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37A -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37A
KR20120032437A KR1020110097334A KR20110097334A KR20120032437A KR 20120032437 A KR20120032437 A KR 20120032437A KR 1020110097334 A KR1020110097334 A KR 1020110097334A KR 20110097334 A KR20110097334 A KR 20110097334A KR 20120032437 A KR20120032437 A KR 20120032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ontainer
storage container
edge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8267B1 (ko
Inventor
우도 쉬츠
Original Assignee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6745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3243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filed Critical 프로테크나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32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 B65D77/045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 B65D77/04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the inner container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the containers being mounted on a pal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13/00Safety means
    • B65D2213/02Means for preventing buil-up of electrostatic 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0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whereby at least one side wall is made of two or more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Palle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내부 컨테이너, 금속망이나 금속판으로 구성된 외부 케이싱 및 리프트 트럭, 선반 작동 장치 또는 유사한 이송수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팔레트의 형태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을 가지고, 하부 프레임은 내부 컨테이너 지지용 바닥부(18)와 전기적 부도체 재질로 만들어진 지지 레그부(29)를 가지고, 바닥부는 외부 케이싱의 바닥 에지부와 지지 레그부 사이에서 주변 에지부와 함께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부는 외부 케이싱에 싸이고 바닥부 위에 배치되는 내부 컨테이너로부터 생기는 정전기를 소멸시키기 위해 금속판 부재(35)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컨테이너에 가장 가까운 금속판 부재의 단부에 있는 접촉 도체부(39)는 바닥부나 외부 케이싱과 전도적 연결을 위한 컨테이너 접촉부(40)와 바닥표면에 가장 인접한 단부에서 바닥표면과 전도적 연결을 위한 바닥 접촉부(42)를 가지고, 금속판 부재의 접촉 도체부는 지지 레그부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공동부(38) 내부로 뻗어있고, 바닥 접촉부는 접지표면과 스택 접촉표면(49)을 구성하는 접촉표면 요소를 가지고, 스택 접촉표면은 바닥 접촉부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50)를 경유하여 접지표면에 연결되고 그리고 용기의 수직축방향에서 접지표면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있다.

Description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FOR LIQUIDS}
본 발명은 액체를 이송하고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내부 컨테이너, 금속망이나 금속판으로 구성되는 외부 케이싱, 그리고 리프트 트럭, 선반작동장치 또는 유사한 운반장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팔레트(pallet)의 형태로 구성된 하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하부 프레임은 내부 컨테이너를 지지하는 바닥부와 전기적 부도체 물질로 만들어진 지지 레그부(leg)를 가지고, 바닥부의 주변 에지부는 지지 레그부와 외부 케이싱의 바닥 에지부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부에는 내부 컨테이너로부터 발생하는 정전기를 소멸시키는 금속판 부재가 설비되어있다. 내부 컨테이너는 외부 케이싱에 싸여있고 그리고 바닥부에 배치되어있다. 내부 컨테이너에 가장 인접하는 금속판 부재의 단부에 있는 접촉 도체부는 외부 케이싱이나 바닥부와 전도되게 연결되는 컨테이너 접촉부와 바닥표면에 가장 인접한 단부에서 바닥표면과 전도되게 연결되는 바닥 접촉부를 가진다.
상기한 형태의 이송 및 저장 용기를 조작할 때 또는 그러한 용기에 액체를 채우고 비울 때, 내부 컨테이너에 담겨있는 액체는 내부 컨테이너의 쉘(shell)에 대해 상대작동을 하게 된다. 내부 컨테이너에 정전기를 소멸시키는 적절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러한 상대적인 작동에 의해 컨테이너 내부에 전위가 발생하여 컨테이너의 내용물이 점화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방지시키기 위해, 상기한 형태의 이송 및 저장 용기에는 플라스틱 내부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어떤 정전기가 내부 컨테이너의 쉘에서부터 시작하여 컨테이너의 외부 케이싱과 컨테이너의 팔레트형 하부 프레임을 통해 용기가 배치되어있는 바닥표면으로 소멸하게 하는 장치가 설비되어있다. 특히 팔레트형 하부 프레임이나 바닥표면과 직접 접촉하는 팔레트형 하부 프레임의 지지 레그부가 플라스틱이나 나무 등과 같은 부도체 물질로 만들어져 있는 경우 내부 컨테이너의 정전기를 소멸시키기 위해, 즉 내부 컨테이너를 접지시키기 위해 팔레트형 하부 프레임에 대해 어떤 특별한 장치를 구비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EP 1 481 918 A1에 지지 레그부가 나무로 만들어진 팔레트형 하부 프레임을 구비한 상기한 형태의 이송 및 저장 용기가 기술되어있다.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외부 케이싱과 바닥표면 사이를 전도되게 연결하기 위해 지지 레그부의 외부 면을 따라 금속 스트립을 설비하여 정전기를 소멸시키는 것이 제안되어있다. 지지 레그부의 외부에 금속 스트립을 부착시키면 그것은 노출된 위치에 놓이므로 금속 스트립이 손상되든지 분리될 위험성이 있고, 특히 바닥표면에 접하여 놓여있는 이송 및 저장 용기에 어떤 상대적인 이동상황이 발생할 경우 상기한 위험성은 더 크게 된다. 이렇게 금속 스트립이 손상되거나 분리되면 금속 스트립에 의한 정전기의 소멸은 더 이상 보장되지않게 된다. 또한, 금속 스트립을 지지 레그부에다 부착시키려고 하면 그것을 위해 부가적으로 기계적인 고정수단을 사용해야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프레임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내부 컨테이너의 정전기, 특히 내부 컨테이너에 대한 액체의 상대적인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컨테이너의 정전기를 소멸시키는 장치를 구비한 이송 및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정전기를 소멸시키는 장치는 안전하게 작동될 수 있고 그리고 특히 외부의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및 저장 용기는 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라, 금속판 부재의 접촉 도체부는 지지 레그부에 적합한 공동부(cavity)의 내부로 뻗어있고 그리고 바닥 접촉부는 접지표면과 스택(stack) 접촉표면을 갖춘 접촉표면배치를 가지고 있다. 스택 접촉표면은 바닥 접촉부에 적합한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를 경유하여 접지표면에 연결되고 그리고 용기의 수직축의 방향에서 접지표면 위에 배치되어있다.
금속판 부재의 접촉 도체부의 내부배치 때문에, 지지 레그부에 있는 공동부에서 금속판 부재, 즉 접촉 도체부는 외부의 기계적인 영향으로부터 보호되는 위치에 놓이므로 특히, 여러 개의 이송 및 저장 용기가 아주 가까운 위치에 놓여 있을 경우, 금속판 부재가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인접하는 팔레트형 하부 프레임에 걸려서 찢어지는 것에 의해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설계에 따라, 바닥 접촉부에는 단일의 용기가 바닥표면에 안전하게 접지되게 할 뿐만 아니라 서로 겹쳐져서 쌓여있는 다수 개의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쌓여있는 배치상태에서도 안전한 접지를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접촉표면 배치상태가 설비되어있다. 첫 번째 경우에 접지표면과 바닥표면 사이에 접지상태가 설정된다. 두 번째 경우에, 전기적 도체 접촉은, 스택 접촉표면이 접지표면에 대한 그것의 위치에 의해 그것의 밑에 놓여있는 다른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외부 케이싱의 상부 에지부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접지표면에 인접하여 놓여있는 스택 접촉표면을 통해 쌓여있는 상태에서 다른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상단에 배치된 하나의 이송 및 저장 용기의 금속판 부재 사이에서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접지표면과 스택 접촉표면 사이의 접촉표면 오프셋은 이송 및 저장 용기가 서로에 대해 정확한 위치에서 안전하게 유지되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바람직한 예에서와 같이, 바닥표면에 가장 인접한 지지 레그부의 단부가 바닥 접촉부를 떠받치기 위해 적합한 지지표면 배치상태를 가질 경우, 비록 매우 얇은 금속판의 스트립이 금속판 부재나 바닥 접촉부로 선택되어도 바닥 접촉부에 적합한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의 크기의 안전성에 위험을 주는 것 없이 바닥 접촉부는 보강될 수 있다.
특히, 용기의 접촉부가 지지 레그부에 금속판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요소로 구비되면, 금속판 부재를 지지 레그부에 고정하기 위한 부가적인 기계적 고정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을 가진다.
바람직한 예에서, 용기의 접촉부는 지지 베이스에 적합한 고정 슬롯을 통과할 수 있도록 유연한 혀 모양으로 구성되고 그리고 그 혀 모양이 지지 베이스와 바닥부 사이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지지 베이스 쪽으로 굽어져 있다. 용기의 접촉부가 유연한 혀 모양으로 설계되면, 용기의 접촉부는 동시에 고정수단으로 이차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연한 혀 모양의 배치상태는 그것이 바닥부와 지지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게 하여 유연한 혀 모양이 의도되지 않은 상태에서 굽혀져서 금속판 부재와 지지 레그부 사이의 연결상태가 단락되게 하는 위험성을 배제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예에 따라, 금속판 부재는 바닥 접촉부가 접촉 도체부에 대해 수직으로 뻗도록 L형상으로 되고 그리고 컨테이너의 접촉부가 바닥 접촉부의 반대편에서 접촉 도체부의 인접 단부의 연장부로 구성되면, 금속판 부재를 지지 레그부에 설치하는 것은 매우 단순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금속판 부재는 접촉 도체부의 인접 단부가 지지 베이스에 맞대어서 놓일 때까지 아래에서부터 공동부 속으로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금속판 부재를 바닥 접촉부에 기계적으로 안전하게 지지시킬 목적을 위해, 바닥 접촉부를 공동부의 벽의 앞쪽 에지부에 지지시키면 특히 이점이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공동부에 바닥 접촉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연결 에지부 반대편의 바닥 접촉부의 자유 외부 에지부에 그리고 접촉 도체부와 연결되는 바닥 접촉부의 에지부에 지지장치를 구비시켜서, 지지 레그부에 금속판 부재가 안정되게 위치설정되게 하여 지지 레그부에서 금속판 부재가 상대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특히 지지장치의 단순하고 그리고 작동이 안정된 형상은 연결 에지부에 할당되는 지지장치를 접촉 도체부의 길이방향의 에지부와 맞물리고 그리고 공동부의 벽과 음양 고착연결을 형성하는 멈춤쇠 장치로 구성시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자유 외부 에지부에 할당되는 지지장치의 안정된 위치설정과 단순한 구조는 그들이 자유 외부 에지부에 재료의 연장부로 구축되는 고정구의 형태를 가지고 그리고 접촉 도체부의 길이방향 에지부에 평행하게 연장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실무상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쌓여있는 형상에서 하부 쪽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외부 케이싱의 상단 에지부나 표면을 따르는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이동에 기인하는 바닥 접촉부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은 연결 에지부와 바닥 접촉부의 자유 외부 에지부 사이에 뻗어있는 바닥 접촉부의 횡방향 에지부에 핀(fin)을 구비시켜 방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핀은 접지표면과 스택 접촉표면에 마주하여 위치되어서 컨테이너의 접촉부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바닥 접촉부의 연결 에지부에다 각각이 접촉 도체부의 길이방향 에지부에 평행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공동의 벽이 놓여지는 차단부에 의해 분리되고 바닥 접촉부의 횡방향 에지부를 떠받치는 지지 베이스의 하단 면과 같은 높이로 놓이는 베어링 플란지를 구비시켜서 지지 레그부에서 공동의 단면 위로 연장되는 바닥 접촉부의 변형 방지 구조를 구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기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에 의하면 내부 컨테이너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소멸시키기 위해 외부 케이싱과 바닥표면 사이를 전도되게 연결하는 수단을 외부의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구비시켜 안전하게 정전기를 소멸시킬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쌓여있는 구조로 된 두 개의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쌓여있는 구조로 된 이송 및 저장 용기의 선 Ⅱ에 따른 도면으로서, 접지판으로 스키드 팔레트의 외부 스키드의 중앙 지지 레그부에 삽입되는 금속판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지 레그부에 삽입되는 금속판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금속판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다른 것의 상단에 하나가 쌓여있는 두 개의 이송 및 저장 용기(10,11)를 나타내는 것이다. 용기(10,11)의 각각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컨테이너(12)를 구성하고 있고, 컨테이너(12)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그것을 보호하는 케이싱 구조체(1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 구조체(13)는 본 발명의 경우에 새장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 개의 수평 바(15)와 수직 바(16)로 구성되어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 바닥 바로서 수평 바(15)를 구성하고 있는 외부 케이싱(14)의 바닥 에지부(17)는 바닥부(18)에 놓이고 그리고 여기서 스키드 팔레트(skid pallet)(19)로 표시되는 하부 프레임을 가진다.
본 경우에, 스키드 팔레트(19)는 서로 평행으로 배치된 3개의 스키드 즉, 2개의 외부 스키드(24,25)와 하나의 중앙 스키드(26)를 가지고, 이러한 스키드들은 공간부(E₁, E₂)가 왼쪽 외부 스키드(24)와 중앙 스키드(26) 사이 그리고 중앙 스키드(26)와 오른쪽 스키드(25) 사이에 형성되게 서로 떨어져서 설정되어있다. 포크리프트 트럭의 포크가 이송 및 저장 용기(10,11)를 운반하기 위해 공간부 속으로 도입될 수 있다.
스키드 팔레트(19)의 외부 스키드(24,25)의 각 각에는 2개의 모서리 레그부(27,28)와 하나의 중앙 레그부(29)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스키드의 뒤쪽 단부에는 단지 하나의 중앙 레그부(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않음)가 있고, 그것은 외부 스키드(24,25)의 뒤쪽 2개의 모서리 레그부(28)와 같은 높이로 되어있다. 중앙 스키드(26)의 앞쪽 단부에서, 바닥부(18)는 지지체가 그것을 위해 설비될 수 있게 하는 바닥 홈부(30)를 가지고 있다. 바닥부(18)의 중앙영역을 지지하기 위해, 외부 스키드(24,25)의 지지용 중앙 레그부(29)는 바닥부(18)를 보강하는 바닥 크로스 부재(80)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되어있다.
스키드 팔레트(19) 상의 외부 케이싱(14) 내에 배치된 플라스틱으로 된 내부 콘테이너(12)에는 내부 컨테이너(12) 상의 바닥 홈부(30)의 영역에 배치되는 배출피팅(32)과 폐쇄가능한 충전 오프닝(31)이 설비되어 있다. 그래서 내부 컨테이너(12)는 액체로 채워질 수 있고, 필요할 경우 배출 피팅(32)의 밸브장치(33)를 작동시켜 다시 그 액체를 내부 컨테이너(12)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특히, 이송 및 저장 용기(10,11)가 폭발성 구성요소를 포함하든지 또는 액체용기 내에서 쉽게 점화될 수 있는 가스를 형성하는 액체를 이송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경우, 내부 컨테이너는 그것에 액체가 채워지고 비워질 때 액체와 내부 컨테이너(12)의 쉘 사이의 마찰에 기인하여 정전기적으로 충전되어(정전기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액체나 액체에 의해 형성되는 가스가 점화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내부 컨테이너(12)의 쉘에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내부 컨테이너(12)의 쉘의 정전기가 이송 및 저장 용기(10)의 바닥 표면(4)으로 소멸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1에 도시된 이송 및 저장 용기(11)에는 내부 컨테이너(12)의 쉘과 외부 케이싱(14) 사이를 전도성을 가지고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전도수단(여기서는 도시하지않음)이 설비되어 있다. 부가적으로, 전도성 연결은 외부 케이싱(14)의 바닥 에지부(17)를 전도성 바닥부(18)와 접촉시킴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 따라 어떤 정전기를 소멸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을 구비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금속판 부재(35)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키드(24,25)의 중앙 레그부(29)에 구비되어있다. 하단의 이송 및 저장 용기(10)의 금속판 부재(35)는 바닥부(18)와 바닥 표면(3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연결하고, 그리고 쌓여있는 상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1)의 금속판 부재(35)는 상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1)의 바닥부(18)와 하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0)의 외부 케이싱(14) 사이를 전기적으로 전도되게 연결한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Ⅱ)에 따른 상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1)의 스키드 팔레트(19) 상의 중앙 레그부(29)를 나타내는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중앙 레그부(29)는 공동부로 나누어지는 내부 구조체를 가진다. 여기서 하나의 수용 공동부(38)는 금속판 부재(35)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금속판 부재(35)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해 금속판 부재(35)를 나타내는 도 3을 참조한다. 이것에 따라, 금속판 부재(35)는 기본적으로 곧은 스트립의 형상이고, 상단부에 컨테이너 접촉부(40)를 갖춘 접촉 도체부(39)를 가진다. 컨테이너 접촉부(40)는 접촉 도체부(39)의 인접 단부(41)에서 혀 모양의 연장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접 단부(41)에 대한 접촉 도체부(39)의 반대쪽 단부는 바닥 접촉부(42)가 되고, 바닥 접촉부는 접촉 도체부(39)에 대해 횡으로, 본 경우 그것에 대해 약 90도의 각도로 접촉 도체부(39)를 연장시켜 금속판 부재(35)가 기본적으로 L 형상이 되게 한다.
접촉 도체부(39)에서 바닥 접촉부(42)로 변환되는 부분에서 적합하게 되는 연결 에지부(43)의 영역에서, 접촉 도체부(39)의 단부에는 접촉 도체 핀(44,45)이 갖추어져 있고, 접촉 도체 핀의 각각은 멈춤쇠 장치를 가진다.
바닥 접촉표면(바닥 접촉부)(42)은 스택 접촉표면(49)과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50)에 의해 스택 접촉표면(49)으로부터 분리되는 접지표면(51)을 구비한 접촉표면 요소(48)를 가진다. 고정구(53,54)가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50)의 반대편에서 외부 에지부(52)에 형성되어있다. 고정구(53,54)의 각 각에는 접촉 도체부(39)에 있는 멈춤쇠 장치(46)와 같은 구조로 되어있는 멈춤쇠(55)가 구비되어있다. 고정구(53,54)는 바닥 접촉부(42)에 의해 접촉 도체부(39)로부터 분리되어있고 그리고 접촉 도체부(39)의 접촉 도체 핀(44,45)에 기본적으로 평행으로 뻗어있다.
핀(59)은 바닥 접촉부(42)의 외부 에지부(52)와 연결 에지부(43) 사이에서 뻗어있는 횡으로 된 에지부(57,58)에 형성되어있다. 이러한 핀은 스택 접촉표면(49) 또는 접지표면(51)의 반대편에서 컨테이너 접촉부(40) 쪽으로 기울어져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중앙 지지 레그부(39)에 설치되는 금속판 부재(35)의 접촉 도체부(39)는 중앙 지지 레그부(29)의 공동부(38)에 놓인다. 공동부의 하부 단부는 삽입 오프닝(63)을 가지고 그리고 공동부의 상부 단부는 지지 레그부(29)의 지지 베이스(64)에 의해 폐쇄된다. 공동부(38)에다 금속판 부재(35)를 설치하기 위해, 금속판 부재(35)는 바닥부(18)의 저면부(65)가 지지 레그부(29)의 지지 베이스(64)와 마주하여 조립되기 전에 아래로부터 삽입 오프닝(63)을 통해 공동부(38) 속으로 삽입된다. 이렇게 하는데 있어서 컨테이너 접촉부(40)는 인접 단부(41)가 지지 베이스(64)의 저면부와 맞대어서 높이가 같아지게 놓일 때까지 지지 베이스(64)에 있는 고정 슬롯(66) 속으로 삽입된다. 동시에 접촉 도체 핀(44,45) 상의 연결 에지부(43)의 영역에 형성된 멈춤쇠 장치(55)(도 3 참조)와 고정구(53,54)에 형성된 멈춤쇠 장치(55)는 인접하는 공동부의 벽(67,68)의 변형저항에 맞대어 공동부(38) 속으로 눌려진다. 이에 의해 멈춤쇠 장치(46,55)는 공동부의 벽(67,68)과 맞물려 연결되게 된다. 공동부의 벽(67,68)의 이웃하는 앞쪽 에지부(70)의 삽입 오프닝(63)이 바닥 접촉부(42)의 Z형 단면과 대략 정합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공동부의 벽(67,68)과 함께 공동부(38)는 바닥 접촉부(42)를 떠받치는 배치의 지지표면을 형성한다.
도 2도 역시 도시하는 것과 같이,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50)는 컨테이너의 수직축(71)의 방향에서 접지표면(51)에 대해 스택 접촉표면(49)을 수직으로 오프셋시키고 그리고 접지표면(51)에 대해 스택 접촉표면(49)을 수평으로 오프셋 시켜서, 수평 바(15)에 의해 형성되는 도 1에 도시된 하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0)의 상부 에지부(20)는 그 용기가 쌓여 있을 때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서 한정된 방식으로 바닥 접촉부(42)와 맞대어서 높이가 같아지도록 한다. 이 경우에 스택 접촉표면(49)은 수직방향에서 전기접촉이 안전하게 행해지게 하고 그리고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50)는 도 1에 쌓여있는 구조로 도시된 상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1)가 하부의 이송 및 저장 용기(10)의 상단에 수평으로 안전하게 놓이게 한다. 이에 의해 전기적인 접촉이 신뢰할 수 있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쌓는 배치상태의 안정성도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과 함께 고려해 볼 때 도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금속판 부재(35)의 접지표면(51)은 이송 및 저장 용기(11)가 바닥표면(34)에 놓일 때 금속판 부재(35)와 바닥표면(34) 사이를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된 예에서, 접지표면(51)은 바닥 접촉부(42)의 횡으로 된 에지부(57,58)가 접지표면(42)의 영역에서 약간 굽어져 있기 때문에 약간 둥글게 되어있다. 따라서 이송 및 저장 용기(10 또는 11)를 바닥표면(34)이나 상부 에지부(20) 상에서 계속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 바닥 접촉부(42)의 횡으로 된 에지부(57,58)에는 바닥표면(34)이나 상부 에지부(20)에 의해 한정되는 지표 밑의 실질적으로 불균일한 것을 보상하기 위해 립(lip)(59,60)이 구비되어있다.
금속판 부재(35)의 바닥 접촉부(42)에는 횡으로 된 에지부(57,58)에 인접한 부가적인 지지 탭(74,75)이 설비되어있다. 이러한 탭의 각각은 접촉 도체부(39)에 평행으로 뻗어있고 그리고 차단부(77,78)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있다. 지지 탭(74,75)의 자유단에는 지지 베이스(64)의 저부면에 맞대어서 같은 높이에서 접촉되게 하는 보강 에지부(79)가 있다.
이미 설명된 것과 같이, 금속판 부재(35)는 바닥부(18)의 저면부(65)가 지지 레그부(29)의 지지 베이스(64)와 맞대어서 조립되기 전에 공동부(38) 속으로 삽입된다. 금속판 부재(35)가 공동부(38) 속으로 삽입되고 그리고 접촉 도체부(39)의 인접 단부(41)가 지지 베이스(64)의 저부면에 맞대어서 같은 높이로 놓인 후 탭 형태의 컨테이너 접촉부(40)는 지지 베이스(64) 쪽으로 굽혀지고, 이에 의해 멈춤쇠 장치(46,55) 외에 지지 레그부(29)와 금속판 부재(35) 사이에 기계적인 연결상태가 부가적으로 생기게 된다. 이때 저부면(65)에 배치된 베이스 가로대(80)와 저면부(65)를 가진 바닥부(18)는 지지 베이스(64)에 볼트로 죄여져서 컨테이너 접촉부(40)가 지지 베이스(64)와 바닥부(18) 사이에 놓여져서 지지 베이스(64) 쪽으로 굽어진 형태로 잠겨지게 한다.
금속판 부재(35)가 지지 레그부(29)에 설치될 때 차단부(77,78)는 공동부의 벽(67,68)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여 바닥 접촉부(42)가 공동부의 벽(67,68) 사이의 간격(a)을 초과하는 폭(d)을 가져도 바닥 접촉부(42)가 안전하게 떠받쳐질 수 있도록 차단부(77,78)에 인접하는 지지 탭(74,75)이 배치되게 한다.
도 4는 금속판 부재(35)와 다른 또 다른 예의 금속판 부재(72)를 나타낸다. 여기서 금속판 부재(72)는 공동부의 벽(67,68) 사이의 간격(a)에 적합한 폭(b₁)을 가지는 바닥 접촉부(73)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금속판 부재(35)와 달리 어떤 부가적인 지지 탭없이 신뢰할 수 있게 떠받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관점에서, 금속판 부재(72)의 구조는 금속판 부재(35)의 것과 기본적으로 같고 그리고 그것은 접촉 도체부(39)를 가지고, 그 접촉 도체부(39)의 바닥 접촉부(73)의 반대편의 단부에는 컨테이너 접촉부(40)가 설비되어 있다.
12: 내부 컨테이너 14: 외부 케이싱
17: 바닥 에지부 18: 바닥부
27,28,29: 지지 레그부 34: 바닥표면
35,72: 금속판 부재 38: 공동부
39: 접촉 도체부 40: 컨테이너 접촉부
42,73: 바닥 접촉부 49: 스택 접촉표면
51: 접지표면 59,69: 핀
64: 지지 베이스 66: 고정 슬롯

Claims (11)

  1.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내부 컨테이너(12), 금속망이나 금속판으로 구성된 외부 케이싱(14) 및 리프트 트럭, 선반 작동 장치 또는 유사한 이송수단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형상으로 된 팔레트의 형태로 구축된 하부 프레임을 가지고, 하부 프레임은 내부 컨테이너 지지용 바닥부(18)와 전기적 부도체 재질로 만들어진 지지 레그부(27,28,29)를 가지고, 바닥부는 외부 케이싱의 바닥 에지부(17)와 지지 레그부 사이에서 주변 에지부와 함께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레그부는 외부 케이싱에 싸이고 바닥부 위에 배치되는 내부 컨테이너로부터 생기는 정전기를 소멸시키기 위해 금속판 부재(35,72)를 구비하고 있으며, 내부 컨테이너에 가장 가까운 금속판 부재의 단부에 있는 접촉 도체부(39)는 바닥부나 외부 케이싱과 전도적 연결을 위한 컨테이너 접촉부(40)와 바닥표면(34)에 가장 인접한 단부에서 바닥표면과 전도적 연결을 위한 바닥 접촉부(42,73)를 가지는 것으로 된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에 있어서,
    금속판 부재의 접촉 도체부는 지지 레그부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공동부(38) 내부로 뻗어있고, 바닥 접촉부는 접지표면(51)과 스택 접촉표면(49)을 구성하는 접촉표면 요소(48)를 가지고, 스택 접촉표면은 바닥 접촉부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50)를 경유하여 접지표면에 연결되고 그리고 용기의 수직축방향에서 접지표면 위에 배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바닥표면(34)에 가장 인접한 지지 레그부(29)의 단부는 바닥 접촉부(42,73)를 떠받치기 위해 접촉표면 오프셋 요소와 정합하게 적합하게 되어있는 떠받치는 표면 배치 요소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접촉부(40)는 지지 레그부(29)에다 금속판 부재(35,72)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구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컨테이너 접촉부(40)는 지지 레그부(29)의 지지 베이스(64)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고정 슬롯(66)을 관통하고 그리고 그것이 지지 베이스와 바닥부(18) 사이에 확고하게 지탱되게 하는 방식으로 지지 베이스 쪽으로 굽어있는 유연한 혀 모양으로 구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금속판 부재(35,72)는 기본적으로 L형상이고, 바닥 접촉부(42,73)는 금속판 부재의 접촉 도체부(39)에 비스듬히 뻗어있고, 그리고 컨테이너 접촉부(40)는 바닥 접촉부의 반대편에 접촉 도체부의 인접 단부(41)에서 연장부로 구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바닥 접촉부(42,73)는 공동부(38)의 벽(67,68)의 앞쪽 에지부(7)에 떠받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접촉 도체부(39)를 가지는 바닥 접촉부(42,73)의 연결 에지부(43)와 연결 에지부의 반대편에 있는 자유 외부 에지부(52)는 공동부(38)에서 바닥 접촉부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지지장치를 설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연결 에지부(43)에 할당되는 지지장치는 접촉 도체부(39)의 길이방향 에지부를 따라 배치되는 멈춤쇠 장치로 구축되고 그리고 공동부(38)의 벽(67,68)과 음양 고착 연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외부 에지부(52)에 할당되는 지지 장치는 외부 에지부에서 재료의 연장부로 구축되고 그리고 접촉 도체부(39)의 길이방향 에지부에 평행으로 뻗어있는 고정구(53,54)로 구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닥 접촉부(42,73)는 연결 에지부(43)와 외부 에지부(52) 사이에 뻗어있는 횡방향 에지부(57,58)에서 핀(59,69)을 설비하고 있고, 핀은 접지표면(51)과 스택 접촉표면(49)의 접촉면의 반대편에 있는 컨테이너 접촉부(40) 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바닥 접촉부(42)의 연결 에지부(43)는 베어링 플란지(74,75)를 설비하고 있고, 베어링 플란지의 각각은 접촉 도체부(39)의 길이방향 에지부에 평행으로 뻗어 있고, 그리고 베어링 플란지는 공동부(38)의 벽(67,68)이 놓이게 하는 차단부(77,78)에 의해 분리되며 그리고 바닥 접촉부의 횡방향 에지부(57,58)를 떠받치는 지지 베이스(64)의 하부면과 같은 높이로 놓이는 보강 에지부(7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KR1020110097334A 2010-09-28 2011-09-27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KR101338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41545.6 2010-09-28
DE102010041545.6A DE102010041545B4 (de) 2010-09-28 2010-09-28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37A true KR20120032437A (ko) 2012-04-05
KR101338267B1 KR101338267B1 (ko) 2013-12-09

Family

ID=44674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334A KR101338267B1 (ko) 2010-09-28 2011-09-27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036321B2 (ko)
EP (1) EP2433880B1 (ko)
JP (1) JP5486572B2 (ko)
KR (1) KR101338267B1 (ko)
CN (1) CN102442459B (ko)
AR (1) AR083165A1 (ko)
BR (1) BRPI1105108B1 (ko)
CO (1) CO6410032A1 (ko)
DE (1) DE102010041545B4 (ko)
ES (1) ES2405805T3 (ko)
MX (1) MX2011009874A (ko)
MY (1) MY160481A (ko)
PL (1) PL2433880T3 (ko)
RU (1) RU2478543C1 (ko)
SA (1) SA111320781B1 (ko)
ZA (1) ZA2011070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52489B2 (en) 2012-02-16 2014-06-17 Oria Collapsibles, Llc Lightweight pallet and container including mesh support surface and galvanized frame construction
DE202013000624U1 (de) 2012-09-21 2013-03-07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JP6375688B2 (ja) 2013-05-20 2018-08-22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圧送容器、圧送容器を用いた保管方法、及び、圧送容器を用いた移液方法
DE102015012163B4 (de) 2015-09-23 2019-07-04 Mauser-Werke Gmbh Palettencontainer
NO339664B1 (en) * 2015-10-15 2017-01-23 St Tech As A system for isolating an object
CA3010220C (en) * 2016-01-07 2022-08-09 Mauser-Werke Gmbh Pallet container
EP3504134A4 (en) * 2016-08-24 2020-04-01 Dane Technologies Inc. FOLDABLE AND STACKABLE PALLETS FOR TRANSPORTING WHEEL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7585436B (zh) * 2017-09-13 2019-05-03 湖州创通输送设备有限公司 一种液体运输用运输装置
IT201900016091A1 (it) * 2019-09-11 2021-03-11 Ima Spa Apparato e metodo per neutralizzare elettricità statica presente sulla superficie di contenitori e/o vassoi portacontenitori.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7159C2 (de) 1991-05-25 1993-10-14 Sotralentz Sa Transport- und/oder Lagerbehälter
US5365858A (en) 1993-04-01 1994-11-22 Reynolds Metals Company Plastic pallet incorporating electrostatic discharge element
DE19720931C2 (de) 1997-05-20 1999-12-02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20021321U1 (de) 2000-12-16 2001-03-22 Protechna Sa Fribourg Freiburg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154388A1 (de) * 2001-11-06 2003-05-15 Roth Werke Gmbh Gitterkorb für einen Behälter
DE20206652U1 (de) 2002-04-25 2002-08-08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42956B4 (de) * 2002-09-17 2004-07-15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Kunststoff-Innenbehälters des Transport- und Lagerbehälters
DE10242954A1 (de) * 2002-09-17 2004-03-25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301517B3 (de) * 2003-01-17 2004-03-11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EP1481918B1 (de) * 2003-05-30 2008-02-27 Daviplast - Servicos de Consultoria, Sociedade Unipessoal LDA. Palettenbehälter
DE20316883U1 (de) 2003-10-31 2004-03-11 Protechna S.A. Palettenartiges Untergestell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JP4418718B2 (ja) 2004-07-08 2010-02-24 三甲株式会社 板状物梱包用具
DE202006001222U1 (de) 2006-01-24 2007-05-31 Mauser-Werke Gmbh Palette
JP2007201066A (ja) * 2006-01-25 2007-08-09 Murata Mach Ltd 枚葉搬送用トレイ及び枚葉搬送用トレイの保管又は搬送装置
DE102008009327A1 (de) 2008-02-15 2009-08-27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008011423A1 (de) 2008-02-27 2009-09-10 Protechna S.A.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DE102009016451B3 (de) * 2009-04-04 2011-01-20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mit einem Armaturengehäuse aus Kunststoff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elektrisch geerdeten Anschlussflansches zur Befestigung der Entnahmearmatur an dem Entleerstutzen des Innenbehälters des Transport- und Lagerbehäl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433880T3 (pl) 2013-07-31
EP2433880A1 (de) 2012-03-28
EP2433880B1 (de) 2013-02-06
RU2478543C1 (ru) 2013-04-10
AR083165A1 (es) 2013-02-06
DE102010041545A1 (de) 2012-03-29
JP5486572B2 (ja) 2014-05-07
BRPI1105108B1 (pt) 2020-01-28
ES2405805T3 (es) 2013-06-03
US9036321B2 (en) 2015-05-19
CN102442459A (zh) 2012-05-09
ZA201107052B (en) 2013-09-25
BRPI1105108A2 (pt) 2015-11-10
JP2012071894A (ja) 2012-04-12
AU2011218648A1 (en) 2012-04-12
CO6410032A1 (es) 2012-03-30
CN102442459B (zh) 2014-09-10
SA111320781B1 (ar) 2014-03-12
US20120074138A1 (en) 2012-03-29
KR101338267B1 (ko) 2013-12-09
MY160481A (en) 2017-03-15
MX2011009874A (es) 2012-03-27
DE102010041545B4 (de)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267B1 (ko) 액체 이송 및 저장 용기
ES2464448T3 (es) Plataforma de carga
AU2016328081B2 (en) Pallet container
ES2790738T3 (es) Contenedor de plataforma
JPH1129144A (ja) 液体用の輸送および貯蔵容器
US9604763B2 (en) Stackable lids for equipment containers
CN103997000A (zh) 电气接线盒
WO2017066123A1 (en) Reduced height relay block for vehicle power distribution device
JP6623222B2 (ja) ステップドバッテリー
US5375709A (en) Printed circuit board carrier and reusable transport packaging
US20140045363A1 (en) Connector element having second contact securing means
KR101060503B1 (ko) 전자 부품 수납용 트레이
JP5769240B2 (ja) パレット
US10357089B2 (en) Carrying case
KR102096960B1 (ko) 차량용 적재 장치
TW546879B (en) Container for gas insulating switch device
KR200449263Y1 (ko) 컨테이너
JP2011143950A (ja) 運搬用容器
JP7403932B2 (ja) 電池輸送容器
JP7264045B2 (ja) 電池パックの固定構造
CN209142616U (zh) 可拼接式包装箱
JP2016034851A (ja) パレット及び組立式コンテナ
KR20070056529A (ko) 적재용 트레이
KR20060130370A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용 포장장치
JP2009038166A (ja) 回路基板の梱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