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4033A -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4033A
KR20120024033A KR1020100086601A KR20100086601A KR20120024033A KR 20120024033 A KR20120024033 A KR 20120024033A KR 1020100086601 A KR1020100086601 A KR 1020100086601A KR 20100086601 A KR20100086601 A KR 20100086601A KR 20120024033 A KR20120024033 A KR 20120024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layer
sheet
pressure
co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성철
정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4033A/ko
Publication of KR2012002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40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0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protecting painted surfaces, e.g. of ca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0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the adhesive being pressure-sensitive, i.e. tacky at temperatures inferior to 30°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5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process specific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본체 도막에 부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통기성 필름과 이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에 부착 형성되는 단일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층은 부착력 0.5 ~ 0.7 Kg/20mm 를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는 고가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통기성 필름에 형성한 단일 점착제층을 통해 자동차 도막에 부착되므로 기존 양면 테이프의 기재 및 한 개 점착제층의 삭제를 통한 재료비 절감과 동등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Sheet for protecting paint films of automobiles and method adher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도막의 변성 및 변색을 방지하여 자동차 본체 또는 부품의 표면을 적절히 보호하는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공장에서 도장공정을 마치고 완성되어 출고된 자동차의 경우 고객에게 인도하기 전까지 자동차의 외부 상태를 최대한 보호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완성된 자동차를 출하할 때, 예를 들면 트럭 또는 배 등의 수송 수단으로 국내 및 해외 등으로 멀리 수송시킬 때는 흙이나 먼지 및 빗물과 같은 여러 외부 물질들에 의한 자동차 도막의 손상이 일어날 수 있는 우려가 상존한다.
특히, 자동차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수출입 절차, 운반 등에 약 6개월이나 되는 장시간이 소요되는데, 수출하기 위해 부두나 선박 등에 장시간 보관할 경우 강한 자외선을 포함하는 햇빛, 조류의 분비물 등에 의해 광택의 상실이나 변색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도장공정을 마친 완성차의 도막의 손상이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왁스류를 도포하거나 랩가드를 부착하고 혹은 도막 보호용 시트를 부착하는 등을 통해 자동차 도막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그 중 현재 완성차의 도막 보호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기성 필름(FILM)은 폴리에틸렌 폴리머(PE POLYMER)에 탄산칼슘(CaCO3)를 첨가하여 제조한 부직포 시트로, 자동차 도막에 발생될 수 있는 흠집이나 오염 방지에 매우 탁월하며 그 자체로서 내화학성, 방수성, 내구성 등에서 우수한 물성을 가진다.
이러한 통기성 필름은 주로 자동차의 수평면에 적용되는데, 자체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차체 도막에 부착시키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부착한 자동차 도막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통기성 필름(100)을 자동차 도막에 부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양면 테이프는 양면에 각기 제1점착제층(210)과 제2점착제층(220)을 형성한 기재로 이루어지는데, 자동차 도막(F)과 접착되는 제1점착제층(210)의 부착강도를 0.5 kg/20mm, 통기성 필름(100)과 접착되는 제2점착제층(220)의 부착강도를 1.5 Kg/20mm로 하여 제작된 것을 사용한다.
이렇게 상기 양면 테이프는 양측 점착제층의 부착력을 각기 다르게 조정함으로써 자동차 도막에서 통기성 필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나, 그 가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을 따라 소정 수준의 부착력을 가지는 점착제층을 형성한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동차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통기성 필름과 이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에 부착 형성되는 단일 점착제층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층은 부착력 0.5 ~ 0.7 Kg/20mm 를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제층은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에서 끊김없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제층에는 이형지를 부착 구성하여 이물질에 의한 점착제층의 오염 및 부착력 감소를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테두리면의 점착제층에 이형지를 부착한 통기성 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통기성 필름에서 이형지를 떼어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면의 점착제층이 가지는 부착력에 의해 자동차 도막 위에 통기성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의 부착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제층은 부착력 0.5 ~ 0.7 Kg/20mm 를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는 고가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통기성 필름에 형성한 단일 점착제층을 통해 자동차 도막에 부착되므로 기존 양면 테이프의 기재 및 한 개 점착제층의 삭제를 통한 재료비 절감과 동등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부착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정함으로써 통기성 필름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없이 이형지만 제거하고 바로 자동차 도막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부착한 자동차 도막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부착한 자동차 도막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자동차 도막에 부착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설명에 있어서 공지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본체 도막에 부착하여 외부 환경으로부터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후 자동차 도막에 대한 통기성 필름의 제거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부착력을 가지는 단일 점착제층을 형성한 도막 보호용 시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는 자동차 도막(F)을 보호하기 위한 통기성 필름(10)과 이 통기성 필름(10)의 일면에 부착력을 가지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한 점착제층(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기성 필름(10)은 폴리에틸렌 폴리머에 탄산칼슘을 첨가하여 시트 형상의 부직포로 형성된다.
상기 점착제층(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성 필름(10)의 테두리면을 따라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통기성 필름(10)의 저면에 단층 구조로 형성 부착되는 점착제층(20)은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 및 부착력 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이형지(21)를 부착하여 덮어둔다.
그리고, 상기 점착제층(20)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 등이 통기성 필름(10)과 자동차 도막(F)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성 필름(10)의 테두리면에 끊김없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제층(20)은 아크릴계 수지 재질의 점착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점착제층(20)은 통기성 필름(10)을 자동차 도막(F)의 표면에 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부착력을 가짐은 물론 차후 통기성 필름(10)의 제거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부착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점착제층(20)은 통기성 필름(10)의 일면에만 형성되긴 하나, 점착제의 특성상 점착제층(20)이 통기성 필름(10)과 자동차 도막(F)에 대해 발휘하는 부착력이 각기 다르므로 점착제층(20)의 부착력을 자동차 도막을 오염 및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통기성 필름(1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조정하면 된다.
보통 점착제는 동일한 성분의 점착제라도 부착대상에 따라 부착력이 다르게 발휘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부착대상의 표면상태나 재질 등의 조건에 따라 상대적인 부착력을 가지게 된다.
즉, 점착제의 특성상 상기 점착제층(20)은 자동차 도막(F)과의 부착력에 비해 통기성 필름(10)과의 부착력이 보다 강하게 발휘되므로, 자동차 도막(F)에서 통기성 필름(1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동차 도막(F)과의 부착력과 통기성 필름(10)과의 부착력 간의 차를 일정 수준 이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부착강도의 점착제를 사용하여 점착제층(20)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층(20)은 부착력 0.5 ~ 0.7 Kg/20mm 를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그럼, 상기 점착제층(20)은 통기성 필름(10)과는 0.7 ~ 0.8 Kg/20mm 의 부착력을 가지게 되고 자동차 도막(F)과는 0.4 ~ 0.5 Kg/20mm 의 부착력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부착력의 차로 인해 통기성 필름(10)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점착제층(20)의 부착력이 0.5 Kg/20mm 미만이면 통기성 필름(10)이 자동차 도막에서 너무 쉽게 떨어지고, 0.7 Kg/20mm 을 넘으면 통기성 필름(10)을 자동차 도막에서 떼어낸 후에 점착제가 자동차 도막 위에 남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는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자동차 도막(F)에 부착될 수 있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두리면의 점착제층(20)에 이형지(21)를 부착한 통기성 필름(10)을 준비하고 이 통기성 필름(10)에서 이형지(21)를 떼어낸다.
상기 점착제층(20)은 이형지(21)에 비해 통기성 필름(10)과의 부착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강하기 때문에 점착제층(20)에서 이형지(21)만 쉽게 떨어진다.
즉, 통기성 필름(10)과 이형지(21)에 대한 점착제의 부착력 차에 의해 통기성 필름(10)으로부터 점착제층(20)을 남기고 이형지(21)만 제거한다.
그럼 상기 통기성 필름(10)의 테두리면에는 점착제층(20)만 남게 되고 이 점착제층(20)의 부착력을 통해 통기성 필름(10)을 차체 도막 위에 부착한다.
이렇게 통기성 필름(10)을 부착한 완성차는 고객에게 전달되기 직전에 상기 통기성 필름(10)을 제거하게 되며, 여기서 점착제층(20)은 통기성 필름(10)과 자동차 도막(F)에 대해 작용하는 부착력의 차에 의해 자동차 도막(F)으로부터 통기성 필름(10)을 떼어냄과 동시에 제거된다.
한편, 자동차 도막에 본 발명의 시트와 기존 시트를 부착한 시편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와 기존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의 물성을 평가 비교하였다.
각 시트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초기상태에서 박리강도와 전단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외에 열노화성, 내열싸이클, 내수성, 내습성 및 촉진 내후성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으로 전단강도와 도장외관을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와 기존 시트의 초기상태에서 박리강도를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으로 각 시편을 300㎜/min 의 속도로 180°박리시켰고, 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50㎜/min 의 속도로 전단시켰다.
상기 열노화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시편을 168 시간 동안 80℃로 가열하였다.
상기 내열싸이클을 평가하기 위해 각 시편을 3시간 동안 80℃로 가열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냉각하고, 다시 3시간 동안 영하 30℃로 냉각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으며, 다시 15시간 동안 상대습도 95% 에서 40℃로 가열하고 다시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냉각하였다.
상기 내수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시편을 168 시간 동안 40℃의 물에 담가두었다.
내습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 시편을 168시간 동안 상대습도 95%에서 50℃로 방지해 두었다.
촉진내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1000 시간 동안 내후성 평가장치를 사용하여 노화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아래 표 1과 같은 평가 결과를 얻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는 요구사항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기존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와 동등 수준의 물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항목 시험방법 요구사항 평가 결과
기존 시편 본 발명의 시편
초기상태 박리강도 180°박리, 300㎜/min 0.1kgf/20mm 이상 0.5 0.4
전단강도 50㎜/min 3㎏/㎠ 이상 3.9 3.5
열노화성 전단강도 80℃ * 168hr 3㎏/㎠ 이상 4.4 3.9
도장외관 이상없을 것 양호 양호
내열싸이클 전단강도 80℃ * 3hr -> 상온 1hr -> 영하 30℃ * 3hr -> 상온 1hr -> 40℃ *95% * 15hr -> 상온 1hr 3㎏/㎠ 이상 4.0 3.4
도장외관 이상없을 것 양호 양호
내수성 전단강도 40℃의 물 * 168hr 3㎏/㎠ 이상 4.0 3.7
도장외관 이상없을 것 양호 양호
내습성 전단강도 50℃ *95%RH *168hr 3㎏/㎠ 이상 4.1 3.3
도장외관 이상없을 것 양호 양호
촉진내후성 전단강도 W-O-M 1,000hr 3㎏/㎠ 이상 4.8 4.1
도장외관 이상없을 것 양호 양호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의 시편을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일반적인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에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부착력 0.7㎏/20㎜ 를 가지는 점착제를 도포한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를 자동차 도막에 부착시킨 다음 외부 환경에 168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자동차 도막에서 시트를 떼어서 제거하였다.
비교예 1
일반적인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에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부착력 0.4㎏/20㎜ 를 가지는 점착제를 도포한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를 자동차 도막에 부착시킨 다음 외부 환경에 168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자동차 도막에서 시트를 떼어서 제거하였다.
비교예 2
일반적인 통기성 필름의 테두리면에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부착력 1.0㎏/20㎜ 를 가지는 점착제를 도포한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트를 자동차 도막에 부착시킨 다음 외부 환경에 168 시간 동안 노출시킨 후, 자동차 도막에서 시트를 떼어서 제거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의 경우 시트(혹은 통기성 필름)가 자동차 도막에 잘 부착되어 있었던 반면, 비교예 1의 경우 시트의 일부분이 자동차 도막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였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 시트를 떼어냄과 동시에 점착제가 자동차 도막에서 모두 제거된 반면, 비교예 2의 경우 시트를 떼어낸 후 자동차 도막에 점착제의 일부가 남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는 고가의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통기성 필름에 일체로 형성한 단일 점착제층을 통해 자동차 도막에 부착되므로 기존 양면 테이프의 기재 및 한 개 점착제층의 삭제를 통한 재료비 절감과 동등한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부착력을 적절하게 선정함으로써 통기성 필름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별도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할 필요없이 이형지만 제거하고 바로 자동차 도막에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F : 자동차 도막
10 : 통기성 필름
20 : 점착제층
21 : 이형지

Claims (5)

  1. 자동차 도막을 보호하기 위한 통기성 필름(10)과 이 통기성 필름(10)의 테두리면에 부착 형성되는 단일 점착제층(2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점착제층(20)은 부착력 0.5 ~ 0.7 Kg/20mm 를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20)은 통기성 필름(10)의 테두리면에서 끊김없이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20)에는 이형지(21)를 부착 구성하여 이물질에 의한 점착제층(20)의 오염 및 부착력 감소를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4. 테두리면의 점착제층(20)에 이형지(21)를 부착한 통기성 필름(10)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통기성 필름(10)에서 이형지(21)를 떼어서 제거하는 단계;
    상기 테두리면의 점착제층(20)이 가지는 부착력에 의해 자동차 도막 위에 통기성 필름(10)을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의 부착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20)은 부착력 0.5 ~ 0.7 Kg/20mm 를 가지는 점착제를 사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의 부착방법.
KR1020100086601A 2010-09-03 2010-09-03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KR201200240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601A KR20120024033A (ko) 2010-09-03 2010-09-03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601A KR20120024033A (ko) 2010-09-03 2010-09-03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4033A true KR20120024033A (ko) 2012-03-14

Family

ID=46131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601A KR20120024033A (ko) 2010-09-03 2010-09-03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40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4849B2 (en) Paint film appliques with reduced defects, articles, and methods
US8053065B2 (en) Flexible layer composite comprising a support and a layer of curable surface coating composition applied thereto
US8501315B2 (en) High-gloss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20160138050A (ko) 폴리우레탄 조성물, 필름, 및 그의 방법
JP2008208374A (ja) 低い巻き戻り力の表面保護フィルム
JP4785733B2 (ja) 自動車ブレーキディスクアンチラストフィルム
JP6598343B1 (ja) グラフィック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方法
US6492017B1 (en) Self-adhesive highly transparent protective article for automobile windows and other sensitive surfaces
CN109536058A (zh) 一种耐磨保护膜和使用该膜保护的物品
KR20040029944A (ko) 접착 시이트 및 접착 구조물
JP5358108B2 (ja) ホイール保護用フィルム
KR20120024033A (ko)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US20040067329A1 (en) Transparent adhesive sheet
KR101209194B1 (ko) 자동차 도막 보호필름용 이형필름
KR20240002063A (ko) 자동차 도막 보호용 시트 및 이의 부착방법
JP5934541B2 (ja) 防錆方法
US10550297B2 (en) Paint protection films
JPH1112547A (ja) 塗膜保護用シート
JPH04198383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3121853A1 (ja) 表面保護シート
JP43947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203223A (ja) 防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