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073A - 요동 연결구 - Google Patents

요동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073A
KR20120023073A KR1020117029470A KR20117029470A KR20120023073A KR 20120023073 A KR20120023073 A KR 20120023073A KR 1020117029470 A KR1020117029470 A KR 1020117029470A KR 20117029470 A KR20117029470 A KR 20117029470A KR 20120023073 A KR20120023073 A KR 2012002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mounting
shackle
support body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9506B1 (ko
Inventor
마사오 호리카와
히로키 기타노
Original Assignee
나니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니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니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engaging holes, recesses, or abutments on articles specially provided for facilitating handl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16G15/06Shackles designed for attachment by joint pins to chain elements, e.g. D-shackles so called harp links; the D-chain link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114Articulated members including static joint
    • Y10T403/32221Articulate joint comprises pivoted clevis or channel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샤클 및 지지 본체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장착 대상에 설치한 대직경의 나사공에 장착 볼트로 지지 본체를 장착할 수 있는 요동 연결구를 제공한다. 샤클(5)을 지지 본체(19)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를 설치하고, 지지 본체(19)의 장착 볼트(11)는 그 양단부에 서로 직경이 다른 제1 수나사부(1)와 제2 수나사부(2)를 따로 형성한 양 나사 볼트로 이루어지며, 제1 수나사부(1)와 제2 수나사부(2) 사이에, 연속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볼트 축부(3)를 형성하고, 볼트 축부(3)를 끼워맞추어 걸어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직경의 상기 제2 나사부를 관통시키는 볼트공(10)을 상기 지지 본체(19)에 설치하며, 볼트공(10)을 볼트 축부(3)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내경이 변화하는 내면 형상으로 형성하고, 볼트공(10)에 관통한 제2 수나사부(2)에 너트(6)를 나사결합시켜 장착 볼트(11)가 빠짐 방지 상태로 지지 본체(19)에 일체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요동 연결구{Oscillation coupler}
샤클과, 장착 대상에 장착 볼트로 나사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 본체와, 상기 샤클을 상기 지지 본체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지지 기구를, 상기 샤클의 한 쌍의 다리부 각각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과, 원활한 외주면을 가진 상태로 상기 지지 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축부를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상기 다리부의 상기 축부로부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요동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요동 연결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측에 회동 조작용 확경 머리부(11A)를 설치하고, 타단부에 한 종류의 나사경의 수나사부(11B)를 설치한 장착 볼트(11)를, 지지 본체(19)에 형성한 볼트공에 삽입통과시켜 장착 대상에 나사고정함으로써, 샤클(5)을 지지 본체(19)를 개재하여 장착 대상에 요동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있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2-154781호 공보
상술한 종래의 요동 연결구에서는, 샤클(5)에 후크를 걸어 매달아 올릴 수 있다. 장착 대상에 나사고정하는 장착 볼트(11)의 직경은 샤클(5)의 한 쌍의 다리부(5a) 간의 크기에 따라 정해진다. 그 때문에, 장착 대상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이 대직경인 경우, 이에 대응하는 대직경의 장착 볼트(11)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그 장착 볼트(11)의 직경에 대응한 다리부(5a) 사이가 큰 샤클(5)을 장착한 지지 본체(19)를 사용할 필요가 있어 요동 연결구가 무거워 취급성이 나쁘고, 게다가 고가의 것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클 및 지지 본체의 크기를 바꾸지 않고 장착 대상에 설치한 대직경의 나사공에, 지지 본체를 장착할 수 있는 요동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요동 연결구는 이하에 나타내는 제1 특징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요동 연결구는, 샤클과, 장착 대상에 장착 볼트로 나사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 본체와, 상기 샤클을 상기 지지 본체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요동 지지 기구에서는, 상기 샤클의 한 쌍의 다리부 각각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에 대해, 원활한 외주면을 가진 상태로 상기 지지 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축부를 끼워맞춤시키고 있다. 이 끼워맞춤부에는, 상기 다리부의 상기 축부로부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착 볼트는 그 양단부에 서로 직경이 다른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를 따로 형성한 양(兩) 나사 볼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수나사부 사이에는, 그들의 제1 수나사부부터 제2 수나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볼트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의 상기 제1 수나사부는 장착 대상물에 대한 연결부가 된다. 상기 지지 본체에는, 상기 볼트 축부를 끼워맞추어 걸어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직경의 상기 제2 나사부를 관통시키는 볼트공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은 상기 볼트 축부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내경이 변화하는 내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공에 상기 볼트 축부가 끼워맞춤되고, 상기 볼트공으로부터 관통한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너트를 나사결합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장착 볼트가 상기 지지 본체로부터 빠져나가지 않도록 양자가 일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 구성에 의하면, 장착 볼트를 양 나사 볼트로 하여 소직경의 제2 수나사부를 종래의 장착 볼트와 동일 직경으로 하여 지지 본체의 볼트공에 관통시켜 너트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지지 본체 및 샤클의 크기를 변경하지 않고 지지 본체에 장착 볼트를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체가 중량화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고 취급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수나사부의 직경을 제2 볼트와는 다른 것으로 하고, 장착 대상의 대직경의 볼트공에 나사결합할 수 있는 연결부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샤클에 후크를 걸어 장착 대상을 매달아 올리고자 할 때, 장착 볼트에 대해 그 축심에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잡아당기면, 장착 볼트에 작용하는 굽힘력이 서로 직경이 다른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 간의 단차부에 집중하여 장착 볼트가 파단하기 쉬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수나사부부터 제2 수나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볼트 축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을 상기 볼트 축부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내경이 변화하는 내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트 축부에는 특히 응력이 집중되기 쉬운 노치 형상의 단차부가 없기 때문에, 장착 대상을 매달아 올리고자 할 때에 볼트에 굽힘 응력이 작용해도 이 응력은 일부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지지 본체에 전달된다.
따라서, 굽힘 내력이 높은 요동 연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은, 상기 샤클을 상기 장착 볼트에 대해 그 축심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 기구가 상기 장착 볼트와 상기 지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특징 구성에 의한 상술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샤클의 자세를 모든 인장 방향에 대응시킬 수 있어 보다 편리함이 뛰어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동 연결구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요동 연결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동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형태의 요동 연결구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요동 연결구의 일부 절개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조립 상태의 요동 연결구(B)가, 또한 도 3에 분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 요동 연결구는, 샤클(5)과, 장착 대상에 장착 볼트(11)로 나사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 본체(19)와, 샤클(5)을 지지 본체(19)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샤클(5)의 한 쌍의 다리부(5a) 각각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과, 원활한 외주면을 가진 상태로 지지 본체(19)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축부(14)를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다리부(5a)의 축부(14)로부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S)을 설치하여 요동 지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장착 볼트(11)는, 서로 직경이 다른 대직경의 제1 수나사부(1)와 소직경의 제2 수나사부(2)를 양단부에 따로 형성한 양 나사 볼트로 이루어진다. 제1 수나사부(1)와 제2 수나사부(2) 사이에, 그들의 제1 수나사부(1)부터 제2 수나사부(2)에 걸쳐 연속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볼트 축부(3)가 형성되어 있다. 대직경의 제1 수나사부(1)는 장착 대상물에 대한 연결부를 구성하고 있다. 지지 본체(19)에는, 볼트 축부(3)를 볼트공(10)에 끼워맞추어 걸어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직경의 제2 수나사부(2)를 관통시키는 볼트공(10)이 설치되어 있다. 볼트공(10)은 볼트 축부(3)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내경이 변화하는 내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트공(10)에 볼트 축부(3)를 끼워맞춤시킨 상태로 볼트공(10)을 관통한 제2 수나사부(2)에 너트(6)를 나사결합시키고, 장착 볼트(11)가 빠짐 방지 상태로 지지 본체(19)에 일체 연결되어 있다.
역U자 형상의 샤클(5)은, 도 3에 도시된 직선형상의 샤클용 양(兩)머리 로드(5R)를 열간(또는 상온 하)에서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굽힘 가공시에는 연결용 구멍(15)을 축부(14)에 끼워맞춤시키는 공정도 행해진다. 즉, 샤클(5)은 열지 못하게 축부(14)에 끼워맞춤되어 있어 통상은 빠져나오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샤클(5)에 상당한 인장 하중이 작용하는 등에 의해, 샤클(5)이 열려 변형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축부(14)에 형성된 나사 구멍(14a)에 나사(16) 고정된 와셔(17)를 설치하여 다리부(5a)의 축부(14)로부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상기 빠짐 방지 수단(S)을 구성하고 있다.
나사 구멍(14a) 및 그 아래 구멍은 그들의 가장 안쪽부가 축부(14)의 밑동 끝단까지는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샤클(5)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전단력을 받는 개소인 축부(14)의 가장 밑동부에서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것이 회피되어 있고, 이 점에서도 전단력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상기 지지 본체(19)는, 볼트공(10)을 내측에 형성하는 보스부재(7)와 그 보스부재(7)를 내측끼움하는 트러니언(13)으로 이루어진다. 보스부재(7)에 대해서는, 트러니언(13)이 볼트 축심에 따른 종축심(X) 둘레로 회동이 자유롭게 끼움 장착되고, 샤클(5)을 장착 볼트(11)에 대해 그 축심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보스부재(7)는, 아래쪽일수록 직경이 확대되는 나팔형상의 볼트공(1O) 붙이 하측 보스(7A)와 볼트공(10) 붙이 덮개형상의 상측 보스(7B)의 압입(壓入)적인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착 볼트(11)의 제2 수나사부(2)와 볼트 축부(3)는 두 볼트공(10)을 관통하여 장비되고, 너트(6)를 제2 수나사부(2)에 끼워맞춤시켜 장착 볼트(11)가 지지 본체(19)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너트(6)가 제2 수나사부(2)로부터 풀어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빠짐 방지 핀(4)이 제2 수나사부(2)에서 그 직경방향을 따라 형성한 핀공(12)에 삽입 및 이탈이 자유롭게 끼워 넣어져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하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1 수나사부(1)의 직경 및 그 직경에 대응한 볼트공(10)은 제2 수나사부(2)와의 조합에 있어서 변경 가능하고, 장착 대상에 형성된 이미 만들어져 있는 볼트공(10)에 적합한 것을 형성하면 된다.
?보스부재(7)는 하측 보스(7A)와 상측 보스(7B)를 압입하여 끼워맞춤 연결시키지 않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맞닿게 하기만 해도 된다. 그렇게 하면, 간단히 보스부재(7)를 분해하여 제1 수나사부(1)의 직경과 제2 수나사부의 직경의 조합이 다른 장착 볼트(11)에 대응한 보스부재(7)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상기 너트(6)에 대한 빠짐 방지 핀(4)은, 너트(6) 및 제2 수나사부(2)에 모두 관통하는 핀공을 설치하고, 그 핀공에 삽입하여 너트(6)의 회전방지도 구비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상기 보스부재(7)는, 지지 본체(19)를 볼트 축심 둘레로 회동 지지하기 쉽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보스부재(7)를 설치하지 않고 트러니언(13)에 직접 장착 볼트(11)를 삽입통과시키는 볼트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부호를 기입하였지만, 이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태양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요동 연결구는,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리는 대상물에 장착하여 그 대상물의 설치 자세를 바꾸거나 운반하거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샤클과, 장착 대상에 장착 볼트로 나사고정이 가능하게 구성된 지지 본체와, 상기 샤클을 상기 지지 본체에 대해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요동 지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 지지 기구를, 상기 샤클의 한 쌍의 다리부 각각에 형성된 연결용 구멍과, 원활한 외주면을 가진 상태로 상기 지지 본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축부를 끼워맞춤시킴과 동시에, 상기 다리부의 상기 축부로부터의 빠져나감을 저지하는 빠짐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요동 연결구로서,
    상기 장착 볼트는 그 양단부에 서로 직경이 다른 제1 수나사부와 제2 수나사부를 따로 형성한 양 나사 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수나사부와 상기 제2 수나사부 사이에, 그들의 제1 수나사부부터 제2 수나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직경이 변화하는 볼트 축부를 형성하며,
    대직경의 상기 제1 수나사부를 장착 대상물에 대한 연결부에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볼트 축부를 끼워맞추어 걸어고정시킴과 동시에 소직경의 상기 제2 나사부를 관통시키는 볼트공을 상기 지지 본체에 설치하고,
    상기 볼트공을 상기 볼트 축부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내경이 변화하는 내면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볼트공에 상기 볼트 축부를 끼워맞춤시킨 상태로 상기 볼트공을 관통한 상기 제2 수나사부에 너트를 나사결합시켜 상기 장착 볼트가 빠짐 방지 상태로 상기 지지 본체에 일체 연결되어 있는 요동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클을 상기 장착 볼트에 대해 그 축심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회동 지지 기구가 상기 장착 볼트와 상기 지지 본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요동 연결구.
KR1020117029470A 2009-05-15 2009-11-16 요동 연결구 KR101569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8808A JP4369989B1 (ja) 2009-05-15 2009-05-15 揺動連結具
JPJP-P-2009-118808 2009-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073A true KR20120023073A (ko) 2012-03-12
KR101569506B1 KR101569506B1 (ko) 2015-11-16

Family

ID=41443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470A KR101569506B1 (ko) 2009-05-15 2009-11-16 요동 연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99922A1 (ko)
EP (1) EP2431620B1 (ko)
JP (1) JP4369989B1 (ko)
KR (1) KR101569506B1 (ko)
CN (1) CN102422033B (ko)
WO (1) WO20101313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63B1 (ko) * 2015-08-07 2016-09-08 김중호 인양용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46495B3 (de) * 2010-09-24 2011-11-10 Hübner GmbH Gelenk eines Gelenkfahrzeugs
US9664224B2 (en) * 2012-07-31 2017-05-30 Pewag Austria Gmbh Ring nut
US20140327262A1 (en) * 2013-05-02 2014-11-06 Mjt Holdings, Llc Quick connect omni-positional hoist ring assembly
LU92243B1 (fr) * 2013-07-08 2015-01-09 Intelprop Sa Anneau de levage
CN103434922A (zh) * 2013-09-12 2013-12-11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全回转式筒体法兰的吊点
CN104454958A (zh) * 2014-10-30 2015-03-25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销轴中部单面削平型铰接连接
CN104787662A (zh) * 2015-05-05 2015-07-22 刘银明 一种高强度起吊环
DE102015223161A1 (de) 2015-11-24 2017-05-24 Rud Ketten Rieger & Dietz Gmbh U. Co. Kg Anschlagpunkt mit beweglicher Kippachse
SG10201605907YA (en) * 2016-07-19 2018-02-27 Tiong Bin Seow A rotatable anchoring assembly
US20180228516A1 (en) * 2017-02-14 2018-08-16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implant system and method
KR20220079520A (ko) * 2019-08-02 2022-06-13 브랜드세이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콘크리트 앵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회전식 서스펜션 포인트
KR200496065Y1 (ko) * 2020-08-26 2022-10-26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회전 각도 가변식 샤클구조체
US20230115353A1 (en) * 2021-10-12 2023-04-13 Miller Industries Towing Equipment, Inc. Self-aligning, rotating d-ring for recovery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49069A (en) * 1931-03-16 1932-03-15 Dardelet Threadlock Corp Sucker rod
US2748646A (en) * 1952-09-13 1956-06-05 Harold William Separable eye for a bolt
DE1500642A1 (de) * 1966-08-30 1969-02-13 American Drill Bushing Company Befestigungsvorrichtung
US3492033A (en) * 1968-09-18 1970-01-27 Charles R Mueller & Sons Inc Clevis assembly
FR2374547A1 (fr) * 1976-12-15 1978-07-13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d'assemblage de deux pieces
FR2483548A1 (fr) * 1980-05-28 1981-12-04 Alsthom Atlantique Dispositif d'accouplement entre deux rotors
US4431352A (en) * 1981-09-28 1984-02-14 Andrews Gary E Fastening device
DE3204930C2 (de) * 1982-02-12 1986-06-12 Gebr. Eickhoff Maschinenfabrik U. Eisengiesserei Mbh, 4630 Bochum Vorrichtung zum Transportieren oder Aufhängen von Maschinenteilen
JPS5943711U (ja) * 1982-09-16 1984-03-22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イボルト
US4607990A (en) * 1984-10-24 1986-08-26 Westinghouse Electric Corp. Unipak tie-down system
JPS61184112U (ko) * 1985-05-09 1986-11-17
JPH061585Y2 (ja) * 1988-06-13 1994-01-12 正行 竹内 吊り治具
US5103755A (en) * 1991-01-22 1992-04-14 The Crosby Group, Inc. Hoisting line fittings with working load limit indicia
US5586801A (en) * 1994-10-27 1996-12-24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 Dock Company Stud mounted hoist ring
US6612631B1 (en) * 1997-08-19 2003-09-02 Actek Trench plate connector
GB9725088D0 (en) * 1997-11-25 1998-01-28 Aston John A Hoist ring assembly
US6199925B1 (en) * 1999-06-23 2001-03-13 Cbc Industries, Inc. High load capacity hoist ring
JP3606802B2 (ja) * 2000-11-21 2005-01-05 浪速鉄工株式会社 揺動連結具
US7114872B2 (en) * 2001-04-11 2006-10-03 Cbc Industries, Inc. Wrenchless hoist ring mounting
JP2002332187A (ja) * 2001-05-07 2002-11-22 Iwao Hiramatsu 二軸回転吊りフック
US6749237B1 (en) * 2001-06-08 2004-06-15 Shu Lan Ma Unitary body swiveling hoist r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164598B4 (de) * 2001-12-21 2006-12-14 Rud-Kettenfabrik Rieger & Dietz Gmbh U. Co. Anschlussvorrichtung zum Anschließen von Anschlag- oder Verzurrmitteln
US7393152B2 (en) * 2005-09-20 2008-07-01 Federal Mogul World Wide, Inc. Cone adaptor for ball joint studs, tie rods, sway bar links and the like
JP4713387B2 (ja) * 2006-03-31 2011-06-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ボルト接合構造
JP2008143685A (ja) * 2006-12-13 2008-06-26 Martec Kk 円滑旋回型吊持具
JP2009067567A (ja) * 2007-09-14 2009-04-02 Itsuo Kitahata 吊り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163B1 (ko) * 2015-08-07 2016-09-08 김중호 인양용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1620A4 (en) 2013-03-06
JP2010266015A (ja) 2010-11-25
CN102422033B (zh) 2014-01-22
EP2431620A1 (en) 2012-03-21
WO2010131381A1 (ja) 2010-11-18
JP4369989B1 (ja) 2009-11-25
EP2431620B1 (en) 2014-03-05
US20120099922A1 (en) 2012-04-26
CN102422033A (zh) 2012-04-18
KR101569506B1 (ko)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3073A (ko) 요동 연결구
US5690457A (en) Eyebolt
WO2019092687A1 (en) Swivel shackle sets
US10421644B2 (en) Pivoting lifting ring for lifting loads
CN102422032A (zh) 用于可拆开地连接大厚度零件的系统
EP2625435B1 (en) Pivot connection with locking element
EP2361870A1 (en) Eyebolt lifting provided with unscrewing device
JP2011073512A (ja) 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
US20080245049A1 (en) Coupling element for a shackle
KR101180674B1 (ko) 스위블형 롱 훅
EP2182228B1 (en) Eyelet fastening device
US9856900B1 (en) Step Bolt Connector Assembly
US10100901B1 (en) Swivel shackle sets
TW201109542A (en) Force-taking conn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connection
JP3188467U (ja) シャックル
JP3206678U (ja) 吊具用カップリング
CN112145539B (zh) 一种可脱扣的封闭式挂环安装方法
CN219115551U (zh) 转向器外拉杆、转向器拉杆总成及汽车
CN209835399U (zh) 一种u形吊环
CN103459862B (zh) 用于将负载紧固在支承构件上的承载紧固套筒
EP2274194B1 (en) Suspension system for anti-roll bar
EP0945648A1 (en) Tensioning device for tension bars and/or compression bars or like elements
JP5102055B2 (ja) 支持線端部の電柱係止用バンド
WO2024010455A1 (en) A device for distancing flag ropes from a flag pole
US20140115833A1 (en) Double-Pin Sha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