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4622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46225A
KR20090046225A KR1020070112235A KR20070112235A KR20090046225A KR 20090046225 A KR20090046225 A KR 20090046225A KR 1020070112235 A KR1020070112235 A KR 1020070112235A KR 20070112235 A KR20070112235 A KR 20070112235A KR 20090046225 A KR20090046225 A KR 20090046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hedule
group
unit
remote controll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2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6284B1 (ko
Inventor
노권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2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62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6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6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6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을 스케줄 그룹과 관리그룹으로 구분하여 제어하고,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하여 스케줄 데이터를 적용함으로서,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이 스케줄 데이터에 근거하여 스케줄이 설정되도록 하여,공기조화기의 유닛 관리 및 제어가 쉽고, 스케줄 설정 및 변경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원격제어기, 스케줄, 스케줄그룹, 스케줄패턴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을 스케줄 그룹과 관리그룹으로 구분하여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단위로 동작을 제어하고 스케줄을 설정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방, 난방, 공기정화를 위해 구비되어, 실내로 냉, 온의 공기를 토출하고, 실내 공기를 정화하여 인간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로 구성된 실내기와, 압축기 및 열교환기 등으로 구성된 실외기로 분리되어 제어되며, 압축기 또는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서 동작된다.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실외기에 적어도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되는 실내기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실외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어, 요청되는 운전 상태에 따라, 실내기로 냉매를 공급하여, 냉방 또는 난방모드로 운전된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원격지에서 복수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원격제어기는 복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경우, 개별 실내기 단위, 또는 실외기에 연결된 실내기 단위로만 제어 가능하여 편의성이 낮고, 실내기에 대한 시간을 개별 입력하여 스케줄을 설정하고, 특히 동일한 스케줄이라도 사용자가 개별 입력해야하므로 스케줄 제어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단위로 복수의 유닛을 제어하고, 스케줄데이터를 이용하여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단위로 스케쥴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그룹과 상이하게, 상기 복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동일한 스케줄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스케줄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을 연결된 실외기 단위로 분류한 관리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상기 관리그룹 단위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상기 관리그룹의 수가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수를 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유닛을 스케줄 그룹과 관리그룹으로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서, 제어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유닛의 동작을 패턴화 하여 스케줄데이터를 생성하여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단위로 포함되는 유닛의 스케줄을 설정함으로서 스케줄 설정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됨으로서, 복수의 유닛에 대한 제어 및 관리에 따른 효율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I, I11 내지 I14, I21,I22))와, 실내기(I)와 연결되며 압축기 및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실외기(O1,O2)와, 실내기(I) 및 실외기(O1,O2)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고 제어하는 원격제어기(RC)를 포함한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 연결되어 연결된 실내기의 동작상태를 출력하고, 동작을 제어하는 로컬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기(I) 및 실외기(O1,O2) 이외에도 실내 공기를 실외로 토출하고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환기장치, 가습공기를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장치, 실내 공기의 를 정화하여 오염을 제거하는 공기청정장치,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같은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유닛은 원격제어기(RC)를 통해 제어된다.
실외기(O1,O2)와 실내기(I)는 냉매배관을 통해 연결되어, 실외기(O1,O2)와 실내기(I) 간의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매의 흐름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운전을 수행하며,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실외기(O1,O2)는 냉매를 공급받아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하는 실외 열교환기, 공급되는 냉매로부터 기체 냉매를 추출하여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 난방운전에 따른 냉매의 유로를 선택하는 사방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고압 압력센서, 압축기로 공급되는 냉매의 압력을 측정하는 저압 압력센서를 포함하며, 그 외 다수의 센서, 밸브 및 오일회수기 등을 더 포함한다.
실내기(I)는 실내 열교환기, 실내기팬, 실외기로부터 공급되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밸브, 복수의 온도센서를 포함한다.
이하, 각 유닛의 개별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원격제어기(RC)는 실내기(I) 및 실외기(O1,O2)와 소정의 통신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실내기(I) 및 실외기(O1,O2)의 동작상태를 수신하여 출력함으로서 모니터링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실내기(I) 및 실외기(O1,O2)로 전송함으로서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원격제어기는 환기장치, 가습장치, 공기청정장치, 히터 와 같은 유닛과 소정의 통신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서, 동작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한다.
이때, 원격제어기(RC)는 복수의 실내기(I11 내지 I14, I21, I22)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유닛에 대하여,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 그룹을 생성하고,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 그룹 단위로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원격제어기(RC)는 소정 시간 단위로 유닛의 동작을 패턴 화하여 스케줄로 설정되도록 하는 스케줄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스케줄 데이터는 사용자 의해 입력된 소정 유닛의 스케줄을 저장하는 데이터, 시, 일, 주, 월, 년 중 어느 하나의 시간단위로 소정 유닛이 동작되도록 설정된 스케줄 패턴을 포함한다.
원격제어기(RC)는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단위로 스케줄 데이터를 설정하여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포함되는 유닛의 소정 스케줄에 따라 동작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관리그룹은 실제 연결된 유닛과의 관계 또는 설치된 위치에 따라 설정되는 것으로서, 원격제어기(RC)에서 연결된 유닛을 탐색하여 등록하는 경우 자동 등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관리그룹에 포함된 유닛을 일부 삭제 할 수 있다.
또한, 관리그룹은 실내기, 실외기, 환기장치, 공기청정장치와 같은 유닛에 대하여, 유닛(UNIT), 그룹(GROUP), 존(ZONE)으로 구분되어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은 유닛의 집합이고, 존은 그룹의 집합이다. 즉, 제1 및 제2 실내기가 제1 실외기에 연결되는 경우 제1 및 제2 실내기는 제1 실외기에 대한 제1 그룹에 포함된다. 단, 존의 경우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 그룹의 집합으로 설정 가능하며, 그에 대하여 편집 및 삭제가 가능하고, 그룹의 경우에도 동작 불가능한 유닛과 같이 경우에 따라 소정 유닛을 삭제 할 수 있다.
이때, 관리그룹의 수는 총 유닛의 수를 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실내기가 제1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제 2 그룹에는 포함될 수 없고, 제 1 그룹이 제 1존에 포함되는 경우 다른 존에는 포함될 수 없다. 또한, 스케줄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유닛이 동일한 스케줄로 동작되도록 하는 유닛의 집합으로서, 실제 유닛의 위치 또는 연결되는 장치, 예를 들어 실내기의 경우 연결되는 실외기, 에 관계없이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의 유닛의 집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스케줄 그룹은 관리그룹을 바탕으로 관리그룹 단위로 스케줄 그룹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그룹 중 제1그룹과 제2 그룹, 제5유닛이 제1 스케줄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제1존, 제3 실내기가 제 2 스케줄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단, 스케줄 그룹의 수는 총 유닛의 수를 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실내기가 제1 스케줄 그룹에 포함되는 경우, 제 1 실내기는 다른 스케줄 그룹에 포함되지 않는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RC)는 입력부(40), 표시부(50), 제어부(10), 데이터부(20), 통신부(30)를 포함한다.
입력부(4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10)로 인가하며, 적어도 하나의 버튼 또는 터치입력수단을 포함한다.
표시부(50)는 화면에 이미지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 및 그 외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를 화면에 출력한다. 이 때, 공기조화기는 표시부(50)이외에도 소정의 효과음, 경고음, 음악,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출력하는 스피커, 점등되거나 점멸되어 상태를 출력하는 램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데이터부(20)는 실내기(I) 또는 실외기(O)실내기(I), 실외기(O), 환기장치, 가습장치, 공기청정장치와 같은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설정값이 제어데이터로서 저장된다. 이때, 데이터부(20)는 원격제어기의 제어프로램에 따른 제어 데이터, 실내기 및 실외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주소데이터가 저장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 소정의 동작시 발생되는 처리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부(20)는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닛에 대하여, 설정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의 정보를 저장하고,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설정된 스케줄정보가 저장된다.
통신부(3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실내기 또는 실외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인터넷을 통해 외부 접속을 처리한다. 또한, 환기 유닛 또는 공기청정유닛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제어부(10)의 제어명령을 전송하고, 각 유닛의 동작상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통신부(30)는 실내기 또는 실외기, 환기유닛 또는 공기청정유닛, 외부접속을 통한 데이터 통신 시, 각각 상이한 통신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이한 통신방식 간에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통신부(3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입력부(30), 표시부(50)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원격제어기(RC)가 소정의 메뉴를 출력하거나, 소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통신부(30)를 통해 전송되도록 함으로서 실내기 또는 실외기, 환기유닛 또는 공기청정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고, 각각의 동작상태가 표시부(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여, 복수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유닛을 포함하는 스케줄 그룹을 생성하고, 기 생성된 스케줄 그룹을 편집하거나 삭제한다. 이때, 생성된 스케줄 그룹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부(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소정 시간영역 내에서 시간, 일, 주, 월, 년 단위로 유닛의 동작을 설정하여 패턴화 하는 스케줄 패턴 또는 수동 입력된 스케줄 정보를 스케줄 데이터로서 생성하고, 데이터부(20)에 저장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상기와 같이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적어도 하나의 스케줄데이터를 적용함으로서 각 그룹에 포함되는 유닛의 스케줄을 설정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입력부(40)를 통해 스케줄메뉴가 호출되는 경우,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 별로 스케줄 데이터를 적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스케줄메뉴가 표시부(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을 편집하는 메뉴를 제공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케줄 그룹이 신규생성되거나, 삭제되고, 또는 편집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3 은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제어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RC)는 연결된 유닛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표시부(50)의 화면에 출력되도록 하고, 각 유닛에 대한 동작상태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때, 원격제어기(RC)의 제어부(10)는 도3의 (a)와 같은 제어화면에서 연결된 각 유닛에 대한 정보가 관리 그룹단위로 표시되도록 한다.
원격제어기(RC)의 제어화면은 상단에 복수의 제어메뉴항목(D05)이 표시되고, 보여지는 관리그룹이 유닛, 그룹, 존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상위(UP)버튼(유11), 하위(DOWN)버튼(DB12)를 포함한다. 또한, 그 하단에는 현재 선택된 관리그룹의 단위에 따라 각 관리그룹에 대응되는 아이콘(DZ01)의 목록(D10)이 화면에 표시된다. 그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면 해당 관리그룹에 대한 상태 및 설정데이터를 포함하는 상태정보메뉴(D40)가 화면의 어느 일측에 표시된다. 이때, 상태정보메뉴(D40)와 함께, 선택된 관리그룹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메뉴(D30)가 함께 표시된다. 즉, 어느 하나의 존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예를 들어 '존1' 에 대한 아이콘(DZ01)이 선택되면 존1에 대한 상태정보가 표시되고, 그에 따른 제어메뉴가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원격제어기(RC)는 존 단위의 관리그룹이 표시되는 상태에서 입력부(40)에 의해 하위버튼(DB12)이 1회 조작되는 경우, 제어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목록은 존에서, 존에 포함되는 그룹으로 변경되어, 표시되는 관리그룹의 단위가 가변된다. 또한, 2회 조작된 경우에는 도3의 (b)와 같이, 존에서 유닛단위로 아이콘이 표시된다. 상위버튼(DB11)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유닛에서 그룹으로, 그룹에서 존으로 표시되는 관리그룹의 단위가 가변된다.
도 4 는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줄편집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원격제어기(RC)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케줄편집화면이 표시부(5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스케줄편집화면은 일측에 그룹메뉴(DS10)가 표시되고, 또 다른 일측에 유닛에 대한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메뉴(DS30)가 표시되며,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이 복수의 시간영역으로 구분되어 스케줄정보메뉴(DS20)에 표시된다.
그룹메뉴(DS10)에는 스케줄그룹과 관리그룹을 선택하는 선택탭(DS12, DS13)이 구비되고, 선택된 탭에 따라 스케줄그룹의 목록(DS11) 또는 관리그룹의 목록이 표시된다. 또한, 각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하여 편집메뉴를 제공하는 편집버튼(DS15), 신규 스케줄그룹을 추가 가능하도록 하는 추가버튼(DS14)이 포함된다.
표시되는 복수의 스케줄 그룹 중 '음악실' 스케줄 그룹이 선택되면, '음악실' 스케줄 그룹에 설정되어 있는 스케줄이 스케줄정보메뉴(DS20)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메뉴(DS30)의 조작을 통해 선택된 스케줄 그룹'음악실'에 대한 제어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어메뉴(DS30)는 유닛의 종류에 따라 제어메뉴가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그룹메뉴(DS10)에서 관리그룹의 선택탭(DS12)가 선택되면, 관리그룹 목록(DS16)이 표시되고,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관리 그룹에 대한 스케줄이 스케줄정보메뉴(DS20)에 표시된다. 관리그룹 중 '실내기1'이 선택되 면, 실내기1에 설정된 모든 스케줄이 스케줄정보메뉴(DS20)에 표시된다.
도 5 는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줄메뉴 화면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제어기(RC)는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하여 스케줄을 설정하도록 스케줄메뉴화면을 표시부(50)의 화면에 표시한다.
스케줄메뉴화면의 제1실시예는 화면의 일측에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이 표시되는 그룹선택메뉴(D50)가 출력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스케줄패턴메뉴(D60)가 표시된다. 또한, 설정된 스케줄을 수동 편집 하는 편집메뉴(D90)와, 스케줄패턴메뉴(D60) 중 선택된 스케줄 패턴에 대한 적용기간을 설정하는 기간설정메뉴(D80)가 표시되며, 스케줄 패턴, 구간설정, 수동편집에 의해 설정된 스케줄이 스케줄정보메뉴(D70)에 표시된다. 이때, 스케줄정보메뉴(D70)는 소정 시간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그룹선택메뉴(D50)에서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스케줄패턴메뉴(D60) 중 어느 하나의 스케줄패턴이 선택되면, 스케줄정보메뉴(D70)에는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선택된 스케줄패턴이 적용되어 표시된다. 이때, 선택된 스케줄패턴에 대하여, 기간설정메뉴(D80)를 통해 기간이 선택되면, 스케줄패턴은 설정된 기간 범위 내에서 반복하여 표시된다. 이렇게 설정된 스케줄은 편집메뉴를 통해 편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케줄그룹 중 사무실그룹에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의 스케줄을 포함하는 '평일일반' 스케줄패턴이 적용되는 경우, 그에 따른 월요일부터 금요일까 지의 스케줄이 스케줄정보메뉴(D70)에 표시된다. 선택된 '평일일반' 스케줄 패턴에 대하여 기간이 07-08-10부터 07-12-31로 설정되면, 스케줄그룹 '사무실'의 스케줄은 07-08-10부터 07-12-31까지 매주 '평일일반'의 스케줄패턴이 적용되어 반복적인 스케줄이 설정된다.
이때, 편집메뉴(D90)를 통해 07-08-10부터 07-12-31의 기간 중 소정의 어느 날에 대해 다른 스케줄을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6 은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줄메뉴 화면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스케줄메뉴화면의 제2실시예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일측에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이 표시되는 그룹선택메뉴(DS50)가 출력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스케줄패턴메뉴(DS70)가 표시된다. 또한, 설정된 스케줄이 표시되는 스케줄정보메뉴(D70)가 구비된다. 이때, 스케줄정보메뉴(D70)는 소정 시간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된다.
그룹선택메뉴(DS50)에는 스케줄그룹과 관리그룹을 선택하는 선택탭(DS12, DS13)이 구비되고, 선택된 탭에 따라 스케줄그룹의 목록 또는 관리그룹의 목록이 표시된다. 또한, 각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하여 편집메뉴를 제공하는 편집버튼(DS15), 신규 스케줄그룹을 추가 가능하도록 하는 추가버튼(DS14)이 포함된다.
또한, 스케줄메뉴화면에는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을 선택하여 스케줄을 설정하는 그룹추가버튼(DB01), 설정된 스케줄에 대해 포함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이 제외되도록 하는 그룹제외버튼(DB02)이 구비되고, 스케줄패턴추가버 튼(DB04), 스케줄패턴제외버튼(DB03)을 포함한다.
스케줄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입력부(40)의 조작을 통해 그룹추가버튼(DB01)이 조작되면, 제어부(10)는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한 추가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 스케줄이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적용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이 추가되는 경우 모든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현재 설정된 스케줄이 적용된다. 이때,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그룹제외버튼(DB02)가 입력되며, 제어부(10)는 그룹제외명령을 입력받아,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을 현재 설정된 스케줄에서 제외되도록 한다.
또한, 스케줄패턴에 대해서는 스케줄패턴추가버튼(DB04)입력 시 선택된 스케줄 패턴이 추가 적용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스케줄 패턴 적용이 가능하다.
단, 복수의 스케줄 패턴에 대하여 스케줄이 중복되는 경우, 우선 선택된 스케줄 패턴에 따라 중복구간의 스케줄이 결정되거나, 나중 선택된 스케줄패턴에 따라 스케줄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케줄이 설정되도록 한다.
도 7 은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쥴메뉴 화면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7의 (a)와 같이, 스케줄메뉴화면의 제3실시예는 화면의 일측에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이 아이콘(DI11)으로 표시되는 그룹선택메뉴(DI10)가 출력되고, 또 다른 일측에는 스케줄패턴메뉴(DS70)가 표시된다. 또한, 추가버튼(DB11) 과 제 외버튼(DB12)가 표시된다. 이때, 화면의 하단에는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 스케줄 패턴 중 선택된 항목에 대하여 편집메뉴를 제공하는 편집버튼(DB13), 스케줄에 대한 제어설정메뉴를 제공하는 모드설정버튼(DB14), 현재의 스케줄을 적용하는 확인버튼(DB15), 취소버튼이 포함된다.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스케줄패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에서, 추가버튼(DB11)이 입력되면, 제어부(10)는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선택된 스케줄패턴이 스케줄로서 적용되도록 한다.
이때, 도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드래그(DRAG)되어 소정의 스케줄패턴으로 이동되는 경우(DI12) , 제어부(10)는 추가버튼이 입력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해 해당 스케줄패턴이 적용되도록 한다.
또한, 스케줄패턴 중 어느 하나가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되는 경우, 제어부(10)는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해 해당 스케줄패턴이 적용되도록 한다.
도 8 은 도 7의 스케쥴메뉴 화면의 제 3실시예에서 복수의 스케줄을 설정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전술한 스케줄메뉴화면의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드래그 또는 추가/제외버튼(DB11,DB12)을 통해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스케줄패턴이 적용되는 경우, 복수의 스케줄패턴이 선택되어 동시에 드래그 되거나, 추가버튼(DB11)이 조작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스케줄패턴이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적용된다.
이때,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 또한 복수개가 선택된 상태에서 드래그 또는 추가버튼(DB11) 조작을 통해 스케줄이 적요될 수 있다.
도 9 는 도 2의 원격제어기에서 스케쥴을 복사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원격제어기(RC)는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스케줄패턴이 적용되는 경우, 제어부(10)에서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복수의 스케줄패턴 중 중복여부를 판단하고, 중복되는 구간에 대하여, 설정에 따라 스케줄을 설정한다.
제어부(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줄 중복에 따른 안내메시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스케줄의 중복을 인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는 안내메시지를 통해 스케줄이 중복됨을 알리고,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스케줄이 수동 편집되면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대한 스케줄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안내메시지를 통해 중복되는 스케줄구간에 대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라 어느 하나의 스케줄이 선택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는 별도의 안내메시지 없이, 중복구간에 대하여, 우선 선택된 스케줄패턴에 따라 스케줄이 설정되거나, 기 설정된 스케줄로 스케줄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10)는 중복구간에 대하여, 나중 선택된 스케줄패턴에 따라 스케줄이 설정되거나, 나중 입력된 스케줄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의 스케줄을 결정한다.
이때, 안내메시지의 출력여부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우선 선택되거나 기 설정된 스케줄과, 나중 선택 및 입력되는 스케줄에 대하여 설정값을 저장하여, 스 케줄 중복시 설정에 따라 스케줄이 결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제어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4 는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줄편집화면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5 는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줄메뉴 화면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6 은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줄메뉴 화면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7 은 도 2의 원격제어기의 스케쥴메뉴 화면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8 은 도 7의 스케쥴메뉴 화면의 제 3실시예에서 복수의 스케줄을 설정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
도 9 는 도 2의 원격제어기에서 스케쥴을 복사하는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I, I11 내지 I14, I21, I22 : 실내기 O: 실외기
RC: 원격제어기 10: 제어부
20: 데이터부 30: 통신부
40: 입력부 50: 표시부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와, 상기 실외기에 연결되는 복수의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관리그룹과 상이하게, 상기 복수 실내기 중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가 동일한 스케줄로 동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스케줄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실내기을 연결된 실외기 단위로 분류한 관리그룹으로 구분하여,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상기 관리그룹 단위로 상기 복수의 실내기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상기 관리그룹의 수가 상기 복수의 실내기의 수를 넘지 않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하여, 실내기 단위, 그룹단위, 존 단위로 분류하여 상기 관기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시간, 일, 주, 월, 년 중 어느 하나의 단위로 실내기의 동작패턴이 설정된 스케줄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생성하고,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을 상기 스케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스케줄데이터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복수의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을 설정하는 스케줄메뉴 중 어느 제1 영역에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상기 관리그룹을 출력하고, 제 2 영역에 상기 스케줄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제 2 영역에 출력되는 스케줄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영역의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로 드래그 되는 경우,
    드래그 된 스케줄 데이터를 선택된 스케줄그룹 또는 관리그룹에 적용하여, 포함되는 실내기의 스케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제 2 영역의 스케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영역의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스케줄 추가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상기 스케줄데이터를 선택된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의 스케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제 2 영역의 스케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 1 영역의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스케줄 제외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상기 스케줄데이터를 선택된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그룹의 스케줄로부터 제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 그룹 중 어느 하나를 복사하여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상기 관리그룹에 포함되는 스케줄도 함께 복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 그룹에 대하여, 복수의 스케줄데이터가 적용되는 경우,
    설정에 따라, 복수의 스케줄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스케줄이 스케줄 중복구간의 스케줄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스케줄 그룹 또는 관리 그룹에 포함되는 어느 하나 의 실내기에 대한 스케줄 확인 시,
    상기 실내기에 설정된 모든 스케줄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70112235A 2007-11-05 2007-11-05 공기조화기 KR101446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235A KR101446284B1 (ko) 2007-11-05 2007-11-05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2235A KR101446284B1 (ko) 2007-11-05 2007-11-05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225A true KR20090046225A (ko) 2009-05-11
KR101446284B1 KR101446284B1 (ko) 2014-10-01

Family

ID=4085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2235A KR101446284B1 (ko) 2007-11-05 2007-11-05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62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778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KR20150095103A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0698468B2 (en) 2017-08-30 2020-06-30 Lsi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etting value of electric power equipment
KR102165311B1 (ko) * 2020-01-13 2020-10-13 양세연 공공시설, 주택,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 스마트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스마트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123A (en) * 1994-10-19 1998-12-29 Daikin Industries, Ltd.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of air conditioner
JP2002024494A (ja) * 2000-07-11 2002-01-25 Meidensha Corp スケジュール作成システム
KR101203559B1 (ko) * 2005-09-12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룹제어가 가능한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8778A (ko) * 2010-10-14 2012-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의 입출력장치
KR20150095103A (ko) * 2014-02-12 2015-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US10698468B2 (en) 2017-08-30 2020-06-30 Lsi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etting value of electric power equipment
KR102165311B1 (ko) * 2020-01-13 2020-10-13 양세연 공공시설, 주택, 기타 실내 공간의 공기질 스마트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기질 스마트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6284B1 (ko)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00323B (zh) 空调系统
KR10159188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US7274972B2 (en) Programmable controller with saving changes indication
KR10147201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7477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4191037A (ja) エアコンの中央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150129572A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101446283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8801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KR20150038979A (ko) Hvac 컨트롤러
KR101446284B1 (ko) 공기조화기
KR20090080745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32975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5555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13288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91666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WO2017216956A1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90041603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9299965A (ja) 空調システム
KR101521811B1 (ko) 빌딩설비 시스템
KR20170094593A (ko)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KR20110004154A (ko) 건물 유닛의 그룹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기
KR20150043879A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10690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