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438A -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438A
KR20120035438A KR20100096945A KR20100096945A KR20120035438A KR 20120035438 A KR20120035438 A KR 20120035438A KR 20100096945 A KR20100096945 A KR 20100096945A KR 20100096945 A KR20100096945 A KR 20100096945A KR 20120035438 A KR20120035438 A KR 20120035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
sludge
recovering
metal ti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9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6755B1 (ko
Inventor
김병수
이재천
정진기
유재민
김수경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2010009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675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6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6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5/00Obtaining tin
    • C22B25/02Obtaining tin by d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25/00Obtaining tin
    • C22B25/06Obtaining tin from scrap, especially tin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5/00General methods of reducing to metals
    • C22B5/0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 C22B5/12Dry methods smelting of sulfides or formation of mattes by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4Working-up sla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연솔더 스크랩 및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구리 등 유용금속을 회수하는 습식공정 중에 부산물로서 배출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0); 상기 건조단계(S100)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550?750℃의 온도에서 질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 분위기 하에서 수소가스에 의해 환원시키는 환원단계(S200) 및; 상기 환원단계(S200)에 의해 환원된 금속 주석을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휘발되어 손실되는 산화주석(SnO)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석회석, 규소 같은 슬래그 형성제를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슬래그를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고순도의 금속 주석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A Method for Recovering Metal Tin from Tin Sludge}
본 발명은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연솔더 스크랩 및 폐인쇄회로기판 등으로부터 금, 은 구리 등의 유용금속을 회수하는 습식공정 중에 질산을 이용하는 침출공정에서 부산물로서 배출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전기?전자제품에는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 인쇄회로기판에는 반도체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가 무연솔더에 의해 접합(솔더링)되는데, 이 접합과정에서 다량의 무연솔더 스크랩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 무연솔더 스크랩 내에는 금, 은, 구리, 주석 등과 같은 귀금속과 유용금속들이 포함되어 있다.
무연솔더 스크랩에 포함된 주석(Sn)과 은(Ag)의 함량은 무연솔더의 종류, 제조회사 등에 따라 달라지지만 주석(Sn)은 대략 85?93 중량%, 은(Ag)은 2?4 중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컴퓨터, 휴대폰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전자제품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인쇄회로기판에도 1톤(ton)의 폐인쇄회로기판에는 금, 은 등과 같은 귀금속이 200g 이상, 구리, 주석 등과 같은 유용금속이 15?25 중량% 이상 들어있다.
최근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유해물질들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전자제품 내에 납, 카드뮴, 6가크롬, 수은 등과 같은 중금속이 사용되는 것을 극히 제한하고 있으며, 그 결과 전기?전자제품 내에 각종 전기?전자소자를 접합시킬 때 땜납을 사용하는 대신 무연솔더를 사용함에 따라 무연솔더의 사용량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기술개발과 기술의 첨단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제품의 교체주기가 짧아져 사용 후 버려지는 폐전기?전자제품의 발생량이 증가되면서 폐인쇄회로기판과 같은 폐기물의 양도 급속히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실정이다.
한편, 무연솔더 스크랩에 함유되어 있는 은과 주석, 그리고 폐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금, 은, 구리 및 주석 등은 첨단산업의 원료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또한 부가가치가 높기 때문에 최근 이들 폐기물을 단순히 폐기 처리하지 않고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폐기물로부터 유용금속을 회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무연솔더 스크랩, 폐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폐기물(2차 자원)로부터 금속, 특히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에는 단순 재활용법, 전기분해법, 습식처리법, 건식처리법 및 습식과 건식의 융합처리법의 등이 있다.
단순 재활용법은 무연솔더 스크랩을 고온 용융시킨 다음 불순물을 1차로 드로스상으로 분리한 후, 고순도 주석을 투입하여 주석의 함량을 조절하여 무연솔더 원료로 재사용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연솔더는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방법은 특히 납이 함유된 솔더 스크랩을 처리하는 데에는 적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기분해법은 H2SiF6 3?8체적%, H2SO4 2?10체적% 및 주석 3체적%가 함유되어 있는 전해액에 고순도 주석으로 제작된 전극(음극판)과, 주석 함유량이 90?98중량% 정도인 무연솔더 스크랩으로 제작된 전극(양극판)을 설치하여 전기분해시킴으로써 음극판에 모이도록 하여 음극판으로부터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은 고순도의 주석을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주석 함유 폐기물이 필요한데 현재 국내에서는 주석을 함유한 폐기물의 발생량이 그리 많지 않아 이 방법을 사용하여 주석을 회수하는 데에는 경제적인 한계가 있다.
습식과 건식의 융합처리법은 습식공정과 건식공정을 혼합하여 무연솔더 스크랩으로부터 은과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습식공정에서 질산 용액을 사용하여 무연솔더 스크랩으로부터 은을 침출시키고, 주석은 주석산(H2SnO3), Sn(OH)2, Sn(OH)4 상태로 침전시켜 주석산(H2SnO3) 등을 슬러지 상태로 분리시킨 후, 건식공정에서 이 슬러지상태의 주석산(H2SnO3)을 석회석, 규소와 같은 슬래그 형성제와 환원제인 탄소와 혼합시킨 다음 1000℃이상의 고온에서 용융시켜 탄소용융환원반응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주석산에 포함된 산소와 수소를 제거하여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탄소용융 환원공정 중 이산화탄소가스와 슬래그가 배출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 못하며 더구나 슬래그를 형성하기 위해 석회석, 규소와 같은 슬래그 형성제가 추가로 투입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1000℃이상의 고온에서 주석 슬러지를 탄소용융 환원시키는 동안 주석이 포함된 산화주석(SnO)이 휘발되어 방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주석의 손실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주석의 회수율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구리 및 주석 등과 같은 유용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고온 용융기술을 이용하는 건식처리법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건식처리법은 초기 설비 투자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금, 은, 구리 이외의 다른 유용금속, 예를 들면 주석, 납, 알루미늄, 아연 등의 회수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소규모의 플랜트가 가능하고 금, 은과 같은 귀금속뿐만 아니라 주석, 납, 알루미늄, 아연 등의 유용금속의 회수율이 높은 습식과 건식의 융합처리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다.
이에 따라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주석을 회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습식과 건식의 융합처리법이 개발된 바 있으며, 이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무연솔더 스크랩으로부터 은과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과 똑같이 먼저 습식공정인 질산 용액을 사용하여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및 구리 등을 침출시키고 주석을 주석산(H2SnO3) Sn(OH)2, Sn(OH)4 상태로 침전시켜 주석산 등을 슬러지 상태로 분리한 후 건식공정인 탄소용융환원반응에 의하여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 이 방법 역시 무연솔더 스크랩에 있어서와 같이 탄소용융 환원공정 중 이산화탄소가스와 슬래그가 배출되고, 산화주석(SnO)이 휘발되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이산화탄소와 슬래그 등의 2차 폐기물이 생성되지 않으면서도 주석의 회수율이 높은 금속 주석 회수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예의 노력한 결과, 무연솔더 스크랩 및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구리, 주석 등과 같은 금속을 회수하는 습식공정 중 부산물로서 배출되는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킨 후 저온에서 수소 환원시키게 되면 이산화탄소와 슬래그를 배출하지 않고도 고수율로 금속 주석을 회수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연솔더 스크랩 및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구리, 주석 등과 같은 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거치는 습식공정 중 부산물로서 배출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친환경적이면서도 고수율로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을,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550?750℃의 온도에서 질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 분위기 하에서 수소가스에 의해 환원시키는 환원단계 및; 상기 환원단계에 의해 환원된 금속 주석을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켜 얻은 분말을 750℃ 이하의 저온상태에서 환원시켜 금속 주석을 회수함으로써 고온 탄소용융환원법에 금속을 회수하는 것보다 고순도의 금속 주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산화주석(SnO)의 휘발에 의한 주석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공정 진행 중에 지구온난화 가스인 이산화탄소가 생성되지 않아 탄소환원용융법에 비해 더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를 이용한 탄소용융환원법에서와 같이 석회석, 규소 같은 슬래그 형성제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추가 투입에 따른 제2의 환경오염 물질인 슬래그가 발생되지 않으며, 이 때문에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한 환경오염 방지시설을 추가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주석 슬러지로부터 회수된 금속 주석의 전자현미경조직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석 슬러지로부터 친환경적이면서도 고수율로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건조된 주석 슬러지를 저온에서 수소환원시키는 환원단계; 환원단계에서 얻어진 금속 주석을 냉각시키는 냉각단계를 포함한다.
(1) 건조단계(S100)
이 단계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는 주석 슬러지를 건조로에 의해 또는 자연증발시켜 분말상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무연솔더 스크랩 및/또는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구리, 주석 등과 같은 금속을 회수하기 위해 습식공정을 거치게 되면 주석 슬러지가 부산물로서 배출되는데, 이 슬러지 속에는 다량의 주석이 주석산(H2SnO3) Sn(OH)2, Sn(OH)4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슬러지에는 또한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슬러지 내에 다량의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후술하는 환원단계에서 필요 이상의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므로 먼저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여야 한다.
슬러지 내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자연건조방식과 건조로방식이 있다.
자연건조방식에 의해 주석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때에는 자연상태에서 3일 이상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3일 미만 건조시키게 되면 건조된 슬러지 내에 아직 많은 수분이 남아 있어 후술하는 환원단계에서의 연료소비가 증가되는 것을 해소하고자 한데 따른 것이다.
한편 건조로방식에 의해 주석 슬러지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때에는 전기 건조로를 사용하여 약 200℃에서 약 90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역시 건조 시간이 90분 미만인 경우 건조된 슬러지 내에 많은 수분이 남아 있는데 따른 연료소비 증가를 방지하고자 한데 따른 것이다. 또한 200℃의 건조로에서 90분 정도 건조시키게 되면 슬러지 속의 이미 대부분의 수분이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건조시키는 경우 오히려 건조로의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낭비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2) 환원단계(S200)
이 단계는 분말상태의 슬러지를 환원시켜 순수 주석으로 만드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단계(S100)에 의해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키게 되면 주석 슬러지는 분말상태로 되는데, 이러한 분말상태의 주석 슬러지를 수소에 의해 환원시키게 되면 순수 주석이 된다.
분말상태의 주석 슬러지를 환원시킬 때 분말은 75?150 μm 범위의 입도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분말의 입도가 75 μm 미만으로서 분말의 크기가 너무 작은 경우 입도 감소에 따른 수소환원 시간의 단축 효과가 없어 이익이 없으며, 반대로 분말의 크기가 150 μm보다 크면 환원시간이 너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분말상태의 주석 슬러지는 환원단계를 거치기 전에 상기 분말입자가 상기 범위의 입도를 가지도록 체(sieve) 등을 사용하여 선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단계(S100)에서 건조된 분말상태의 슬러지는 알루미나 도가니 등의 전기로 내에 장입되어 온도 550?750℃, 수소분압이 0.3?0.7atm로 유지되는 질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 분위기 하에서 약 20?60분 동안의 환원반응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반응온도가 550℃ 미만인 경우 상기 건조단계(S100)에서 얻어진 분말의 환원속도가 매우 느려 조업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반대로 반응온도가 750℃를 넘는 경우에는 분말의 환원속도는 지나치게 빨라지게 되어 환원효과는 크지 않으면서도 많은 양의 열을 공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후속되는 냉각단계에서 냉각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환원반응(S200)에서 질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 중 수소가스의 분압이 0.3atm 이하인 경우 수소 가스의 양이 적어 상기 건조단계(S100)에서 얻어진 슬러지 분말에 대해 수소가스에 의한 환원속도가 매우 느리게 되어 조업 시간이 길어지며, 반대로 혼합가스 중의 수소가스의 분압이 0.7at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슬러지 분말에 대해 수소가스에 의한 환원반응 속도가 빨라지나 수소가스 분압 증가에 따른 수소환원 시간의 단축 효과가 크지 않고 대신에 수소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혼합가스 내에 질소를 사용하는 것은 고가의 환원가스인 수소가스의 사용량을 줄이고, 동시에 질소 가스는 다른 기체나 물질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안정된 가스로 환원된 주석 슬러지 분말의 재산화를 방지하기 때문이다.
(3) 냉각단계(S300)
상기 환원단계(S200)에 의해 슬러지 분말 중에 포함된 주석산 등이 수소가스에 의해 환원되면 순수 주석이 되는데, 본 단계는 이러한 순수 주석을 냉각시키기 위한 단계로서, 주석이 고온에서 산소 등에 노출되게 되면 산화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환원된 금속 주석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산화되는 것이 방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환원단계(S200)에 의해 수득된 금속 주석을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80?120℃의 온도범위가 되도록 까지 냉각시키는데, 이는 금속 주석의 온도가 80℃ 미만이 되도록 까지 냉각시키고자 하는 경우 냉각시간이 너무 길어져 질소 가스의 손실양이 많고, 반대로 120℃ 이상에서 냉각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환원된 금속 주석의 표면이 미량 재산화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한데 따른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금속 주석 회수방법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폐인쇄회로기판의 습식공정 중 부산물로서 획득된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실험을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행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들 각각의 실험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슬러지 상태의 주석 슬러지를 그 내부온도가 200℃로 유지되는 전기건조로((주) 아전가열산업 제조)에서 약 90분 동안 건조된 분말로부터 입자 크기가 75?150μm 범위의 분말을 채취하여 질소 가스와 수소 가스의 공급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는 전기로(알루미나 도가니)에 장입한 다음, 먼저 질소가스만 공급하여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550℃까지 승온시킨 후, 수소가스를 공급하여 수소가스의 분압이 0.3atm인 혼합 가스 분위기를 조성한 다음, 이 질소와 수소가스의 혼합가스 분위기 하에서 75분 동안 유지시킴으로써 수소 환원반응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이어서 전기로 내에 질소가스를 공급하여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80℃까지 냉각시켜 금속 주석을 채취하였다.
그 결과 주석(Sn) 99.7 중량%, 구리(Cu) 0.07 중량%, 니켈(Ni) 0.02 중량%, 비스무스(Bi) 0.01 중량%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질소가스만 공급하여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600℃까지 승온시켰으며, 수소 가스의 분압이 0.5atm로 유지된 상태에서 30분 동안 환원시켰고, 환원된 금속 주석을 100℃까지 냉각시키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절차에 의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주석(Sn) 99.6 중량%, 구리(Cu) 0.35 중량%, 니켈(Ni) 0.03 중량%, 비스무스(Bi) 0.02 중량%를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실시예 1, 2와 달리 주석 슬러지를 전기건조로에서 건조시키지 않고, 3일 동안 자연 건조시켜, 입도 크기 75?150μm 범위의 분말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장입하여 질소가스 분위기에서 750℃까지 승온시킨 다음, 수소가스의 분압이 0.7atm인 질소 및 수소의 혼합가스 분위기 하에서 20분 동안 수소 환원방응을 진행시켰으며, 이어서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120℃까지 냉각시켜 금속 주석을 회수하였다.
그 결과 주석(Sn) 99.7 중량%, 구리(Cu) 0.25 중량%, 니켈(Ni) 0.03 중량%, 비스무스(Bi) 0.02 중량%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실험조건과, 각각의 실험조건 하에서 실험한 결과 획득된 금속 주석의 화학 조성을 정리하면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는데, 이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어느 조건 하에서도 99 중량% 이상의 순도 높은 금속 주석이 얻어졌으며, 이로부터 본 발명의 금속 주석 회수방법이 유효하며 상당히 효과적임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석 슬러지로부터 분리된 금속 주석의 전자현미경조직을 나타낸 사진으로서 이로부터 고순도의 주석이 본 발명의 금속 주석 회수방법에 의해 회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분

실험조건

실험결과(중량%)

건조

환원

냉각

Sn

Cu

Ni

Bi

실시예 1

200℃, 90분 건조로

550℃, 75분,
0.3atm(수소분압)

80℃

99.9

0.07

0.02

0.01

실시예 2

200℃, 90분 건조로

600℃, 30분,
0.5atm(수소분압)

100℃

99.6

0.35

0.03

0.02

실시예 3

3일 자연건조

700℃, 20분,
0.7atm(수소분압)

120℃

99.7

0.25

0.03

0.0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연솔더 스크랩 및/또는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금, 은, 구리 및 주석 등과 같은 유용금속을 회수하는 습식공정에서 부산물로서 배출되는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켜 저온 상태에서 수소 환원반응에 의해 금속 주석을 회수함으로써 고온 상태에서 휘발되어 손실되는 산화주석(SnO)의 양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이산화탄소가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석회석, 규소와 같은 슬래그 형성제를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환경오염 물질인 슬래그를 배출하지 않으면서도 고순도의 금속 주석을 회수할 수 있다.

Claims (7)

  1.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석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건조단계(S100);
    상기 건조단계(S100)에 의해 건조된 슬러지를 550?750℃의 온도에서 질소 및 수소가스의 혼합가스 분위기 하에서 수소가스에 의해 환원시키는 환원단계(S200) 및;
    상기 환원단계(S200)에 의해 환원된 금속 주석을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냉각시키는 냉각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원단계(S200)는 20?6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가스 중 수소가스의 분압은 0.3?0.7atm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S100)는 내부 온도가 200℃로 유지되는 건조로 내에서 90분 동안 행해지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S100)는 자연상태에서 3일 동안 행해지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S300)는 질소가스 분위기 하에서 금속 주석이 80?120℃ 온도범위가 되도록 까지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주석 슬러지 분말의 입자크기는 75?150μm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KR20100096945A 2010-10-05 2010-10-05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KR101226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6945A KR101226755B1 (ko) 2010-10-05 2010-10-05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6945A KR101226755B1 (ko) 2010-10-05 2010-10-05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438A true KR20120035438A (ko) 2012-04-16
KR101226755B1 KR101226755B1 (ko) 2013-01-28

Family

ID=46137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96945A KR101226755B1 (ko) 2010-10-05 2010-10-05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67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075B1 (ko) * 2014-11-28 2016-03-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기기용 스위치의 접점 재료 재활용 방법
KR20160110842A (ko) * 2015-03-13 2016-09-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석계 양극 슬라임으로부터 주석의 회수방법
WO2018207971A1 (ko) * 2017-05-08 2018-11-15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메탄가스 환원법을 이용한 고순도 주석 회수 및 수소 생산방법
KR20200066396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습식 공정 슬러지를 이용한 물품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US11180826B2 (en) * 2014-06-25 2021-11-23 Uwin Nanotech Co., Ltd. Tin stripp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49A (ja) * 1981-07-16 1983-01-22 Nippon Steel Corp メツキスラツジの処理方法
KR20000058674A (ko) * 2000-06-23 2000-10-05 김주형 주석오니로부터 고순도 주석을 추출하는 방법
KR100628688B1 (ko) * 2004-12-17 2006-09-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주석 도금 폐액으로부터 산화주석 또는 주석을 회수하는방법
KR101143216B1 (ko) * 2010-03-19 2012-05-18 김경선 폐납재로부터 고체주석화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고순도의 주석(Sn)을 회수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80826B2 (en) * 2014-06-25 2021-11-23 Uwin Nanotech Co., Ltd. Tin stripping method
KR101600075B1 (ko) * 2014-11-28 2016-03-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력기기용 스위치의 접점 재료 재활용 방법
KR20160110842A (ko) * 2015-03-13 2016-09-2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주석계 양극 슬라임으로부터 주석의 회수방법
WO2018207971A1 (ko) * 2017-05-08 2018-11-15 (주)에이원엔지니어링 메탄가스 환원법을 이용한 고순도 주석 회수 및 수소 생산방법
KR20200066396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습식 공정 슬러지를 이용한 물품의 제조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6755B1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90982A1 (en) A method of recovering metals from spent li-ion batteries
KR101226755B1 (ko) 주석 슬러지로부터 금속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CA2918335C (en) Method for directly recovering lead oxide used for a lead-acid battery negative electrode from waste lead paste
US5779877A (en) Recycling of CIS photovoltaic waste
KR101685931B1 (ko) 구리함유자원을 이용한 귀금속 농축 회수방법
KR101233779B1 (ko) 주석 함유 금속 스크랩으로부터 주석을 회수하는 방법
CA313687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ttery precursors
KR101567499B1 (ko) Led 폐기물로부터 유가금속의 선별 회수 방법
JP2016037661A (ja) 有価金属の回収方法
CN107338454A (zh) 一种从白冰铜中回收铜和砷的方法
KR20160034927A (ko) 전기로 제강 더스트로부터의 아연 회수 방법 및 전기로 제강 더스트로부터의 아연 회수 장치
JP7271833B2 (ja) リチウムの回収方法
CN102329960A (zh) 一种从废旧电路板中提金的方法
Li et al. Current status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lead recovery from electronic waste
JP6958235B2 (ja) 銅とニッケルおよびコバルトの分離方法
CN101748279B (zh) Ab5型稀土系储氢合金冶炼废渣回收利用的方法
KR20180085255A (ko) 주석과 은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주석 스크랩으로부터 주석과 은을 연속적이고 동시적으로 회수하는 방법
JP7052635B2 (ja) 銅とニッケル及びコバルトの分離方法
JP6744981B2 (ja) 貴金属の濃縮回収方法
CN113061725A (zh) 一种从废旧锂离子电池中火法回收锂的方法
CN108330276A (zh) 利用铁矾渣制备高纯铁粉的方法及其产品和应用
KR102476685B1 (ko) 황산구리 전해액 제조 방법
RU2644719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электронной и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KR101162561B1 (ko) 금속용매제를 이용한 폐무연솔더볼로부터의 은 및 주석 회수방법
CN110551900B (zh) 一种镀锡铜废碎料和铜电解液的联合处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