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827A -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Google Patents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827A
KR20120037827A KR1020100099520A KR20100099520A KR20120037827A KR 20120037827 A KR20120037827 A KR 20120037827A KR 1020100099520 A KR1020100099520 A KR 1020100099520A KR 20100099520 A KR20100099520 A KR 20100099520A KR 20120037827 A KR20120037827 A KR 201200378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
maintenance
main body
main
maintenanc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9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990B1 (ko
Inventor
김영석
유동진
강성원
이삼희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99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9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37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a,10b); 본체(10a,10b)의 하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유지관리용 홈부(21a,21b)가 형성된 기초저판부(20a,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을 제시함으로써, 유지관리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이도록 하여, 저수구조물 및 정화구조물이 본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MAINTENANCE STRUCTURE FOR DAM AND RESERVOIR STRUCRU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흐름을 막아 용수를 확보하거나, 홍수로 인한 하류 유량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댐이 설치된다.
이러한 댐에 의해 형성되는 저수구조물의 영역 내에는 홍수기에 각종 협잡물, 자갈 및 굵은 모래 등의 소류사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망태와 같은 투수 구조로 다공성 통수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통수보는 간극이 있는 다공성 여재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적은 비홍수기에는, 물이 다공성 통수보를 월류하지 아니하고, 다공성 통수보의 간극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화된다.
홍수기에는 각종 협잡물과 함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자갈 및 굵은 모래 등의 소류사가 다공성 통수보에 걸러지는데, 자갈, 굵은 모래 등의 소류사는 다공성 통수보의 상류 측 하부에 포집되고, 쓰레기, 나무 토막 등과 같이 비교적 비중이 적은 협잡물은 다공성 통수보의 상류 측 상부에 포집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통수보에 포집된 협잡물과 소류사는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그 정화기능을 회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홍수기에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증가함에 따라, 다공성 통수보를 월류하여 흐르게 된 물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모래 등의 잉여 부유사는 월류하는 물과 함께 저수 영역 내로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잉여 부유사를 포집하기 위하여 다공성 통수보의 하류에 추가로 부유사 월류방지턱이 설치되기도 한다.
부유사 월류방지턱은 다공성 통수보를 월류한 잉여 부유사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부유사는 월류방지턱의 상류측 하단에 포집된다.
이와 같은 다공성 통수보, 부유사 월류방지턱은 공히 오염물이 댐의 저수영역 또는 하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물인데, 이들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포집된 오염물을 제거하는 유지관리를 해주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저수구조물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유지관리를 위한 별도의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유지관리에 과도한 수고와 비용이 투여되고, 이로 인하여 유지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바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유지관리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이도록 하여, 저수구조물 및 정화구조물이 본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a,10b); 상기 본체(10a,10b)의 하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유지관리용 홈부(21a,21b)가 형성된 기초저판부(20a,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유지관리용 홈부(21a,21b)는 상류 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저판부(20a,20b)는 상기 본체(10a,10b)의 상류 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됨으로써, "L"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저판부(20a,20b)는 상기 본체(10a,10b)의 양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됨으로써, 역"T"자형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의 기초저판부(20a,20b) 중 상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두께가 하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b)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통수보(a)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a)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월류방지턱(b)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상기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상기 본체(10a)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상기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상기 본체(10b)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상기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상기 본체(10a)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a); 상기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과 상기 다공성 통수보(a)의 사이 영역에 상기 본체(10b)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를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유지관리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이도록 하여, 저수구조물 및 정화구조물이 본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다공성 통수보의 단면도.
도 2는 부유사 월류방지턱의 단면도.
도 3은 저수구조물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저수구조물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저수구조물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물막이 역할을 하는 본체(10a,10b); 본체(10a,10b)의 하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유지관리용 홈부(21a,21b)가 형성된 기초저판부(20a,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댐이란 상술한 다공성 통수보(a), 부유사 월류방지턱(b)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댐의 안정을 위하여 형성되는 기초저판부(20a,20b)를 단순한 판형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면에 유지관리용 홈부(21a,21b)를 형성함으로써, 댐에 의해 걸러진 오염물들이 이에 침적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관리자는 종래와 같이 오염물의 제거를 위하여 다공성 통수보, 부유사 월류방지턱의 주위를 수색할 필요가 없고, 주기적으로 그 유지관리용 홈부(21a,21b)에 침적된 오염물만을 제거함으로써 유지관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를 위한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저수구조물 및 정화구조물이 본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다공성 통수보(a), 부유사 월류방지턱(b)에 의해 걸러지는 오염물은 이들의 상류 측에 침적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위 유지관리용 홈부(21a,21b)는 기초저판부(20a,20b) 중 상류 측에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기초저판부(20a,20b)는 본체(10a,10b)의 상류 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L"자형 단면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도 1), 본체(10a,10b)의 양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역"T"자형 단면을 갖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도 2).
일반적으로는 전자의 구조를 취하는 것으로 충분할 것이나, 유량 및 유속이 큰 구간에서는 후자의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다만, 후자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에도, 양측의 기초저판부(20a,20b) 중 상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두께가 하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두께보다 두꺼운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류 측 기초저판부(20a,20b)는 유지관리용 홈부(21a,21b)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어느 정도의 두께가 확보되어야 하지만, 하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도 2).
도 3은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상술한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본체(10a)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a);를 포함하는 저수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협잡물, 소류사 등의 오염물이 다공성 통수보(a)에 걸러져 저수영역을 보호함과 아울러, 위 오염물이 유지관리용 홈부(21a)에 침적되므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상술한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본체(10b)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b);을 포함하는 저수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도, 부유사와 같은 오염물이 월류방지턱(b)에 걸러져 저수영역을 보호함과 아울러, 위 오염물이 유지관리용 홈부(21b)에 침적되므로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댐(c), 부유사 월류방지턱(b), 다공성 통수보(a)이 모두 적용된 저수구조물의 실시예로서, 상술한 효과를 모두 복합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 다공성 통수보 b : 부유사 월류방지턱
c : 본댐 10a,10b : 본체
20a,20b : 기초저판부 21a,21b : 유지관리용 홈부

Claims (10)

  1. 본체(10a,10b);
    상기 본체(10a,10b)의 하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면에 유지관리용 홈부(21a,21b)가 형성된 기초저판부(20a,2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관리용 홈부(21a,21b)는 상류 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저판부(20a,20b)는 상기 본체(10a,10b)의 상류 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됨으로써, "L"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저판부(20a,20b)는 상기 본체(10a,10b)의 양측을 향하여 연장형성됨으로써, 역"T"자형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기초저판부(20a,20b) 중 상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두께가 하류 측 기초저판부(20a,20b)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b)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통수보(a).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체(10a)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월류방지턱(b).
  8.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상기 본체(10a)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
  9.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상기 본체(10b)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
  10. 하천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c);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 후방의 저수영역에 상기 본체(10a)가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a);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이 적용됨과 아울러, 상기 본댐(c)과 상기 다공성 통수보(a)의 사이 영역에 상기 본체(10b)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
KR1020100099520A 2010-10-12 2010-10-12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101281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20A KR101281990B1 (ko) 2010-10-12 2010-10-12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9520A KR101281990B1 (ko) 2010-10-12 2010-10-12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827A true KR20120037827A (ko) 2012-04-20
KR101281990B1 KR101281990B1 (ko) 2013-07-03

Family

ID=46138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9520A KR101281990B1 (ko) 2010-10-12 2010-10-12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9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240A (zh) * 2013-06-14 2013-09-18 鞍钢集团矿业公司 干式排放尾矿砂基础不透水坝的构造及砌筑方法
CN104912037A (zh) * 2015-05-25 2015-09-16 同济大学 一种可调节水位的半透水坝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4011B (zh) * 2014-08-22 2016-02-17 胡伟 一种水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5213A (ja) * 1982-02-05 1983-08-11 Mitsubishi Heavy Ind Ltd 砂防ダム
KR940018527A (ko) * 1993-01-26 1994-08-18 박원곤 유도관이 설치된 수중보
KR100574741B1 (ko) * 2004-08-25 2006-04-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토목 섬유대를 이용한 다목적 생태여울시스템 및 그시공방법
KR100895273B1 (ko) * 2007-08-07 2009-05-06 (주)엔비너지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6240A (zh) * 2013-06-14 2013-09-18 鞍钢集团矿业公司 干式排放尾矿砂基础不透水坝的构造及砌筑方法
CN104912037A (zh) * 2015-05-25 2015-09-16 同济大学 一种可调节水位的半透水坝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990B1 (ko)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273B1 (ko)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JP2010216070A (ja) 流水分派装置及び流水分派方法
KR101281990B1 (ko)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CN102561280A (zh) 毛细透排水带快速排水系统及其排水方法
KR100976851B1 (ko) 집수정
KR20110063421A (ko)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정화시키는 수질 정화 시스템
KR101043662B1 (ko) 배수용 측구 조립체
CN108204029A (zh) 一种市政雨水调蓄系统
CN209221581U (zh) 一种延迟雨水溢流堰
KR101326216B1 (ko)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101155744B1 (ko) 퇴적방지용 가속유로가 형성되는 하상구조
KR101377244B1 (ko)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101373813B1 (ko) 댐의 통수로를 이용한 과부하방지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JP5539465B2 (ja) 取水装置
JP2012026167A (ja) 砂防ダムの取水機構
JP3120072B2 (ja) 渓流取水用傾斜スクリーン
KR101039619B1 (ko)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KR102086099B1 (ko) 하천 저류조
CN213447946U (zh) 一种海绵城市道路
TWI588321B (zh) Reservoir siltation system
CN219137296U (zh) 一种道路排水结构
KR20130054794A (ko) 댐의 다공성 펜스를 갖는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101006852B1 (ko)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CN109853459B (zh) 一种构建于河道河床的精滤湿地设施
JP2010274201A (ja) 環境保全型ろ過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