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22A -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22A
KR20120032422A KR1020110093969A KR20110093969A KR20120032422A KR 20120032422 A KR20120032422 A KR 20120032422A KR 1020110093969 A KR1020110093969 A KR 1020110093969A KR 20110093969 A KR20110093969 A KR 20110093969A KR 20120032422 A KR20120032422 A KR 20120032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molding
mold
viscosity
upp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3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이스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2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29D11/00442Curing the len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7/00Component parts, detail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covered by group B29C33/00 or B29C35/00
    • B29C37/0003Discharging moulded articles from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29D11/00538Fee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043/581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일반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형 및 하형과 몸통형의 갭에 수지가 침입함으로써 제조되는 렌즈에 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해결 수단)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사용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형 또는 하형 중 한쪽 형의 성형면에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공급된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과, 상형의 성형면과 하형의 성형면의 간격을 넓혀 경화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를 성형형로부터 인출하는 이형 공정을 포함하고, 경화 공정시에 가열된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가열되어 있는 수지를 상형의 성형면과 하형의 성형면으로 끼워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행한다.

Description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ENS}
본 발명은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촬상 유닛은 일반적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나 CMOS(Complementary Metal-0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등의 고체 촬상 소자와, 고체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결상하는 렌즈 유닛으로 구성된다. 렌즈 유닛에 포함되는 렌즈는 최근 저렴하며 성형성이 우수한 열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렌즈가 사용되고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는 일반적으로 상형(上型)과, 하형(下型)과, 상형 및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으로 구성되는 성형형(成形型)을 사용하여 수지를 압축 성형하고, 가열해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여기서, 도 6에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에 의해 온도 상승시켜 갔을 때의 수지의 점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낸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경화성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해 가면 일단 점도가 저하되어 건조한 상태가 된다. 더욱 가열해 가면 경화가 시작되어 점도가 상승해 가고 결국은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로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온도를 낮추어도 경화된 상태인 채이며, 가열 전과 같은 점성의 액체의 상태로는 돌아오지 않는다. 이렇게 일단 점도가 저하되므로 압축 성형에 있어서 상형 및 하형과 몸통형의 갭에 연화된 수지가 침입하기 쉬워 경화 후 이형된 렌즈에 버가 발생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열경화성 수지 이외의 특수한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성형되는 수지로서 열중합 개시제 및 광중합 개시제 양쪽을 함유하는 에너지 경화성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 전에 광중합시켜서 수지의 점도를 어느 정도까지 높여 두고, 그 상태에서 압축 성형하고, 그 후에 열중합시켜서 경화시킴으로써 상형 및 하형과 몸통형의 갭에 수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렌즈의 제조 방법은 성형 재료인 수지가 열중합 개시제 및 광중합 개시제 양쪽을 함유하는 특수한 수지인 경우에밖에 적용할 수 없다.
일본 특허 공개 2009-126011호 공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상형 및 하형과 몸통형의 갭에 수지가 침입함으로써 제조되는 렌즈에 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이나 렌즈의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사용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상형 또는 상기 하형 중 한쪽 형의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공급된 상기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의 간격을 넓혀 경화된 상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렌즈를 상기 성형형로부터 인출하는 이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 공정시에 가열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가열되어 있는 상기 수지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에 의해 끼워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행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형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상형 또는 상기 하형 중 한쪽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수지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에 의해 끼워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형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수지가 가열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가열 개시에 의해 일단 수지의 점도가 낮아지고,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상형 및 하형에 의해 수지에 압력을 가해서 변형시켜 상형 및 하형과 몸통형의 갭에 수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일반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제조함에 있어서 제조된 렌즈에 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렌즈의 제조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에 의해 온도 상승시켜 갔을 때의 수지의 점도의 경시 변화와, 압력을 가하는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렌즈의 제조 순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열경화성 수지를 가열에 의해 온도 상승시켜 갔을 때의 수지의 점도의 경시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은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렌즈(1)는 표리에서 한쌍의 광학면을 갖는 렌즈부(2)와, 렌즈부(2)의 주위에 플랜지형상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3)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예에서, 렌즈(1)는 렌즈부(2)의 상측 광학면이 오목한 면이며, 렌즈부(2)의 하측 광학면이 볼록한 면이다.
리플로우 처리에서는 촬상 유닛 전체가 고온에 노출되므로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는 경화 후에는 리플로우조 등의 고온에 노출되어도 열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내열성을 갖는다. 그러한 수지로서는 에너지 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열에 의해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의 내열성은 경화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2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에 이러한 높은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분자 레벨로 운동성을 속박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효한 수단으로서는 (1) 단위체적당 가교 밀도를 높이는 수단, (2) 강직한 환 구조를 갖는 수지를 이용하는 수단(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난, 테트라시클로도데칸 등의 지환 구조, 벤젠, 나프탈렌 등의 방향환 구조, 9,9'-비페닐플루오렌 등의 카르도 구조, 스피로비인단 등의 스피로 구조를 갖는 수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9-137043호 공보, 동 10-6797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3-55316호 공보, 동 2007-334018호 공보, 동 2007-238883호 공보 등에 기재된 수지), (3) 무기 미립자 등 고Tg의 물질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수단(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5-209027호 공보, 동 10-298265호 공보 등에 기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단은 복수 병용해도 좋고, 유동성, 수축률, 굴절률 특성 등 다른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는 성형형의 형상 전사 적성 등, 성형성의 관점에서 경화 이전에는 적당한 유동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온에서 액체이며, 점도가 1000?50000mPa?s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는 형상 전사 정밀도의 관점에서는 경화 반응에 의한 체적 수축률이 작은 수지가 바람직하다. 수지의 경화 수축률로서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경화 수축률이 낮은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1)고분자량의 경화제(프리폴리머 등)를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1-19740호 공보, 동 2004-302293호 공보, 동 2007-211247호 공보 등에 기재, 고분자량 경화제의 수평균 분자량은 200?1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50,000의 범위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20,000의 경우이다. 또 상기 경화제의 수평균 분자량/경화 반응성기의 수로 계산되는 값이 50?1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0?5,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3,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2)비반응성 물질(유기/무기 미립자, 비반응성 수지 등)을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6-298883호 공보, 동 2001-247793호 공보, 동 2006-225434호 공보 등에 기재), (3)저수축 가교 반응성기를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면, 개환 중합성기(예를 들면 에폭시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4-210932호 공보 등에 기재), 옥세타닐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8-134405호 공보 등에 기재), 에피술피드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2-105110호 공보 등에 기재), 환상 카보네이트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7-62065호 공보 등에 기재) 등), 엔/티올 경화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3-20334호 공보 등에 기재), 히드로실릴화 경화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5-15666호 공보 등에 기재) 등), (4)강직 골격 수지(플루오렌, 아다만탄, 이소포론 등)를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9-137043호 공보 등에 기재), (5)중합성기가 다른 2종류의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호 관입 메시 구조(소위 IPN 구조)가 형성되는 수지(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131868호 공보 등에 기재), (6)팽창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4-271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8-238417호 공보 등에 기재) 등을 들 수 있고,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복수의 경화 수축 저감 수단을 병용하는 것(예를 들면, 개환 중합성기를 함유하는 프리폴리머와 미립자를 포함하는 수지 등)이 물성 최적화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다.
또,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는 고-저 2종류 이상의 아베수가 다른 수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고아베수측의 수지는 아베수(υd)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다. 굴절률(nd)은 1.5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57 이상이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지방족 수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지환 구조를 갖는 수지(예를 들면, 시클로헥산, 노르보르난, 아다만탄, 트리시클로데칸, 테트라시클로도데칸 등의 환 구조를 갖는 수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10-15255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212500호 공보, 동 2003-20334호 공보, 동 2004-210932호 공보, 동 2006-199790호 공보, 동 2007-2144호 공보, 동 2007-284650호 공보, 동 2008-105999호 공보 등에 기재된 수지)가 바람직하다. 저아베수측의 수지는 아베수(υd)가 3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이하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굴절률(nd)은 1.6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3 이상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65 이상이다. 이러한 수지로서는 방향족 구조를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9,9'-디아릴플루오렌, 나프탈렌, 벤조티아졸, 벤조트리아졸 등의 구조를 포함하는 수지(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60-3841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10-679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2-47335호 공보, 동 2003-238884호 공보, 동 2004-83855호 공보, 동 2005-325331호 공보, 동 2007-238883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06/095610호 팜플렛, 일본 특허 제2537540호 공보 등에 기재된 수지 등)가 바람직하다.
또,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굴절률을 높이거나, 아베수를 조정하거나 하기 위해서 무기 미립자를 매트릭스 중에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로서는 예를 들면, 산화물 미립자, 황화물 미립자, 셀레늄화물 미립자, 텔루륨화물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산화 지르코늄, 산화 티타늄, 산화 아연, 산화 주석, 산화 니오브, 산화 세륨, 산화 알루미늄, 산화 란탄, 산화 이트륨, 황화 아연 등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특히 상기 고아베수의 수지에 대해서는 산화 란탄, 산화 알루미늄, 산화 지르코늄 등의 미립자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아베수의 수지에 대해서는 산화 티타늄, 산화 주석, 산화 지르코늄 등의 미립자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2종 이상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성분에 의한 복합물이어도 좋다. 또한, 무기 미립자에는 광촉매 활성 저감, 급수율 저감 등의 여러 목적으로부터 이종 금속을 도핑하거나, 표면층을 실리카, 알루미나 등 이종 금속 산화물로 피복하거나, 실란 커플링제, 티타네이트 커플링제, 유기산(카르복실산류, 술폰산류, 인산류, 포스폰산류 등) 또는 유기 산기를 갖는 분산제 등으로 표면 수식해도 좋다. 무기 미립자의 수평균 입자 사이즈는 통상 1nm?1000nm 정도로 하면 좋지만, 지나치게 작으면 물질의 특성이 변화되는 경우가 있고, 지나치게 크면 레일리 산란의 영향이 현저하게 되므로 1nm?15nm가 바람직하고, 2nm?10nm가 더욱 바람직하고, 3nm?7nm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무기 미립자의 입자 사이즈 분포는 좁을수록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분산 입자의 정의의 방식은 여러가지이지만,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6-160992호에 기재되는 수치 규정 범위가 바람직한 입경 분포 범위에 적합하다. 여기서 상술한 수평균 1차 입자 사이즈란 예를 들면 X선 회절 (XRD) 장치 또는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 등으로 측정할 수 있다. 무기 미립자의 굴절률로서는 22℃, 589nm의 파장에 있어서 1.90?3.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90?2.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2.00?2.7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무기 미립자의 수지에 대한 함유량은 투명성과 고굴절률화의 관점에서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7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고, 30?60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수지에 미립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수지 모노머와의 반응성을 갖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분산제(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7-238884호 공보 실시예 등에 기재), 소수성 세그먼트 및 친수성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블럭 공중합체(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7-211164호 공보에 기재), 또는 고분자 말단 또는 측쇄에 무기 미립자와 임의의 화학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관능기를 갖는 수지(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7-2389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238930호 공보 등에 기재) 등을 적당히 사용해서 미립자를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실리콘계, 불소계, 장쇄 알킬기 함유 화합물 등의 공지의 이형제나 힌더드 페놀 등의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적당히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경화 촉매 또는 개시제를 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2005-92099호 공보(단락번호 〔0063〕?〔0070〕) 등에 기재된 열 또는 활성 에너지선의 작용에 의해 경화 반응(라디칼 중합 또는 이온 중합)을 촉진시키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경화 반응 촉진제의 첨가량은 촉매나 개시제의 종류, 또는 경화 반응성 부위의 차이 등에 따라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할 수는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경화 반응성 수지의 전고형분에 대하여 0.1?15질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0.5?5질량%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렌즈(1)를 형성하는 수지는 상기 성분을 적당히 배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액상의 저분자 모노머(반응성 희석제) 등에 다른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 용제를 첨가할 필요는 없지만, 이 케이스에 적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용제를 사용해서 각 구성 성분을 용해함으로써 경화성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수지에 사용할 수 있는 용제로서는 조성물이 침전되지 않고 균일하게 용해 또는 분산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 없이 적당히 선택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케톤류(예를 들면,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 에스테르류(예를 들면,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부틸 등), 에테르류(예를 들면, 테트라히드로푸란, 1,4-디옥산 등), 알콜류(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콜, 부탄올, 에틸렌글리콜 등), 방향족 탄화수소류(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등), 물 등을 들 수 있다. 경화성 수지가 용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용제를 건조시킨 후 성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렌즈(1)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조 장치(100)는 하형(10)과, 상형(20)과, 몸통형(31)으로 구성되는 성형형을 구비한다. 제조 장치(100)는 성형형을 사용해서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기 위한 것이다.
몸통형(3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형(20)은 몸통형(31) 내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본체부(21)와, 본체부(21)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본체부(21)의 주위에 플랜지형상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24)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4)는 몸통형(31)의 축방향의 상측 단부에 접촉되어 몸통형(31) 내로의 본체부(21)의 삽입량을 규정한다. 마찬가지로, 하형(10)은 몸통형(31) 내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의 주위에 플랜지형상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4)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4)는 몸통형(31)의 축방향의 하측 단부에 접촉되어 몸통형(31) 내로의 본체부(11)의 삽입량을 규정한다.
상형(20)의 본체부(21)의 외주면 및 하형(10)의 본체부(11)의 외주면과 몸통형(31)의 내주면 각각의 사이에는 본체부(11,21)의 삽입 이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약간의 갭이 형성되어 있다.
상형(20)의 본체부(21)의 선단면, 및 하형(10)의 본체부(11)의 선단면은 성형면이다. 상형(20)의 본체부(21)의 성형면은 렌즈(1)의 표리의 면 중 한쪽의 면(도 1의 렌즈(1)의 상측면)의 형상을 반전시킨 형상이며, 하형(10)의 본체부(11)의 성형면은 렌즈(1)의 표리의 면 중 다른쪽의 면(도 1의 렌즈(1)의 하측면)의 형상을 반전시킨 형상이다.
상형(20)의 성형면의 대략 중앙부에 렌즈(1)의 렌즈부(2)의 한쪽의 광학면을 반전시킨 형상의 광학면 성형부(22)가 형성되고, 하형(10)의 성형면의 대략 중앙부에 렌즈(1)의 렌즈부(2)의 다른쪽의 광학면을 반전시킨 형상의 광학면 성형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형(20)의 성형면에 있어서 광학면 성형부(22)의 주위에 평탄부(23)가 형성되고, 하형(10)의 성형면에 있어서 광학면 성형부(12)의 주위에 평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제조 장치(100)의 예에서는 상형(20)의 광학면 성형부(22)는 렌즈(1)의 렌즈부의 오목형상의 광학면을 반전시킨 볼록한 면형상으로 형성되고, 하형(10)의 광학면 성형부(12)는 렌즈(1)의 렌즈부의 볼록형상의 광학면을 반전시킨 오목한 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형(20)의 본체부(21) 및 하형(10)의 본체부(11)가 각각 몸통형(3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상형(20)의 성형면과, 하형(10)의 성형면과, 몸통형(31)의 내주면으로 둘러싸여져서 캐비티가 형성된다. 이 캐비티에 의해 수지를 성형한다.
또, 제조 장치(100)는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51)와, 성형형 구동부(52)와, 가열부(54)와, 성형형 구동부(52) 및 가열부(54)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3)를 구비하고 있다.
공급부(51)는 상형(20)과 하형(10) 사이에 진출하는 노즐로부터 하형(10)의 성형면에 수지를 공급한다.
성형형 구동부(52)는 상형(20)의 본체부(21)의 기단부를 유지하고, 상형(20)을 승강시킴으로써 하형(10)의 성형면과 상형(20)의 성형면의 간격을 바꾼다.
가열부(54)는 성형형의 몸통형(31)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가열부(54)는 상형(20)의 본체부(21) 및 하형(10)의 본체부(11)가 각각 몸통형(3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는 수지에 열을 공급한다.
제어부(53)는 성형형 구동부(52)를 구동하여 상형(20)과 하형(10)의 간격을 조정하고, 또한, 상형(20)의 성형면과 하형(10)의 성형면으로 끼움으로써 수지의 성형을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53)는 가열부(54)를 구동하여 상기 가열부(54)로부터 수지에 열을 공급시킴으로써 수지의 경화를 실행한다. 제조 장치(100)는 제어부(53)에 의해 가열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의 점도의 변화에 따라 상형(20)과 하형(1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에 제조 장치(100)를 사용한 렌즈(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공급 공정)
우선,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형(10)의 본체부(11)를 몸통형(31)에 삽입한다. 공급부(51)를 사용해서 하형(10)의 성형면에 수지(M)를 공급한다. 공급되는 수지(M)는 가열되어 있지 않은 상온(약 25℃)이며, 도 6의 좌단의 점도(최저의 점도보다 조금 높은 점도)로 되어 있다. 또한, 공급된 수지(M)는 점도와 표면 장력에 의해 하형의 성형면의 중앙부에 유지되고, 하형(10)과 몸통형(31)의 감합면까지는 퍼지지 않는 상태로 하형(10)의 성형면 상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수지(M)가 하형(10)의 본체부(11)와 몸통형(31)의 갭에 침입하지 않는다. 이렇게 수지(M)가 하형(10)의 성형면의 중앙부에 유지되고, 하형(10)과 몸통형(31)의 감합면까지는 퍼지지 않는 상태는 가열을 개시해서 수지(M)의 점도가 저하되어 유동성이 높아져도 유지되도록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도가 저하된 수지(M)가 하형(10)과 몸통형(31)의 감합면까지 퍼져 버리면 감합부의 갭에 침입해서 버 등이 발생하거나, 형끼리가 수지(M)로 접착된 상태가 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하형(10)의 성형면에 수지(M)를 공급한 후에 본체부(11)를 몸통형(31)에 삽입해도 좋다.
(경화 공정)
이어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3)가 가열부(54)를 구동함으로써 가열부(54)로부터 수지(M)에 열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가열부(54)에 의한 가열을 개시할 때에 상형(20)의 성형면은 수지(M)에 접촉되지 않고 떨어진 상태로 한다. 즉, 수지(M)는 상형(20)의 성형면에 의해 조금도 압력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로 한다.
이어서, 열경화성 수지(M)를 가열에 의해 온도 상승시켜 갔을 때의 수지(M)의 점도의 경시 변화와, 압력을 가하는 타이밍에 대해서 도 4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4의 그래프는 횡축이 경과 시간(S)을 나타내고, 세로축이 점도(mPa?S)를 나타내고 있다. 시간 t0에서 가열을 개시한 것으로 하고, 개시 시점에 있어서 수지(M)의 점도는 상온시의 것으로 한다. 또한, 시간 t0 이후 수지(M)를 계속해서 가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는 가열 개시와 함께 점도가 저하되어 연화되어 간다. 그리고, 가열에 의해 수지(M)는 소정 시점에서 점도가 가장 낮아진다. 가열 개시부터 수지(M)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는 시간을 t1로 한다. 즉, 수지(M)는 점도가 가장 낮은 상태에서는 물과 같은 높은 유동성을 갖는다. 또한, 가열을 계속해서 속행하면 수지(M)는 시간 t1에서 점도가 상승하여 경화되기 시작하고, 가열 개시 전(즉, 시간 t0일 때)의 점도와 같아진다. 수지(M)의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같아지는 시간을 t2로 한다. 또한, 수지(M)는 시간 t2 후에도 가열되어 점도가 계속해서 상승해서 경화가 점차 진행되어 최종적으로 경화된다. 수지(M)가 완전히 경화되고, 그 이후 점도가 일정해져서 변화되지 않게 되는 시간을 t3으로 한다. 경화 공정은 시간 t0에 있어서의 수지(M)의 가열 개시부터 시간 t3에서 수지(M)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행한다.
도 3B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M)는 시간 t0부터 시간 t1 사이에서는 점도가 계속해서 저하되므로 이 동안에 수지(M)에 압력을 가해서 성형을 행하고자 하면 수지(M)가 하형(10)과 몸통형(31)의 갭으로 흘러가게 되어 버리기 쉽다. 그래서, 시간 t1이 경과할 때까지는 상형(20)의 성형면을 수지(M)로부터 떼어 놓고, 상기 수지(M)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수지(M)가 시간 t1을 경과한 후에 도 3C에 나타내는 성형 공정으로 진행한다.
(성형 공정)
도 3C에 나타내는 성형 공정에서는 가열에 의해 연화되어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도 4의 시간 t1)보다 후에 가열부(54)에 의해 수지(M)를 가열하면서 상형(20)의 플랜지부(24)가 몸통형(31)의 단부에 접촉할 때까지 본체부(21)의 성형면을 하강시킨다. 그리고, 하형(10)의 성형면에 공급된 수지(M)를 상형(20)의 성형면과 하형(10)의 성형면으로 끼움으로써 수지(M)가 변형되는 정도의 압력을 가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지(M)가 상형(20)의 성형면과 하형(10)의 성형면에 따라서 변형된다. 그리고, 상형(20) 및 하형(10)의 각 성형면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면 성형부(12,22)에서 렌즈(1)의 렌즈부(2)의 표리의 광학면이 성형된다. 또한, 상형(20) 및 하형(10)의 각 성형면의 평탄부(13,23)에서 렌즈(1)의 플랜지부가 성형된다. 그리고, 수지(M)를 성형면에 따라 변형시킨 상태에서 수지(M)를 완전히 경화시킨다.
(이형 공정)
이어서,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형(20)의 본체부(21)를 몸통형(31)으로부터 빼내고, 상형(20)의 성형면과 하형(10)의 성형면의 간격을 넓혀 렌즈(1)를 하형(10)의 성형면 위로부터 인출한다. 이렇게 해서, 수지(M)를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렌즈(1)가 얻어진다. 렌즈(1)의 인출은 예를 들면 암 등을 사용해서 자동적으로 행한다.
이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가열에 의해 일단 연화된 수지(M)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상형(20) 및 하형(10)에 의해 수지(M)에 압력을 가해서 변형시킨다. 이 때문에, 수지(M)가 상형(20) 및 하형(10)과 몸통형(31) 각각의 사이의 갭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사용하는 수지(M)에 일반적인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해서 렌즈를 제조하는 경우라도 제조된 렌즈(1)에 버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조 방법에서는 하형(10)에 공급된 수지(M)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기 전까지는 상형(20)의 성형면을 수지(M)에 접촉시키지 않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 때, 성형형 구동부의 제어에 의해 상형(20)의 성형면이 수지(M)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로 접촉되어 있어도 좋다. 수지(M)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을 정도란 상형의 성형면이 수지에 접촉해서 수지가 밀려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는 상태라도 수지(M)가 하형(10)과 몸통형(31)의 감합면으로까지 퍼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성형 공정에 있어서, 수지(M)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동등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즉, 도 4의 시간 t2 이후에) 성형형 구동부(52)의 제어에 의해 상형(20)의 성형면과 하형(10)의 성형면의 간격을 좁혀서 수지(M)를 변형시켜도 좋다.
도 5는 제조 장치(100)를 사용한 렌즈(1)의 제조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상형으로서 제 1 형(110)을 사용하고, 하형으로서 제 2 형(120)을 사용한다. 제 1 형(110)은 하형(10)의 구성과 같고, 제 2 형(120)은 상형(20)의 구성과 같다. 즉, 제 1 형(110)은 몸통형(31) 내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본체부(111)와, 본체부(111)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11)의 주위에 플랜지형상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14)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14)는 몸통형(31)의 축방향의 단부에 접촉되어 몸통형(31) 내로의 본체부(111)의 삽입량을 규정한다. 제 2 형(120)은 몸통형(31) 내에 삽입되는 원기둥형상의 본체부(121)와, 본체부(121)의 기단부에 형성되어 본체부(121)의 주위에 플랜지형상으로 넓어지는 플랜지부(124)로 구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4)는 몸통형(31)의 축방향의 단부에 접촉하여 몸통형(31) 내로의 본체부(121)의 삽입량을 규정한다. 제 1 형(110)의 성형면의 대략 중앙부에 렌즈(1)의 렌즈부(2)의 다른쪽의 광학면을 반전시킨 형상의 광학면 성형부(112)가 형성되고, 제 2 형(120)의 성형면의 대략 중앙부에 렌즈(1)의 렌즈부(2)의 한쪽 광학면을 반전시킨 형상의 광학면 성형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형(110)의 성형면에는 광학면 성형부(112)의 주위에 평탄부(113)가 형성되고, 제 2 형(120)의 성형면에는 광학면 성형부(122)의 주위에 평탄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공급 공정)
우선,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형으로서 사용하는 제 1 형(110)의 성형면을 상방을 향한 상태로 배치하고, 제 1 형(110)의 본체부(111)를 몸통형(31)에 삽입한다. 공급부(51)를 사용해서 제 1 형(110)의 성형면에 수지(M)를 공급한다. 공급하는 수지(M)는 가열되어 있지 않은 상온시의 점도로 한다. 수지(M)를 제 1 형(110)의 성형면에 공급한 후, 제 1 형(110)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 1 형(110)의 성형면을 연직방향 하방을 향하게 한다. 공급된 수지(M)의 공급량은 제 1 형(110)을 성형면이 아래가 되도록 자세를 바꿈으로써 수지(M)에 작용하는 중력이 하방으로 작용하여 표면 장력으로 유지된다. 앞의 예에서는 공급된 수지(M)에 작용하는 중력이 하형의 성형면에서 받쳐지고, 그 결과, 하형의 성형면 중앙부에 쌓여진 수지(M)가 가로방향으로 퍼지도록 작용하는 것에 대해서, 이 예에서는 수지(M)에 작용하는 중력에 의해 수지(M)는 성형면으로부터 아래로 느려뜨려지지만, 가로방향으로 퍼지는 힘으로는 되지 않으므로 몸통형(31)과의 감합부까지 퍼지는 일은 없다. 제 1 형(110)의 회전은 회전 구동 가능한 암 등을 사용해서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경화 공정)
이어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시킨 제 1 형(110)의 성형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M)에 제 2 형(120)의 성형면을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제어부(53)가 가열부(54)를 구동함으로써 가열부(54)로부터 제 1 형(110)의 성형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M)에 열이 공급되기 시작한다. 수지(M)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열에 의해 일단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는 시간을 경계로 점도가 상승해서 경화되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경화된다.
(성형 공정)
도 5C에 나타내는 성형 공정에서는 경화 공정시에 가열에 의해 연화된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도 4의 시간 t1)보다 후에 가열부(54)에 의해 수지(M)를 가열하면서 제 2 형(120)의 플랜지부(124)를 몸통형(31)의 하측의 단부에 접촉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형(110)의 성형면에 부착되어 있는 수지(M)가 제 2 형(120)의 성형면과 제 1 형(110)의 성형면으로 끼워짐으로써 수지(M)가 제 2 형(120)의 성형면과 제 1 형(110)의 성형면에 따라서 변형된다. 그리고, 제 2 형(120) 및 제 1 형(110)의 각 성형면에 형성되어 있는 광학면 성형부(112,122)에서 렌즈(1)의 렌즈부(2)의 표리의 광학면이 성형된다. 또한, 제 2 형(120) 및 제 1 형(110)의 각 성형면의 평탄부(113,123)에서 렌즈(1)의 플랜지부가 성형된다. 그리고, 수지(M)를 변형시킨 상태에서 가열을 행하여 수지(M)를 완전히 경화시킨다.
(이형 공정)
이어서, 제 2 형(120)의 본체부(121)를 몸통형(31)으로부터 빼내고, 제 2 형(120)의 성형면과 제 1 형(110)의 성형면의 간격을 넓혀 렌즈(1)를 제 1 형(110)과 제 2 형(120) 사이로부터 인출한다. 이렇게 해서, 수지(M)를 성형해서 이루어지는 렌즈(1)가 얻어진다.
상술한 예에 있어서, 가열에 의해 연화된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가열되어 있는 수지(M)를 상형의 성형면과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 변형시키는 타이밍은 미리 수지(M)의 경과 시간에 대한 점도의 변화를 측정한 측정 데이터에 의거해서 결정되어도 좋다. 측정 데이터로서는 성형에 사용하는 수지(M)마다 가열에 의해 연화된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는 시간, 또는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같아질 때까지 높아지는 시간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는 제조 장치(100)에 설치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다.
본 명세서는 이하의 내용을 개시한다.
(1)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사용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상형 또는 상기 하형 중 한쪽 형의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공급된 상기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의 간격을 넓혀 경화된 상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렌즈를 상기 성형형로부터 인출하는 이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 공정시에 가열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가열되어 있는 상기 수지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행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2) (1)에 기재된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하형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기 전에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경화 공정의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상기 수지를 끼워서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3) (1)에 기재된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공급 공정에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경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가 공급된 상기 성형면을 연직방향 하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지를 가열하여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상기 수지를 끼워서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에 상기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동등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상기 수지를 끼워서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5)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형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상형 또는 상기 하형 중 한쪽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수지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형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수지가 가열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6) (5)에 기재된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에 공급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기 전에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7) (5)에 기재된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을 연직방향 하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수지를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8)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에 상기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동등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1: 렌즈 2: 렌즈부
3: 플랜지부 10: 하형
20: 상형 31: 몸통형
100: 제조 장치 M: 수지

Claims (8)

  1.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사용하여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상형 또는 상기 하형 중 한쪽 형의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 공정과,
    공급된 상기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의 간격을 넓혀 경화된 상기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렌즈를 상기 성형형로부터 인출하는 이형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경화 공정시에 가열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가열되어 있는 상기 수지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형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기 전에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지 않는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경화 공정의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상기 수지를 끼워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공정에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경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가 공급된 상기 성형면을 연직방향 하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지를 가열하여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상기 수지를 끼워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에 상기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동등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상기 수지를 끼워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방법.
  5. 상형과, 하형과, 상기 상형 및 상기 하형의 주위를 둘러싸는 몸통형을 포함하는 성형형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형에 의해 열경화성 수지를 성형해서 렌즈를 얻는 렌즈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수지는 상온으로부터 가열됨에 따라 점도가 저하되어 점도가 가장 낮아지고, 더욱 가열함으로써 점도가 높아져 완전 경화되어서 소정의 경도에 도달하는 특성을 갖고;
    상기 상형 또는 상기 하형 중 한쪽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수지를 가열해서 경화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수지를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성형형 구동부와,
    상기 가열부에 의해 상기 수지가 가열되어 있을 때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졌을 때보다 후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에 공급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지기 전에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가열부의 가열에 의해 연화된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에 상기 수지를 공급하고,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을 연직방향 하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을 상기 수지에 접촉시키고 있지 않은 상태로 상기 수지를 상기 가열부에서 가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지의 점도가 가장 낮아진 후에 상기 점도가 가열 전의 상태와 동등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상기 성형형 구동부를 제어해서 상기 상형의 상기 성형면과 상기 하형의 상기 성형면으로 끼워서 상기 수지를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의 제조 장치.
KR1020110093969A 2010-09-28 2011-09-19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 KR20120032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17972A JP2012071489A (ja) 2010-09-28 2010-09-28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の製造装置
JPJP-P-2010-217972 2010-09-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22A true KR20120032422A (ko) 2012-04-05

Family

ID=4613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3969A KR20120032422A (ko) 2010-09-28 2011-09-19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2071489A (ko)
KR (1) KR20120032422A (ko)
CN (1) CN102529079B (ko)
TW (1) TW2012237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11088A (ja) * 2010-11-22 2012-06-14 Panasonic Corp 注型成形品の製造方法
JP6664347B2 (ja) * 2017-03-31 2020-03-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42921A (ja) * 1985-04-19 1986-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ラスレンズ成形装置
JPH01184111A (ja) * 1988-01-19 1989-07-21 Asahi Optical Co Ltd 熱硬化性樹脂の圧縮成形装置
JP2800898B2 (ja) * 1989-05-19 1998-09-21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非球面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3676395B2 (ja) * 1994-05-17 2005-07-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複合型光学素子の成形方法及び装置
JPH08127037A (ja) * 1994-10-31 1996-05-21 Ricoh Co Ltd 成形金型
JPH08244128A (ja) * 1995-03-09 1996-09-24 Nikon Corp 樹脂接合型非球面レンズの製造方法
JPH09254267A (ja) * 1996-03-21 1997-09-30 Nasu Nikon:Kk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4279403B2 (ja) * 1999-06-15 2009-06-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製造方法
JP3917362B2 (ja) * 2000-11-30 2007-05-23 株式会社リコー 精密成形品の成形方法
JP2008036817A (ja) * 2004-12-01 2008-02-21 Nalux Co Ltd 複合型光学素子の製造方法
CN1815269A (zh) * 2005-01-31 2006-08-09 株式会社有泽制作所 镜片制造方法
JP5016211B2 (ja) * 2005-09-27 2012-09-05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7313678A (ja) * 2006-05-23 2007-12-06 Nalux Co Ltd 複合型光学素子の製造方法
WO2008081660A1 (ja) * 2006-12-28 2008-07-10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素子の製造方法、中間部材及び光学素子
JP2008213210A (ja) * 2007-03-01 2008-09-18 Olympus Corp 転写方法及びその転写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光学素子
CN101380792A (zh) * 2007-09-05 2009-03-11 江苏金目光学有限公司 树脂镜片的真空导流浇注生产工艺
JP2009098614A (ja) * 2007-10-12 2009-05-07 Komatsulite Mfg Co Ltd 撮像レンズユニット
JP5061862B2 (ja) * 2007-11-21 2012-10-31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10162723A (ja) * 2009-01-14 2010-07-29 Seiko Epson Corp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71489A (ja) 2012-04-12
CN102529079B (zh) 2015-08-05
TW201223744A (en) 2012-06-16
CN102529079A (zh) 2012-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3326B (zh) 晶圆级透镜阵列的制造方法、晶圆级透镜阵列、透镜模组及摄像单元
CN102023322B (zh) 晶圆级透镜阵列及其制造方法、透镜模块及摄像单元
KR20120033242A (ko) 렌즈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렌즈, 그 렌즈를 구비한 렌즈 유닛
JP2011075835A (ja) 素子アレイ及び素子アレイ積層体
TW200902276A (en) Method of molding ultraviolet cured microstructures and molds
JP2010204635A (ja) レンズアレイ
JPWO2010064534A1 (ja) 造形方法
KR20120032422A (ko) 렌즈의 제조 방법 및 렌즈의 제조 장치
JP2006308669A (ja) 複合レンズ、該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該複合レンズを具備した光学機器
JP5618736B2 (ja) 成形型及びレンズの製造方法
EP2319672A1 (en) Lens array press mold and lens array molded by the same
JP2011104811A (ja) マスタ型、マスタの作成方法及びマスタ
WO2020168590A1 (zh) 3d打印装置和制备3d打印结构的方法
WO2020014871A1 (zh) 一种改善打印层纹的双引发固化体系及其制备方法
CN106554467B (zh) 环氧基交联微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1079163A (ja) 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108454101A (zh) 立体打印装置
JP2011062926A (ja) レンズアレイ用成形型、及び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並びにレンズアレイ
WO2013179543A1 (ja) レンズ、ハイブリッドレンズ、交換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CN102023325B (zh) 晶片级透镜阵列用成型模、晶片级透镜阵列的制造方法、晶片级透镜阵列、透镜模块及摄像单元
JP2012073403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N102218783A (zh) 晶片级透镜阵列的成形方法、成形模、晶片级透镜阵列
JP2011183620A (ja) 成形型、成形方法、ウェハレベルレンズアレイ、ウェハレベルレンズアレイ積層体、素子アレイ積層体、レンズモジュール、並びに撮像ユニット
CN1894602A (zh) 制备光学微结构的方法
JP2011090263A (ja) ウェハレベル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ウェハレベルレンズアレイ、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撮像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