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884A - 피도금물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피도금물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884A
KR20120027884A KR1020100089713A KR20100089713A KR20120027884A KR 20120027884 A KR20120027884 A KR 20120027884A KR 1020100089713 A KR1020100089713 A KR 1020100089713A KR 20100089713 A KR20100089713 A KR 20100089713A KR 20120027884 A KR20120027884 A KR 20120027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force
mobile unit
force transmission
transmission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승석
Original Assignee
홍승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승석 filed Critical 홍승석
Priority to KR102010008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884A/ko
Publication of KR2012002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8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2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veying workpieces through baths of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6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for articles to be co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10Agitating of electrolytes; Moving of ra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공정에 있어 피도금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승강 과정 없이 단순히 피도금물을 수평 내지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금공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피도금물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도금물 이송장치는, 구동모터와, 하나가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한 쌍의 스프로킷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스프로킷 중 하나가 회전되는 경우 동시에 회전되어 다른 하나도 회전되도록 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다수의 돌기를 갖는 구동력 전달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구동력 전달 체인의 회전시 돌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되는 이동유닛;과, 이동유닛에 고정되어 이동유닛과 함께 이동되며, 하부에 피도금물 연결수단이 형성되는 행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도금물 이송장치{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도금공정에 있어 피도금물을 이송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탈지공정, 수세공정, 산세공정, 수세공정, 플럭스(Flux) 공정, 건조공정, 도금공정, 냉각공정, 사상공정, 제품검사, 출고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도금장치는 일렬로 배열된 전체 공정로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행거가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피도금물을 행거에 걸어 프레임을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공정로의 상부에서 정지시킨 후 행거를 하강시켜 행거에 걸린 피도금물을 각 공정로에 집어 넣어 처리되도록 하고, 이후 상승, 수평이동, 하강 등의 과정을 거쳐 공정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도금장치는 매 공정마다 반드시 하강과 상승의 과정이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도금공정을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제조 내지 가공공정을 위한 제품의 이송장치가 다수 개시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용이하지 못하며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책도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승강 과정 없이 단순히 피도금물을 수평 내지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금공정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피도금물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피도금물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와, 하나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 중 하나가 회전되는 경우 동시에 회전되어 다른 하나도 회전되도록 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다수의 돌기를 갖는 구동력 전달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체인의 회전시 상기 돌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되는 이동유닛;과, 상기 이동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유닛과 함께 이동되며, 하부에 피도금물 연결수단이 형성되는 행거유닛;을 포함하는 피도금물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유닛은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프로킷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구동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유닛이 수용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의 하방에 길게 설치되는 내부 공간부를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력 전달 체인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이동유닛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이동유닛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이동체인과, 상기 이동체인의 양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이 회전될 때 상기 구동력 전달 체인의 돌기로부터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체인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롤러가 회전되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유닛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이동유닛의 롤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양단이 각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도금물 이송장치에 의하면, 구동유닛의 하방에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되는 이동유닛이 수평 또는 곡선 형태로 길게 설치되므로 별도의 승강 과정 없이 단순히 피도금물을 수평 내지 곡선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금공정이 완료될 수 있어, 불필요한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고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에 부착되는 다수의 돌기에 의해 이동유닛의 이동체인에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유닛에 롤러가 마련됨으로써 이동유닛의 이동이 원활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도금물 이송장치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도금물 이송장치의 구동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피도금물 이송장치의 이동유닛에 대한 평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도금물 이송장치의 이동유닛에 대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피도금물 이송장치의 이동유닛에 대한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도금물 이송장치는 구동유닛(100), 이동유닛(200) 및 행거유닛(300)을 포함하며, 구동유닛(100)이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유닛(200)이 이동되고 이동유닛(20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는 행거유닛(300)의 하부에 연결되는 피도금물(2)이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피도금물 이송장치는 이동유닛 하우징(400)을 더 포함한다.
구동유닛(100)은 이동유닛(2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0), 한 쌍의 스프로킷(120) 및 구동력 전달 체인(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감속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10)는 스프로킷에 최초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스프로킷(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하나가 구동모터(1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게 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력 전달 체인(130)에 의해 다른 하나에도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프로킷(120)과 구동모터(110)를 직접 체인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구동모터에 의해 스프로킷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스프로킷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후술하는 이동유닛(200)의 이동속도가 조절될 필요가 있는 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0)와 스프로킷(120) 사이에 감속기(140)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속기(140)는 일측이 구동모터(1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스프로킷(120) 중 하나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10)로부터 스프로킷(120)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 경우, 감속기(140)와 구동모터(110)는 벨트로 연결되어, 구동모터(110)로부터 감속기(140)로 구동력이 전달된다.
그리고 감속기(140)와 스프로킷(120)의 연결을 위해서는 별도의 제2스프로킷(150)이 마련되는데, 하나의 스프로킷(120)의 회전축(122)이 연장되고 이 회전축(122)에 제2스프로킷(150)이 고정되어 양자는 동시에 회전되며, 감속기(140)와 제2스프로킷(150)은 체인(152)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감속기(140)에 의해 체인(152)이 회전되면, 제2스프로킷(150)과 스프로킷(120)이 동시에 회전되게 된다.
구동력 전달 체인(130)은 스프로킷(120) 중 하나가 회전되는 경우 동시에 회전되어 다른 하나도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동유닛(200)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력 전달 체인(130)은 한 쌍의 스프로킷(120)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특히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다수의 돌기(132)를 갖는다. 다수의 돌기(132)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구동유닛(100)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구조물(1) 상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동유닛(200)은 구동유닛(100)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으로 이동되어 피도금물(2)을 이송하게 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유닛(200)은 구동유닛(100)의 구동력 전달 체인(13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구동력 전달 체인(130)이 회전될 때 돌기(132)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된다.
이동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이동유닛 하우징(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유닛(100)이 소정 높이로 마련되는 구조물(1) 상에 설치되고 그 하방에서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이동유닛(200)이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이동유닛 하우징(400)이 필요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 하우징(400)은 이동유닛(200)을 수용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며, 구동유닛(100)의 구동력 전달 체인(13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 하우징(400)은 중공을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면과 하면에 각 개구부(420, 430)가 형성된다.
상면 개구부(420)는 구동유닛(100)의 구동력 전달 체인(130)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동력 전달 체인(130)의 하방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러나 하면 개구부(430)는 이동유닛(200)의 하방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행거유닛(300)의 이동을 위해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하면의 양단은 각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유닛(200)의 롤러(220)의 수용을 위함이다.
참고로, 이동유닛 하우징(400)은 직선형태로 이루어지거나 곡선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 공정(예컨대, 도금공정)에 있어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이동유닛(200)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유닛(200)은 이동체인(210), 롤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체인(210)은 구동유닛(100)의 구동력 전달 체인(130)에 형성되는 돌기(132)로부터 직접적으로 구동력을 전달받는 부분으로서,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상면 개구부(420) 하방에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열된다.
롤러(220)는 이동체인(210)의 양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내측 하면, 즉 하면 개구부(430)의 양 옆에 안착되어, 이동체인(210)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롤러(220)의 상면은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내측 상면에 접촉된다.
또한, 롤러(220)는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내면 일측과 절곡 형성되는 부분 사이에 수용되는데, 그 부분은 롤러(220)의 이동로가 된다.
따라서 구동유닛(100)의 구동력 전달 체인(130)이 회전되면, 구동력 전달 체인(130)의 돌기(132)가 이동유닛(200)의 이동체인(210)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유닛(200)의 롤러(220)가 회전되어 이동유닛(200)이 이동하게 된다.
행거유닛(300)은 이동유닛(200)에 고정되어 이동유닛(200)과 함께 이동되어, 그 하부에 형성된 연결수단(310)에 연결되는 피송물을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행거유닛(300)의 연결수단에 대하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행거유닛(300)의 연결수단(310)으로 걸이부(310)를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행거유닛(300)은 그 상단이 이동유닛(200)의 이동체인(21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행거유닛(300)의 상단이 이동체인(210)의 중앙부 또는 양측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도금물 이송장치에 의해 피도금물이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피도금물 이송장치는 도금공정에 있어서 피도금물을 이송하고자 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먼저, 구동유닛(100)은 소정 높이를 갖도록 마련되는 구조물(1) 상에 설치되고, 구동유닛(100)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이동유닛 하우징(400)이 설치되며, 이동유닛 하우징(400)의 내부에 이동유닛(2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동유닛(200)에 다수의 행거유닛(300)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며, 행거유닛(300)의 걸이부(310)에 피도금물(2)이 걸리게 된다.
구동유닛(100)을 작동시키면 구동력이 이동유닛(200)에 제공된다. 즉, 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키면 구동모터(110)에 의해 구동력이 제공되며 이러한 구동력은 감속기(140)에 의해 조절되어 스프로킷(120) 중 하나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프로킷(120)과 구동력 전달 체인(13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력 전달 체인(130)이 회전되면서 돌기(132)가 이동유닛(200)의 이동체인(210)을 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이동체인(210)은 이동되도록 힘을 받게 되고 롤러(220)가 회전되면서 앞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동유닛(200)의 이동체인(210)이 이동하게 되면 동시에 행거유닛(300)도 이동하게 되므로, 결국 행거유닛(300)에 걸려 있는 피도금물(2)이 이송되는 것이다.
100 : 구동유닛 110 : 구동모터
120 : 스프로킷 130 : 구동력 전달 체인
140 : 감속기 200 : 이동유닛
210 : 이동체인 220 : 롤러
300 : 행거유닛 310 : 걸이부
400 : 이동유닛 하우징 420, 430 : 개구부

Claims (4)

  1. 구동모터와, 하나가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받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로킷 중 하나가 회전되는 경우 동시에 회전되어 다른 하나도 회전되도록 하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부착되는 다수의 돌기를 갖는 구동력 전달 체인을 포함하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구동력 전달 체인의 회전시 상기 돌기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하게 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유닛과 함께 이동되며, 하부에 피도금물 연결수단이 형성되는 행거유닛;을 포함하는 피도금물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일측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스프로킷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스프로킷으로 전달하는 구동력이 조절되도록 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도금물 이송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이 수용되도록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의 하방에 길게 설치되는 내부 공간부를 갖는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구동력 전달 체인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개구부가 형성되는 이동유닛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이동유닛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이동유닛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는 이동체인과, 상기 이동체인의 양측에 축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 전달 체인이 회전될 때 상기 구동력 전달 체인의 돌기로부터 상기 이동유닛의 이동체인에 구동력이 전달되면,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롤러가 회전되어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도금물 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 하우징의 하면은 상기 이동유닛의 롤러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구부의 양단이 각각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도금물 이송장치.
KR1020100089713A 2010-09-13 2010-09-13 피도금물 이송장치 KR201200278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713A KR20120027884A (ko) 2010-09-13 2010-09-13 피도금물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713A KR20120027884A (ko) 2010-09-13 2010-09-13 피도금물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884A true KR20120027884A (ko) 2012-03-22

Family

ID=4613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713A KR20120027884A (ko) 2010-09-13 2010-09-13 피도금물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8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483B1 (ko) * 2018-10-10 2019-03-18 홍승석 도금 및 전후처리 자동화 연결장치
CN112226806A (zh) * 2020-09-29 2021-01-15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往复移动同步水平旋转的镀覆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483B1 (ko) * 2018-10-10 2019-03-18 홍승석 도금 및 전후처리 자동화 연결장치
CN112226806A (zh) * 2020-09-29 2021-01-15 西安微电子技术研究所 一种往复移动同步水平旋转的镀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836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contact lenses through dipping baths
JP6564986B2 (ja) 搬送物排出装置
KR101234593B1 (ko) 와이어 연결형 롤러를 이용한 고성능 세척 유도 이송유닛
TWI722530B (zh) 電鍍用吊架移送裝置
KR101084672B1 (ko) 와이어 연결형 롤러를 이용한 이송유닛
KR20120027884A (ko) 피도금물 이송장치
KR20110045929A (ko) 이송대상체 적재용 트레이 및 이를 이용한 이송유닛
JP2010125421A (ja) ワーク洗浄装置
KR20120114113A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KR100966480B1 (ko) 수직 이송장치
CN204362812U (zh) 电热煎制传送机
JP2008260604A (ja) 基板搬送装置
CN107777266B (zh) 床芯循环输送线
KR100714283B1 (ko) 파이프 이송장치
CN201813796U (zh) 蛋品大小头同向调整装置
JP6296393B2 (ja) ソーセージ懸吊形態整形方法とその装置、及び懸吊ソーセージループ搬送装置
US1650971A (en) Conveyer
KR100982142B1 (ko) 도금장치의 피도금물 캐리어
CN108495475B (zh) 一种pcb板快速烘干装置
JP6586623B1 (ja) ワーク搬送用パレット移送装置
KR100525620B1 (ko) 파레트 순환 작업대
KR20100128484A (ko) 기판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방법
CN207238410U (zh) 一种立式烘烤设备
KR20130003965U (ko) 롤러체인 컨베이어
JP2003061834A (ja) 揚げ煎餅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