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355A -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355A
KR20120035355A KR1020100096827A KR20100096827A KR20120035355A KR 20120035355 A KR20120035355 A KR 20120035355A KR 1020100096827 A KR1020100096827 A KR 1020100096827A KR 20100096827 A KR20100096827 A KR 20100096827A KR 20120035355 A KR20120035355 A KR 20120035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frame
opening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충영
이보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5355A/ko
Publication of KR20120035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8Ports or like openings in vessels' sides or at the vessels' bow or ster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장치는 도어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내부에 부착되는 자성체와,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대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기와, 도어 개폐기에 연결되어 도어가 닫힐 때 도어 프레임의 프레임 홈에 삽입되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와, 도어 개폐기에 연결되어 도어 개폐용 돌출부를 동작시키는 도어 손잡이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성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SOUND-PROOF APPARATUS OF DOOR STRUCTURE}
본 발명은 방음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수선 및 여객선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해 소음 규제 강화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선박의 선실과 복도와의 차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예를 들어, 모크업(mock-up) 테스트 시에 유닛 캐빈(unit cabin)의 도어(door) 구성에서는 도어와 도어 프레임(door frame)의 사이에 러버(rubber)를 마련하여 도어와 도어 프레임 간의 틈에 의한 음의 투과를 막고자 하였다. 이러한 씰링(sealing) 구조에 의하여 캐빈 내의 소음은 대략 30dB로 계측된 바 있다.
또한, 도어 구조에 별도의 버클을 설치하여 도어를 복도 쪽으로 강하게 끌어당겨 문틈을 최소화한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서의 캐빈 내 소음은 대략 34dB로 계측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소음 계측 결과는, 대부분 국제 소음기준에 부합되지 못하는 수준이며, 그 대표적인 원인이 러버 씰링과 도어가 제대로 압착되지 못하여 그 틈에 의해 2KHz 이상의 고주파 성분을 제대로 차음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어와 도어 프레임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차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금속성 도어)와 도어 프레임을 최대한 밀착시켜 둘 간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는 도어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내부에 부착되는 자성체와, 도어가 도어 프레임에 대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기와, 도어 개폐기에 연결되어 도어가 닫힐 때 도어 프레임의 프레임 홈에 삽입되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와, 도어 개폐기에 연결되어 도어 개폐용 돌출부를 동작시키는 도어 손잡이와,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성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자성체에 자성이 형성 또는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는 상기 도어 개폐용 돌출부가 프레임 홈에 삽입되면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감지하고, 프레임 홈에서 이탈되면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는 도어 손잡이의 제 1 위치에서 프레임 홈에 삽입되고, 제 2 위치에서 프레임 홈에서 이탈되며, 센서는 도어 손잡이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가 프레임 홈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도어 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센서는 접촉 센서이고, 제 2 센서는 스위칭 센서일 수 있다.
또한, 도어는, 도어 홈과, 도어 홈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수단과, 탄성 수단의 타단에 고정되는 방음 보조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음 보조 수단은 자성체와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자성체에 자성이 형성될 때 자성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방음 보조 수단은, 흡음 재료와, 흡음 재료와 층간 구조로 서로 부착되는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프레임에 자성체를 부착시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도어 프레임 간의 밀착 정도를 긴밀히 유지하여 공간 내의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도어 및/또는 도어 프레임에 장착하여 도어가 닫힐 때에는 자성체에 자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어가 열릴 때에는 자성체에 자성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차음 성능을 개선하면서 안전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성체, 예컨대 전자석이 부분 부착된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및 도어 프레임을 갖는 도어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성체, 예컨대 전자석이 전체 부착된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전자석의 상부에 2중 러버(rubber)가 씰링(sealing)된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2중 러버가 씰링된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의 단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어 내에 방음 보조 수단이 부가적으로 마련된 도어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방음 보조 수단의 상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로서, 자성체가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100) 내부에 부분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다. 자성체로는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전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자석(102)을 사용하여 자성체에 자성을 선택적으로 형성/제거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그 형상을 따라 자성체, 예컨대 전자석(102)이 부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자석(102)은 도어 프레임(100)을 따라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가 닫힐 때 자성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착’은 전자석(102)이 도어 프레임(100)에 함몰되면서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이로써 전자석(102)이 도어(200)와 도어 구조물 프레임(100)의 밀착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도어 프레임(100)이 도어(200)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전후방으로 서로 밀착되어 차음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200) 및 도어 프레임(100)을 갖는 도어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0)는 도어 프레임(100)을 틀로 하여 개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0)가 닫힐 때 도어 프레임(100) 내에 부착된 전자석(102)의 자성으로 인해 도어(200)는 도어 프레임(100)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0)는, 대부분 금속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100)에서 전자석(102)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도어(200)의 일부분에 금속재료를 부착 형성할 수 있다. 즉, 전자석(102)의 자성을 이용하여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의 차음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도어(200)를 금속재료로 구현하거나, 필요에 따라 도어프레임(100)의 전자석(102)이 부착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금속재료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200) 및 도어 프레임(100)을 갖는 도어 구조물은, 도어(200)의 개/폐를 위한 도어 개폐기(202) 및 도어 손잡이(2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로서, 도어 개폐기(202) 및 도어 손잡이(204)가 형성된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의 일 부분(도 2의 A)을 상세히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는, 프레임 홈(106), 센서(108, 208), 도어 개폐기(202), 도어 손잡이(204), 및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센서(108, 208)가 2개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1개만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센서(108) 또는 센서(208) 중 하나만 마련되어 도어(200)의 개폐를 감지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센서(108)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프레임 홈(106)에 삽입되면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는 프레임 홈(106)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부의 역할을 하게 되는 바,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프레임 홈(106)에 삽입이 되면 도어가 닫히는 경우이다.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프레임 홈(106)에 삽입되면 센서(108)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108)의 감지 동작에 대응하여 전자석(102)에 자성이 부여될 수 있다.
반대로, 센서(108)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프레임 홈(106)에서 이탈되면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닫혀있는 도어(200)를 열기 위해서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를 프레임 홈(106)에서 이탈시키고 도어(200)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도어를 열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프레임 홈(106)에서 이탈되면 센서(108)가 이를 감지하고, 센서(108)의 감지 동작에 대응하여 전자석(102)으로부터 자성이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08)의 감지 동작에 대응하여 전자석(102)에 자성이 부여되거나 제거하는 과정은 후술하는 제어부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는 도어 손잡이(204)의 조작에 의하여 프레임 홈(106)으로 삽입되거나 프레임 홈(106)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손잡이(204)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의 도어 손잡이의 위치(제 1 위치)에서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도어(200)로부터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어 손잡이(204)가 제 2 위치, 예를 들어 도어 개폐용 돌출부가 프레임 홈에서 이탈되게 하는 위치에서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도어(200) 내부로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센서(208)는 도어 손잡이(204)의 위치를 감지하여, 도어 손잡이(204)가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감지하고, 도어 손잡이(204)가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 손잡이(204)가 제 1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전자석(102)에 자성이 형성되고, 제 2 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전자석(102)으로부터 자성이 제거될 수 있다.
물론, 도어 손잡이(204)는 도어(200)가 열린 후 다시 제 1 위치로 자동적 또는 수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러한 도어 손잡이(204)의 복귀에 의하여 전자석(102)에 자성이 재형성되어 도어(200)가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에는 상술한 센서(108, 208)가 각각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센서(108, 208)가 각각 포함되는 경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의 구성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에서 도어 프레임(100)에 부착되는 자성체로 전자석(102)이 사용될 때, 필요에 따라 전자석(102)을 온/오프시켜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에 밀착되도록 하거나,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으로부터 쉽게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어(200)가 닫히는 경우에는, 도어(200)가 도어 프레임(100)에 가까워지게 되고 최종적으로 도어 개폐기(202)와 연결된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도어 프레임(100)에 형성된 프레임 홈(106)에 삽입될 수 있다.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프레임 홈(106)에 삽입되면, 프레임 홈(106) 내부에 장착된 제 1 센서(108)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제 1 센서(108)는, 예컨대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108)의 감지 동작에 대응하여 도어 프레임(100)에 부착된 전자석(102)에 자성이 형성되어 도어 프레임(100)과 도어(200)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의 도어 손잡이(204) 조작에 의하여 도어(200)가 열릴 수 있게 되는데, 도어 손잡이(204)가 제 2 위치에 오게 되면 도어 개폐기(202) 내에 장착된 제 2 센서(208)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제 2 센서(208)는, 예컨대 스위칭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센서(208)의 감지 동작에 대응하여 전자석(102)에서 자성이 제거되며, 이에 따라 도어 프레임(100)과 도어(200)가 서로 떨어져 도어(200)를 사용자가 손쉽게 열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로서, 제 1 센서(108), 제 2 센서(208), 제어부(300), 전자석 구동부(30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센서(108)는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200)가 닫히면서 도어 개폐기(202)와 연결된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가 도어 프레임(100) 내의 프레임 홀(106)에 삽입될 때, 도어 개폐용 돌출부(206)의 접촉을 감지하고 해당 감지 신호, 예컨대 접촉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 2 센서(208)는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위칭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 손잡이(204)가 위 또는 아래로 동작될 때, 이러한 동작을 감지하고 해당 감지 신호, 예컨대 스위칭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 1 센서(108)로부터 제공되는 접촉 감지 신호와, 제 2 센서(208)로부터 제공되는 스위칭 감지 신호에 대응하여 전자석 구동부(302)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센서(108)로부터 접촉 감지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제어부(300)는 전자석 구동부(302)를 온시키고, 제 2 센서(208)로부터 스위칭 감지 신호가 수신될 경우에 제어부(300)는 전자석 구동부(302)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전자석 구동부(302)는 제어부(300)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전자석(102)에 자성이 형성하게 할수도 있고, 자성이 제거되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성체, 예를 들어 전자석이 전체 부착된 도어 구조물의 프레임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의 전자석(102’)은 도 1의 전자석(102)과 마찬가지로 제 1 센서(108) 및 제 2 센서(208)로부터의 접촉 감지 신호 및 스위칭 감지 신호에 따른 제어부(300)의 온/오프 제어에 대응하여 자성이 형성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전자석(102, 102’) 대신에 영구자석을 적용할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도어 프레임(100)에 자성이 형성되더라도 도어(200)를 충분히 열 수 있는 사용자 환경, 예를 들어 도어 프레임(100)의 자성을 충분히 이겨낼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100)과 도어(200) 간의 자성을 선택적으로 부여/해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어 프레임(100)의 테두리에 영구자석을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 프레임에 자성체, 예컨대 전자석 또는 영구자석을 부착시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도어 프레임 간의 밀착 정도를 긴밀히 유지하여 공간 내의 차음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구현한 것이다. 또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도어와 도어 프레임에 장착하여 도어가 닫힐 때에는 전자석의 자성이 형성되도록 하고 도어가 열릴 때에는 전자석의 자성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차음 성능을 개선하면서 안전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이도록 구현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전자석(102)의 상부에 러버(rubber) 씰링(sealing)(104)이 형성된 도어 프레임(100)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의 2중 러버 씰링(104)은 도어 프레임(100)의 형상을 따라 러버가 2중으로 씰링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2중 러버 씰링(104)으로 인해 전자석(102)의 자성에 의한 밀착 동작에 부가하여,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간의 밀착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도 7은 이와 같은 도 6의 2중 러버 씰링(104)이 형성된 도어 프레임(100)의 단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00)의 내부에는 전자석(102)이 위치되고, 이러한 전자석(102)이 형성된 도어 프레임(100)의 형상을 따라 러버 씰링(104)이 형성됨으로써,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간의 밀착 성능이 보다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자석(102)을 러버 씰링(104) 내에 위치시켜 도어 프레임(100)의 구조적인 변형을 막아 도어 구조물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200) 개폐방향의 전후 방향으로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 간의 밀착 성능이 개선된다. 여기서, 추가적으로 소음의 근본적인 차단을 위하여 도어(200) 개폐방향에 대하여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간의 밀착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음 보조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방음 보조 수단이 부가적으로 마련된 도어 구조물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은 도어 프레임(100)의 상하좌우 내측면과 도어(200) 사이에 이격이 발생한 경우이고, 도 9는 방음 보조 수단이 이러한 이격을 차단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 보조 수단은, 도어(200)의 상하좌우 면에 마련된 도어 홈(210)과, 이러한 도어 홈(210) 내에 위치되는 방음 보조 부재(212)와, 도어 홈(210)과 방음 보조 부재(212)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수단(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홈(210)은 도어(200)의 상하좌우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수단(214)은, 예를 들어 스프링일 수 있으며, 도어 홈(210) 내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방음 보조 수단(212)에 고정될 수 있다.
방음 보조 부재(212)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탄성 수단(214)의 타단과 연결되어 도어 프레임(100) 내의 전자석(103)과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00) 상하좌우 내측면에는 전자석(103)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석(103)은 상기 내측면에 함몰되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참조번호 102의 전자석과 별도로 마련되어도 되며, 전자석(102)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별도의 참조번호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자석(103)은 앞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제어부(300)의 온/오프 제어에 따라 도어(200)를 열고자 할 때에 자성이 제거될 수 있으며, 반대로 도어(200)를 닫고자 할 때에 자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한 전자석(103)의 제어는 앞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103)에 자성이 해제된 상태, 즉 도어(200)가 열리기 직전 등의 때에, 탄성 수단(2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방음 보조 부재(212)는 도어 홈(2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방음 보조 부재(212)는 도어(200)의 개폐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도어 프레임(100)의 상하좌우 내측면과 도어(200)의 사이에는 이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이격을 통하여 주위 소음이 캐빈 내로 유입될 수 있어 소음 유입의 원인이 된다.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전자석(103)에 자성이 부여되면, 방음 보조 부재(212)가 도어 홈(210)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전자석(103)과 부착될 수 있다. 이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방음 보조 수단(212)이 전자석(102)의 자성에 반응한 결과이다. 이 때, 효과적인 방음을 위하여 방음 보조 부재(212)가 도어 홈(21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고, 방음 보조 부재(212)의 일부만이 도어 홈(21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석(103)에 자성이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방음 보조 부재(212)가 전자석(103)과 밀착되게 된다. 여기서, 방음 보조 부재(212)와 전자석(103) 사이의 자성은 탄성 수단(214)의 탄성력을 초과하도록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써, 도어(200)의 상하좌우 내측면과 도어프레임(100) 사이에 이격이 있더라도 방음 보조 부재(212)에 의하여 이격된 공간을 차단하게 되어 소음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0)의 개폐방향에 대하여 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좌후 방향에 대하여도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방음 보조 수단(212)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방음 보조 수단(212)은 흡음 재료(212a) 및 금속 재료(212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음 재료(212a)와 금속 재료(212b)는 층간 구조로 별도의 접착 재료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흡음 재료(212a) 및 금속 재료(212b)가 각각 1층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흡음 재료와 금속재료가 혼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흡음 재료(212a)는, 예를 들어 다공질 재료, 유연 재료, 막상 재료, 유공판 재료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100) 간의 틈을 제거하여 차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음 재료(212a)의 하부에 부착되는 금속 재료(212b)는, 예를 들어 타공판(perforated plate)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도어 프레임
102: 자성체
104: 2중 러버 씰링
106: 프레임 홈
108: 제 1 센서(접촉센서)
200: 도어
206: 도어 개폐용 돌출부
208: 제 2 센서(스위칭 센서)
210: 도어 홈
212: 방음 보조 수단
214: 탄성 수단
300: 제어부
302: 전자석 구동부

Claims (9)

  1. 도어 프레임의 테두리를 따라 부착되는 자성체와,
    도어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대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개폐기와,
    상기 도어 개폐기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 프레임의 프레임 홈에 삽입되는 도어 개폐용 돌출부와,
    상기 도어 개폐기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개폐용 돌출부를 동작시키는 도어 손잡이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자성체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자성체에 자성이 형성 또는 제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 개폐용 돌출부가 상기 프레임 홈에 삽입되면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프레임 홈에서 이탈되면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폐용 돌출부는 상기 도어 손잡이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홈에 삽입되고, 제 2 위치에서 상기 프레임 홈에서 이탈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 손잡이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할 때 도어가 닫히는 것으로 감지하고, 상기 제 2 위치에 위치할 때 도어가 열리는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 개폐용 돌출부가 상기 프레임 홈에 삽입되는 것을 감지하는 제 1 센서 및 상기 도어 손잡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 2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센서는 접촉 센서이고, 제 2 센서는 스위칭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하좌우 면에 형성되는 도어 홈과,
    상기 도어 홈의 내측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탄성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의 타단에 고정되는 방음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보조 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하좌우 내측면에 위치하는 자성체와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자성체에 자성이 형성될 때 상기 자성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 보조 부재는,
    흡음 재료와,
    상기 흡음 재료와 층간 구조로 서로 부착되는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KR1020100096827A 2010-10-05 2010-10-05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KR20120035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827A KR20120035355A (ko) 2010-10-05 2010-10-05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827A KR20120035355A (ko) 2010-10-05 2010-10-05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355A true KR20120035355A (ko) 2012-04-16

Family

ID=46137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827A KR20120035355A (ko) 2010-10-05 2010-10-05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53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37B1 (ko) * 2022-04-18 2023-01-10 임명재 문틈 차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7537B1 (ko) * 2022-04-18 2023-01-10 임명재 문틈 차단장치
WO2023204524A1 (ko) * 2022-04-18 2023-10-26 유퀸스 주식회사 문틈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68552B2 (ja) 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JP4506803B2 (ja) 車両用窓ガラス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10030413B2 (en) Outer handle device for vehicle door
US10612278B2 (en) Vehicle stowage assembly
WO2007042233A3 (de) Vorrichtung zum öffnen von schlössern an türen oder klappen bei fahrzeugen
JP2016011053A (ja) 車両ドア開閉補助装置
WO2018008671A1 (ja) ドア構造
KR20120035355A (ko) 도어 구조물의 방음 장치
CN114556725A (zh) 带有具有门状态传感器的开关柜门的开关柜
KR20130088892A (ko) 윈도우 페인의 하강을 위한 방법 및 차량
JP2008175441A (ja) 冷蔵庫
JP2009061820A (ja) 自動車用窓のガラス割れ検出装置
JP2004136802A (ja) 自動車用ドアおよびドアトリム
JP2009227002A (ja) ドアセンサユニット
US20150165874A1 (en) Vent device
KR102007171B1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2529900B1 (ko) 엠블럼 일체형 오픈 스위치장치
JP2005139671A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JP5348469B2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6023022A (ja) 冷蔵庫
JP2004262636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US20230012521A1 (en) Electronic Park Brake Interface Module, Park Brake Controller and System
JP3832508B1 (ja) 開閉検知装置
JP4327748B2 (ja) 操作盤
KR20050097780A (ko) 전자식 도어 체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