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973A -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973A
KR20120022973A KR1020117027394A KR20117027394A KR20120022973A KR 20120022973 A KR20120022973 A KR 20120022973A KR 1020117027394 A KR1020117027394 A KR 1020117027394A KR 20117027394 A KR20117027394 A KR 20117027394A KR 20120022973 A KR20120022973 A KR 20120022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unction
input
segment
regis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사무 바바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다양하면서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 취급하기 쉬운 조작 패턴을 등록하고, 그 조작 패턴의 입력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휴대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 단말 장치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과, 터치 패널이 갖는 세그먼트 영역 중, 인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부와,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부와, 인식된 입력 패턴과, 기억되어 있는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MOBILE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나 모바일 PC 등으로 대표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일반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고령자나 유년자가 휴대 단말 장치를 보유하는 것도 흔한 일이다. 이에 수반하여, 유저에게 있어서 조작하기 쉬운 휴대 단말 장치(유니버설 디자인화)에 관한 기술이 다양하게 고안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8-90680호 공보)에는 다음과 같은 휴대 단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원형 터치 패드 상에 있어서의 둘레 회전 방향의 조작 입력을 검지하고, 그 둘레 회전 방향과 회전수에 따라서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 특허 문헌 2(일본 특허 공개 제2007-74716호 공보)에는 다음과 같은 휴대 단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 장치는, 터치 패드에의 입력에 따라서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하고, 당해 터치 패널을 조작할 수 없는 상태, 예를 들면 케이스가 닫혀 있는 경우나 통화 중에는 그 터치 패널을 비액티브화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8-90680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2007-74716호 공보
그러나 상기 기술은, 이하의 점에서 개선된 여지를 갖고 있었다. 특허 문헌 1의 휴대 단말 장치는, 자기가 갖는 기능이 적은 경우는 효과적이지만, 자기가 갖는 기능이 많아질수록 많은 회전수가 필요해져, 조작에 따른 부담이 증대되었다. 또한, 어떤 기능이 어떤 조작(회전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것인지 유저가 기억하기 어려웠다. 또한, 동일한 터치 패널 상을 수회 덧그리기 때문에, 유저가 몇 회전 덧그렸는지 오인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양하면서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 취급하기 쉬운 조작 패턴을 등록하고, 그 조작 패턴의 입력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이 갖는 상기 세그먼트 영역 중,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수단과,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수단과, 상기 패턴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스텝과,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스텝과, 상기 패턴 인식 스텝에서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스텝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에 읽어내어지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억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처리와,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처리와, 상기 패턴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처리에 의해 기억된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처리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발명에 따르면, 터치 패널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등록 패턴으로서 등록하기 위해, 유저가 수회 동일한 세그먼트 영역을 접촉할 필요가 없고, 유저는 접촉한 세그먼트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 오입력 방지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터치 패널 상의 동작(제스처)으로서 등록 패턴을 기억할 수 있어, 다종류의 등록 패턴이어도 기억하기 쉽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의 등록 패턴은,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세그먼트 영역과, 그 세그먼트 영역에 인접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 패턴은, 그 일부 또는 전부의 세그먼트 영역이, 유저의 제스처의 분기점이 된다. 따라서, 보다 복잡하고 또한 다종의 등록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하면서 또한 유저에게 있어서 취급하기 쉬운 조작 패턴을 등록하고, 그 조작 패턴의 입력에 따라서,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적절한 실시 형태, 및 그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가 구비하는 터치 패널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기억되는 등록 패턴과 그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기억되는 등록 패턴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에 기억되는 등록 패턴과 기능과 입력 조건 정보와 순서 지정 정보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는 마찬가지의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100)는, CPU(중앙 처리 장치)(10)를 탑재하고 있고, CPU(10)는 버스(25)를 통해 각 구성 요소와 접속하고, 다양한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수수할 수 있다. 또한, CPU(10)는 접수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중 ROM(11)은, CPU(10)가 실행하기 위한 각종의 제어용 프로그램 등의 고정적인 데이터를 저장한 리드 온리 메모리이다.
작업용 메모리(12)는 RAM(랜덤 액세스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CPU(10)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일시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시 메모리(13)는, 전화 번호부 기능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개인명(법인명), 전화 번호, 메일 어드레스 등의 재기입 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음성 출력부(15)는, CPU(10)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스피커(14)로부터 음성 출력 가능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음성 입력부(17)는, 마이크(16)로부터 취득한 아날로그 신호를 CPU(1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조작 입력부(18)는, 터치 패널(19)이나 키 패널(20)이 접수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CPU(10)가 처리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터치 패널(19)은,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갖고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 영역은 유저의 접촉을 검지한다. 그리고, 터치 패널(19)은,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고 있다. 또한, 터치 패널(19)은, 유저의 접촉을 검지한 세그먼트 영역의 위치나, 그 위치의 이동에 따라서 유저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또한, 터치 패널(19)의 검지 방식은, 정전 용량 방식이어도 되고, 감압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터치 패널(19)의 검지 방식에 따라서, 터치 패널(19)은 유저의 손가락에 의한 접촉을 검지 가능해도 좋고, 터치 펜 등의 전용 도구에 의한 접촉을 검지 가능해도 좋다.
키 패널(20)은, 복수의 키를 갖고 있고, 유저가 누른 키를 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키 패널(20)은 유저가 누른 키의 종류나 조합에 따라서 유저의 조작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제어부(21)는, CPU(10) 사이에서 수수하는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표시부(22)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이다. 표시부(22)는, 흑백 혹은 컬러의 액정 패널 혹은 유기 EL(전자 형광) 등의 표시 장치이다.
통신부(23)는, CPU(10)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 등을, 안테나(24)를 통해 외부에 송신 가능한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며, 또한 외부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를 CPU(10)에 의해 처리 가능한 데이터 등으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도 2는, 휴대 단말 장치(100)가 구비하는 터치 패널(19)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에서는, 세그먼트 영역의 외곽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터치 패널(19)이 인식 가능하면 좋고, 유저가 시인 가능해도, 시인 불가능해도 좋다.
터치 패널(19)이 구비하고 있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은,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적어도 1개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인접하고 있다고 함은, 서로 세그먼트 영역의 외곽의 일부 또는 전부가 선으로 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점으로 접하는 세그먼트 영역은 제외된다.
예를 들면, 도 2의 (a)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19)은, 4개의 삼각형의 세그먼트 영역 A1?A4에 의해 구성되고, 음영되어 있는 세그먼트 영역 A2가 3개의 방향에 대하여 다른 세그먼트 영역 A1, A3, A4와 인접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19)은, 9개의 사각형의 세그먼트 영역 B1?B9에 의해 구성되고, 음영되어 있는 5개의 세그먼트 영역 B2, B4, B5, B6, B8이 3?4의 방향에 대하여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고 있다. 또한, 도 2의 (c)는, 22개의 세그먼트 영역에 의해 구성되고, 전부의 세그먼트 영역이 3?6의 방향에 대하여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고 있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100)는, 패턴 기억부(106)와, 패턴 인식부(101)와, 기능 기동부(102)와, 파일 관리부(103)와, 메일 작성부(104)와,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패턴 기억부(106)는, 도 1의 CPU(10)의 처리에 의해 상기 등록 패턴을 기억시킨, 도 1의 플래시 메모리(13)에 포함되는 기억 영역이다. 그리고, 패턴 인식부(101), 기능 기동부(102), 파일 관리부(103), 메일 작성부(104) 및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는, 도 1에 도시하는 CPU(10)가 ROM(1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다.
패턴 기억부(106)는, 터치 패널(19)이 갖는 세그먼트 영역 중, 인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휴대 단말 장치(100))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0)(패턴 기억부(106))에 기억되는 등록 패턴과 그에 대응지어지는 기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 나타내어지는 등록 패턴은, 도 2의 (a)의 터치 패널(19)을 예로 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의 (a)의 터치 패널(19)에 있어서의 A1, A2 및 A4로 이루어지는 No.1의 등록 패턴에는, 폴더 F(도시 생략)를 개시하는 기능이 대응지어져 있다. 도 2의 (a)의 터치 패널(19)에 있어서의 A1, A2 및 A3으로 이루어지는 No.2의 등록 패턴에는, 「obaba@obaba.ne.jp」가 수신처에 입력된 상태로 신규 메일을 작성하는 기능이 대응지어져 있다. 도 2의 (a)의 터치 패널(19)에 있어서의 A2, A3 및 A4로 이루어지는 No.3의 등록 패턴에는, 도 1의 스피커(14)의 출력 음량을 낮추는 것을 나타내는 기능이 대응지어져 있다.
도 5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터치 패널(19)에 있어서의 등록 패턴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음영되어 있는 세그먼트 영역이, 등록 패턴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이다. 이들 터치 패널(19)에 있어서,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B2, B4, B5, B6, B8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고 있다. 그리고, 세그먼트 영역 B2, B4, B5, B6, B8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등록 패턴을 생성하여, 패턴 기억부(106)에 기억함으로써, 상기 음영되어 있는 세그먼트 영역이 각각 분기점으로서 작용하고, 보다 다종의 등록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의 (a)와 도 5의 (b)는, 세그먼트 영역 B5가 분기점이 되어 다른 등록 패턴으로 되어 있고, 도 5의 (b)와 도 5의 (c)는, 세그먼트 영역 B6이 분기점이 되어 다른 등록 패턴으로 되어 있다.
패턴 인식부(101)는,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한다. 여기서, 연속적으로 접촉한 세그먼트 영역이란, 패턴 인식부(101)가 입력 패턴의 입력 개시를 인식하고 나서 입력 패턴의 입력 종료를 인식할 때까지 유저가 접촉한 세그먼트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패턴 인식부(101)는, 키 패널(20)에 포함되는 특정 키가 눌러진 후, 유저가 터치 패널(19)에 접촉하였을 때, 입력 패턴의 입력 개시라고 인식해도 된다. 그리고, 패턴 인식부(101)는, 입력 패턴의 입력이 개시된 후에, 유저의 터치 패널(19)에의 접촉이 분리되었을 때, 입력 패턴의 입력 종료라고 인식해도 된다.
기능 기동부(102)는, 패턴 인식부(101)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을 기동한다. 여기서, 일치하고 있다는 것은 완전 일치해도 되고, 입력 패턴이 등록 패턴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일치로 해도 되고, 등록 패턴과 입력 패턴에서 다소의 차를 허용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능 기동부(102)가, 도 4에 있어서의 No.1의 등록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경우, 휴대 단말 장치(100) 내에 보관되어 있는 파일의 보관 장소(폴더)를 관리하는 파일 관리부(103)를 기동한다. 그리고, 기능 기동부(102)는, 파일 관리부(103)를 제어하여 폴더 F를 검색시키고, 검색된 폴더 F를 개시시킨다. 그리고, 파일 관리부(103)는, 개시한 폴더 F의 개시 내용을 도 1의 표시 제어부(21)에 전송하고, 표시 제어부(21)는 전송된 폴더 F의 개시 내용을 도 1의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또한, 기능 기동부(102)가, 도 4에 있어서의 No.2의 등록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경우, 메일 작성부(104)와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를 기동한다. 또한, 메일 작성부(104)는, 조작 입력부(18)가 접수한 유저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전자 메일을 생성하고, 전자 메일의 작성 화면을 도 1의 표시 제어부(21)에 전송하여 표시부(22)에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는, 조작 입력부(18)가 접수한 유저의 조작 입력에 기초하여, 개인명이나 법인명(단체명)에 전화 번호 정보나 전자 메일 어드레스 정보 등을 대응지어 구성되는 전화 번호부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전화 번호부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13) 등의 기억 매체에 기억시키고, 전화 번호부 정보를 표시 제어부(21)에 전송하여 표시부(22)에 표시시킬 수 있다. 기능 기동부(102)는, 메일 작성부(104)와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를 기동한 후,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가 관리하는 전화 번호부 정보로부터 「obaba@obaba.ne.jp」를 검색시켜, 메일 작성부(104)에 신규인 전자 메일을 생성시키고,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가 검색한 「obaba@obaba.ne.jp」를 수신처란에 입력시키고, 그 작성 화면을 표시 제어부(21)에 전송시켜 표시부(22)에 표시시킨다.
또한, 기능 기동부(102)가, 도 4에 있어서의 No.3의 등록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경우, 기능 기동부(102)는 도 1의 스피커(14)를 제어하고, 출력 음량을 작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등록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한다고 함은, 휴대 단말 장치(100)가 구비하는 하드웨어로 실현되는 구성 요소 또는 소프트웨어로 실현되는 구성 요소의 한쪽 또는 쌍방을 제어하고, 그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ROM(11)에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19)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컴퓨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처리를 CPU(10)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ROM(11)에는,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처리를 CPU(10)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ROM(11)에는, 패턴 인식 처리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 처리에 의해 기억된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처리를 CPU(10)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19)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휴대 단말 장치(100))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스텝(스텝 S1)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키 패널(20)에 포함되는 특정 키가 눌러진 후(스텝 S2의 "예"),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스텝(스텝 S3)을 구비한다. 단, 키 패널(20)에 포함되는 특정 키가 눌러져 있지 않을 때(스텝 S2의 "아니오"), 상기 특정 키가 눌러질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패턴 인식 스텝(스텝 S3)에서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 스텝(스텝 S1)에서 기억된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스텝 S4의 "예"),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스텝(스텝 S5)을 구비한다. 단, 패턴 인식 스텝(스텝 S3)에서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 스텝(스텝 S1)에서 기억된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스텝 S4의 "아니오"), 다시 상기 특정 키가 눌러질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기능 기동 스텝(스텝 S5)에서 그 기능이 기동되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종료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터치 패널(19) 상에서 인접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등록 패턴으로서 등록하기 때문에, 유저가 수회 동일한 세그먼트 영역을 접촉할 필요가 없고, 유저는 접촉한 세그먼트 영역을 시인하기 쉬워 오입력 방지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등록 패턴은,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세그먼트 영역과, 그 세그먼트 영역에 인접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 패턴은, 그 일부 또는 전부의 세그먼트 영역이, 유저의 제스처의 분기점이 된다. 따라서, 보다 복잡하고 또한 다종의 등록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터치 패널이 갖는 세그먼트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고 있고, 복잡한 형상의 등록 패턴, 예를 들면 문자나 기호 등을 본뜬 등록 패턴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다종류의 등록 패턴이어도 기억하기 쉽다.
가령, 휴대 단말 장치가 문자나 기호 등을 본뜬 입력 패턴을 접수해도, 그것을 문자로서 인식하는 처리는 행하지 않으므로, 수기 입력된 문자 정보에 기초하여 기능을 기동하는 장치와 비교하여 처리 부하가 작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10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0)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휴대 단말 장치(100)와 비교하여 통화부(107)와, 시큐리티 로크 설정부(108)와, 기능 선택부(109)가 추가되어 있다.
또한, 통화부(107), 시큐리티 로크 설정부(108) 및 기능 선택부(109)는, 도 1에 도시하는 CPU(10)가 ROM(1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소프트웨어 기능이다.
통화부(107)는, 도 1의 통신부(23)와 안테나부(24)를 통하여 다른 전화기(도시 생략)와 통화 접속할 수 있다.
기능 선택부(109)는, 기능 기동부(102)가 패턴 인식부(101)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선택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패턴 기억부(106)는, 기능 선택부(109)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그 입력 패턴을 등록 패턴으로서 대응지어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패턴 기억부(106)는, 등록 패턴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를 지정하는 순서 지정 정보도,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패턴 기억부(106)는, 입력 패턴을 접수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조건 정보를,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 기억한다.
시큐리티 로크 설정부(108)는, 자기(휴대 단말 장치(100))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에 시큐리티 로크를 설정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패턴 기억부(106)는, 시큐리티 로크 설정부(108)에 의해 시큐리티 로크가 설정된 기능을,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 기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능 기동부(102)는,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에 설정되어 있는 시큐리티 로크를 해제하고, 그 기능을 기동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시큐리티 로크는, 도 7에 도시하는 파일 관리부(103), 메일 작성부(104),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 또는 통화부(107)의 각각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시큐리티 로크는, 상기 열거한 다양한 기능을 취급하는 개별 데이터, 예를 들면 파일 관리부(103)가 관리하는 파일 단위나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 단위로 설정해도 되고, 전화 번호부 관리부(105)가 관리하는 전화 번호부 정보마다 설정해도 된다.
또한, 시큐리티 로크는, 도 1에 도시하는 구성 요소의 각각에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0)(패턴 기억부(106))에 기억되는 등록 패턴과 기능과 순서 지정 정보와 입력 조건 정보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 나타내어지는 등록 패턴은, 도 2의 (b)의 터치 패널(19)을 예로 한 것이다.
예를 들면, 세그먼트 영역 B1, B4, B5, B8, B9로 이루어지는 No.1의 등록 패턴에는, 세그먼트 영역 B1을 입력의 개시 위치로서 지정하는 순서 지정 정보와, 키 패널(20)에 포함되는 특정한 키를 누르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입력 조건 정보와, 폴더 F를 개시하는 기능이 대응지어져 있다. 세그먼트 영역 B1 내지 B9로 이루어지는 No.2의 등록 패턴에는, B1→B2→B3→B6→B5→B4→B7→B8→B9의 순서로 입력하는 것을 지정하는 순서 지정 정보와, 메일 작성 기능의 기동 중인 것을 조건으로 하는 입력 조건 정보와, 「obaba@obaba.ne.jp」가 수신처에 입력된 상태로 신규 메일을 작성하는 기능이 대응지어져 있다. 세그먼트 영역 B1 내지 B9로 이루어지는 No.3의 등록 패턴에는, B5→B6→B3→B2→B1→B4→B7→B8→B9의 순서로 입력하는 것을 지정하는 순서 지정 정보와, 통화 중인 것을 조건하는 입력 조건 정보와, 스피커의 출력 음량(통화 음량)을 낮추는 기능이 대응지어져 있다.
여기서, 메일 작성 기능의 기동 중이란, 도 7의 메일 작성부(104)가 도 1의 표시 제어부(21)에 메일 작성 화면을 전송하여 표시부(22)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통화 중이란, 도 7의 통화부(107)가 도 1의 통신부(23)와 안테나부(24)를 통하여 다른 전화기(도시 생략)와 통화 접속하고 있는 상태이다.
No.2의 등록 패턴과 No.3의 등록 패턴은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은 동일하지만, 대응지어져 있는 입력 조건 정보와 순서 지정 정보가 서로 다르므로, 휴대 단말 장치(100)는 다른 등록 패턴으로서 인식하고, 패턴 기억부(106)에 개별로 기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패턴 인식부(101)는, 입력 패턴을 인식하고, 그 입력 패턴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인식한 순서를 나타내는 인식 순서 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패턴 인식부(101)는, 자기(휴대 단말 장치(100))가 입력 조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조건을 충족시킬 때, 입력 패턴을 인식한다.
또한, 패턴 인식부(101)는, 입력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조건을 충족시킨 후, 유저가 터치 패널(19)에 접촉하였을 때, 입력 패턴의 입력 개시라고 인식해도 된다.
그리고, 패턴 인식부(101)는, 입력 패턴의 입력이 개시된 후에, 유저의 터치 패널(19)에의 접촉이 분리되었을 때, 입력 패턴의 입력 종료라고 인식해도 된다. 또는, 패턴 인식부(101)는, 입력 패턴의 입력이 개시된 후에, 입력 조건 정보가 나타내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게 되었을 때, 입력 패턴의 입력 종료라고 인식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기능 기동부(102)는, 패턴 인식부(101)에 의해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부(106)에 기억되어 있는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고, 또한 입력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진 순서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와, 패턴 인식부(101)에 의해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그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을 기동한다.
또한, 입력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진 순서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와, 패턴 인식부(101)에 의해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그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 도 1의 표시 제어부(21)는 표시부(22)에 에러 메시지를 표시 출력시켜도 되고, 도 1의 음성 출력부(15)는 스피커(14)로부터 에러 메시지를 음성 출력시켜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능 기동부(102)가 등록 패턴에 대응하는 기능을 기동하는 방법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휴대 단말 장치(100)가 입력 조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조건을 충족시킬 때(스텝 T1의 "예"),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을 구비한다. 또한,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는, 입력 패턴을 인식하고, 그 입력 패턴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영역을 인식한 순서를 나타내는 인식 순서 정보를 생성한다. 단, 휴대 단말 장치(100)가 입력 조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을 때(스텝 T1의 "아니오"), 상기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 스텝(스텝 T8)에서 기억된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스텝 T3의 "예"), 또한 입력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진 순서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와,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그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스텝 T4의 "예"),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스텝(스텝 T5)을 구비한다.
단,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기억 스텝(스텝 T8)에서 기억된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스텝 T3의 "아니오"),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이하의 스텝을 실행한다. 우선, 기능 선택 스텝(스텝 T6)에서는, 자기(휴대 단말 장치(100))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선택한다. 그리고, 시큐리티 로크 설정 스텝(스텝 T7)에서는, 기능 선택 스텝(스텝 T6)에서 선택된 기능에 시큐리티 로크를 설정한다. 또한, 패턴 기억 스텝(스텝 T8)에서는, 스텝 T3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았던 입력 패턴을 등록 패턴으로서, 시큐리티 로크 설정 스텝(스텝 T7)에서 시큐리티 로크가 설정된 기능과 대응지어 기억한다.
여기서, 스텝 T8에서 기억되는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지는 순서 지정 정보는, 스텝 T2에서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이어도 된다. 또한, 스텝 T8에서 등록 패턴을 기억하면, 다시 상기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입력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한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진 순서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와,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그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스텝 T4의 "아니오"), 패턴 기억 스텝(스텝 T8)에서는,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 인식된 입력 패턴과, 패턴 인식 스텝(스텝 T2)에서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를, 각각 등록 패턴과 순서 지정 정보로서 대응지어 기억한다.
기능 기동 스텝(스텝 T5)에서는,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기능에 설정되어 있는 시큐리티 로크를 해제하고, 그 기능을 기동한다. 그리고, 기능 기동 스텝(스텝 S5)에서 그 기능이 기동되어, 본 실시 형태의 제어 방법은 종료로 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실시 형태는, 등록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입력 패턴을, 새로운 등록 패턴으로서 유저 임의의 기능과 대응지어 기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임의의 등록 패턴을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시큐리티 로크가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등록 패턴에 대응짓고, 그 등록 패턴과 일치하는 입력 패턴을 접수한 경우, 그 기능에 설정되어 있는 시큐리티 로크를 해제하고, 그 기능을 기동한다. 통상적으로, 시큐리티 로크가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기동하는 경우, 비밀 번호를 입력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여 시큐리티 로크를 해제하고 나서 그 기능을 기동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잡하고 또한 유저에게만 기억할 수 있는 비닉성이 높은 등록 패턴을 등록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유저가 등록 패턴과 일치하는 입력 패턴을 입력하는 조작을 시큐리티 로크의 해제 조작과 바꿔도 시큐리티상 문제는 없다. 이에 의해, 시큐리티 로크 해제 조작을 하고 나서 기능 기동 조작한다고 하는 2 스텝의 조작이 1 스텝의 조작으로 되므로, 조작 입력에 의한 유저의 부담 경감이나 조작성의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등록 패턴 각각에 입력 순서를 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비닉성이 높은 등록 패턴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기억하기 쉬운 문자나 기호 등의 형상을 본뜬 등록 패턴을 등록한 경우, 굳이 그 입력 순서를 정규의 기입순과는 반대로 하는 등에 의해 유저 이외의 자가 입력하기 어려운 등록 패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등록 패턴 각각에 입력 조건을 정할 수 있으므로,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타이밍에서 기능을 기동시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이며, 상기 이외의 다양한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3이나 도 7에 도시되는, CPU(10)가 ROM(11)으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기능은, 각각을 고유의 하드웨어 회로로서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와의 조합으로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버스(25)에 접속되는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이며, 그 일부가 없어도 되고, 다른 구성 요소가 버스(25)에 접속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 등의 화상을 촬상 가능한 카메라가 버스(25)에 접속되어도 되고, 텔레비전 방송파를 수신하는 텔레비전 안테나와 수신하는 텔레비전 방송파를 선국하는 튜너가 버스(25)에 접속되어도 된다. 이때, 휴대 단말 장치(100)는 카메라 기능이나 텔레비전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세그먼트 영역의 외곽을 삼각형이나 사각형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형상은 이들에 한정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기능 선택 스텝(스텝 T6)의 처리 후에, 시큐리티 로크 설정 스텝(스텝 T7)에서는, 스텝 T6에서 선택된 기능에 시큐리티 로크를 설정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시큐리티 로크를 설정하는 타이밍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미리 휴대 단말 장치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에 시큐리티 로크를 설정하고, 기능 선택 스텝에서 시큐리티 로크가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선택하였을 때, 패턴 기억 스텝에서는,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았던 입력 패턴을 등록 패턴으로서, 기능 선택 스텝에서 선택된 기능과 대응지어 기억해도 된다.
또한, 도 9에 있어서, 스텝 T3의 "아니오"일 때, 또는 스텝 T4의 "아니오"일 때, 스텝 T2에서 인식된 입력 패턴과, 스텝 T2에서 생성된 인식 순서 정보를 등록 패턴 및 순서 지정 정보로서 스텝 T8에서 대응지어 기억하는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스텝 T8에서 등록 패턴 및 순서 지정 정보를 대응지어 기억하는지의 여부를 유저가 임의로 선택하는 스텝을 설정하여도 된다.
또한, 당연히,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복수의 변형예는, 그 내용이 상반되지 않는 범위에서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각 구성 요소의 기능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그 기능 등은 본원 발명을 충족하는 각종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는 복수의 스텝을 순번대로 기재하고 있지만, 그 기재된 순번은 복수의 스텝을 실행하는 순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할 때에는, 그 복수의 스텝의 순번은 내용적으로 지장이 없는 범위로 변경할 수 있다.
본 출원은, 2009년 5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제2009-119959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모두를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8)

  1.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이 갖는 상기 세그먼트 영역 중,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自機)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수단과,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수단과,
    상기 패턴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수단
    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이 갖는 상기 세그먼트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가 갖는 상기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동을 억제하는 시큐리티 로크를 설정하는 시큐리티 로크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패턴 기억 수단은, 상기 시큐리티 로크 설정 수단에 의해 상기 시큐리티 로크가 설정된 상기 기능을, 상기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 기억하고,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은, 상기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에 설정되어 있는 상기 시큐리티 로크를 해제하고, 그 기능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기억 수단은, 상기 등록 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세그먼트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순서를 지정하는 순서 지정 정보를,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 기억하고,
    상기 패턴 인식 수단은, 상기 입력 패턴을 인식하고, 그 입력 패턴을 구성하는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인식한 순서를 나타내는 인식 순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은, 상기 입력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상기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진 상기 순서 지정 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상기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와, 상기 패턴 인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인식 순서 정보가 나타내는 그 세그먼트 영역의 순서를 비교하여 일치할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기동 수단이 상기 패턴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 상기 자기가 갖는 상기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유저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선택하는 기능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패턴 기억 수단은, 상기 기능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능에, 상기 입력 패턴을 상기 등록 패턴으로서 대응지어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기억 수단은, 상기 입력 패턴을 접수하는 조건을 나타내는 입력 조건 정보를, 상기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 기억하고,
    상기 패턴 인식 수단은, 상기 자기가 상기 입력 조건 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조건을 충족시킬 때, 상기 입력 패턴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7.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스텝과,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스텝과,
    상기 패턴 인식 스텝에서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스텝에서 기억된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스텝
    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8. 컴퓨터에 읽어내어지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억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복수의 세그먼트 영역 중, 하나의 세그먼트 영역이 적어도 3 이상의 방향에 대하여 각각 상이한 다른 세그먼트 영역과 인접하는 터치 패널 상에서,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등록 패턴에, 자기가 갖는 기능 중 어느 하나를 대응지어 기억하는 패턴 기억 처리와,
    유저가 연속적으로 접촉한 복수의 상기 세그먼트 영역을 입력 패턴으로서 인식하는 패턴 인식 처리와,
    상기 패턴 인식 처리에서 인식된 상기 입력 패턴과, 상기 패턴 기억 처리에서 기억된 상기 등록 패턴을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을 때, 그 등록 패턴에 대응지어져 있는 상기 기능을 기동하는 기능 기동 처리
    를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KR1020117027394A 2009-05-18 2010-04-26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20022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9959 2009-05-18
JPJP-P-2009-119959 2009-05-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23A Division KR20140129315A (ko) 2009-05-18 2010-04-26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973A true KR20120022973A (ko) 2012-03-12

Family

ID=4312596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23A KR20140129315A (ko) 2009-05-18 2010-04-26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20117027394A KR20120022973A (ko) 2009-05-18 2010-04-26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7123A KR20140129315A (ko) 2009-05-18 2010-04-26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26109A1 (ko)
EP (1) EP2434376A4 (ko)
JP (2) JP5767106B2 (ko)
KR (2) KR20140129315A (ko)
CN (1) CN102449580A (ko)
WO (1) WO20101342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44774B2 (en) 2015-05-15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671892B2 (en) 2013-05-14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1954A1 (en) * 2008-05-17 2011-10-13 David H. Chin Access of an online financial account through an applied gesture on a mobile device
JP5592245B2 (ja) * 2010-12-20 2014-09-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30008424A (ko) 2011-07-12 2013-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바로 가기 기능을 실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268796B1 (ko) * 2011-08-22 2013-05-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모션 패턴 인식 방법 및 장치
CN102685581B (zh) * 2012-05-24 2014-05-21 尹国鑫 智能电视多人手控系统
CN105307015A (zh) * 2015-10-30 2016-02-03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智能电视儿童锁的处理方法
US11561983B2 (en) 2019-03-07 2023-01-24 Throughputer, Inc. Online trained object property estimator
US11604867B2 (en) * 2019-04-01 2023-03-14 Throughputer, Inc. Graphic pattern-based authentication with adjustable challenge level
US11295334B2 (en) * 2019-04-30 2022-04-05 Bank Of America Corporation Batch transaction multiplexing engine
US11599624B2 (en) 2019-06-05 2023-03-07 Throughputer, Inc. Graphic pattern-based passcode generation and authent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7611A (ja) * 1994-11-09 1996-05-31 Toshiba Corp ジェスチャイメージ登録方法及び文書作成装置
US6639584B1 (en) * 1999-07-06 2003-10-28 Chuang Li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a touchpad
JP2002091688A (ja) * 2000-09-12 2002-03-29 Fuji Xerox Co Ltd ストロークコマンドの入力支援方法および装置
JP2004525675A (ja) * 2001-01-24 2004-08-26 インターリンク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ゲーム及びホーム・エンターテイメント・デバイス遠隔制御
US20040248621A1 (en) * 2001-09-06 2004-12-09 Lennart Scho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touch screen with special input functionality
FI20021655A (fi) * 2002-06-19 2003-12-20 Nokia Corp Menetelmä lukituksen avaamiseksi ja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JP4210846B2 (ja) * 2003-07-18 2009-01-21 ソニ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US7180501B2 (en) * 2004-03-23 2007-02-20 Fujitsu Limited Gesture based navigation of a handheld user interface
US20050273761A1 (en) * 2004-06-07 2005-12-08 The Mathworks, Inc. Freehand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editing, and manipulating block diagrams
US7519223B2 (en) * 2004-06-28 2009-04-14 Microsoft Corporation Recognizing gestures and using gestures for interacting with software applications
US20060075250A1 (en) * 2004-09-24 2006-04-06 Chung-Wen Liao Touch panel lock and unlock function and hand-held device
EP1758345B1 (en) 2005-08-26 2016-1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US7657849B2 (en) * 2005-12-23 2010-02-02 Apple Inc. Unlocking a device by performing gestures on an unlock image
JP4802962B2 (ja) 2006-10-03 2011-10-2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の機能起動方法
JP2008305244A (ja) * 2007-06-08 2008-12-18 Calsonic Kansei Corp 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の操作パターン検出システム
US8842091B2 (en) * 2007-07-12 2014-09-23 Atmel Corporation Two-dimensional touch panel
JP2009119959A (ja) 2007-11-13 2009-06-04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KR100978929B1 (ko) * 2008-06-24 2010-08-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준 제스처 데이터 등록방법, 이동단말의 구동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이동단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1892B2 (en) 2013-05-14 2017-06-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US10437378B2 (en) 2013-05-14 2019-10-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receives an input to an input area of the input apparatus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by using the input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ensor
US9544774B2 (en) 2015-05-15 2017-01-10 Samsung Display Co., Ltd.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4376A1 (en) 2012-03-28
WO2010134269A1 (ja) 2010-11-25
KR20140129315A (ko) 2014-11-06
JP2015201229A (ja) 2015-11-12
EP2434376A4 (en) 2012-12-05
US20120026109A1 (en) 2012-02-02
JPWO2010134269A1 (ja) 2012-11-08
CN102449580A (zh) 2012-05-09
JP5767106B2 (ja)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2973A (ko) 휴대 단말 장치, 휴대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8872617B2 (en) Data-processing device and data-processing program with bio-authorization function
US20100031200A1 (en) Method of inputting a hand-drawn pattern password
US20090160814A1 (en) Hot function setting method and system
US20110247065A1 (en) Simultaneous screen unlock and operation initiation
JP2012521170A (ja) 生体認識スキャン構成およびその方法
CN104662507B (zh) 用户设备处的搜索
KR102253453B1 (ko) 그룹을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EP2884382B1 (en) Dynamic application association with hand-written pattern
JP449741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通信相手選択発信方法
CN109189243B (zh) 输入法切换方法、装置及用户终端
JP5332956B2 (ja) 情報処理装置、項目表示制御方法、項目利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434552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5217947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状態表示方法
WO2012008425A1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06778296B (zh) 一种访问对象的访问方法、装置及终端
KR20040079844A (ko) 소형 키패드를 이용한 알파벳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US20150248545A1 (en) Sign shortcut
JP5257841B2 (ja) コマンド入力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0332830B1 (ko) 한글 메모리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의 한글 입력 및 검색방법
CN11276463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475792A (zh) 快捷访问锁屏应用的方法和装置
JP7139888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1147751A (ja) 情報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87570A (ja) 携帯端末及び機能起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26

Effective date: 201507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60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926

Effective date: 2015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