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5298A -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5298A
KR20160095298A KR1020150016277A KR20150016277A KR20160095298A KR 20160095298 A KR20160095298 A KR 20160095298A KR 1020150016277 A KR1020150016277 A KR 1020150016277A KR 20150016277 A KR20150016277 A KR 20150016277A KR 20160095298 A KR20160095298 A KR 2016009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tight
door
monitoring device
ship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환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5298A/ko
Publication of KR2016009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2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3/00Driving of auxiliaries
    • B63J2003/001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 B63J2003/002Driving of auxiliaries characterised by type of power supply, or power transmission, e.g. by using electric power or steam by using electric po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탈출을 위하여 수밀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수밀 도어 반대편 구획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선저에 복수개의 수밀 구획이 형성되는 선박 몸체부; 상기 수밀 구획 상호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밀 도어; 상기 수밀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수밀 도어의 일면에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수밀 도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도어모니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SHIP HAVING WATERTIGHT SUBDIVSION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탈출을 위하여 수밀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수밀 도어 반대편 구획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및 승객의 장거리 수송을 주목적으로 하는 중대형 여객 선박이나, 시추선과 같은 해상 작업용 구조물에 근무하는 작업자의 장기간 투숙을 위한 해상 호텔 및 다목적 지원선 등과 같이 출항 후 입항까지의 간격이 긴 120m 이상인 선박 또는 3개 이상의 주 수직격벽을 가진 선박으로서 2010년 7월1일 이후에 건조된 선박의 경우, 선박 및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선체에 물이 침투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침수 감지장치가 해상인명안전조약(SOLAS)에 따라 반드시 설치된다.
이 조약은 본 선이 가장 안전한 귀항을 위한 수단이 되도록 화재나 침수로 인해 어느 하나의 주 수직구획이 사용 불가한 경우, 사고 후 여객선에서 작동상태로 있어야 할 시스템 및 서비스에 대한 성능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이러한 선박들의 경우에 항해 중 선체에 결함이 발생되어 선체 내부로 물이 침투되는 것이 늦게 인식되었을 경우 에, 바다 한 가운데에서는 침수에 대한 대책이 늦어질 수 밖에 없어, 선박이 침몰되는 등의 위험에 처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대형 선박을 비롯하여 상기 조약이 적용되는 모든 선박에는 침수가 발생되었을 경우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침수감지장치가 의무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침수감지장치는 선저의 수밀 구획별로 침수여부를 선교측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66225호(공개일: 2012년 06월 22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탈출 등의 상황에서 선저 구획의 선원이나 승객이 수밀 도어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수밀 도어의 반대편 상황을 확인 한 후 수밀 도어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원이나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밀 도어 주변의 상황을 선교측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센서의 감지에 의한 상황 전달이 아닌 실질적인 현장의 상황을 선교에서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저에 복수개의 수밀 구획이 형성되는 선박 몸체부; 상기 수밀 구획 상호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밀 도어; 상기 수밀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수밀 도어의 일면에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수밀 도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도어모니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 상기 모니터 및 이들을 연결하는 영상신호라인은 상기 수밀도어에 매립되어 침수나 화재시에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구동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축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비상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저 구획에서 상기 수밀 도어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개폐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개폐스위치는 2단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되어, 예비위치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 조작위치에서 수밀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카메라와 선교측 메인 모니터링 장치를 연결하는 보조영상신호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은 수밀 도어의 개방 이전에 수밀 도어 반대편 현장 상황을 카메라와 모니터를 이용하여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객의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는 수밀 도어 부근의 현장 상황을 선교 측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상시에 보다 정확한 상화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수밀 구획을 중심으로 구성된 선박의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수밀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수밀 도어와 도어 구동부의 연계를 나타낸 블럭도임.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수밀 구획을 중심으로 구성된 선박의 침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 몸체부(100)는 선저부가 복수개의 수밀 구획(110)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면의 경우 횡방향으로는 하나의 수밀 구획(110)으로 구획되었으나 선박의 크기에 따라서는 횡방향으로도 복수개의 수밀 구획(110)으로 구획 될 수 있다.
선저측을 복수개의 수밀 구획(110)으로 분할하는 것은 선체의 일부 손상에 의한 침수가 구획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각각의 수밀 구획(110)에는 인접 수밀 구획(110)과 소통을 위한 수밀 도어(310)가 구비된다. 수밀 도어(310)는 정상 운항시에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유지 보수 등의 필요시에 개방할 수 있도록 도어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된다.
수밀 도어(310)는 힌지 개폐 방식 또는 슬라이딩 개폐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수밀 도어(310)의 개폐 구동을 위한 도어 구동부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수밀 구획(110)에는 복수개의 침수감지센서(210)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침수감지센서(210)는 각 구획 상부의 프리보드 영역에 배치되는 스위치 보드(220)로 신호를 전달하며, 스위치 보드(220)는 다시 선교측 중앙 모니터링 장치(230)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스위치 보드(220)에는 침수시에 알람신호를 발생하는 알람 발생기(222)가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은 선교에서 각 수밀 구획(110)의 침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비상시에 수밀 구획(110)에 위치한 탑승객에게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비상시에 선저측에 수밀 구획(110)에 위치한 탑승객에게 필요한 정보는 반대편 수밀 구획(110)의 현 상황에 관한 정보이다. 탑승객이 위치한 수밀 구획의 상황이 좋지 못한 경우 수밀 도어(310)를 개방하고 반대편 수밀 구획으로 대피해야 할 필요를 느낄 수 있는데, 이 때 반대편 수밀 구획의 상황이 오히려 더 좋지 못한 경우라면 수밀 도어(310)를 개방하지 않을 것이나, 이를 정확히 인지 하지 못하는 경우 상황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선저측에 위치한 탑승객이 수밀 도어(310)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반대편 수밀 구획의 영상 정보를 탑승객에서 전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수밀 도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수밀 도어(310)는 일면에 카메라(312)가 구비되며, 타면에 도어모니터(314)를 포함한다.
일면의 카메라(312)에서 취득된 영상 신호를 타면의 도어모니터(314)로 전송하여 표시함으로써, 탑승객이 위치한 반대편 수밀 구획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수밀 도어(310)는 비상시에 개방의 필요성이 느껴지는 것으로, 카메라(312)와 도어모니터(314)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는 침수 상황하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침수나 화재 등에 의한 배선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메라(312)와 도어모니터(314)를 연결하는 영상신호라인(316)은 수밀 도어(310)에 매립되어 최단 경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니터링 장치의 카메라(312)와 도어모니터(314)의 전원은 선박의 발전기와 연결되는 상시전원선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나, 상시전원선은 경로가 길어서 비상시에 단락이나 누전 등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장치에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축전수단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밀 도어(310)에 구비되는 카메라(312)에는 선교측의 중앙 모니터링 장치(230)와 연결되는 보조영상신호라인(318)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영상신호라인(318)을 통해 선교측의 중앙 모니터링 장치(230)에서도 수밀 구획의 현장 상황을 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의 수밀 도어와 도어 구동부의 연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수밀 도어(310)의 개폐조작은 기본적으로 선교측의 조작에 이루어지나, 비상상황 발생시 또는 유지 보수의 편의를 위해서 수밀 도어(310) 위치한 선저측에서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선저측에는 수밀 도어 비상개폐 스위치(3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도어 구동부(320)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수단(340)을 구비하여 선박의 상시전원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도 수밀 도어(310)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수밀 도어(310)를 개폐조작하는 도어 구동부(320)는 축전수단(340)에 의하여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수밀 도어에 구비되는 카메라(312)와 도어모니터(314)도 도어 구동부(320) 작동을 위한 축전수단(34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비상개폐 스위치(330)는 2단계로 조작되도록 구성하여, 예비위치에서는 축전수단(340)의 전원이 상기 카메라(312)와 도어모니터(314)로 공급되어 탑승객이 수밀 도어 반대편 구획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음 단계인 조작 위치에서 도어 구동부(320)로 전원을 공급하여 수밀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수밀 도어(310)를 개방하고자 하는 탑승객이 수밀 도어 개방전에 반대편 수밀 구획의 영상을 확인하고 수밀 도어(310)의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선박 몸체부
110 : 수밀 구획
210 : 침수감지센서
220 : 스위치 보드
230 : 중앙 모니터링 장치
310 : 수밀도어
312 : 카메라
314 : 도어모니터
320 : 도어 구동부
330 : 비상개폐스위치
340 : 축전수단

Claims (5)

  1. 선저에 복수개의 수밀 구획이 형성되는 선박 몸체부;
    상기 수밀 구획 상호간에 소통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밀 도어;
    상기 수밀 도어의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 구동부; 및
    상기 수밀 도어의 일면에 형성되는 카메라와, 상기 수밀 도어의 타면에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로부터 전달받은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도어모니터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상기 모니터 및 이들을 연결하는 영상신호라인은 상기 수밀도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동부에 비상 전원을 공급하는 축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축전수단에 의하여 상기 모니터링 장치의 비상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4. 제 1 항에 있어서,
    선저 구획에서 상기 수밀 도어의 개폐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비상개폐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비상개폐스위치는 2단으로 조작되도록 형성되어, 예비위치에서는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 조작위치에서 수밀 도어가 개방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선교측 주모터링 장치를 연결하는 보조영상신호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50016277A 2015-02-02 2015-02-02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KR201600952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77A KR20160095298A (ko) 2015-02-02 2015-02-02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77A KR20160095298A (ko) 2015-02-02 2015-02-02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298A true KR20160095298A (ko) 2016-08-11

Family

ID=5671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77A KR20160095298A (ko) 2015-02-02 2015-02-02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529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8828A (zh) * 2019-09-12 2020-01-3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门状态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8828A (zh) * 2019-09-12 2020-01-31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门状态监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211B1 (ko) 모든 측면이 폐쇄될 수 있는 해양 컨테이너
KR101729464B1 (ko) 선박의 해양사고 예측 시스템
CN107065878A (zh) 一种船舶自动靠泊系统及方法
Bačkalov Safety of autonomous inland vessels: An analysis of regulatory barriers in the present technical standards in Europe
KR20130125977A (ko) 무선주파수 인식기술을 이용한 실시간의 선원 및 선박 안전관리 시스템
JP4814120B2 (ja) 船舶の復原力回復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運搬船
KR101149022B1 (ko) 선박 상태 판정 시스템 및 방법
US20080260467A1 (en) Maritime Port and Anti-Terrorist Data Gateway With Ingress and Egress Control
KR20160095298A (ko) 수밀 구획 모니터링 장치를 구비하는 선박
KR20170053421A (ko) 대피경로안내시스템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KR20140115684A (ko) 선박용 융합형 선박위치 자동 발신시스템
KR20160122339A (ko) 스위치 보드 모니터링 기능을 향상시킨 선박
KR20200041183A (ko) 스마트디바이스를 이용한 대피지원시스템
KR20160122338A (ko) 이중 침수 감지 시스템을 구비하는 선박
JP2007069718A (ja) 係船管理支援システム
CN107891956A (zh) 履带式水下探测机器人
KR102080404B1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구명뗏목 가스누설 자동검사 시스템
CN114781009A (zh) 无人艇存储器物理自毁装置及无人艇
KR20130034498A (ko) 선박의 경보 모니터링 점검 시스템
KR20170090713A (ko) 선박의 비상 탈출 시스템
Johnsen et al. Hazards and Risks of Automated Passenger Ferry Operations in Norway
House Marine emergencies: for masters and mates
KR20140083951A (ko) 선박의 비상 탈출 구조
KR10244908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