10 90 20
실시예 3 94 1 5 20 80 20
실시예 4 80 10 10 20 80 5
실시예 5 80 14 6 20 80 5
비교예 1 100 - - 80 20 20
비교예 2 94 1 5 80 20 20
비교예 3 80 14 6 80 20 20
*MMA: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ST:스티렌, MA:말레산 무수물(maleic anhydride)
*제2공중합체 함량: 광학필름 중 제2공중합체 함량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광학필름에 대해 하기 표 2의 물성을 평가하였다.
(1)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이축성 정도: 광학필름에 대하여 파장 550nm, 450nm, 650nm에서 위상차 측정 장치 Axoscan(Axometric 사)를 사용해서 측정하였다.
(2)유리전이온도(Tg): 광학필름에 대하여 질소 퍼징 조건, 40℃에서 200℃까지 20℃/분의 승온 속도로 승온하면서 Discovery(TA instrument사)로 측정하였다.
(3)헤이즈: Haze meter(Nippon Denshoku社 모델 NDH 5000) 장비를 이용하였다.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easurement) 시험 방법 D 1003-95 ("투명 플라스틱의 탁도 및 시감 투과율에 대한 표준 시험법(Standard Test for Haze and Luminous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Plastic)")에 따라 40㎛ 두께에서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4)대각 빛샘: 디스플레이 IPS패널에 필름을 백라이트에 가까이 있는 편광필름의 상면 TAC을 실시예 및 비교예를 교차 부착하여 암실에서 대각 빛샘의 색감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색 반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양호, 색 반전이 일어나는 경우는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두께
(㎛)
Re
@550nm
(nm)
Rth @450
(nm)
Rth @550
(nm)
Rth @650
(nm)
NZ 식 1 식 2 Tg
(℃)
헤이즈
(%)
대각 빛샘
실시예 1 40 2 -32 -30 -29 -15 2 -1 121 0.2 양호
실시예 2 40 2 -37 -35 -34 -17 2 -1 124 0.2 양호
실시예 3 40 2 -42 -40 -39 -20 2 -1 128 0.2 양호
실시예 4 40 2 -27 -25 -24 -13 2 -1 130 0.2 양호
실시예 5 40 2 -42 -40 -39 -20 2 -1 130 0.2 양호
비교예 1 40 2 -8 -6 -5 -3 2 -1 120 10 불량
비교예 2 40 2 -7 -5 -4 -2 2 -1 125 6 불량
비교예 3 40 2 -64 -60 -58 -30 4 -2 125 6 불량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면내 위상차와 두께 방향 위상차가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헤이즈가 낮아 광학적 투명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본 발명의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식 1, 식 2를 동시에 만족시켜 대각 빛샘의 시감 차이를 억제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6)

  1.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산 무수물계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제1공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제2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고,
    상기 제2공중합체를 상기 광학필름 중 2중량% 내지 25중량%로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가 120℃ 이상이고,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10nm 이하,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가 -50nm 내지 -10nm이며, 하기 식 1과 식 2를 만족하는 것인, 광학 필름:
    <식 1>
    Rth(550) - Rth(450) ≤ 3nm,
    <식 2>
    Rth(550) - Rth(650) ≤ 3nm.
    (상기 식 1, 식 2에서, Rth(550)은 상기 광학필름의 파장 5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450)은 상기 광학필름의 파장 4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650)은 상기 광학필름의 파장 650nm에서 두께 방향 위상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 1에서, Rth(450)은 -45nm 내지 -25nm이고, 상기 식 2에서 Rth(650)은 -40nm 내지 -24nm인 것인, 광학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은 파장 550nm에서 이축성 정도가 -30 내지 -5인 것인, 광학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 중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상기 제2공중합체 중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 범위보다 높은 것인, 광학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 중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30중량% 이상 100중량% 이하, 상기 제2공중합체 중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은 1중량% 내지 25중량%인 것인, 광학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 중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10중량% 내지 25중량%인 것인, 광학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는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인, 광학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는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산 무수물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인 것인, 광학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상기 산 무수물계 단량체의 총합은 상기 제1공중합체 중 2중량% 내지 25중량%인 것인, 광학필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중합체는 상기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80중량% 내지 95중량%,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1중량% 내지 15중량%, 상기 산 무수물계 단량체 1중량% 내지 10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인, 광학필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중합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75중량% 내지 99중량%,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1중량% 내지 25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인 것인, 광학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불포화 카르복시산 단량체, 산 무수물계 단량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광학필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액정층이 더 형성된, 광학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파장 550nm에서 면내 위상차가 120nm 내지 160nm인, 광학필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필름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16. 제15항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47539A 2017-11-07 2017-11-07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9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539A KR102097803B1 (ko) 2017-11-07 2017-11-07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539A KR102097803B1 (ko) 2017-11-07 2017-11-07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662A true KR20190051662A (ko) 2019-05-15
KR102097803B1 KR102097803B1 (ko) 2020-04-06

Family

ID=66579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539A KR102097803B1 (ko) 2017-11-07 2017-11-07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8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763A (ja) * 2002-04-24 2004-01-08 Nitto Denko Corp 視野角拡大液晶表示装置
JP2006072309A (ja) * 2004-08-05 2006-03-16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40309A (ja) * 2006-08-09 2008-02-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242581A (ja) * 2010-05-18 2011-12-0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偏光板のセット、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6189028A (ja) * 2013-12-27 2016-11-0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7068264A (ja) * 2015-10-01 2017-04-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4763A (ja) * 2002-04-24 2004-01-08 Nitto Denko Corp 視野角拡大液晶表示装置
JP2006072309A (ja) * 2004-08-05 2006-03-16 Nitto Denko Corp 位相差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液晶パネル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40309A (ja) * 2006-08-09 2008-02-21 Fujifilm Corp 位相差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1242581A (ja) * 2010-05-18 2011-12-01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ならびにこれらを用いた偏光板のセット、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6189028A (ja) * 2013-12-27 2016-11-0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偏光板
JP2017068264A (ja) * 2015-10-01 2017-04-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 Ltd.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03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339B1 (ko) 광학 보상 필름, 위상차 필름 및 복합 편광판
JP5220129B2 (ja) 光学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JP5330502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情報電子装置
JP5779822B2 (ja) 光学フィルム
KR101285159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KR101418755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상필름
KR101190981B1 (ko)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이방성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1228B1 (ko) 광학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필름
JP2007010863A (ja) 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05774A (ko) Ips 모드 액정 표시 장치용 위상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20055061A (ko) 메타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상차 필름
JP2006047882A (ja) 光学積層体、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7638205B2 (en) Optical laminat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30158201A1 (en) Acrylic copolymer and optical film including the same
KR102063204B1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08038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2097803B1 (ko)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68430A (ja) 位相差フィルム
KR101497183B1 (ko) 광학 필름용 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1514111B1 (ko) 고온 안정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627975B1 (ko) 인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박형 편광판
KR101565629B1 (ko)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1546197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
KR101747497B1 (ko) 아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 수지,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KR101443289B1 (ko) 내열도를 향상시킨 광학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