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852B1 -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852B1 KR101006852B1 KR1020100090466A KR20100090466A KR101006852B1 KR 101006852 B1 KR101006852 B1 KR 101006852B1 KR 1020100090466 A KR1020100090466 A KR 1020100090466A KR 20100090466 A KR20100090466 A KR 20100090466A KR 101006852 B1 KR101006852 B1 KR 1010068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ver
- water
- reservoir
- inlet
- stream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3628 erosiv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abstract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MYMOFIZGZYHOMD-UHFFFAOYSA-N 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42 bi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ISWSIDIOOBJBQZ-UHFFFAOYSA-N phenol Chemical compound OC1=CC=CC=C1 ISWSIDIOOBJBQ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3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with artificial enrichment, e.g. by adding water from a pond or a riv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0—Dams; Dykes; Sluice ways or other structures for dykes, dam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저류지와 수직정을 이용한 토양대수층 여과방식을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강변여과와 하상여과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의 저류지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저류지의 여과사층이 침식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여과사층을 장갑층으로 보호하는 경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12, 13 : 격벽 14 : 하천수 유입구
15 : 하천수 유출구 16, 17 : 제방
20 : 여과수 집수관 21 : 여과수 도수관
22 : 여과수 안내관 23 : 여과수 집수정
24 : 여과수 공급관 25 : 여과수 인출관
Claims (8)
- 하천수 유입구 및 하천수 유출구를 통해 하천과 연결되도록 하천변에 마련되는 저류지;
상기 하천수 유입구에서 상기 하천수 유출구까지 상기 저류지 내에서 하천수의 유로를 길게 하기 위해 상기 저류지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격벽;
상기 저류지 바닥 아래의 지중에 매설되고, 상기 저류지로 유입된 하천수가 상기 저류지 바닥의 토양으로 스며들어 하강하면서 토양층에 의해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는 유공관으로 된 복수의 여과수 집수관;
상기 복수의 여과수 집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여과수 집수관으로 유입된 여과수를 모으는 여과수 도수관; 및
상기 여과수 도수관으로 모인 여과수를 집수하여 상기 하천에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여과수 도수관과 연결되는 여과수 집수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하천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저류지로 유입되는 하천수를 사행(蛇行)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격벽은, 상기 하천수 유입구 쪽 제방에서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맞은편 제방 쪽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첫 번째 격벽은 상기 하천수 유입구 쪽 제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맞은편 제방까지 못 미치어 오픈되고, 두 번째 격벽은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맞은편 제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천수 유입구 쪽 제방까지 못 미치어 오픈되는 식으로,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쪽과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맞은편 쪽이 교대로 오픈됨으로써,
상기 저류지로 유입되는 하천수는,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맞은편 제방 쪽으로 흐르다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상기 하천수 유입구 쪽의 제방 쪽으로 흐르고, 다시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상기 하천수 유입구의 맞은편 제방 쪽으로 흐르는 식으로, 그 흐름 방향이 반복적으로 바뀌다가 상기 하천수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천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집수정에 집수된 여과수를 상기 하천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여과수 집수정과 상기 하천을 연결하는 여과수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집수정에 집수된 여과수를 상기 하천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여과수 집수정과 상기 하천을 연결하는 월류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지 내의 상기 하천수 유입구 쪽에는 상기 하천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하천수에 함유된 세립질을 침전시키기 위한 침전지역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수 도수관은 상기 저류지의 제방과 상기 격벽의 사이 및 상기 격벽과 상기 격벽 사이의 저류지 바닥 아래의 지중에 설치되고,
상기 여과수 도수관에 상기 여과수 집수관이 복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류지 바닥 아래에는 상기 여과수 집수관이 매설되는 여과사층이 마련되고, 상기 여과사층의 상부에는 상기 여과사층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자갈이나 굵은 모래로 이루어지는 장갑층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0466A KR101006852B1 (ko) | 2010-09-15 | 2010-09-15 |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90466A KR101006852B1 (ko) | 2010-09-15 | 2010-09-15 |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06852B1 true KR101006852B1 (ko) | 2011-01-12 |
Family
ID=43615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90466A KR101006852B1 (ko) | 2010-09-15 | 2010-09-15 |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0685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293B1 (ko) | 2019-02-22 | 2020-08-10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천 수질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58903B2 (ja) | 1993-02-25 | 2003-10-20 | 東洋電化工業株式会社 | 水処理方法 |
KR20060028233A (ko) * | 2004-09-24 | 2006-03-29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
KR100915541B1 (ko) | 2007-09-11 | 2009-09-03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토양여과를 통한 하천수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
KR20100011797A (ko) * | 2008-07-25 | 2010-02-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하천의 수질정화 방법 |
-
2010
- 2010-09-15 KR KR1020100090466A patent/KR1010068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58903B2 (ja) | 1993-02-25 | 2003-10-20 | 東洋電化工業株式会社 | 水処理方法 |
KR20060028233A (ko) * | 2004-09-24 | 2006-03-29 | 주식회사 케이.씨 리버텍 |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
KR100915541B1 (ko) | 2007-09-11 | 2009-09-03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토양여과를 통한 하천수 수질개선장치 및 방법 |
KR20100011797A (ko) * | 2008-07-25 | 2010-02-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토양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하천의 수질정화 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43293B1 (ko) | 2019-02-22 | 2020-08-10 |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 하천 수질 정화 장치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821218A (zh) |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 |
RU2606282C1 (ru) | Водозаборный узел орос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 |
Schubert | Significance of hydrologic aspects on RBF performance | |
KR101080636B1 (ko) |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 |
KR101404215B1 (ko) | 빗물저장시설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생식물을 이용한 정화시스템 | |
CN203755425U (zh) | 一种初期雨水及雨污混合溢流水拦蓄渗流设施 | |
KR101006852B1 (ko) |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 |
KR0171912B1 (ko) | 하천 정화 장치 | |
KR100874503B1 (ko) | 오수처리용 인공습지 시설 | |
KR101268382B1 (ko) | 연안 및 자연습지 보호를 위한 하이브리드 인공습지 | |
KR101353280B1 (ko) | 여재카트리지를 결합한 모듈식 침투도랑 | |
KR100988864B1 (ko) | 수처리 시스템 | |
KR101048805B1 (ko) | 상수원수 생산시스템 | |
CN100503473C (zh) | 丁坝型上向流潜流湿地 | |
KR20050080009A (ko) |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 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선별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염된 하천수를 처리하는하수처리 공법 | |
CN104831689A (zh) | 一种自动防洪、排污的防淤积的取水设施 | |
KR20080015136A (ko) | 생태정화형 인공습지용 연결수로 | |
KR100499612B1 (ko) | 스크린 수로를 이용한 고형물 분리와 여과수 확보방법 및장치 | |
KR101039619B1 (ko) | 퇴사 방지용 가속수로가 형성된 하천 | |
KR102086099B1 (ko) | 하천 저류조 | |
CN210713144U (zh) | 道路雨水净化系统 | |
KR101885876B1 (ko) | 인공식물섬을 이용한 생태수로 공법 | |
KR100546060B1 (ko) | 초기강우 유출수 정화장치 및 그 방법 | |
CN206985843U (zh) | 一种控制面源污染的生态滞留净化装置 | |
KR200253332Y1 (ko) | 하상여과에 의한 하천수질 정화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