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472A -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472A
KR20120020472A KR1020100084106A KR20100084106A KR20120020472A KR 20120020472 A KR20120020472 A KR 20120020472A KR 1020100084106 A KR1020100084106 A KR 1020100084106A KR 20100084106 A KR20100084106 A KR 20100084106A KR 20120020472 A KR20120020472 A KR 20120020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dual water
suction
section steel
transfer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7623B1 (ko
Inventor
신현장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4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6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2Cleaning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21B45/0281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removing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2045/0221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uctural sections, e.g. H-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 상면에 냉각수노즐과 잔류수 흡입부로 구성된 진공흡입장치를 설치하여 형강 상면의 잔류수를 흡입함으로 인해,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는,
열간압연 된 형강의 상면과 하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노즐부과; 상기 냉각수노즐에서 분사된 냉각수 가운데, 상기 형강 상면에 머무르는 잔류수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RESIDUAL WATER OF REDUCTION APPARATUS FOR SHAPE STEEL HAVING UPPER AND LOWER PARTS DIFFERENT IN TEMPERATURE}
본 발명은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웹 상면에 냉각수노즐과 잔류수 흡입부로 구성된 진공흡입장치를 설치하여 형강 상면의 잔류수를 흡입함으로 인해,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를 최소화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조된 형강은 가열로에서 강종에 따른 목표 온도까지 가열된 후, 거칠기 압연(Roughing Mill,RM)과 마무리 압연(Rinishing Mill,FM) 등의 압연단계를 거쳐 일정한 두께 예컨데, 최종 제품의 지시 두께까지 소재를 압연하여 형강을 생산한다.
그리고, 마무리 압연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압연된 형강은 결정립 미세화나 변태조직의 제어를 위하여 가속냉각을 실시하고, 제품 질의 높이기 위하여 레벨링 작업을 거치고, 최종적으로 냉각대에는 최종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제품으로 완성된다.
더불어, 형강의 열간압연시 병행되는 형강의 냉각은, 형강의 상면과 하면에는 형강의 냉각에 필요한 냉각수를 살포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형강의 하부에 살포되는 냉각수는 형강 하면을 냉각한 후, 바로 낙하하지만, 상기 형강의 상면에 살포되는 냉각수는 형강 상면을 냉각한 후, 상기 형강의 상면에 머무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는, 형강의 열간압연시 형강의 냉각을 위해 살포된 냉각수에 의해, 형강의 상면과 하면이 유사한 온도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는, 형강의 열간압연시 형강의 냉각을 위해 살포된 냉각수를 흡입하여, 형강 상면의 잔류수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는,
열간압연 된 형강의 상면과 하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노즐부과; 상기 냉각수노즐에서 분사된 냉각수 가운데, 상기 형강 상면에 머무르는 잔류수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형강 상면에 잔류하는 상기 잔류수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잔류수를 이송하는 이송노즐과, 상기 이송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노즐을 통해 이송된 잔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가 잔류수를 흡입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노즐과 연결되는 흡입펌프를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흡입부가 상기 형강의 이동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이송부가 연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형강의 상부에 이격 형성되되, 형강의 이동 노선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가이드판과, 상기 이송가이드판에 거치 된 채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유동 되는 이송밸트와, 상기 이송밸트와 연결되어 이송밸트가 유동 되도록 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이송밸트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부의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가 이송밸트의 유동에 따라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연결편과 연결 및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편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연결편이 다수 개의 상기 결합편 중의 하나와 결합 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부의 수직 높이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잔류수의 양에 따라, 잔류수의 흡입력을 제어하는 흡입제어밸브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상기 잔류수가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는, 형강의 열간압연시 형강의 냉각을 위해 냉각수를 살포하면서도, 형강의 상면과 하면의 냉각 온도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는, 형강의 열간압연시 형강의 냉각을 위해 형강 상면에 살포된 잘류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그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열간압연 된 형강(30)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형강(30) 상면과 하면에 냉각수(112)를 분사하게 되는 과정에서,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하는 잔류수(114)를 원활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흡입부(120)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일련의 상기 형강(30)에 잔류 되는 잔류수(114)를 흡입하는 기술분야 전반에 걸쳐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특히, 흡입부(120)]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열간압연 된 형강(30)을 냉각하기 위해, 상기 형강(30)의 상면과 하면에 냉각수노즐(110, 110')을 통해 냉각수(112)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형강(30) 하면에 분사된 냉각수(112)는 자동 적으로 낙하 되지만 상기 형강(30)의 상면에 분사된 냉각수(112)는 형강(30) 상면에서 잔류 되는 잔류수(114)가 된다.
이러한 잔류수(114)를 저감 하기 위해서,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 된 잔류수(114)를 흡입하는 흡입부(120)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120)에는, 상기 흡입부(210)를 형강(3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부(130)가 연결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이송부(130)에 의해서 상기 형강(30)의 이송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면서,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 된 잔류수(114)를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형강(30) 하면에 분사된 냉각수(112)는, 상기 형가(30) 하면을 냉각한 후 자동 적으로 낙하 되게 되고, 상기 형강(30) 상면에 분사된 냉각수(112)는 형강(30) 상면에 잔류 되어 잔류수(114)가 된다.
이때, 상기 형강(30)은, 상면에 잔류 된 잔류수(114)로 인하여, 상면과 하면이 다른 냉각온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흡입부(120)가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 된 잔류수(114)를 빠르게 흡수함으로써, 상기 형강(30) 상면과 하면의 냉각 속도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하는 상기 잔류수(114)를 흡입하는 흡입구(122)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형강(30)이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에, 상기 흡입구(122)는, 상기 형강(30)의 넓이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2)가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하는 잔류수(114)를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형강(30) 넓이의 폭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구(122)는 깔때기를 엎어놓은 형태로 형성되되, 하부가 넓고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흡입구(122)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유입된 잔류수(114)를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노즐(124)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이송노즐(124)은, 유연성을 갖는 연성의 금속 또는 고무 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노즐(124)에 의해 이송된 상기 잔류수(114)는, 상기 이송노즐(124)에 연결되는 배출구(126)에 의해 원활하게 이송노즐(124)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1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상기 잔류수(114)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오염물을 제거한 후 냉각수(112)로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2)와 이송노즐(124)을 통해 상기 잔류수(114) 흡입 및 이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송노즐(124)과 연결형성되는 흡입펌프(128)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흡입펌프(128)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 되는 잔류수(114)는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흡입된 후, 상기 이송노즐(124)을 통해 이송되어, 상기 배출구(12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흡입부(120)에는, 상기 흡입부(120)가 상기 형강(30)의 이동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120)와 연결되는 이송부(130)가 연결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형강(30)의 상부에 이격 형성되되, 형강의 이동 노선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가이드판(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가이드판(132)은, 상기 형강(30)과는 별도로 지면에 세워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이송가이드판(132)에 거치 된 채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유동 되는 이송밸트(134)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밸트(134)는, 상기 이송가이드판(132)에 거치 되어 유동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이송밸트(134)에는, 상기 이송밸트(134)가 유동 되도록 하는 풀리(136)가 연결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가이드판(132)은, 상기 이송밸트(134)의 작동이 원활하게 할 수만 있다면, 상기 이송밸트(134)를 지지면서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이어서, 상기 풀리(136)는, 상기 풀리(136)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138)와 연결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풀리(136)는, 상기 모터(138)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 되면서, 상기 이송밸트(134)가 유동 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송부(130)는, 상기 이송밸트(134)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부(120)의 이송노즐(124)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120)가 상기 이송밸트(134)의 유동에 따라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편(139)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모터(138)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풀리(136)가 회동 되면, 상기 풀리(136)와 연결된 상기 이송밸트(134)가 유동 되면서, 상기 이송벨트(134)에 연결된 상기 연결편(139)이 상기 흡입부(120)의 이송노즐(124)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이송밸트(134)의 동작에 따라, 상기 흡입부(120)도 같이 연동 되게 된다.
특히, 상기 모터(138)는, 양방향으로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이송밸트(134)는,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하도록 작동가능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부(120)도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연결편(139)과 연결 및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편(121)을 갖는다.
이때, 상기 결합편(121)은, 상기 흡입부(120)의 이송노즐(124) 외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결합편(121)과 연결편(139)의 형상은, 상기 결합편(121)과 연결편(139)이 상호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편(139)과 결합편(121)은, 상호 볼트와 너트(미도시)의 결합으로 원활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송노즐(124) 외면에는, 상기 결합편(121)이 다수 개가 형성되되, 상기 이송노즐(134)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연결편(139)이 상기 결합편(121)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이송노즐(134)은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연결편(139)이 상기 이송노즐(124) 외면에 형성된 다수 개의 결합편(121) 중에 어느 하나의 결합편(121)에 결합 되느냐에 따라 승강 및 하강 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결편(139)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기 결합편(121)과 결합함으로써, 상기 흡입부(120)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게 되어, 상기 형강(30) 상면의 잔류수(114)의 흡입량 및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흡입부(120)의 흡입구(122)와 상기 형강(30) 상면의 거리가 가깝게 되면, 상기 흡입부(120)의 흡입력이 작아도 상기 흡입부(120)는 원활하게 상기 잔류수(114)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120)의 흡입구(122)와 상기 형강(30) 상면의 거리가 멀게 되면, 상기 흡입부(120)가 잔류수(114)를 흡입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많게 된다.
특히, 상기 형강(3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흡입구(122)의 수직높이도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22)가 열간압연 된 상기 형강(30)과 너무 근접해 있을 경우, 상기 형강(30)의 열기에 의해 흡입구(122) 등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흡입구(122)와 형강(30)의 거리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잔류수(114)의 양에 따라, 잔류수(114)의 흡입력을 제어하는 흡입제어밸브(123)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흡입제어밸브(123)는, 상기 흡입펌프(12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상기 흡입펌프(128)를 제어하여,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흡입되는 잔류수(114)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흡입제어밸브(123)를 통해 상기 형강(30) 상면에 잔류 된 잔류수(114)의 양에 따라, 상기 흡입펌프(128)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잔류수(114)를 저감시켜 상기 형강(30)의 상면과 하면의 냉각 속도 및 온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형강(3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흡입구(122)의 수직높이도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흡입부(120)의 흡입구(122)와 상기 형강(30) 상면의 거리가 가깝게 되면, 상기 흡입부(120)의 흡입력이 작아도 상기 흡입부(120)는 원활하게 상기 잔류수(114)를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120)의 흡입구(122)와 상기 형강(30) 상면의 거리가 멀게 되면, 상기 흡입부(120)가 잔류수(114)를 흡입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모가 많게 된다.
특히, 상기 형강(30)의 두께에 따라, 상기 흡입구(122)의 수직높이도 조절이 필요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흡입제어밸브(123)를 통해, 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흡입구(122)의 훼손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형강(30) 상면의 잔류수(114)가 저감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의 또 다른 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상기 흡입부(120)는,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상기 이송노즐(124)로 흡입된 상기 잔류수(114)가, 상기 흡입펌프(128)의 작동을 정지시 상기 이송노즐(124)과 흡입구(122)를 통해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125)를 갖는다.
상기 체크밸브(125)는, 상기 이송노즐(124)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상기 이송노즐(124)로 진입된 상기 잔류수(114)는, 상기 흡입펌프(128)의 작동을 정지하기 전에 상기 체크밸브(125)를 사용하여, 상기 이송노즐(124) 내부로 진입된 잔류수(114)가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역류 되지 않도록 닫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흡입구(122)를 통해 상기 잔류수(114)를 흡입할 경우, 상기 체크밸브(125)를 열어, 상기 잔류수(114)가 이송노즐(124)로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잔류수(114)의 흡입이 끝나게 되면, 상기 체크밸브(125)를 닫아, 상기 잔류수(114)가 흡입구(122)로 유동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0 : 형강 110, 110' : 냉각수노즐
112 : 냉각수 114 : 잔류수
120 : 흡입부
121 : 결합편 122 : 흡입구
123 : 흡입제어밸브 124 : 이송노즐
125 : 체크밸브 126 : 배출구
128 : 흡입펌프
130 : 이송부
132 : 이송가이드판 134 : 이송밸트
136 : 풀리 138 : 모터
139 : 연결편

Claims (8)

  1. 열간압연 된 형강의 상면과 하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냉각수노즐부와;
    상기 냉각수노즐에서 분사된 냉각수 가운데, 상기 형강 상면에 머무르는 잔류수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형강 상면에 잔류하는 상기 잔류수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잔류수를 이송하는 이송노즐과,
    상기 이송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노즐을 통해 이송된 잔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와,
    상기 흡입구가 잔류수를 흡입가능하도록 상기 이송노즐과 연결되는 흡입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흡입부가 상기 형강의 이동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부와 연결되는 이송부가 연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형강의 상부에 이격 형성되되, 형강의 이동 노선을 따라 형성되는 이송가이드판과,
    상기 이송가이드판에 거치 된 채로 수평방향으로 왕복운동 가능하도록 유동 되는 이송밸트와,
    상기 이송밸트와 연결되어 이송밸트가 유동 되도록 하는 풀리와,
    상기 풀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상기 이송밸트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부의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흡입부가 이송밸트의 유동에 따라 이동 또는 고정되도록 하는 연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연결편과 연결 및 고정가능하도록 하는 다수 개의 결합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연결편이 다수 개의 상기 결합편 중의 하나와 결합 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흡입부의 수직 높이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잔류수의 양에 따라, 잔류수의 흡입력을 제어하는 흡입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흡입부로 흡입된 상기 잔류수가 역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KR1020100084106A 2010-08-30 2010-08-30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KR101267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06A KR101267623B1 (ko) 2010-08-30 2010-08-30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106A KR101267623B1 (ko) 2010-08-30 2010-08-30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472A true KR20120020472A (ko) 2012-03-08
KR101267623B1 KR101267623B1 (ko) 2013-05-24

Family

ID=4612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106A KR101267623B1 (ko) 2010-08-30 2010-08-30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6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73B1 (ko) * 2013-03-28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설비의 잔류 수분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54213B2 (ja) * 2001-07-02 2005-06-02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形鋼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4702166B2 (ja) 2006-05-02 2011-06-1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形鋼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173B1 (ko) * 2013-03-28 2014-09-01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설비의 잔류 수분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7623B1 (ko)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6981B2 (ja) 熱間プレス成形の冷却方法および熱間プレス成形装置
CN103240679B (zh) 一种钢板预处理方法及除锈箱
CN102828461B (zh) 铣刨机及其除尘系统
KR20120082137A (ko) 고주파 열처리 장치
CN205731742U (zh) 一种喷涂机
KR102603280B1 (ko)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스프레이 냉각 시스템
CN103831730B (zh) 隧道式冷冻毛边处理机
CN210754952U (zh) 一种轧辊锻件冷却装置
KR101267623B1 (ko) 형강의 상하면 온도차 저감을 위한 잔류수 저감장치
CN205436443U (zh) 一种汽车刹车片加工的洗净设备
KR101193884B1 (ko) 수증기 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41697A (ko) 열처리된 금속에 분사된 냉각수를 제거하는 담금질장치
CN209906835U (zh) 一种淬火机淬完火产品落下承接装置
CN206376007U (zh) 一种安装在钝化烘箱后的冷却装置
CN207062363U (zh) 喷头整平装置和喷锡机
CN206794977U (zh) 水平式喷锡装置和喷锡机
CN106862704A (zh) 水平式喷锡装置和喷锡机及其方法
CN208323058U (zh) 镀膜玻璃的单圆边磨边机的磨头装置
CN203108954U (zh) 一种钢板冷却装置的侧喷装置
KR101291561B1 (ko) 수증기 차단장치
CN206882425U (zh) 一种不锈钢复合板铸轧一体化生产线喷淋装置
KR101225710B1 (ko) 열연코일용 잔류수 제거장치
CN104060060A (zh) 热处理的冷却装置
CN103831731B (zh) 喷砂除锈装置
CN211436765U (zh) 缸体通过式涂油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