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4202A - 정보 표시용 패널 - Google Patents

정보 표시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202A
KR20120034202A KR1020127001143A KR20127001143A KR20120034202A KR 20120034202 A KR20120034202 A KR 20120034202A KR 1020127001143 A KR1020127001143 A KR 1020127001143A KR 20127001143 A KR20127001143 A KR 20127001143A KR 20120034202 A KR20120034202 A KR 201200342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color
pixel
transparent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쯔히로 니시다
신고 오노
히로따까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ublication of KR20120034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2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6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 G02F1/133562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placement of the optical elements on the viewer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 G02F2203/05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wavelength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인접 화소와의 혼색을 피하여, 색 재현성이 높은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공한다.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 각 색의 컬러 필터를, 굴절률 n, 두께 d의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이며 화소와 겹치는 위치에, 컬러 필터의 상하 양측이나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에서 적어도 인접하는 컬러 필터색이 다른 컬러 필터 사이이며, 경사 시인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간극을 갖도록, 컬러 필터가 화소와 겹치는 면적을 화소 면적의 50% 이상 100% 이하로 형성함과 동시에, 시인 방향에서의 화소 피치 및 화소 간 간격을 각각 LS 및 DS로 하고,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0.5×(DS+LS)이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6

Description

정보 표시용 패널 {INFORMATION DISPLAYING PANEL}
본 발명은, 관찰측 투명 기판과 투명할 필요가 없는 배면측 기판을 대향 배치한 기판 간 공간에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관찰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표시 매체에서 반사시킨 반사광으로서, 관찰측 투명 기판에 형성한 각 색의 컬러 필터를 통해서 표시 정보를 컬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정보 표시용 패널에 관한 것이며, 특히 표시 매체로서 대전성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사용하여, 표시 화소를 매트릭스 배치한 구성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LCD)를 대신하는 정보 표시 장치로서, 대전 입자를 기체 중(진공 중을 포함함)에서 비상 이동시켜서 시인시키는 비상 이동 방식이나, 액체 중에서 이동시켜서 시인시키는 전기 영동 방식, 2색으로 구성된 대전 입자를 액체 중에서 회전시켜서 시인시키는 2색 입자 회전 방식 등, 표시 매체로 하는 입자로부터의 반사광을 시인하는 기술을 사용하여, 종이에 그려진 것을 보는 것 같은 시인성이 얻어지는 정보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기술은 LCD와 비교하면 통상의 인쇄물에 가까운 넓은 시야각이 얻어지는 점이나 표시 메모리성이 있다는 점에서, 표시되는 정보를 재기입할 때에만 전원을 공급하면 되는 저소비 전력형으로 할 수 있는 점 등, 종래의 LCD에 비하여 장점이 있어, 차세대의 저렴한 정보 표시 장치에 사용 가능한 기술로서 생각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용 정보 표시 장치, 전자 페이퍼형 정보 표시 장치 등으로의 전개가 기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전성 입자를 분산 입자로서 분산액과 함께 마이크로 캡슐에 봉입하고, 이것을 대향하는 기판 간에 배치시킨 구성의 캡슐형 전기 영동 방식이나, 대전성 입자를 분산 입자로서 분산액과 함께 마이크로 컵(셀)에 봉입하고, 이것을 대향하는 기판 간에 배치시킨 구성의 마이크로 컵형 전기 영동 방식, 대전성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표시 매체를 대향하는 기판 간에 형성한 셀에 기체와 함께 혹은 진공으로 한 셀에 봉입한 구성의 대전 입자 기체 중 비상 이동 방식이 제안되어 기대가 모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2매의 도전막을 구비한 기판을 대향시켜서 형성한 기판 간의 기체 중 공간에 혹은 진공 공간에,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서로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기판 간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이 알려져 있다.
또한, 적어도 한쪽이 투명한, 2매의 도전막을 구비한 기판을 대향시켜서 형성한 기판 간의 기체 중 공간에 혹은 진공 공간에,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서로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기판 간에 전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서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 패널 기판의 외측에, 각 색의 컬러 필터를 화소에 대응시켜, 화소보다 소면적인 컬러 필터를 배치한 컬러 표시형 정보 표시용 패널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8-83521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컬러 필터를 사용한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투명 전극을 구비한 투명 기판을 준비하고, 그 기판의 전극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인 면에 컬러 필터(적색: R, 녹색: G, 청색: B)를 화소보다 작은 면적에 배치함으로써,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혼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투명 기판으로는 액정 표시 패널로서 범용되고 있는 두께 700㎛ 이상의 유리 기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화소보다 상당히 소면적인 컬러 필터로 하지 않으면, 상기한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발생하는 혼색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컬러 필터 면적이 지나치게 작아서, 정면에서 보았을 때도 컬러 필터색을 적정하게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색 재현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컬러 필터를 사용한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컬러 필터의 크기를 나타낼 때, 화소의 크기와 투명 기판의 두께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화소의 크기에 대하여 컬러 필터의 크기를 아무리 작게 해도 투명 기판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혼색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실제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컬러 필터를 사용한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컬러 필터의 크기를 상당히 작게 하고, 컬러 필터(R, G, B) 간에 간격을 충분히 취함으로써,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혼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반대로 이렇게 컬러 필터의 크기를 지나치게 작게 하면 정면에서 관찰할 때 보이는 표시 화상은 희미해 선명하지 않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인접 화소와의 혼색을 피하여, 색 재현성이 높은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은, 관찰측 투명 기판과 투명할 필요가 없는 배면측 기판을 대향 배치한 기판 간 공간에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관찰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표시 매체에서 반사시킨 반사광으로서, 관찰측 투명 기판에 형성한 각 색의 컬러 필터를 통해서 표시 정보를 컬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정보 표시용 패널이며, 상기 각 색의 컬러 필터를, 굴절률 n, 두께 d의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이며 화소와 겹치는 위치에, 컬러 필터의 상하 양측이나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에서 적어도 인접하는 컬러 필터색이 다른 컬러 필터 사이이며 경사 시인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간극을 갖도록, 컬러 필터가 화소와 겹치는 면적을 화소 면적의 50% 이상 100% 이하로 형성함과 동시에, 시인 방향에서의 화소 피치 및 화소 간 간격을 각각 LS 및 DS로 하고,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0.5×(DS+LS)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ct00001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적합한 예로서는, 상기 각 색의 컬러 필터와 화소 사이에 간극 t를 형성했을 때,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상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DS+t인 것, 투명 기판의 한쪽 면에 패터닝된 투명 도전막 혹은 전면 투명 도전막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도전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면측에 상기 각 색의 컬러 필터를 배치한 것,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두께가 200㎛ 이하이며, 또한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굴절률 n이 1.47 이상인 것,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재료가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르보네이트(PC), 아크릴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 컬러 필터는 삼원색의 컬러 필터 또는 삼원색과 무색 투명의 4색의 컬러 필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 컬러 필터가 형성된 투명한 관찰측 기판과 다른 한쪽의 배면측 기판 사이에 봉입되는 표시 매체로서,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사용하고, 기판 간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색의 컬러 필터를, 굴절률 n, 두께 d의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이며 화소와 겹치는 위치에, 컬러 필터의 상하 양측이나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가 적어도 인접하는 컬러 필터색이 다른 컬러 필터 사이이며 경사 시인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간극을 갖도록, 컬러 필터가 화소와 겹치는 면적을 화소 면적의 50% 이상 100% 이하로 형성함과 동시에, 시인 방향에서의 화소 피치 및 화소 간 간격을 각각 LS 및 DS로 하고,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0.5×(DS+LS)이도록 한다:
<수학식 1>
Figure pct00002
따라서,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도 인접 화소와의 혼색을 피하여, 색 재현성이 높은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색의 컬러 필터와 화소 사이에 간극 t를 형성했을 때,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상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DS+t인 경우에는, 인접하는 컬러 필터끼리의 혼색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한 관찰측 기판의 두께가 200㎛ 이하인 경우, 및 투명한 관찰측 기판의 굴절률 n이 1.47 이상인 경우는, 화소 크기에 대응한 컬러 필터 크기의 최적화가 가능하고, 더 효과적으로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인접 화소와의 혼색을 피하여, 색 재현성이 높은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재료가,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르보네이트(PC), 아크릴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경우 및 컬러 필터가 삼원색의 컬러 필터 또는 삼원색과 무색 투명의 4색 컬러 필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경우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목적인 적정한 컬러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컬러 필터가 형성된 관찰측 투명 기판과, 다른 한쪽의 배면측 기판 사이에 봉입되는 표시 매체로서,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사용하고, 기판 간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서 표시를 행하는 경우는, 시인하는 광은 관찰측 투명 기판으로 이동한 표시 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이 되므로, 정보 표시용 패널의 구성을 본 발명에 맞춰서 최적화할 수 있고, 더 효과적으로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인접 화소와의 혼색을 피하여, 색 재현성이 높은 컬러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원리적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원리적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원리적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하나의 특징이 되는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혼색을 일으키지 않는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다른 특징이 되는 컬러 필터의 화소에 대한 면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잉크젯 인쇄에서 도트 형상의 컬러 필터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플렉소 인쇄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컬러 필터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잉크젯 인쇄에서 도트 형상의 컬러 필터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다른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플렉소 인쇄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컬러 필터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다른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화소에 대한 컬러 필터의 배치예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화소에 대한 컬러 필터의 배치예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 중, 대전성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표시 매체로서 사용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대향하는 2매의 기판 간의 공간에 봉입한 표시 매체에 전계가 부여된다. 부여된 전계 방향에 따라, 표시 매체가 전계에 의한 힘이나 쿨롱력 등에 의해 끌어 당겨져, 표시 매체가 전계 방향 변화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화상 등의 정보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표시 매체가 균일하게 이동하는 동시에, 반복해서 표시 정보를 재기입할 때 혹은 표시 정보를 계속해서 표시할 때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표시 패널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표시 매체를 구성하는 입자에 가해지는 힘은, 입자끼리의 쿨롱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기는 힘 이외에, 전극이나 기판과의 전기 미러상 힘(mirror image force), 분자간력, 액가교력, 중력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 중, 대전성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표시 매체로서 사용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의 예를, 도 1의 (a), (b) 내지 도 3의 (a), (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b)에 도시한 예에서는,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표시 매체(여기서는 마이너스 대전성 백색 입자(3Wa)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백색 표시 매체(3W)와 플러스 대전성 흑색 입자(3Ba)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흑색 표시 매체(3B)를 나타냄)를, 격벽(4)으로 형성된 각 셀에서, 기판(1)에 형성한 전극(5)(TFT(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진 화소 전극)과 기판(2)에 형성한 전극(6)(공통 전극)으로 형성하는 화소 전극쌍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계에 따라, 기판(1, 2)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각 화소의 대응하는 관찰측 투명 기판(2)의 외측에는, 적색 컬러 필터(11R), 녹색 컬러 필터(11G), 청색 컬러 필터(11BL)를 형성하고, 또 그 위에 보호층(13)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화소와 셀을 1 대 1로 대응시켜, 적색 컬러 필터(11R), 녹색 컬러 필터(11G), 청색 컬러 필터(11BL)를 화소에 대응해서 형성하여, RGB 3화소를 1 표시 단위로서 표시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표시 매체(3W)를 관찰자측으로 이동시키고, 적색 컬러 필터(11R), 녹색 컬러 필터(11G), 청색 컬러 필터(11BL)를 각각 투과한 합성광을 관찰자에게 시인시켜서 백색의 표시를 행하거나, 혹은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색 표시 매체(3B)를 관찰자측으로 이동시켜서 흑색의 표시를 행하고 있다. 화소 전극쌍과 셀을 1 대 1로 대응시켜 매트릭스 배치하여, 도트 매트릭스 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한, 도 1의 (a), (b)에서, 앞쪽에 있는 격벽은 생략하고 있다.
도 2의 (a), (b)에 도시한 예에서는,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 및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 특성이 다른 적어도 2종류의 표시 매체(여기서는 마이너스 대전성 백색 입자(3Wa)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백색 표시 매체(3W)와 플러스 대전성 흑색 입자(3Ba)를 포함한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흑색 표시 매체(3B)를 나타냄)를, 격벽(4)으로 형성된 각 셀에서, 기판(1)에 형성한 전극(5)(스트라이프 전극)과 기판(2)에 형성한 전극(6)(스트라이프 전극)이 대향 직교 교차해서 형성하는 화소 전극쌍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전계에 따라, 기판(1, 2)과 수직으로 이동시킨다. 각 화소에 대응하는 관찰측 투명 기판(2)의 외측에는, 적색 컬러 필터(11R), 녹색 컬러 필터(11G), 청색 컬러 필터(11BL)를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보호층(13)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화소와 셀을 1 대 1로 대응시켜, 적색 컬러 필터(11R), 녹색 컬러 필터(11G), 청색 컬러 필터(11BL)를 화소에 대응해서 형성하고, RGB 3화소를 1 표시 단위로서 표시를 행하고 있다.
그리고,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색 표시 매체(3W)를 관찰자측으로 이동시키고, 적색 컬러 필터(11R), 녹색 컬러 필터(11G), 청색 컬러 필터(11BL)를 각각 투과한 합성광을 관찰자에게 시인시켜서 백색의 표시를 행하거나, 혹은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색 표시 매체(3B)를 관찰자측으로 이동시켜서 흑색의 표시를 행하고 있다. 화소 전극쌍과 셀을 1 대 1로 대응시켜 매트릭스 배치하여, 도트 매트릭스 표시를 행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a), (b)에 있어서, 앞쪽에 있는 격벽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셀 공간이 기체(예를 들어 공기)로 충전되어 있는 대전 입자 기체 중 이동 방식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예를 설명했지만, 셀 공간을 진공으로 하거나, 기체 대신에 절연 액체를 사용한 대전 입자 액체 중 이동 방식(전기 영동 방식)의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성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표시 매체(3W, 3B)로서 절연 액체(7)와 함께 캡슐(8) 내에 밀봉한, 셀을 형성하는 격벽(4)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의 대전 입자 액체 중 이동 방식(전기 영동 방식)의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의 (a), (b) 내지 도 3의 (a), (b)에 도시한 예에서, 컬러 필터(11R, 11G, 11BL)를 관찰측 투명 기판에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투명한 보호 필름(13) 상에 컬러 필터를 형성한 후, 투명한 점착재층을 개재하여 관찰측 투명 기판(2) 상에 컬러 필터를 배치해도 되고, 혹은 관찰측 투명 기판(2) 상에 컬러 필터를 형성하고, 별도로 준비한 투명 점착재가 부착된 투명 필름을 컬러 필터 상에 점착재로 접합해서 보호층(13)을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특징은, 상술한 구성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 각 색의 컬러 필터를, 굴절률 n, 두께 d의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이며 화소와 겹치는 위치에, 컬러 필터의 상하 양측이나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에서 적어도 인접하는 컬러 필터색이 다른 컬러 필터 사이이며 경사 시인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간극을 갖도록, 컬러 필터가 화소와 겹치는 면적을 화소 면적의 50% 이상 100% 이하로 형성함과 동시에, 시인 방향에서의 화소 피치 및 화소 간 간격을 각각 LS 및 DS로 하고,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수학식 1로 나타내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0.5×(DS+LS):
<수학식 1>
Figure pct00003
로 한 점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하나의 특징인, 각 색의 컬러 필터를 굴절률 n, 두께 d의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에 배치함으로써, 경사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에 발생하는 혼색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 도 1의 (a), (b) 내지 도 3의 (a), (b)에 도시한 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적색 컬러 필터(11R)가 대응하고 있는 화소에 있는 표시 매체(여기서는 흑색 입자)로부터의 반사광이 경사 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녹색 컬러 필터(11G)를 개재해서 보이는 영역을,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관찰측 투명 기판(2) 안을 투과한 반사광이 녹색 컬러 필터(11G)와 관찰측 투명 기판(2)의 계면에서 굴절되어 θ 방향으로 진행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실제로는, 투명 전극과 관찰측 투명 기판(2)의 계면이나 컬러 필터와 보호층의 계면에서의 굴절을 거쳐 진행해 온 반사광을 보게 되지만, 투명 전극 및 컬러 필터는 두께가 관찰측 투명 기판(2)의 두께에 비하여 지극히 얇기 때문에 굴절에 의한 어긋남은 무시할 수 있는 크기이므로, 여기에서는 관찰측 투명 기판(2)과 컬러 필터의 계면에서의 굴절만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보호층을 고려하지 않고 관찰측의 외부 환경이 공기층(굴절률 1)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굴절률 n이 1보다 큰 경우의 굴절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 된다. 또한, 컬러 필터와 공기층 사이에 보호층이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표시 매체로부터의 반사광과, 그 반사광이 계면에서 굴절되어 관찰되는 방향의 관계는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 관찰측 투명 기판(2)의 굴절률이 n이고, 굴절률 n이 큰 재료로 투명 기판을 구성한 경우, 색이 다른 컬러 필터 간의 간격을 좁혀도 혼색이 잘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 매체(입자)의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는, 여기에서는 투명 기판의 두께 d와 실질적으로 투명 도전막의 두께의 합계로 나타내지만, 투명 도전막의 두께는 수백 nm 정도이기 때문에, 표시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는 수십 ㎛ 내지 수백 ㎛의 두께인 관찰측 투명 기판의 두께 d와 같다고 생각해도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 t는 화소와 컬러 필터가 겹치지 않는 부분의 길이이다. 도면에서 좌우 양측에 형성하는 t는 동일한 길이로 해도 되고, 다른 길이로 해도 되지만, 좌우(또는 상하) 양쪽의 경사 방향에서 보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경우에는 동일한 길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시인 방향에서의 화소 간 간격을 DS로 하고, 화소 피치를 LS로 하고 있다. 셀을 형성하는 격벽은 이 화소 간 간격에 형성되고, 그의 폭을 DS 이하로 한다. 여기에서는, 화소 간 간격(DS)보다 폭이 좁은 격벽을 형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예에서, 경사 θ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는, I=d×{sin2θ/(n2-sin2θ)}1/2로 나타나는 시야 어긋남 I가 있기 때문에, G색 컬러 필터를 개재해서 인식하는 색은, G색 표시용 화소에 있는 표시 매체(입자)로부터의 반사광 이외에 상기 시야 어긋남 I분 만큼, 이웃한 R색 표시용 화소 방향으로부터의 반사광이 혼합된 것이 된다. 즉, G색 컬러 필터를 개재해서 인식하는 것은 혼합된 색이 되어버린다. 시야 어긋남 I는, 표시 매체의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에 상등(相等)하는 투명 기판의 두께 d를 작게, 굴절률 n을 크게 하면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화소 간 간격(DS)이나 컬러 필터와 화소의 간격(t)을 크게 하면, 이웃한 R색 표시용 화소에 있는 표시 매체(입자)로부터의 반사광의 혼색을 작게 할 수 있지만, 화소 길이(LS-DS)에 대하여 DS를 크게 하면 화소 사이에 공간이 많이 생겨버리기 때문에 선명한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화소 길이(LS-DS)에 대하여 컬러 필터와 화소의 간격(t)을 크게 하면, 화소의 면적에 대하여 컬러 필터의 면적이 지나치게 작기 때문에 선명한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화소의 면적에 대하여 컬러 필터의 면적이 50% 이상 100% 이하로 되도록 함과 동시에, 경사 45°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시야 어긋남 I(θ: 45°)=d×{sin2θ/(n2-sin2θ)}1/2=d×{0.5/(n2-0.5)}1/2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DS 및 상기 DS와 관찰측 투명 기판의 굴절률 n 및 표시 매체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 즉 실질적으로 투명 기판의 두께 d의 관계에 있어서 I≤0.5×(DS+LS)을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명백하듯이, 적어도 경사 -45°내지 정면 내지 경사 45° 방향의 범위로부터 관찰했을 때에 정보 표시용 패널 전체로서의 혼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도 5의 (a),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의 형성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한 예는, 컬러 필터를 형성한 투명 보호 필름(21)을 투명 점착재(22)로 관찰측 투명 기판(2)의 외측에 배치한 구성이며, 이 경우의 표시 매체(입자)의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는, 투명 기판의 두께 d와 투명 도전막의 두께와 컬러 필터 상의 투명 점착재 층의 두께의 합계로 나타낸다. 투명 도전막의 두께는 수백 nm 정도이고, 컬러 필터 상의 투명 점착재 층의 두께는 수백 nm 정도이기 때문에, 표시 매체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는 수십 ㎛ 내지 수백 ㎛의 두께인 관찰측 투명 기판의 두께 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된다. 도 5의 (b)에 도시한 예는, 관찰측 투명 기판(2)의 외측에 컬러 필터를 형성한 후, 투명 보호 필름(21)을 투명 점착재(22)로 배치한 구성이다. 이 경우의 표시 매체(입자)의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는, 투명 기판의 두께 d와 투명 도전막의 두께의 합계로 나타내지만, 컬러 필터 상의 투명 점착재 층의 두께는, 표시 매체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에는 포함되지 않고, 투명 도전막 두께는 수백 nm 정도이기 때문에, 표시 매체 표면으로부터 컬러 필터면까지의 거리는 수십 ㎛ 내지 수백 ㎛의 두께인 관찰측 투명 기판의 두께 d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생각해도 된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각각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다른 특징이 되는 컬러 필터의 화소에 대한 면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모두 컬러 필터 중 적어도 1개의 양측에 화소와의 간극을 형성하는 경우의 배치예를 나타내고 있어, 도 6의 (a)에서는 좌우 양측 및 상하 양측에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도 6의 (b)에서는 좌우 양측에만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있다. 화소의 길이를 L1, L2로 하고, 예를 들어 적색 컬러 필터(11R)의 길이를 L3, L4로 하고 있다. 이때, 컬러 필터 면적의 화소의 면적에 대한 비율은, {(L3×L4)/(L1×L2)}×100(%)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명백하듯이, 이 계산값이 50%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색 선명도가 양호한 컬러 화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알았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컬러 필터 배치의 예를, 도 7 내지 도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어느 컬러 필터 배치에 있어서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10에 있어서, LL은 화소의 배치 피치(긴 변 방향)이며, LS는 화소의 배치 피치(짧은 변 방향)이다.
도 7은 잉크젯 인쇄에서 도트 형상의 3색 컬러 필터(11R, 11G, 1BL)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예에서, 정면에서 및 좌우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7의 DS1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7의 LS이다. t1과 t2는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상이한 폭이어도 된다. 또한, 정면에서 및 상하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DS)은 도 7의 DS2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7의 LL이다. t3과 t4는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상이한 폭이어도 된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시야 어긋남 I가 I≤0.5(DS+LS)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도 8은 플렉소 인쇄에서 스트라이프 형상의 3색의 컬러 필터(11R, 11G, 11BL)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일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예에서, 정면에서 및 좌우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8의 DS1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8의 LS이다. t1과 t2는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상이한 폭이어도 된다. 도 8의 구성에서는, 상하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인접 화소에는 동색의 컬러 필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8의 DS2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8의 LL이다. t3과 t4는 모두 0이다.
도 9는 잉크젯 인쇄에서 사각 도트 형상의 4색 컬러 필터(11R, 11G, 11BL, 11T)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다른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예에서, 정면에서 및 좌우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9의 DS1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9의 LS1이다. 또한, 정면에서 및 상하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9의 DS2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9의 LS2이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시야 어긋남 I가 I≤0.5(DS+LS)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t1과 t2는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상이한 폭이어도 된다. t3과 t4도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상이한 폭이어도 된다.
도 10은 잉크젯 인쇄에서 사각 도트 형상의 4색의 컬러 필터(11R, 11G, 11BL, 11T)를 형성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또 다른 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 정면에서 및 좌우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10의 DS1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10의 LS1이다. 또한, 정면에서 및 상하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서도 양호한 컬러 표시가 얻어지는 정보 표시용 패널로 할 수 있는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도트 간격)(DS)은 도 10의 DS2이며, 화소 피치(LS)는 도 10의 LS2이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시야 어긋남 I가 I≤0.5(DS+LS)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도 9에 도시한 예와는, 컬러 필터의 상하 방향으로 화소와 컬러 필터의 간극 t를 형성하지 않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즉, 도 9에 있어서의 t3, t4는 0이다. t1, t2는 동일한 폭이어도 되고, 상이한 폭이어도 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있어서의 1 표시 단위의 예를, 도 11의 (a), (b) 내지 도 12의 (a), (b)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삼원색, 예를 들어 RGB 3색의 컬러 필터를 각각 1개의 화소에 배치한 경우, R화소, G화소, B화소를 1×3으로 매트릭스 배치해서 1 표시 단위로 하거나(도 11의 (a), (b)에 도시한 예), R화소, G화소, B화소와 컬러 필터를 형성하지 않는 화소(T화소)를 1×4나 2×2(도 12의 (a), (b)에 도시한 예)로 매트릭스 배치해서 1 표시 단위로 하거나 한다. 1×3이나 1×4로 매트릭스 배치하는 경우, 좌우 또는 상하의 어느 한쪽의 인접 화소에는 동색의 컬러 필터가 배치되므로, 이 경우에는 상이한 색의 컬러 필터가 인접하는 좌우 상하 어느 한쪽에 본 발명을 적용하면,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혼색을 느낄 수 없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
R화소, G화소, B화소와 컬러 필터를 형성하지 않는 화소(T화소)를 2×2로 매트릭스 배치해서 1 표시 단위로 했을 경우에는 상이한 색의 컬러 필터가 인접하는 좌우 상하 어느 쪽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면,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혼색을 느낄 수 없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 화소에 대한 간극 t를 형성하지 않고 컬러 필터를 형성해도, 화소 간 간격(DS)의 크기에 의해 인접 화소의 표시색이 혼색되지 않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지만, 화소와 컬러 필터 사이에 간극 t를 형성하면 보다 더 효과적이다. 도 12의 (a)에서는 컬러 필터 좌우 양측 및 상하 양측에 상기 간극을 형성하고, 도 12의 (b)에서는 컬러 필터 좌우 양측에 상기 간극을 형성하며, 상하 양측에는 상기 간극을 형성하지 않고 있다. 도 12의 (b)의 경우에 화소 간 간격(DS)의 크기에 따라서는 경사진 상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인접 화소의 표시색이 혼색되는 정보 표시용 패널이 되는 경우가 있지만, 이 경우도 본 발명을 적용하면, 어느 쪽의 경사 방향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도 혼색을 느낄 수 없는 정보 표시용 패널을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의 적절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관찰측 투명 기판의 두께는 20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00㎛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을 실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관찰측 투명 기판의 굴절률 n이 1.47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률이 1.47 미만이면,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을 실현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굴절률이 1.47 이상인 투명 기판 재료로서는, 굴절률 1.47의 유리, 굴절률 1.6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굴절률 1.67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굴절률 1.49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굴절률 1.63의 폴리카르보네이트(PC), 굴절률 1.68의 폴리에테르술폰(PES), 굴절률 1.49 내지 1.55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아크릴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적합한 예로서, R: 적색, G: 녹색, B: 청색 또는, C: 시안색, M: 마젠타색, Y: 노란색 각 3색의 컬러 필터를 각 화소에 배치하고, 이 3화소로서 1 표시 단위를 구성하여, 3×1의 매트릭스 배치로 하거나, 혹은 이 3화소와 인접하는 다른, 컬러 필터를 배치하지 않는 1화소의 4화소로서 1 표시 단위를 구성하여, 2×2 또는 4×1의 매트릭스 배치로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컬러 필터를 인쇄법이나 포토리소법을 사용하여, 관찰측 투명 기판의 패널 외측면에 제작, 배치한다.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서는 컬러 필터를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에 배치하므로, 도전막(전극)이 형성된 투명 기판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본원의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전구체의 관찰측 투명 기판에 대하여도,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에 잉크젯 인쇄, 플렉소 인쇄 등의 인쇄법이나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해서 컬러 필터를 제작하여, 배치할 수 있다.
정보 표시용 패널의 2매의 패널 기판 간 갭을 확보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격벽 부분이나, 입자군으로서 구성한 표시 매체를 수납하는 셀을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격벽 부분을 형성할 때에는, 액상 레지스트제나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재를 사용한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이 적절하게 사용된다. 일례로서, 알포NIT2(니치고 모튼사제)이나 PDF300(신닛데쯔 가가꾸사제)을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드라이 필름 레지스트재에 각종 안료를 배합해 두면, 원하는 색의 격벽을 만들 수 있다.
패널 기판 간 갭 확보용의 격벽 부분의 폭은,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DS)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20㎛ 내지 100㎛의 범위로 하고, 셀 형성 전용의 격벽 부분의 폭은, 본 발명의 화소와 화소의 간격(DS)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5㎛ 내지 3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 표시 영역에 대향해서 배치하는 화소를 구성하는 도전막에 있어서, 관찰측 투명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에 형성하는 투명 도전막 재료로서는, 산화인듐 주석(ITO), 산화인듐, 아연 도프 산화인듐(IZO),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A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도전성 산화주석, 도전성 산화아연 등의 투명 도전 금속 산화물류,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PEDOT: PSS 등) 등의 투명 도전성 고분자류를 들 수 있다.
정보 표시 영역에 대향해서 배치하는 화소를 구성하는 도전막에 있어서, 배면측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에 형성하는 도전막 재료는 투명해도 되고 투명하지 않아도 되며, 산화인듐 주석(ITO), 산화인듐, 아연 도프 산화인듐(IZO),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AZO), 안티몬 주석 산화물(ATO), 도전성 산화주석, 도전성 산화아연 등의 도전 금속 산화물류,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티오펜(PEDOT: PSS 등) 등의 도전성 고분자류나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니켈, 크롬 등의 금속이나 이들 금속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들 수 있다.
기판에 형성하는 도전막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상기 예시의 재료를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CVD(화학 증착)법, 도포법 등으로 박막형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나 금속박(예를 들어 압연 동박)을 라미네이트하는 방법, 도전제를 용매나 합성 수지 바인더에 혼합해서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패턴 형성이 가능하며 도전성인 상기 재료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관찰측 투명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에 형성하는 도전막의 두께는,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광투과성에 지장이 없으면 되며, 0.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5㎛가 더 바람직하다. 또한, 관찰측 투명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 이외에 형성하는 도전막이나 배면측 기판에 형성하는 도전막의 두께는, 도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되고, 0.01㎛ 내지 10㎛가 바람직하고, 0.05㎛ 내지 5㎛가 더 바람직하다.
관찰측 투명 기판에 형성하는 도전막으로서 적합한 ITO 등의 금속 산화물계의 투명 도전성 재료는, 금속 재료에 비해 가요성이 작다. 관찰측 투명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에 형성하는 금속 산화물계의 투명 도전막에는, 투명 전극재 내에서의 단선 방지를 위해 금속 세선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투명 도전막을 라인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투명 도전막 내에서 단선되기 쉬우므로 그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 세선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금속 세선의 폭은 1㎛ 내지 10㎛로 하면 표시 시인성에 방해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다. 관찰측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 외나 배면측 기판에 형성하는 도전막은 광투과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기 저항이 작고, 가요성이 우수한 상기 금속 재료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또한, 관찰측 기판의 정보 표시 영역 외나 배면측 기판에 형성하는 도전막의 두께는 전기 저항 및 생산성, 비용의 관점에서, 0.01㎛ 내지 10㎛로 설계된다.
<실시예>
이하, 실제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 예시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해서, 표 1에 도시한 각 조건에 기초하여 정보 표시용 패널을 제작했다. 또한, 정보 표시용 패널에 사용한 표시 매체는 이하와 같다.
(흑색 표시 매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간또 가가꾸 시약) 60중량부, 및 1 분자 중에 중합 반응기를 복수 갖는 다관능성 단량체로서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와꼬 쥰야꾸 시약) 40중량부(약 25mol%)에, 플러스 대전의 하전 제어제로서 니그로신 화합물(본트론NO7: 오리엔트 가가꾸제) 3중량부 및 흑색 안료로서 카본 블랙(스페셜 블랙: 데구사제) 5중량부를 샌드밀에 의해 분산시키고(아크릴계 및 메타크릴계) 수지 1 탄화수소계 수지 블록 공중합체(모디파F600: 닛본 유시제) 5중량부를 용해시킨 후, 또한 2중량부의 라우릴퍼옥시드(퍼로일L: 닛본 유시제)를 용해시킨 액을, 계면 활성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나트륨(라테믈E-118B: 가오제)을 0.5% 첨가한 정제수에 현탁, 중합시켜, 여과, 건조시킨 후, 분급기(MDS-2: 닛본 뉴마틱 고교)를 사용해서 평균 입자 직경 9.2㎛의 플러스 대전성 흑색 입자군을 얻었다. 실시예에서는, 이 흑색 입자군을 흑색 표시 매체로서 사용했다.
(백색 표시 매체)
폴리메틸펜텐 중합체(TPX-R18: 미쯔이 가가꾸사제) 100중량부와, 착색제로서 이산화티타늄(타이펙CR-90: 이시하라 산교사제) 100중량부와, 마이너스 대전의 하전 제어제로서 페놀계 축합물(본트론E89: 오리엔트 가가꾸제) 5중량부를 2축 혼련기로 용융 혼련하고, 제트밀(라보제트밀IDS-LJ형: 닛본 뉴마틱(주)제)로 미세하게 분쇄하고, 분급기(MDS-2: 닛본 뉴마틱 고교)를 사용해서 분급하고, 용융 구상화 장치(MR-10: 닛본 뉴마틱 고교)를 사용해서 용융 구상화해서 얻은, 평균 입자 직경이 9.5㎛인 마이너스 대전성의 백색 입자군을 얻었다. 실시예에서는, 이 백색 입자군을 백색 표시 매체로서 사용했다.
이 2종류의 입자군을 각각 등체적량으로 기판 간의 셀 내에, 합한 체적 점유율이 25%가 되도록 배치해서 표시 매체로 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각 다른 정보 표시용 패널에 대하여, 간극 t, DS, LS 및 45° 방향의 시야 어긋남 I를 구함과 동시에, 컬러 필터의 면적과 화소 면적의 비를 구하고, 이하의 표 1에 함께 기재했다. 그리고,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정보 표시용 패널에 대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해서 평가 결과 1로서 나타냄과 함께,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해서 평가 결과 2로서 나타내고, 이하의 각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각각에 기재했다.
<실시예 1>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200㎛, 굴절률: 1.47)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0㎛×10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R, G, BL,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100㎛의 간극을 남기게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또한, 잉크젯법에 있어서는, 잉크 방울의 크기를 타깃이 되는 컬러 필터층 형성 영역의 크기에 맞춰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1000㎛×10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화소)에 대하여, 6 내지 30피코리터로 제어한 잉크 방울로 함으로써 화소 크기보다 소면적인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컬러 필터재로는, 광경화형 컬러 필터재(잉크)를 사용했다.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교에사(주)의 DCP-A(디메티롤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했다. 광개시제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의 이르가큐어184를 사용했다.
실시예 1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2>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기판(두께: 125㎛, 굴절률: 1.65)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50㎛×3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3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 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플렉소(볼록판) 인쇄법으로 80㎛ 폭의 라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적(R), 청(BL), 녹(G) 3색의 컬러 필터를, 150㎛의 화소변에 대하여 양측에 35㎛의 간극을 갖는 컬러 필터가 되도록 형성했다. 플렉소 잉크의 광개시제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의 이르가큐어184를 사용했다. 이 플렉소 잉크를 사용하여, 유리 기판 상에 순차 스트라이프 형상의 컬러 필터를 인쇄했다. 아니록스롤로는 500선의 것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조정했다.
실시예 2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3>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200㎛, 굴절률: 1.47)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500㎛×5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5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포토리소법에 의해 컬러 필터를 형성한 투명 보호층이 되는 두께 1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의 컬러 필터면을 투명 점착재를 사용해서 접합했다.
컬러 필터용 안료를 분산시킨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제를 슬릿 코터에 의해 막 두께 2.0㎛가 되도록, 투명 유리 기판의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인 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노광 마스크를 사용해서 노광하고,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해서 현상함으로써, ITO 전극에 의해 형성된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부에 컬러 필터가 배치되도록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4색(R, G, BL,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순차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소면적으로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이때 화소 주위와 컬러 필터 주위의 간극은 60㎛로 형성했다.
실시예 3에 있어서, 정면 방향에서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4>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기판(두께: 125㎛, 굴절률: 1.65)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0㎛×10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7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포토리소법으로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컬러 필터용 안료를 분산시킨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제를 슬릿 코터에 의해 막 두께 2.0㎛가 되도록 상기 영역에 도포하고, 노광 마스크를 사용해서 노광하고,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해서 현상함으로써, ITO 전극에 의해 형성된 화소에 대응하는 위치의 중앙부에 화소 크기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크기로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컬러 필터는 2×2로 배치된 4개의 화소 중에서 3개의 화소에 적, 청, 녹색의 3색 컬러 필터를 순차 제작하고, 1개의 화소에는 컬러 필터용 안료를 분산시킨 네거티브형 포토레지스트제를 도포하지 않고 투명색 컬러 필터 T로 했다.
실시예 4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5>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기판(두께: 25㎛, 굴절률: 1.65)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1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PET 필름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거의 동일한 크기로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이때 화소 주위와 컬러 필터 주위 사이의 간극은 거의 없고, 컬러 필터는 적어도 화소 주위를 넘지 않도록 화소 주위와 약간의 간극을 남기게 형성했다. 또한, 잉크젯법에서는, 잉크 방울의 크기를 타깃이 되는 컬러 필터층 형성 영역의 크기에 맞춰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100㎛×1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화소)에 대하여, 6 내지 30피코리터로 제어한 잉크 방울로 함으로써 화소 크기의 100㎛×100㎛를 초과하지 않는 크기의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컬러 필터재로는, 광경화형 컬러 필터재(잉크)를 사용했다.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교에사(주)의 DCP-A(디메티롤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했다. 광개시제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의 이르가큐어184를 사용했다.
실시예 5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6>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기판(두께: 50㎛, 굴절률: 1.65)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1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PET 필름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10㎛의 간극을 형성했다.
실시예 6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7>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기판(두께: 125㎛, 굴절률: 1.65)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300㎛×3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PET 필름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40㎛의 간극을 형성했다.
실시예 7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8>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PET 필름 기판(두께: 50㎛, 굴절률: 1.65)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3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PET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플렉소(볼록판) 인쇄법으로 80㎛ 폭의 라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적(R), 청(BL), 녹(G) 3색의 컬러 필터를, 100㎛의 화소변에 대하여 양측에 10㎛의 간극을 갖는 컬러 필터가 되게 형성했다. 플렉소 잉크의 광개시제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의 이르가큐어184를 사용했다. 이 플렉소 잉크를 사용하여, PET 기판 상에 순차 스트라이프 형상의 컬러 필터를 인쇄했다. 아니록스롤로는 500선의 것을 사용하고, 막 두께가 1.5㎛가 되도록 조정했다.
실시예 8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9>
전극 패터닝한 1TO막을 구비한 투명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 기판(두께: 50㎛, 굴절률: 1.65)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1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PET 필름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10㎛의 간극을 형성했다.
실시예 9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10>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200㎛, 굴절률: 1.47)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500㎛×5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70㎛ 폭으로 형성한 기판측에 표시 매체가 되는 입자군을 배치한 후에 다른 한쪽의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700㎛)을 접합해서 구성한 패널 구조체의 관찰면측 기판(두께: 200㎛)의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도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는 직경 400㎛의 원형 도트 형상으로 형성하고,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약 50㎛의 간극을 형성했다.
실시예 10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11>
유리 기판 상에 200㎛×200㎛의 매트릭스형으로 화소를 형성한 TFT 기판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200㎛×2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한 기판측에 표시 매체가 되는 입자군을 배치한 후에, 패터닝되어 있지 않은 100nm 두께의 전체적으로 ITO막을 구비한 투명 PET 기판(두께: 50㎛, 굴절률: 1.65)을 접합해서 구성한 패널 구조체의 관찰면측의 투명 PET 기판(두께: 50㎛)의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또 한매의 배면측 TFT 기판 상에 형성된 화소 전극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10㎛의 간극을 형성했다.
실시예 11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혼색을 느낄 수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져, 양호함으로 판정했다
<실시예 12>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200㎛, 굴절률: 1.47)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500㎛×5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5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화소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배치하고,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제작된 컬러 필터와 화소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었지만 거의 화소와 동일한 크기의 컬러 필터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12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인접한 다른 색과의 혼색을 약간 느낄 수 있는 표시 상태가 얻어졌으나 실질상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정했다.
<비교예 1>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700㎛, 굴절률: 1.47)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500㎛×5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5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격벽으로 둘러싸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 중앙부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4색(적: R, 녹: G, 청: BL, 투명: T)이 2×2로 배치된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60㎛의 간극을 형성했다. 또한, 잉크젯법에 있어서는, 잉크 방울의 크기를 타깃이 되는 컬러 필터층 형성 영역의 크기에 맞춰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500㎛×5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화소)에 대하여, 6 내지 30피코리터로 제어한 잉크 방울로 함으로써 화소보다 소면적인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컬러 필터재로는, 광경화형 컬러 필터재(잉크)를 사용했다. 아크릴계 단량체로는, 교에사(주)의 DCP-A(디메티롤시클로데칸디아크릴레이트)를 사용했다. 광개시제로는, 시바 스페셜티 케미컬즈의 이르가큐어184를 사용했다. 컬러 필터층 상에는 아무것도 형성하지 않았다.
비교예 1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한편,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인접한 다른 색이 혼색된 표시 상태로 되어, 불량으로 판정했다.
<비교예 2>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유리 기판(두께: 200㎛, 굴절률: 1.47)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1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유리 기판면의, 화소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배치하고,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제작된 컬러 필터와 화소 사이에는 10㎛의 간극이 생기도록 하여 컬러 필터를 형성했다.
비교예 2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가 얻어졌다. 한편,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인접한 다른 색이 혼색된 표시 상태로 되어, 불량으로 판정했다.
<비교예 3>
전극 패터닝한 ITO막을 구비한 투명 PET 기판(두께: 200㎛, 굴절률: 1.65)의, 100nm 두께의 ITO막 상에, 기판 간격을 50㎛로 유지하고, 100㎛×100㎛의 매트릭스형 개구부를 갖는 격벽(리브)을 20㎛ 폭으로 형성하고, ITO막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측의 투명 PET 기판면의 화소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컬러 필터재를 잉크젯 방식으로 형성하고, 컬러 필터를 제작했다. 각 컬러 필터의 주위에는 격벽으로 둘러싸인 화소 크기에 대하여 40㎛의 간극을 형성했다.
비교예 3에 있어서,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는, 흐릿한 컬러 표시 상태였다. 또한,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는, 인접한 다른 색이 혼색된 표시 상태로 되어, 불량으로 판정했다.
Figure pct00004
표 1의 결과로부터, 컬러 필터의 면적이 화소의 면적에 대하여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임과 함께 경사 45° 방향으로부터 관찰했을 때의 시야 어긋남 I가 I≤0.5(DS+LS)인 실시예 1 내지 12는, 어느 한쪽의 조건 혹은 양자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3과 비교하여, 정면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1에서, 선명하며 양호한 표시 상태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경사 45° 방향으로부터의 시인성을 평가한 평가 결과 2에서, 혼색이 없는 표시 상태가 얻어지는 것을 알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정보 표시용 패널은 노트북, 전자 수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로 불리는 휴대형 정보 기기, 휴대 전화, 핸디 터미널 등의 모바일 기기의 표시부, 전자 서적, 전자 신문 등의 전자 페이퍼, 간판, 포스터, 칠판(화이트 보드) 등의 게시판, 전자 탁상 계산기, 가전 제품, 자동차 용품 등의 표시부, 포인트 카드, IC 카드 등의 카드 표시부, 전자 광고, 정보 보드, 전자 POP(Point Of Presence, Point Of Purchase advertising), 전자 정찰, 선반용 전자 가격표, 전자악보, RF-ID 기기의 표시부 이외에, POS 단말기, 카 내비게이션 장치, 시계 등 각종 전자 기기의 표시부에 적절하게 사용된다. 이외에, 재기입 가능형 페이퍼(본 발명에 관한 화소 크기의 전계 형성용 화소 전극쌍을 갖는 외부 전계 형성 수단을 사용해서 바꿔 쓸 수 있음)로서도 적절하게 사용된다.
1, 2: 기판
3W: 백색 표시 매체
3Wa: 마이너스 대전성 백색 입자
3B: 흑색 표시 매체
3Ba: 플러스 대전성 흑색 입자
4: 격벽
5, 6: 전극
7: 절연 액체
8: 캡슐
11R: 적색 컬러 필터
11G: 녹색 컬러 필터
11BL: 청색 컬러 필터
11T: 무색 컬러 필터
12: 접착제
13: 보호층
21: 투명 보호 필름
22: 투명 점착재층

Claims (7)

  1. 관찰측 투명 기판과 투명할 필요가 없는 배면측 기판을 대향 배치한 기판 간 공간에 표시 매체를 봉입하고, 관찰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을 표시 매체에서 반사시킨 반사광으로서, 관찰측 투명 기판에 형성한 각 색의 컬러 필터를 통해서 표시 정보를 컬러 인식할 수 있도록 한 정보 표시용 패널이며,
    상기 각 색의 컬러 필터를, 굴절률 n, 두께 d의 관찰측 투명 기판의 외측이며 화소와 겹치는 위치에, 컬러 필터의 상하 양측이나 좌우 양측 중 어느 하나에서 적어도 인접하는 컬러 필터색이 다른 컬러 필터 사이이며 경사 시인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부분에 간극을 갖도록, 컬러 필터가 화소와 겹치는 면적을 화소 면적의 50% 이상 100% 이하로 형성함과 동시에, 시인 방향에서의 화소 피치 및 화소 간 간격을 각각 LS 및 DS로 하고,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하기 수학식 1로 표시되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0.5×(DS+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수학식 1>
    Figure pct00005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색의 컬러 필터와 화소 사이에 간극 t를 형성했을 때, 표시 매체가 표시하는 화상을 컬러 필터면에서 45° 방향으로 굴절된 반사광으로서 시인했을 때 발생하는, 상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시야 어긋남 I와의 관계가 I≤D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한쪽 면에 패터닝된 투명 도전막 혹은 전면(solid) 투명 도전막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한쪽의 도전막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측에 상기 각 색의 컬러 필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두께 d가 200㎛ 이하이며, 또한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굴절률 n이 1.47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측이 되는 투명한 기판의 재료가 유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 폴리카르보네이트(PC), 아크릴계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컬러 필터는 삼원색의 컬러 필터 또는 삼원색과 무색 투명의 4색 컬러 필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컬러 필터가 형성된 투명한 관찰측 기판과 다른 한쪽의 배면측 기판 사이에 봉입되는 표시 매체로서, 적어도 광학적 반사율과 대전성을 갖는 입자를 포함한 입자군을 사용하고, 기판 간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표시 매체를 이동시켜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표시용 패널.
KR1020127001143A 2009-06-17 2010-06-09 정보 표시용 패널 KR201200342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4520 2009-06-17
JPJP-P-2009-144520 2009-06-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202A true KR20120034202A (ko) 2012-04-10

Family

ID=4335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143A KR20120034202A (ko) 2009-06-17 2010-06-09 정보 표시용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82198B2 (ko)
EP (1) EP2444841A4 (ko)
JP (1) JPWO2010146810A1 (ko)
KR (1) KR20120034202A (ko)
CN (1) CN102483553A (ko)
WO (1) WO2010146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870B1 (ko) * 2012-03-23 2019-06-07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컬러 반사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WO2013145914A1 (ja) * 2012-03-27 2015-12-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EP2853941B1 (en) * 2012-08-21 2021-08-18 Toppan Printing Co., Ltd. Reflection-type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6129696B2 (ja) * 2013-09-11 2017-05-17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アンダーフィル材、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347096B2 (ja) * 2013-10-02 2018-06-27 凸版印刷株式会社 反射型カラーディスプレイ及び反射型カラー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CN105487280A (zh) * 2016-01-20 2016-04-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及其制作方法
CN106328016B (zh) * 2016-09-29 2017-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8333847A (zh) * 2018-02-26 2018-07-27 广州奥翼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彩色显示器件
CN108873452B (zh) * 2018-06-25 2021-04-2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11061112B (zh) * 2020-01-02 2023-02-17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20220005922A (ko) * 2020-07-07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TWI795110B (zh) 2020-12-08 2023-03-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彩色濾光層陣列及具有彩色濾光層陣列的彩色電泳顯示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1586A (ja) 1985-04-05 1986-10-15 株式会社リコー カラ−液晶表示装置
JPH0655137U (ja) * 1992-12-28 1994-07-26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H0922031A (ja) 1995-07-07 1997-01-21 Seiko Epson Corp 液晶装置
JP2000194286A (ja) 1998-12-28 2000-07-14 Fujitsu Ltd カラ―表示装置
KR20030069285A (ko) * 2002-02-19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00510924C (zh) * 2005-11-09 2009-07-08 株式会社普利司通 信息显示用面板
EP1785767A1 (en) * 2005-11-09 2007-05-16 Bridgestone Corporation Information display panel
JP4977426B2 (ja) 2006-09-28 2012-07-1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情報表示用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4841A4 (en) 2012-12-26
EP2444841A1 (en) 2012-04-25
WO2010146810A1 (ja) 2010-12-23
US8582198B2 (en) 2013-11-12
US20120127561A1 (en) 2012-05-24
CN102483553A (zh) 2012-05-30
JPWO2010146810A1 (ja)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4202A (ko) 정보 표시용 패널
KR101201658B1 (ko) 정보 표시 장치
US20070120815A1 (en) Information display panel
WO2010073716A1 (ja) 情報表示用パネル
KR100900108B1 (ko) 정보 표시용 패널의 제조 방법
WO2009145255A1 (ja) 電子ペーパー
JP2009282064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観察側基板、情報表示用パネル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09271147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観察側基板、情報表示用パネル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2011095339A (ja) カラー表示型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8287172A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4977426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2010256560A (ja) カラー表示用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表示用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10145528A (ja) カラー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情報表示用パネル
JP4902956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及び情報表示装置
JP2010139863A (ja) ドットマトリックス型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11089919A1 (ja) 音響発生機能付き画像表示装置
US20110176198A1 (en) Dot matrix type information display panel
JP2010160251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pop、電子棚札
JP2011237544A (ja)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表示型情報表示用パネル
WO2011070769A1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3536A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2010145532A (ja) カラー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カラー情報表示用パネル
JP2009069405A (ja) 情報表示用パネル
JP2010122492A (ja) 情報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および情報表示用パネル
JP5032192B2 (ja) 情報表示用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