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8679A -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8679A
KR20120038679A KR1020100100262A KR20100100262A KR20120038679A KR 20120038679 A KR20120038679 A KR 20120038679A KR 1020100100262 A KR1020100100262 A KR 1020100100262A KR 20100100262 A KR20100100262 A KR 20100100262A KR 20120038679 A KR20120038679 A KR 20120038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nsor
central monitoring
ship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0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9022B1 (ko
Inventor
오광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0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22B1/ko
Publication of KR20120038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8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7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func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상태 판정 및 제어 시스템은 각각 주소가 할당되어 있고, 선박에 설치되어 누수, 수밀, 빌지, 유량, 침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이웃 센서를 통해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각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ciding and controlling of ship status}
본 발명은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및 승객의 장거리 수송을 주목적으로 하는 중대형 선박이나 원양어선 등과 같이 출항 후 입항까지의 간격이 긴 선박의 경우, 선박 및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선체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침수 감지장치가 반드시 설치된다. 이러한 선박들의 경우에 항해 중 선체에 결함이 발생되어 선체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이 늦게 인식되었을 경우에, 바다 한 가운데에서는 침수에 대한 대책이 늦어질 수 밖에 없어, 선박이 침몰되는 등의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중대형 선박을 비롯하여 모든 선박에는 침수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침수감지장치가 의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도 1은 선박의 침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을 나타낸 종래의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의 침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은 침수 센서(108a, 108b)로부터 침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침수 감지 시스템(118a, 118b), 유량 센서(106a, 106b)로부터 유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탱크 유량 계측 시스템(116a, 116b), 빌지 센서(104a, 104b)로부터 빌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빌지 감지 경보 시스템(114a, 114b), 수밀 센서(102a, 102b)로부터 수밀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수밀문 시스템(112a, 112b), 누수 센서(100a, 100b)로부터 누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는 누수 감지 시스템(110a, 110b), 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120)를 포함한다.
상기 침수 감지 시스템(118a, 118b)은 선박의 수면 하부에 있는 모든 탱크와 공간내에 설치된 침수 센서(108a, 108b)로부터 침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침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침수 여부 정보를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120)로 전송한다. 상기 침수 감지 시스템(118a, 118b)은 선체 하부 파손 시에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120)에서 원격으로 침수 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탱크유량 계측 시스템(116a, 116b)은 물 밸러스트 탱크(water ballast tank), 연료유 탱크(fuel oil tank), 담수 탱크(fresh water tank) 등에 설치된 유량 센서(106a, 106b)로부터 유량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유량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유량을 원격으로 감시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빌지 감지 경보 시스템(114a, 114b)은 기관실 하부에 설치된 빌지 센서(104a, 104b)로부터 수신된 빌지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빌지 양에 따라 경보신호를 출력하고 빌지를 배출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수밀문 시스템(112a, 112b)은 수면하부의 수밀문에 부착된 수밀 센서(102a, 102b)로부터 수밀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밀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수밀문의 개폐 상태를 원격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누수 감지 시스템(110a, 110b)은 상기 누수 센서(100a, 100b)로부터의 누수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수면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수밀문으로 해수의 유입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각 시스템은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120)와 하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감지된 정보를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12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120)는 선박에서의 누수여부, 수밀문 개폐 여부, 빌지양, 유량, 침수 여부 등의 선박 상태를 원격에서 모니터링 및 제어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설치하므로, 시공을 위한 물량과 장비가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원이 한곳에서 공급되고, 각 시스템과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하나의 통신 회선을 통해 연결되므로, 어떤 장비나 구역이 손상된 경우에 모든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소가 할당된 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를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개별 배선이나 개별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케이블이 절감되면서 모든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의 이중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센서간,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의 통신 회선을 루프 방식 또는 링 방식으로 이중화하여 통신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센서간,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의 통신 회선을 루프 방식 또는 링 방식으로 이중화하여 선내 어떤 센서의 손상에도 침수, 빌지, 누수 등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각각 주소가 할당되어 있고, 선박에 설치되어 누수, 수밀, 빌지, 유량, 침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이웃 센서를 통해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각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에 접속하여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원격 제어 감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누수센서, 수밀센서, 빌지센서, 유량센서, 침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각 센서는 루프 또는 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각 센서는 이웃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정보와 주소를 매핑한 후 자신의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다른 이웃 센서 또는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하나의 쌍으로 서로 다른 구역에 다중화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중앙 감시 제어 장치의 쌍은 루프방식 또는 링 방식으로 통신회선이 이중화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각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정상 상태는 누수가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침수 발생 상태, 유량이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빌지양이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수밀문의 개폐가 오동작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웃하는 센서 또는 다른 중앙 감시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감지정보들을 확인하는 감지 신호 분석부, 상기 감지 신호 분석부에서 확인된 감지정보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감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선박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선박 상태 판단부, 상기 선박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경우, 해당 감지정보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 분석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지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감지정보는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선박 상태 판단부는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가 누수, 수밀, 빌지, 유량, 침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이웃 센서를 통해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b)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감지정보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d)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반 상태 판정 방법은 원격 제어 감시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에 접속하여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a)단계는 제1 센서가 감지신호를 이웃하는 제2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정보와 주소를 매핑한 후 자신의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다른 이웃 센서 또는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소가 할당된 센서에 의한 감지 신호를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개별 배선이나 개별 시스템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케이블이 절감되면서 모든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의 이중안전까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센서간,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의 통신 회선을 루프 방식 또는 링 방식으로 이중화하여 통신 회선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간,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의 통신 회선을 루프 방식 또는 링 방식으로 이중화하여 선내 어떤 센서의 손상에도 침수, 빌지, 누수 등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상태 판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은 선박에 설치되어 누수 여부, 수밀 여부,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200a, 200b), 상기 복수의 센서(200a, 200b)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상태를 판별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에 접속하여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원격 제어 감시 서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센서(200a, 200b)는 누수센서(210a, 210b), 수밀센서(220a, 220b), 빌지센서(230a, 230b), 유량센서(240a, 240b), 침수센서(250a, 25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말한다. 상기 누수 센서(210a, 210b)는 수면 상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수밀문으로 해수의 유입이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수밀 센서(220a, 220b)는 수면 하부에 있는 수밀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빌지 센서(230a, 230b)는 기관실 하부의 빌지(bilge)양을 감지한다. 상기 유량센서(240a, 240b)는 물 밸러스트 탱크(water ballast tank), 연료유 탱크(fuel oil tank), 담수 탱크(fresh water tank) 등의 유량을 감지하고, 상기 침수 센서(250a, 250b)는 선박의 수면 하부에 설치되어 침수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각 센서(200a, 200b)는 루프 또는 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 신호를 이웃 센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센서가 누수센서(210a, 210b), 수밀센서(220a, 220b), 빌지 센서(230a, 230b), 유량센서(240a, 240b), 침수센서(250a, 250b)의 순으로 설치되고, 상기 누수 센서(210a, 210b)의 이웃에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가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침수 센서(250a, 250b)는 침수감지 신호를 유량센서(240a, 240b)로 전송, 상기 유량 센서(240a, 240b)는 자신의 유량감지정보와 상기 침수 센서(250a, 250b)로부터의 침수감지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상기 빌지 센서(230a, 230b)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기 수밀 센서(220a, 220b)는 상기 침수 센서(250a, 250b), 유량센서(240a, 240b), 빌지 센서(230a, 230b) 각각에 대한 감지정보와 수밀감지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상기 누수 센서(210a, 210b)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누수 센서(210a, 210b)는 자신이 감지한 누수감지정보에 상기 수밀 센서(220a, 220b)로부터의 침수감지정보, 유량감지정보, 빌지감지정보, 수밀감지정보를 포함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로 전송한다.
또한, 각 센서(200a, 200b)에는 주소가 할당되어 누수정보, 수밀정보, 빌지 정보, 유량정보, 침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로 전송한다.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각 센서(200a, 200b)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각 센서(200a, 200b)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누수정보, 수밀정보, 빌지정보, 유량정보, 침수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 비정상 상태는 누수가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침수 발생 상태, 유량이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빌지양이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수밀문의 개폐가 오동작한 상태 등을 말한다.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감지 신호에 포함된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침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운영자가 신속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침수가 발생한 위치 및 침수 발생 정보를 포함하는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상기 빌지센서(230a, 230b)로부터의 빌지 감지신호에 포함된 빌지 양에 따라 경보를 발생하고 빌지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상기 누수센서(210a, 210b)로부터의 누수 감지 신호를 근거로 수밀문으로 해수의 유입을 감지하고, 경보를 발생하여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센서들(200a, 200b)과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a, 300b)는 하나의 쌍으로 구성되어 선박의 서로 다른 구역에 이중화 또는 삼중화 등과 같이 다중화로 설치된다. 즉, 선박을 2구역으로 나눈 경우 제1구역에는 누수센서1(210a), 수밀센서1(220a), 빌지센서1(230a), 유량센서1(240a), 침수센서1(250a)의 센서들(200a)과 중앙 감시 제어 장치1(300a)이 설치되고, 제 2구역에는 누수센서2(210b), 수밀센서2(220b), 빌지 센서2(230b), 유량센서2(240b), 침수 센서2(250b)의 센서들(200b)과 중앙 감시 제어 장치2(300b)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 1(300a)과 중앙 감시 제어 장치 2(300b)는 이중화된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1 구역의 센서들(200a)과 제2 구역의 센서들(200b)도 이중화된 통신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구역의 센서들(200a)과 제2 구역의 센서들(200b)중에서 이웃하는 센서들은 서로 통신을 하게 된다.
또한, 센서간,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은 통신 라인이 이중으로 설치되어, 하나의 통신 라인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다른 통신 라인을 이용하여 감지 신호의 전송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간, 센서와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간은 루프 또는 링 방식으로 이중화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므로, 특정 센서 손상 또는 하나의 중앙 감시 제어 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통신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감시 제어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중앙 감시 제어 장치(300)는 이웃하는 센서 또는 다른 중앙 감시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302), 상기 인터페이스부(302)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감지정보를 확인하는 감지 신호 분석부(304), 선박 상태 판단부(306), 경보 신호 발생부(308), 저장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 신호 분석부(304)는 상기 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지정보를 추출한다. 이때, 상기 추출된 감지정보는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선박 상태 판단부(306)는 상기 감지 신호 분석부(304)에서 분석된 감지정보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감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선박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한다. 즉, 상기 선박 상태 판단부(306)는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한다.
상기 경보 신호 발생부(308)는 선박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경우, 해당 감지 신호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저장부(310)에는 선박의 비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치, 실시간으로 판단되는 선박의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상태 판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가 누수, 수밀, 빌지, 유량, 침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S400), 상기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이웃 센서를 통해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S402). 이때, 특정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한 이웃 센서는 자신의 감지 신호에 상기 수신된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정보와 주소를 포함시켜 이웃 센서 또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즉, 제1 센서가 감지신호를 이웃하는 제2 센서로 전송하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1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정보와 주소를 매핑한 후 자신의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다른 이웃 센서 또는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S402가 수행되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누수 여부, 수밀 여부,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판단한다(S404).
상기 S404의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S406),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감지 신호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한다(S408).
그런 다음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한다(S41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10 : 누수센서 102, 220 : 수밀센서
104, 230 : 빌지센서 106, 240 : 유량센서
108, 250 : 침수센서 110 : 누수감지시스템
112 : 수밀문 시스템 114 : 빌지 감지 경보 시스템
116 : 탱크유량 계측 시스템 118 : 침수감지 시스템
120, 300 : 중앙 감시 제어 장치 302 : 인터페이스부
304 : 감지 신호 분석부 306 : 선박 상태 판단부
308 : 경보 신호 발생부 310 : 저장부
400 : 원격 제어 감시 서버

Claims (17)

  1. 각각 주소가 할당되어 있고, 선박에 설치되어 누수, 수밀, 빌지, 유량, 침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이웃 센서를 통해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센서; 및
    각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비정상 상태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에 접속하여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원격 제어 감시 서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누수센서, 수밀센서, 빌지센서, 유량센서, 침수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각 센서는 루프 또는 링 방식으로 연결되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각 센서는 이웃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정보와 주소를 매핑한 후 자신의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다른 이웃 센서 또는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및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하나의 쌍으로 서로 다른 구역에 다중화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다른 구역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 및 중앙 감시 제어 장치의 쌍은 루프방식 또는 링 방식으로 통신회선이 이중화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각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상 상태는 누수가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침수 발생 상태, 유량이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빌지양이 기준치를 벗어난 상태, 수밀문의 개폐가 오동작한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는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감지 신호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11. 이웃하는 센서 또는 다른 중앙 감시 제어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센서로부터 수신된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감지정보들을 확인하는 감지 신호 분석부;
    상기 감지 신호 분석부에서 확인된 감지정보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감지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선박의 상태를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선박 상태 판단부; 및
    상기 선박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된 경우, 해당 감지정보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발생하는 경보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신호 분석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감지정보를 추출하되,
    상기 감지정보는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 상태 판단부는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 감시 제어 장치.
  14. (a)선박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가 누수, 수밀, 빌지, 유량, 침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정보와 자신의 주소가 포함된 감지신호를 이웃 센서를 통해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b)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c)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비정상 상태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감지정보의 주소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d)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가 상기 확인된 위치에서의 비정상 상태 정보를 알리기 위한 경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원격 제어 감시 장치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에 접속하여 선박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제1 센서가 감지신호를 이웃하는 제2 센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포함된 감지정보와 주소를 매핑한 후 자신의 감지 신호에 포함시켜 다른 이웃 센서 또는 상기 중앙 감시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상태 판정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센서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누수 정보, 수밀 정보, 빌지 정보, 유량 정보, 침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보가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태 판정 방법.
KR1020100100262A 2010-10-14 2010-10-14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149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62A KR101149022B1 (ko) 2010-10-14 2010-10-14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0262A KR101149022B1 (ko) 2010-10-14 2010-10-14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8679A true KR20120038679A (ko) 2012-04-24
KR101149022B1 KR101149022B1 (ko) 2012-05-24

Family

ID=4613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0262A KR101149022B1 (ko) 2010-10-14 2010-10-14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140A (ko) * 2014-04-04 2015-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누수 감지가 가능한 이중 맨홀 개폐장치
KR20170008085A (ko) 2015-07-13 2017-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청각 경보장치
KR20190056683A (ko) *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선박의 구역별 감지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14488885A (zh) * 2022-01-12 2022-05-13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甲板设备远程控制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229B1 (ko) * 2017-11-17 2022-06-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4931B1 (ko) * 2007-02-13 2008-09-08 (주)월드이엔지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작업자 안전 관리 장치
KR100970254B1 (ko) * 2009-10-14 2010-07-16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Usn을 이용한 선박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6140A (ko) * 2014-04-04 2015-10-1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누수 감지가 가능한 이중 맨홀 개폐장치
KR20170008085A (ko) 2015-07-13 2017-01-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시청각 경보장치
KR20190056683A (ko) * 2017-11-17 2019-05-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클라우드 기반의 선박의 구역별 감지 및 네트워크 시스템
CN114488885A (zh) * 2022-01-12 2022-05-13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甲板设备远程控制系统及方法
CN114488885B (zh) * 2022-01-12 2023-09-26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舶甲板设备远程控制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022B1 (ko)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9022B1 (ko)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CA2756050C (en) Apparatus for wellhead high integrity protection system
CN103184841B (zh) 用于使用定性指示确定井孔涌入状态的设备和方法
NO20101024A1 (no) Fremgangsmate og system for a teste et reguleringssystem for en BOP
Pennanen et al. Integrat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ncreased passenger ship safety
KR20130028394A (ko) 선박에서 발생하는 위험가스 모니터링 시스템
CN107976983A (zh) 新型内河船舶综合控制系统
KR20140117328A (ko) 선박의 상태 정보 수집 및 위험 대응 장치 및 방법
CN103745617A (zh) 一种辅助靠泊监控系统
KR102408229B1 (ko) 선박의 환경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7986B1 (ko) 수리 매뉴얼 제공을 통한 선박 유지관리 시스템
KR102617985B1 (ko) 카메라 영상을 활용한 선박 유지관리 시스템
CN101438363A (zh) 监测通电抽头变换器隔间内的位移的系统和方法
KR20130034498A (ko) 선박의 경보 모니터링 점검 시스템
KR20220156340A (ko) 자율운항선박의 자동사고대응 시스템
KR10174214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합 관리장치
KR102087171B1 (ko) 동적 위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80404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명뗏목 가스누설 자동검사 시스템
JP2794697B2 (ja) 船舶用制御装置
KR101289097B1 (ko) 고가수조의 급수 파이프 누수 경보 방법
CN113726012A (zh) 一种控制系统及船舶
KR20160095298A (ko)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Takkinen et al. Required flooding sensor arrangement for reliable automatic damage detection
KR101304464B1 (ko) 소형 선박 감시 시스템
CN108478958A (zh) 柴油机扫气箱灭火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