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0422A -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0422A
KR20120030422A KR1020117030044A KR20117030044A KR20120030422A KR 20120030422 A KR20120030422 A KR 20120030422A KR 1020117030044 A KR1020117030044 A KR 1020117030044A KR 20117030044 A KR20117030044 A KR 20117030044A KR 20120030422 A KR20120030422 A KR 20120030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jumper
substrate
input devic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다나까
다까시 우에노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30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4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17/9622Capacitive 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42Touch switches with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6Touch switches
    • H03K2217/9607Capacitive touch switches
    • H03K2217/960755Constructional details of capacitive touch and proximity switches

Abstract

동일 레이어에 2축 방향의 투광성 전극을 배열한 구조이며, 한쪽의 축 방향의 투광성 전극을 서로 접속하는 점퍼가 눈에 띄기 어렵고, 단선될 가능성이 낮은 구조를 갖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기판(2)의 표면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점퍼(8)를 형성한 후, 점퍼(8) 및 기판(2)을 덮도록 절연막(6)을 설치하고, 절연막(6) 위에 제1 투광성 전극(3) 및 제2 투광성 전극(4)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1 투광성 전극(3)의 각각은, 절연막(6)에 형성된 스루홀(7)을 통해서 점퍼(8)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2 투광성 전극(4)의 각각은, 제2 투광성 전극(4)과 일체적으로 패터닝되는 접속부(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1 투광성 전극(3)을 접속하는 점퍼(8)를 기판(2) 위에 설치함으로써,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CAPACITANCE-TYPE INPUT DEVICE}
본 발명은, 동일 레이어에 배열된 복수의 투광성 전극을 구비하고, 손가락 등이 접촉한 전극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휴대 정보 단말기, 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전자 기기의 조작부에 터치 패널이 채용되어 있다. 터치 패널은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 위에, 손가락 등의 접촉 위치를 검출 가능한 입력 장치를 접합해서 구성된다. 터치 패널을 구성하는 입력 장치에는, 그 구조 및 검출 방식의 차이에 의해, 저항막형이나 정전 용량형 등의 여러가지 타입이 있다. 이 중,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는 1장의 기판 위에 투광성 도전막(투광성 전극)을 갖고, 정전 용량(손가락 등이 터치됨으로써 형성됨)을 통해서 흐르는 미약 전류량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피접촉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며, 저항막형 입력 장치에 비하여 보다 높은 투과율이 얻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VII-VII 라인의 확대 단면도이다.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91)는, 기판(92) 위에 X축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X축 트레이스(93)와, Y축 방향(도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트레이스(93)와 교차해서 배치되는 복수의 Y축 트레이스(94)를 구비하며,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있어서의 손가락 등의 접촉 위치를 각각 검출한다.
X축 트레이스(93)는 X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95)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한편, Y축 트레이스(94)는 Y축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투명 전극(96)을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점퍼(99)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점퍼(99)는 X축 트레이스의 일부(인접하는 한 쌍의 투명 전극(95)의 연결 부분)의 상방을 걸치도록, X축 트레이스(93) 및 Y축 트레이스(94) 위에 적층된 절연막(97) 위에 형성되고, 투명 전극(96) 위에 위치하는 스루홀(98)을 통해서 투명 전극(96)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X축 트레이스(93)와 이것을 걸쳐서 형성되는 점퍼(99) 사이를 절연시키기 위해서, 기판(92)의 전체면에 절연막을 성막하고, 점퍼(99)와 투명 전극(96)의 접속 개소에만 스루홀(98)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기판의 전체면에 절연막을 설치하는 대신, 점퍼가 걸쳐지는 부분에만 절연막을 형성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등록 실용 신안 제3144563호 공보 등록 실용 신안 제3144241호 공보
상기 종래의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는, 기판 위에 투광성 전극, 절연막, 점퍼(도전체)를 이 순서대로 적층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번째, 점퍼가 사람에게 가까운 측(액정 패널과 반대측)에 형성되므로, 점퍼를 금속 광택을 갖는 도전 재료로 형성했을 경우, 점퍼가 외견에 눈에 띄기 쉬워진다.
두번째, 절연막의 일부가 오버행 상태로 형성된 경우, 점퍼가 오버행 부분을 걸칠 가능성이 높고, 점퍼의 단선으로 이어지기 쉽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절연막의 오버행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IX-IX 라인의 단면도이다.
스루홀(98)은, 기판(92) 위의 전체에 걸쳐서 절연막(97)을 적층한 후, 그 일부를 선택적으로 에칭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에칭 처리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 지면, 절연막(97)의 표면으로부터 깊은 부분에서 에칭이 더 진행되고, 도 9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97)의 표면측 부분이 스루홀(98)의 중심측을 향해서 밀어낸 형상(오버행)이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화살표로 나타낸 범위에 오버행이 발생하면, 도 9의 이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 쌍의 투명 전극(96)을 접속하기 위한 점퍼(99)가 단선되고, Y축 트레이스(94)의 도통 상태가 얻어지지 않게 되어버린다. 여기서, 스루홀의 반주(半周)에 오버행이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약 50%의 확률로 점퍼(99)의 형성 영역과 오버행 영역이 겹치므로, 상당한 확률로 단선이 발생해버리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절연막의 오버행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XI-XI 라인의 단면도이다.
마찬가지 문제는, 점퍼(99)가 X축 트레이스(93)를 걸치는 부분에만 절연막(97)을 설치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화살표로 나타낸 범위(절연막(97)의 짧은 변 부분)에 오버행이 발생하면, 도 11의 이점쇄선으로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점퍼(99)가 단선해버려, Y축 트레이스(94)가 도통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동일 레이어에 2축 방향의 투광성 전극을 배열한 구조이며, 한쪽의 축 방향의 투광성 전극을 서로 접속하는 점퍼가 눈에 띄기 어렵고, 단선할 가능성이 낮은 구조를 갖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는, 기판과, 기판 위에서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체와, 도전체 및 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막과, 절연막 위에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투광성 전극과, 절연막 위에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제1 투광성 전극의 행간 및 열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투광성 전극을 구비한다. 제1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1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절연막에 형성된 스루홀을 통해서, 도전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2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절연막 위에서 서로 접속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는, 기판과, 기판 위에서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체와, 도전체의 각각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연막과,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투광성 전극과,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제1 투광성 전극의 행간 및 열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투광성 전극을 구비한다. 제1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1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도전체 중, 절연막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도전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2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절연막 위에서 서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일 레이어에 복수의 투광성 전극을 배열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 투광성 전극끼리 접속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도전체가 기판 위(즉, 입력 장치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도전체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체 중 절연층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제1 투광성 전극의 각각을 형성함으로써, 절연막의 단면 형상에 관계 없이, 도전체의 단선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루홀의 개구부 전체를 투광성 전극으로 덮는 경우, 개구부의 일부 범위에 절연막의 오버행이 발생해도, 오버행이 없는 스루홀의 내벽을 따라 투광성 전극이 도전체 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스루홀 내벽의 단면 형상에 관계 없이, 도전체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으로 덮여 있지 않은 도전체의 일부와 투광성 전극이 면 접촉할 수 있으므로, 에칭 처리에 의해, 절연막의 외주위 벽에 오버행이 발생한 경우에도, 투광성 전극과 도전체의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II-II 라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스루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V-V 라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VII-VII 라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절연막의 오버행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IX-IX 라인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절연막의 오버행이 발생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XI-XI 라인의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II-II 라인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스루홀 근방의 확대도이다.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1)는 기판(2)과, 복수의 점퍼(8)와, 절연막(6)과, 복수의 제1 투광성 전극(3)과, 복수의 제2 투광성 전극(4)을 구비한다. 점퍼(8), 절연막(6), 투광성 전극(제1 투광성 전극(3) 및 제2 투광성 전극(4))은, 기판(2) 위에 이 순서로 형성된 것이다.
점퍼(8)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기판(2)의 표면에 행렬 위에 배열되어 있다. 점퍼(8)의 각각은, 제1 투광성 전극(3)을 X축 방향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양단부가 X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한 쌍의 제1 투광성 전극(3)의 각각과 중첩되는 위치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점퍼(6)는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 Mo/Al/Mo의 적층체, Ag, Ag 합금, 도전성 고분자로 형성할 수 있다.
절연막(6)은, 절연 재료를 점퍼(8) 및 기판(2)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적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1 투광성 전극(3)과 점퍼(8)가 중첩되는 부분에는, 점퍼(8)의 표면에까지 달하는 스루홀(7)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투광성 전극(3) 및 제2 투광성 전극(4)은 동일 레이어 내에서, X축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투광성 전극(3) 및 제2 투광성 전극(4)은 ITO 등의 투광성 도전 재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된다.
제1 투광성 전극(3)의 각각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막(6) 위에서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중 어디에도 서로 접속되지 않고 있지만, 스루홀(7)을 통해서 기판(2) 위의 점퍼(8)에 접속되어 있다. 이 결과, X축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1 투광성 전극(3)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된다.
한편, 제2 투광성 전극(4)의 각각은, 제1 투광성 전극(3)의 행간 및 열간에 배치되고, 절연막(6) 위에서, 제2 투광성 전극(4)과 동시에 패터닝되는 접속부(5)를 통해서 Y축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X축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1 투광성 전극(3)과, Y축 방향으로 접속되는 제2 투광성 전극(4)을 동일 레이어에 배열하는 경우, 교차 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임의의 일방향의 접속을 행하기 위해서 점퍼(8)와 같은 배선부가 필요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1)에서는, 점퍼(8)를 기판(2)의 표면에 형성하고, 그 상방에 절연막(6)과 제1 및 제2 투광성 전극(3, 4)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점퍼(8)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루홀(7)의 개구부 전체가 제1 투광성 전극(3)에 의해 덮여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의 범위에 절연막의 오버행(도 9 참조)이 발생한 경우에도, 오버행이 없는 스루홀(7)의 내벽을 따라 제1 투광성 전극(3)이 점퍼(8)의 표면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스루홀(7) 내벽의 단면 형상에 관계 없이, 점퍼(8)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점퍼(8)는 도전성을 갖는 여러가지 재료로 형성할 수 있지만, 차광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이하와 같은 이점이 더 있다.
점퍼(8)를 차광성 재료로 형성할 경우, 점퍼(8)의 패터닝과 동일한 공정으로, 점퍼(8)와 동일 재료를 사용해서 기판(2) 위에 위치 결정용 얼라인먼트 마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얼라인먼트 마크 형성 프로세스를 삭감할 수 있고, 2층째 이후의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노광기에 특별한 개조를 행하지 않고, 표준 판독 기구를 사용해서 노광시의 위치 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2층째 이후의 막의 형성시에 현미경 등으로 육안 확인해서 위치 정렬을 행하는 경우, 1층째의 점퍼(8)가 차광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시인성이 향상되므로,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차광성 재료로서 도전성 고분자 재료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고분자막은 투광성과 도전성이 상반 관계에 있지만, 점퍼(8)가 형성되는 한정된 범위라면 차광성이 있어도 입력 장치 전체의 광투과성에 부여하는 영향은 작다. 또한, 도전성에 대해서도, ITO 정도의 저항값을 갖는 재료이면 좋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은 도전성 고분자를 이용할 수 있다.
차광성 재료로서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 점퍼(8)와, 기판(2) 위의 도시하지 않은 금속 배선층(투광성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 등)을, 1공정으로 동시에 패터닝할 수 있으므로, 공정수를 삭감해서 비용 절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제2 실시 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V-V 라인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판(2) 위에 점퍼(8), 절연막(6), 투광성 전극(제1 투광성 전극(3) 및 제2 투광성 전극(4))을 순서대로 적층해서 구성되어 있지만, 절연막(6)의 형성 영역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이하, 본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접하는 제2 투광성 전극(4)을 접속하는 접속부(5)와 교차하는 부분에만 절연막(6)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연막(6)은 점퍼(8)와 인접하는 제1 투광성 전극(3)의 각각이 중첩되는 부분 중 일부(사선부)를 제외하고, 점퍼(8)의 각각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점퍼(8)의 양쪽의 단부에 절연막(6)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이 설치되어 있지만, 절연막(6)으로 덮여 있지 않는 영역은, 반드시 단부일 필요는 없고, 점퍼(8)와 투광성 전극의 겹친 부분의 일부이면 좋다.
또한, 제1 투광성 전극(3)의 각각은, 점퍼(8)의 표면 중, 절연막(6)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일부(사선부)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고, 점퍼(8)의 당해 일부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1 투광성 전극(3)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된다. 한편, Y축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2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점퍼(8)를 덮는 절연막(6) 위에서, 접속부(5)를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1)에 있어서도, 점퍼(8)를 기판(2)의 표면에 형성하고, 그 위에 절연막(6)과 제1 및 제2 투광성 전극(3, 4)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점퍼(8)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1)에서는, 절연막(6)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점퍼(8)의 일부와, 제1 투광성 전극(3)이 면접촉할 수 있으므로, 에칭 처리에 의해, 도 5의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행(절연막(6)의 외 주위 벽의 단면 중, 절연막(6)의 표면측 부분이 보다 외측으로 밀어낸 상태)이 발생한 경우에도, 제1 투광성 전극(3)과 점퍼(8)의 접속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투광성 전극의 X축 방향의 접속을 점퍼를 통하여 행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1의 예의 X축과 Y축을 반대로 하고, X축 방향의 투광성 전극의 접속을 접속부를 통해서 행하며 Y축 방향의 투광성 전극의 접속을 점퍼로 행해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의 입출력 기기로서 사용되는 터치 패널 등을 구성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1: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2: 기판
3: 제1 투광성 전극
4: 제2 투광성 전극
6: 절연막
7: 스루홀
8: 점퍼

Claims (5)

  1.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서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 및 상기 기판을 덮도록 형성되는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투광성 전극과,
    상기 절연막 위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상기 제1 투광성 전극의 행간 및 열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투광성 전극을 구비하며,
    제1 방향으로 정렬하는 상기 제1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상기 절연막에 형성된 스루홀을 통해서, 상기 도전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방향으로 정렬하는 상기 제2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상기 절연막 위에서 서로 접속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2.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서 제1 방향 및 이것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도전체와,
    상기 도전체의 각각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절연막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 투광성 전극과,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고, 각각이 상기 제1 투광성 전극의 행간 및 열간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투광성 전극을 구비하고,
    제1 방향으로 정렬하는 상기 제1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상기 도전체 중, 상기 절연막으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도전체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방향으로 정렬하는 상기 제2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상기 절연막 위에서 서로 접속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투광성 전극의 각각은, 상기 도전체 중, 상기 절연막에 의해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체는 차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상기 도전체와 동일 재료로 형성되고, 제조시의 위치 결정에 사용되는 얼라인먼트 마크를 더 구비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KR1020117030044A 2009-05-28 2010-05-26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KR201200304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29326 2009-05-28
JP2009129326A JP5278759B2 (ja) 2009-05-28 2009-05-28 静電容量型入力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422A true KR20120030422A (ko) 2012-03-28

Family

ID=4322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044A KR20120030422A (ko) 2009-05-28 2010-05-26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14403B2 (ko)
JP (1) JP5278759B2 (ko)
KR (1) KR20120030422A (ko)
CN (1) CN102449582B (ko)
SG (1) SG176592A1 (ko)
TW (1) TW201104544A (ko)
WO (1) WO20101373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8886B2 (ja) * 2009-02-27 2014-03-1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5333934B2 (ja) * 2009-09-04 2013-11-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基板および基板の製造方法
JP5418130B2 (ja) * 2009-10-15 2014-02-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当該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101082607B1 (ko) 2009-10-16 2011-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CN102667694B (zh) 2010-02-24 2015-06-17 京瓷株式会社 输入装置、显示装置及便携终端
TWI412815B (zh) * 2010-05-28 2013-10-21 Innolux Corp 具有多區塊絕緣層之電極結構及其製造方法
US8674249B2 (en) * 2010-08-20 2014-03-18 Young Fast Optoelectronics Co., Ltd. Capacitive touch pad
EP2666077B1 (en) * 2011-01-19 2019-04-17 LG Innotek Co., Ltd. Transparent touch panel
JP5730593B2 (ja) 2011-01-26 2015-06-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スクリーンまたはタッチスクリーン付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01408B1 (ko) * 2011-04-21 2013-08-28 주식회사 코아리버 정전용량방식 터치패널
JP5666403B2 (ja) * 2011-08-30 2015-02-12 緯創資通股▲ふん▼有限公司 継ぎ目の無い容量性タッチパネル
KR101357585B1 (ko) * 2011-12-08 2014-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의 전극 패턴 및 그 제조 방법
JP5413443B2 (ja) * 2011-12-12 2014-02-1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装置
JP5588466B2 (ja) * 2012-01-16 2014-09-10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の配線構造
US8895882B2 (en) * 2012-03-14 2014-11-25 Htc Corporation Touch panel
CN104736757B (zh) * 2012-09-14 2017-07-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洗衣机
US20140308435A1 (en) * 2013-04-15 2014-10-16 Mitchell Stewart Burberry Hybrid single-side touch screen method
US9089061B2 (en) 2013-03-30 2015-07-21 Shenzhen O-Film Tech Co., Ltd. Conductive film,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touch screen including the same
CN103208326B (zh) * 2013-03-30 2014-12-17 深圳欧菲光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膜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导电膜的触摸屏
KR20140122395A (ko) 2013-04-10 2014-10-20 어보브반도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패널
WO2014190790A1 (zh) * 2013-05-30 2014-12-04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单层多点式触控导电膜及其制备方法
JP6339780B2 (ja) * 2013-08-27 2018-06-06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タッチパネル及びディスプレイ
JP5682845B2 (ja) * 2013-11-21 2015-03-1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センサおよび当該タッチパネルセンサの製造方法
KR20150139104A (ko) * 2014-06-02 2015-12-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터치 스크린 패널
JP5851559B2 (ja) * 2014-07-02 2016-02-03 緯創資通股▲ふん▼有限公司 継ぎ目の無い容量性タッチパネル
JP5813831B1 (ja) * 2014-07-02 2015-11-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N107291300B (zh) * 2017-07-12 2020-03-31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显示器的触控感应结构
WO2021005695A1 (ja) * 2019-07-08 2021-01-14 株式会社Anova タッチパネル構造及びタッチパネル構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946B2 (ja) 1989-10-31 1995-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2920962B2 (ja) 1989-10-31 1999-07-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形成画像の転写方法
JPH03149113A (ja) 1989-11-07 1991-06-25 Sumitomo Bakelite Co Ltd 回路基板の穴明け方法
JP3144563B2 (ja) 1991-02-18 2001-03-12 横河電機株式会社 波形測定装置
JP3144241B2 (ja) 1994-10-14 2001-03-12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CN1160661C (zh) * 2003-03-18 2004-08-0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五研究所 用介质层校正电场分布非线性的触摸屏
US8040321B2 (en) * 2006-07-10 2011-10-1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ouch-sensor with shared capacitive sensors
TW200844827A (en) * 2007-05-11 2008-11-16 Sense Pad Tech Co Ltd Transparent touch panel device
TWI361996B (en) * 2008-03-21 2012-04-11 Elan Microelectronics Corp Touch panel device
JP2009265748A (ja) 2008-04-22 2009-11-12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US8493337B2 (en) * 2008-09-22 2013-07-23 Ritfast Corporation Light transmission touch panel
JP3149113U (ja) * 2008-12-25 2009-03-12 洋華光電股▲ふん▼有限公司 キャパシタ式接触制御インダクション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9582B (zh) 2014-12-24
US8614403B2 (en) 2013-12-24
TW201104544A (en) 2011-02-01
SG176592A1 (en) 2012-01-30
US20120132511A1 (en) 2012-05-31
JP5278759B2 (ja) 2013-09-04
WO2010137316A1 (ja) 2010-12-02
CN102449582A (zh) 2012-05-09
JP2010277354A (ja) 201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0422A (ko)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KR102262548B1 (ko) 터치 윈도우
US9652089B2 (en) Touch panel stackup
KR101479376B1 (ko) 용량성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31120B1 (ko)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US20100053114A1 (en) Touch panel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698001B2 (en) Electrode structure of the touch panel, method thereof and touch panel
CN103472951A (zh) 一种触摸屏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US20130168221A1 (en) Touch panel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730593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またはタッチスクリーン付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89102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75836B2 (en) Conductive sheet, touch panel device, and display device
KR20150009420A (ko) 터치 윈도우
KR101241469B1 (ko) 터치 패널
TWI567609B (zh) 觸控面板
EP3070583A1 (en)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touch display device
JP5574133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CN204515734U (zh) 触控面板
US20130008704A1 (en) Bridging structure of a touch panel
KR20150019571A (ko)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
EP3901745B1 (en) Touch panel, touch panel module, and method for inspecting touch panel
KR200468677Y1 (ko) 터치 제어 효능을 구비한 커버 렌즈
JP2019164480A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2015132918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センサ基板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