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922A -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 Google Patents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922A
KR20120029922A KR1020100092062A KR20100092062A KR20120029922A KR 20120029922 A KR20120029922 A KR 20120029922A KR 1020100092062 A KR1020100092062 A KR 1020100092062A KR 20100092062 A KR20100092062 A KR 20100092062A KR 20120029922 A KR20120029922 A KR 20120029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vehicle body
cover unit
dust
dus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연
최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922A/ko
Publication of KR2012002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9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6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particular elements, systems or processes used on suspension systems or suspension control systems
    • B60G2600/44Vibration noise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의 상부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오염을 방지하여 현가장치의 내구성 및 정비성을 증대시키고,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녹슬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방음기능을 향상시키도록
맥퍼슨 스트럿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상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체의 상부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중앙에 인입되는 센터볼트에 삽입된 상태로 상, 하부너트를 통하여 상기 센터볼트 상에서 고정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와 차체를 감싸도록 상기 센터볼트에 끼워져 장착되는 더스트 캡을 더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슐레이터 커버유닛{COVER UNIT FOR INSULATOR}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가 이물질의 퇴적에 의한 오염과 이음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이 결과 자동차의 전륜에는 1점 마운팅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휠(10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너클(103)은 그 하단이 로워암(105)을 개재시켜 차체와 연결되고, 상기 너클(103)의 상측은 스트럿 축(107)을 통하여 차체(109)에 연결된다.
상기 스트럿 축(107) 상의 일측에는 하부 스프링 시트(111)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 스프링 시트(113)와 함께 코일 스프링(115)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 축(107)의 상단부와 차체(109)의 장착부 사이에는 인슐레이터 유닛(121)이 개재되어 현가 지지된다.
상기 인슐레이터 유닛(121)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센터 볼트(123)가 인입된 인슐레이터(125)로 구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125)의 상부는 상기 차체(109)의 하부에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센터볼트(123)에는 더스트 커버(127)가 삽입된 상태로 그 상부와 하부에 너트(129)를 통하여 상기 센터볼트(123) 상에서 고정되며, 상기 센터볼트(123)의 상부에는 더스트 캡(131)이 장착된다.
이러한 더스트 커버(127)와 더스트 캡(131)은 상기 인슐레이터(125)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더스트 커버(127)는 상기 차체와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틈을 통하여 이물질이 상기 인술레이터(125)로 유입된 상태로 퇴적되어 상기 인슐레이터(125)를 오염시킴에 따라, 인슐레이터(125)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오염된 이물질이 상기 센터볼트(123)를 통하여 상기 스트럿 축(107)까지 침투되면, 상기 스트럿 축(107)이 파손되거나 이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더스트 커버(127)는 그 중앙부 형상이 상기 인슐레이터(125) 측으로 들어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고, 이 부분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127)와 너트(129)를 오염시킴에 따라, 상기 더스트 커버(127)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상기 더스트 커버(127)의 교환 시에는 정비성이 떨어지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새어나가 방음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의 상부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슐레이터의 오염을 방지하여 현가장치의 내구성 및 정비성을 증대시키고,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녹슬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방음기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은 맥퍼슨 스트럿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상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체의 상부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중앙에 인입되는 센터볼트에 삽입된 상태로 상, 하부너트를 통하여 상기 센터볼트 상에서 고정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와 차체를 감싸도록 상기 센터볼트에 끼워져 장착되는 더스트 캡을 더 포함한다.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더스트 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며, 상기 센터볼트에 끼워지는 캡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차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캡부가 장착되는 중앙부분이 상향 돌출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된 상기 차체의 상부에서 그 외주면 둘레로 밀착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는 끝단부의 두께(D1)가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연결되는 선단의 두께(D2)보다 작은 두께(D1<D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의 두께는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차체와 더스트 커버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그 재질이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의하면,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와 더스트 커버의 상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더스트 커버와 차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더스트 캡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의 퇴적에 의한 상기 인슐레이터의 오염과, 차체나 스트럿 축에 녹슬음 발생을 방지하여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정비성을 증대시키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 캡이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와 차체를 외부와 완전하게 차단시킴에 따라 주행 중,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음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적용되는 더스트 캡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적용되는 더스트 캡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일반적인 맥퍼슨 스트럿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적용되는 더스트 캡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적용되는 더스트 캡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1)은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3)의 상부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인슐레이터(3)의 오염을 방지하여 내구성 및 정비성을 증대시키고,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녹슬음을 방지하는 동시에, 방음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1)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인슐레이터(3)의 중앙에 센터볼트(5)가 인입되며, 인슐레이터(3)의 상부 외주면은 차체(7)의 하부에 접착되며, 상기 차체(7)의 상부에서 상기 인슐레이터(3)의 중앙에 인입되는 센터볼트(5)에 삽입된 상태로 상, 하부너트(11, 13)를 통하여 상기 센터볼트(5) 상에서 고정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1)은 상기 차체(7)의 상부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10)와 차체(7)를 감싸도록 상기 센터볼트(5)에 끼워져 장착되는 더스트 캡(2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더스트 캡(20)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바디(21), 캡부(23), 및 밀착부(25)로 구성되며,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메인바디(21)는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상부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장착된다.
이러한 메인바디(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캡부(23)가 장착되는 중앙부분이 상향 돌출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바디(10)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일정각도로 하향 경사진 원추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하부는 상기 매인바디(21)의 상부와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23)는 상기 메인바디(21)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며, 상기 센터볼트(5)에 끼워져 상기 메인바디(21)를 센터볼트(5)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25)는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기 메인바디(21)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차체(7)의 외주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밀착부(25)는 상기 인슐레이터(3)에 장착된 상기 차체(7)의 상부에서 그 외주면 둘레로 밀착되도록 상기 메인바디(21)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착부(25)는 끝단부의 두께(D1)가 상기 메인바디(21)와 일체로 연결되는 선단의 두께(D2)보다 작은 두께(D1<D2)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밀착부(25)의 두께는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더스트 캡(20)은 상기 차체(7)와 더스트 커버(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그 재질이 탄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고무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되는 더스트 캡(20)은 상기 캡부(23)를 통해 메인바디(21)가 상기 센터볼트()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메인바디(21)와 밀착부(25)를 통해 차체(7)와 더스트 커버(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장착됨으로써, 상기 더스트 커버(10)와 인슐레이터(3)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더스트 캡(20)은 차량의 주행 시, 상기 차체(7)와 더스트 커버(10)의 접촉에 따른 충격음이나, 스트럿 축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음 등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커버유닛(1)을 적용하면,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되는 인슐레이터(3)와 더스트 커버(10)의 상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더스트 커버(10)와 차체(7)의 외주면을 감싸는 더스트 캡(2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의 퇴적에 의한 상기 인슐레이터(3)의 오염과, 차체(7)나 스트럿 축에 녹슬음 발생을 방지하여 현가장치의 전체적인 내구성 및 정비성을 증대시키며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더스트 캡(20)이 상기 더스트 커버(10)의 상부와 차체(7)를 외부와 완전하게 차단시킴에 따라 주행 중,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방음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인슐레이터 커버 유닛 3...인슐레이터
5...센터볼트 7...차체
10...더스트 커버 11, 13...상부 및 하부 볼트
20...더스트 캡 21...메인바디
23...캡부 25...밀착부

Claims (6)

  1. 맥퍼슨 스트럿 현가장치에서 차체와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상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내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차체의 상부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중앙에 인입되는 센터볼트에 삽입된 상태로 상, 하부너트를 통하여 상기 센터볼트 상에서 고정 장착되는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에서 상기 더스트 커버와 차체를 감싸도록 상기 센터볼트에 끼워져 장착되는 더스트 캡을 더 포함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부에 장착되며, 상기 더스트 커버의 외주면을 감싸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 중앙에 일체로 하향 돌출되며, 상기 센터볼트에 끼워지는 캡부; 및
    상기 메인바디의 하부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내주면이 상기 차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캡부가 장착되는 중앙부분이 상향 돌출된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에 장착된 상기 차체의 상부에서 그 외주면 둘레로 밀착되도록 상기 메인바디의 외측으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끝단부의 두께(D1)가 상기 메인바디와 일체로 연결되는 선단의 두께(D2)보다 작은 두께(D1<D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착부의 두께는 끝단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캡은
    상기 차체와 더스트 커버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그 재질이 고무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KR1020100092062A 2010-09-17 2010-09-17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KR201200299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62A KR20120029922A (ko) 2010-09-17 2010-09-17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62A KR20120029922A (ko) 2010-09-17 2010-09-17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922A true KR20120029922A (ko) 2012-03-27

Family

ID=4613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62A KR20120029922A (ko) 2010-09-17 2010-09-17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9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8540A (zh) * 2013-04-25 2013-09-04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对高压绝缘子等值盐密测量的方法
US11358427B2 (en) * 2019-01-02 2022-06-14 Hyundai Mobis Co., Ltd. Suspension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78540A (zh) * 2013-04-25 2013-09-04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对高压绝缘子等值盐密测量的方法
US11358427B2 (en) * 2019-01-02 2022-06-14 Hyundai Mobis Co., Ltd. Suspension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4850A1 (en) Strut mount
JPS6118509A (ja) 自動車用の吊り下げ支柱取り付け装置
JP2016070502A (ja) 懸架軸受装置、当該懸架軸受装置を装着した自動車両、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500170A (ja) 取り付けられたランド/段を有するスプリングシート
KR20120029922A (ko) 인슐레이터 커버유닛
JP2008068723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05155808A (ja) 油圧緩衝器の懸架ばね支持構造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CN204249777U (zh) 一种乘用车底盘悬架系统及其扭力梁总成
EP2917053B1 (en) Mounting device for vehicle
JP6745213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構造
JP2002120535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構造
KR20190021718A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KR20080101120A (ko) 차량 현가장치 및 그것에 이용되는 베어링
KR102463448B1 (ko)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JP4509441B2 (ja) ハンドル防振装置
JP2006511392A (ja) マクファーソン型懸架装置の上部取り付け装置
JP4644622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2249617B1 (ko) 스트럿 어셈블리
KR20100051420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JPS6134163Y2 (ko)
KR100268408B1 (ko) 리어 쇼크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100811722B1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