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495A -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495A
KR20120039495A KR1020110105465A KR20110105465A KR20120039495A KR 20120039495 A KR20120039495 A KR 20120039495A KR 1020110105465 A KR1020110105465 A KR 1020110105465A KR 20110105465 A KR20110105465 A KR 20110105465A KR 20120039495 A KR20120039495 A KR 2012003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aser light
screen
image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오 지쿠야
히토시 후지모토
료우스케 아라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32211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590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02322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865902B1/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 H04N9/3161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using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3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based on proj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Mechanical Optical Scanning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의 경사나 없어짐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 및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내장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각 색의 레이저광을 출사(出射)하는 레이저 광원유닛;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변조하는 광변조 소자; 상기 광변조 소자에 의해 형성된 변조 레이저광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과 광변조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케이스로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가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체는 적어도 상기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및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IMAGE DISPLAY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원으로서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다양한 전자 장치가 내장된 화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상표시장치의 광원(light source)에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화상표시장치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수은 램프와 비교해 볼 때, 상기 반도체 레이저는 예를 들면 색 재현성이 좋은 점, 순시 점등(瞬時點燈)이 가능한 점, 수명이 긴 점, 고효율로 소비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점, 및 소형화가 용이한 점 등, 다양한 이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의 이러한 이점들은 그 화상표시장치가 휴대용 전자장치에 내장되는 경우에 더 현저히 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를 휴대전화 단말에 설치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제2007-316393호). 이와 같이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휴대가능한 전자장치에 내장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화면을 스크린에 확대 표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광원에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흔히 휴대용 노트북(laptop)으로 알려진)에 내장되는 경우라도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키보드가 배치되는 본체부의 케이스 내측에 수용된다.
그런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는 사라지거나(missing) 화면이 경사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예를 들면,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가 책상(desk)에 놓일 경우,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그 화상표시장치가 놓이는 표면에 근접하게 되고, 그러므로 상기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emit)된 레이저빔은 그 표면에 의해 차단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의 하측 부분이 없어지는(사라지는) 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화면을 스크린상에 적절히 표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그의 수용 스페이스를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의 측면에서 개방시키고, 화상표시장치의 출사창(emission window)이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는 키보드 및 내부 제어 기판을 지지하는 프레임(frame)을 수용한다. 상기 프레임은 키보드가 배열되는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화상표시장치에 대한 수용 스페이스도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몇몇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에서, 상기 키보드가 배열되는 케이스의 상면은 그 휴대용 정보처리장치가 책상에 놓일 때, 사용자에게 가까운 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화상표시장치의 수용 스페이스도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평하게 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화상표시장치의 수용 스페이스를 위한 자리(공간)가 충분하지 않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가 놓이는 책상 표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상기 화상표시장치가 그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 결과, 스크린상에서 화면은 경사진 상태로 표시되어, 화면을 스크린상에 적절히 표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경사지거나 없어지는(사라지는) 것과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표시장치 및 휴대용 정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치에 내장된 화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상표시장치는 각 색의 레이저광을 출사(出射)하는 레이저 광원유닛;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변조하는 광변조 소자; 상기 광변조 소자에 의해 형성된 변조 레이저광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과 광변조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케이스로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가동체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체는 적어도 상기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및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 화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책상 위에 놓일 때, 레이저광이 책상 면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스크린상에서 화면의 하측 부분이 없어지는(사라지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힌지부는 상기 스크린에 대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가 수직 방향으로 변화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 화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책상 위에 놓일 때, 정보처리장치에 제공되는 화상표시장치가 책상 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 있는 경우라도, 스크린상에 표시된 화면이 경사지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힌지부는 스크린상에서 화면의 경사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제1 유닛에 제어부를 제공하는 않는 것이며, 따라서 제1 유닛은 경량화될 수 있기 때문에, 힌지부에 가해지는 부하는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 강도의 힌지부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는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편평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화상표시장치가 놓이는 책상 면과 화상표시장치 간의 갭은 좁아지고,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은 여러 경우에서 장치 설치면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본 발명은 특히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광디스크장치는 블루레이 디스크(blue-ray disc), DVD 및 CD와 같은 광디스크에 있어서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내장 화상표시장치가 책상에 놓일 때, 스크린에 대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를 수직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레이저빔이 장치 설치면에 의해 차단됨으로 인하여 스크린상에서 화면의 하측 부분이 없어지는 상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결 부재가 제2 회동축 주위에서(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때 상호접속 케이블에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호접속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내장 화상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장치가 책상에 놓인 상태에서 사용될 때 화면이 경사진 상태로 스크린상에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는 광원에 대하여 반도체 레이저를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로서, 특히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 내장된 화상표시장치로서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표시장치(1)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 내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광학 엔진유닛(13)에 내장된 광학 엔진부(1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녹색레이저 광원유닛(22)에서 레이저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화상표시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화상표시장치(1)의 개략적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a 및 도 6b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책상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책상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힌지부(73)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광학 엔진유닛(13) 측에서 부품을 분리함으로써 상호접속 케이블(93)의 삽입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화상처리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힌지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표시장치(1)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 내장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전자장치)(2)는 예를 들면 CPU 및 메모리가 실장되는 내장 제어기판(미도시)을 구비하는 본체부(3) 및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표시부(4)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3)와 표시부(4)는 힌지부(hinge portion)(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접혀질 때 서로 겹쳐져서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본체부(3)의 케이스(8)의 상면(8a)에는 키보드(6) 및 터치 패드(7)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부(3)의 케이스(8)에 있어서의 키보드(6)의 이면(reverse side) 측에는, 광디스크 장치와 같은 주변기기가 교체가능하게 수용되는 수용 스페이스, 즉 소위 드라이브 베이(drive bay)가 형성되고, 상기 화상표시장치(1)는 이 드라이브 베이에 제공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는 케이스(11) 및 상기 케이스(11)에 대하여 인출 및 삽입되도록(출입가능하게) 제공되는 가동체(movable body)(12)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체(12)는 스크린(S)에 레이저광을 투사하기 위한 광학 부품을 수용하는 광학 엔진유닛(제1 유닛)(13) 및 상기 광학 엔진유닛(13) 내의 광학 부품을 제어하기 위한 예를 들면 기판을 수용하는 제어 유닛(제2 유닛)(14)을 포함한다.
도 2는 광학 엔진유닛(13)에 내장된 광학 엔진부(1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상기 광학 엔진부(15)는 녹색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 적색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 청색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청색 레이저 광원유닛(24), 영상 신호에 따라 각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변조하는 액정반사형의 광변조 소자(25), 각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으로부터의 레이저광을 반사시켜서 광변조 소자(25)에 조사시키고 광변조 소자(25)로부터 출사된 변조 레이저광을 투과시키는 편광 빔 스플리터(polarization beam splitter)(26), 각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을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26)로 가이드하는 릴레이 광학계(relay optical system)(27), 및 상기 편광 빔 스플리터(26)를 투과한 변조 레이저광을 스크린(S)에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28)를 포함한다.
상기 광학 엔진부(15)는 소위 시분할 방식(field sequential method)으로 칼라 화상을 표시하고, 각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으로부터 각 색의 레이저광은 시분할로 순차 출력되고, 각 색의 레이저광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은 시각의 잔상효과로 인하여 칼라 화상으로서 인식된다.
상기 릴레이 광학계(27)는 각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으로부터 출사되는 각 색의 레이저광을 평행 빔(parallel beam)으로 변환시키는 콜리메이터 렌즈(collimator lense)(31 내지 33), 상기 콜리메이터 렌즈(31 내지 33)를 통과한 각 색의 레이저광을 요구되는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및 제2 색선별 거울(dichroic mirror)(34, 35), 상기 색선별 거울(34, 35)에 의해 가이드된 레이저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플레이트(36), 및 상기 확산 플레이트(36)를 통과하는 레이저광을 수렴 레이저로 변환시키는 필드 렌즈(field lense)(37)를 포함한다.
상기 투사 광학계(28)로부터 스크린(S)을 향해 레이저광이 출사되는 측을 전방 측으로 하면, 청색 레이저광은 청색 레이저 광원유닛(24)으로부터 후방 측을 향하여 출사된다. 상기 녹색 레이저광과 적색 레이저광 각각은 상기 청색 레이저광의 광축에 대하여 상기 녹색 레이저광의 광축과 상기 적색 레이저광의 광축이 직교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 및 적색 레이저 광원 유닛(23)으로부터 출사된다. 이들 청색 레이저광, 적색 레이저광, 녹색 레이저광은 두 개의 색선별 거울(34, 25)에 의해 동일한 광로(light pate)로 가이드된다. 즉, 상기 청색 레이저광 및 녹색 레이저광은 제1 색선별 거울(34)에 의해 동일한 광로로 가이드 되고, 상기 청색 레이저광, 녹색 레이저광 및 적색 레이저광은 제2 색선별 거울(35)에 의해 동일한 광로로 가이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색선별 거울(34, 35)의 표면에는, 소정 파장의 레이저광을 투과 및 반사하도록 필름(film)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색선별 거울(34)은 청색 레이저광을 투과시키고 녹색 레이저광을 반사하고, 상기 제2 색선별 거울(35)은 적색 레이저광을 투과시키고 청색 및 녹색 레이저광을 반사한다.
이들 각각의 광학 부재는 케이스(41) 내에 지지된다. 상기 케이스(41)는 각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라디에이터(radiator)로서 기능을 하고,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은 측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41)에 형성되는 설치부(42)에 제공된다. 상기 설치부(42)는 릴레이 광학계(27)의 수용 공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되는 전방 벽부(43)와 측벽부(44)가 교차하는 코너(corner)로부터 상기 측벽부(44)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제공된다.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은 홀더(holder)(45)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측벽부(44)의 외면 측에 제공된다. 상기 청색 레이저 광원유닛(24)은 홀더(46)에 유지되는 상태에서 전방 벽부(43)의 외면 측에 제공된다.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 및 청색 레이저 광원유닛(24)은 소위 CAN 패키지(package)로 구성되고,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레이저 칩은 그 칩이 스템(stem)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캔형 외장부(can-like exterior portion)의 중심축 상에 광축이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레이저광은 상기 외장부의 개구(opening)에 제공된 글라스 창(glass window)을 통해 출사된다.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 및 청색 레이저 광원유닛(23)은 홀더(45, 46)에서 개방되는 설치 구멍(47, 48)으로 압입됨으로써 홀더(45, 46)에 대하여 고정된다. 상기 청색 레이저 광원유닛(24) 및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의 칩으로부터 발생한 열은 홀더(45, 46)를 통해 케이스(41)로 전달됨으로써 방열되고, 상기 홀더(45, 46) 각각은 알루미늄이나 구리와 같은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은 여기용 레이저광(excitation laser beam)을 출력하는 반도체 레이저(51), 상기 반도체 레이저(51)로부터 출력된 여기용 레이저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인 FAC(Fast-Axis Collimator) 렌즈(52) 및 로드 렌즈(rod lense)(53), 상기 여기용 레이저광에 의해 여기되고 기본 레이저광(적외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고체상 레이저소자(54), 상기 기본 레이저광의 파장을 변환하고 반파장 레이저광(녹색 레이저광)을 출력하는 파장변환 소자(55),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와 함께 공진기(resonator)를 구성하는 오목 거울(56), 상기 여기용 레이저광과 기본 레이저광의 누출을 방지하는 글라스 커버(57), 각 부(part)를 지지하는 베이스(base)(58), 및 각 부를 커버하는 커버(59)를 포함한다.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은 케이스(41)의 설치부(42)에 베이스(58)를 제공함으로써 고정되고,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과 케이스(41)의 측벽부(44) 사이에 요구되는 폭(예를 들면, 0.5mm 이하)을 갖는 갭(gap)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의 열은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으로 쉽게 전달되지 않고, 그러므로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의 온도 상승은 억제된다. 따라서, 좋지 못한 온도 특성을 갖는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에 대한 광축 조절의 요구 마진(margin)(예를 들면, 약 0.3mm)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과 상기 적색 레이저 광원유닛(23) 사이에는 요구되는 폭(예를 들면, 0.3mm 이상)을 갖는 갭이 형성된다.
도 3은 녹색 레이저 광원유닛(22)에서 레이저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상기 반도체 레이저(51)의 레이저 칩(61)은 808nm 파장을 갖는 여기용 레이저광을 출력한다. 상기 FAC 렌즈(52)는 레이저광의 제1 축(광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고 도면이 그려진 지면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의 확장을 감소시킨다. 상기 로드 렌즈(53)는 레이저광의 슬로우 축(slow axis)(도면이 그려진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의 확장을 감소시킨다.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는 소위 고체상 레이저 결정이고, 상기 로드 렌즈(53)를 통과한 808nm 파장을 갖는 여기용 레이저광에 의해 여기되고, 1064nm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적외 레이저광)을 출력한다.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는 Y(이트륨)VO4(바나듐산염)를 포함하는 무기광학 활성물질(결정)에 Nd(네오디뮴)을 도핑(doping)함으로써 얻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는 모재인 YVO4의 Y에 형광을 발하는 원소인 Nd+3으로 치환해서 도핑을 행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에 있어서, 상기 로드 렌즈(53)를 향하는 측에는 808nm의 파장을 갖는 여기용 레이저광에 대한 반사 방지 기능과,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의 레이저광 및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의 레이저광에 대한 높은 반사 기능을 갖는 필름(62)이 형성된다.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에서, 상기 파장변환 소자(55)를 향하는 측에는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과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의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63)이 형성된다.
상기 파장변환 소자(55)는 소위 SHG(Second Harmonics Generation) 소자이고,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로부터 출력되는 1064nm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적외 레이저광)의 파장을 변환시키고, 이에 따라 532nm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녹색 레이저광)을 생성한다.
상기 파장변환소자(55)에 있어서,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를 향하는 측에는,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의 반사 방지 기능과,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에 대한 높은 반사 기능을 갖는 필름(64)이 형성된다. 상기 파장변환소자(55)에 있어서, 상기 오목 거울을 향상하는 측에는,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과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의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65)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 거울(56)은 파장변환소자(55)를 향하는 측에서 오목한 면을 포함한다. 상기 오목한 면에서,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에 대한 높은 반사 기능과,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의 반사 방지 기능을 갖는 필름(66)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의 필름(62)과 상기 오목 거울(56)의 필름(66) 사이에서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은 공진되고 증폭된다.
상기 파장변환소자(55)에서,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로부터 입사되는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의 일부는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으로 변환된다. 또한, 변환없이 상기 파장변환소자(55)를 통과한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은 오목 거울(56)에서 반사되고, 다시 상기 파장변환소자(55)로 입사되며,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으로 변환된다.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은 상기 파장변환소자(55)의 필름(64)에서 반사되고, 상기 파장변환소자(55)로부터 출사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체상 레이저소자(54)로부터 파장변환소자(55)로 입사되고 파장변환소자(55)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빔(B1)과, 상기 오목 거울(56)에 의해 일단 반사되어 파장변환소자(55)로 입사되고 필름(64)에서 반사되어 파장변환 소자(55)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빔(B2)이 서로 겹쳐지는 상태에서,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 및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은 서로 간섭되고 이에 따라 출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서, 상기 파장변환소자(55)를 광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함으로써 입사면 및 출사면에서의 굴절 작용이 이루어지고, 이는 상기 레이저광의 빔(B1)과 빔(B2)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532nm의 파장을 갖는 반파장 레이저광과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은 서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따라 출력 감소는 방지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글라스 커버(57)에서, 808nm의 파장을 갖는 여기용 레이저광과 1064nm의 파장을 갖는 기본파장 레이저광이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들 레이저광을 투과하지 않는 필름이 형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화상표시장치(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가동체(12)가 케이스(11)에 저장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4b는 가동체(12)가 케이스(11)로부터 인출되는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가동체(12)를 구성하는 광학 엔진유닛(13)과 제어유닛(14)의 각 케이스는 높이 방향으로 치수가 짧은 편평한 박스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광학 엔진유닛(13) 및 제어유닛(14)의 각 케이스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케이스(11)에 제공된 가이드 레일(미도시)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slider)(71, 72)가 설치된다.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삽입 및 인출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동체(12)는 케이스(11)에 삽입 및 인출된다.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에 있어서 힌지부(73)에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는 출사창(emission window)(74)이 제공된다. 상기 광학 엔진유닛(15)의 투사 광학계(28)(도 2 참조)를 통과하는 레이저광은 상기 출사창(74)으로부터 출사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표시장치(1)의 수용 스페이스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케이스(8)의 측면에서 개방되고,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케이스(8)의 측면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동체(12)가 인출 또는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케이스(11)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케이스(8)에 수용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가 사용되는 동안, 상기 광학 엔진유닛(13)과 제어유닛(14)의 일부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케이스(8)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측면이 스크린(S)을 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에 제공된 출사창(74)이 스크린(S)을 향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엔진유닛(13) 및 제어유닛(14)은 힌지부(73)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4b에 나타낸 사용 상태에서, 상기 제어유닛(14)은 케이스(11)의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케이스(11)로부터 완전하게 인출된다. 화살표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전후 방향으로, 즉 가동체(12)가 인출 또는 삽입되는 방향의 축 둘레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힌지부(73)의 구성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제어유닛(14)의 상면에는 조작부(75)가 제공된다. 상기 조작부(75)에는 전원의 온/온프, 휘도 전환, 및 트라페조이즈(trapezoid) 보정과 같은 다양한 조작을 위한 조작 버튼이 배열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에서 가동체(12)를 저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래치 록(latch lock)(미도시)이 제공된다.
도 5는 화상표시장치(1)의 개략적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제어부(81)는 각 색의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을 제어하는 레이저광원 제어부(82),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광변조 소자(25)를 제어하는 광변조소자 제어부(83),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레이저광원 제어부(82) 및 광변조소자 제어부(83)로 공급하는 전력 공급부(84), 및 각 부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주 제어부(85)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81)는 제어유닛(14)에 제공된다.
상기 광학 엔진부(15)에는, 각 색의 레이저 광원유닛(22 내지 24) 및 광변조 소자(25)에 추가하여, 상기 광변조 소자(25)로 입사되는 광량을 검출하는 포토 센서(86) 및 상기 광변조 소자(25) 근방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센서(87)가 제공된다. 상기 광학 엔진부(15)는 광학 엔진유닛(13)에 제공되지만,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에는 상기 광학 엔진부(15)에 부가하여 그 광학 엔진부(15)를 냉각하는 냉각팬(88)이 제공된다.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케이스(11)(도 4 참조)에는,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선 및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신호선이 접속되는 인터페이스부(interface portion)(91)가 제공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91) 및 제어 유닛(14)은 상호접속 케이블(9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2)은 유연하며, 상기 가동체(12)가 케이스(11)에 삽입 및 인출될 때,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2)은 제어 유닛(14)을 따르도록 굴곡 변형된다.
상기 제어 유닛(14) 및 광학 엔진유닛(13)은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은 상기 제어부(81) 내의 각부와 상기 광학 엔진부(15) 내의 각 부 사이에서 신호를 송신 및 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신호선 및 상기 냉각팬(88) 등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공급선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은 유연하며,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이 제어 유닛(14)에 대하여 회동될 때,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은 광학 엔진유닛(13)의 회동에 따라 굴곡 변형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81)는 제어 유닛(14)에 제공되지만, 상기 제어부(81)의 일부, 예를 들면 상기 전력 공급부(84)는 상기 인터페이스부(91)와 함께 케이스(1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책상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가동체(12)가 인출되는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b는 광학 엔진유닛(13)의 각도가 각각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서,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수용 스페이스는 키보드(6)가 배치되는 주 본체부(3)의 케이스(8)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케이스(8)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책상 위에 놓일 때, 상기 화상표시장치(1)는 책상의 장치 설치면(D)에 근접한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상기 가동체(12)가 인출될 때, 상기 화상표시장치(1)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은 장치 설치면(D)에 의해 차단되고, 이에 따라 스크린(S)에 표시되는 화면의 하측 부분은 없어지고(사라지고)(miss), 따라서 화면은 스크린(S)에 적절히 투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화살표 B로 나타낸 수직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제어 유닛(14)에 지지되고,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는 조정될 수 있어 상기 화상표시장치(1)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은 장치 설치면(D)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크린(S)에 표시되는 화면의 바닥 부분이 없어지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책상에 놓인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a는 광학 엔진유닛(13)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b는 광학 엔진유닛(13)의 각도가 각각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서, 키보드(6) 및 내부 제어기판(미도시)을 지지하는 프레임(미도시)은 케이스(8)의 상면(8a)을 따라 배치되고, 또한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수용 스페이스는 케이스(8)의 상면(8a)을 따라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키보드(6)가 배열되는 케이스(8)의 상면(8a)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가 책상에 놓일 때 사용자에게 가까운 상면(8a) 측이 낮게 되록 경사지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수용 스페이스는 케이스(8)의 상면(8a)을 따라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서, 상기 케이스(8)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휴대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상기 화상표시장치(1)의 수용 스페이스를 위한 충분한 여분이 없다. 또한, 상기 화상표시장치(1)를 책상의 장치 설치면(D)에 대하여 평행하도록 제공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상기 화상표시장치(1)는 장치 설치면(D)에 경사진 상태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 제공된다. 그 결과, 화면은 스크린에 경사진 상태로 표시되고, 이에 따라 화면은 스크린에 적절히 표시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화살표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에서 화면의 경사가 보정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을 수평방향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의 종방향 및 횡방향이 각각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되는 적절한 상태에서 화면이 스크린상에 표시된다.
도 8은 힌지부(73)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힌지부(73)는 직교 2축 구조를 갖는다.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의 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연결 부재(101)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는, 중심으로서 제1 회동축을 갖는 한 쌍의 제1 축부재(102, 103)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 부재(101)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심부에는 중심으로서 제2 회동축을 갖는 제2 축부재(106)가 연결된다.
한 쌍의 제1 축부재(102, 103)는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의 케이스에 제공되는 한 쌍의 설치부(104, 105)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동축 주위에서(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의 케이스를 지지한다. 한편, 상기 제2 축부재(106)는 제어 유닛(14)의 케이스의 폭 방향에서의 중심 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동축 주위에서(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 부재(101)를 지지한다.
상기 제1 축부재(102, 103)에 따른 제1 회동축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 즉 가동체(12)가 인출 및 삽입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 방향은 출사창(74)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학축에 직교한다. 한편, 상기 제2 축부재(106)에 따른 제2 회동축은 제1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방향은 전후 방향에 평행하는, 즉 가동체(12)가 인출 및 삽입되는 방향에 평행한다.
따라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을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2 회동축 주위에서 광학 엔진유닛(13)을 회동시킴으로써, 화면의 경사는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축을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조정함으로써, 경사지지 않는 화면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회동축을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조정한 후, 상기 제1 회동축 주위에서 광학 엔진유닛(13)을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출사창(74)으로부터 출사되는 레이저광의 각도를 수직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고, 따라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화면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크린에서 화면이 경사지거나 없어지는 것을 발생시키지 않는 최적의 상태로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화면은 요구되는 위치에 표시된다. 화면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인하여 화면의 트라페조이즈 보정이 필요하다.
상기 제2 축부재(106) 근방에는, 제어 유닛(14)에 대하여 제2 회동축 주위에서 실행되는 연결 부재(101)의 회전을 소정 범위에서 규제하는 스토퍼(107)가 제공된다. 한 쌍의 제1 축부재(102, 103) 중에서 제1 축부재(103)는 프리 스토퍼(free stopper)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프리 스토퍼 기구에 의하여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소정의 회동 범위에 있어서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되고, 그대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제1 회동축 주위에서의 광학 엔진유닛(13)의 회동은 스토퍼(미도시)에 의해 규제된다. 따라서,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제어 유닛(14)을 따르는 위치로부터 그 제어 유닛(14)에 대략 직립하는 위치까지 회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 부재(101)에는 상기 신호선과 전력 공급선으로서의 상호접속 케이블(93)(도 5 참조)이 삽입되는 개구부(108)가 제공되며, 그 개구부(108) 사이에 상기 제2 축부재(106)의 양측이 개재된다.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은 제2 회동축을 따르는 방향으로 제어 유닛(14)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으로 삽입된다.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은 예를 들면 연성회로기판(FPC) 및 리드선(lead wire)(비닐 피복 전선)을 포함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광학 엔진유닛(13) 측에서 부품을 분리함으로써 힌지부(73)의 연결 부재(101)가 제2 축부재(106) 주위에서 회동할 때 상호접속 케이블(93)의 삽입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각각 도 9a는 연결 부재(101)의 초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9b는 연결 부재(10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9c는 연결 부재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제어 유닛(14)의 케이스에는, 상호접속 케이블(93)이 삽입되는 개구부(111)가 제공되고, 상기 개구부(111) 사이에서 제2 축부재(106)의 양측이 개재된다. 상기 제어 유닛(14)의 개구부(111) 및 연결 부재(101)의 개구부(108)는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접속 케이블(93)의 삽입 방향으로부터 바라볼 때 서로 겹쳐지고, 이에 따라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의 삽입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의 삽입 영역은 상기 제2 축부재(106) 주위에서 회동하는 연결 부재(101)의 각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상기 연결 부재(101)의 회동 범위 내에서 항상 상호접속 케이블(93)이 요구되는 여유(clearance)를 갖고 삽입되는 요구되는 사이즈로 확보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연결 부재(101)가 제어 유닛(14)에 대하여 회동할 때,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에 부하(load)는 작용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93)의 손상은 방지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화상처리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각각 도 10a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표시장치(1)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0b는 비교예로서의 화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0c 및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타입의 화상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b에 나타낸 예시에서, 상기 케이스(11)에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도록 제공된 가동체(121)는 동일 케이스에 광학 엔진부(15)와 제어부(81)가 수용되는 단일 유닛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동체(121)는 단순히 인출 및 삽입되기만 하기 때문에,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는 수직적으로 조정될 수 없다. 따라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가 책상에 놓일 때, 레이저광은 책상의 장치 설치면에 의해 차단되어 화면의 하측 부분은 스크린에서 없어진(사라진) 상태로 된다. 그러므로 화면은 스크린상에 적절히 투사될 수 없게 된다.
도 10c에 나타낸 예시에서, 케이스(11)에 인출 및 삽입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가동체(122)는 제1 유닛(123)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닛(123)을 지지하는 제2 유닛(124)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유닛(123)은 광학 엔진부(15) 및 제어부(81)를 수용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를 상하로 조정함으로써, 레이저광이 책상의 장치 설치면에 의해 차단됨으로 인하여 화면의 하측 부분이 스크린상에서 없어지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광학 엔진부(15) 및 제어부(81)는 제1 유닛(123)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유닛(123)의 중량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각 부간의 밀접한 위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스(41)(도 2 참조)의 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학 엔진부(15)의 중량은 상당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광학 엔진부(15) 내의 투사 광학계(28)는 힌지부(125)에 대향하는 측의 단부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광학 엔진부(15)는 힌지부(125)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따라서 상기 힌지부(125)에 큰 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힌지부(125)의 강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고, 이는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도 10d에 나타낸 예시에서, 케이스(11)에 인출 및 삽입될 수 있는 가동체(126)는 제1 유닛(127) 및 수직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유닛(127)을 지지하는 제2 유닛(128)을 포함한다. 광학 엔진부(15)는 제1 유닛(127)에 제공되고, 제어부(81)는 케이스(11)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제어부(81)는 제1 유닛(127)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제1 유닛(127)을 경량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힌지부(129)에 가해지는 부하는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가동체를 제어부(81)에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신호선 및 전력 공급선)이 증가한다. 따라서, 상기 가동체(126)의 인출 및 삽입 동작에 따라 상호접속 케이블(130)이 굴곡 변형될 때 발생하는 저항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동체(126)를 인출하고 삽입하는 원활한 동작은 방해받을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힌지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각각 도 11a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73)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11b는 힌지부의 다른 타입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a에 나타낸 실시 예에 따른 힌지부(73)에서, 연결 부재(101)는 제어 유닛(14)에 대하여 제2 회동축이 되는 제2 축부재(106) 및 광학 엔진유닛(13)에 대하여 제1 회동축이 되는 제1 축부재(102, 103)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의 회동이 조정될 때, 먼저 상기 광학 엔진유닛(13) 및 연결 부재(101)는 광학 엔진유닛(13)을 수평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어 유닛(14)에 대하여 제2 회동축 주위에서 회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크린상의 화면의 경사는 보정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은 연결 부재(101)에 대하여 제1 회동축 주위에서 회동될 수 있고, 상기 스크린에 대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는 수직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1b에 나타낸 예에서, 연결 부재(141)는 제어 유닛(14)에 대하여 제1 회동축이 되는 제1 축부재(142, 143) 및 광학 엔진유닛(13)에 대하여 제2 회동축이 되는 제2 축부재(144)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제2 회동축 주위에서 광학 엔진유닛(13)을 회동시킴으로써 스크린상의 화면의 경사는 보정될 수 있지만, 상기 제1 회동축은 수평 방향으로 조정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광학 엔진유닛(13)이 제1 회동축 주위에서(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때, 스크린상에서 화면은 경사진 상태에서 이동한다. 그 결과, 화면의 경사를 발생시키지 않고 스크린상에서 요구되는 위치에 화면을 적절히 표시하기 위한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또한, 본 예시에서, 상기 힌지부는 직교 2축 구조를 구비하고, 여기에서 제1 유닛(광학 엔진유닛(13))은 제1 회동축 주위 및 제2 회동축 주위의 방향을 포함하는 2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나 힌지부는 직교 3축 구조를 구비할 수 있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회동축에 부가하여, 제1 회동축 및 제2 회동축에 직교하는 방향의 주위, 즉 수직 방향의 제3 회동축 주위에서 회동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측면을 스크린(S) 측으로 향하게 할 필요가 없고,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와 스크린(S) 간의 위치 관계는 제약되지 않는다. 따라서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1)가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에 내장되는 예시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화상표시장치(1)는 다른 휴대형 정보단말장치에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표시장치(1)는 그 화상표시장치(1)가 광디스크 장치로 대체될 수 있는 방식으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2)의 수용 스페이스에 수용되는 구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화상표시장치(1)는 그 화상표시장치가 광학 디스크장치와 같은 다른 장치로 대체될 수 없는 방식으로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와 같은 전자장치에 수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은 2010.10.05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232210호 및 2010.10.15자로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0-232211호의 우선권 주장 출원이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여기에 통합된다.
1: 화상표시장치
2: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전자장치)
3: 본체부
6: 키보드
8: 케이스
12: 가동체
13: 광학 엔진유닛(제1 유닛)
14: 제어 유닛(제2 유닛)
15: 광학 엔진부
22: 녹색레이저 광원
23: 적색레이저 광원
24: 청색 레이저 광원
25: 광변조 소자
28: 투사 광학계
73: 힌지부
74: 출사창
81: 제어부
92, 93: 상호접속 케이블
101: 연결 부재
102, 103: 제1 축부재
106: 제2 축부재
108, 111: 개구부

Claims (10)

  1. 전자장치에 내장되는 화상표시장치로서,
    각 색의 레이저광을 출사(出射)하는 레이저 광원유닛;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영상 신호에 근거하여 변조하는 광변조 소자;
    상기 광변조 소자에 의해 형성된 변조 레이저광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투사 광학계;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과 광변조 소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에서 인출되고 케이스로 삽입되도록 제공되는 가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체는 적어도 상기 투사 광학계를 구비하는 제1 유닛 및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화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스크린에 대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가 수직 방향으로 변화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화상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광원유닛 및 광변조 소자는 상기 투사광 학계와 함께 상기 제1 유닛에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유닛에 제공되거나, 상기 제2 유닛 및 상기 전자장치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양측에 별개로 제공되는
    화상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이고, 그 전자장치가 광디스크 장치로 대체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에 형성된 수용 스페이스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화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스크린상에서 화면의 경사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화상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2축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에 대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를 수직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제1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고, 상기 스크린상의 화면의 경사가 보정되는 방향으로 제2 회동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는
    화상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회동축을 따라 연장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축으로서의 축부재를 통해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1 유닛 및 제2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케이스 및 상기 연결 부재에는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을 연결하는 상호접속 케이블이 삽입되는 개구부가 각각 제공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2 회동축 주위의 연결 부재의 회동 범위 내에서 상기 상호접속 케이블의 삽입 영역이 항상 확보되도록 형성되는
    화상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이고, 그 전자장치가 광디스크 장치로 대체될 수 있도록 상기 휴대용 정보처리장치의 케이스 내에 형성된 수용 스페이스에 수용되게 이루어지는
    화상표시장치.
  9. 스크린상에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광학계를 수납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광학계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수납하고,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 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스크린에 대한 레이저광의 투사 각도를 수직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화상표시장치.
  10. 스크린상에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광학계를 수납하는 제1 유닛; 및
    상기 광학계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을 수납하고,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유닛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 유닛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는 스크린상의 화면의 경사를 보정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유닛을 회동시키는
    화상표시장치.
KR1020110105465A 2010-10-15 2011-10-14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KR20120039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32211A JP4865903B1 (ja) 2010-10-15 2010-10-15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JP-P-2010-232210 2010-10-15
JPJP-P-2010-232211 2010-10-15
JP2010232210A JP4865902B1 (ja) 2010-10-15 2010-10-15 携帯型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495A true KR20120039495A (ko) 2012-04-25

Family

ID=4500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5465A KR20120039495A (ko) 2010-10-15 2011-10-14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40379B2 (ko)
EP (1) EP2442572A3 (ko)
KR (1) KR20120039495A (ko)
CN (1) CN102568362A (ko)
TW (1) TW2012159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1639B2 (ja) 2011-03-11 2014-07-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8955981B2 (en) * 2011-04-01 2015-02-17 Seiko Epson Corporation Projector, projection unit, and interactive board
TW201351016A (zh) * 2012-06-08 2013-12-16 Hon Hai Prec Ind Co Ltd 投影裝置
US8971031B2 (en)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ITTO20120756A1 (it) * 2012-08-31 2014-03-01 St Microelectronics Srl Dispositivo pico-proiettore stabilizzato e relativo metodo di stabilizzazione di immagine
US20160156887A1 (en) 2014-05-27 2016-06-02 Mediatek Inc. Projection processor for projective display system
CN207264084U (zh) * 2017-08-04 2018-04-20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及具有投影装置的电子装置
CN109946909B (zh) * 2017-12-21 2022-10-04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CN109946835B (zh) * 2017-12-21 2022-04-2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3596B1 (en) 1994-05-18 2000-08-30 Sharp Kabushiki Kaisha Card type camera with image processing function
JP4320091B2 (ja) 1999-08-31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拡張ユニット及び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7044605B2 (en) * 2001-12-26 2006-05-16 Infocus Corporation Image-rendering device
JP4228854B2 (ja) * 2003-09-18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WO2006030862A1 (ja) * 2004-09-17 2006-03-23 Nikon Corporation 電子機器
JP4254672B2 (ja) * 2004-09-21 2009-04-15 株式会社ニコン 携帯型情報機器
US7641348B2 (en) * 2006-01-31 2010-01-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grated portable computer projector system
DE102007015513B4 (de) * 2006-03-30 2015-06-03 Citizen Electronics Co., Ltd. Mobiltelefon
JP4304523B2 (ja) 2006-05-26 2009-07-29 ソニー株式会社 反射型液晶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再生装置
JP4229161B2 (ja) * 2006-09-25 2009-02-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用スクリーンとプロジェクタ
US20080136973A1 (en) 2006-12-08 2008-06-12 Ellis Park Portable projector system
JP4908265B2 (ja) * 2007-03-01 2012-04-04 京セラ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投射方法、投射プログラム
TWI369573B (en) 2008-04-09 2012-08-0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jection function
TWI369572B (en) 2008-04-09 2012-08-01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jection function
TW200942952A (en) 2008-04-09 2009-10-16 Compal Electronics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projection function
TW201001125A (en) 2008-06-18 2010-01-01 Micro Star Int Co Ltd Computer with projection device
KR101587085B1 (ko) * 2008-08-04 2016-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DE202008013769U1 (de) 2008-11-11 2009-04-09 Hannstar Display Corporation Tragbarer Computer mit Projektionsmöglichkeit
JP5444963B2 (ja) * 2008-11-26 2014-03-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10232210A (ja) 2009-03-25 2010-10-14 Denso Corp 発光ダイオードおよびその取付方法
WO2011021352A1 (ja) * 2009-08-19 2011-0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を備える情報処理装置
US20120057136A1 (en) 2010-09-02 2012-03-08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68362A (zh) 2012-07-11
EP2442572A2 (en) 2012-04-18
US20120092567A1 (en) 2012-04-19
TW201215990A (en) 2012-04-16
US8540379B2 (en) 2013-09-24
EP2442572A3 (en)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9495A (ko)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US869035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20039496A (ko) 화상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EP2477070A1 (en) Image projection device using laser light sources
US882746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same
JP4669578B1 (ja) 画像表示装置
JP5059236B2 (ja) 画像表示装置
JP4865902B1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4817274B1 (ja) 画像表示装置
US884025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955121B2 (ja) 画像表示装置
JP4865903B1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4945007B2 (ja) 画像表示装置
JP4691613B1 (ja) 画像表示装置
JP4719306B1 (ja) 画像表示装置
JP4669577B1 (ja) 画像表示装置
JP5613626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12191478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4786766B1 (ja) 画像表示装置
JP2013009021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4880790B1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
JP2013083735A (ja) 画像表示装置
JP2012191032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型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