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898A -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 Google Patents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898A
KR20120023898A KR1020100086172A KR20100086172A KR20120023898A KR 20120023898 A KR20120023898 A KR 20120023898A KR 1020100086172 A KR1020100086172 A KR 1020100086172A KR 20100086172 A KR20100086172 A KR 20100086172A KR 20120023898 A KR20120023898 A KR 201200238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substrate
groove
display device
fla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0180B1 (ko
Inventor
한병욱
권오섭
고성수
임정준
노재상
이석영
홍원의
박동섭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씰텍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180B1/ko
Priority to US13/137,658 priority patent/US8405293B2/en
Publication of KR20120023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4Arrangements for 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배선부를 이용하여 주울 열(Joule heat)을 통해 밀봉처리하며, 접합부재와 기판간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접합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 내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접합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배선부; 및 상기 홈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선부와 접촉하며, 상기 배선부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합시키는 접합부재; 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Flat display device and mother-substrate thereof}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의 제조에 있어서, 평판 표시 장치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밀봉(sealing)처리가 통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밀봉처리의 방법으로 통상적으로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접합부재을 도포하여 레이저로 용융 접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밀봉처리 방법은 장시간이 소요되며, 밀봉시 외부의 습기를 완전히 차단하기 힘들어 패널의 수명단축의 문제점이 있고, 고가의 레이저 장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배선부에서 발생하는 주울 열(Joule heat)을 통해 밀봉처리하며, 접합부재와 기판간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홈부 내에 배선부를 배치한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접합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 내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접합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배선부; 및 상기 홈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선부와 접촉하며, 상기 배선부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합시키는 접합부재; 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2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 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부의 표면에는 미세 구조물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연결되기 위한 추가배선부;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에는 상기 추가배선부에 대응하여 홈 또는 트랜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발광부가 배치되며, 상기 평판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과 상기 제2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과 상기 제2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홈부 내의 바닥면 및 상기 홈부 내의 벽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 부재를 덮는 중간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중간층과 접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향기판과 접합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은 복수개의 표시영역들; 상기 복수개의 표시영역들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홈부들; 및 상기 홈부들 내에 배치되며 전원일 인가받아 접합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배선부들; 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이웃하는 배선부와 연결되기 위한 추가배선부; 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홈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선부와 접촉하며 상기 배선부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과 상기 대향기판을 접합시키는 접합부재; 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는 상기 추가배선부에 대응하여 홈 또는 트랜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 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홈부의 표면에는 미세 구조물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이다.
여기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 부재는 상기 홈부 내의 바닥면 및 상기 홈부 내의 벽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선 부재를 덮는 중간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중간층과 접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주울 열을 통해 밀봉처리함으로써 종래 레이저에 의한 밀봉처리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배선부를 홈부에 매립하여 형성함으로써, 홈부에 부분 매립된 접합부재와 기판간의 접촉면적이 늘어나 접합력이 증가한다. 이로부터 기구강도가 향상되고, 내충격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접합부내와 기판간의 접합 균일도 제어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의 발광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과 대향하는 기판을 접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100)는 제1 기판(110), 발광부(120), 접합부재(130), 홈부(160), 배선부(140) 및 제2 기판(15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10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LCD) 등 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평판 표시 장치(100)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평판 표시 장치(100)는 서로 대향하는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을 포함하며, 이들 제1기판(110)과 제2기판(150)은 접합부재(130)에 의해 밀봉(sealing)된다.
제1 기판(110)은 비표시영역(111)과 표시영역(112)으로 구획되며, 표시영역(112)에는 발광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표시영역(112)은 제1 기판(110)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며, 비표시영역(111)은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발광부(120)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 기판(110)은 절연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 재질로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금속 재질로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Using Steel; SUS)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제1 기판(110)은 홈부(160)를 포함한다. 홈부(160)는 제1 기판(110)을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즉, 홈부(160)은 비표시영역(111)에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홈부(160)는 비표시영역(111) 중에서 접합부재(130)가 형성될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이 홈부(160)에 접합부재(130)가 수용된다. 이러한 홈부(160)는 샌드 블라스트(sand blast) 또는 에칭(etching)의 방법을 통해 제1 기판(110)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160)의 단면 형상에 있어 홈부(160)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홈부(16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부(160)는 그 바닥이 곡면을 이루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홈부(160)는 표면에 미세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미세 구조물은 요철 또는 돌기 형태일 수 있으며 에칭의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미세 구조물로부터, 홈부(160) 상에 형성된 배선부(140)와의 접촉면적을 극대화함으로써, 계면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배선부(140)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홈부(160)의 깊이는 접합부재(130)의 높이를 고려하여 형성하는데, 홈부(160)가 너무 깊을 경우 접합부재(130)가 지나치게 매립되어 제2 기판(150)의 일면과 발광부(120)가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이 합착된 상태에서 제2 기판(150)과 발광부(120)가 맞닿지 않도록 홈부(16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홈부(160) 내(內)에는 배선부(1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선부(140)도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즉, 배선부(140)은 표시영역(112)을 둘러싸도록 비표시영역(111)에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배선부(140)는 접합부재(130)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접합부재(130)가 형성될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접합부재(130)는 홈부(160)에 수용됨으로써, 배선부(140)와 접촉하게 된다. 배선부(140)는 전원을 공급받으면 열이 발생하는 것으로, 배선부(140)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선부(140)를 구성하는 물질의 예로 은(Ag), 구리(Cu), 니켈(Ni), 망간(Mn), 몰리브덴(Mo)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물질로 형성된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배선부(140)는 증착, 코팅 외에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배선부(140)의 단면 형상에 있어 접합부재(130)의 하단과 접하는 배선부(140)의 상부는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배선부(140)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선부(140)는 상부가 곡면을 이루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선부(140)는 홈부(160) 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60) 바깥에도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홈부(160) 내에 형성된 배선부(140)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부(160) 바닥에 인접한 배선부(140)의 두께와 홈부(160)의 측면에 인접한 배선부(14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배선부(140)는 복수의 배선부재(141)를 구비한다. 복수의 배선부재(141)는 접합부재(13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된다. 이를 위하여 배선부재(14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부(140)의 배선부재(141)들이 제1기판(110)의 제1홈부(161) 및 제2기판(150)의 제2홈부(162) 내에 배치되고, 배선부재(141)의 상부 및 각 배선부재(141)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접합부재(130)가 배치된다.
배선부(140)는 외부에 위치한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므로, 배선부(140)와 전원부를 연결하기 위한 추가배선부(147)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배선부(147)는 배선부(140)가 연장되어 형성되거나, 배선부(140)에 또 다른 배선이 추가로 연결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추가배선부(147)는 배선부(140)로부터 약 1mm 내지 3mm 정도 연장 형성되어 전원부의 전극과 접촉할 수 있다. 추가배선부(147)는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배선부(14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물질로 이루어 질 수 도 있다.
도 2에서는 추가배선부(147)가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직사각형의 배선부(140)로부터 상(上) 방향 및 하(下)방향으로 연장되어, 2개 형성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추가배선부(147)의 개수는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추가배선부(147)의 위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배선부(140)의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각선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추가배선부(147)도 배선부(140)와 유사하게 홈 또는 트랜치(trench)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홈 또는 트랜치는 배선부(140)가 형성된 홈부(160)로부터 연장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 또는 트랜치는 배선부(140)가 형성된 홈부(160)와 별도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접합부재(130)는 홈부(160) 내에 배선부(140)와 접촉하여 위치한다. 접합부재(130)는 배선부(140)로부터 공급된 주울 열(Joule heat)에 의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50)을 접합시킨다. 접합부재(130)는 열로 소성할 수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접합부재(130)는 MgO, CaO, BaO, Li2O, Na2O, K2O, B2O3, V2O5, ZnO, TeO2, Al2O3, SiO2, PbO, SnO, P2O5, Ru2O, Rh2O, Fe2O3, CuO, TiO2, WO3, Bi2O3, Sb2O3, 리드 보레이트 글라스(lead-borate glass), tin-phosphate glass, 바나듐산 글라스(Vanadate glass) 및 붕규산 글라스(borosilicate glas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물질로 형성된 글래스 프릿(glass frit)일 수 있다.
제2 기판(150)은 봉지기판으로 제1 기판(110)과 대향되도록 위치한다. 제1 기판(110)과 제2 기판(150)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접합부재(130)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이로부터 제2 기판(150)은 제1 기판(110) 상에 형성된 소자들을 밀봉한다. 제2 기판(150)은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기판(150)은 전면(全面)이 제1 기판(110)의 면에 평행하도록 평평한(flat) 형상을 가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1 기판(110) 상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되지 않는 차이가 있다. 대신에 제2 기판(150)상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되어 접합부재(130)가 제2 기판(150)상에 형성된 홈부(160) 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3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가배선부(147) 및 추가배선부(147)에 대응하는 홈 또는 트랜치도 제1기판(110) 대신 제2 기판(150)상에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에 비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50) 모두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되며, 접합부재(130)가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상(150)에 형성된 홈부(160) 내에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와 같이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50)에 모두 배선부(140)가 형성된 경우,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기판(110) 또는 제2기판(150)의 일면에만 배선부(140)가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접합부재(130)의 수직적 온도편차가 균일한 장점이 있다. 여기서 접합부재(130)의 수직적 온도편차란, 접합부재(130)를 제1기판(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가지는 온도의 프로파일을 의미한다. 실험결과, 도 5의 경우 제1기판(110)과 가까운 접합부재(130)의 하측과 제2기판(150)과 가까운 접합부재(130)의 상측의 온도차이가 약 0.03℃에 불과했다. 이는 도 3 및 도 4에서 제1기판(110)과 가까운 접합부재(130)의 하측과 제2기판(150)과 가까운 접합부재(130)의 상측의 온도차이가 약 62℃ 인 것에 비하면, 균일한 온도분포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도 5는 접합부재(130)를 효과적으로 용융시켜 보다 견고한 밀봉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경우, 도 3 및 도 4와 비교하여 접합부재(130)의 용융 가능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긴 장점이 있다. 실험결과, 도 5의 경우 접합부재(130)가 용융 가능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약 15.44ms 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의 경우, 접합부재(130)가 용융 가능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약 11.51ms 이다. 이로부터 도 5는 접합부재(130)가 용융 가능한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서 효과적인 밀봉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은 제1 홈부(161)로 지칭 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판(15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은 제2 홈부(162)로 지칭될 수 있다. 배선부(140)는 제1 홈부(161) 및 상기 제2 홈부(162)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추가배선부(147) 및 추가배선부(147)에 대응하는 홈 또는 트랜치는 제1기판(110) 또는 제2 기판(15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1 기판(110) 상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배선부(140) 상에 중간층(145)이 더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3 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의하면, 중간층(145)은 배선부(140)와 접합부재(130)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선부(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45)은 배선부(140)로부터 발생한 열을 접합부재(130)로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간층(145)을 구성하는 물질의 예로 금(Au), 은(Ag), 구리(Cu), 니켈(Ni),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물질로 형성된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중간층(145)은 배선부(140)와 동일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중간층(145)은 배선부(140)와 접합부재(130)의 접합력을 증대시키고, 배선부(140)의 고열에 의한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층(145)을 구성하는 물질의 예로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145)은 증착,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중간층(145)의 단면 형상에 있어 접합부재(130)와 닿는 중간층(145)의 상부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중간층(145)의 단면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간층(145)은 상부가 곡면을 이루는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중간층(145)은 홈부(160) 내에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중간층(145)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60) 바깥으로 연장된 배선부(140)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40)상에 내에 형성된 중간층(145)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홈부(160) 바닥에 인접한 배선부(140)상의 중간층(145)의 두께와 홈부의 측면에 인접한 배선부(140)상의 중간층(145)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2 기판(150) 상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배선부(140) 상에 중간층(145)이 더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4 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50) 상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배선부(140) 상에 중간층(145)이 더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5 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50) 상에 홈부(160) 및 배선부(140)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배선부(140)는 복수의 배선부재(141)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5 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복수의 배선부재(141)는 접합부재(130)와 중첩되는 영역에서 서로 이격된다. 이를 위하여 배선부재(141)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선부(140)의 배선부재(141)들이 제1기판(110)의 제1홈부(161) 내의 바닥면 및 제2기판(150)의 제2홈부(162) 내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배선부재(141)의 상부, 측면 및 각 배선부재(141)들간의 이격된 공간에 접합부재(130)가 배치된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1홈부(161) 및 제2홈부(162)의 벽면에는 배선부(140)가 복수의 배선다발인 배선부재(141)로 형성되지 않고 홈부의 벽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의 벽면을 둘러싸도록 일체로 형성된 배선부(140)는 벽면배선부(142)라 지칭한다. 도 9 및 도 10에 의하면, 접합부재(130)가 배선부재(141)들간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50)과 접하므로 접합부재(130)의 내구성 및 제1기판(110)과 제2기판(150)의 결합 특성이 향상된다.
도 9에서는 제1홈부(161)에 배치된 배선부재(141) 각각과 제2홈부(162)에 배치된 배선부재(141) 각각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제1홈부(161)에 배치된 배선부재(141) 각각과 제2홈부(162)에 배치된 배선부재(141) 각각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배선부(140)의 배선부재(14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합부재(130)를 배치한 후 배선부(140)에 전원을 인가하면, 배선부재(141) 각각에서 줄열(joule heat)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에 의하여 접합재료(130)가 용융된 후 경화되어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50)이 결합된다.
이 때 만일 배선부가 접합부재(13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일체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 배선부(140)에 전원을 인가할 때, 배선부(140)는 통상적으로 중심부가 주변부보다 더 가열되어 접합부재(130)의 폭을 기준으로 중심과 주변의 온도 불균형이 발생한다. 즉 접합부재(130)의 폭을 기준으로 접합부재(130)의 중심부의 온도가 주변부보다 더 높아지고 이로 인하여 접합부재(130)가 불균일하게 용융 및 경화되어 접합부재(130)의 내구성이 감소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선부(14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배선부재(141)를 포함한다. 따라서, 각 배선부재(141)가 줄 열을 발생하므로 접합부재(130)의 폭을 기준으로 중심과 주변의 온도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50) 상에 홈부(160) 및 복수의 배선부재(141)를 포함하는 배선부(140)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11에서는 홈부(160) 내의 바닥면 및 홈부(160) 내의 벽면에 모두 배선부재(1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9 및 도 10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배선부(140)가 모두 복수개의 배선부재(141)로 형성됨으로써, 접합부재(130)가 홈부(160) 내의 바닥면 및 벽면에 걸쳐 배선부재(141)들간의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제1기판(110) 및 제2기판(150)과 접한다. 결국, 접합부재(130)의 내구성 및 제1기판(110)과 제2기판(150)의 결합 특성이 더욱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는 도 11에 도시된 평판 표시 장치(100)에 비해,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50) 상에 홈부(160) 및 복수의 배선부재(141)를 포함하는 배선부(140)가 형성된 것은 동일하다. 그러나 배선부재(141)를 덮는 중간층(145)이 더 포함되며, 접합부재(130)는 배선부재(141)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중간층(145)과 접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밖의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도 11의 실시 예에 대응되는 구성요소와 그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중간층(145)은 배선부재(141)의 외측면을 덮으며, 배선부재(141)의 이격된 공간까지 침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45)은 배선부재(141)에서 발생한 열을 접합부재(130)에 전달하나, 배선부재(141)와 접합부재(130)를 직접 접촉하지 않게 한다. 중간층(145)은 배선부재(141)와 접합부재(130)의 접합력을 증대시키고, 배선부재(141)가 고열에 의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층(145)을 구성하는 물질의 예로 실리콘산화물, 실리콘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티타늄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간층(145)은 증착, 코팅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기판(100)에 배치된 발광부(120)의 구조를 간략히 알아본다.
도 13은 상기 발광부(120)의 일 화소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에서 볼 수 있듯이, 제1기판(110)의 상면에는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한 베리어층 및/또는 버퍼층과 같은 절연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절연층(121) 상에 TFT(Thin Film Transistor)의 활성층(122)이 반도체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이를 덮도록 게이트 절연막(123)이 형성된다. 활성층(122)은 아모퍼스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과 같은 무기재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소스 영역(122a), 드레인 영역(122b)과 이들 사이에 채널 영역(122c)을 갖는다.
게이트 절연막(123) 상에는 게이트 전극(124)이 구비되고, 이를 덮도록 층간 절연막(125)이 형성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25) 상에는 소스 전극(126a) 및 드레인 전극(126b)이 구비되며, 이를 덮도록 평탄화막(127) 및 화소 정의막(128)이 순차로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23), 층간 절연막(125), 평탄화막(127), 및 화소 정의막(128)은 절연체로 구비될 수 있는 데, 단층 또는 복수층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TFT의 적층 구조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의 TFT가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평탄화막(127)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 소자(OLED)의 한 전극인 화소 전극(129a)이 형성되고, 그 상부로 화소 정의막(128)이 형성되며, 이 화소 정의막(128)에 소정의 개구부를 형성해 화소 전극(129a)을 노출시킨 후, 유기 발광 소자(OLED)의 유기 발광막(129b)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 녹,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하는 것으로, TFT의 드레인 전극(126b)에 콘택 홀을 통해 콘택된 화소 전극(129a)과, 전체 화소를 덮도록 구비된 대향 전극(129c), 및 이들 화소 전극(129a)과 대향 전극(129c)의 사이에 배치되어 발광하는 유기 발광막(129b)으로 구성된다.
상기 화소 전극(129a)과 대향 전극(129c)은 상기 유기 발광막(129b)에 의해 서로 절연되어 있으며, 유기 발광막(129b)에 서로 다른 극성의 전압을 가해 유기 발광막(129b)에서 발광이 이뤄지도록 한다.
상기 유기 발광막(129b)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 유기막이 사용될 수 있다. 홀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홀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L: Emission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등이 단일 혹은 복합의 구조로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가능한 유기 재료도 구리 프탈로시아닌(CuPc: copper phthalocyanine),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벤지딘 (N,N'-Di(naphthalene-1-yl)-N,N'-diphenyl-benzidine: NPB) , 트리스-8-하이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e aluminum)(Alq3) 등을 비롯해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들 유기막은 진공증착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홀 주입층, 홀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등은 공통층으로서, 적, 녹, 청색의 픽셀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와는 달리, 이들 공통층들은 대향전극(129c)과 같이, 전체 픽셀들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29a)은 애노우드 전극의 기능을 하고, 상기 대향 전극(129c)은 캐소오드 전극의 기능을 하는 데, 물론, 이들 화소 전극(129a)과 대향 전극(129c)의 극성은 반대로 되어도 무방하다.
제1기판(110)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배면 발광형(bottom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129a)은 투명 전극이 되고, 대향 전극(129c)은 반사전극이 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129a)은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으로 형성되고, 대향 전극(129c)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향 전극(129c)의 방향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전면 발광형(top emission type)일 경우, 상기 화소 전극(129a)은 반사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고, 대향 전극(129c)은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화소 전극(129a)이 되는 반사 전극은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 등으로 형성된 반사막과, 일함수가 높은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향 전극(129c)이 되는 투명 전극은, 일함수가 작은 금속 즉, Ag, Mg, Al, Pt, Pd, Au, Ni, Nd, Ir, Cr, Li, Ca 및 이들의 화합물을 증착한 후, 그 위에 ITO, IZO, ZnO, 또는 In2O3 등의 투명 도전물질로 보조 전극층이나 버스 전극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양면 발광형의 경우, 상기 화소 전극(129a)과 대향 전극(129c) 모두를 투명 전극으로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미도시)에 제1기판(110)이 안착되는 구조인 경우에는, 제2기판(150)의 방향으로 화상이 구현되는 전면 발광형이 될 것이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미도시)에 소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를 통해 제1기판(110)의 바닥면이 노출되는 구조일 경우에는 배면 발광형 및 양면 발광형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화소 전극(129a) 및 대향 전극(129c)은 반드시 전술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 유기물이나, Ag, Mg, Cu 등 도전입자들이 포함된 전도성 페이스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 페이스트를 사용할 경우, 잉크젯 프린팅 방법을 사용하여 프린팅할 수 있으며, 프린팅 후에는 소성하여 전극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20)의 대향 전극(129c)의 상면에는 이 발광부(120)를 덮도록 무기물, 유기물, 또는 유무기 복합 적층물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막(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과 대향하는 대향기판(1500)을 접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액정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LCD) 등 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인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에는 복수개의 표시영역(112)이 형성된다. 표시영역(112)의 개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의 크기 및 생산할 평판 표시 장치의 크기,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4에 개시된 표시영역(112)의 개수 및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홈부(160)는 표시영역(112)의 외곽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홈부(160)는 접합부재(130)가 형성될 위치에 대응되어 형성되고, 이 홈부(160)에 접합부재(130)가 수용된다. 홈부(160)의 형성 방법, 단면형상 및 깊이 등에 관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홈부(160)는 배선부(140)와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하여 홈부(160)의 표면에 요철 또는 돌기와 같은 미세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홈부(160) 내에는 배선부(140)가 배치된다. 배선부(140)는 홈부(160) 내에 수용될 접합부재(130)와 접촉하여 접합부재(130)로 열을 공급한다. 도 9 내지 도 1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선부(1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141)를 포함하며, 배선부재(141)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선부재(141)는 홈부(160) 내의 바닥면 및 상기 홈부 내의 벽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배선부재(141)를 덮는 중간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접합부재(130)는 중간층과 접할 수 있다.
배선부(140)는 추가배선부(147)를 포함한다. 추가배선부(147)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이웃하는 배선부(140)들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추가배선부에 대응하여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는 홈 또는 트랜치가 형성될 수 있다. 배선부(140)의 재질, 형상, 두께 등과 추가배선부(147)의 형태, 개수 등과 관련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에는 복수개의 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셀은 하나의 평판 표시 장치를 이루기 위한 단위로, 하나의 표시영역(112), 홈부(160), 배선부(140) 및 접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하나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 포함된 배선부(140)들은 추가배선부(147)를 통해 종 또는 횡으로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인하여, 개별 셀의 배선부(14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복수개의 셀의 밀봉처리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의 셀 11(C11)에 포함된 배선부(140)와 종 방향에 위치한 셀 21(C21), 셀 31(C31)에 포함된 배선부(140)는 모두 추가배선부(147)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셀 11 (C11) 및 셀 31 (C31) 은 전원부로부터의 전원을 셀 21(C21) 로 전달하여, 셀 21 (C21)에 따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셀 21(C21)의 밀봉처리를 셀 11 (C11)및 셀 31(C31)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셀의 밀봉처리 과정을 한 번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공정 시간이 단축되고, 공정 효율이 개선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배선부(140) 상에 중간층(14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중간층(145)은 열전도도가 큰 물질로 이루어져 배선부(140)에서 발생한 열을 접합부재(130)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중간층(145)은 배선부(140)와 접합부재(130)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배선부(140)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중간층(145)의 재질, 형상, 두께와 관련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홈부(160) 내에 위치하며, 배선부(140)와 접촉하여 배선부(140)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과 대향하는 대향기판(1500)을 접합하는 접합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과 대향하는 대향기판(1500)을 접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선부(140)가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은 배선부(140)가 형성되지 않은 대향기판(1500)에 비해 크기가 크다. 왜냐하면, 배선부(140)가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은 추가배선부(147)가 전원부에 접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도 14 및 도 15에서 의미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이란, 도 1의 제1 기판(110)을 복수개 포함하는 원장기판일 수 있다. 또한 대향기판(1500)이란 도 1의 제2 기판(150)을 복수개 포함하는 원장기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이란, 도 1의 제2 기판(150)을 복수개 포함하는 원장기판일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대향기판(1500)이란 도 1의 제1 기판(110)을 복수개 포함하는 원장기판일 수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에서 의미하는 표시영역(112)이란,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이 도 1의 제1 기판(110)을 복수개 포함하는 원장기판일 경우 발광부(120)과 배치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그러나 표시영역(112)이란,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이 도 1의 제2 기판(150)을 복수개 포함하는 원장기판일 경우, 제1 기판(110)의 발광부(120)가 배치되는 영역에 대향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 들에 의한 평판 표시 장치(100)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1100)은 다음과 같은 특유한 효과를 수반한다. 먼저, 배선부(140)가 형성됨으로써, 배선부(140)에서 발생한 주울 열을 통해 접합부재(130)가 하나의 기판 및 이에 대향하는 기판을 접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사용하던 고가의 레이저 장비가 필요없고, 발광소자 등 내부 소자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접합부재(130)가 존재하는 부분에만 국부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합부재(130)로 종래 사용하던 레이저 경화성 부재 대신 열로 소성할 수 있는 부재를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열로 소성할 수 있는 부재는 산소 및 수분의 투과성 면에서 레이저 경화성 부재보다 안정적이며, 부재의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배선부(140)가 홈부(160) 내에 형성되고, 접합부재(130)가 홈부(160) 내에서 상기 배선부(140)와 접촉하므로 접합부재(130)와 기판 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져 접합력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접합력이 증가함으로써, 기구강도가 향상되고, 내충격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이에 대하여, 패널의 당김 테스트(pull test) 결과, 접합부재(130)와 기판의 접촉면적이 넓을 때, 특성이 개선된다는 것은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평판 표시 장치 110: 제1 기판
111: 비표시영역 112: 표시영역
120: 발광부 121: 절연층
122: 활성층 122a :소스 영역
122b: 드레인 영역 122c : 채널 영역
123: 게이트 절연막 124: 게이트 전극
125: 층간 절연막 126a : 소스 전극
126b : 드레인 전극 127: 평탄화막
128: 화소 정의막 129a : 화소 전극
129b: 유기 발광막 129c : 대향 전극
130: 접합부재 140: 배선부
141: 배선부재 142:벽면배선부
147: 추가배선부 145: 중간층
150: 제2 기판 160: 홈부
1100: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500: 대향기판

Claims (21)

  1.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과 대향 배치되어 상기 제1기판과 접합되는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또는 상기 제2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 내에 배치되며 전원을 인가받아 접합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배선부; 및
    상기 홈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선부와 접촉하며, 상기 배선부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상기 제1기판과 상기 제2기판을 접합시키는 접합부재;
    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제1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1 홈부 및 상기 제2 기판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제2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각각 배치되는 평판 표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
    을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표면에는 미세 구조물이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상기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연결되기 위한 추가배선부;
    를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또는 상기 제2 기판에는 상기 추가배선부에 대응하여 홈 또는 트랜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영역 상에 발광부가 배치되며,
    상기 평판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평판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과 상기 제2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평판 표시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과 상기 제2홈부에 배치된 배선부재 각각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평판 표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재는 상기 홈부 내의 바닥면 및 상기 홈부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평판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재를 덮는 중간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중간층과 접하는 평판 표시 장치.
  13. 대향기판과 접합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은
    복수개의 표시영역들;
    상기 복수개의 표시영역들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된 홈부들; 및
    상기 홈부들 내에 배치되며 전원일 인가받아 접합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배선부들;
    을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는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와 연결되거나, 또는 이웃하는 배선부와 연결되기 위한 추가배선부;
    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내에 위치하여, 상기 배선부와 접촉하며 상기 배선부로부터 공급된 열에 의해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과 상기 대향기판을 접합시키는 접합부재;
    를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에는 상기 추가배선부에 대응하여 홈 또는 트랜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와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중간층;
    을 더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표면에는 미세 구조물이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인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재는 상기 홈부 내의 바닥면 및 상기 홈부 내의 벽면에 배치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 부재를 덮는 중간층;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합부재는 상기 중간층과 접하는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KR1020100086172A 2010-09-02 2010-09-02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KR101710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72A KR101710180B1 (ko) 2010-09-02 2010-09-02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US13/137,658 US8405293B2 (en) 2010-09-02 2011-09-01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other substrate for flat panel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172A KR101710180B1 (ko) 2010-09-02 2010-09-02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898A true KR20120023898A (ko) 2012-03-14
KR101710180B1 KR101710180B1 (ko) 2017-03-09

Family

ID=4577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172A KR101710180B1 (ko) 2010-09-02 2010-09-02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05293B2 (ko)
KR (1) KR1017101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6129B2 (en) 2014-04-16 2016-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9431629B2 (en) 2013-08-19 2016-08-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WO2020096402A1 (ko) * 2018-11-09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연계 저온 소성 글라스 프릿,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유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844B1 (ko) * 2011-06-16 2019-10-3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의 제작 방법 및 밀봉체, 그리고 발광 장치의 제작 방법 및 발광 장치
KR102013893B1 (ko) 2012-08-20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3855105B (zh) * 2012-12-06 2017-04-2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环境敏感电子元件封装体及其制作方法
CN103413897B (zh) * 2013-08-07 2016-01-2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oled封装结构及封装方法
KR20150029428A (ko) * 2013-09-10 2015-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362167A (zh) * 2014-10-27 2015-02-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显示面板、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405124B1 (ko) * 2014-12-09 2022-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66959B1 (ko) * 2015-12-31 2022-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6206987A (zh) * 2016-08-25 2016-12-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基板及其制造方法以及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2515630B1 (ko) * 2017-12-20 2023-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190204674A1 (en) * 2017-12-28 2019-07-04 Huizhou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210113503A (ko) * 2020-03-06 2021-09-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00440A (ko) * 2020-06-25 2022-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831A (ko) * 2003-06-04 2006-02-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73478A (ko) * 2007-12-31 2009-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3266A (ja) 1999-02-02 2000-08-11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
JP2000252058A (ja) 1999-03-01 2000-09-14 Stanley Electric Co Ltd 有機el表示装置素子およびその封止方法
KR100337494B1 (ko) 2000-06-01 2002-05-24 박원석 유리 페이스트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의형성방법 및 그 유기 전계 발광 표시 패널
KR100429771B1 (ko) 2000-06-13 2004-05-03 권상직 보조열선을 이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저온 진공 인-라인프릿 실장방법
KR20030080895A (ko) 2002-04-11 200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의 실링 방법
KR100635049B1 (ko) * 2003-11-29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WO2005062389A2 (en) * 2003-12-24 2005-07-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JP3992001B2 (ja) * 2004-03-01 2007-10-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電子機器
KR20060027543A (ko) 2004-09-23 2006-03-28 전자부품연구원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글래스 캡 및 그 제작 방법
KR100634887B1 (ko) 2004-09-24 2006-10-16 전자부품연구원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85274B1 (ko) 2005-01-03 2011-11-22 사천홍시현시기건유한공사 유기발광소자 봉지방법
US7781965B2 (en) * 2005-11-28 2010-08-24 Lg Display Co., Ltd. Glass encapsulation ca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same, mother glass substrate for producing multiple glass encapsulation cap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567449B2 (en) 2006-10-27 2009-07-28 Xilinx, Inc. One-time-programmable logic bit with multiple logic elements
KR20090076659A (ko) 2008-01-09 2009-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354B1 (ko) 2008-01-31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8067883B2 (en) 2008-02-29 2011-11-29 Corning Incorporated Frit sealing of large device
US10135021B2 (en) 2008-02-29 2018-11-20 Corning Incorporated Frit sealing using direct resistive heating
KR101628016B1 (ko) 2008-11-20 2016-06-08 주식회사 부업시대 순환 단계별 경조사 회원제로 운영되는 공동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831A (ko) * 2003-06-04 2006-02-2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73478A (ko) * 2007-12-31 2009-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1629B2 (en) 2013-08-19 2016-08-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246129B2 (en) 2014-04-16 2016-01-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O2020096402A1 (ko) * 2018-11-09 202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연계 저온 소성 글라스 프릿, 페이스트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유리 조립체
US11597675B2 (en) 2018-11-09 2023-03-07 Lg Electronics Inc. Low temperature-calcined lead-free glass frit and paste, and vacuum glass assembly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05293B2 (en) 2013-03-26
US20120056523A1 (en) 2012-03-08
KR101710180B1 (ko)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180B1 (ko) 평판 표시 장치 및 평판 표시 장치용 원장기판
US1160079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for increasing contact area between sealing member and insulating layers
KR101127594B1 (ko) 평판 표시 장치
CN1668152B (zh) 电致发光显示器件
KR101473309B1 (ko)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1811571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838077B1 (ko) 평판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EP1814159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806285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238302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138168A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US7948177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protective laye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79163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814158B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886804B2 (ja) フリットシーリングシステム及びそれを利用した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US7586255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f dual-panel typ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0262273A (ja) レーザ照射装置及び平板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KR20150046645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10507A (ko)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15004262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3118074A (ja) 表示装置
US2014018698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80046401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4281256A (ja) 表示パネル
KR20080104452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