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143A -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143A
KR20120028143A KR1020100090178A KR20100090178A KR20120028143A KR 20120028143 A KR20120028143 A KR 20120028143A KR 1020100090178 A KR1020100090178 A KR 1020100090178A KR 20100090178 A KR20100090178 A KR 20100090178A KR 20120028143 A KR20120028143 A KR 20120028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polymer
skin
solvent
form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331B1 (ko
Inventor
윤세영
김민주
곽상훈
김승진
장석윤
송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00090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0331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필름 형성 수불용성(water- insoluble) 고분자; 및 팽윤제(swelling agent)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하며, 형성된 필름이 물과 접촉 시 팽윤되기 때문에 필름을 제거해야 할 경우 피부에 자극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SKIN APPLICABLE FILM FORMATION COMPOSITON}
본 발명은 피부에 도포 후 건조됨에 따라 필름(film)을 형성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공기 중의 먼지나 자외선 등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피부에 영양을 전달하기 위해 팩(pack)을 사용한다. 이러한 팩은 크림, 젤, 마스크 등의 제형을 가지고 있으며 제거 방법에 따라 크게 필 오프 타입(peel-off type)과 워시 오프 타입(wash-off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필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피부에 도포 후 건조됨에 따라 피부에 필름을 형성하게 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피부에 유효성분이 전달되고 나면 필름을 벗겨내는 것으로, 모공 속 피지나 각질 같은 피부 오염 물질이 필름에 흡착되어 제거되기 때문에 유효성분 전달뿐만 아니라 즉각적인 청정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필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피부에 형성되는 필름의 인장강도가 약하여 제거를 위해 벗겨낼 때 잘 찢어지기 때문에 피부에서 깔끔하게 제거하기 어렵다. 또한, 피부가 얇은 부분(예를 들어, 눈가나 입 주위)이나 털이 나 있는 부분(예를 들어, 눈썹)에서 형성된 필름을 벗겨낼 경우 자극이 되어 붉은 반점이나 따가움 등의 부작용도 나타난다.
따라서, 자극을 최소화하여 형성된 필름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씻어 제거하기도 하는데, 필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물과 접촉 시 형성된 필름이 끈적거리는(또는 미끌거리는) 상태로 변하기 때문에 제거가 용이하지 않으며 끈적거리는 상태의 필름을 제거하기 위해 손톱으로 긁어내야 하는 경우가 있어 오히려 피부에 더 심한 자극을 줄 수도 있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필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수용성 고분자를 필름 형성 물질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는 건조됨에 따라 피부에서 필름을 형성하기에는 용이하지만 물과의 친화도가 높아 물과 접촉하면 물을 흡수하여 끈적거리는 상태로 변하기 때문이다.
한편, 워시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필름을 형성하는 수용성 고분자 대신 수용성 점증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젤 또는 크림 등의 제형을 가진다. 이러한 워시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피부에 도포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물로 씻어 제거하는 것으로 보습과 영양을 주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워시 오프 타입의 팩 제품은 피부의 모공 속 피지나 각질과 같은 오염물질까지 제거하기 어려우며 피부에 도포 후 건조되지 않기 때문에 옷이나 침구류 등에 묻어날 수 있어 제품 사용시 활동에 제약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동에 제약이 없으며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물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필름 형성 수불용성(water-insoluble) 고분자; 및 팽윤제(swelling agent)를 포함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매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 도포 시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용매 제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해 필름이 형성되며, 다량의 물과 접촉 시 상기 팽윤제에 의해 형성된 필름이 팽윤된 상태로 필 오프(peel off)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콜라겐, 비타민 성분, 화장용 성분, 자외선 차단성분, 곤충 퇴치제, 모기 기피제 및 약물과 같은 유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또는 피부 도포용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후 건조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하여 옷 등에 묻어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활동(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 건조된 필름 형태의 조성물이 다량의 물과 접촉 시 필름 형태를 유지하면서 팽윤되어 벗겨내기 쉬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피부에 자극 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피부에 존재하는 오염물질까지 제거되어 즉각적인 청정효과도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 도포용 조성물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마 및 눈부위에 skin boosting pack으로 사용한 것을 찍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이하, '조성물'이라 함)은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 및 팽윤제를 포함한다.
1. 필름 형성 수불용성(water-insolubility) 고분자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또는 도포 후) 건조됨에 따라 필름화될 수 있도록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로서, 35 ~ 38℃의 물에서 최대 10시간 동안 물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젤, 연고, 크림 등의 제형으로 밀폐 용기에 담아져 있다가 피부에 도포되면 외부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져 용매 증발이 용이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가 피부에 필름(엷은 막)을 형성한 상태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고분자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우레아(Polyurea), 셀룰로오즈(Cellulose), 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Ammonium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Acrylate/Octylacrylamide copolymer), 알릴 스테아레이트/VA 공중합체(Allyl Stearate/VA Copolymer),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monium Acrylates Copolymer), AMP-아크릴레이트/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AMP-Acrylates/Diacetoneacrylamid Copolymer), 에틸렌디아민/스테아릴 다이머 딜리놀리에이트 공중합체(Etylenediamine/Stearyl Dimer Dilinoleate Copolymer), PVM/MA 공중합체의 에틸 에스테르(Ethyl Ester of PVM/MA Copolymer), 이소부틸렌/말레인산염 공중합체(Isobutylene/Sodium Maleate Copolymer),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Methyl Meth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소듐 C4-12 올레핀/말레산 공중합체(Sodium C4-12 Olefin/Maleic Acid Copolymer), 소듐 폴리메타크릴레이트(Sodium Polymethacrylate), VA/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Copolymer), VA/크로토네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Vinyl Neodecanoate Copolymer), VA/비닐 부틸 벤조에이트/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VA/Vinyl Butyl Benzoate/Crotonates Copolymer), 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VP/헥사데신 공중합체(VP/Hexadecene Copolymer), VP/VA 공중합체(VP/VA Copolymer)로 이루어진 수불용성 고분자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고분자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는 생체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가 제거됨에 따라 오픈 셀(open cell) 구조를 가지는 필름이 형성되어 통기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는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 8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 50중량부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가 필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필름을 벗겨내는 필 오프 방식으로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이 피부에 도포된 후 필름을 형성하는 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할 때 3분 내지 30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에 형성된 필름은 일상생활에서 늘어나거나 변형되지 않고 처음의 모습을 유지해야 한다. 한 부분이 쉽게 늘어나면 필름이 피부 위에서 들뜨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피부에 형성된 필름에 적정 수준의 인장강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재상에 도포하여 100㎛의 필름을 형성시킨 후 만능시험기로 평가할 때 인장강도가 1.0 ~ 30 N/m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1.0 N/ mm2 미만에서는 필름 형성이 어렵고, 30 N/mm2 를 초과하면 단단한 사용감으로 상품성이 떨어진다. 화장품처럼 사용시 느낌을 중요한 잣대로 삼는 제품군에서는 상기 인장강도로 물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화 후에도 수화 전과 유사한 수준의 인장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고분자가 쉽게 붕해되면 형태를 잃어버리게 되는데, 벗겨낼 때(peel off) 여러 조각으로 나눠지므로 한번에 벗겨낼 수 없다. 수화 후에 1.0 N/ mm2 이상의 인장강도를 유지하여야 필름이 잘 벗겨진다. 따라서, 수화 후의 인장강도가 1.0 N/mm2 ~ 25 N/ mm2인 것이 바람직하다.
2. 팽윤제(swelling agent)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해 피부에 도포 시 필름을 형성하기 때문에 필 오프 방식으로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필 오프 방식으로 제거할 경우 피부에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형성된 수불용성 고분자 필름을 벗겨냄에 있어(제거함에 있어) 피부에 자극 없이 벗겨내기 위해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와 상호 호환성(Compatibility)을 가지는 팽윤제를 포함한다.
상기의 팽윤제는, 물과 접촉할 경우 OH와 같은 친수성 반응기에 의해 빠르게 수화(hydration)되어 부피가 팽창되거나, 물 접촉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게 되고 전기적 척력에 의해 분자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게 되며 전하에 의해 물을 함유할 수 있는 물질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팽윤제는 가소제 역할을 하여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가 피부에 유연성 및 통기성을 가지는 필름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며(도 1 참조), 형성된 필름이 물과 접촉할 경우 팽윤(또는 수화)되어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필름을 그 형태가 유지된 상태로 자극 없이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팽윤제로 사용 가능한 물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물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는 고분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팽윤제는 비제한적으로 폴리 알킬 비닐 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Poly alkyl vinyl ether-maleic acid copolymer, PVM/MAcopolymer),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PVP/VA copolymer), 폴리 쿼터늄(Polyquaterium), 카보머(carbomer), 천연 고무(Natural gums; 예, gum karaya, xanthan gum, Guar gum, gum Arabic, gum tragacanth), 셀룰로오즈(Cellulose),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Carbopol),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Acrylamide copolymer), 다당류(Polysaccaride, Starch), 글루텐(Glut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팽윤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팽윤제는 일반적으로 점증제로도 사용되므로, 수화된 상태에서 분자구조를 펼침으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고 물을 함유하여 점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팽윤제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여 조성물이 다양한 제형(예를 들어, 젤 또는 크림)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조성물의 점도를 높임으로 인해 오일 또는 물 입자의 고른 분산을 도와 상분리를 지연시킴으로써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팽윤제는 필름의 팽윤 정도 및 조성물의 점도를 고려할 때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 50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1 ~ 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용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와 팽윤제의 혼화성을 높이기 위해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조성물의 이용분야에 따라 물(정제수), 오일, 알코올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면 용매가 휘발 또는 제거되면서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해 필름막이 형성된다. 이때, 조성물의 점착성에 의해 모공 속의 피지 및/또는 각질이 조성물에 흡착되고 조성물의 용매가 제거됨으로 인해 필름막이 형성되면서 수축효과를 동시에 가져와 모공에 끼어 있던 피지를 모공으로부터 살짝 들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 뒤 피부 위의 필름막을 제거할 때 같이 흡착되어 있던 피지 및/또는 각질까지 같이 제거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즉각적인 청정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팽윤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건조되어 피부에 밀착되어 형성되었던 막이 물로 씻는 과정 만으로도 부드럽게 피부에서 탈리가 가능하여 쉽게 제거할 수 있다.
4. 용매제거제
본 발명은 조성물에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용매를 제거하여(건조시켜)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해 형성되는 필름이 적절한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용매 제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 제거제는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 또는 용매와 함께 휘발되는 물질(용매 휘발 보조제)일 수 있다. 용매 제거제는 용매 흡착시 부피 팽창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필름을 형성하고, 형성된 필름이 물과 접촉 시 필름 형태를 유지한 상태로 팽윤되어 피부에 자극 없이 제거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도포된 조성물이 피부에 필름을 형성하고, 형성된 필름이 물과 접촉 시 필름 형태를 유지하면서 팽윤되기 위해서는 조성물이 적절한 건조도를 가져야 한다. 이때, 조성물이 얼마나 건조되느냐에 따라 형성된 필름의 인장강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조성물의 건조도와 형성된 필름의 인장강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얼마나 건조되느냐에 따라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건조상태 및 팽윤상태에서도 필름 형태를 유지하면서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성물에 포함된 용매를 제거하여 조성물의 건조도를 효율적으로 조절함에 따라 형성된 필름이 적절한 인장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용매 제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매 제거제는 용매를 효과적으로 휘발시켜 막 형성뿐만 아니라 막 형성 시간 감소를 도와줄 수 있다.
상기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다공성 파우더류, 제올라이트류, 실리카류, 벤토나이트류, 나일론 파우더류,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제거제로서,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은 상기 팽윤제에 상이하다. 팽윤제는 수화시 부피가 증가하는 것을 기본 특징으로 하고 용매를 잡고 있어 휘발하는 것을 막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매제거제로서,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은 부피 증가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물이나 그 외 용매를 흡수하여 밖으로 휘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용매 휘발 보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인체용 LPG(Liquefied Petroleum Gas),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올 등의 알코올류를 들 수 있으며, 상기 물질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매 제거제는 조성물의 건조도를 고려할 때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0중량부, 구체적으로는 1 ~ 3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처방에 따라 용매 제거제가 없을 경우 막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목적으로 하는 타겟 품질에 따라, 예를 들어 퀵 드라잉 속성이 요구되거나 슬로우 드라잉 속성이 요구되느냐에 따라 용매 제거제의 함량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과 휘발하는 물질에 따라 비율이 달라지며, 예컨대,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은 다공성 파우더류로 소량 사용이 가능하지만 용매 휘발 보조제는 액상인 경우로 다량 사용될 수 있다.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에 용매 제거제 사용으로 건조시간 단축이 용매 제거제 사용하지 않은 것에 비해 0.1% ~ 40% 향상되는 것이 좋다.
용매 제거제를 사용하면 용매 제거제가 없을 때 보다 40%까지 건조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건조속도가 빠를 경우 바르는 도중에 건조가 진행되면서 여러 개의 결로 필름이 형성되어 얼룩처럼 보일 수도 있다. 이러한 얼룩현상은 용매 제거제가 없을 때의 건조속도가 용매 제거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의 10%~20% 정도로 될 때 최소화되므로, 미용목적에서는 상기 범위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금속봉집제, 색소, 향료, 살균제 및 방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도포되는 제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피부에 도포되어 상기 유효성분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제품(예를 들어, 메이크업 베이스, 액상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제, 부분 적용 스팟 제품 등의 화장품, 연고 등의 피부 도포용 외용제)에 적용 시 유용하다. 이때, 상기 유효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콜라겐, 비타민 성분, 화장용 성분, 벌레 퇴치 또는 모기 기피제 성분, 자외선 차단 성분 및 약물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skin boosting pack으로 사용한 것으로, 얼굴반쪽에만 skin boosting pack을 바르고, 마른 뒤 양쪽에 똑같이 색조 화장을 한 것을 찍은 사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면 피부결이 정돈되고, 매끄럽게 광택이 나며 색조의 색감이 자연스러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매에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를 고르게 분산시킨 뒤, 팽윤제와 기타 첨가제를 넣고 검믹서, 패들믹서 또는 호모믹서로 교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3]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및 함량을 적용하여 검믹서로 고속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팽윤제 또는 수용성 폴리머를 분산시키기 위해서 60℃ 이상의 가온 후 고속 교반 공정을 수행하였다.
구 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용매 정제수 30 30 30 5 60 35 30 60 60
필름형성
수불용성 고분자
폴리우레탄 분산액
(독일Bayer, Baycusan1000)
40 40 70 5 40 40
아크릴/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케미랜드, Ultrasol 1000C)
40
팽윤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원풍약품, Natrosol 250HNF)
0.3 0.3 0.3 0.3 0.3 0.3
아크릴레이트/알킬 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Noveon, Carbopol Ultrez 21)
0.2 0.2 0.2 0.2 0.2 0.2 0.5
필름형성
수용성
고분자
폴리비닐알코올
(일본Kuraray, PVA 217/205)
15
점증제 잔탄검
(Kelco, Xanthan gum)
0.5
유화제 글리세레스-26 2.0 2.0
PEG-40 경화 피마자유
(일본 Nikko chem., HCO-40)
1.0 1.0 1.0 1.0 1.0 1.0 1.0
보습제 글리세린
(LG, Glycerine)
5 20
용매 제거제 실리카
(선진화학, Sunsil 130)
5 5 5 5 5 5
에탄올 10.0 10.0 10 10 10 10.0 5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삼광화학, DPG-FC)
5.0 5.0 0 5 5 5.0 5
기타
첨가제
중화제, 오일, 자외선 차단제, 색소, 향료 등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단위 : 중량부
[ 실험예 1] 조성물의 인장강도 측정
Mathis사의 코팅건조기를 이용하여, 실시예 1, 2, 4, 5 및 비교예 2, 3의 조성물을 각각 100um의 두께로 70℃에서 10분간 코팅, 열풍 건조 과정을 수행하였다. 공정이 완료된 필름에 대하여 만능시험기(UTM WL-2100)를 이용하여 건조상태와 팽윤상태에서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 건조상태에서의 인장강도: 항온조에서 건조된 필름을 1.0cm x 5.0cm의 크기로 잘라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장력시험(30mm/분)을 실시하였다. 필름이 인장력을 이기지 못해 절단되는 시점(힘)을 인장강도로 정하였으며, 이 과정을 10회 반복하여 측정된 결과의 평균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팽윤상태에서의 인장강도: 건조된 필름을 1.0cm x 5.0cm 의 크기로 자른 후 10ml의 정제수에 담가 두고 15분 뒤 꺼내어 건조상태에서의 인장강도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건조상태 팽윤상태
인장강도 (N/mm2) 인장강도 (N/ mm2)
실시예 1 9.1 8.9
실시예 2 6.1 4.6
실시예 4 25.1 12.0
실시예 5 1.9 1.5
비교예 2 21.0 측정불가
비교예 3 측정불가 측정불가
실시예 1,2,4,5 의 경우 건조상태에서의 인장강도가 1.9~ 25.1 N/mm2 로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3(필름형성 고분자 사용하지 아니함)에서는 건조상태에서도 제형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필름이 형성되지 않았기에 인장강도 측정이 불가하였다. 수화 팽윤시킬 때에 실시예 1, 2, 4, 5 는 적정수준의 인장강도를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2(필름형성 수용성 고분자 사용)에서는 수화 시 고분자가 붕괴되면서 필름의 형상을 잃거나 인장강도의 수치가 급격히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는 피부에 도포 후 세정 과정에서 물과 접촉되어도 인장강도가 충분하여서 제거과정에서 잘 끊어지지 않고 (peel off) 한쪽 끝을 잡고 당겨도 필름 전체가 쉽게 피부에서 탈착되었다. 반면 비교예 2는 피부에 도포 후 필름을 형성할 수는 있었지만 물과 접촉 후 바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할 정도로 인장강도가 낮아지거나 탈착 시 필름막이 여러 갈래로 끊어지는 등 상품가치가 떨어졌다.
[실험예 2] 사용감 평가
신체 건강한 남녀 16 ~ 50세 40명에게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조성물을 적당량 취하여 안면부에 바르게 하고 2시간 동안 일상생활을 하게 한 후 사용감에 대해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사용 중
느낌
활동 중 편리함
(묻어나는 않는 정도)
제거용이성 제거시 피부 자극 완화 사용 후 피부상태
(각질 및 피지 존재 여부)
사용편리성
실시예 1 4.2 4.5 4.7 4.3 4.5 4.6
비교예 1 4.1 4.3 3.5 3.5 4.1 3.8
비교예 2 3.7 4.4 2.0 2.7 4.7 3.0
비교예 3 4.0 2.7 4.0 4.3 3.0 3.0
* 평가기준
1 : 매우나쁨
2 : 나쁨
3 : 보통
4 : 좋음
5 : 매우 좋음
실시예 1은 용매 제거제 등의 첨가로 빠른 건조가 가능하였기에 활동 중 불편함, 제거 용이성, 사용 편리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 제거시 필름이 끊어지는 것에서 오는 불편함을 주었고 피부가 보호 되고 있었다는 느낌을 주지 못했다.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비교시 팽윤제가 없는 비교예 1의 경우 피부에서의 제거 용이성이 떨어지고 제거시 피부 자극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3] 건조도에 따른 필름 형성 시간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 팽윤제 및 용매를 함유하는 경우, 용매제거제 유무에 따른 필름형성 시간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HG53 Halogen Moisture Analyser의 Weight plate에 상기의 실시예 1(용매제거제 포함)과 실시예 3(용매제거제 불포함)의 샘플을 각 1g씩을 1mm 두께로 도포한 후 50℃에서 시간별 건조도(%)를 측정하였다.
건조시간 5분 10분 15분
실시예 1 23.4 36.1 40.9
실시예 3 10.3 20.5 24.5
실시예 6 19.4 31.5 37.0
용매 제거제를 사용한 실시예 1은 용매 제거제를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3에 비해서 40% 이상 빠른 건조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6은 정제수의 함량이 35중량부로 실시예 3의 정제수의 함량보다 높았는데, 실시예 3보다 빠른 건조속도를 보여 용매 제거제가 건조속도를 높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7)

  1. 필름 형성 수불용성(water-insoluble) 고분자; 및 팽윤제(swelling agent)를 포함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제는 물 접촉시 친수성 반응기에 의해 수화(hydration)되어 부피가 팽창되거나, 물 접촉시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띄게 되고 전기적 척력에 의해 분자 구조가 펼쳐짐에 따라 부피가 팽창하게 되며 전하에 의해 물을 함유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기재상에 도포하여 100㎛의 필름을 형성시켰을 때 인장강도가 1.0 ~ 30 N/m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수화 후에도 인장강도가 1.0 N/mm2 ~ 25 N/ m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우레아(Polyurea), 셀룰로오즈(Cellulose), 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Ammonium 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옥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Acrylate/Octylacrylamide copolymer), 알릴 스테아레이트/VA 공중합체(Allyl Stearate/VA Copolymer),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monium Acrylates Copolymer), AMP-아크릴레이트/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AMP-Acrylates/Diacetoneacrylamid Copolymer), 에틸렌디아민/스테아릴 다이머 딜리놀리에이트 공중합체(Etylenediamine/Stearyl Dimer Dilinoleate Copolymer), PVM/MA 공중합체의 에틸 에스테르(Ethyl Ester of PVM/MA Copolymer), 이소부틸렌/말레인산염 공중합체(Isobutylene/Sodium Maleate Copolymer),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Methyl Methacrylate/Acrylonitrile Copolymer),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Methyl Methacrylate Crosspolymer),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Octylacrylamide/Acrylates/Butylaminoethyl Methacrylate Copolymer), 소듐 C4-12 올레핀/말레산 공중합체(Sodium C4-12 Olefin/Maleic Acid Copolymer), 소듐 폴리메타크릴레이트(Sodium Polymethacrylate), VA/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 Copolymer), VA/크로토네이트/비닐 네오데카노에이트 공중합체(VA/Crotonates/Vinyl Neodecanoate Copolymer), VA/비닐 부틸 벤조에이트/크로토네이트 공중합체(VA/Vinyl Butyl Benzoate/Crotonates Copolymer), VP/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VP/Dimethylaminoethylmethacrylate Copolymer), VP/헥사데신 공중합체(VP/Hexadecene Copolymer), VP/VA 공중합체(VP/VA Copolymer)로 이루어진 수불용성 고분자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윤제는 폴리 알킬 비닐 에테르-말레산 공중합체(Poly alkyl vinyl ether-maleic acid copolymer),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록사머(Poloxamer), 폴리비닐 피롤리돈-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vinyl pyrrolidone-vinyl acetate copolymer), 폴리 쿼터늄(Polyquaterium), 카보머(carbomer), 천연 고무(Natural gums), 셀룰로오즈(Cellulose), 카보머(Carbomer),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crylate copolymer), 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Acrylamide copolymer), 다당류(Polysaccaride), 및 글루텐(Glut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는 0.1 ~ 80중량부로, 상기 팽윤제는 0.01 ~ 50중량부로 포함되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와 팽윤제는 상이한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피부 도포 시 상기 용매를 제거하는 용매 제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제거제는 용매를 흡착하는 물질 또는 용매와 함께 휘발되는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제거제는 다공성 파우더류, 제올라이트류, 실리카류, 벤토나이트류, 나일론 파우더류,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용매 흡착 물질 군에서 선택되거나, 에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인체용 Liquefied Petroleum Gas,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올로 이루어진 용매 휘발 보조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 제거제는 조성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에 용매 제거제 사용으로 건조시간 단축이 용매 제거제 사용하지 않은 것에 비해 0. 1% ~ 40%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4. 제1항에 있어서, 피부에 도포 시 건조됨에 따라 상기 필름 형성 수불용성 고분자에 의해 필름이 형성되며, 물과 접촉 시 상기 팽윤제의 의해 형성된 필름이 팽윤된 상태로 필 오프(peel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콜라겐, 비타민 성분, 화장용 성분, 자외선 차단성분, 곤충 퇴치제, 모기 기피제 및 약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효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도포용 외용제.
KR1020100090178A 2010-09-14 2010-09-14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KR10133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78A KR101330331B1 (ko) 2010-09-14 2010-09-14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178A KR101330331B1 (ko) 2010-09-14 2010-09-14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143A true KR20120028143A (ko) 2012-03-22
KR101330331B1 KR101330331B1 (ko) 2013-11-15

Family

ID=4613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178A KR101330331B1 (ko) 2010-09-14 2010-09-14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033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07B1 (ko) * 2012-09-07 2015-06-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중간 전사 매체 및 위변조 방지 매체 작성 장치
KR20150121476A (ko) * 2014-04-21 2015-10-29 (주)코바스 필-오프 타입의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7758A (ko) * 2019-05-31 2020-12-09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필-오프 타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683B1 (ko) * 2019-09-03 2022-07-21 주식회사 코스온 필오프 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7350B1 (ko) * 2020-12-14 2023-08-16 주식회사 마케이지랩 우수한 강도를 갖는 피막 형성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4944B1 (fr) * 2000-10-09 2002-12-20 Oreal Composition de maquillag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307B1 (ko) * 2012-09-07 2015-06-02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중간 전사 매체 및 위변조 방지 매체 작성 장치
KR20150121476A (ko) * 2014-04-21 2015-10-29 (주)코바스 필-오프 타입의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7758A (ko) * 2019-05-31 2020-12-09 코스맥스 주식회사 폴리우레탄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필-오프 타입의 색조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0331B1 (ko)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7914B2 (ja) 皮膚をひきしめる効果のある化粧組成物
KR100444625B1 (ko) 화장용 조성물 및 스킨 클렌징 마스크로서의 그의 용도
KR100787328B1 (ko) 마크로 크기의 지질 캡슐 입자를 갖는 에멀젼 조성물 및이를 이용한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330331B1 (ko) 피부 도포용 필름 형성 조성물
KR101981696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미스트 조성물
CA2448829C (en) Preparation for the removal of abnormal keratinous material
US20110190401A1 (en) Depolymerized polysaccharide-based hydrogel adhesiv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10038492A1 (en) Composition of freeze-dried formulation, cosmetic kit for external use on skin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skin moisturizing including applying the same onto the skin
KR101596021B1 (ko) 필링 화장 재료 및 그의 사용 방법
KR20110109250A (ko) 수성/비수성 약물전달에 적용 가능한 고분자 혼합물을 이용한 고분자 수성 혼합용액으로 만들어진 필름 형성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33816B1 (ko) 필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CA2119468A1 (en) Skin cleanser
KR101357809B1 (ko) 정제 또는 펠렛 형태의 퍼스널케어 제품
KR20150067823A (ko) 워시 오프 타입 팩 화장료 조성물
JP2007022964A (ja) フィブロイン含有シート
KR20180130178A (ko) 리포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752A (ko) 고상 요구르트의 질감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8431B1 (ko) 저분자 실크 프로테인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106212B1 (ko) 쉘락을 이용한 손발톱용 저자극 매니큐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WO2000033796A1 (en) Device, method, and composition for skin cleansing
KR100845745B1 (ko) 헤어 스타일링 젤 조성물
KR102567350B1 (ko) 우수한 강도를 갖는 피막 형성이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280089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11356B1 (ko) 로즈마린산을 함유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160051427A (ko) 세리신 추출액을 이용한 멜팅 스폰지 패치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