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295A -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송신 - Google Patents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송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295A
KR20120027295A KR1020117028884A KR20117028884A KR20120027295A KR 20120027295 A KR20120027295 A KR 20120027295A KR 1020117028884 A KR1020117028884 A KR 1020117028884A KR 20117028884 A KR20117028884 A KR 20117028884A KR 20120027295 A KR20120027295 A KR 20120027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primary
control signal
value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728B1 (ko
Inventor
피터 빈글리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6349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2729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2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 G08C2201/41Remote control of gate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가 동일한 신호-포맷을 가지고 있고 2차 원격 제어 신호가 1차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포함된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그러므로, 디바이스는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송신된 신호들을 엿들을 수 있고,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을 송신한다.

Description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송신{TRANSMITTING SECONDARY REMOTE CONTROL SIGNALS}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원격 컨트롤러 디바이스들은 증폭기의 라우드니스, 또는 램프의 휘도와 같은 디바이스의 설정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것의 하나의 예는 참고문헌 US 7,221,110 B2에 제공된다. 참고문헌은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지능을 갖는 광 컨트롤러들을 포함하는 조명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지능은 동작 동안에 라이팅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그러한 시스템들에서의 문제는, 이들이 원격 컨트롤러들 및 제어가능 디바이스들의 기존의 시스템들로 구현하는 것이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원격 제어 시스템들과 용이하게 기능할 수 있는 개선된 컨트롤러 디바이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원격 컨트롤러들 및 제어가능 디바이스들의 기존의 시스템들에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기존의 시스템들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없는 조명 제어 시스템의 상기 언급된 단점을 완화시키고, 경감시키거나 제거하려는 것이다. 특히, 원격 제어 시스템들의 기존의 시스템들과 기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상기 언급된 문제들을 해결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러한 목적 및 수개의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의 제1 양태에서,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고, 디바이스는
-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
-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 - 2차 값은 1차 값과는 상이함 -, 및
-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출력 -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동일한 신호 포맷을 가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히, 그러나 비배타적으로, 디바이스가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동일한 신호 포맷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므로 기존의 시스템들로 비교적 간단한 구현을 얻는데 유리한데, 이는 디바이스가 원격 컨트롤러들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기존의 시스템에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언하면,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동일한 신호 포맷을 가지고 있으므로, 디바이스는 무선 신호를 엿들을 수 있고, 가능하게는 제어 가능한 디바이스가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원래 송신된 것과는 상이한 제어 파라미터로 제어될 수 있도록 무선 신호의 일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신호-포맷의 2차 원격 제어 신호의 송신으로 인해, 연관된 원격 컨트롤러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기존의 시스템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예로서,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의 기능 이상의 기능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엿듣고, 1차 원격 제어 신호와 유사하거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지만 동일한 신호 포맷을 가지고 있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2차 정보값이 1차 정보값에 기초하는 경우에 2차 값이 1차 값과는 상이할 수 있으므로, 1차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은 동일한 신호 포맷을 가질 수 있지만, 이들 신호들은 유사하거나 동일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즉, 처리 유닛은 1차 값의 함수로서 2차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때로는, 처리유닛이, 2차 원격 제어 신호가 1차 원격 제어 신호와 유사하거나 동일하도록, 1차 값과 동일한 2차 값을 결정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는 1차 정보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처리 유닛은 저장된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메모리 또는 분리된 메모리는 예를 들면 2차 정보값의 추가 처리 또는 장래의 이용을 위해 2차 정보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는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에서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처리 유닛은 1차 제어 신호로부터 수신기 아이덴티티 값을 추출하고 수신기 아이덴티티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또는 분리된 메모리는 송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의 가능한 장점은,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가 송신기-아이덴티티 값을 복제하거나 복사함으로써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송신기를 흉내낼 수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가 특정 송신기-아이덴티티 값을 갖는 송신기들로부터의 원격 제어 신호들만을 수락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유리할 수 있다.
더 추가적으로,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 유닛 및 출력은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2차 정보값과 결합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2차 정보값과 결합하여 송신하므로, 디바이스는 1차 정보값이 의도했던 바와 동일한 제어가능한 수신기에게 2차 정보값을 송신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2차 정보값과 결합하여 송신하는 것은 단지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복제하고 이를 새로운 정보 값과 결합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은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에게 송신될 수 있는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이, 하나 이상의 수신기-아이덴티티들을 이용하여 복수의 지정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에 대해 결정된다. 또한, 가능하게는 어느 디바이스들이 어느 2차 정보값들을 수신해야 하는지를 지정하는 수신기-아이덴티티들을 이용하여, 일 주기에 걸쳐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에게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이 또한 송신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서, 출력은 일 주기에 걸쳐 분산되어 있는,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램프로부터 방출된 광의 컬러가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바와 같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대한 설정이 시간에 따라 결과적으로 변경될 수 있는 경우에, 동적 분위기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는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은 제1 및 제2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을 저장함으로써, 이러한 특정 실시예의 디바이스는 제1 및 제2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들을 서로 다르거나 또는 동일한 2차 정보값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어드레싱할 수 있는데, 이는 복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동적 제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관련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 및 출력은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을 2차 정보값과 결합하여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가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과 연관된 특정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에게 2차 정보값을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또 하나의 관련된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 및 출력은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을, 1차 정보값으로부터 결정된 제1 및 제2의 2차 정보값들과 결합하도록 더 구성된다. 이것은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과 연관된 특정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에게, 서로 다른 제1 및 제2의 2차 정보값들을 각각 송신할 수 있게 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은 디바이스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알고리즘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복수의 항들 또는 조건들을 포함하는 사인 함수 또는 더 복잡한 함수들과 같은 수학적 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알고리즘을 이용하는 것은 본 실시예의 디바이스가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알고리즘은 하나 이상의 2차 정보값들을 랜덤하게 결정하기 위한 랜덤 발생기를 포함한다. 이것은 알고리즘이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는 랜덤한 값들을 입력으로서 취할 수도 있으므로 놀랄만하고 예측할 수 없는 2차 정보값들을 생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은 입력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및 제2의 1차 정보값들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것은 프로세서가, 제1 및 제2의 1차 정보값들의 특정 값들뿐만 아니라 그 차이, 합, 평균 등을 고려함으로써 2차 정보값을 결정하고, 추가적으로 제1 및 제2 정보 값들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의 1차 원격 제어 신호들 각각의 수신 사이의 주기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제1 및 제2의 1차 정보값들은 수신되어, 후속적으로 디바이스에 포함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관련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입력부에 의해 수신된 제1 및 제2의 1차 정보값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할 때, 디바이스로 하여금 2개의 1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수신 사이의 주기 또는 2개의 1차 정보값들 간의 상이함의 정도와 같이, 1차 원격 정보 값들 자체를 넘어, 1차 원격 제어 신호들 내에 수신된 정보를 고려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알고리즘은 1차 정보값들 간의 상이함의 정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결정된 2차 정보값들 중에서 동적인 변동 범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2차 값들은 1차 정보값들의 특정 값들뿐만 아니라 1차 정보값들의 차이, 합, 평균, 표준편차, 등에 기초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1차 정보값들의 수신 시간들이 고려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광의 컬러가 제어될 수 있는 광 컨트롤러의 경우에, '적색' 및 '청색'을 나타내는 1차 정보값들은 적색에서 청색까지의 광의 변동들을 제공하는 넓은 동적 범위를 제공한다. '청색' 및 '옅은 청색'을 나타내는 1차 정보값들은 더 좁은 동적 범위를 제공한다. 2차 값들의 변경 빈도는 '청색' 및 '옅은 청색'을 나타내는 1차 정보값들과 연관된 2개의 연속적인 1차 원격 제어 신호들 사이의 지연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사하게, 2차 정보값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에 있어서, 이러한 메모리 또는 디바이스에 의해 포함된 분리된 메모리는 추가적인 처리 또는 장래의 이용을 위해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서, 처리 유닛은 1차 정보값 및 보조 센서 신호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의 가능한 장점은, 2차 정보값들, 및 이에 따라 가능하게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설정들이 보조 센서 신호에 의해 적절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 보조 센서 신호는 온도, 광, 사운드 또는 주위 조건들과 연관된 다른 인자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운드 레벨의 형태로 된 보조 센서 신호는 광 레벨의 형태로 된 2차 정보값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서, 시스템이 제공되고, 시스템은
-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 및
-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부터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신된 2차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서,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방법은,
- 입력을 통해,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처리 유닛에서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하는 단계 - 2차 값은 1차 값과는 상이함 -, 및
- 출력을 통해,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동일한 신호-포맷을 가지고 있음 -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그러나 비배타적으로는, 방법이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동일한 신호 포맷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규정하고 있는 바, 기존의 시스템들에 대한 비교적 직접적인 구현을 얻는데 유리하고, 이는 디바이스가 원격 컨트롤러들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기존의 시스템으로 통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법은 동일한 신호 포맷의 2차 원격 제어 신호의 송신으로 인해, 연관된 원격 컨트롤러 및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기존의 시스템에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이것은, 하나의 예로서,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설정을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기존의 시스템의 기능 이상의 기능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제2 및 제3 양태는 각각 다른 양태들의 임의의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들은 이하에 기재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하게 되고 이들을 참조하여 명료하게 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은 단지 예로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내부(internal)의 개략적인 예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9는 1차 및 2차 정보값들, 수신기-아이덴티티들 및 송신기-아이덴티티들, 및 1차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개략적인 예시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의 방법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디바이스(104)가 원격 컨트롤러(102)로부터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를 수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으로 송신되고,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는 포맷으로 되어 있다.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무선 주파수(RF) 기술, 적외선(IR) 기술, 및 인터넷 프로토콜(IP) 기술을 포함하여, 무선이거나 케이블들 또는 다른 고체 접속 라인들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원격 제어 기술들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104)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로부터 1차 정보값을 추출하고, 내부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한다. 이것은 2차 정보값의 결정으로 유도하는 1차 값 또는 중간 계산들에 이용되는 값들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출력을 통해,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108)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와 동일한 포맷으로 송신된다. 1차 정보값은 예를 들면 디지털 값으로서, 1차 제어 신호(106)에 내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2차 정보값은 2차 신호에서 디지털 숫자로서 내장될 수 있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는 2차 원격 제어 신호(108)를 수신하여 해석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2차 정보값에 따라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1차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포맷들은 동일하고, 이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해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차 원격 제어 신호도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원격 컨트롤러(102) 및 제어가능 디바이스(110)의 시스템의 하나의 예는 각각이 원격 컨트롤러 및 램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해 구성되고, 여기에서 원격 컨트롤러는 램프의 휘도뿐만 아니라 램프의 컬러를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시스템에서, 디바이스(104)는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고 디바이스(104)뿐만 아니라 램프에 의해 수신가능한, 컬러 "청색"을 나타내는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1차 원격 제어 신호와 동일한 신호 포맷의 2차 원격 제어 신호 내에서 송신된 컬러 "적색"을 나타내는 2차 정보값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는 램프가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 시에, 램프는 광의 컬러를 컬러 '적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이 특정 시스템의 하나의 예를 표현하고 있지만, 원격 컨트롤러들 및 텔레비전들, 라디오들, 증폭기들, 통풍 시스템들, 온도 제어 시스템들, 조명 기구들, 제어가능한 그림 프레임들, 등과 같은 다수의 다른 예들이 가능하다.
도 2는 원격 컨트롤러(102)로부터 수신기-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206)를 수신하는 디바이스(104)를 도시하고 있다. 수신기-아이덴티티는 원격 컨트롤러(102)가 특정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식별할 수 있게 하고, 즉 메시지를 특정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게 송신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어드레스일 수 있다. 수신기-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20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으로 송신되고,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210, 212, 214)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는 포맷을 가지고 있다. 디바이스(104)는 1차 원격 제어 신호(206)로부터 1차 정보값을 추출하고, 내부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출력을 통해, 2차 정보값 및 수신기-아이덴티티를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208)는 1차 원격 제어 신호(206) 및 수신기-아이덴티티의 포맷과 유사한 포맷으로 송신된다. 도시된 예에서, 수신기-아이덴티티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210)의 아이덴티티와 매칭한다. 제어가능한 디바이스(210)는 수신기-아이덴티티를 갖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석할 수 있고, 2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기-아이덴티티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210)의 아이덴티티와 매칭하므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210)는 결과적으로 2차 원격 제어 신호(208)의 2차 정보값에 따라 설정을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212, 214)은 2차 원격 제어 신호(208)의 수신기-아이덴티티와 매칭하지 않는 아이덴티티들을 가지고 있고, 결과적으로 2차 원격 제어 신호(208)의 2차 정보값에 따라 어떠한 설정도 조정하지 않는다. 도시된 개략적인 예시에서, 수신기-아이덴티티는 하나의 단일 디바이스와 매칭하지만, 그러나 수신기 아이덴티티는 특별한 그룹의 디바이스들 또는 특별한 타입의 디바이스들과 같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식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수신기-아이덴티티는 2차 정보값을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와 후속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디바이스(104) 내에 저장될 수 있고, 그리고나서, 2차 정보값이 기반이 되었던 1차 정보값을 포함했던 1차 원격 제어 신호(206)와 함께 수신기-아이덴티티가 수신되지 않았더라도 그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결합은 2차 정보값 이전에 또는 그 이후에 2차 원격 제어 신호(208) 내에 수신기-아이덴티티를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2차 원격 제어 신호(208) 내의 2차 정보값에 수신기-아이덴티티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내장시킴으로써, 다수의 방식들로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원격 컨트롤러(102)로부터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를 수신하는 디바이스(104)를 도시하고 있다.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선으로 송신되고,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에 의해 수신될 수도 있는 포맷을 가지고 있다. 디바이스(104)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로부터 1차 정보값을 추출하고, 내부 프로세서를 활용하여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한다. 디바이스(104)와 연관된 출력을 통해,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308)은 1차 원격 제어 신호(106)의 포맷과 유사한 포맷으로 송신되고, 일 주기에 걸쳐 분산된다. 복수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이 송신되는 그 주기 동안에,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원격 제어 신호들(308) 내에 포함된 2차 정보값들의 각각을 수신하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는 복수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308)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로 수신된 2차 정보값에 따라 설정을 되풀이해서 조정할 수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격 컨트롤러(102)를 통해 설정을 송신하고 후속적으로 디바이스(104)에 종속되어, 일 주기에 걸쳐 복수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308)을 송신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의 설정을 반복해서 변경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의 설정이 분위기에 영향을 주는 경우에 다이나믹한 분위기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제어가능한 디바이스(110)가 예를 들면 램프, 증폭기, 통풍기인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예시된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은 복수의 디바이스들에게 동시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시간상 분산되어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복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을 제어하기 위해, 또는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복수의 수신기-아이덴티티들과 결합함으로써 공간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및 공간 양쪽에서의 변동으로부터 이점이 생기는 파(wave)-유사 효과들 또는 그 외 효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상 또는 시간상으로 분산된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송신하는 결합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도 4는 디바이스(104)의 내부를 도시하고 있다. 디바이스(104)는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402),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원격 제어 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404), 및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108)를 송신하기 위한 출력(406)을 포함한다. 1차 원격 제어 신호(106)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108)는 동일한 신호-포맷을 가지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1차 정보값 및/또는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메모리 유닛(408)을 더 포함한다. 프로세서(404)는 정보, 예를 들면 수신된 수신기-아이덴티티를 메모리 유닛(408)에 저장할 수 있고, 또한 메모리 유닛(408)으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실시예는 보조 센서 신호를 프로세서(404)에 생성하기 위한 보조 센서(410)를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보조 센서 신호는 프로세서에 의해 2차 원격 제어 값을 결정할 때 입력 값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조명 유닛이고, 보조 센서(410)는 휘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는 센서이며, 디바이스(104)의 프로세서(404)는 조명 유닛의 휘도 레벨의 표현인 2차 원격 제어 값을 결정할 때 휘도 레벨을 고려한다. 또 하나의 예에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보조 센서가 라우드니스 레벨을 모니터링하는 마이크로폰인 오디오 시스템이고 배경 라우드니스에 비해 일정 레벨이 되도록 오디오 시스템의 라우드니스를 조정한다. 이러한 예에서, 디바이스는 불리한 피드백 효과들을 피하기 위해 오디오 시스템 자체의 출력을 필터링할 수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예에서, 디바이스(104)는 교차-모달 효과들을 지원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는 조정가능한 광-세기를 갖는 램프인데 대해, 보조 센서(410)는 램프의 광의 세기를 조정하는 2차 정보값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보조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소리의 라우드니스 레벨을 모니터링하는 마이크로폰이다. 이러한 후자의 예는 사운드의 레벨이 광의 레벨에 영향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교차-양상(cross-modal)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르게는, 보조 센서는 램프의 간헐적인 적색광 또는 오디오 시스템의 라우드니스의 감소를 나타내는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할 수 있는, 화재 알람 또는 베이비 모니터와 같은 알람으로부터의 입력이다.
도 5는 프로세서(404)에 의해 수신되는 제1의 1차 정보값 pV1을 도시하고 있고, 제1의 2차 정보값 sV1이 결정된다.
도 6은 프로세서(404)에 의해 수신되는 제1의 1차 정보값 pV1을 도시하고 있고, 제1의 2차 정보값 sV1이 결정된다. 또한,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은 1차 제어 신호 내에 포함되고 제1의 1차 정보값 pV1과 연관된다.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은 동일한 수신기-아이덴티티 sRID1로 복제되거나 복사될 수 있고, 제1의 2차 정보값 sV1을 수신기-아이덴티티 sRID1과 결합한다. 또한,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과 연관된 것 이외의 또 하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도록, 수신된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이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 sRID1과 상이한 예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경우에서와 같이 어떠한 수신기-아이덴티티도 수신되지 않을 수 있지만, 송신되는 경우에 2차 정보값들은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와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된다.
도 6은 pRID1 및 pV1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sRID1 및 sV1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가 동일한 신호-포맷을 가지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정보 값들 pV1, sV1 및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 pRID1 및 pV1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프로토콜 구조는 2차 원격 제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1차 원격 제어 신호와 2차 원격 제어 신호 사이의 동일성은 수신되고 송신되는 신호들, 정보 값들 및 수신기-아이덴티티 값들의 동일한 지속기간들 및 데이터-포맷들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도 7은 프로세서(404)에 의해 수신되는 제1의 1차 정보값 pV1을 도시하고 있고, 제1의 2차 정보값 sV1이 결정된다. 또한, 송신기-아이덴티티 pSID1은 1차 제어 신호 내에 포함되고 제1의 1차 정보값 pV1과 연관된다. 송신기-아이덴티티 pSID1은 동일한 송신기-아이덴티티 sSID1에 복제되거나 복사될 수 있고 제1의 2차 정보값 sV1을 송신기-아이덴티티 sSID1과 결합한다. 송신기-아이덴티티 sSID1을 갖는 원격 제어가 흉내내어질 수 있도록, 수신된 송신기-아이덴티티 pSID1이 저장된 송신기-아이덴티티 sSID1과 상이한 예들을 가질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일부 송신기-아이덴티티와 연관된 원격 제어 신호들만을 수락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경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어떠한 송신기-아이덴티티도 수신되지 않을 수 있지만, 송신되는 경우에 2차 정보값들은 저장된 송신기-아이덴티티와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된다. 2차 정보값을 양쪽 수신기-아이덴티티 및 송신기-아이덴티티 모두와 결합할 가능성이 있고, 그 경우에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2차 정보값, 수신기-아이덴티티 및 송신기-아이덴티티로 구성된다. 수신기-아이덴티티는 수신된 수신기-아이덴티티로부터 복제되거나,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일 수 있다. 유사하게, 송신기-아이덴티티는 수신된 송신기-아이덴티티로부터 복제되거나 저장된 송신기-아이덴티티일 수 있다.
도 8은 프로세서(404)에 의해 수신된 제1의 1차 정보값 pV1, 및 프로세서(404)에 의해 결정되는 제1의 2차 정보값 sV1 내지 n번째 2차 정보값 sVn의 복수의 2차 정보값을 도시하고 있다. 2차 정보값들은 예를 들면 일 주기에 걸쳐 및 상이한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로와 같이, 시간 및 공간에 걸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은 1차 제어 신호에 포함되고, 제1의 1차 정보값 pV1과 연관된다.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은 2차 정보값들 sV1, sV2 내지 sVn과 결합되는 수신기-아이덴티티들 sRID1, sRID2 내지 sRIDn의 각각에 복제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과 연관된 하나 이외의 또 하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가 제어될 수 있거나 복수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이 제어될 수 있도록, 수신된 수신기-아이덴티티 pRID1이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들과 상이한 예들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경우에서와 같이, 어떠한 수신기-아이덴티티도 수신되지 않을 수 있지만, 송신되는 경우에 2차 정보값들은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와 어떤 방식으로든 연관된다.
도 9는 프로세서(404)에 의해 수신되는 복수의 제1의 1차 정보값들 pV1, pV2 내지 pVn을 도시하고 있고, 여기에서 수신기-아이덴티티들 pRID1, pRID2 내지 pRIDn은 각각의 수신기-아이덴티티들 sRID1, sRID2 내지 sRIDn에 복제되거나 복사되어 2차 정보값들과 결합된다. 또한, 프로세서(404)는 보조 센서로부터 입력 A를 수신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것은 프로세서(404)에 의해 결정되는, sV1 내지 n번째 2차 정보값 sVn으로 표현되는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이다. 보조 센서로부터의 입력 A뿐만 아니라 입력 1차 정보값들은 상이한 원격 컨트롤러들로부터 올 수 있고 시간상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이 결정되는 2개의 1차 정보 신호들이 입력되지만, 2차 정보값들이 송신되는 주기 동안에, 보조 센서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입력 값들은 아직 송신되지 않았던 2차 정보값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것은, 결정된 2차 정보값들이 변형되거나, 이들이 폐기되고 가능하게는 새로운 2차 정보값들로 교체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르게는, 2차 정보값들은 순차적으로 결정되고, 예를 들면 2차 정보값들의 세트가 결정되며, 그 결과, 새로운 값이 보조 센서로부터 수신되고, 그리고나서 또 하나의 세트의 2차 정보값들이 결정되며, 그리고나서, 새로운 값이 보조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등이 가능하다.
도 10은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가 단계 1002에서 입력을 통해 수신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하고 있다. 1차 원격 제어 값은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될 수 있고,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의 설정, 예를 들면 램프의 컬러 또는 휘도, 또는 오디오 시스템의 라우드니스를 특정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를 나타내는 1차 정보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1004에서, 하나 이상의 2차 정보값들이 결정되고, 2차 정보값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1차 정보값에 기초하고 있다. 특히, 1차 정보값으로부터의 영향은 2차 정보값 자체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2차 정보값을 명백하게 결정하는 것으로부터 2차 정보값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단지 유발시키는 것까지 가변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1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은 1차 정보값에 의해 명백하게 결정된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의 결정의 측면에서 일부 응답을 트리거링한다. 이러한 예에서, 그 결정은 1차 원격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및/또는 1차 정보값의 특정 값에 좌우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에서,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은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의 결정의 측면에서 일부 응답을 트리거링하지만, 2차 정보값들은 1차 정보값의 특정 값에 좌우되지 않을 수 있다. 2차 정보값들의 결정은 알고리즘, 랜덤 발생기 및 보조 센서와 같은 다양한 입력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1006에서, 2차 정보값들은 출력을 통해 2차 원격 제어 신호들 내에서 송신된다.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은 일 주기에 걸쳐 분산되고 수신기-아이덴티티들과 연관될 수 있다.
요약하면,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2차 원격 제어 신호가 동일한 신호-포맷을 가지고 있고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1차 원격 제어 신호에 의해 포함된 1차 정보값에 기초한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디바이스는 원격 컨트롤러로부터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송신된 신호들을 엿들을 수 있고, 제어가능한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제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려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청구항들에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개별적인 특징들이 상이한 청구항들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들은 유리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이한 청구항들에서의 포함은 특징들의 결합이 실행가능하지 않거나 불리하다는 것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뿐만 아니라, 단수 참조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하나(a, an)", "제1", "제2" 등에 대한 참조들은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청구항들에서 참조부호들은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2차 원격 제어 신호(108)를 송신하기 위한 디바이스(104)로서,
    1차 정보값(pV1)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402);
    상기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pV2)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처리 유닛(404) - 상기 2차 값은 상기 1차 값과는 상이함 -; 및
    상기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상기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110)에 송신하도록 구성된 출력(406) - 상기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동일한 신호 포맷을 가짐 -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408)는 상기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수신기-아이덴티티 값(pRID1)을 저장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4)은 상기 저장된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상기 2차 정보값과 결합(combine)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출력(406)은 상기 결합된 값들을 포함하는 상기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4)은 상기 1차 정보값(pV1)에 기초하여, 복수의 2차 정보값들(sV1 - sVn)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은 일 주기에 걸쳐 분산된, 복수의 2차 정보값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2차 원격 제어 신호들(108, 308)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408)는 상기 1차 원격 제어 신호의 제1 수신기-아이덴티티 값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pRID1, pRID2)을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신기-아이덴티티 값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은 제1 및 제2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들(110)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4)은 상기 제1 수신기-아이덴티티 값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상기 2차 정보값과 결합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출력(406)은 각각의 결합된 값들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들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4)은 상기 제1 수신기-아이덴티티 값 및 제2 수신기-아이덴티티 값을, 상기 1차 정보값으로부터 결정된 제1의 2차 정보값 및 제2의 2차 정보값과 결합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출력(406)은 각각의 결합된 값들을 포함하는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을 상기 제1 및 제2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들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4)은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2차 정보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알고리즘은 상기 하나 이상의 2차 정보값들을 랜덤하게 결정하기 위한 랜덤 발생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6)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수신된 제1의 1차 정보값 및 제2의 1차 정보값(pV1, pV2)에 기초하여 상기 2차 정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6)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수신된 제1의 1차 정보값 및 제2의 1차 정보값(pV1, pV2)에 기초하여 복수의 2차 정보값들(sV1-sVn)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406)은 상기 1차 정보값 및 보조 센서 신호(410)에 기초하여 상기 2차 정보값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4. 시스템(199)으로서,
    제1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104);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상기 수신된 2차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설정을 조정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들(110)
    을 포함하는 시스템.
  15. 2차 원격 제어 신호(108)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입력을 통해, 1차 정보값(pV1)을 포함하는 1차 원격 제어 신호(106)를 수신하는 단계;
    처리 유닛에서, 상기 1차 정보값에 기초하여 2차 정보값(sV1)을 결정하는 단계 - 상기 2차 정보값은 상기 1차 정보값과는 상이함 - ; 및
    출력을 통해, 상기 2차 정보값을 포함하는 상기 2차 원격 제어 신호를 제어가능한 수신기 디바이스(110)에 송신하는 단계 - 상기 1차 원격 제어 신호 및 상기 2차 원격 제어 신호는 동일한 신호 포맷을 가지고 있음 -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28884A 2009-05-05 2010-04-28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송신 KR101701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9434 2009-05-05
EP09159434.1 2009-05-05
PCT/IB2010/051849 WO2010128428A1 (en) 2009-05-05 2010-04-28 Transmitting secondary remote control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295A true KR20120027295A (ko) 2012-03-21
KR101701728B1 KR101701728B1 (ko) 2017-02-23

Family

ID=42634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884A KR101701728B1 (ko) 2009-05-05 2010-04-28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송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07188B2 (ko)
EP (1) EP2427874B1 (ko)
JP (1) JP5818783B2 (ko)
KR (1) KR101701728B1 (ko)
CN (1) CN102422332B (ko)
WO (1) WO20101284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20623B2 (en) * 2012-06-19 2015-04-28 Sono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an infrared signal
JP2014197162A (ja) * 2013-03-07 2014-10-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
CN111028394B (zh) * 2019-12-24 2021-06-25 东风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实现多把汽车遥控钥匙操作的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801A (ja) * 2004-11-24 2006-06-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7324737A (ja) * 2006-05-30 2007-12-13 Funai Electric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295A (en) 1980-02-25 1981-09-17 Toshiba Electric Equip Remote control device
JPH1098780A (ja) * 1996-09-20 1998-04-14 Sony Corp 多機能リモコンリピータ
KR100501404B1 (ko) 1997-01-31 2005-07-18 톰슨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원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7139617B1 (en) 1999-07-14 2006-11-21 Color Kine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ng lighting sequences
JP2003111168A (ja) * 2001-10-02 2003-04-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モコン信号中継装置及びその方法
US7138928B2 (en) * 2003-02-24 2006-11-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ve control of devices with toggle power control
US7126291B2 (en) 2003-11-06 2006-10-24 Lutron Electronics Co., Inc. Radio frequency lighting control system programming device and method
JP2006011930A (ja) * 2004-06-28 2006-01-12 Toshiba Corp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US7221110B2 (en) 2004-12-17 2007-05-22 Bruce Industries, Inc. Light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7324734A (ja) 2006-05-30 2007-12-13 Funai Electric Co Ltd リモコン装置、制御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1532369B1 (ko) * 2006-12-11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원격제어 장치 및 방법
US7573208B2 (en) 2007-03-05 2009-08-11 Lutron Electronics Co., Inc. Method of programming a lighting preset from a radio-frequency remote control
US8339304B2 (en) * 2007-04-13 2012-12-25 Seiko Epson Corporation Remote control signal generation device and remote control system
JP2008283669A (ja) * 2007-04-13 2008-11-20 Seiko Epson Corp 遠隔制御信号生成装置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8801A (ja) * 2004-11-24 2006-06-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赤外線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7324737A (ja) * 2006-05-30 2007-12-13 Funai Electric Co Ltd 遠隔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5216A1 (en) 2012-05-03
EP2427874A1 (en) 2012-03-14
EP2427874B1 (en) 2017-08-23
JP2012526443A (ja) 2012-10-25
JP5818783B2 (ja) 2015-11-18
KR101701728B1 (ko) 2017-02-23
US9007188B2 (en) 2015-04-14
CN102422332B (zh) 2014-08-20
WO2010128428A1 (en) 2010-11-11
CN102422332A (zh)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345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ynchronization of multiple headsets
US9950259B2 (en) Ambient light control and calibration via a console
US11347474B2 (en) Audio apparatus
KR20150096702A (ko) 분산식 지능형 노드 조명 시스템
US201900353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by voice
CN204305260U (zh) 一种视频与无线音箱音频匹配的电视机
KR101701728B1 (ko) 2차 원격 제어 신호들의 송신
KR20110029109A (ko) 광 감지 주변 장치들의 구성을 위한 광 기반 통신
KR20150090221A (ko) 멀티-모드 음향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104898A (ko) 제어 장치에서 음성 입력을 지시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60464A (ko) 오디오 출력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기기
KR20150097992A (ko) 음향조명기기의 밸런스 조절 제어 방법
CN107155141B (zh) 可校准音效的音响灯、音效校准方法及系统
EP3486789A1 (en) Content reproduction device,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tent reproduction device
KR20210092383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10399915A1 (en) Selecting a destination for a sensor signal in dependence on an active light setting
JP2016026434A (ja) オーディオ装置
KR20140089825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오디오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