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778A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778A
KR20120038778A KR1020100100418A KR20100100418A KR20120038778A KR 20120038778 A KR20120038778 A KR 20120038778A KR 1020100100418 A KR1020100100418 A KR 1020100100418A KR 20100100418 A KR20100100418 A KR 20100100418A KR 20120038778 A KR20120038778 A KR 20120038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input
output device
air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492B1 (ko
Inventor
이지선
박정민
김종욱
은유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492B1/ko
Priority to CN201110091031.9A priority patent/CN102455043B/zh
Publication of KR20120038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상태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기; 및 상기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 및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Air Conditioner and input-output unit thereof}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상태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실내로 냉온의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 온도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함으로서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되어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되어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동작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에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감성적인 유저 인터페이스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공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목표 공기 상태를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제공하거나 수정 또는 추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기; 및 상기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 및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는,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 영역; 상기 복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상기 복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는 모드 수정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모드에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는 모드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목표 공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등 다양한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목표값을 각각 설정한 복수의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한번에 여러가지의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사용자가 복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를 선택하여 선택된 특정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 가능한 장점도 있다.
넷째, 사용자가 복수의 모드에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설정 가능한 장점도 있다.
다섯째, 복수의 모드를 계절별, 월별, 사용자별, 장소별 및 지역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사용자가 간편하게 공기 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수정 화면 또는 모드 추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수정 화면 또는 모드 추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기(200)와,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실내기(100)를 포함한다.
실외기(200)는 냉매를 압축하며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한다. 실외기(200)는 실내기(100)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실외기(200)는 실내기(100)의 요구 또는 외부의 제어명령에 대응하여, 냉방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동작된다.
이를 위해, 실외기(20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미도시)와,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미도시)와, 실외 열교환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실외 공기를 유동하여 냉매의 열교환을 촉진시키는 실외팬(미도시)과, 냉매를 팽창하는 실외 팽창밸브(미도시)와, 압축된 냉매의 유로를 바꾸는 절환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기(200)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미도시), 온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00)는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한다. 실내기(100)는 실외기(200)와 냉매가 유동되도록 연결된다. 실내기(100)는 냉방 또는 난방 운전 모드로 동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00)는, 각종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입출력장치(110)와, 입출력장치(11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장치(120)와, 공조장치(120) 및 입출력장치(11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입출력장치(110)는,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와,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또는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입출력장치(110)는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장치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인 경우이다. 입출력장치(110)는 사용자가 그래픽을 통해 상태 정보를 보며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입출력장치(110)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공조장치(120)는,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조절하는 실내 열교환기(121)와, 냉매를 팽창시키는 실내 팽창밸브(122)와, 실내 공기의 미세 먼지나 세균, 냄새를 제거하여 정화하는 공기청정기(123)와, 실내 열교환기(121)에서 실내 공기가 냉매가 열교환되도록 실내 공기를 송풍하며 실내기(100)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는 실내팬(124)과, 실내 공기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12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공조장치(120)는 제습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공조장치(120)의 상태 정보를 출력하여 입출력장치(110)에 표시하거나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공조장치(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30)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고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에 따라 공조장치(120)를 제어한다.
저장부(140)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저장부(140)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저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선택 화면은,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 영역(1010)과, 복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1011)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모드 설명 영역(1090)과, 특정 모드(1011)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1031)과, 특정 모드(1011)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는 모드 수정 버튼(1032)과, 복수의 모드에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는 모드 추가 버튼(1034)을 포함한다.
제어부(130)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의 모드를 호출하여 입출력장치(110)에 상술한 모드 선택 화면을 출력하면, 입출력장치(110)는 상술한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한다.
모드 표시 영역(1010)에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가 슬라이드 형태로 표시된다.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이다. 각각의 모드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목표값으로 설정된다.
복수의 모드는 계절별, 월별, 사용자별, 장소별 및 지역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된다. 계절별로 분류되는 경우 각각의 모드는 봄철, 여름철, 장마철, 가을철, 겨울철, 우기, 건기 등의 명칭으로 분류되어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른 목표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지역별로 분류되는 경우 고온 다습 지역, 저온 건조 지역 등의 명칭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복수의 모드가 장소별로 분류되는 경우 산들바람 대나무 숲, 피톤치드 휴양림, 초록산소 녹차밭 등의 명칭으로 분류되어 해당 장소의 느낌이 나도록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드는 모드 표시 영역(1010)에 월별로 분류되어 표시되는 경우이다. 입출력장치(110)는 복수의 모드에 대한 분류 기준을 변경 할 수 있는 분류 설정 버튼(1033)이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이미지 심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단에 모드의 명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드가 월별로 분류되는 경우 해당 월을 나타내는 이미지 심볼이 표시되며 상단에는 해당 월명이 표시된다.
모드 표시 영역(1010)에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가 다른 모드들과 구분되어 맨 앞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모드 표시 영역(1010)을 손으로 드래그(drag)하거나 모드 변경 버튼(1020)을 눌러서 다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모드 설명 영역(1090)에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에 대한 설명이 표시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특정 모드(1011)가 11월인 경우 "11월은 한랭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시기입니다"라는 설명이 표시된다.
모드 선택 버튼(1031)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를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 버튼(1031)을 누른 경우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저장된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호출하여 이에 따라 공조장치(120)를 제어하고, 공조장치(120)는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조절한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선택된 모드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각각의 목표값을 호출하여 호출된 목표값으로 실내 팽창밸브(122), 공기청정기(123), 실내기(100), 실내팬(124) 및 산소 발생기(12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실시예에 따라 모드 선택 버튼(1031)은 따로 존재하지 않고,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모드 수정 버튼(1032)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모드(1011)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수정 버튼(1032)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모드(1011)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모드 수정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한다. 모드 수정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모드 추가 버튼(1034)은 사용자가 새로운 모드들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추가 버튼(1034)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새로운 모드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모드 추가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한다. 모드 추가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수정 화면 또는 모드 추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수정 화면 또는 모드 추가 화면은,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 영역(1010)과,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하는 상태 인자 표시 영역(1040)과,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영역(1050)과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설정된 목표값을 표시하는 목표값 표시 영역(1060)과,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모드 설명 영역(1090)과, 수정 또는 추가하는 특정 모드(1011)를 저장하는 저장 버튼(1037)과, 수정 또는 추가를 취소하는 취소 버튼(1038)을 포함한다.
제어부(130)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특정 모드(1011)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호출하여 입출력장치(110)에 상술한 모드 수정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면, 입출력장치(110)는 상술한 모드 수정 화면을 표시한다. 또는, 제어부(130)가 입출력장치(110)에 상술한 모드 추가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면, 입출력장치(110)는 상술한 모드 추가 화면을 표시한다.
모드 표시 영역(1010)은 현재 수정 중인 모드를 표시하거나, 현재 추가되는 모드를 표시한다. 모드 표시 영역(1010)에는 수정 또는 추가되는 모드의 이미지 심볼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단에 모드의 명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수정 화면인 경우 모드의 이미지 심볼 및 명칭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추가 화면인 경우 모드의 이미지 심볼 및 명칭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드의 이미지 심볼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변경 또는 삽입 가능한 이미지 심볼이 입출력장치(11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모드의 명칭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명칭을 수정하거나 작성할 수 있도록 입출력장치(110)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모드 표시 영역(1010)에는 사용자가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가 다른 모드들과 구분되어 맨 앞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모드 표시 영역(1010)을 손으로 드래그(drag)하거나 모드 변경 버튼(1020)을 눌러서 다른 모드를 수정할 수 있다.
모드 설명 영역(1090)은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여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 설명 영역(1090)을 터치하면 설명을 수정하거나 작성할 수 있도록 입출력장치(110)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태 인자 표시 영역(1040)에는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한다.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이며, 각각의 인자는 아이콘 또는 명칭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인자 표시 영역(1040)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목표값 설정 영역(1050)에는 사용자가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 각각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바, (+)(-)버튼, 목표값 입력란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바인 경우이다. 사용자는 슬라이드바를 드래그하여 목표값을 변경할 수 있다.
목표값 표시 영역(1060)에는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 각각에 대한 현재 설정된 목표값이 표시된다. 초기 상태에서 목표값 표시 영역(1060)에 표시되는 목표값은, 모드 수정 화면인 경우 수정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10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목표값이며, 모드 추가 화면인 경우 미리 정의된 기본값이다. 사용자가 목표값 설정 영역(1050)에서 목표값을 변경하면 변경되는 목표값이 목표값 표시 영역(1060)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목표값 표시 영역(1060)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의 목표값이 표시되며, 해당 인자를 자동 모드로 설정한 경우 자동 모드임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 버튼(1037)은 수정 또는 추가하는 특정 모드(1011)를 저장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저장 버튼(1037)을 누르면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해당 모드를 저장한다.
취소 버튼(1038) 특정 모드(1011)의 수정 또는 추가를 취소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취소 버튼(1038)을 누르면 제어부(130)는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모드 선택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여, 입출력장치(110)는 모드 선택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선택 화면은,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 영역(2020)과,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는 모드 추가 버튼(2034)을 포함한다.
모드 표시 영역(2020)에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가 나선 형태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모드는 장소별로 분류되어 표시되는 경우이다. 각각의 모드는 이미지 심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단에 모드의 명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표시 영역(2010)에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2011)가 다른 모드들과 구분되어 맨 앞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는 모드 표시 영역(2010)을 손으로 드래그(drag)하여 다른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드 표시 영역(2010)에서 특정 모드(2011)를 터치하는 경우 해당 모드가 선택되어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모드(2011)의 목표 공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모드 표시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고, 입출력장치(110)는 모드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모드 표시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모드 추가 버튼(2034)은 사용자가 새로운 모드들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추가 버튼(2034)은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추가 버튼(2034)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새로운 모드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모드 추가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한다. 모드 추가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표시 화면은, 모드 선택 화면에서 선택된 특정 모드(2011)와, 특정 모드(2011)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모드 설명 영역(2090)과, 특정 모드(2011)의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하는 상태 인자 표시 영역(2040)과, 특정 모드(2011)의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설정된 목표값을 표시하는 목표값 표시 영역(2060)과, 특정 모드(2011)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2031)과, 특정 모드(2011)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는 모드 수정 버튼(2032)을 포함한다.
제어부(130)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특정 모드(2011)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호출하여 입출력장치(110)에 상술한 모드 표시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면, 입출력장치(110)는 상술한 모드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특정 모드(2011)에는 사용자가 모드 선택 화면에서 선택한 특정 모드(2011)의 이미지 심볼 및 명칭이 표시된다. 모드 설명 영역(2090)에는 특정 모드(2011)에 대한 설명이 표시된다.
상태 인자 표시 영역(2040)에는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한다.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이며, 각각의 인자는 아이콘 또는 명칭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인자 표시 영역(2040)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목표값 표시 영역(2060)에는 특정 모드(2011)에 대하여 설정된 목표 공기 상태 각각에 대한 목표값이 표시된다. 목표값 표시 영역(2060)에 표시되는 목표값은 특정 모드(20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목표값이다.
모드 선택 버튼(2031)은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2011)를 선택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 버튼(2011)을 누른 경우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모드(2011)의 목표 공기 상태에 따라 공조장치(120)를 제어한다.
모드 수정 버튼(2032)은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모드(2011)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모드 수정 버튼(2032)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특정 모드(2011)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수정할 수 있도록 모드 수정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한다. 모드 수정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입출력장치에 표시되는 모드 수정 화면 또는 모드 추가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수정 화면 또는 모드 추가 화면은,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2011)와,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하는 상태 인자 표시 영역(2040)과,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영역(2050)과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현재 설정된 목표값을 표시하는 목표값 표시 영역(2060)과,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2011)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는 모드 설명 영역(2090)과, 수정 또는 추가하는 특정 모드(2011)를 저장하는 저장 버튼(2037)과, 수정 또는 추가를 취소하는 취소 버튼(2038)을 포함한다.
제어부(130)가 저장부(140)에 저장된 특정 모드(2011)의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목표값을 호출하여 입출력장치(110)에 상술한 모드 수정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면, 입출력장치(110)는 상술한 모드 수정 화면을 표시한다. 또는, 제어부(130)가 입출력장치(110)에 상술한 모드 추가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면, 입출력장치(110)는 상술한 모드 추가 화면을 표시한다.
특정 모드(2011)에는 현재 수정 중인 모드를 표시하거나, 현재 추가되는 모드를 표시한다. 특정 모드(2011)에는 수정 또는 추가되는 모드의 이미지 심볼이 표시될 수 있으며 상단에 모드의 명칭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수정 화면인 경우 모드의 이미지 심볼 및 명칭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드 추가 화면인 경우 모드의 이미지 심볼 및 명칭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추가할 수 있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모드의 이미지 심볼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변경 또는 삽입 가능한 이미지 심볼이 입출력장치(110)에 표시될 수 있으며, 모드의 명칭을 사용자가 터치하면 명칭을 수정하거나 작성할 수 있도록 입출력장치(110)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모드 설명 영역(2090)은 수정 또는 추가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2011)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여 수정하거나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드 설명 영역(2090)을 터치하면 설명을 수정하거나 작성할 수 있도록 입출력장치(110)에 가상 키보드가 표시될 수 있다.
상태 인자 표시 영역(2040)에는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한다.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이며, 각각의 인자는 아이콘 또는 명칭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태 인자 표시 영역(2040)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가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목표값 설정 영역(2050)에는 사용자가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 각각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바, (+)(-)버튼, 목표값 입력란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바인 경우이다. 사용자는 슬라이드바를 드래그하여 목표값을 변경할 수 있다.
목표값 표시 영역(2060)에는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 각각에 대한 현재 설정된 목표값이 표시된다. 초기 상태에서 목표값 표시 영역(2060)에 표시되는 목표값은, 모드 수정 화면인 경우 수정하고자 하는 특정 모드(20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목표값이며, 모드 추가 화면인 경우 미리 정의된 기본값이다. 사용자가 목표값 설정 영역(2050)에서 목표값을 변경하면 변경되는 목표값이 목표값 표시 영역(2060)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목표값 표시 영역(2060)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의 목표값이 표시되며, 해당 인자를 자동 모드로 설정한 경우 자동 모드임이 표시될 수 있다.
저장 버튼(2037)은 수정 또는 추가하는 특정 모드(2011)를 저장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저장 버튼(2037)을 누르면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저장부(140)에 해당 모드를 저장한다.
취소 버튼(2038) 특정 모드(2011)의 수정 또는 추가를 취소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취소 버튼(2038)을 누르면 제어부(130)는 제어부(130)는 입출력장치(110)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모드 선택 화면을 입출력장치(110)로 출력하여, 입출력장치(110)는 모드 선택 화면 또는 모드 표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실내기 110: 입출력장치
120: 공조장치 121: 실내 열교환기
122: 실내 팽창밸브 123: 공기청정기
124: 실내팬 125: 산소 발생기
130: 제어부 140: 저장부
200: 실외기 1010: 모드 표시 영역
1020: 모드 변경 버튼 1011: 특정 모드
1031: 모드 선택 버튼 1032: 모드 수정 버튼
1033: 분류 설정 버튼 1334: 모드 추가 버튼
1037: 저장 버튼 1038: 취소 버튼
1040: 상태 인자 표시 영역 1050: 목표값 설정 영역
1060: 목표값 표시 영역 1090: 모드 설명 영역

Claims (13)

  1. 냉매를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기; 및
    상기 냉매를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여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실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기는,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입출력장치; 및
    상기 입출력장치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에 따라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복수의 모드 중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는 모드 수정 버튼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모드 수정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도록 모드 수정 화면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수정 화면은,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하는 상태 인자 표시 영역;
    상기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영역; 및
    상기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설정된 목표값을 표시하는 목표값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복수의 모드에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는 모드 추가 버튼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모드 추가 버튼이 선택된 경우 새로운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모드 추가 화면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추가 화면은,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를 표시하는 상태 인자 표시 영역;
    상기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목표값을 설정하는 목표값 설정 영역; 및
    상기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에 대한 설정된 목표값을 표시하는 목표값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추가되는 새로운 모드의 이미지 심벌 또는 명칭을 추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공기 상태의 인자는 온도, 습도, 풍량, 산소량 및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인 공기조화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장치는 상기 복수의 모드의 각 모드를 이미지 심볼로 표시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드는 계절별, 월별, 사용자별, 장소별 및 지역별 중 적어도 하나의 기준으로 분류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인 공기조화기.
  13. 실내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출력하며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에 있어서,
    목표 공기 상태가 각각 설정된 복수의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 표시 영역;
    상기 복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버튼;
    상기 복수의 모드 중 특정 모드의 목표 공기 상태를 수정할 수 있는 모드 수정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모드에 새로운 모드를 추가할 수 있는 모드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KR1020100100418A 2010-10-14 2010-10-1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KR101720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418A KR101720492B1 (ko) 2010-10-14 2010-10-1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CN201110091031.9A CN102455043B (zh) 2010-10-14 2011-04-08 空气调节器以及空气调节器的输入输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418A KR101720492B1 (ko) 2010-10-14 2010-10-1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778A true KR20120038778A (ko) 2012-04-24
KR101720492B1 KR101720492B1 (ko) 2017-03-28

Family

ID=46038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418A KR101720492B1 (ko) 2010-10-14 2010-10-14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0492B1 (ko)
CN (1) CN1024550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42274B (zh) * 2013-09-24 2017-02-01 观致汽车有限公司 一种车辆空调状态显示控制方法及装置
CN104214897B (zh) * 2014-08-27 2017-03-08 上海加冷松芝汽车空调股份有限公司 彩屏通用菜单式功能选择空调控制器
CN109916020A (zh) * 2017-12-13 2019-06-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16013A (zh) * 2017-12-13 2019-06-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调节器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43317A (zh) * 2022-01-28 2022-05-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场景模拟的方法及装置、空调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291A (ko) * 2006-02-07 200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KR20090024463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리모트 컨트롤러
KR20090046225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66811A (ko) * 2007-12-20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턴화된 스케줄에 의한 에어컨의 자동 운전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63859Y (zh) * 2003-09-28 2004-12-15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可实现用户自定义运行模式的空调器
KR20070088834A (ko) * 2006-02-27 2007-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표시방법
CN101245936A (zh) * 2008-03-21 2008-08-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控制方法
CN102022803A (zh) * 2010-12-14 2011-04-20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适应多种场合的空调器自动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0291A (ko) * 2006-02-07 2007-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공기조화기에서의 화면 표시 방법
KR20090024463A (ko) * 2007-09-04 2009-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리모트 컨트롤러
KR20090046225A (ko) * 2007-11-05 2009-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66811A (ko) * 2007-12-20 2009-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패턴화된 스케줄에 의한 에어컨의 자동 운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55043A (zh) 2012-05-16
CN102455043B (zh) 2014-10-15
KR101720492B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787B1 (ko) 히트 펌프 시스템의 리모트 컨트롤 장치
US926129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n energy recovery ventilator (ERV)
KR20090000248A (ko) 에어컨의 통합관리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20038778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CN201764627U (zh) 一种新型房间空调的温度控制电路
US9732975B2 (en) Air-conditioning system
JP2014214935A (ja) 端末装置および空調ユニット
CN108332373A (zh) 一种室内环境状态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空调
JP2007192515A (ja) 空気調和装置
CN105805886A (zh) 空调控制终端及空调系统
US20190383512A1 (en) Seasonal airflow control system
JP2015017753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2009008074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6793580B2 (ja) 空調管理装置及び空調管理方法
WO2016001975A1 (ja) 空調システム
US20130151017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separate programming and manual mode scree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063555B2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er interface having seasonal program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201764626U (zh) 一种新型空调遥控器
JP2014115002A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JP605340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140054718A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S5952330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回路
KR100715996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6075462A (ja) 温調システム
KR20140113792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