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891A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891A
KR20120034891A KR1020100096263A KR20100096263A KR20120034891A KR 20120034891 A KR20120034891 A KR 20120034891A KR 1020100096263 A KR1020100096263 A KR 1020100096263A KR 20100096263 A KR20100096263 A KR 20100096263A KR 20120034891 A KR20120034891 A KR 20120034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layer
touch screen
layers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725B1 (ko
Inventor
이신혜
정하양
우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6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725B1/ko
Priority to US13/118,012 priority patent/US8760448B2/en
Priority to EP11006237.9A priority patent/EP2437142B1/en
Priority to CN201110261630.0A priority patent/CN102446064B/zh
Publication of KR2012003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1Reproducing mixed stereoscopic images; Reproducing mixed monoscopic and stereoscopic images, e.g. a stereoscopic image overlay window on a monoscopic image backg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입체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여, 복수의 레이어 형태로 구현되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으며, 3차원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를 통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서 3차원 영상이 구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보다 편리한 조작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레이어를 통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입체 레이어 구조(structure)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중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각각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3D depth)를 부여하고, 상기 3차원 깊이가 부여된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는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보다 편리하게 조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공간에 배치되는 3차원 레이어 구조를 이용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어 사용자는 새로운 시각효과와 함께 보다 편리하게 이동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
도 4는 양안시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시야 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에서 3D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입체 레이어 구조를 나타내는 일예.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어별로 구분된 일예.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뉴 선택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개념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 중 하나의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일예.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3차원 입체영상이 생성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1 시각효과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일예.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기울기를 통해 3차원 레이어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예.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통해 3차원 레이어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예.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아이콘의 시각효과를 나타내는 일예.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터치 영역을 통해 3차원 레이어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예.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또 다른 형태의 터치 영역을 통해 3차원 레이어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예.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영역을 통해 3차원 레이어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예.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기구 설명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면 터치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가상 키패드'(virtual keypad)라 불릴 수 있다.
도 3은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가상 키패드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가상 키패드(151c)가 출력된다. 가상 키패드(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가상 키패드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 유닛(131)이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에서 특정 오브젝트를 가리키거나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화살표 또는 손가락 형태의 그래픽은 포인터(pointer) 또는 커서(cursor)로 호칭된다. 그러나, 포인터의 경우 터치 조작 등을 위한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그래픽을 커서라 칭하고,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과 같이 터치, 근접터치, 제스쳐(gesture)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수단을 포인터라 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3차원 영상 표현 방법 및 그를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구현되는 입체 영상은 크게 두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분의 기준은,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제공되는지 여부이다.
먼저, 첫 번째 입체 영상 카테고리를 설명한다.
첫 번째 카테고리는 양안에 동일한 영상이 제공되는 방식(monoscopic)으로,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로도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는, 제어부(180)가 가상의 입체공간 상에 하나 이상의 점, 선, 면 또는 그들의 조합을 통하여 생성된 다면체를 배치하고, 그를 특정 시점에서 바라본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입체 영상의 실질은 평면 영상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카테고리는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제공되는 방식(stereo scopic)으로, 인간이 육안으로 사물을 볼 때 입체감을 느끼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즉, 사람의 두 눈은 서로 간에 이루는 거리에 의해 동일한 사물을 볼때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을 보게 된다. 이러한 서로 다른 평면 영상은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고, 뇌는 이를 융합하여 입체 영상의 깊이(depth) 및 실제감(reality)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사람마다 다소간의 차이는 있으나, 양안이 서로 이루는 거리에 의한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가 입체감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양안시차는 두 번째 카테고리의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양안시차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한다.
도 4는 양안시차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육면체(410)를 눈높이보다 아래의 정면에 두고 육안으로 보는 상황을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좌안으로는 육면체(410)의 윗면, 정면 및 좌측면의 3면 만이 보이는 좌안 평면영상(420)이 보이게 된다. 또한, 우안으로는 육면체(410)의 윗면, 정면 및 우측면의 3면 만이 보이는 우안 평면영상(530)이 보이게 된다.
만약, 실제 눈 앞의 사물이 아니더라도 좌안에는 좌안 평면영상(420)이, 우안에는 우안 평면영상(530)이 각각 도달되도록 하면 사람은 실제로 육면체(410)를 보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다.
결국, 이동 단말기에서 두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동일한 오브젝트를 일정 시차를 두고 본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 각각을 구분하여 양안에 도달시켜야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두 카테고리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첫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을 "2D 입체영상"이라 칭하고, 두 번째 카테고리의 입체 영상을 "3D 입체영상"이라 칭한다.
다음으로, 3D 입체영상의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3D 입체영상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이 각각 구분되어 양안에 도달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이하 설명한다.
1) 시차 장벽 방식
시야 장벽(parrallax barrier) 방식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와 양안 사이에 구비되는 차단장치를 전자적으로 구동하여 빛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를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시야 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에서 3D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3D 입체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시야 장벽 방식의 디스플레이부(151)의 구조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151a)에 스위치 액정(151b)을 조합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 액정(151b)을 이용하여 도 5의 (a)와 같이 광학 시차 장벽(500)을 작동시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좌우의 눈에 각기 다른 광이 도달하도록 분리할 수 있다. 때문에 우안용 화상과 좌안용 화상이 조합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51a)에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각각의 눈에 대응한 화상이 보여 마치 입체로 표시된 것처럼 느끼게 된다.
또한, 도 5의 (b)와 같이 스위치 액정에 의한 시차 장벽(500)을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광이 전부 투과되도록 함으로써, 시차 장벽에 의한 광의 분리를 없애 좌우의 눈에 같은 화상이 보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와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시차장벽이 하나의 축 방향으로 평행이동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제어부(180)의 제어신호에 따라 둘 이상의 축 방향으로도 평행이동 할 수 있는 시차 장벽이 사용될 수 있다.
2) 렌즈 굴절 방식
렌즈 굴절 방식(lenticular)은, 디스플레이부와 양안 사이에 구비되는 렌티큘러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빛의 진행방향을 렌티큘러 스크린 상의 렌즈들을 통하여 굴절시키는 방법으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3) 편광 안경 방식
편광 방향이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거나, 원평광 방식인 경우 서로 회전방향이 다르도록 편광시켜 양안에 서로 다른 영상을 제공하는 방법이다.
4) 액티브 셔터 방식
안경 방식의 일종으로,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소정 주기로 우안용 영상과 좌안용 영상을 번갈아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안경은 해당 방향의 영상이 표시될 때 반대편 방향의 셔터를 닫아 해당 방향의 영상이 해당 방향의 안구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좌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동안에는 우안의 셔터를 닫아 좌안에만 좌안용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고, 우안용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동안에는 좌안의 셔터를 닫아 우안에만 우안용 영상이 도달되도록 하는 방법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 언급되는 이동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특히,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상술한 3D 입체영상 구현 방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3D 입체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레이어들을 이용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어는 소정 크기를 갖는 평면으로, 그 모양과 크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원형, 마름모형 등의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고, 크기는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크기에 대응하여 일부 또는 전체 영역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복수의 레이어들이 배치된 구조(structure)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입체 레이어 구조(structure)를 나타내는 일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을 중심축(600)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형태로 배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입체 레이어 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플릭킹(flicking) 또는 스크롤 동작에 의해 각각의 레이어들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스크린 상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될 수 있고, 상기 위치 변경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레이어들에 대한 조작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이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특정 패턴의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3차원 입체영상을 제공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2차원 입체영상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최근, 3차원 입체영상의 보급이 확장되었지만, 기존의 2차원 입체영상에 익숙한 사용자에게 3차원 입체영상의 사용 여부 선택의 기회를 부여하면, 더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3차원 입체영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즉, 화면의 스크롤, 메뉴선택, 정보 열람 등을 위한 일반적인 터치 입력과 복수의 레어어들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구분하기 위해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에만 3차원 입체영상의 복수의 레이어가 표시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특정 패턴의 터치 입력을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라고 칭한다.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의 예로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을 터치하거나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초과하는 터치 면적을 손바닥으로 쥐는 터치 입력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각 레이어 내에서 아이콘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롱터치, 근접터치, 롱근접터치, 멀티터치하는 것 등도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기존의 2차원 입체영상의 레이어들은 3차원 입체영상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또한, 이때 복수의 3차원 레이어 각각에 포함된 아이콘들도 3차원 입체영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사용자의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음을 가정하고, 복수의 레이어들이 3차원으로 표시되는 것에 대해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상태도이다.
도 7을 포함한 이하의 디스플레이 상태도들은 도면의 표현 한계로 평면 영상으로 도시되나, 상술한 3차원 입체영상 구현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입체영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의 일예로서 이동 단말기의 왼쪽 상측 모서리의 일부 영역(700)을 엄지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은 다양한 형태로 이뤄질 수 있고, 도 7b에서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701)을 초과하는 터치 면적을 손바닥으로 쥐는 터치 입력도 이에 해당 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 제어부는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를 부여하여, 3차원 입체 영상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도 7c를 참조하면 레이어 1 부터 레이어 3까지 총 3개의 레이어들이 입체 공간상에서 소정 간격을 두고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어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3차원 입체영상으로 구현될 때, 사용자에게는 레이어 1이 가장 상부에 있으며 사용자에게 가깝게 느껴지도록 낮은 3차원 깊이(depth)를 가진다. 또한, 레이어 2를 거쳐 레이어 3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배치 높이가 낮아지며 사용자로부터 멀게 느껴지도록 깊은 3차원 깊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레이어들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한 소정의 명령 입력을 통하여 배치 위치 및/또는 3차원 깊이가 변경될 수 있다. 레이어들을 조작하기 위한 명령 입력은 터치스크린(151)을 통한 접촉 터치 및 근접 터치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이어들의 3차원 깊이 변경의 예로, 사용자 조작을 통한 3차원 깊이 변경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c와 같은 레이어들의 배치 상태에서 레이어 1의 위치에 해당하는 3차원 깊이의 레이어의 표면만이 선명하게 표시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레이어 1의 위치보다 깊은 3차원 깊이에 위치한 레이어(즉, 레이어 2 및 레이어 3)들의 표면은 그보다 낮은 3차원 깊이에 위치한 레이어(즉, 레이어 1)에 가려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가정하에서, 도 7d와 같이 터치스크린을 통한 소정의 조작으로 모든 레이어들을 사용자에게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으로 느껴지도록 3차원 깊이를 낮출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레이어 2가 도 7c에서의 레이어 1에 해당하는 3차원 깊이를 갖게 되며, 레이어 3은 도 7c에서 레이어 2에 해당하는 3차원 깊이를 갖게된다. 여기서, 가정과 같이 도 7c의 레이어 1의 깊이에 위치한 레이어의 표면만이 선명하게 표시되므로, 도 7d에서는 레이어 2의 표면이 가장 선명하게 표시되고, 레이어 3의 표면은 레이어 2의 표면에 가려지게 된다.
한편, 레이어 1은 도 7c에서의 자신의 위치보다 낮은 3차원 깊이를 갖게되는데, 이러한 경우 제어부(180)는 레이어 1을 레이어 2의 3차원 깊이에서 멀어질 수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만들 수 있다.
상술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는 레이어 2의 표면을 레이어 1의 방해 없이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다시 모든 레이어들의 3차원 깊이가 깊어지도록 하면 다시 도 7c와 같은 상태가 될 것이며, 모든 레이어들의 3차원 깊이가 더 낮아지도록 하면 레이어 1 및 레이어 2 모두가 투명 또는 반투명해지면서 레이어 3의 표면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도 7c에서 레이어 1의 3차원 깊이와 같이 해당 깊이에 위치하는 레이어의 표면이 다른 선명한 레이어에 가리지 않고 선명하게 나타나도록 하는 3차원 깊이를 편의상 "기준깊이"라 칭한다.
또한, 도 7에서 설명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동작이 이동 단말기의 메뉴 조작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예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레이어별로 구분된 일예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레이어 1과 레이어 2에는 각각 수평적 관계의 메뉴들이 각각 매핑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레이어 1과 레이어 2에 매핑된 메뉴들은 상위메뉴와 하위메뉴 관계가 아닌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메뉴들이다.
도 8과 같은 매핑 관계에서 레이어의 조작을 통한 메뉴 리스트 선택 방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한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으면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메뉴 선택의 일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개념도이다.
도 9의 기본 가정은 도 7과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각 레이어들의 표면에는 도 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레이어에 매핑된 메뉴들에 해당하는 아이콘들이 표시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레이어 1이 기준깊이에 위치하여 레이어 1에 매핑된 메뉴 아이콘들(즉, 메시지, 전화번호부, 인터넷 및 제어판)이 선명하게 표시되며, 레이어 2 및 레이어 3은 레이어 1에 가려 그 표면이 보이지 않는 상태이다.
여기서, 사용자는 소정의 조작을 통하여 전체 레이어들의 3차원 깊이가 낮아지도록(즉, 사용자에게 가까이 있는 것으로 보이도록) 하여 레이어 2를 기준깊이로 배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9b와 같이 레이어 1은 기준깊이보다 깊이가 낮아져 반투명하게 되고, 레이어 2가 기준깊이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레이어 2에 매핑된 메뉴 아이콘들(즉, 게임, 음악재생, 사전 및 알람)이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다. 레이어 3의 표면은 레이어 2에 가려져 여전히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한편, 3차원의 입체 레이어 구조는 전체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될 수도 있으나, 하나의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들 중 하나의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이하, "기준 깊이"에 위치하여 다른 레이어에 가리지 않고 선명하게 나타나는 하는 레이어를 "제 1 레이어"라 칭한다.
도 10a을 참조하면, 제 1 레이어(1010)가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변경되면, 도 10b와 같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는 다른 레이어들(1020, 1030)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3차원으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이 경우, 제 1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표시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을 통해 복수의 레이어들이 3차원 입체영상으로 표시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3차원 입체영상이 생성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제 1 시각효과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시각효과는 인디케이터(indicator)의 역할을 담당하여, 레이어들이 3차원 입체영상으로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또한, 제 1 시각효과는 소정의 터치 영역으로서 3차원 레이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이러한 제 1 시각효과(1100)는 색상, 표면의 텍스쳐(texture)의 패턴, 점멸, 크기 변화 및 적어도 일부의 형태 변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제 1 시각효과는 상기의 효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효과로 구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제 1 시각효과는 사용자가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동안만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거나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은 후 일정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토글(toggle) 방식으로 제 1 패턴의 터치가 있을 때마다 제 1 시각효과를 on/off 시키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단,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제 1 시각효과가 나타나는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 메뉴를 통해 변경하는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3차원 입체영상이 생성된 것을 알리기 위한 제 1 시각효과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한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터치스크린의 우측 상단에 3차원 입체영상이 생성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아이콘 형태의 제 1 시각효과(1100)가 3차원의 입체영상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제 1 시각효과의 예로서 도 11b를 참조하면, 제 1 시각효과(1101)로 제 1 레이어의 후면에 존재하는 다른 레이어들의 가장자리가 적층된 형태로 소정의 3차원 입체영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이어의 일 모서리를 접은 형태의 제 1 시각효과(1102)가 터치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전술한 것처럼 제 1 시각효과는 소정의 터치 영역으로서 3차원 레이어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제 3 실시예 참조)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3차원 입체영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를 통해 3차원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터치스크린을 스크롤하거나 플릭킹(flicking)하여 현재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어 있는 레이어와 다른 레이어를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용자가 포인터를 사용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상기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면, 보다 편리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기울기로 3차원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기울기를 통해 3차원 레이어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하, 3차원 레이어의 형태는 도 6에서 설명한 것처럼,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형태로 배치된 입체 레이어 구조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복수의 레이어들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3차원 레이어들 중 터치스크린을 통해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레이어를 "제 2 레이어"라고 칭한다.
이하, 사용자는 3차원 레이어의 위치를 변경하여, 현재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된 제 1 레이어가 아닌 제 2 레이어를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도 12a를 참조하면, 3차원 레이어들 중에서 제 1 레이어(1210)가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
이때, 도 12b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기울이게 되면, 센싱부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에 이를 알리게 된다. 제어부(130)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3차원 입체영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3차원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 및 3차원 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회전의 정도를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기울기의 정도가 클수록 회전의 정도가 커지고, 기울기의 정도가 작을수록 회전의 정도도 적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를 기울이는 속도가 빠를수록 회전의 정도가 커지고, 느릴수록 회전의 정도가 적어질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를 왼쪽으로 기울이면 회전의 방향은 왼쪽 방향이 되고,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상기 회전의 방향은 오른쪽 방향이 될 수 있다.
도 12b에서는 이동 단말기를 왼쪽으로 기울여 회전이 왼쪽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으나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단말기를 기울이는 경우에는 오른쪽 방향으로 3차원 입체영상이 회전될 것이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기울기와 3차원 입체영상의 회전 방향은 반대로도 구현 가능하다.
센싱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계속 감지되면,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서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12c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제 2 레이어(1220)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면, 이동 단말기를 평행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이때 회전이 멈추고, 제 2 레이어(1220)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기울기를 통해 손쉽게 레이어들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전술한 터치스크린을 스크롤하거나 플릭킹(flicking)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의 일정 영역을 스크롤하거나 플릭킹하면, 이에 대응하여 3차원 입체영상이 회전하고, 제 1 레이어와 가장 근접한 곳에 배치된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선택되고,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면,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시켜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를 제 2 레이어의 일부 영역으로 변경시키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용자는 3차원 레이어들의 위치를 변경하여, 현재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된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특정 아이콘을 제 2 레이어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기울기를 통해 3차원 레이어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13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왼쪽으로 기울어져 3차원 입체영상이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반대의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3a를 참조하면, 3차원 입체영상에서 제 1 레이어(1310)가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레이어(13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1330)을 터치스크린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도 13b와 같이, 선택된 아이콘(133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기울이면, 제어부(180)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선택된 아이콘(1330)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3차원 입체영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3차원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 및 3차원 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회전의 정도를 기울기에 따라 제어할 수 있고, 이는 도 12의 내용과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설명은 생략한다.
센싱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계속 감지되는 동안, 3차원 입체영상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각각의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고 있는 아이콘(1330)은 선택된 터치 지점에 머물면서 계속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13c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제 2 레이어(1320)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없도록 조작할 수 있고, 센싱부를 통해 기울기가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3차원 입체영상의 회전은 멈추고, 선택된 아이콘에 대한 터치가 해제되면, 선택된 아이콘(1330)이 제 2 레이어(1314)의 소정 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선택된 아이콘(1330)은 제 2 레이어(1314)의 비어있는 공간에 자동으로 배치되거나 터치 해제 지점에 다른 아이콘을 밀어내고 삽입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아이콘(1330)의 위치를 제 1 레이어(1310)에서 제 2 레이어(1320)로 손쉽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아이콘을 선택한 상태에서 터치스크린을 스크롤하거나 플릭킹(flicking)하여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를 변경시켜 선택된 아이콘을 제 2 레이어의 소정 영역에 배치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소정의 제 2 시각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선택된 아이콘의 시각효과를 나타내는 일예를 나타낸다.
도 14a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1410)은 다른 아이콘에 비해 크기가 증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b와 같이, 선택된 아이콘(1420)은 일반적인 아이콘과 다른 색상을 가지고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 2 시각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선택된 아이콘의 색상, 표면의 텍스쳐(texture)의 패턴, 점멸, 크기 변화 및 적어도 일부의 형태 변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어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한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터치 영역을 터치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표시하고, 터치 영역이 포인터에 의해 터치되는 동안 3차원 입체영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기울기를 통한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 이외에 터치 영역을 통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면, 사용자에게 더 큰 편의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도 15를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터치 영역을 통해 3차원 레이어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5의 기본 가정은 도 12와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3차원 입체영상에서 제 1 레이어(1510)가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터치스크린의 우측 면에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영역(1500)이 표시된다. 터치 영역(1500)의 형태 및 위치는 제한이 없고, 3차원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터치 영역(1500)를 포인터(여기서는 손가락)로 선택하면, 도 15b와 같이,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영역(1500)가 포인터에 의해 터치되는 동안, 3차원 입체영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3차원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 및 3차원 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15c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제 2 레이어(1520)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면, 터치 입력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3차원 입체영상의 회전이 멈추면서, 제 2 레이어(1520)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된다.
상기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이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사용자의 임의적인 설정에 따라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각각의 3차원 레이어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시각효과(도 14 참조)의 경우에도, 레이어들이 3차원 입체영상으로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본래의 기능 이외에 터치 영역(1500)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단, 제 1 시각효과와 터치 영역이 함께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경우에는 제 1 시각효과의 기능은 레이어들이 3차원 입체영상으로 생성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본래의 기능으로 제한될 것이다.
또한,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영역의 형태 및 위치는 제한이 없으므로, 도 1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형태의 터치 영역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또 다른 형태의 터치 영역을 통해 3차원 레이어를 조작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6a를 참조하면, 터치 영역은 터치스크린의 우측 상단의 일부 영역에 페이지 넘김 형태(1600)로 구현될 수 있고, 그 이후의 3차원 입체영상을 회전시키는 과정은 도 15와 유사하므로,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3차원 레이어들 중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도 터치 영역을 활용하여 변경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영역을 통해 3차원 레이어에 포함된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방법의 일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3차원 입체영상이 왼쪽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가정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구현 가능하다.
도 17a를 참조하면, 3차원 입체영상에서 제 1 레이어(1710)가 터치스크린의 전체 영역에 표시되어 있고, 사용자는 제 1 레이어(17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하나의 아이콘(1740)을 선택하고, 드래그하여, 터치 영역(17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7b와 같이, 드래그된 아이콘(1740)에 대한 터치가 지속되면, 제어부(180)는 드래그된 아이콘(1740)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된 상태에서 3차원 입체영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속도로 회전하면서 복수의 3차원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 및 3차원 깊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어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도 17c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제 2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면, 선택된 아이콘(1740)에 대한 터치를 해제할 수 있고, 이때 3차원 입체영상의 회전이 멈추고, 선택된 아이콘(1740)이 소정 영역에 배치된 제 2 레이어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된다.
또한, 도 1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레이어(1710)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 중 사용자에 의해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선택된 아이콘은 다른 아이콘에 비해 크기가 증가하거나 다른 색상을 가지도록 하는 제 2 시각 효과가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시각효과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선택된 아이콘의 색상, 표면의 텍스쳐(texture)의 패턴, 점멸, 크기 변화 및 적어도 일부의 형태 변화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통해 사용자에게 아이콘이 선택되었음을 명시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제어부; 및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입체 레이어 구조(structure)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중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각각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3D depth)를 부여하고, 상기 3차원 깊이가 부여된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는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생되는 빛의 진행 방향 및 진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여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시차생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중 제 1 레이어가 상기 터치스크린 전체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됨을 알리기 위한 제 1 시각효과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레이어 구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이 포인터에 의해 터치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로 선택되어, 상기 터치 영역으로 드래그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제 2 레이어의 소정 영역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의 방향 및 속도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로 선택되어, 상기 터치가 지속되는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평행상태가 되어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제 2 레이어가 표시될 때, 상기 터치가 해제되면 상기 제 2 레이어의 소정 영역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제 2 시각효과가 부여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이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입체 레이어 구조(structure)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중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 각각에 서로 다른 3차원 깊이(3D depth)를 부여하고, 상기 3차원 깊이가 부여된 상기 입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스테레오 스코픽(stereo scopic) 방식의 3차원 입체영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입력되는 제 2 패턴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턴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3차원 입체영상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됨을 알리기 위한 제 1 시각효과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센싱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레이어 구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터치 영역이 상기 터치스크린의 소정 영역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영역이 포인터에 의해 터치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로 선택되어, 상기 터치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단계;
    상기 드래그된 아이콘에 대한 상기 터치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제 2 레이어의 소정 영역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의 방향 및 속도를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이어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하나의 아이콘이 터치로 선택되어, 상기 터치가 지속되는 단계;
    상기 센싱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기울기가 감지되는 동안, 상기 복수의 레이어들 각각의 위치가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변경되는 단계;
    상기 이동 단말기가 평행상태가 되면, 제 2 레이어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으로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터치가 해제될 때, 상기 제 2 레이어의 소정 영역으로 상기 선택된 아이콘의 위치가 변경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100096263A 2010-10-04 2010-10-0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8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63A KR101728725B1 (ko) 2010-10-04 2010-10-0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3/118,012 US8760448B2 (en) 2010-10-04 2011-05-27 Mobile terminal having a touchscreen for displaying a 3-dimensional (3D) user interfa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1006237.9A EP2437142B1 (en) 2010-10-04 2011-07-28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110261630.0A CN102446064B (zh) 2010-10-04 2011-08-29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63A KR101728725B1 (ko) 2010-10-04 2010-10-0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91A true KR20120034891A (ko) 2012-04-13
KR101728725B1 KR101728725B1 (ko) 2017-04-20

Family

ID=4450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263A KR101728725B1 (ko) 2010-10-04 2010-10-04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60448B2 (ko)
EP (1) EP2437142B1 (ko)
KR (1) KR101728725B1 (ko)
CN (1) CN10244606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1713B2 (en) 2014-02-19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sion sensor
WO2022065798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딥바이오 병리 이미지 분석 결과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0207B2 (en) * 2010-05-27 2015-07-28 Boxx Corp. Two wheeled vehicle with lighting system that generates defined image on riding surface
KR101691833B1 (ko) * 2010-11-04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촬영 제어 방법
KR101892630B1 (ko) * 2011-01-10 2018-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9582144B2 (en) * 2011-01-20 2017-02-28 Blackberry Limited Three-dimensional, multi-depth presentation of icons associated with a user interface
JP5830997B2 (ja) * 2011-07-19 2015-12-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340358A1 (en) * 2011-12-08 2014-11-20 Exo U Inc. Method for improving an interaction with a user interface displayed on a 3d touch screen display
KR101879856B1 (ko) * 2011-12-19 2018-07-18 주식회사 케이티 대기화면 설정 장치 및 그 방법
KR101899458B1 (ko) * 2012-01-11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265296A1 (en) * 2012-04-05 2013-10-10 Wing-Shun Chan Motion Activated Three Dimensional Effect
KR101873759B1 (ko) * 2012-04-10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15582B2 (en) * 2012-05-01 2015-04-21 Kabushiki Kaisha Toshiba User interface for reordering thumbnails
CN103516753A (zh) * 2012-06-25 2014-01-15 北京新媒传信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数据传输的方法、服务器和终端
CN103513859A (zh) * 2012-06-29 2014-01-15 联发科技(新加坡)私人有限公司 图标显示方法及图标显示装置
US8947385B2 (en) 2012-07-06 2015-02-03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device for interactive stereoscopic display
CN102929594B (zh) * 2012-09-19 2016-07-20 深圳市酷开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android系统的3D界面实现方法和系统
US9459760B2 (en) 2012-11-16 2016-10-04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user interface
CN103019586B (zh) * 2012-11-16 2017-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用户界面管理方法及装置
CN103838503B (zh) * 2012-11-26 2017-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应用显示方法及装置
US20140215383A1 (en) * 2013-01-31 2014-07-31 Disney Enterprises, Inc. Parallax scrolling user interface
KR20140103017A (ko) * 2013-02-15 201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이미지 표시 방법
CN103997634B (zh) * 2013-02-15 2018-09-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户终端及其显示图像的方法
USD763860S1 (en) * 2013-03-04 2016-08-16 Tixtrack, Inc. Display panel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20140126129A (ko) * 2013-04-22 2014-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잠금 및 해제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3412731A (zh) * 2013-07-22 2013-11-27 天脉聚源(北京)传媒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资源簇展示方法及装置
US9581767B2 (en) * 2013-09-30 2017-02-28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Optical blind-mate connector and adapter
US9967546B2 (en) 2013-10-29 2018-05-08 Vefx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images and videos to 3D for consumer, commercial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US20150116458A1 (en) 2013-10-30 2015-04-30 Barkatech Consult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hanced 3d-effects for real-time and offline appplications
USD911353S1 (en) 2018-02-23 2021-02-23 Cognitive Scale, Inc. Display screen with a cognitive desig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0235S1 (en) * 2018-01-30 2019-09-17 Cognitive Scale, Inc. Display screen with a cognitive desig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4984S1 (en) * 2018-01-30 2019-10-29 Cognitive Scale, Inc. Display screen with a cognitive desig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4986S1 (en) 2018-02-23 2019-10-29 Cognitive Scale, Inc. Display screen with a cognitive design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64987S1 (en) 2018-02-23 2019-10-29 Cognitive Scale, Inc. Display screen with a cognitive design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158847B2 (en) 2014-06-19 2018-12-18 Vefxi Corporation Real—time stereo 3D and autostereoscopic 3D video and image editing
USD772269S1 (en) 2015-06-05 2016-11-22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766967S1 (en) * 2015-06-09 2016-09-20 Snapchat, Inc. Portion of a display having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transitional icon
USD886134S1 (en) * 2016-01-22 2020-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6303711B (zh) * 2016-08-09 2019-12-03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界面显示方法及电视系统
CN106293127B (zh) * 2016-08-10 2019-03-19 北京英梅吉科技有限公司 用于三维空间中的阵列式输入方法及系统
CN107272984A (zh) * 2017-05-19 2017-10-20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一种应用图标预览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913786B (zh) * 2017-08-01 2023-04-18 直观外科手术操作公司 用于与虚拟模型进行交互的触摸屏用户界面
CN107454272A (zh) * 2017-09-19 2017-12-08 武汉亿维登科技发展有限公司 基于手机应用界面的动态切换方法
USD879123S1 (en) * 2018-02-09 2020-03-24 Axis Ab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775892B2 (en) 2018-04-20 2020-09-15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user shared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based haptics
USD971236S1 (en) * 2020-10-16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6895B1 (en) * 1995-09-08 2002-11-26 Xerox Corporatio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lists of linked documents
GB2339128A (en) * 1998-06-30 2000-01-12 Ibm Meyhod and system for transfering data us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EP1098498A1 (fr) * 1999-11-04 2001-05-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eil comportant un écran pour des images stéréoscopiques
US8487882B2 (en) * 2005-07-08 2013-07-16 Rpx Corporation Touch-panel display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US8743109B2 (en) * 2006-08-31 2014-06-03 Kent State University System and methods for multi-dimensional rendering and display of full volumetric data sets
KR101390103B1 (ko) * 2007-04-03 201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어방법 및 이동단말기
KR20090019161A (ko) * 2007-08-20 2009-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조작하는 방법
CN101500328A (zh) 2008-02-02 2009-08-05 德信智能手机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在手机上实现三维交互的装置和方法
US8593408B2 (en) * 2008-03-20 2013-11-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ocum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thereof
US20090271731A1 (en) * 2008-04-27 2009-10-29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KR101481556B1 (ko) 2008-09-10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객체 표시방법
KR101555055B1 (ko) * 2008-10-10 201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US8788977B2 (en) * 2008-11-20 2014-07-22 Amazon Technologies, Inc. Movement recognition as input mechanism
US8314832B2 (en) * 2009-04-01 2012-11-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tereoscopic images
US20110157155A1 (en) * 2009-12-31 2011-06-30 Disney Enterprises, Inc. Layer management system for choreographing stereoscopic dept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1713B2 (en) 2014-02-19 2018-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pu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sion sensor
WO2022065798A1 (ko) * 2020-09-28 2022-03-31 주식회사 딥바이오 병리 이미지 분석 결과 출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6064A (zh) 2012-05-09
EP2437142A3 (en) 2015-03-25
KR101728725B1 (ko) 2017-04-20
EP2437142B1 (en) 2018-11-14
CN102446064B (zh) 2014-10-22
EP2437142A2 (en) 2012-04-04
US20120081359A1 (en) 2012-04-05
US8760448B2 (en) 201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7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7495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872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07859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displaying fixed objects independent of shifting background images on a touchscreen
KR101873759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459785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s generation method thereof
KR2011004442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542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374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719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3333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2341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950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4044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338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8057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303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53476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926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012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82262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3132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5506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87117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847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