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244B1 -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 Google Patents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244B1
KR101377244B1 KR1020110120370A KR20110120370A KR101377244B1 KR 101377244 B1 KR101377244 B1 KR 101377244B1 KR 1020110120370 A KR1020110120370 A KR 1020110120370A KR 20110120370 A KR20110120370 A KR 20110120370A KR 101377244 B1 KR101377244 B1 KR 101377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rap
river
dam
str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0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783A (ko
Inventor
김영석
채호준
이삼희
강성원
유동진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20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천(2)의 물막이 역할을 하는 물막이부(20,30); 상기 물막이부(20,30)보다 상류 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천(2)의 물이 상기 하천(2)을 우회하여 상기 물막이부(20,30) 측으로 흘러가도록 안내하며,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트랩(trap)부(100,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MAINTENANCE STRUCTURE COMPRISING TRAP STRUCTURE FOR DAM AND RESERVOIR STRUCRUT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댐의 유지관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흐름을 막아 용수를 확보하거나, 홍수로 인한 하류 유량의 급속한 증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댐이 설치된다.
이러한 댐에 의해 형성되는 저수구조물의 영역 내에는 홍수기에 각종 협잡물, 자갈 및 굵은 모래 등의 소류사 등이 유입되어 오염되는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돌망태와 같은 투수 구조로 다공성 통수보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통수보는 간극이 있는 다공성 여재에 의하여 형성되므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의 양이 적은 비홍수기에는, 물이 다공성 통수보를 월류하지 아니하고, 다공성 통수보의 간극을 통하여 흐르면서 정화된다.
홍수기에는 각종 협잡물과 함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자갈 및 굵은 모래 등의 소류사가 다공성 통수보에 걸러지는데, 자갈, 굵은 모래 등의 소류사는 다공성 통수보의 상류 측 하부에 포집되고, 쓰레기, 나무 토막 등과 같이 비교적 비중이 적은 협잡물은 다공성 통수보의 상류 측 상부에 포집된다.
이와 같이 다공성 통수보에 포집된 협잡물과 소류사는 주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그 정화기능을 회복하도록 하여야 한다.
한편, 홍수기에는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증가함에 따라, 다공성 통수보를 월류하여 흐르게 된 물에 포함된 작은 크기의 모래 등의 잉여 부유사는 월류하는 물과 함께 저수영역 내로 흘러가게 된다.
이러한 잉여 부유사를 포집하기 위하여 다공성 통수보의 하류에 추가로 부유사 월류방지턱이 설치되기도 한다.
부유사 월류방지턱은 다공성 통수보를 월류한 잉여 부유사의 흐름을 차단하고, 이에 따라 부유사는 월류방지턱의 상류측 하단에 포집된다.
이와 같은 다공성 통수보, 부유사 월류방지턱은 하천의 흐름을 가로막고 있기 때문에 특히 홍수시 등과 같이 수위가 높아지고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다공성 통수보, 부유사 월류방지턱에서 과부하가 걸려, 다공성 통수보, 부유사 월류방지턱이 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며, 다공성 통수보, 부유사 월류방지턱의 손상, 파손이 많이 생겨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홍수시 등에도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이 충분히 포집, 침전될 수 있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천(2)의 물막이 역할을 하는 물막이부(20,30); 상기 물막이부(20,30)보다 상류 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천(2)의 물이 상기 하천(2)을 우회하여 상기 물막이부(20,30) 측으로 흘러가도록 안내하며,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트랩(trap)부(100,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다가, 단면적이 넓어진 상태로 상기 하천(2)으로 물이 다시 흘러들어가는 출구까지 일정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깊이는 일정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폭이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깊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천(2)의 상측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물이 월류하여 상기 트랩부(100,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천(2)과 연결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을 이용한 부유사 월류방지구조물로서, 상기 물막이부(20,30)는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사 월류방지턱 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을 이용한 다공성 통수보 구조물.로서, 상기 물막이부(20,30)는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통수보 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천(2)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10); 상기 본댐(10)을 기준으로 상류에 설치되는 상술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의 물막이는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천(2)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10); 상기 본댐(10)을 기준으로 상류에 설치되는 상술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의 물막이는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하천(2)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10); 상기 본댐(10)을 기준으로 상류에 설치된 물막이로서, 투수 구조로 형성된 다공성 통수보(30); 상기 다공성 통수보(30)와 상기 본댐(10) 사이에 설치되는 상술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의 물막이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수구조물을 함께 제시한다. 나아가, 상기 다공성 통수보(30)를 기준으로 상류에, 상기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의 트랩부(100,200)에 대응되는 트랩부(100,200)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트랩부에 의해 유속을 줄여 과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저수구조물 및 정화구조물이 본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을 제시한다.
도 1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댐의 유지관리구조물을 이용한 저수구조물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제1실시 예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제2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제3실시 예의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은 기본적으로, 하천(2)의 물막이 역할을 하는 물막이부(20,30)와; 물막이부(20,30)보다 상류 측에 구비되어 하천(2)의 물이 하천(2)을 우회하여 물막이부(20,30) 측으로 흘러가도록 안내하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트랩(trap)부(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막이부(20,30)란 다공성 통수보(30), 부유사 월류방지턱(20)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물막이부(20,30)를 향해 흘러가는 물이 하천(2)을 따라 바로 물막이부(20,30)로 흘러갈 수 있으며, 하천(2)의 물의 일부는 트랩부(100,200)로 우회하여 물막이부(20,30)로 흘러갈 수 있다.
하천(2)의 물이 트랩부(100,200)로 우회하여 흘러가는 경우, 트랩부(100,200) 중간에 트랩부(100,200)의 단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트랩부(100,200)로 우회하는 물의 속도가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트랩부(100,200)에서 물의 속도가 줄어듦에 따라 홍수시 등과 같이 하천(2)의 유속이 매우 빠른 경우, 트랩부(100,200)가 유속을 줄일 수 있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주며, 이에 따라 홍수피해를 줄일 수 있고, 빠른 유속의 물살로 인한 물막이부(20,30)의 손상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트랩부(100,200)가 없는 경우, 홍수시 등과 같이 수위가 물막이부(20,30)보다 상승하게 되면, 하천(2)의 물이 물막이부(20,30)를 월류하기 때문에, 더 이상 물막이부(20,30)에 의해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의 흐름 저지, 포집, 침전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이 저수영역으로 흘러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본 발명은 트랩부(100,200)에서 물의 속도가 줄어듦에 따라 홍수시 등과 같이 하천(2)의 유속이 매우 빠른 경우에도, 트랩부(100,200)에서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의 포집, 침전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이 저수영역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랩부(100,200)에서 물의 속도가 줄어들어 상대적으로 물이 천천히 흘러가면서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의 침전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트랩부(100,200)에 침전된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으로부터 입도 엄선된 양질의 모래 등을 취득할 수 있다. 트랩부(100,200)에서의 양질의 모래 취득은 홍수시와 같은 기상 악후시가 아닌 일상시의 경우에도 가능하다.
트랩부(100,200)는 트랩부(100,200)를 따라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깊이와 폭의 변화를 줄 수 있는데, 트랩부(100,200)를 따라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트랩부(100,200)의 깊이는 일정하게 형성하며 트랩부(100,200)의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트랩부(100,200)의 폭을 확장시키는 것이,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의 침전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 트랩부(100,200)의 설계 및 시공이 보다 용이하다는 점 등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랩부(100,200)는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면번호 '2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트랩부(200)는 트랩부(200)를 따라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며, 단면적이 넓어진 상태로 하천(2)으로 물이 다시 흘러들어가는 출구부(206)까지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천(2)의 물이 유입되는 트랩부(200)의 입구부(202)에서는 유속(V1)이 매우 빠르며, 그 단면적이 넓어진 트랩부(200)의 중간부(204)에서의 유속(V2)은 입구부(202)에서의 유속(V1)보다 현격히 줄어들며, 트랩부(200)의 출구부(206)의 유속(V3)은 트랩부(200)의 중간부(204)에서의 유속(V2)과 동일, 유사하다. 이와 같이, 트랩부(200)의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짐에 따라 유속이 점진적으로 줄어들 수 있어서 유속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트랩부(200)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진 상태로 트랩부(200)의 출구부(206)까지 연속됨에 따라 트랩부(200)에서 유속이 줄어든 상태로 하천(2)으로 다시 흘러갈 수 있다.
또는 도면번호 '100'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트랩부(100)는 트랩부(100)를 따라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트랩부(100)의 입구부(102)에서의 유속(V1)은 매우 빠르며, 트랩부(100)의 중간부(104)에서의 유속(V2)이 현격히 줄어들며, 다시 트랩부(100)의 출구부(106)에서의 유속(V3)이 트랩부(100)의 중간부(104)에서의 유속(V2)보다 빨라질 수 있다. 이 경우, 트랩부(100)의 단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유속이 줄어들며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의 침전이 이루어지고, 트랩부(100)의 출구 측에서 유속이 다시 빨라짐에 따라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이 트랩부(100)의 출구 측에는 침전되지 않게 하여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의 침전으로 인한 트랩부(100,200)의 출구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홍수시와 같은 기상악후시가 아닌 일상시에는 하천(2)의 물이 트랩부(100,200)를 우회할 경우 오히려 트랩부(100,200)에 의해 하천(2)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될 수 있으며, 특히 홍수시와 같이 하천(2)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 유속이 빨라지고 협잡물, 소류사, 부유사 등이 물막이부(20,30)를 월류한다. 따라서, 트랩부(100,200)는 홍수시 등과 같이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만, 하천(2)의 물이 트랩부(100,200)를 따라 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랩부(100,200)는 하천(2)의 깊이방향을 따라 하천(2)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트랩부(100,200)는 하천(2)의 물이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월류하여 트랩부(100,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천(2)과의 연결부분이 월류부(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랩부(100,200)의 월류부(11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2)의 주변 지반의 상측에 트랩부(100,200)를 수로(110)처럼 형성함에 따라, 하천(2)과 트랩부(100,200) 사이의 지반(112a)이 월류부(112)가 될 수 있다. 또는 트랩부(100,200)의 월류부(1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물막이부(20,30)와 같은 둑 구조물(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트랩부(100,200)는 도 3a 및 도 3b,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2)의 주변 지반을 터파기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2)의 주변 지반에 물막이부(20,30)와 같은 둑 구조물(112b,114)을 쌓아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성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물막이부(20,30)가 불투수 구조로 형성된 부유사 월류방지턱(20)인 부유사 월류방지구조물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물막이부(20,30)가 투수구조인 다공성 통수보(30)인 다공성 통수보 구조물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하천(2)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10); 본댐(10)의 상류에 설치된 상술한 부유사 월류방지턱구조물 또는 다공성 통수보 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수구조물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2)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10); 본댐(10)을 기준으로 상류에 설치된 물막이로서, 투수구조의 다공성 통수보(30); 다공성 통수보(30)와 본댐(10) 사이에 설치되는 상술한 부유사 월류방지턱구조물을 포함하는 저수구조물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본댐(10), 부유사 월류방지턱(20), 다공성 통수보(30)가 모두 적용된 저수구조물의 경우 상술한 효과를 모두 복합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구조라 할 수 있다. 한편, 다공성 통수보(30)를 기준으로 상류에, 상술한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의 트랩부(200)에 대응되는 트랩부(100)가 더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2; 하천 10; 본댐
20; 부유사 월류방지턱 30; 다공성 통수보
100,200; 트랩부

Claims (12)

  1. 하천(2)을 가두도록 설치된 본댐(10);
    상기 본댐(10)을 기준으로 상류에 설치된 투수 구조의 다공성 통수보(30);
    상기 본댐(10)과 상기 다공성 통수보(30) 사이에 설치된 불투수 구조의 부유사 월류방지턱(20);
    상기 다공성 통수보(30)보다 상류의 하천(2)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천(2)의 물이 상기 하천(2)을 우회하여 상기 다공성 통수보(30) 측으로 흘러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며 하천(2)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부(102)와, 유입된 물이 상기 하천(2)으로 유출되는 출구부(106)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102)에서부터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다가 다시 상기 출구부(106) 측으로 갈수록 상기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트랩부(100);
    상기 다공성 통수보(30)와 상기 부유사 월류방지턱(20) 사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하천(2)의 물이 상기 하천(2)을 우회하여 상기 부유사 월류방지턱(20) 측으로 흘러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며 하천(2)의 물이 유입되는 입구부(202)와, 유입된 물이 상기 하천(2)으로 유출되는 출구부(206)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202)에서부터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넓어진 상태로 상기 출구부(206)로 연결되는 트랩부(20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물이 우회하는 방향을 따라 깊이는 일정하며,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폭이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깊이방향을 따라 상기 하천(2)의 상측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부(100,200)는 상기 하천(2)의 물이 월류하여 상기 트랩부(100,20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천(2)과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120370A 2011-11-17 2011-11-17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101377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70A KR101377244B1 (ko) 2011-11-17 2011-11-17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0370A KR101377244B1 (ko) 2011-11-17 2011-11-17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783A KR20130054783A (ko) 2013-05-27
KR101377244B1 true KR101377244B1 (ko) 2014-03-21

Family

ID=48663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0370A KR101377244B1 (ko) 2011-11-17 2011-11-17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2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30567B (zh) * 2019-04-03 2021-04-27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江河水流冲击汇水区鱼类生镜构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92Y1 (ko) 2003-02-19 2003-07-31 한상관 역간 접촉 산화방식의 수질정화장치
KR100895273B1 (ko) * 2007-08-07 2009-05-06 (주)엔비너지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KR100966723B1 (ko) * 2009-09-16 2010-06-25 전희주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092Y1 (ko) 2003-02-19 2003-07-31 한상관 역간 접촉 산화방식의 수질정화장치
KR100895273B1 (ko) * 2007-08-07 2009-05-06 (주)엔비너지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KR100966723B1 (ko) * 2009-09-16 2010-06-25 전희주 하천 우회수로형 어도시설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783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5273B1 (ko) 자원재생 및 저수시설 기능 제고를 위한 하천 및 저수지의유입물질 차단 방법
CN103821218B (zh)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KR100805334B1 (ko) 도로의 배수 정화시설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CN105040804B (zh) 一种分流制雨水排水系统末端漂浮式过滤装置
JP3865304B2 (ja) 雨水処理装置
KR20140023521A (ko) 교량의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배수구조와 장치
KR100976851B1 (ko) 집수정
JP2012036711A (ja) 路面排水処理装置
CN209482439U (zh) 一种雨水自动稳流装置
KR101377244B1 (ko) 트랩구조를 갖는 댐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20130120052A (ko) 비점오염원 저감 기능을 갖는 도로 및 교량용 집수정 시스템
KR100812539B1 (ko) 전단면 전폭의 배수장치를 설치하여 오염된 수질을정화시켜주면서 토사 배출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친환경공법을 이용한 댐
KR101281990B1 (ko) 댐용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KR101231458B1 (ko) 초기 우수처리 빗물받이
CN205171642U (zh) 公路路面径流处理系统
JP5080620B2 (ja) 砂防ダムの取水機構
KR20170133626A (ko) 토사 유도·차단 및 제어 기능을 갖는 과속 방지턱
KR101326216B1 (ko) 댐의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JP2019116781A (ja) 表流水の取水装置に設置される取水スクリーン
CN209323356U (zh) 一种桥梁排水结构
JP2012140845A (ja) 上下2段構造の分流装置
KR101272581B1 (ko) 유입조, 우수 유입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유출 저감 시스템
JP5539465B2 (ja) 取水装置
KR101373813B1 (ko) 댐의 통수로를 이용한 과부하방지 유지관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저수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