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5218A -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5218A
KR20120035218A KR1020127004192A KR20127004192A KR20120035218A KR 20120035218 A KR20120035218 A KR 20120035218A KR 1020127004192 A KR1020127004192 A KR 1020127004192A KR 20127004192 A KR20127004192 A KR 20127004192A KR 20120035218 A KR20120035218 A KR 20120035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il
groove
bobbin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사쿠마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5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52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magnetic or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2Coils wound on non-magnetic supports, e.g. 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가동자 측에 마련된 코일(15)을 보빈(14)에 대해서 강고하게 유지시켜, 코일(15)에 발생하는 미소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동자의 보빈(14)의 코일(15)의 권선방향으로 홈(19)을 형성하고, 이 홈(19)에 권선(18)을 감아 코일(15)을 형성하며, 상기 코일(15)의 전체를 일체화시킴과 아울러, 코일(15)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이 인접하는 것끼리로 서로 접촉시키고, 또한, 횡단면에서 상기 홈(19)의 일부에 대해서 접촉시킨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VIBRATION DAMPING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승강체,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올라타는 엘리베이터칸은 승강로 내에 세워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따라서 승강로 내를 승강한다. 즉,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에는 롤러 등을 구비한 가이드장치가 설치되어 있고, 이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안내면을 따라서 전동(轉動)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의 수평방향의 이동이 소정의 범위 내로 구속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 자체에 약간의 굽힘 발생해 있거나, 가이드레일의 이음매에 국소적인 미소 굽힘이 존재하거나 하고 있으면, 상기 롤러가 그 부분을 통과할 때에, 엘리베이터칸에 횡방향의 진동이 발생해 버린다. 이와 같은 현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속도가 빨라질수록 현저하게 되며, 특히 고속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 내에서의 쾌적성을 저해하는 큰 요인이 되고 있다.
종래에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최적 설계나 패시브(passive) 제진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에 발생하는 횡진동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었다.
또, 상기 횡진동을 저감시키는 것으로서,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액티브(activce) 제진 기술도 고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한 제진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칸의 진동상태를 센서에 의해서 검지함으로써, 그 검지결과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동작시켜, 엘리베이터칸의 진동을 적극적으로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1-12255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것에서는, 제진장치의 액츄에이터의 가동자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가이드레일에 대한 롤러의 밀어붙이는 힘을 조정하여, 엘리베이터칸의 진동을 억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상기 제진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액츄에이터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22에서 31은 액츄에이터의 가동자 측에 마련된 보빈, 32는 보빈(31)에 감긴 코일, 33은 코일(32)을 구성하는 권선(捲線)이다. 코일(32)의 제조시, 보빈(31)의 양측의 플랜지(34)에 권선(33)을 밀착시켜 계속 감는 것은 곤란하며, 일반적으로, 코일(32)과 한쪽의 플랜지(34)(혹은, 양쪽 모두의 플랜지(34))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35)가 발생해 버린다.
이 때문에,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서 코일(32)에 관성력이 작용하면, 상기 틈새(35)가 형성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서, 코일(32)에 미소한 미끄럼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그리고, 가동자의 왕복운동에 의해서 코일(32)의 미소 이동이 반복되어 버리면, 권선(33)에 형성된 절연층이 마모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가동자 측에 마련된 코일을 보빈에 대해서 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코일에 발생하는 미소 미끄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로서, 승강체에 마련된 영구자석을 가지는 고정자와,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가지며, 코일의 통전(通電)시에 발생하는 로렌츠력에 의해서 소정의 범위를 이동하는 가동자와,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에 따라 코일에 전류를 흘려,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이 저감하도록 가동자를 동작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보빈은 코일이 감겨진 권취면(卷取面)에 코일의 권선방향으로 홈을 가지며, 코일은 전체가 일체화됨과 아울러,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이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접촉하고, 또한 횡단면에서 홈의 일부에 대해서 접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가동자 측에 마련된 코일을 보빈에 대해서 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코일에 발생하는 미소 미끄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화살표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가이드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B-B화살표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C-C화살표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진장치의 가동자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진장치의 가동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보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보빈의 다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D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첨부의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진장치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화살표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가이드장치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B-B화살표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C-C화살표에서 본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2는 승강로(1) 내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 3은 승강로(1) 내에 세워 마련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다.
상기 엘리베이터칸(2)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체를 구성하고,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실(4), 엘리베이터칸실(4) 등을 지지하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5), 엘리베이터칸 프레임(5)의 상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장치(6)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장치(6)는 가이드레일(3)에 맞물려 엘리베이터칸(2)의 승강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드장치(6)는, 예를 들면, 대향하는 가이드레일(3)에 대해서 3방향으로부터 접촉하는 롤러(7)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롤러(7)가 가이드레일(3)의 안내면을 전동함으로써, 엘리베이터칸(2)의 수평방향의 움직임이 소정의 범위로 구속되며, 또한, 연직방향의 움직임을 원활히 안내한다.
8은 엘리베이터칸(2)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이다. 이 제진장치(8)는 엘리베이터칸(2)에 발생한 횡진동을 검출하고, 그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도록, 상기 롤러(7)의 가이드레일(3)에 대한 밀어붙이는 힘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진장치(8)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5)에 지지되어 있으며, 액츄에이터(9), 센서(10), 제어장치(11)에 의해, 그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액츄에이터(9)는 엘리베이터칸 프레임(5)에 마련된 고정자와, 롤러(7)에 연동하는 레버(12)에 마련된 가동자로 구성된다.
액츄에이터(9)의 고정자는 영구자석(13)을 구비하고 있다. 이 영구자석(13)은 소정의 지지부재 등을 통하여 엘리베이터칸 프레임(5)에 고정되어 있다.
또, 액츄에이터(9)의 가동자는 상기 레버(12)에 고정된 보빈(14)과, 이 보빈(14)에 감긴 코일(15)을 가지고 있으며, 코일(15)이 상기 영구자석(13)의 자장의 영향을 받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코일(15)이 통전되면, 전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른 로렌츠력이 코일(15)에 발생한다. 그리고, 가동자는 이 발생한 로렌츠력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레버(12)를 요동시킨다. 또한, 가동자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는 미리 소정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제어장치(11)는 엘리베이터칸(2)에 발생한 횡진동에 따라 코일(15)에 전류를 흘리고, 그 횡진동이 저감하도록 액츄에이터(9)의 가동자를 동작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센서(10)는 엘리베이터칸(2)에 발생한 횡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어장치(11)는 센서(10)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코일(15)에 흘리는 전류값을 결정하여, 액츄에이터(9)에 대해서 동작지령을 출력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제진장치(8)에서는, 제진제어를 행할 때(즉, 가동자가 이동할 때)에, 코일(15)에 대해서 관성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 1에서의 액츄에이터(9)의 가동자에는 상기 관성력이 작용했을 때에도 코일(15)에 미소 미끄럼을 일으키지 않기 위한 특유의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 도 6 내지 도 11도 참조하여, 액츄에이터(9)의 가동자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진장치의 가동자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제진장치의 가동자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보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보빈의 다른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도 7의 D부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1은 코일(15)을 감기 전의 도 7의 D부에 상당한다.
도 6 내지 도 11에서, 16은 보빈(14)에 형성된 권취면, 17은 권취면(16)의 양측(도 7에서는 상하)에 배치된 보빈(14)의 플랜지, 18은 코일(15)을 구성하는 권선이다. 보빈(14)의 권취면(16)에는 권선(18)을 감는 방향으로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응한 홈(19)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19)의 형성 개소는, 권취면(16) 가운데, 권선(18)이 감겨지는 부분의 전역이라도 되고(도 8 참조), 각부(角部)(만곡부)만이라도 된다(도 9 참조). 또, 권취면(16)에 대한 홈(19)의 형성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보빈(14)에 대한 기계가공에 의해서 홈(19)을 형성해도 되고, 본체부와 홈부와의 일체 성형에 의해서 보빈(14)을 제조해도 된다.
권취면(16)에 형성된 상기 홈(19)은, 구체적으로, 횡단면(홈(19)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만곡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 이 홈(19)은 권선(18)의 선 직경과 동등한 개구 폭(도 11에 나타내는 W1)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횡단면에서 상기 권선(18)보다도 큰 만곡(작은 곡률)을 가지고 있다.
홈(19)이 상기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홈(19)에 감긴 각 권선(18), 즉, 코일(15)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횡단면(권선(18)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에서 홈(19)의 전체에 접촉하지 않고, 홈(19)의 최심부분에만 접촉한다. 또, 각 홈(19)의 간격이 권선(18)의 선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그 길이를 따라 걸쳐 서로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15)과 보빈(14)의 한쪽의 플랜지(17)(혹은, 양쪽 모두의 플랜지(17))와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자의 이동에 의해서 코일(15)에 관성력이 작용했을 때에, 이 관성력이 코일(15)에 대한 유지력보다 크면 코일(15)에 미소 미끄럼이 발생해 버린다.
도 22에 나타내는 종래의 구성에서는, 권선(33)을 권취면에 감을 때의 장력과 권선(33) 및 권취면 사이의 마찰계수에 의해서 정해지는 마찰력이 상기 유지력에 상당하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의 가동자에서는, 권선(18a)과 권취면(16)과의 마찰력에 더하여, 권선(18a)이 홈(19)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을 때의 저항력도 상기 유지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권선(18a)이 홈(19)의 가장자리를 타고 넘기 위해서는, 권선(18a)은 그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측방으로 이동하여야 한다. 상기 코일(15)에서는, 각 권선(18a)이 인접하는 권선(18a)과 서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권선(18a) 사이의 마찰저항도 상기 유지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자에서는, 권선(18)을 권취면(16)에 감은 후, 코일(15)에 바니시(varnish)를 함침시키거나, 권선(18)을 자기융착선(自己融着線)으로서 열경화시키거나 함으로써, 코일(15) 전체를 일체화해 둔다. 이것에 의해, 권선(18a) 사이의 접착력을 상기 유지력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코일(15)에 발생하는 미소 미끄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2)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8)에 있어서, 액츄에이터(9)의 가동자 측에 마련된 코일(15)을 보빈(14)에 대해서 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코일(15)에 발생하는 미소 미끄럼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10에서는 권선(18)을 완전히 정렬하여 감는 것에 의해 권취면(16)에 감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코일(15)의 외층부의 일부에서 정렬되지 않아도, 상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실시형태 2.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빈(14)의 권취면(16)에는 권선(18)을 감는 방향으로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응한 홈(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21)은 상기 홈(19)과 마찬가지로, 횡단면에서 원의 일부를 형성하는 만곡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 홈(21)은 권선(18)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개구 폭(도 13에 나타내는 W2)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횡단면에서 상기 권선(18)보다도 큰 만곡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1에서는, 홈(19)의 간격이 개구 폭(W1)과 같았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21)의 간격이 개구 폭(W2)보다도 크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인접하는 홈(21)의 사이에는 홈(2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평탄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 1에서의 홈(19)을 기계가공에 의해서 권취면(16)에 형성한 경우, 각 홈(19)의 가장자리(경계부분)에는 절삭저항에 의해서 버(burr)가 발생하기 쉽고, 권선(18a)에 흠집이 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접하는 홈(21) 사이에 평탄부(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가공에 의해서 홈(21)을 형성하는 경우에서도, 그 가장자리에 발생하는 버를 큰 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평탄부(2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 모따기(slight chamfering) 등의 마무리 가공도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권선(18a)의 손상을 큰 폭으로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외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3.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보빈(14)의 권취면(16)에는 권선(18)을 감는 방향으로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응한 홈(23)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23)은 횡단면에서 권선(18)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폭(도 15에 나타내는 W3)을 가지는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홈(23)이 직사각형을 나타내기 때문에, 인접하는 홈(23)의 사이에는 홈(23)의 길이를 따라서 필연적으로 평탄부(24)가 형성된다.
홈(23)이 상기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코일(15)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홈(23)의 양 가장자리(홈(23)과 평탄부(24)와의 경계부분)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빈(14)에 고정된다. 또, 각 홈(23)의 간격이 권선(18)의 선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그 길이를 따라 걸쳐 서로 접촉한다.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최내층을 구성하는 권선(18a)이 대응하는 홈(19 및 21)에 대해서, 횡단면에서 한 개소에서 접촉하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선(18a)이 홈(23)에 대해서, 횡단면에서 상하로 떨어진 2개소에서 접촉하고 있다. 보빈(14)(가동자)은 제진제어에 의해서 상하로 왕복이동하기 때문에, 코일(15)에 대해서는, 도 14에서 위쪽 방향의 관성력과 아래쪽 방향의 관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 구성의 홈(23)으로 하면, 관성력의 작용하는 방향에 맞춘 권선(18a)의 지지, 즉, 상하 2개소의 지지가 가능하게 되어, 코일(15)을 보빈(14)에 대해서 더욱 강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홈(23)에 감긴 권선(18a)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23)의 양 가장자리에는, 모따기나 작은 모따기 등의 마무리 처리를 실시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4.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4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서, 보빈(14)의 권취면(16)에는 권선(18)을 감는 방향으로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응한 홈(25)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25)은, 그 깊이를 얕게 한 것 외에는 상기 홈(23)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26은 인접하는 홈(25)의 사이에 형성된 평탄부이다.
홈(25)이 상기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코일(15)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권선(18a)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홈(25)의 양 가장자리와 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빈(14)에 고정된다. 또, 각 홈(25)의 간격이 권선(18)의 선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내층을 구성하는 권선(18a)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서로 접촉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최내층을 구성하는 권선(18a)이 대응의 홈(23)에 대해서 횡단면에서 상하 2개소에서 지지되어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선(18a)이 홈(25)에 대해서 횡단면에서 상하로 떨어진 3개소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구성의 홈(25)으로 하면, 권선(18a)에 작용하는 하중(예를 들면, 감을 때의 장력이나 상기 관성력)을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권선(18a)의 국소에 하중이 집중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5.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에서, 보빈(14)의 권취면(16)에는 권선(18)을 감는 방향으로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응한 홈(27)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27)은 횡단면에서 권선(18)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개구 폭(도 19에 나타내는 W4)을 가지는 쐐기형(삼각형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또, 각 홈(27)의 사이에는 홈(27)의 길이에 따라서 평탄부(28)가 형성되어 있다.
홈(27)이 상기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코일(15)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홈(27)을 형성하고 있는 2개의 경사면의 쌍방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 각 홈(27)의 간격이 권선(18)의 선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서로 접촉한다.
실시형태 3에서는, 최내층을 구성하는 권선(18a)이 홈(23)의 양 가장자리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권선(18a)에 작용하는 하중이 권선(18a)의 국소에 집중하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권선(18a)이 상기 경사면, 즉 평면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권선(18a)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의 홈(27)으로 하면, 쐐기 효과에 의해서 권선(18a)을 강고하게 유지 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 홈(27)의 사이의 평탄부(28)는 필요에 따라서 형성하면 되고, 홈(27)이, 실시형태 1에서의 홈(19)과 같이, 상하방향(폭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그 외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실시형태 6.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의 D부의 상세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에서의 보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및 도 21에서, 보빈(14)의 권취면(16)에는 권선(18)을 감는 방향으로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응한 홈(29)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29)은 하부홈(29a) 및 상부홈(29b)의 상하 2단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홈(29a)은 횡단면에서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있으며, 권선(18)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폭(도 21에 나타내는 W5)을 가지고 있다. 또, 상부홈(29b)은 하부홈(29a)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및 위쪽(권취면(16) 측)으로 넓어지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지며, 하부홈(29a)의 폭보다 넓고 권선(18)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개구 폭(도 21에 나타내는 W6(> W5))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부홈(29b)은 횡단면에서 원의 일부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권선(18)보다도 큰 만곡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30은 인접하는 홈(29)의 사이에 형성된 평탄부이다.
즉, 상기 홈(29)은, 실시형태 2에서의 홈(21)에 대해서, 그 최심부분에 직사각형의 홈을 더 추가한 것에 상당한다.
홈(29)이 상기 형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코일(15)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18a)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하부홈(29a)의 양 가장자리(하부홈(29a)과 상부홈(29b)의 경계부분)에 접촉한 상태에서 보빈(14)에 고정된다. 또, 각 홈(29)의 간격이 권선(18)의 선 직경에 맞추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최내층을 구성하는 권선(18a)은 인접하는 것끼리가 그 길이를 따라 걸쳐서 서로 접촉한다.
실시형태 3(및 4)에서의 홈(23)(및 25)에서는 그 폭(W3)이 권선(18)의 선 직경에 대해서 너무 좁게 되면, 권선(18)을 권취면(16)에 감을 때에, 권선(18)이 홈(23)으로부터 어긋나기 쉬워져, 권선(18)을 정연하게 배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홈(29)이 상하 2단의 구성을 가지고 있고, 권선(18a)이 하부홈(29a)의 양 가장자리에 지지되기 때문에, 권선(18)을 감을 때에, 상부홈(29b)을 권선(18)의 안내로서 기능시킬 수 있어, 상기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권선(18a)이 상부홈(29b)을 타고 넘을 때의 저항력도 코일(15)에 대한 유지력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 외는, 실시형태 3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액티브 롤러 가이드에 적용되는 보이스 코일형의 액츄에이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능을 가지는 제진장치의 액츄에이터의 가동자 측에 코일이 마련되고 있는 것이면, 상기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해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제진장치에 있어서, 액츄에이터의 가동자 측에 코일을 가지는 것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1 승강로 2 엘리베이터칸
3 가이드레일 4 엘리베이터칸실
5 엘리베이터칸 프레임 6 가이드장치
7 롤러 8 제진장치
9 액츄에이터 10 센서
11 제어장치 12 레버
13 영구자석 14, 31 보빈
15, 32 코일 16 권취면
17, 34 플랜지 18, 18a, 33 권선
19, 21, 23, 25, 27, 29 홈 20, 35 틈새
22, 24, 26, 28, 30 평탄부 29a 하부홈
26b 상부홈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로서,
    상기 승강체에 마련된 영구자석을 가지는 고정자와,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가지고, 상기 코일의 통전시에 발생하는 로렌츠력에 의해서 소정의 범위를 이동하는 가동자와,
    상기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에 따라 상기 코일에 전류를 흘려, 상기 승강체에 발생한 횡진동이 저감하도록 상기 가동자를 동작시키는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겨진 권취(卷取)면에 상기 코일의 권선(捲線)방향으로 홈을 가지며,
    상기 코일은 전체가 일체화됨과 아울러,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이 인접하는 것끼리로 서로 접촉하고, 또한 횡단면에서 상기 홈의 일부에 대해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은 횡단면에서 떨어진 복수 개소에서 상기 홈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권취면에 형성된 상기 각 홈은 상기 코일의 권선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을 나타내고,
    상기 코일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은 상기 홈의 양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은 상기 홈의 양 가장자리와 상기 홈의 저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권취면에 형성된 상기 각 홈은 상기 코일의 권선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개구 폭을 가지는 쐐기형을 나타내고,
    상기 코일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은 상기 홈을 형성하는 경사면의 쌍방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권취면에 형성된 상기 각 홈은,
    상기 코일의 권선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폭을 가지는 직사각형 모양의 하부홈과,
    상기 하부홈의 양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넓어지는 만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일의 권선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개구 폭을 가지는 상부홈을 가지며,
    상기 코일의 최내층을 구성하는 각 권선은 상기 하부홈의 양 가장자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권취면에 형성된 상기 각 홈은 상기 코일의 권선의 선 직경보다도 좁은 개구 폭을 가지고, 또한, 횡단면에서 상기 코일의 권선보다도 작은 곡률을 가지는 만곡 모양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KR1020127004192A 2009-08-19 2009-08-19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KR201200352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4526 WO2011021288A1 (ja) 2009-08-19 2009-08-19 エレベーターの制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5218A true KR20120035218A (ko) 2012-04-13

Family

ID=43606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192A KR20120035218A (ko) 2009-08-19 2009-08-19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03731A1 (ko)
EP (1) EP2468675A1 (ko)
JP (1) JPWO2011021288A1 (ko)
KR (1) KR20120035218A (ko)
CN (1) CN102471029A (ko)
WO (1) WO2011021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671B1 (ko) * 2020-06-19 2021-07-07 제이에이취엔지니어링주식회사 반도체 단결정 성장을 위한 자기장 발생 전자석용 보빈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32158A2 (en) 2013-12-13 2017-02-22 LORD Corporation Redundant active vibration and nois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CN107879232B (zh) * 2016-09-30 2021-07-20 奥的斯电梯公司 补偿链稳定装置和方法,电梯井道以及电梯系统
DE102017211400B4 (de) * 2017-07-04 2019-01-31 Richard Wolf Gmbh Schallwellenbehandlungsgerät
US20210039921A1 (en) * 2018-04-12 2021-0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ctive guide roller and elevator device
JP7173874B2 (ja) * 2019-01-11 2022-11-16 京セラ株式会社 コア部品、そ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ダ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9703A (ja) * 1989-02-09 1990-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イルボビン
JP4161063B2 (ja) * 1999-10-22 2008-10-08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及び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装置
JP2006338905A (ja) * 2005-05-31 2006-12-14 Sunx Ltd 近接センサ用検出コイル、近接センサ
JP4981587B2 (ja) * 2007-08-29 2012-07-25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671B1 (ko) * 2020-06-19 2021-07-07 제이에이취엔지니어링주식회사 반도체 단결정 성장을 위한 자기장 발생 전자석용 보빈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21288A1 (ja) 2013-01-17
EP2468675A1 (en) 2012-06-27
WO2011021288A1 (ja) 2011-02-24
CN102471029A (zh) 2012-05-23
US20120103731A1 (en)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5218A (ko)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JP5514917B2 (ja) 磁気ブレーキ装置を備えるエレベータシステム
KR102389086B1 (ko) 제동 부재 작동 기구
US20190233251A1 (en) Method and an elevator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doorstep gap of an elevator and an elevator
CN104781174A (zh) 电梯制动器
JP2001122555A5 (ko)
KR102042927B1 (ko) 리니어 모터 방식 엘리베이터의 비상 정지 장치
KR20170063548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KR20130115324A (ko) 엘리베이터용 전자 브레이크 장치
US20180029829A1 (en) Mechanically integrated propulsion guiding unit
CN107487695B (zh) 可变直线电机间隙
JP2006188316A (ja) エレベータ
JP2007177429A (ja) 機械式駐車装置の扉装置
KR102097873B1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
JPWO2018193494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ブレーキ及びエレベータ巻上機
JP5550782B2 (ja) リニアモータ駆動装置
US10336577B2 (en) Braking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JP5158599B2 (ja) 取付治具
JP6854158B2 (ja) リニアモータ
JP2015104200A (ja) リニアモータ
JP5467436B2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CN110546100B (zh) 电梯装置
JP7335931B2 (ja) エレベータ
JP5773667B2 (ja) 磁石ユニットおよびエレベータの磁気ガイド装置
JP6944356B2 (ja) 機械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