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535A -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535A
KR20120028535A KR1020100090443A KR20100090443A KR20120028535A KR 20120028535 A KR20120028535 A KR 20120028535A KR 1020100090443 A KR1020100090443 A KR 1020100090443A KR 20100090443 A KR20100090443 A KR 20100090443A KR 20120028535 A KR20120028535 A KR 20120028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clip
plate
shaped
fl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점기 박
Original Assignee
점기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점기 박 filed Critical 점기 박
Priority to KR102010009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535A/ko
Publication of KR2012002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5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재 및 절단한 형태를 갖는 각종 판재들을 상호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홀더 결합홈을 성형하고,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탄성 걸림편을 일체로 돌출 성형한 클립형 홀더를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상기 판재들의 저부에 위치시켜 그의 탄성 걸림편들이 상기 판재의 홀더 결합홈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판재들의 시공성이 매우 좋아 비전문가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판재들의 시공 후 판재 자체가 주변의 온도변화에 부응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인접한 판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고 있는 클립형 홀더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 틈새가 일정범위 이내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판재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인해 어린이 등이 손 가락 등을 삽입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Panel bonding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regular gaps}
본 발명은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판을 포함하여 내외장재 및 데크재 등에 대한 시공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또한 시공 후 판재 자체가 주변의 온도변화에 부응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인접한 판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고 있는 클립형 홀더의 탄성력에 의해 그 틈새가 일정범위 이내를 유지하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 바닥(주거공간의 거실과 방바닥을 포함하여 학교의 교실 바닥 등)에는 원목 또는 압축 판재형 마루판이 설치되고, 건물의 내/외벽에는 내장재 및 외장재가 설치되고, 테라스 등의 바닥재로는 데크재(이하 상기한 마루판과 내외장재 및 데크재 등을 통칭하여 "판재"로 칭함)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판재를 건물의 특정부위에 설치시공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해당 부위의 크기에 맞게 절단한 판재를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시공 전문가를 불러 설치해야하므로 최근에는 규격화된 각종 판재들이 제작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판재들이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조립식 판재는 대부분 일정한 폭과 길이 등을 갖도록 제재 및 절단한 판재의 일측 면에 결합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면에는 인접한 다른 판재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구성을 갖고, 일측 판재의 결합돌기가 타측 판재의 타측 면에 형성된 결합홈에 긴밀히 끼워져 상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립식 판재는 판재의 일측 면에 돌툴 성형된 결합돌기가 다른 판재의 타측에 성형된 결합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판재들을 연결시켜 주도록 되어있어 설치장소의 면적과 상호 연결된 판재 자체의 전체 면적이 상호 동일하여 판재들과 건물의 벽면 사이에 틈새가 벌어지지 않아야만 각각의 판재가 긴밀히 면 접촉된 상태에서 조립이 됨에 따라 판재의 시공이 어려우며, 이러한 관계로 인해 거실이나 베란다 등의 벽면과 판재 사이를 긴밀히 밀폐시켜 주지 못하고 판재들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생길 경우 결합돌기가 결합홈으로부터 일부 빠져나와 판재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생겨 어린이들이 호기심에 이 틈새에 자신의 손가락을 집어넣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그로 인해 손 가락을 다치게 되는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있었다.
다시 말해서, 판재의 시공 후 건물의 바닥이나 내/외벽 또는 주변의 온도변화가 크게 발생되면 판재 자체가 수축 또는 팽창하게 되는데, 이중 판재가 수축될 경우 서로 인접한 판재들 사이에서 비교적 큰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이 틈을 통해 먼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고, 특히 어린이들이 호기심으로 이 틈새에 자신의 손가락을 집어넣을 경우 손 가락을 다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 등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판재들이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형태로 현속 결합된 형태를 갖게 되므로 일부 판재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해당 판재를 원활히 분리시키고 새로운 판재로 삽입시키는데 매우 힘들어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물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판을 포함하여 내외장재 및 데크재 등과 같은 판재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홀더 결합홈을 성형하고, 판재와 별도로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대략 "
Figure pat00001
"을 갖는 클립형 홀더를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판재들의 저부에서 상기한 홀더 결합홈에 양측 탄성 결합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이 매우 좋아 비전문가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또 건물의 바닥이나 벽 등에 클립형 홀더를 정해진 각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판재들을 간단히 결합시키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또한 판재들의 시공 후 판재 자체가 주변의 온도변화에 부응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인접한 판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고 있는 클립형 홀더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 틈새가 일정범위 이내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특히 판재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인해 어린이 등이 손 가락 등을 삽입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재 및 절단한 형태를 갖는 각종 판재들을 상호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홀더 결합홈을 성형하고,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탄성 걸림편을 일체로 돌출 성형한 클립형 홀더를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상기 판재들의 저부에 위치시켜 그의 탄성 걸림편들이 상기 판재의 홀더 결합홈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립형 홀더는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
Figure pat00002
"을 갖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클립형 홀더의 양단부에서 상방부를 향해 돌출 성형된 상기 탄성 걸림편의 상단 외주면에는 각각 수개의 쐐기형 걸림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의 홀더 결합홈에서 외측면 사이의 저면에는 상기 클립형 홀더의 평면부가 수납될 수 있는 홀더 평면부 안치홈을 더 형성하여 서로 인접한 두 판재의 저면에 설치된 상기 클립형 홀더의 저면과 판재들의 저면이 동일면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형 홀더의 평면부 상면 중심선 상에는 평면부 자체가 판재의 수축 및 팽창에 부응하여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증대용 요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건물 내의 바닥에 설치되는 마루판을 포함하여 내외장재 및 데크재 등과 같은 판재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홀더 결합홈 및 홀더 평면부 안치홈을 성형하고, 판재와 별도로는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대략 "
Figure pat00003
"을 갖는 클립형 홀더를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하여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판재들의 저부에서 상기한 클립형 홀더를 설치하여 상호 밀착되게 결합시켜 줌으로써 첫째 판재들의 시공성이 매우 좋아 비전문가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둘째 건물의 바닥이나 벽 등에 클립형 홀더를 정해진 각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판재들을 간단히 결합시키면 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셋째 판재들의 시공 후 판재 자체가 주변의 온도변화에 부응하여 수축 및 팽창이 발생되더라도 인접한 판재들을 상호 연결시켜 주고 있는 클립형 홀더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그 틈새가 일정범위 이내를 유지하게 되므로 외관상 미려함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넷째 판재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므로 인해 어린이 등이 손 가락 등을 삽입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판재들을 시공한 상태의 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를 이용하여 판재들을 시공한 상태의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재 및 절단한 형태를 갖는 각종 판재(1)들을 상호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판재(1)들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홀더 결합홈(11)을 성형하고,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탄성 걸림편(21)이 일체로 돌출되게 성형한 클립형 홀더(2)를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상기 판재(1)들의 저부에 위치시켜 그의 탄성 걸림편(21)들이 상기 판재(1)의 홀더 결합홈(11)에 각각 끼워져 걸려 서로 인접된 판재(1)들이 상기 클립형 홀더(2)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립형 홀더(2)는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
Figure pat00004
"을 갖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클립형 홀더(2)의 양단부에서 상방부를 향해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도록 돌출 성형된 상기 탄성 걸림편(21)의 상단 외주면에는 각각 수개의 쐐기형 걸림돌기(22)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판재(1)의 홀더 결합홈(11)에서 외측면 사이의 저면에는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가 수납될 수 있는 홀더 평면부 안치홈(12)을 더 형성하여 서로 인접한 두 판재(1)의 저면에 설치된 상기 클립형 홀더(2)의 저면과 판재(1)들의 저면이 동일면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 상면 중심선 상에는 평면부(23) 자체가 판재(1)의 수축 및 팽창에 부응하여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증대용 요홈(24)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재 및 절단한 형태를 갖는 공지된 각종 판재(1)를 제조할 때, 그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 폭과 깊이를 갖는 홀더 결합홈(11)을 성형해 주고, 이와 별도로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탄성 걸림편(21)이 일체로 돌출 성형된 형태를 갖는 클립형 홀더(2)을 제작하여,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판재(1)들의 저부에 상기 클립형 홀더(2)들을 위치시켜 그의 탄성 걸림편(21)들이 상기 판재(1)의 홀더 결합홈(11)에 각각 끼워져 걸려 서로 인접된 판재(1)들이 상기 클립형 홀더(2)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클립형 홀더(2)는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대략 "
Figure pat00005
"을 갖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
Figure pat00006
"을 갖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 클립형 홀더(2)들을 이용하여 서로 인접한 판재(1)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형태로 마루판을 포함하여 내외장재 및 데크재 등을 시공하게 되면 종래 결합돌기를 결합홈에 끼워주는 형태로 판재들을 일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는 것에 비하여 시공성이 매우 좋으므로 비전문가도 쉽게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시에도 해당 판재만 상방부로 잡아당기는 형태로 클립형 홀더(2)로부터 분리시키고 새로운 판재(1)를 간단히 재 설치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작업 역시 매우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립형 홀더(2)의 양단부에서 상방부를 향해 돌출 성형되는 탄성 걸림편(21)이 단순히 "U"자 형상의 종단면을 가질 경우 상기 탄성 걸림편(21)의 외주면과 판재(1)에 형성된 홀더 결합홈(11) 사이의 마찰력이 적어 클립형 홀더(2)의 탄성 걸림편(21)들이 판재(1)의 홀더 결합홈(11) 양 측벽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 판재(1)와 클립형 홀더(2)가 쉽게 분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립형 홀더(2)의 양단부에서 상방부를 향해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도록 돌출 성형된 상기 탄성 걸림편(21)의 상단 외주면에 각각 수개의 쐐기형 걸림돌기(22)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탄성 걸림편(21) 외주면에 돌출 성형된 쐐기형 걸림돌기(22)들의 일부가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탄성 걸림편(21)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도 2의 확대도와 같이 판재(1)의 홀더 결합홈(11) 양 측벽에 강제로 박히는 형태로 걸리게 되므로 외부에서 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판재(1)와 클립형 홀더(2)가 상호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으로 사출 및 압출 성형되는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는 어느 정도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판재(1)의 저면 양측부에 단순히 홀더 결합홈(11)만 형성하여 클립형 홀더(2)를 결합할 경우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가 판재(1)의 저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어 상기 판재(1)들이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으로부터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 두께만큼 뜨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판재(1)의 홀더 결합홈(11)과 외측면 사이의 저면에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가 수납될 수 있는 홀더 평면부 안치홈(12)을 더 형성하여 줌으로써 서로 인접한 두 판재(1)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가 판재(1)에 저면에 형성된 홀더 평면부 안치홈(12)에 수납된 형태를 갖게 되어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 저면과 판재(1)들의 저면이 동일면을 갖게 되므로 상기 판재(1)의 저면과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 저면이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 등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를 단순히 일정두께를 갖도록 성형할 경우 자체의 탄성력이 없어 판재(1)의 수축 및 팽창에 부응하여 탄력적으로 휘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 상면 중심선 상에 탄성 증대용 요홈(24)을 더 형성하여 상기 클립형 홀더(2)의 평면부(23) 자체가 판재(1)의 수축 및 팽창에 부응하여 탄성 증대용 요홈(24)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루판이나 내외장판 또는 데크재 등을 시공 후 판재(1) 자체가 주변의 온도변화에 부응하여 수축 또는 팽창될 경우 상기 클립형 홀더(2)의 "U"자형 탄성 걸림편(21)이 탄력적으로 좁혀지거나 벌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탄성 증대용 요홈(24)이 구비된 평면부(23)가 탄성 증대용 요홈(24)을 중심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약간 휘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 인접한 판재(1)들 사이의 틈새가 주변의 온도변화에 따른 판재들의 수축 및 팽창에 무관하게 일정범위 이내를 유지하게 판재들의 와관이 미려한 상태를 유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판재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로 각종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게 되고, 또한 판재들 사이에서 틈새가 발생되므로 인해 어린이 등이 손 가락 등을 삽입하게 되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각종 판재
11 : 홀더 결합홈 12 : 홀더 평면부 안치홈
2 : 클립형 홀더
21 : 탄성 걸림편 22 : 쐐기형 걸림돌기
23 : 평면부 24 : 탄성 증대용 요홈

Claims (5)

  1. 소정 폭과 길이를 갖도록 제재 및 절단한 형태를 갖는 각종 판재들을 상호 결합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결합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판재들의 저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홀더 결합홈을 성형하고,
    양단부에서 상방향으로 각각 탄성 걸림편을 일체로 돌출 성형한 클립형 홀더를 서로 인접되게 밀착 시공되는 상기 판재들의 저부에 위치시켜 그의 탄성 걸림편들이 상기 판재의 홀더 결합홈에 각각 끼워져 걸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형 홀더는 합성수지재 또는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종단면이 "
    Figure pat00007
    "을 갖도록 사출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형 홀더의 양단부에서 상방부를 향해 돌출 성형된 상기 탄성 걸림편의 상단 외주면에는 각각 수개의 쐐기형 걸림돌기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재의 홀더 결합홈에서 외측면 사이의 저면에는 상기 클립형 홀더의 평면부가 수납될 수 있는 홀더 평면부 안치홈을 더 형성하여 서로 인접한 두 판재의 저면과 상기 클립형 홀더의 저면이 동일면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립형 홀더의 평면부 상면 중심선 상에는 평면부 자체가 판재의 수축 및 팽창에 부응하여 탄력적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증대용 요홈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KR1020100090443A 2010-09-15 2010-09-15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KR201200285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43A KR20120028535A (ko) 2010-09-15 2010-09-15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443A KR20120028535A (ko) 2010-09-15 2010-09-15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535A true KR20120028535A (ko) 2012-03-23

Family

ID=46133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443A KR20120028535A (ko) 2010-09-15 2010-09-15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853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333A (zh) * 2012-06-15 2012-10-10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木地板块及木地板
CN102720332A (zh) * 2012-06-15 2012-10-10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木地板的铺设方法
CN109162424A (zh) * 2018-10-24 2019-01-08 深圳瑞和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装配式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593515A (zh) * 2019-09-23 2019-12-20 福建圣和家居有限公司 一种地板组件
CN112609918A (zh) * 2020-12-21 2021-04-06 深圳新美装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内墙装饰节能复合快装板材
CN115233932A (zh) * 2022-08-11 2022-10-25 厦门万里石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大理石石材铺贴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20333A (zh) * 2012-06-15 2012-10-10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木地板块及木地板
CN102720332A (zh) * 2012-06-15 2012-10-10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木地板的铺设方法
CN102720333B (zh) * 2012-06-15 2014-05-14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木地板块及木地板
CN102720332B (zh) * 2012-06-15 2014-05-14 安徽扬子地板股份有限公司 木地板的铺设方法
CN109162424A (zh) * 2018-10-24 2019-01-08 深圳瑞和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装配式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CN110593515A (zh) * 2019-09-23 2019-12-20 福建圣和家居有限公司 一种地板组件
CN112609918A (zh) * 2020-12-21 2021-04-06 深圳新美装饰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内墙装饰节能复合快装板材
CN115233932A (zh) * 2022-08-11 2022-10-25 厦门万里石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一种新型大理石石材铺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535A (ko) 일정 틈새 유지기능을 갖는 판재 결합장치
US5996301A (en) Wall panel assembly
US20070193148A1 (en) End cap
KR200418125Y1 (ko) 바닥재용 데크
US20100133416A1 (en) Sideform system
JP2007009612A (ja) パネル取付構造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KR101458767B1 (ko) 바닥재 패널 조립용 클립
JP2017106261A (ja) 基礎パッキン
KR20170003660U (ko) 조립식 걸레받이
EP2784247B1 (en) Fence or building cladding
JP6099585B2 (ja) 見切縁及びその取付構造
JP6865377B2 (ja) 不陸調整部材および造作部材
JP2017106260A (ja) 基礎パッキン
JP2008255736A (ja) 間仕切壁の端部シール構造
KR20080088160A (ko) 데크 결합용 부재 및 데크자재의 결합구조
US11247811B1 (en) Bins that connect to prevent lateral movement
KR101905388B1 (ko) 배수판 조립체
KR101179928B1 (ko) 벽체 배수판 본체 간격조절 마감재
KR101991986B1 (ko) 데크 조립체 및 이의 시공방법
EP2916014B1 (en) System for connecting components
KR20220002719U (ko) 조립식 싱크대 물막이
WO2009145367A1 (en) Deck fastener and structure for connecting deck board
JP4982904B2 (ja) パネル接続用連結具。
JPH02255109A (ja) エッジ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