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375A -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375A
KR20120025375A KR1020110059838A KR20110059838A KR20120025375A KR 20120025375 A KR20120025375 A KR 20120025375A KR 1020110059838 A KR1020110059838 A KR 1020110059838A KR 20110059838 A KR20110059838 A KR 20110059838A KR 20120025375 A KR20120025375 A KR 20120025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papermaking
belt
pap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타마이
유지 코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드
Publication of KR20120025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2Head boxes of Fourdrinier machines
    • D21F1/028Details of the nozzle section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B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0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 D21B1/04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 D21B1/12Fibrous raw materials or their mechanical treatment by dividing raw materials into small particles, e.g. fibres by wet methods, by the use of steam
    • D21B1/30Defibrating by other means
    • D21B1/32Defibrating by other means of wast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6Regulating pulp flow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56Deckle fram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2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Fourdrinier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4Pap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Abstract

[과제] 집기 사이즈의 매우 좁은 고지 처리 공간에 있어서 망상 벨트 상에서 초지되는 습지의 평량이 안정되고 균일한 텍스처의 재생지를 얻을 수 있는 펄프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15)는 주행하는 망상 벨트(105)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펄프 제조부(2)로부터 보내져 오는 펄프 현탁액(PS)을 체류시키는 체류부(113)와, 펄프 현탁액(PS)의 망상 벨트(105) 상면으로의 공급 폭(L)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110)를 구비하고, 초지 프레임체(110)의 선단 부위에 체류부(113)에 체류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를 일정하게 하는 오버플로우부(114)가 설치되어 있다. 체류부(113)에 공급된 펄프 현탁액(PS)은 오버플로우부(114)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H)까지 체류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망상 벨트(105)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된다.

Description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PULP FEEDER FOR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지 재생 장치의 재생지 평활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되어 발생되는 고지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재이용 가능한 종이로 재생 처리하는 집기(什器) 사이즈의 소형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해서 습지로 하는 초지부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펄프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공서나 일반 기업 등의 각종 사업소의 일상 업무는 물론 일반 가정의 일상 생활에 있어서도 사용 완료되거나 불필요하게 된 각종 서류, 소위 고지가 발생되고 있다. 이들 고지는 쓰레기로서 폐기되거나 소각되어서 폐기 처분되게 된다.
한편, 한계가 있는 지구 자원의 유효 이용이라는 기운이 세계적으로 높아지는 중이어서 최근 폐기 처분되어 온 고지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재생 이용하기 위한 기술이 여러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이들 고지 재생 기술은 대부분이 제지 업계에 있어서 채용 실시되고 있고, 그 고지 재생 설비에는 통상의 제지 설비와 같이 재생지의 고속 대량 생산과 고품질화를 목적으로 해서 광대한 부지, 막대한 투자, 및 초지에 사용되는 대량의 물이나 약품 등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고지 재생에 있어서는 많은 사람 손에 의한 고지 회수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이 고지 회수에는 많은 사람에 의한 이물 혼입, 고지 재생지에 대한 지식 부족에 의한 분별 불량, 기피품의 제거 부족 등의 문제가 있어 모처럼 고지를 회수해도 이들 고지를 100% 재생지로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전문 업자에 의한 재차 선별이나 세정 등의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다. 또한, 극비 문서 등의 고지는 기밀상의 문제 때문에 고지 회수에는 간단하게 내놓지 않고 소각 처분되어 버리기 때문에 리사이클화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이들 고지 회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지 발생원에 있어서 자체에서 재생 이용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유효하고, 이 관점으로부터 본 출원인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등에 기재된 바와 같은 고지 재생 장치를 이미 개발해 제안하고 있다.
이 고지 재생 장치는 고지 재생 공장 등의 대규모의 고지 재생 기술을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장치 기술로서 실현한 것으로,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고지를 해리하고 고해해서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와,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해서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부는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보내져 오는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습지로 하는 초지 공정부와, 이 초지 공정부에서 초지 형성된 습지를 건조시켜서 재생지로 하는 건조 공정부를 구비하고, 이들 양쪽 공정부는 상기 고지 펄프를 처리 반송하는 주행 벨트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의 형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지는 상기 펄프 제조부에서 해리?고해되어서 고지 펄프가 되고, 그 후에 이 고지 펄프는 상기 초지부에 있어서의 벨트 컨베이어의 주행 벨트에 의해 반송되면서 여과 탈수, 압착 탈수, 및 가열 건조의 각 공정을 거쳐 재생지가 된다. 이 경우, 상기 펄프화의 단계에서 고지는 섬유 레벨까지 분해되어 거기에 기재된 문자나 선도는 완전히 분해 소멸되어버려 복원 불가능하게 되어 이들 문자나 선도로 구성되는 기밀 정보나 개인 정보의 누설?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07-308837 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특히 상기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부의 초지 공정부의 개시단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로부터 보내져 오는 고지 펄프를 초지 공정부의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 상에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더욱 개량함으로써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의 실내에도 설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라는 매우 좁은 고지 처리 공간에 있어서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에서 초지되는 습지의 평량(坪量)이 안정되고, 나아가서는 균일한 텍스처의 재생지를 얻을 수 있는 펄프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 장치의 펄프 공급부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초지 공정부의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을 체류시키는 체류부를 가짐과 아울러 펄프 현탁액의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으로의 공급 폭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초지 프레임체의 선단 부위에 상기 체류부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하는 오버플로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체류부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까지 체류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이하의 구성이 채용된다.
(1) 상기 초지 프레임체는 그 프레임 내 폭 치수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의 폭 치수로 설정되어서 상기 펄프 현탁액의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으로의 공급 폭을 규정한다.
(2)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은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선단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체류부의 양측벽에 설치되고, 초지 프레임체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펄프 현탁액을 오버플로우시키는 오버플로우 게이트와, 이 오버플로우 게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초지 프레임체 주위를 통해서 회수구로 통하는 회수로를 구비한다.
(3) 상기 오버플로우 게이트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가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수평 직선 형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4)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저부에 상기 망상 벨트의 메시를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평판 부재가 설치되고, 이 평판 부재와 상기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에 의하여 상기 체류부의 저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체류부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까지 체류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된다.
(5)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 부재의 선단 가장자리에 상기 망상 벨트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가 설치되어 있다.
(6)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체류부의 상류측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의 균등한 분산을 재촉함과 아울러 펄프 현탁액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구부러진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7) 상기 구부러진 유통로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펄프 현탁액의 공급구와 상기 체류부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8) 상기 구부러진 유통로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펄프 현탁액의 공급구와 상기 체류부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9) 상기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칸막이 부재를 구비한다.
(10)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하면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루버(louver) 구조로 되어 있다.
(11) 상기 무단 망상 벨트는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를 구성하고,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 장치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 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 장치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해서 습지로 하는 초지 공정부를 구비하고, 이 초지 공정부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초지 컨베이어와, 이 초지 컨베이어의 초지 공정 개시단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펄프 제조 장치로부터의 상기 펄프 현탁액을 상기 초지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를 구비하고, 이 펄프 공급부는 상기 펄프 공급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지 재생 장치는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고지를 해리하고 고해해서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와,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해서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부는 상기 초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펄프 공급 장치에 의하면 초지 공정부의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을 체류시키는 체류부와, 펄프 현탁액의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으로의 공급 폭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이 초지 프레임체의 선단 부위에 상기 체류부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하는 오버플로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체류부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까지 체류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초지 프레임체 내에 보내지는 펄프 현탁액의 공급수 양에 변동이 생겨도 초지 프레임체 내에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의 수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 결과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에 초지되는 습지의 평량이 안정되고 나아가서는 균일한 텍스처의 재생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펄프 공급 장치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초지 장치에 있어서는 큰 사업소 등 뿐만 아니라 소규모 점포나 일반 가정 등에도 설치 가능함과 아울러 환경에 우수하고 또한 러닝 코스트도 낮출 수 있고, 또한 기밀 정보나 개인 정보 등 각종 정보의 누설?유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높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는 고지 재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인 고지 재생 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동 고지 재생 장치의 전체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동 고지 재생 장치의 고해부의 고지 펄프 순환 경로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동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동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부의 전체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동 초지부에 있어서의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마찬가지로 동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마찬가지로 동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7의 Ⅷ-Ⅷ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마찬가지로 동 펄프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7의 Ⅸ-Ⅸ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마찬가지로 동 밸브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동 고지 재생 장치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부재 또는 요소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고지 재생 장치가 도 1?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이 고지 재생 장치(1)는 구체적으로는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되어 발생되는 고지(UP)를 폐기 처분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재이용 가능한 종이로 재생 처리하는 장치로서, 고지(UP)로서는 관공서?일반 기업의 기밀 문서나 일반 가정의 사적 문서 등이며, 사용 완료되거나 불필요하게 된 서류가 해당된다.
고지 재생 장치(1)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집기 사이즈, 즉 사무소 내에 배치 사용되는 책장, 록커, 사무 책상, 복사기, PC 등의 집기류와 동등한 소형 형상 치수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펄프 제조부(2), 펄프 농도 조정부(3), 초지부(초지 장치)(4), 및 장치 제어부(제어부)(5)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초지부(4)는 본 발명에 의한 특징 구성인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15)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이들 장치 구성부(2?5)는 장치 케이스(6) 내에 장치 수용되어서 이루어지는 콤팩트 설계로 되어 있다. 이 장치 케이스(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집기 사이즈의 것으로 구체적인 형상 치수는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장치 케이스(6)는 사무소 등에 배치 사용되는 복사기 정도의 형상 치수를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체로 되고, 장치 케이스(6)의 천판부에는 고지(UP)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7)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측부에는 재생지(RP, RP, …)를 배출하는 배출구(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배출구(8)의 하부 가장자리 부위에는 배출구(8)로부터 배출되는 재생지(RP, RP, …)를 수취하기 위한 재생지 수취 트레이(9)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펄프 제조부(2)는 고지(UP)를 해리하고 고해해서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공정 부위이며, 고지(UP)를 교반 파쇄해서 해리하는 해리부(20)와, 이 해리부(20)에서 해리된 고지(UP)를 고해하는 고해부(21)로 이루어진다.
해리부(20)는 고지(UP)를 교반 파쇄해서 해리하는 공정 부위이며 해리조(25), 교반 장치(26), 및 급수 장치(27)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해리조(25)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천장벽에 고지(UP)를 투입 공급하는 상기 투입구(7)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저부벽에 해리된 고지 펄프(UPP)를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구(28)가 형성되어 있다. 해리조(25)의 내용적은 한번에 교반 처리해야 할 고지(UP)의 매수에 따라 설정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98리터의 물을 첨가해서 A4판의 PPC(plain paper copier) 고지(UP)를 500장 정도(약 2000g) 한번에 교반 처리(배치 처리)할 수 있는 용적을 갖는 해리조(25)로 되어 있다. 이 경우의 해리되는 고지 펄프(UPP)의 농도는 2% 정도가 된다. 또한, 이 농도 조정은 급수 장치(27)로부터의 급수에 의해 행해지고, 이 급수 장치(27)는 후술하는 펄프 농도 조정부(3)의 일부가 된다.
상기 투입구(7)는 장치 케이스(6)의 케이스 커버(6a)의 외부에 대해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배출구(28)는 개폐 밸브(29)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되어 후술하는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28)의 부위에는 고지(UP, UP, …)를 철하고 있었던 클립, 스테이플러심 등의 바인딩 도구 등, 다음 공정의 고해 공정에 있어서 장해가 되는 각종 금기품을 제거하기 위한 금기품 필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개폐 밸브(29)는 구체적으로는 구동 모터(35)에 의해 크랭크 기구(36)가 크랭크 동작함으로써 개폐 동작된다. 상기 구동 모터(35)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 모터(35)가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교반 장치(26)는 상기 해리조(25)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교반 임펠러(40) 및 구동 모터(41)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 임펠러(40)는 그 회전축(40a)이 해리조(25)의 저면 중앙 위치에 기립 형상으로 회전 지지되어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40a)의 하단이 전동 풀리(42a), 전동 벨트(42b), 및 전동 풀리(42c)로 이루어지는 전동 수단(42)을 통해서 구동 모터(41)의 회전축(41a)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급수 장치(27)는 상기 해리조(25)에 물(W)을 공급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펄프 농도 조정부(3)의 고해 농도 조정부(3A)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급수 장치(27)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백수 회수조(45), 고해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46), 및 초지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47)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백수 회수조(4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초지부(4)에 있어서 여과 탈수되는 백수(W)(초지할 때에 초지 망에 의해 여과된 극히 저농도의 펄프수)를 회수하는 것이며, 이 백수 회수조(45)에 회수된 백수(W)가 상기 급수 펌프(46)에 의해 상기 해리조(25)에, 또한 상기 급수 펌프(47)에 의해 후술하는 농도 조정조(85)에 각각 공급된다.
또한, 이것에 관련해서 해리조(25)의 저부에는 중량 센서(48)가 설치되어 해리조(25) 내에서 한번에 배치 처리되는 고지(UP, UP, …)와 물의 양을 계측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중량 센서(48)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중량 센서(48)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해리조(25)의 중량과 이 해리조(25) 내에 투입 공급된 고지(UP, UP, …) 및 물의 중량의 합계 중량을 감지 계측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해리부(20)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제어 구성은, 우선 작업자에 의해 투입구(7)가 개방되어 해리조(25)에 고지(UP, UP, …)가 투입되면 그 중량이 상기 중량 센서(48)에 의해 감지 계측되어서 소정 중량(매수)으로 된 시점에서 작업자에게 소리 및/또는 표시에 의해 통지된다. 이 표시에 따라 작업자가 투입구(7)를 폐쇄하면 상기 급수 장치(27)가 구동되어서 급수 펌프(46)에 의해 백수 회수조(45)의 물(W)이 상기 투입된 고지(UP, UP)의 중량(매수)에 대응하는 양만큼 해리조(25)에 공급된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투입구(7)로부터 해리조(25)에 임의의 양[상기 소정 중량(매수)보다 적은 양]의 고지(UP, UP, …)를 투입한 후에 투입구(7)를 폐쇄했을 경우에도 그 중량이 상기 중량 센서(48)에 의해 감지 계측됨과 아울러 상기 급수 장치(27)가 구동되어서 급수 펌프(46)에 의해 상기 계측 결과에 따른 양의 물(W)이 백수 회수조(45)로부터 해리조(25)에 공급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대 500장 정도(약 2000g)의 A4판의 PPC 고지(UP)가 해리조(25) 내에 투입되면 그 시점에서 작업자에게 소리 및/또는 표시에 의해 통지되고, 상기 투입구(7)의 폐쇄 동작에 의해 약 98리터의 물이 급수 장치(27)에 의해 첨가되거나, 또는 임의의 양[상기 소정 중량(매수)보다 적은 양]의 고지(UP, UP, …)를 투입했을 경우에도 이 고지 투입량에 대응한 양의 물이 급수 장치(27)에 의해 첨가되어서 해리되는 고지 펄프(UPP)의 농도가 2% 정도가 되도록 제어 조정된다.
그리고, 교반 장치(26)에 있어서 장치 케이스(6)의 투입 개구, 즉 투입구(7)로부터 해리조(25) 내에 투입된 고지(UP, UP, …)는 구동 모터(41)에 의한 교반 임펠러(40)의 정전?역전 동작에 의해 급수 장치(27)로부터 공급된 물 속에서 소정 시간[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0분?20분간]만큼 교반 혼합되고, 이에 따라 고지(UP, UP, …)는 해리?고해되어서 고지 펄프(UPP)가 된다.
또한, 상기 해리조(25)의 배출구(28)는 해리부(20)의 운전시에는 상기 개폐 밸브(29)에 의해 폐쇄되어서 해리조(25)로부터의 고지(UP)나 고지 펄프(UPP)의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로의 유입이 저지되는 한편, 후술하는 고해부(21)의 운전시에는 개폐 밸브(29)에 의해 배출구(28)가 개구되어서 해리조(25)로부터의 고지 펄프(UPP)의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로의 유입 및 순환 회류가 허용된다.
고해부(21)는 상기 해리부(20)에서 해리된 고지(UP)를 고해하는 공정 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리부(20)에서 해리된 고지(UP)를 가압 고해함과 아울러 고지(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각종 인쇄 기술에 의해 고지(UP) 상에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한 인쇄 잉크, 또는 연필, 볼펜 또는 만년필 등의 필기구에 의해 고지(UP) 상에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한 잉크 등이 포함됨]를 마쇄 미세화(마이크로 화이버화)하는 것이다.
이 고해부(21)는 마쇄기(50)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 마쇄기(5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을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은 고해 작용면(51a, 52a)을 미소한 고해 간극(G)을 두고 동심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 52a)의 고해 간극(G)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해 공정의 초기용 마쇄기(50)로부터 종기용 마쇄기(50)를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고해부(21)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대의 마쇄기(50)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가 형성되고, 이에 따라 고지 펄프(UP)가 마쇄기(50)를 통해서 소정 시간 순환되면서 고해 처리되는 순환식으로 되어 있다.
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의한 고해 공정의 실시에 의해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6) 내라고 하는 작고 좁은 공정 공간에도 불구하고 기본적으로 길이에 제한이 없는 무한 길이의 고지 펄프 고해 공정 경로가 형성되게 되고, 대규모 장치에 있어서의 고해 공정에 필적하는 고해 공정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목적에 따라 최적의 고해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1대의 마쇄기(50)가 고해 공정의 전체 공정을 통해서 고해 처리를 행하는 것에 관련해서 이 1대의 마쇄기(50)가 고해 공정의 초기용 마쇄기로부터 종기용 마쇄기까지의 복수대의 마쇄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 52a)의 고해 간극(G)이 고해 공정의 초기부터 종기를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어 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마쇄기(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케이스(6)를 구성하는 장치 기체(54)에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고,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리부(20)의 해리조(25)에 연통 가능한 고해조(55)와, 이 고해조(55) 내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과, 이들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을 상대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회전 구동원(56)과,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의 고해 간극(G)을 조정하는 간극 조정 수단(57)을 구비한다.
고해조(55)는 상기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을 수납 가능한 밀폐형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류측으로부터의 고지 펄프(UPP)를 공급하는 공급구(55a) 및 고해된 고지 펄프(UPP)를 하류측으로 배출하는 배출구(55b)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공급구(55a)는 고해조(55)의 저부 중앙부에 상하 방향을 향해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55b)는 고해조(55)의 원통 측부에 수평 방향을 향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공급구(55a) 및 배출구(55b)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순환용 배관(49a, 49b)을 통해서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에 연통 가능하게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배출구(55b)는 또한 배출용 배관(59)을 통해서 고지 펄프 회수조(60)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61은 방향 전환 밸브를 나타내고 있고, 이 방향 전환 밸브(61)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배출구(55b)로부터 배출되는 고지 펄프(UPP)는 선택적으로 상기 해리조(25)로 환류되거나 또는 고지 펄프 회수조(60)로 회수된다. 방향 전환 밸브(61)는 구체적으로는 전자 밸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은 그 한쪽이 회전 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설치된 고정측 고해 원반으로 됨과 아울러 다른쪽이 회전 가능한 회전측 고해 원반으로 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측의 고해 원반(51)이 회전측으로 됨과 아울러 하측의 고해 원반(52)이 고정측으로 되어 있고, 이 하측의 고정측 고해 원반(52)에 대해서 상측의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미소한 고해 간극(G)을 두고 동심상으로 또한 회전 가능하게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측 고해 원반(51)은 장치 기체(54)의 고정측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회전 주축(64)을 통해서 구동 모터(5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 주축(64)은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간극 조정 수단(57)의 승강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고, 그 선단부에 상기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동심상으로 또한 일체적으로 장착됨과 아울러 그 기단부가 상기 구동 모터(56)의 회전축에 회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또한 축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동 연결되어 있다.
회전 구동원인 상기 구동 모터(56)는 상기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을 상대적으로 회전 동작시키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원인 구동 모터(56)가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미소한 고해 간극(G)을 형성하는 양쪽 고해 원반(51, 52)의 대향면(51a, 52a)끼리는 협동해서 고해 작용면을 형성한다. 이들 대향하는 고해 작용면(51a, 52a)은 다수의 지립(砥粒)이 결합재가 의해 결합되어서 이루어지는 숫돌면의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쪽 고해 작용면(51a, 52a)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직경 치수가 서로의 대향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커지는 테이퍼면 형상으로 되어 최외주 가장자리부가 서로 평행한 환상 평탄면으로 되고, 이들 환상 평탄면이 상기 고해 간극(G)을 형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에 있어서 고정측 고해 원반(52)의 고해 작용면(52a)의 중심 부위에 상기 고해조의 공급구(55a)에 동축상으로 연통하는 입구(70)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의 고해 작용면(51a, 52a)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형성되는 2개의 환상 평탄면이 상기 고해조(55)의 배출구(55b)에 연통되고 또한 상기 고해 간극(G)을 갖는 출구(7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회전측 고해 원반(51)의 외주에는 복수의 블레이드(72, 72, …)가 둘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이들 블레이드(72, 72, …)는 회전측 고해 원반(5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출구(71)로부터 배출되는 고지 펄프(UPP)를 원심력에 의해 상기 고해조(55)의 배출구(55b)를 향해서 압출하는 펌프 작용을 한다.
그리고, 구동원인 구동 모터(56)에 의해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고정측 고해 원반(52)에 대해서 회전 구동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로부터 고해조(55)의 공급구(55a), 입구(70)를 통해서 고해 공간(B)에 공급되는 고지 펄프(UPP)는 상기 입구(70)로부터 고해 공간(B)에 유입되서 이 고해 공간(B)을 통과하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고해 작용면(51a, 52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을 받게 됨과 아울러 고지(UP)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가 마쇄 미세화되고, 이 후 상기 출구(71)로부터 고해조(55)의 배출구(55b)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 출구(71)로부터 배출될 때 고지 펄프(UPP)는 상기 고해 간극(G)을 갖는 출구(71)의 부위에서 가압 고해 작용을 더 받아서 이 고해 간극(G)에 의해 규정되는 소정의 마이크로 사이즈까지 미세화(마이크로 화이버화)되게 된다.
이 점에 관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1대의 마쇄기(50)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순환식 고해 공정(도 3 참조)이 채용되는 것에 관련해서, 즉 상기 1대의 마쇄기(50)가 고해 공정의 초기용 마쇄기로부터 종기용 마쇄기까지의 복수대의 마쇄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는 것에 관련해서 이 마쇄기(50)의 고해 간극(G)이 간극 조정 수단(57)에 의해 고해 공정의 초기부터 종기를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어 조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간극 조정 수단(57)은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한 쌍의 고해 원반(51, 52)을 회전 축선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이들 고해 원반(51, 52)의 고해 간극(G)을 제어 조정하는 구성으로 되고, 회전측 고해 원반(51)을 회전 축선 방향, 즉 회전 주축(64)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도시 생략)과, 이 이동 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원(66)을 주요부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동원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가 사용되고, 이 구동 모터(66)가 상기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동 모터(6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 수단을 통해서 상기 회전 주축(64)이 승강 동작하고, 이에 따라 회전 주축(64)과 일체인 회전측 고해 원반(51)이 고정측 고해 원반(52)에 대해서 상하 방향, 즉 회전 축선 방향으로 이동해서 양쪽 고해 원반(51, 52)의 고해 간극(G)이 제어 조정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상기 회전측 고해 원반(51)의 승강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되고, 이 위치 검출 센서의 검출 결과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66)가 구동 제어된다. 상기 위치 검출 센서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간극 조정 수단(57)에 의한 고해 원반(51, 52)의 고해 간극(G)의 제어 조정은 도 3에 도시되는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있어서의 순환식 고해 공정에 있어서 순환 수단인 순환 펌프(69)와 서로 연동해서 행하여진다.
즉, 도 3에 있어서 해리부(20)에 의해 해리 처리된 고지 펄프(UPP)는 상기 순환 펌프(69)에 의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서 순환되면서 상기 마쇄기(50)에 의한 고해 공정이 실행되고, 이 때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 52a)의 고해 간극(G)은 간극 조정 수단(57)에 의해 고해 공정의 초기부터 종기를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1대의 마쇄기(50)가 배치됨과 아울러 이 마쇄기(50)의 고해 간극(G)이 고해 공정의 초기로부터 종기를 향해서 서서히 좁아지도록 제어 조정되는 순환식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집기 사이즈라는 대단히 좁은 공정 공간에 있어서도 고지 펄프(UPP)는 서서히 고해 간극(G)이 좁아지는 마쇄기(50)의 고해 작용면(51a, 52a)에 의한 가압 고해 작용 및 잉크 마쇄 미세화 작용을 순차적으로 수회 반복해서 받아서, 고해 또한 잉크 마쇄 미세화가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를 순환하는 고지 펄프(UPP) 전체에 균일하게 실시된다. 이 결과, 후술하는 초지부(4)에서 초지 재생되는 재생지(RP)에 있어서의 최적인 지력 강도가 확보됨과 아울러 백색도가 높은 재생지(RP)를 얻을 수 있다[탈묵과 동등한 효과가 얻어짐].
또한, 상기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상기 해리부(20)의 해리조(25)가 포함되어 있는 것에 관련해서 상기 고해 공정에 있어서 상기 해리부(20)의 교반 장치(26)가 구동 제어되어 해리부(20)가 고해부(21)와 동시에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순환식 고해 공정에 있어서는 해리조(25)로부터 고지 펄프 순환 경로(49)에 고지 펄프(UPP)가 유출되는 한편, 마쇄기(50)에 의한 고해를 거친 고지 펄프(UPP)가 해리조(25)에 유입되게 되고, 해리조(25) 내에서는 고해도가 다른 고지 펄프(UPP)가 혼재되기 때문에 교반 장치(26)에 의한 교반 작용에 의해 해리조(25) 내의 고지 펄프(UPP)의 고해도가 균일화되어 고해 처리의 촉진화가 도모된다.
상기 고지 펄프 회수조(60)는 고해부(21)에 의해 소정 사이즈까지 고해 미세화된 고지 펄프(UPP)를 회수하는 부위이고, 여기에 회수된 고지 펄프(UPP)는 다음 공정의 초지 공정을 행하는 초지부(4)로 이송되기 전에 펄프 농도 조정부(3)에 의해 재생해야 할 재생지(RP)의 완성된 페이퍼 품질(finished paper quality)에 대응된 초지 농도로 혼합 조정된 펄프 현탁액(PS)으로 된다.
상기 펄프 농도 조정부(3)는 장치에 투입되는 고지(UP)와 물(W)의 혼합 비율을 중량 측정에 의해 조정해서 상기 초지부(4)에 공급되는 고지 펄프(UPP)의 농도를 조정하는 중량식의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해 농도 조정부(3A), 초지 농도 조정부(3B), 및 펄프 농도 제어부(3C)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고해 농도 조정부(3A)는 펄프 제조부(2)에 있어서의 고지 펄프(UPP)의 고해 농도를 고해부(21)에 의한 고해 효율에 대응해서 조정하는 것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급수 장치(27)의 고해 농도 조정용 급수 펌프(46)와 고해 농도 제어부(75)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고해 농도 조정부(3A)의 급수 펌프(46)에 의한 백수(W)의 공급량은, 예를 들면 상기 교반 장치(26)에 의해 해리?고해된 고지 펄프(UPP)의 고해 농도가 다음 공정인 고해 공정을 실행하는 고해부(21)의 마쇄기(50)의 고해 능력에 허용되는 최대 농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2% 정도의 고해 농도가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고해 농도 제어부(7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 센서(48)로부터의 계측 결과에 따라 해리조(25)에 필요량의 물(W)을 공급하도록 상기 급수 펌프(46)를 구동 제어한다. 이 고해 농도 제어부(7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치 제어부(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초지 농도 조정부(3B)는 초지부(4)에 있어서의 고지 펄프(UPP)의 초지 농도를 재생해야 할 재생지(RP)의 완성된 페이퍼 품질에 대응된 적정 농도로 조정하는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의 농도를 구분 형식으로 조정하는 구성으로 되고, 구분 추출부(80), 현탁액 조제부(81), 및 초지 농도 제어부(82)를 주요부로서 구비한다.
구분 추출부(80)는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의 전량으로부터 소정의 적은 분량만큼 구분 추출하는 것이며, 고지 펄프 회수조(60)의 고지 펄프(UPP)를 추출해서 농도 조정조(85)로 이송하는 구분 추출용 고지 펄프 공급 펌프(86)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현탁액 조제부(81)는 상기 구분 추출부(80)에 의해 구분 추출된 소정의 적은 분량의 고지 펄프(UPP)에 대해서 농도 조정용 물(W)을 소정량만큼 가수함으로써 소정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을 조제하는 것이며, 상술한 급수 장치(27)의 급수 펌프(47)를 주요부로서 구비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농도 조정조(85)의 저부에는 상술한 해리조(2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중량 센서(87)가 설치되어 있고, 농도 조정조(85) 내에 공급되는 고지 펄프(UPP)와 농도 조정용 물(W)의 양을 계측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중량 센서(87)는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초지 농도 제어부(82)는 상기 구분 추출부(80) 및 현탁액 조제부(81)를 연동해서 제어하는 것으로 장치 제어부(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이하의 초지 농도 조정 공정을 실행하도록 상기 구분 추출부(80) 및 현탁액 조제부(81)의 펌프(86, 47)를 연동해서 제어한다.
즉, 우선 상기 고해부(21)로부터 고지 펄프 회수조(60)에 회수되는 고지 펄프(UPP)의 전량[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2000g의 고지(UP)+1001의 물(W)]으로부터 고지 펄프 공급 펌프(86)에 의해 소정 분량(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1)의 고지 펄프(UPP)가 구분되어 농도 조정조(85)로 이송 수용된다. 그러면, 그 중량이 상기 중량 센서(87)에 의해 감지 계측되어 그 결과가 장치 제어부(5)로 전송된다.
이어서, 이 구분된 고지 펄프(UPP)의 소정 분량에 대응해서 급수 펌프(47)에 의해 백수 회수조(45)로부터 농도 조정조(85)로 희석용 물(W)이 소정량[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91(실제로는 상기 중량 센서(87)의 중량 계측에 의함)]만큼 급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농도 조정조(85) 내에 있어서 고해 농도(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의 고지 펄프(UPP)가 물(W)과 혼합 희석되어 소정 농도[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0.2% 농도(목표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이 혼합 조제된다.
또한, 이 조제되어야 할 펄프 현탁액(PS)의 목표 농도는 미리 행한 실험 데이터에 의거하여 후술하는 초지부(4)에 있어서의 초지 능력을 고려해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약 0.2% 농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렇게 농도 조정조(85)에서 목표 농도의 초지 농도(0.2%)로 조제된 펄프 현탁액(PS)은 제 1 현탁액 공급 펌프(88)에 의해 농도 조정조(85)로부터 펄프 공급조(89)로 이송 공급되어 다음 공정의 초지부(4)를 위해 대기(待機) 저류된다. 이후, 이 초지 농도 조정 공정은 고지 펄프 회수조(60)의 고지 펄프(UPP)의 전량에 대해서 마찬가지로 반복 실행된다. 상기 펄프 공급조(89)에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부(4)의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로 보내기 위한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펄프 공급조(89) 내에는 교반 장치(91)가 설치되어 있고, 이 교반 장치(87)의 교반 작용에 의해 대기 저장되는 펄프 현탁액(PS) 전체의 초지 농도가 일정값으로 균일화되어서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초지 농도 조정부(3)에 의한 농도 조정이 전량 일괄식이 아니라 구분 형식, 즉 조금씩 배출하는 형식으로 행하여짐으로써 사용 물량이 대폭 감소될 뿐만 아니라 농도 조정조(85)의 형상 치수의 대폭적인 축소화도 가능하게 되고, 또한 고지 재생 장치(1) 전체의 콤팩트화가 도모될 수 있다.
펄프 농도 제어부(3C)는 상기 고해 농도 조정부(3A) 및 초지 농도 조정부(3B)를 연동해서 구동 제어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고해 농도 조정부(3A)의 고해 농도 제어부(75)로부터의 펄프 농도 제어 정보[고지(UP)의 투입량, 해리조(25)로의 급수량, 고지 펄프(UPP)의 고해 농도 등]를 수신하고, 이 제어 정보에 따라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의 농도를 목표값(초지 농도)로 하기 위한 초지 농도 제어 정보[고지 펄프(UPP)의 목표 초지 농도, 고지 펄프 회수조(60)로부터의 고지 펄프(UPP)의 구분 추출량, 농도 조정조(85)로의 급수량 등]를 초지 농도 조정부(3B)의 초지 농도 제어부(82)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상술한 초지 농도 조정 공정을 실행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초지부(4)는 이전 공정인 상기 펄프 제조부(2)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UPP)를 초지해서 재생지(RP)를 제조하는 공정 부위이며,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초지 공정부)(95), 탈수 롤부(96),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에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특징 구성인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는 상기 펄프 제조부(2)의 펄프 공급조(89)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W)과 고지 펄프(UPP)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해서 습지로 하는 초지 공정부로서 기능하는 부위이고, 초지 네트 컨베이어(초지 컨베이어)(100)와 상기 펄프 공급부(15)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초지 네트 컨베이어(100)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것이며, 상기 펄프 현탁액(PS)을 여과 탈수하는 무수한 메시로 이루어지는 초지 망 구조의 망상 벨트(105)가 그 주행 방향을 향해서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초지 네트 컨베이어(100)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하면서 반송 주행하는 무단 벨트의 형태로 된 상기 망상 벨트(무단 망상 벨트)(105)와, 이 망상 벨트(10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 모터(106)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망상 벨트(105)를 구성하는 초지 망 구조의 판재는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초지 망 구조의 무수한 메시에 의해 적정하게 여과 탈수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일반적으로 「나일론」(등록상표)이라 부름] 또는 스테인레스강(SUS) 등의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PET제 망상 벨트(105)로 되어 있다.
또한, 망상 벨트(105)를 구성하는 초지 망 구조는 메시가 미세한 것이나 짜임이 미세하고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대상이 되는 종이의 특성에 대응해서 선택되지만, 예를 들면 이하의 점이 고려된다.
(1) 망상 벨트(105)의 메시의 크기:
망상 벨트(105)의 메시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25메시?80메시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50메시의 망상 벨트(105)가 채용되어 있다.
(2) 망상 벨트(105)의 메시의 선직경:
망상 벨트(105)의 메시는 메시수(크기)뿐만 아니라 망의 선직경도 크게 영향을 준다. 같은 메시수이어도 선직경이 굵으면 메시의 크기가 작아지고, 가늘면 커지고, 이것은 메시의 공간율 또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정도의 통기도(㎤/㎠/sec)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메시가 미세해서 통기도가 나빠지면 여수(濾水)율도 나빠지고, 그 결과 후술하는 펄프 공급부(15)의 형상 치수가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으로 길게 되어서 장치의 대형화를 초래한다. 또한 반대로, 메시가 거칠어서 통기도가 지나치게 좋으면 상기 펄프 공급부(15)는 짧고 장치도 소형으로 되지만 재생되는 재생지(RP)는 올이 거친 지질로 되고, 표리면의 평활도의 차도 커지게 되어 평활도가 나쁜 종이가 된다.
이상을 포함시킨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해서 망상 벨트(105)로서는 초지시에 고지 펄프(UPP)가 망상 벨트(105)의 메시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망의 선직경이 미세해서 메시수가 많고 또한 통기도를 떨어뜨리지 않는 메시 구조의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된 실시형태의 망상 벨트(105)로서는 평직이고, 50메시의 PET제 망상 벨트(105)가 사용되고 있다. 이 망상 벨트(105)에 의하면 필기에 문제 없는 양호한 지질이 얻어지는 것이 실험적으로 판명되고 있다.
또한, 망상 벨트(105)의 폭 치수는 펄프 현탁액(PS)을 초지해서 제조해야 할 재생지(RP)의 폭 치수(L)보다 약간 큰 소정 폭 치수로 설정된다.
망상 벨트(105)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107), 탈수 롤부(96), 종동 롤러(108), 및 지지 롤러(109)를 통해서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107)를 통해서 상기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망상 벨트(105)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 길이는 상기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6) 내에 있어서의 망상 벨트(105)의 상측 주행 방향 길이[도시된 경우에는 도 1에 있어서의 펄프 공급부(15)로부터 탈수 롤부(96)까지의 좌우 방향 길이]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속도는 초지 공정에 있어서의 여러가지 조건을 고려해서 설정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0.1m/분?1m/분으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0.2m/분으로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종래의 고지 재생 공장 등의 대규모 공장에서의 이러한 종류의 초지 벨트의 주행 속도는 적어도 100m/분 이상으로 설정되고, 빠른 것에서는 1000m/분을 훨씬 상회하는 속도로 설정된다.
망상 벨트(105)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또한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한정된 설치 공간에 있어서의 초지 공정 길이의 가급적 연장이 도모됨과 아울러 망상 벨트(105)의 초지 망 구조와의 관계에서의 여과 탈수율의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상기 망상 벨트(10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 모터(106)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이며 장치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구동 모터(106)는 후술하는 탈수 롤부(96)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주행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된다.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15)는 상기 망상 벨트(105) 상에 상기 펄프 제조부(2)로부터의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부위이며,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100)의 초지 공정 개시단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이 펄프 공급부(15)에 의해 펄프 현탁액(PS)이 상기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펄프 공급부(15)의 구체적 구조가 도 6?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즉, 이 펄프 공급부(15)에 있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 망상 벨트(105)의 상하 양측 위치에 초지 프레임체(110) 및 칸막이 부재(111)가 각각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초지 프레임체(110)는 망상 벨트(105)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펄프 제조부(2)로부터 보내져 오는 펄프 현탁액(PS)의 망상 벨트(105) 상면으로의 공급 폭(L)을 규정하는 것으로, 본체 프레임(112), 체류부(113), 오버플로우부(오버플로우 수단)(114), 및 유통로(115)를 주요부로서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본체 프레임(112)은 선단부, 즉 망상 벨트(105)의 주행 방향측 단부가 개방된 평면 대략 コ자형 형상으로 되고, 그 하단면(112a)이 경사 주행하는 상기 망상 벨트(105)의 상면(10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본체 프레임(112)의 프레임 내 폭 치수, 즉 상기 초지 프레임체(110)의 프레임 내 폭 치수(L)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RP)의 폭 치수에 대응해서 설정되어 상기 펄프 현탁액(PS)의 상기 망상 벨트(105)의 상면(105a)으로의 공급 폭(L)을 규정한다(도 6, 도 7, 및 도 10 참조).
체류부(113)는 펄프 제조부(2)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W)과 고지 펄프(UPP)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PS)을 체류시키는 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 프레임(112)의 저부에 평판 부재(300)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메시를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형태로 설치되고, 이 평판 부재(300)와 주행하는 망상 벨트(105)에 의하여 상기 체류부(113)의 저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것에 관련해서 상기 평판 부재(300)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기 망상 벨트(105)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PS)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301)가 설치되어 있다.
오버플로우부(오버플로우 수단)(114)는 상기 체류부(113)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PS)의 수위를 일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초지 프레임체(110)의 선단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 오버플로우부(114)는 구체적으로는 오버플로우 게이트(302)와 회수로(303)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체류부(11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오버플로우 게이트(302)는 상기 본체 프레임(112)의 선단 부위에 있어서의 체류부(113)의 양측벽을 구성하는 내벽(304)에 설치되고, 체류부(113)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펄프 현탁액(PS)을 오버플로우시킨다. 또한, 상기 내벽(304)은 상술한 저면부를 형성하는 평판 부재(300)와 주행하는 망상 벨트(105)에 의하여 상기 체류부(11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오버플로우 게이트(302)의 상부 가장자리(302a)는 초지 프레임체(110)가 망상 벨트(105) 상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수평 직선 형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 오버플로우 게이트(302)의 상부 가장자리(302a)의 높이 위치는 망상 벨트(105) 상에 초지되는 습지(RPo) 또한 재생지(RP)의 평량(坪量)을 소망의 값으로 안정되게 유지하기 위해 망상 벨트(105)의 상술한 여러가지 조건에 대응해서 설정된다.
즉, 상기 망상 벨트(105) 상에 초지되는 습지(RPo)의 평량을 안정되게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110)의 체류부(113)에 있어서의 펄프 현탁액(PS)의 체류 작용이 중요한 요소이며, 이 체류 작용은 체류부(113)에 있어서의 펄프 현탁액(PS)의 수량(水量)(체류 수량)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이 펄프 현탁액(PS)의 수량, 즉 수위(H)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펄프 공급부(15)에 있어서는 상기 오버플로우 게이트(302, 302)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체류부(113)에 있어서의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가 소정값으로 안정되게 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버플로우 게이트(302)가 상기 본체 프레임(112)의 선단 부위에 있어서의 체류부(113)의 양측벽(304, 304), 즉 펄프 현탁액(PS)의 여수 초지 작용을 행하는 망상 벨트(105)에 근접해서 설치됨으로써 펄프 현탁액(PS)의 수량, 즉 수위(H)를 고정밀도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망상 벨트(105) 상에 초지되는 습지(RPo)의 평량을 항상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회수로(303)는 오버플로우 게이트(302)로부터 오버플로우한 펄프 현탁액(PS)을 회수하는 통로이며, 오버플로우 게이트(302)의 외측으로부터 본체 프레임(112)의 주위를 통해서 회수구(303a)로 통하고 있다.
오버플로우 게이트(302)로부터 오버플로우한 펄프 현탁액(PS)은 이 회수로(303)에 흘러내려 회수됨과 아울러 상기 회수구(303a)로부터 상기 펄프 공급조(89)로 회수되어 재이용된다.
유통로(115)는 상기 체류부(113)에 공급되는 펄프 현탁액(PS)의 균등한 분산을 재촉함과 아울러 펄프 현탁액(PS)의 흐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부러진 유통로의 형태로 되고, 상기 체류부(113)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통로(115)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110)의 펄프 현탁액(PS)의 공급구(115a)와 상기 체류부(113)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유통로(115)는 본체 프레임(112) 내에 설치된 복수의 칸막이판(305, 305, …)으로 주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본체 프레임(112)의 공급부(306) 내에 설치된 칸막이판(305a), 본체 프레임(112)의 저면을 형성하는 상기 평판 부재(300)의 후방부(칸막이판)(305b)와, 본체 프레임(112) 내에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칸막이판(305c)으로 상기 유통로(115)가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유통로(115)의 진행 방향은 그 입구, 즉 상기 공급부(306)의 저부에 개설된 상기 공급구(115a)로부터 칸막이판(305a)을 우회해서 상방향을 향하고, 또한 칸막이판(305b)을 우회해서 칸막이판(305c)의 하측에 개설된 출구(115b)를 향해서 연장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 참조). 상기 공급구(115a)는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펄프 공급조(89)에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12) 내에 기립 형상으로 설치된 상기 칸막이판(305c)의 상단 가장자리는 평판 부재(116) 상에 흘러서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 즉 오버플로우 게이트(302)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H)보다 하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유통로(115)를 형성하는 상기 칸막이판(305a, 305b, 305c)과 본체 프레임(112)의 조립 구조는 별개 독립하여 형성된 칸막이판(305a, 305b, 305c)을 본체 프레임(112)에 일체적으로 접속 조립되는 이외에 사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제 등 일체 성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될 경우에는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칸막이 부재(111)는 복수개의 골조 부재(111a, 111a, …)로 이루어지는 배수 가능한 루버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망상 벨트(105)의 하면 전체 폭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형상 치수를 갖는다.
이것에 관련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110)의 평판 부재(116)의 선단 가장자리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망상 벨트(105)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PS)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30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 시트(88)의 선단 가장자리(88a)는 상기 칸막이 부재(111)의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빔, 즉 상기 골조 부재(111a, 111a, …)의 하나에 대응한 위치에 설정되고, 구체적으로는 이 빔(111a)에 의해 지지되는 망상 벨트(105)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펄프 공급부(15)에 있어서의 펄프 현탁액(PS)의 유통 경로 구조에 있어서의 작용 효과는 이하와 같이 추측된다.
(i) 유통로(115)의 구부러진 경로:
칸막이판[305(305a, 305b, 305c)]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굽은 유통로(115)는 구부러져서 길고, 펄프 현탁액(PS)이 이러한 유통로(115)를 통과함으로써 균등하게 분산됨과 아울러 펄프 현탁액(PS)의 흐트러짐이 유효하게 방지된다.
(ⅱ) 오버플로우 게이트(302):
오버플로우 게이트(302, 30)의 존재에 의해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보내지는 펄프 현탁액(PS)의 공급량에 변동이 생겨도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 결과 망상 벨트(105) 상에 초지되는 습지(RPo)의 평량(종이 두께)을 안정시킬 수 있다.
즉, 초지 공정에 있어서 평량(종이 두께)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펄프 현탁액(PS)의 망상 벨트(105) 상으로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90)에 의한 공급량 조정에서는 펌프 회전=펄프 현탁액(PS)의 공급량이 아니기 때문에 평량의 변동이 크다.
이에 대해서,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가 일정하면 펄프 현탁액(PS)의 공급 수량도 일정해지는 것에 착안하여 초지 프레임체(110)의 선단부로부터 펄프 현탁액(PS)을 오버플로우시켜서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를 일정하게 한다. 이에 따라,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90) 토출량에 변동이 있어도 수위는 일정해지기 때문에 안정된 평량이 얻어진다. 또한, 정밀한 펌프 제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ⅲ) 평판 부재(300)의 선단 가장자리가 얇은 안내 시트(301):
안내 시트(301)의 선단 가장자리(301a)가 칸막이 부재(111)의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골조 부재(111a)에 의해 지지되는 망상 벨트(105)의 상면 부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망상 벨트(105)의 네트에 의한 균일한 여수(濾水)가 확보된다.
칸막이 부재(111)의 골조 부재(111a, 111a) 사이에 있으면 펄프 현탁액(PS)은 망상 벨트(105)의 초지 망 구조로부터 여수될 때에 종동 롤러(108)의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흐르는 경향이 있고, 이 때문에 메시에 의한 균일한 여수가 곤란하고, 국소적으로 불균일한 여수 개소가 나타나버린다. 이와 같이, 여수가 불균일할 경우 재생지(RP)의 바탕에 세로의 줄무늬 형상을 생기게 해버린다.
이에 대해서,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이 안내 시트(301)의 선단 가장자리(301a)가 칸막이 부재(111)의 루버 구조를 형성하는 골조 부재(111a)의 상면 위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이 유효하게 회피된다.
상기 펄프 공급부(15)의 상류측에는 이 펄프 공급부(15)에 펄프 현탁액(PS)을 공급하는 상기 펄프 공급조(8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펄프 공급조(89)에 저장되는 펄프 현탁액(PS)이 제 2 현탁액 공급 펌프(90)에 의해 상기 공급구(115a)로부터 초지 프레임체(110) 내의 유통로(115)에 공급되면 이 구부러진 유통로(115)를 도 8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천히 통과한 후에 출구(115b)로부터 체류부(113)로 흘러서 상기 오버플로우 게이트(302, 302)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H)까지 체류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서 주행하는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된다.
한편, 오버플로우 게이트(302)로부터 오버플로우해서 회수로(303)에 흘러내려 회수된 펄프 현탁액(PS)은 상기와 같이 펄프 공급조(89)로 회수된다.
이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된 펄프 현탁액(PS)은 망상 벨트(105)의 화살표 방향으로의 주행 작용에 의해 망상 벨트(105)와 함께 반송되면서 망상 벨트(105)의 메시에 의한 자중 여과 작용을 받아서 탈수되어 습지(RPo)(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함수율 90?85%)가 된다.
망상 벨트(105)에 의해 여과 탈수된 백수(W)(초지할 때에 초지 망에 의해 여과된 극 저농도의 펄프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급수 장치(27)의 백수 회수조(45)에 회수된다.
탈수 롤부(96)는 상술한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와 후술되는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를 압착 탈수하는 부위를 구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류측의 상기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의 후술하는 평활면 벨트(145)와 상류측의 상기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의 망상 벨트(105)가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에 적층 형상으로 배치됨과 아울러 이들 평활면 벨트(145)와 망상 벨트(105)의 상하 인접 부분이 상기 연계부로 되고, 이 연계부에 있어서 상기 탈수 롤부(96)가 이들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협압(挾壓)상으로 롤링 압착해서 탈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탈수 롤부(96)는 적어도 예비 탈수 롤부(96A) 및 본 탈수 롤부(96B)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시된 탈수 롤부(96)는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비 탈수 롤부(96A), 본 탈수 롤부(96B), 및 보조 수단으로서의 각도 규정 롤부(96C)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예비 탈수 롤부(96A)는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를 예비적으로 압착 탈수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하측으로부터 롤링하는 예비 탈수 롤(120)과, 이 예비 탈수 롤(120)에 대해서 상기 평활면 벨트(145)를 상측으로부터 롤링 가압하는 예비 프레스 롤(121)로 이루어지는 예비 압착 롤 쌍(122)을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예비 탈수 롤(120) 및 예비 프레스 롤(121)로 이루어지는 예비 압착 롤 쌍(122)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는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예비 압력을 받아서 협압상으로 롤링 압착되어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예비적으로 탈수 제거된다.
이 경우의 예비 압력, 즉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를 예비적으로 압착 탈수하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의 예비 압착력은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습지(RPo)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비 탈수 후의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의 함수율이 80?75%의 범위로 되도록 상기 예비 압착력이 설정되어 있다.
본 탈수 롤부(96B)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서 예비 탈수된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를 본 압착 탈수해서 소정의 함수율의 건지(재생지)(RP)로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하측으로부터 롤링하는 본 탈수 롤(125)과, 이 본 탈수 롤(125)에 대해서 상기 평활면 벨트(145)를 상측으로부터 롤링 가압하는 본 프레스 롤(126)로 이루어지는 본 압착 롤 쌍(127)의 세트를 적어도 1세트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들 본 탈수 롤(125) 및 본 프레스 롤(126)로 이루어지는 본 압착 롤 쌍(127)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본 압력으로 협압상으로 롤링 압착되어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최종적으로 탈수 제거되어 소정 함수율의 건지, 즉 재생지(RP)로 된다.
이 경우의 본 압력, 즉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를 본 압착 탈수하는 상기 본 탈수 롤부(96B)의 본 압착력은 예비 탈수된 습지(RPo)에 대해서 확실히 소정의 탈수 효과가 얻어질 정도의 크기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 탈수 후의 망상 벨트(105) 상의 건지(재생지)(RP)의 함수율이 70?65%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된다.
이들 탈수 롤부(96)에 있어서의 롤(120, 121, 125, 126)은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기어 기구로 이루어지는 구동 연결 수단에 의해 단일의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 모든 롤(120, 121, 125, 126)이 서로 연동해서 회전 구동된다.
이 경우, 이들 롤(120, 121, 125, 126)은 그 외주면 사이에 있어서 협압상으로 롤링 압착되는 망상 벨트(105), 평활면 벨트(145)의 접촉면[망상 벨트(105)의 하면 및 평활면 벨트(145)의 상면]에 대해서 상하의 롤(120, 125)의 외주면과 롤(121, 126)의 외주면이 서로 약간의 회전 속도차를 갖고 각각 롤링 접촉하도록 회전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의 예비 및 본 프레스 롤(121, 126)의 회전 속도가 하측의 예비 및 본 탈수 롤(120, 125)의 회전 속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속도가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속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o)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하면으로 전사 이전될 때에 습지(RPo)에 텐션이 가해져 습지(RPo)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한다.
각도 규정 롤부(각도 규정 수단)(96C)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 및 본 탈수 롤부(96B)에 의한 압착 탈수 작용을 보조해서 유효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예비 탈수 롤부(96A)로 삽입되는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 사이의 경사 각도를 규정한다.
각도 규정 롤부(96C)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 삽입되는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 사이의 경사 각도를 규정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기 망상 벨트(105)에 하측으로부터 롤링해서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망상 벨트(105)의 삽입 각도를 규정하는 망상 벨트 안내 롤(130)과, 상기 평활면 벨트(145)에 상측으로부터 롤링해서 상기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평활면 벨트(145)의 삽입 각도를 규정하는 평활면 벨트 안내 롤(131)을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망상 벨트 안내 롤(130)에 의해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망상 벨트(105)의 삽입 각도가 규정됨과 아울러 상기 평활면 벨트 안내 롤(131)에 의해 예비 탈수 롤부(96A)에 대한 평활면 벨트(145)의 삽입 각도가 규정됨으로써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가 간접적으로 소정의 범위 내로 설정되게 된다.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는 예비 탈수 롤부(96A)에 의한 예비 탈수 작용에 의해 습지(RPo)에 함유되는 수분이 예비 탈수 롤부(96A)의 상류측에 다량으로 짜내어진 결과, 이 짜내어진 다량의 수분이 습지(RPo)에 재흡수되어 습지(RPo)가 다시 슬러리화되버리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도록 설정된다.
즉, 예비 탈수 롤부(96A)의 예비 탈수 롤(120)과 예비 프레스 롤(121)에 의해 상면에 습지(RPo)를 적재한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협압상으로 롤링 압착되면 습지(RPo)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은 양쪽 롤(120, 121)의 상류측으로 짜내어진다.
이 경우,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α)가 크다고 하면 양쪽 롤(120, 121)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는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에 대해서 이격된 상태에 있고, 이 때문에 짜내어진 상기 습지(RPo)에 함유되어 있는 다량의 수분의 일부가 습지(RPo)에 다시 흡수되어 습지(RPo)가 다시 슬러리화되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α)가 작다고 하면 양쪽 롤(120, 121)의 상류측 근방 위치에 있어서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에 압박된 상태가 되고, 이 때문에 상기 습지(RPo)로부터 짜내어진 수분의 전부가 상기 망상 벨트(105)를 통해서 하측으로 낙하해서 습지(RPo)에 재흡수될 일이 없어 습지(RPo)의 재슬러리화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망상 벨트(105)와 평활면 벨트(145)가 이루는 경사 각도(α)는 각종 시험의 결과, 바람직하게는 1?20°로 설정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7°로 설정되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5°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106)의 구동에 의해 탈수 롤부(96)에 있어서의 예비 탈수 롤부(96A) 및 본 탈수 롤부(96B)의 각 롤(120, 121, 125, 126)이 회전해서, 우선 예비 탈수 롤부(96A)에 있어서의 예비 압착 롤 쌍(122)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예비 압력으로 협압상으로 롤링 압착되어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예비적으로 탈수 제거된다[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습지(RPo)의 함수율은 90?85%로부터 80?75%로 감소함].
이어서, 본 탈수 롤부(96B)에 있어서의 본 압착 롤 쌍(127)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및 평활면 벨트(145)가 상하 양측으로부터 소정의 본 압력으로 협압상으로 롤링 압착되어 상기 망상 벨트(105) 상의 습지(RPo)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최종적으로 탈수 제거되어 소정 함수율의 건지, 즉 재생지(RP)로 된다[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함수율 80?75%의 습지(RPo)가 함수율 70?65%의 건지(RP)가 됨]. 이 일련의 공정에 의해 습지(RPo)로부터 압착 탈수된 백수(W)는 급수 장치(27)의 백수 회수조(45)에 회수된다.
상기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o)는 탈수 롤부(96)의 하류측 부위에 있어서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하면에 전사 이전되어 평활면 벨트(145)와 함께 반송되어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에 의한 건조 공정이 실시된다.
또한, 상기 이전 작용은 평활면 벨트(145)의 평활면 구조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표면이 미세한 연속 기공이 다수 개구되어서 이루어지는 미세 요철면인 것에 대해서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표면이 구멍이 없는 평활면이며, 이 결과 약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습지(RPo)가 상기 평활면 벨트(145)의 표면과의 사이의 표면 장력에 의해 흡착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는 상기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에서 초지 형성된 후, 탈수 롤부(96)에서 압착 탈수된 건지(RP)를 더 가열 건조시켜서 재생지(RP)로 하는 부위이고, 건조 컨베이어(170), 가열 건조부(171), 및 상기 재생지 평활화 처리부(재생지 평활화 장치, 재생지 평활화 처리 수단)(10)를 주요부로 해서 구성되어 있다.
건조 컨베이어(170)는 탈수 롤부(96)에서 압착 탈수된 습지(RPo)를 평활하게 하면서 반송하는 것으로, 상기 평활면 벨트(145)와 이 평활면 벨트(145)를 주행 구동하는 상기 구동 모터(106)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평활면 벨트(145)는 습지(RPo)를 가열 건조시키면서 반송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정 폭을 갖는 평활면 구조의 판재가 소정 길이의 환상으로 접속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무단 벨트이다. 평활면 구조의 판재는 습지(RPo)의 한쪽 표면을 적정한 평활면으로 마무리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가열 건조부(171)에 의한 가열 작용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불소 수지, 스테인레스강 등의 가요성 내열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불소 수지제 벨트가 채용되어 있다.
이 평활면 벨트(145)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 롤러(176), 종동 롤러(177), 탈수 롤부(96) 및 종동 롤러(178)를 통해서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176)를 통해서 상기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평활면 벨트(145)를 주행 구동하는 구동 모터(10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100) 및 탈수 롤부(96)의 주행 구동원으로서 공용된다.
가열 건조부(171)는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100)의 망상 벨트(105)로부터 평활면 벨트(145) 상에 전사 이전되어서 반송되는 습지(RPo)를 가열 건조하는 부위이며, 구체적으로는 습지(RPo)의 하측면을 반송 지지하는 상기 평활면 벨트(145)가 그 주행 경로 도중 개소에 배치된 가열 히터(180)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가열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가열 히터(180)는 평활면 벨트(145)에 있어서의 습지(RPo)의 반송 지지면과 반대측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히터 플레이트의 형태로 됨과 아울러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주행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평활면 벨트(145)에 있어서의 상기 습지(RPo)의 유지면인 상면과 반대측 면, 즉 하면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o)는 상기 히터 플레이트(180)에 의해 가열된 평활면 벨트(145)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 건조되게 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가열 히터(180)의 구체적 구조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재생지 평활화 처리부(10)로서의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재생지 평활화 처리부(10)는 상기 평활면 벨트(145)와, 이 평활면 벨트(145)를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지지해서 평활면 벨트(145)를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방으로 만곡시킨 상태에서 주행 안내하는 벨트 안내부(벨트 안내 수단)(200)를 주요부로서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벨트 안내부(200)로서 상기 가열 히터(180)가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벨트 안내부(200)는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방으로 만곡 형성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수평 직선 형상의 윤곽을 갖는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그 구성 재료는 평활면 벨트(145)를 하측으로부터 슬라이딩 지지하는 강도와 내마모성을 가짐과 아울러 히터 플레이트 기재로서 전열성이 우수한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도시된 실시형태의 벨트 안내부(200)는 스테인레스강(SUS)판으로 구성됨과 아울러 상기 장치 기체(54)에 지지 기판(201, 201)에 의해 장착 지지되고, 그 상면이 상기 만곡 안내면(200a)으로 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벨트 안내부(200)의 하면(200b)에는 박판 형상의, 소위 면 형상 히터가 일체적으로 부착 배치되어 히터 플레이트의 형태로 된 상기 가열 히터(180)가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벨트 안내부(200)의 만곡 안내면(200a)에 대해서 상기 평활면 벨트(145)가 소정의 텐션을 갖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평활면 벨트(145)는 상기 벨트 안내부(200)의 만곡 안내면(200a) 상을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방으로 만곡한 상태에서 주행하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의 재생지 평활화 처리부(10)는 상기 구성에 추가해서 평활면 벨트(145)에 의해 반송되는 습지(RPo) 전체를 상측으로부터 균일한 압력을 가지고 압박하는 압박부(250)를 구비한다.
이 압박부(250)는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피복 벨트 컨베이어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피복 벨트 컨베이어(250)는 평활면 벨트(145)와 포개어져 합쳐진 상태에서 동일 수평 방향으로 주행하는 배치 구성으로 된 피복 벨트(251)와, 이 피복 벨트(251)를 주행 구동하는 상기 구동 모터(106)를 구비해서 이루어진다. 이 구동 모터(106)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초지 네트 컨베이어(100) 및 탈수 롤부(96)의 구동원으로서도 공용되고 있다.
상기 피복 벨트(251)는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o) 전체를 평활면 벨트(145)와의 사이에 협지 상태로 또한 밀착 상태로 피복해서 주행하는 무단 벨트의 형태로 하고, 그 하면 즉 습지(RPo) 전체를 평활면 벨트(145)와의 사이에 피복하는 쪽의 면이 상기 평활면 벨트(145)의 상면과 협동해서 상기 습지(RPo) 전체를 평활화 처리하는 평탄한 평활화 작용면을 형성하고 있다. 망상 벨트(251)의 습지(RPo)[재생지(RP)]에 대한 피복 범위는 상기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경로에 있어서 상기 벨트 안내부(200)[즉, 히터 플레이트(180)]와 거의 대향하는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피복 벨트(251)는 구체적으로는 망상 벨트로 형성되어 있고, 습지(RPo)로부터 가열 증발하는 수증기를 통기 해방할 수 있는 무수한 메시로 이루어지는 통기 망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망상 벨트(251)를 구성하는 통기 망 구조의 판재는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o)로부터 가열 증발하는 수분을 무수한 메시에 의해 상측으로 원활하게 통과 해방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적합하게는 상술한 초지부(4)의 망상 벨트(105)와 마찬가지의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미드(PA)[일반적으로 「나일론」(등록 상표)이라 부름] 또는 스테인레스강(SUS) 등의 내부식성이 우수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PET제 망상 벨트(251)로 되어 있다.
또한, 망상 벨트(251)를 구성하는 통기 망 구조는 메시가 미세한 것이나 짜임이 미세하고 평활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술한 초지부(4)의 망상 벨트(105)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대상이 되는 종이의 특성에 대응해서 선택된다.
망상 벨트(251)는 가열 건조시의 고열에 대한 내열성과, 습지(RPo)로부터 가열 증발하는 수증기를 통기할 수 있는 통기도를 갖는 한 초지부(4)의 중핵을 이루는 망상 벨트(105)만큼의 엄격한 설계 조건을 요구하지 않지만 도시된 실시형태의 망상 벨트(251)로서는 평직이고 25메시의 PET제 망상 벨트가 사용되어 있다.
또한, 망상 벨트(251)의 폭 치수는 평활면 벨트(145)와 겹쳐서 그 사이에 습지(RPo)를 샌드위치 형상으로 협지하도록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활면 벨트(145)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망상 벨트(251)는 구동 롤러(255) 및 종동 롤러(256)를 통해서 회전 주행 가능하게 현가 지지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 롤러(255)가 상기 구동 모터(106)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망상 벨트(251)는 벨트 안내부(200)의 만곡 안내면(200a)에 대해서 상기 평활면 벨트(145)를 통해서 소정의 텐션을 갖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망상 벨트(251)는 평활면 벨트(145)와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벨트 안내부(200)의 만곡 안내면(200a) 상을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방으로 만곡한 상태에서 주행하게 된다[도 9 및 도 10(a) 참조].
또한, 이러한 망상 벨트(251)의 배치 구성에 의해 피복 벨트(251)는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o)를 상기 피복 범위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압력을 가지고 압박하고, 습지(RPo)[재생지(RP)]에 휘어짐이나 주름이 생기지 않고, 평활면 벨트(145)의 표면에 접촉하는 습지(RPo)[재생지(RP)]의 한쪽 표면과 반대측 표면을 적정한 평활면으로 마무리한다.
그리고, 탈수 롤부(96)에 의해 압착 탈수된 습지(RPo)가 하측의 망상 벨트(105)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하면으로 전사 이전된 후 평활면 벨트(145)가 롤러(178, 176)를 통해서 반전되어서 주행하고, 이 평활면 벨트(145)에 의해 반송되는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o)는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동작과 상기 벨트 안내부[200(180)]에 의한 평활면 벨트(145)의 만곡 형상에 의해 반송 주행 방향으로 균일하게 텐션을 줌과 아울러 상측으로부터 피복 벨트 컨베이어(250)의 망상 벨트(251)에 의해 피복되는 것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상하로부터 균일한 압력으로 샌드위치 형상으로 협지되면서 가열 건조 처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전 공정의 초지 공정에서 습지(RPo)에 생긴 주름이나 휘어짐이 유효하게 소실 제거됨과 아울러 히터 플레이트(180)에 의한 가열 건조 작용에 의한 습지의 주름이나 휘어짐의 발생도 유효하게 방지되고, 또한 상측의 망상 벨트(251)의 적절한 통기도를 얻어 습지(RPo) 일면이 균일하게 건조되고, 이 결과 습지(RPo)는 전체로서 평활한 재생지(건지)(RP)로 재생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습지(RPo)[재생지(RP)]는 반송 주행 방향으로 균일하게 주어지는 텐션과, 상기 평활면 벨트(145) 및 피복 벨트(251)에 의한 소정 압력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에 의한 협동 작용에 의해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 건조 처리되는 결과, 이전 공정의 초지 공정에서 습지(RPo)에 생긴 주름이나 휘어짐이 더욱 유효하게 소실 제거됨과 아울러 히터 플레이트(180)에 의한 가열 건조 작용에 의한 습지(RPo)[재생지(RP)]의 주름이나 휘어짐의 발생도 더욱 유효하게 방지되고, 그 결과 집기 사이즈라는 매우 좁은 고지 처리 공간에 있어서 주름이 없는 평활한 재생지(RP)를 확실히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복 벨트 컨베이어(250)의 피복 벨트(251)가 상기 평활면 벨트(145) 상의 습지(RPo)로부터 가열 증발하는 수분을 상측으로 통과 해방할 수 있는 무수한 메시로 이루어지는 망상 벨트로 형성됨으로써 피복 벨트(251)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습지(RPo)의 가열에 의한 발생 증기가 효율적으로 상승하여 흩어져 없어져서 건조 처리가 원활하게 촉진될 수 있다.
상기 평활면 벨트(145)에 있어서의 상기 가열 건조부(171)의 하류측에는 박리 부재(210)가 설치되어 있고, 평활면 벨트(145) 상에서 건조 처리되어서 반송되는 건지, 즉 재생지(RP)(함수율 10?7%)를 평활면 벨트(145)의 유지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박리한다.
이것에 관련해서 이 박리 부재(210)의 하류측의 평활면 벨트(145)의 주행 경로 종단 위치에는 고정 사이즈 커터부(211)가 설치되어 있고 평활면 벨트(145)로부터 박리된 재생지(RP)는 여기서 소정 형상(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A4판의 형상 치수)으로 절단되어 장치 케이스(6)의 배출구(8)로부터 배출된다.
장치 제어부(5)는 상술한 펄프 제조부(2), 펄프 농도 조정부(3), 및 초지부(4)의 각 구동부의 동작을 서로 연동해서 자동 제어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CPU, ROM, RAM, 및 I/0 포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치 제어부(5)에는 펄프 제조부(2)의 펄프 제조 공정, 농도 조정부(3)의 농도 조정 공정, 및 초지부(4)의 초지 공정을 서로 연동해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 갖추어짐과 아울러 상기 각 구성부[2(20, 21), 3(3A, 3B), 4(95, 96, 97)]의 구동에 필요한 여러가지의 정보, 예를 들면 해리부(20)에 있어서의 교반 장치(26)의 구동 시간 및 회전 속도, 급수 장치(27)의 급수 타이밍 및 급수량, 고해부(21)에 있어서의 순환 펌프(69)의 구동 시간 및 순환량, 마쇄기(50)의 구동 시간 및 회전 속도, 및 간극 조정 수단(57)의 조정 타이밍 및 고해 간극(G) 조정량, 그리고 초지부(4)에 있어서의 컨베이어(100, 170)의 주행 속도, 가열 건조부(171)의 구동 시간, 및 고정 사이즈 커터부(211)의 동작 타이밍 등이 미리 데이터로서 또는 키보드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적으로 입력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치 제어부(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량 센서(48, 87) 및 각 구동부(35, 41, 56, 61, 66, 10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장치 제어부(5)는 이들 각종 실측값 및 제어 데이터에 따라 상기 각 구동부(35, 41, 56, 61, 66, 106)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지 재생 장치(1)는 전원 투입에 의해 기동해서 장치 제어부(5)에 의해 각 구성부[2(20, 21), 3(3A, 3B), 4(95, 96, 97)]가 서로 관련해서 자동 제어되고, 이에 따라 장치 케이스(6)의 투입구(7)에 투입된 고지(UP, UP, …)는 펄프 제조부(2)의 해리부(20) 및 고해부(21)에 의해 해리?고해 처리되어 고지 펄프(UPP)가 제조되고, 또한 펄프 농도 조정부(3)에서 초지 농도의 펄프 현탁액(PS)이 조제된 후 이 펄프 현탁액(PS)이 초지부(4)의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95), 탈수 롤부(96), 및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97)에 의해 초지되어 재생지(RP)로서 재생되어 장치 케이스(6)의 배출구(8)로부터 재생지 수취 트레이(9)에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고지 재생 장치(1)에 있어서 초지부(4)의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15)는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초지 공정부)(95)의 주행하는 망상 벨트(105)의 상면(105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펄프 제조부(2)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W)과 고지 펄프(UP)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PS)을 체류시키는 체류부(113)와, 펄프 현탁액(PS)의 상기 망상 벨트(105) 상면으로의 공급 폭(L)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110)를 구비하고, 이 초지 프레임체(110)의 선단 부위에 상기 체류부(113)에 체류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를 일정하게 하는 오버플로우부(114)가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PS)은 상기 체류부(113)에 상기 오버플로우부(114)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H)까지 체류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망상 벨트(105)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상기 망상 벨트(105)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보내지는 펄프 현탁액(PS)의 공급량에 변동이 생겨도 초지 프레임체(110) 내에 체류하는 펄프 현탁액(PS)의 수위(H)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고, 그 결과 상기 망상 벨트(105) 상에 초지되는 습지(RPo)의 평량이 안정되고, 나아가서는 균일한 텍스처의 재생지(RP)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그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의한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15)의 구체적 구성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같은 기능을 갖는 다른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서, 도시된 실시형태의 고지 재생 장치는 펄프 제조부(2)의 고해부(21)를 구성하는 마쇄기(50)가 고지를 그 고해 작용면(51a, 52a)에 의해 가압 고해함과 아울러 고지 상의 문자, 도형 등을 형성하는 잉크류를 마쇄 미세화하도록 되어 일반의 상수도 설비로부터 얻어지는 음료수 등의 물만의 사용으로 제지 공장이나 고지 재생 공장과 같은 대규모의 고지 재생 설비에 있어서 종래 필수로 여겨지고 있었던 고지 탈묵제 등의 제지용 약제의 사용을 전혀 불필요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별한 제지용 약제를 쓰지 않고 통상의 물만으로 고지의 재생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고지 재생 장치뿐만 아니라 고지 탈묵제 등의 제지용 약제의 사용을 필수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UP : 고지 UPP : 고지 펄프
PS : 펄프 현탁액 RP : 재생지
L : 프레임 내 폭 치수(공급 폭) 1 : 고지 재생 장치
2 : 펄프 제조부 3 : 펄프 농도 조정부
4 : 초지부(초지 장치) 5 : 장치 제어부(제어부)
15 : 펄프 공급부(펄프 공급 장치)
95 : 초지 벨트 컨베이어부(초지 공정부)
96 : 탈수 롤부 97 : 건조 벨트 컨베이어부
100 : 초지 네트 컨베이어(초지 컨베이어)
105 : 망상 벨트 110 : 초지 프레임체
111 : 칸막이 부재 112 : 본체 프레임
113 : 체류부
114 : 오버플로우부(오버플로우 수단)
115 : 유통로(115) 300 : 평판 부재
301 : 안내 시트 302 : 오버플로우 게이트
303 : 회수로

Claims (14)

  1.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 장치의 펄프 공급부를 구성하는 장치로서:
    초지 공정부의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의 상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펄프 제조부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을 체류시키는 체류부를 가짐과 아울러 펄프 현탁액의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으로의 공급 폭을 규정하는 초지 프레임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이 초지 프레임체의 선단 부위에 상기 체류부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의 수위를 일정하게 하는 오버플로우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체류부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까지 체류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는 그 프레임 내 폭 치수가 제조해야 할 재생지의 폭 치수로 설정되어서 상기 펄프 현탁액의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으로의 공급 폭을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은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선단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체류부의 양측벽에 설치되고, 초지 프레임체에 체류되는 상기 펄프 현탁액의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펄프 현탁액을 오버플로우시키는 오버플로우 게이트와, 이 오버플로우 게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초지 프레임체 주위를 통해서 회수구로 통하는 회수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게이트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가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 수평 직선 형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저부에 상기 망상 벨트의 메시를 상측으로부터 폐쇄 상태로 피복하는 평판 부재가 설치되고, 이 평판 부재와 상기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에 의하여 상기 체류부의 저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은 상기 체류부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단에 의해 규정되는 수위까지 체류됨과 아울러 이 체류 작용과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주행 동작의 협동 작용에 의해 상기 무단 망상 벨트 상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평판 부재의 선단 가장자리에 상기 망상 벨트 상으로의 펄프 현탁액의 원활한 흐름을 확보하기 위한 얇은 안내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지 프레임체 내에 있어서의 상기 체류부의 상류측에, 공급된 상기 펄프 현탁액의 균등한 분산을 재촉함과 아울러 펄프 현탁액의 흐트러짐을 방지하는 구부러진 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유통로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펄프 현탁액의 공급구와 상기 체류부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진 유통로는 상기 초지 프레임체의 펄프 현탁액의 공급구와 상기 체류부 사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하는 무단 망상 벨트의 하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 칸막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부재는 상기 무단 망상 벨트의 하면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루버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 망상 벨트는 주행 방향을 향해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13. 고지가 발생되는 장소에 배치 가능한 집기 사이즈의 고지 재생 장치를 구성하고, 이전 공정의 펄프 제조 장치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 장치로서:
    상기 펄프 제조 장치로부터 보내져 오는 물과 고지 펄프가 공존하는 슬러리상의 펄프 현탁액을 초지해서 습지로 하는 초지 공정부를 구비하고;
    이 초지 공정부는 펄프 현탁액을 초지하면서 반송하는 초지 컨베이어와, 이 초지 컨베이어의 초지 공정 개시단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펄프 제조 장치로부터의 상기 펄프 현탁액을 상기 초지 컨베이어에 공급하는 펄프 공급부를 구비하고;
    이 펄프 공급부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펄프 공급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14. 집기 사이즈의 장치 케이스 내에 고지를 해리하고 고해해서 고지 펄프를 제조하는 펄프 제조부와, 이 펄프 제조부에서 제조된 고지 펄프를 초지해서 재생지를 제조하는 초지부와, 이들 펄프 제조부 및 초지부를 연동해서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초지부는 제 13 항에 기재된 초지 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 재생 장치.
KR1020110059838A 2010-08-02 2011-06-20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KR201200253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3241A JP5639406B2 (ja) 2010-08-02 2010-08-02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供給装置
JPJP-P-2010-173241 2010-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375A true KR20120025375A (ko) 2012-03-15

Family

ID=4468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9838A KR20120025375A (ko) 2010-08-02 2011-06-20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24490A1 (ko)
EP (1) EP2415930B1 (ko)
JP (1) JP5639406B2 (ko)
KR (1) KR20120025375A (ko)
CN (1) CN102345239B (ko)
ES (1) ES253428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1839B2 (ja) * 2015-02-02 2019-05-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シート製造装置およびシート製造方法
DE102015008766A1 (de) 2015-07-06 2017-01-12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Behältervorrichtung
JP2017115259A (ja) * 2015-12-24 2017-06-29 デュプロ精工株式会社 古紙再生処理装置
JP6969195B2 (ja) 2017-07-31 2021-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解繊物製造装置、及びシート製造装置
CN113229616B (zh) * 2021-04-29 2022-04-22 浙江音置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语音盲文转换机及其转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48613A (en) * 1936-03-23 1939-02-28 Wood Conversion Co Head box for fourdrinier machines
US3357880A (en) * 1965-03-23 1967-12-12 Allis Chalmers Mfg Co Apparatus for making fibrous webs
JPH0772399B2 (ja) * 1986-04-03 1995-08-02 株式会社富士製作所 繊維板抄造装置
JPH0633392A (ja) * 1992-07-10 1994-02-08 Nippon Sheet Glass Co Ltd 傾斜型抄紙機
CA2121967C (en) * 1994-04-22 1996-05-21 Douglas Henry Offerhaus Method of re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paper machine headbox components
JP5098001B2 (ja) * 2005-07-20 2012-12-12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処理装置
JP5207504B2 (ja) * 2006-05-19 2013-06-12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構成装置
JP5098016B2 (ja) * 2007-01-20 2012-12-12 株式会社シード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供給装置
JP2009001925A (ja) * 2007-06-19 2009-01-08 Seed:Kk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34285T3 (es) 2015-04-21
JP5639406B2 (ja) 2014-12-10
EP2415930B1 (en) 2015-02-11
CN102345239A (zh) 2012-02-08
CN102345239B (zh) 2015-09-02
EP2415930A3 (en) 2014-01-01
EP2415930A2 (en) 2012-02-08
US20120024490A1 (en) 2012-02-02
JP2012031544A (ja)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7504B2 (ja) 古紙再生装置ならびにその構成装置
TWI381081B (zh) 處理使用過紙張之裝置
EP2224057B1 (en) Pulp manufacturing method of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pulp manufacturing device of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and used paper recycling apparatus
KR20080070800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CN101328694B (zh) 用于废纸再循环设备的造纸装置
JP5207507B2 (ja)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
KR20100119842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탈수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00119844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초지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20062610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제조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JP5479806B2 (ja) 古紙再生装置の再生紙平滑化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KR20110015365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세정 방법, 세정 시스템 및 고지 재생 장치
KR20120025375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공급 장치
KR20110050333A (ko)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방법, 고지 재생 장치의 펄프 농도 조정 장치 및 고지 재생 장치
JP2013007137A (ja) 古紙再生装置の再生紙平滑化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KR20120018707A (ko) 고지 재생 장치의 재생지 평활화 장치
JP2008174879A (ja)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2010275672A (ja) 古紙再生装置
JP2010275673A (ja) 古紙再生装置のベルト蛇行防止装置、抄紙装置および古紙再生装置
JP2012021257A (ja) 古紙再生装置のパルプ濃度調整装置、抄紙装置およびパルプ供給装置
JP2013091888A (ja) 古紙再生装置の抄紙装置およびパルプ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