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496A -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496A
KR20120020496A KR1020100084131A KR20100084131A KR20120020496A KR 20120020496 A KR20120020496 A KR 20120020496A KR 1020100084131 A KR1020100084131 A KR 1020100084131A KR 20100084131 A KR20100084131 A KR 20100084131A KR 20120020496 A KR20120020496 A KR 20120020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por
ejector
hood
compressed air
work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884B1 (ko
Inventor
이동규
최주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88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5/00Making pig-iron in the blast furnace

Abstract

본 발명은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철소의 작업 대상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의 통과시 압력이 강하되는 제1이젝터부;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향해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제1후드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 및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1후드부로 이동되게 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ARATUS FOR REMOVING WATER VAP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철소의 작업 대상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선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제강공정이 이루어지는 야드에서는 고온의 슬래브의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냉각수를 분사하므로 슬래브 주변에 수증기가 발생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제철소의 작업 대상물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의 통과시 압력이 강하되는 제1이젝터부;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향해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제1후드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 및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1후드부로 이동되게 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이젝터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유입 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제트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작업 대상물의 일측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상기 제1후드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 및 작업 대상물의 타측과 상기 제1후드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되는 수증기를 상기 제1후드부 측으로 안내하는 유도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팬은 상기 제1후드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비교하여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배출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의 통과될 때에 압력이 강하되는 제2이젝터부;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2이젝터부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향해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제2후드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와 상기 제2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 및 상기 제1후드부와 상기 제2후드부에 설치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이젝터부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양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1배출부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보조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유입부는, 상기 제1배출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보조유입관; 및 상기 보조유입관의 유입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유입관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보조제트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후드부 또는 상기 제2후드부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거르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작업 대상물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분사부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분사부가 구동되면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후드부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방하고 송풍부를 구동시켜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상기 후드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분사부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부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작업 대상물 주변에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하므로 작업 대상물 주변에 설치되는 전기장치들이 수분에 의해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100)는 유입부(110)와, 제1이젝터부(120)와, 제1후드부(130)와, 제1배출부(140)와, 송풍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증기 제거장치(100)는 이송롤러(미도시)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1)의 측부에 설치되며, 유입부(110)와, 제1이젝터부(120)와, 제1배출부(140)는 하나의 관(管)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유입부(110)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유입부(110)는 유입관(111)과 제트팬(113)을 포함한다.
유입관(111)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이송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유입관(111)의 일측, 즉 유입 측 단부는 외부를 향해 개방되며, 유입관(111)의 타측은 후술할 제1이젝터부(120)와 연통된다.
제트팬(113)은 유입관(111)의 유입 측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트팬(113)은 유입관(111)의 유입 측 단부에서 회전되어 유입관(111)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킨다. 제트팬(113)에 의해 유입관(111)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유입관(111)을 통해 제1이젝터부(120)로 이송된다.
제1이젝터부(120)는 유입부(1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1이젝터부(120)는 유입관(111)의 타측과 연결됨으로써 유입부(110)의 내부와 연통되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통과될 때에 내부의 압력이 강하된다. 일례로서, 제1이젝터부(120)는 유입관로(121)와, 배출관로(123) 및 흡입관로(125)를 포함한다.
유입관로(121)는 유입부(110)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이러한 유입관로(121)는 유입부(110), 즉 유입관(111)으로부터 이송되는 압축공기의 유로 폭을 좁힘으로써, 배출관로(123)로 이동되는 압축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배출관로(123)에서 압력 강하가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입관로(121)의 일례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오리피스부재가 적용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출관로(123)는 유입관로(121)와 후술할 제1배출부(140) 사이에 위치되어 유입관로(121)와 제1배출부(140)를 연결한다. 배출관로(123)는 유입관로(121)보다 넓은 유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배출관로(123)의 내부에는 유입관로(121)를 통과하는 압축공기로 인해 압력 강하가 발생된다.
흡입관로(125)는 배출관로(123)와 연결된다. 배출관로(123)의 압력 강하 발생시 흡입관로(125)에는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흡입관로(125)는 후술할 제1후드부(130)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를 배출관로(123) 측으로 흡입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제1이젝터부(120)는,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통과될 때에 내부의 압력이 강하되어 흡입관로(125)를 통해 수증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흡입된 수증기를 배출관로(123)를 통해 제1배출부(140)로 배출하게 된다.
제1후드부(130)는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가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1)을 향해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를 흡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후드부(130)는 작업 대상물(1)의 측부 측에 배치되며, 작업 대상물(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수증기 제거장치(100)는 연결부(135)를 더 포함한다. 연결부(135)는 제1후드부(130)와 제1이젝터부(120)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35)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며, 일측이 제1이젝터부(120)의 흡입관로(125)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후드부(130)와 연결된다. 일례로서, 연결부(135)는 굴곡이 자유로운 주름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135)를 매개로 제1이젝터부(120)와 연결되는 제1후드부(130)에는, 제1이젝터부(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흡입관로(125)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후드부(130)는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처럼 제1후드부(13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는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된다.
제1배출부(140)에서는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된다. 일례로서, 제1배출부(140)는 배출관(부호생략)을 구비하며, 배출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어 제1이젝터부(120)를 통과한 압축공기는 제1배출부(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되는 수증기는 배출관로(123)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제1배출부(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송풍부(150)는 작업 대상물(1)의 일측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를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152)과, 작업 대상물(1)의 타측과 제1후드부(130) 사이에 설치되고 송풍팬(152)에 의해 이동되는 수증기를 제1후드부(130) 측으로 안내하는 유도팬(154)을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1)이 이동될 때에 분사부(170)를 통해 냉각수가 분사되면 작업 대상물(1)이 냉각되면서 수증기 발생되는데, 송풍팬(152)에 의해 수증기가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된다.
송풍팬(152)에 의해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된 수증기는 유도팬(154)에 의해 다시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되므로 작업 대상물(1)의 표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되는 수증기를 효과적으로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유도팬(154)은 제1후드부(130)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고 송풍팬(152)과 비교하여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송풍팬(152)에 의해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되는 수증기는 송풍팬(152)과 멀어지면서 어느 정도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송풍팬(152)과 비교하여 상측에 배치되는 유도팬(154)에 의해 수증기는 다시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되므로 수증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100)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송장치(180)에 의해 작업 대상물이 공급되면 분사부(170)를 통해 냉각수가 작업 대상물에 공급되고, 제트팬(113)이 구동되어 작업 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제트팬(113)의 작동에 의해 유입관(111)으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면, 이 유입관(11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제1이젝터부(120)로 이송된다. 제1이젝터부(120)로 이송된 압축공기는 유로 폭이 급격히 좁아진 유입관로(121)를 통과하며 그 속도가 증가되며 배출관로(123)를 통과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배출관로(123)에는 압력 강하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흡입관로(125)에는 수증기를 배출관로(123) 측으로 흡입하는 흡입력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흡입관로(125)에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작업 대상물(1)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후드부(130)는 작업 대상물(1)의 측부에서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흡입한다. 제1후드부(13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는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된다.
이때, 작업 대상물(1)의 일측에 설치되는 송풍팬(152)에 의해 수증기가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되며 상승되는 수증기가 유도팬(154)에 의해 제1후드부(130) 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수증기가 제1후드부(130)에 의해 흡입되지 않고 이송장치(180) 측으로 상승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된, 구체적으로 흡입관로(125)를 통해 배출관로(123)로 흡입된 수증기는, 유입관로(121)를 거쳐 배출관로(123)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제1배출부(1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례로서, 제1배출부(140)는 작업 대상물(1)이 이송되는 작업장의 외부로 연장되어 수증기를 작업 대상물(1)이 이송되는 작업장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수증기 제거장치(100)는,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제거하여 이송장치(180)의 전기장치가 수증기에 의해 오작동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증기 제거장치(100)는,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주변으로 불어내거나 흩어버리지 않고, 제1이젝터부(120)에 의해 발생되는 흡입력을 이용하여 수증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제거하고, 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수증기 제거 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수증기로 인한 이송장치(180)의 부식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시예와 구성 및 기능이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인용하였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200)는 유입부(110)와, 제1이젝터부(120)와, 제1후드부(130)와, 제1배출부(140)와, 제2이젝터부(250)와, 제2후드부(260)와, 제2배출부(270)와, 송풍부(150)와, 밸브(29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110)와, 제1이젝터부(120)와, 제1배출부(140)와, 제2이젝터부(250) 및 제2배출부(270)는 하나의 관(管)을 이루며 일체로 형성된다.
제2이젝터부(250)는 제1배출부(140)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이젝터부(250)는 제1배출부(140)의 타측과 연결됨으로써 제1배출부(140)의 내부와 연결되며, 제1배출부(140)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통과될 때에 내부의 압력이 강하된다. 이러한 제2이젝터부(250)의 구조 및 작용은 유입관로(121)와, 배출관로(123) 및 흡입관로(125)를 포함하는 제1이젝터부(120)의 구조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이젝터부(250)는 제1배출부(140)의 길이만큼 제1이젝터부(120)와 이격된 위치에서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제2후드부(260)는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가 제2이젝터부(250)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1)을 향해 설치되어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를 흡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후드부(260)는 작업 대상물(1)의 측부 측에 배치되고, 작업 대상물(1)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후드부(260)는 연결부(265)를 매개로 제2이젝터부(250)와 연결된다. 제2후드부(260)와 제2이젝터부(250)를 연결하는 연결부(265)의 구성 및 작용은, 제1후드부(130)와 제1이젝터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5)의 구성 및 작용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265)를 매개로 제2이젝터부(250)와 연결되는 제2후드부(260)에는 제2이젝터부(250)를 통해 발생되는 흡입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후드부(260)는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처럼 제2후드부(260)에 의해 흡입된 수증기는 제2이젝터부(250)로 흡입된다.
제2배출부(270)에서는 제1이젝터부(120)로 흡입되는 수증기와 제2이젝터부(250)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된다. 일례로서, 제2배출부(270)는 배출관(부호생략)을 구비하며, 배출관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어 제1이젝터부(120)를 통과한 후 제1배출부(140)로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제2이젝터부(250)를 통과한 후 제2배출부(2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1후드부(130)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는 제1이젝터부(120)에서 압축공기와 혼합되어 압축공기와 함께 제1배출부(140)로 배출되며, 제2후드부(260)를 통해 흡입되는 수증기는 제2이젝터부(250)에서 압축공기 및 제1이젝터부(120)에서 흡입된 수증기와 혼합되어 제2배출부(27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수증기 제거장치(200)는 보조유입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유입부(280)는 제2이젝터부(250)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양이 증가되도록 제1배출부(140)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킨다. 이러한 보조유입부(280)는 보조유입관(281)과 보조제트팬(283)을 포함한다.
보조유입관(281)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이송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보조유입관(281)의 일측, 즉 유입 측 단부는 외부를 향해 개방되며, 보조유입관(281)의 타측은 제1배출부(140)와 연통된다. 일례로서, 보조유입관(281)은 제1배출부(140)로의 압축공기 유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보조제트팬(283)은 보조유입관(281)의 유입 측 단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제트팬(283)은 보조유입관(281)의 유입 측 단부에서 회전되어 보조유입관(281)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킨다. 보조제트팬(283)에 의해 보조유입관(281)으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보조유입관(281)을 통해 제1배출부(140)로 이송됨으로써, 제2이젝터부(250)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양이 증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제2이젝터부(25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을 제1이젝터부(12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거나, 이보다 더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이젝터부(120, 250)와 후드부(130, 260)가 구비되어 두 지점에서 수증기를 흡입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젝터부(120, 250)와 후드부(130, 260)는 셋 이상의 복수가 구비되어 셋 이상의 복수의 지점에서 수증기를 흡입하는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수증기 제거장치(200)는, 복수의 지점에서 작업 대상물(1) 상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흡입하여 제거함으로써, 수증기 제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이젝터부(120, 250)와 후드부(130, 260)가 설치되면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는 부분에서만 수증기를 흡입해야 하므로 분사부(170 : 도 1 참조)의 작동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의 신호에 따라 밸브(290)를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이 통과되는 부분의 분사부(170)가 작동되면 분사부(170)가 구동과 동시에 밸브(290)가 개방되고, 개방된 밸브(290)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송풍부(150)가 구동되어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는 제1후드부(130) 또는 제2후드부(260)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거르는 집진기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송풍부(150) 및 후드부(130, 260)에 의해 유입되는 수증기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집진기에 의해 거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집진기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증기 제거장치의 제어방법은 작업 대상물(1)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분사부(170)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분사부(170)가 구동되면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후드부(130, 260)에 설치되는 밸브(290)를 개방하고 송풍부(150)를 구동시켜 작업 대상물(1)의 수증기를 후드부(130, 260)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20)를 포함한다.
이송장치(180)에 의해 작업 대상물(1)이 공급되면 분사부(170)가 구동되는데, 수증기 제거장치(200)가 다수의 작업장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작업 대상물(1)이 공급되는 작업장의 분사부(170)가 구동된다.
반대로, 작업 대상물(1)의 공급되지 않은 작업장의 분사부(170)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제어부(300)에서 이를 감지하고 신호를 송신하여 밸브(290)를 폐쇄하고 송풍부(150)를 정지시키는 단계(S30)가 진행된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1)이 공급되지 않는 작업장의 송풍부(150)는 구동되지 않게 되므로 수증기 제거장치(200)가 필요 이상으로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제철소의 작업 대상물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제거할 수 있는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제강공정에 설치되는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강공정에 설치되는 수증기 제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200 : 수증기 제거장치 110 : 유입부
111 : 유입관 113 : 제트팬
120 : 제1이젝터부 130 : 제1후드부
135,265 : 연결부 140 : 제1배출부
150 : 송풍부 152 : 송풍팬
154 : 유도팬 170 : 분사부
180 : 이송장치 250 : 제2이젝터부
260 : 제2후드부 270 : 제2배출부
280 : 보조유입부 281 : 보조유입관
283 : 보조제트팬 290 : 밸브
300 : 제어부

Claims (10)

  1.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의 통과시 압력이 강하되는 제1이젝터부;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향해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제1후드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1배출부; 및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1후드부로 이동되게 하는 송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1이젝터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관; 및
    상기 유입관의 유입 측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관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제트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작업 대상물의 일측과 대응되게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상기 제1후드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송풍팬; 및
    작업 대상물의 타측과 상기 제1후드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이동되는 수증기를 상기 제1후드부 측으로 안내하는 유도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팬은 상기 제1후드부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과 비교하여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증기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출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의 통과될 때에 압력이 강하되는 제2이젝터부;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가 상기 제2이젝터부로 흡입되도록 작업 대상물을 향해 설치되고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제2후드부;
    상기 제1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와 상기 제2이젝터부로 흡입되는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배출부; 및
    상기 제1후드부와 상기 제2후드부에 설치되는 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젝터부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양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1배출부에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보조유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유입부는,
    상기 제1배출부와 연결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는 보조유입관; 및
    상기 보조유입관의 유입 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유입관으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보조제트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후드부 또는 상기 제2후드부에 설치되고 이물질을 거르는 집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
  9. (a) 작업 대상물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분사부의 구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분사부가 구동되면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흡입하는 후드부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방하고 송풍부를 구동시켜 작업 대상물의 수증기를 상기 후드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분사부가 구동되지 않으면 상기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송풍부를 정지시키는 단계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 제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084131A 2010-08-30 2010-08-30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93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31A KR101193884B1 (ko) 2010-08-30 2010-08-30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31A KR101193884B1 (ko) 2010-08-30 2010-08-30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496A true KR20120020496A (ko) 2012-03-08
KR101193884B1 KR101193884B1 (ko) 2012-10-26

Family

ID=4612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131A KR101193884B1 (ko) 2010-08-30 2010-08-30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88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673A1 (ko) * 2015-04-09 2016-10-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80073320A (ko) * 2016-12-22 2018-07-02 이종주 도포액 도포 장치
KR101994593B1 (ko) * 2018-10-22 2019-06-28 정대일 비산먼지 제거방법 및 비산먼지 제거시스템
EP4015800A1 (en) * 2020-12-21 2022-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Liquid fuel steam purge system for gas turbine engin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3673A1 (ko) * 2015-04-09 2016-10-13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US10688431B2 (en) 2015-04-09 2020-06-23 Coway Co., Ltd. Air purifier
KR20180073320A (ko) * 2016-12-22 2018-07-02 이종주 도포액 도포 장치
KR101994593B1 (ko) * 2018-10-22 2019-06-28 정대일 비산먼지 제거방법 및 비산먼지 제거시스템
EP4015800A1 (en) * 2020-12-21 2022-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Liquid fuel steam purge system for gas turbine engine
US11598266B2 (en) 2020-12-21 2023-03-07 General Electric Company Liquid fuel steam purge system and method for gas turbine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884B1 (ko) 201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884B1 (ko)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53274A (ko) 슬래브, 박 슬래브, 프로파일 등을 세정하는 방법 및 장치
JP3388661B2 (ja) 溶鋼注入開始時の取鍋砂除去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1823135B (zh) 用于生产预型材特别是双t预型材的连铸方法和设备
KR101233898B1 (ko) 열간 주편의 스카핑 시 용융물 포집 방법 및 장치
KR101225779B1 (ko) 수증기 제거장치
KR101384631B1 (ko) 고로의 대탕도 고정 커버 침식 방지장치
KR101456782B1 (ko) 전기 용해로의 분진포집 처리장치
KR101075836B1 (ko) 슬라브용 스케일 제거장치
KR20100087459A (ko) 차폐장치가 구비되는 가열로
KR101193840B1 (ko) 에어밸브용 개폐속도 조절장치
KR101193842B1 (ko) 에어밸브용 개폐속도 조절장치
KR102094346B1 (ko) 스케일 배출장치
KR101159768B1 (ko) 제철소 덕트용 공기량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집진기
KR101175800B1 (ko) 코크스오븐용 가스 냉각장치
KR101518632B1 (ko) 스트립 이물질 제거장치
KR20110120453A (ko)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KR100790013B1 (ko) 이물질 제거 장치
KR102127690B1 (ko) 스케일 배출장치
KR101581538B1 (ko) 가열로의 도어장치
KR101267595B1 (ko) 트랜스퍼 카용 위치감지장치
KR101175801B1 (ko) 코크스오븐용 가스 냉각장치
KR20190021696A (ko) 스케일 배출장치
KR101435058B1 (ko) 소재 냉각장치
KR20120020472A (ko)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