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0453A -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 Google Patents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0453A
KR20110120453A KR1020100039874A KR20100039874A KR20110120453A KR 20110120453 A KR20110120453 A KR 20110120453A KR 1020100039874 A KR1020100039874 A KR 1020100039874A KR 20100039874 A KR20100039874 A KR 20100039874A KR 20110120453 A KR20110120453 A KR 2011012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caler
unit
workpiece
guide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일만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0453A/ko
Publication of KR2011012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포집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작업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DE-SCALER FOR ROLLING FACILITIES}
본 발명은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철광석으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 중 앞 단계인 선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선(製銑)이라 하고, 선철로 강철을 만드는 공정을 제강이라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열간 압연을 행하는 워크롤러 사이에 디스케일러가 설치되므로 작업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포집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작업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핀치롤러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담수부; 및 상기 담수부로부터 작업 대상물 측으로 연장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작업 대상물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는 작업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담수부로부터 달팽이관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담수부에는 상기 덮개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는 작업 대상물의 두께와 상관없이 가이드부를 작업 대상물과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어 작업 대상물의 온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의 개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는 공급부(3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 및 세척수를 포집하는 가이드부(70)와, 가이드부(70)와 작업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80)를 포함한다.
작업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70)가 이동되면서 작업 대상물과 가이드부(7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두꺼울 때는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70)를 작업 대상물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얇을 때에는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부(7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구동부(80)의 작동에 의해 작업 대상물과 가이드부(70) 사이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된다.
핀치롤러(10)에 의해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은 다수 개의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두께 및 폭이 조절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전방 측 단부는 상측으로 휘어진 상태를 이루기 쉽다.
따라서 작업 대상물과 가이드부(70) 사이의 거리가 필요 이상으로 가까우면 상측으로 휘어진 작업 대상물의 단부와 가이드부(70)가 간섭될 수 있다.
반대로, 작업 대상물과 가이드부(70) 사이의 거리가 필요 이상으로 멀면 공급부(30)로부터 작업 대상물 측으로 분사되는 세척수와 세척수에 의해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되는 이물질이 가이드부(70)에 포집되기 어렵다.
따라서 가이드부(70)는 작업 대상물의 상측에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어야만 작업 대상물과 간섭되지 않고 세척수와 이물질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부(80)의 작동은 압연공정이 개시될 때에 제어부에 입력되는 작업 대상물의 데이터에 따라 제어부에서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가이드부(70)는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핀치롤러(10)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50)에 설치되므로 공급부(3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가이드부(70)에 포집되지 않고 핀치롤러(10)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덮개(50)는 핀치롤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탠드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스탠드에 설치되는 개폐실린더(52)에 의해 회전되면서 개폐된다.
따라서 핀치롤러(10) 또는 공급부(30) 등의 장치에 보수작업을 행할 때에는 개폐실린더(52)를 구동시켜 덮개(50)를 개방한 후에 보수작업을 행하게 된다.
구동부(80)는 덮개(50)에 설치되어 가이드부(70)를 승강시키는 실린더(82)를 포함한다.
실린더(82)는 덮개(50)의 상면에 설치되고, 실린더(82)로부터 출몰되는 로드(84)는 덮개(50)를 관통하여 덮개(50)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을 때는 실린더(82)로부터 로드(84)를 돌출시키고,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두꺼울 때에는 실린더(82) 내부로 로드(84)를 삽입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린더(82)의 작동에 의해 두께가 두꺼운 작업 대상물이 이동될 때에는 가이드부(7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작업 대상물이 이동될 때에는 가이드부(70)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가이드부(70)는 실린더(82)로부터 출몰되는 로드(84)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담수부(74)와, 담수부(74)로부터 작업 대상물 측으로 연장되는 유입부(72)를 포함한다.
공급부(3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는 작업 대상물에 충돌되면서 작업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고, 작업 대상물 상측으로 반사되므로 유입부(72)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담수부(74)에 담겨진다.
담수부(74)는 작업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긴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유입부(72)를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세척수 및 이물질이 담수부(74)에 담겨지게 된다.
여기서, 공급부(30)는 작업 대상물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작업 대상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이 작업 대상물과 함께 압연장치 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유입부(72)는 작업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공급부(30)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작업 대상물로부터 후방으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유입부(72)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측으로 이동되어 담수부(74) 내부에 담겨지게 된다.
또한, 유입부(72)는 담수부(74)로부터 달팽이관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므로 유입부(72)를 따라 상승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은 달팽이관 모양으로 회전되면서 상승되어 담수부(74)에 담겨지게 된다.
담부수(74)에는 덮개(50) 외측으로 연장되는 배출홀부(76)가 형성되므로 담수부(74)에 담겨진 세척수와 이물질이 배출홀부(76)를 따라 덮개(50) 외측으로 배출된다.
배출홀부(76)가 형성되는 담수부(74)의 일측 단부는 타측 단부와 비교하여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담수부(74)에 담겨진 세척수와 이물질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물론, 배출홀부(76)에 배수관과 펌프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의 개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작업 대상물이 다수 개의 워크롤러를 통과하면서 압연공정이 이루어지고, 워크롤러 사이에 설치된 디스케일러를 통과하면서 작업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된다.
특히, 사상압연을 행하는 워크롤러에 진입되기 전에는 필히 디스케일러를 통과시켜 작업 대상물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야만 압연공정이 완료된 후에 원하는 두께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중간압연을 행하는 압연장치를 통과한 작업 대상물은 핀치롤러(10)의 구동에 의해 공급부(30) 측으로 이동되고, 공급부(3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작업 대상물에 충돌되면서 작업 대상물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떨어지게 된다.
공급부(30)는 작업 대상물의 진행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 15도 정도 경사지게 분사되므로 세척수에 의해 떨어지는 이물질과, 작업 대상물에 충돌된 후에 반사되는 세척수는 작업 대상물이 지나온 후방으로 비산된다.
이렇게 공급부(30)의 후방으로 비산되는 세척수와 이물질은 유입부(72)에 충돌된 후에 유입부(72)의 곡면을 따라 상승되어 담수부(74)에 담겨지게 된다.
유입부(72)의 하단으로부터 담수부(74)까지 연결되는 곡면은 달팽이관 모양을 이루는 곡선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입부(72)를 따라 상승하는 세척수와 이물질은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담수부(74)로 이동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이 제거되고, 가이드부(70)에 의해 세척수와 이물질이 제거되므로 압연장치로 공급되는 작업 대상물 표면에 세척수가 잔존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상압연을 행하는 작업 대상물의 온도가 세척수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부분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두께 및 폭을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을 행하기 위해서는 작업 대상물과 가이드부(7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데, 압연공정이 개시될 때에 제어부에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입력되면 제어부로부터 송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부(80)가 작동되어 가이드부(7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이전에 압연공정을 행한 작업 대상물과 비교하여 두꺼울 때에는 실린더(82) 내부로 로드(84)가 삽입되어 가이드부(70)가 상측으로 이동되고, 작업 대상물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을 때에는 실린더(82)로부터 로드(84)가 돌출되어 가이드부(7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렇게 구동부(80)에 의해 가이드부(70)의 높이가 조절되므로 작업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가이드부(70)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담수부(74)에 담겨진 세척수와 이물질은 담수부(74)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홀부(76) 측으로 이동된 후에 배수관을 따라 덮개(50)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써,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디스케일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핀치롤러 30 : 공급부
50 : 덮개 70 : 가이드부
72 : 유입부 74 : 담수부
76 : 배출홀부 80 : 구동부
82 : 실린더 84 : 로드

Claims (7)

  1. 공급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에 의해 작업 대상물에서 분리되는 이물질과 세척수를 포집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작업 대상물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작업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핀치롤러 상측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승강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실린더로부터 출몰되는 로드에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담수부; 및
    상기 담수부로부터 작업 대상물 측으로 연장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작업 대상물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부는 작업 대상물의 진행 방향으로 경사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담수부로부터 달팽이관 모양으로 곡선을 이루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담수부에는 상기 덮개 외측으로 연통되는 배출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KR1020100039874A 2010-04-29 2010-04-29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KR20110120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874A KR20110120453A (ko) 2010-04-29 2010-04-29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874A KR20110120453A (ko) 2010-04-29 2010-04-29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453A true KR20110120453A (ko) 2011-11-04

Family

ID=45391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874A KR20110120453A (ko) 2010-04-29 2010-04-29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04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49B1 (ko) 2015-04-14 2016-03-09 주식회사 포스코 스케일 제거장치
CN113664059A (zh) * 2021-08-19 2021-11-19 一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立辊前除磷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949B1 (ko) 2015-04-14 2016-03-09 주식회사 포스코 스케일 제거장치
CN113664059A (zh) * 2021-08-19 2021-11-19 一重集团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立辊前除磷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3464B1 (ko) 금속 스트립 생산용 설비 및 방법
CN101678415B (zh) 用于生产金属条的工艺和设备
KR101153733B1 (ko) 슬래브, 박 슬래브, 프로파일 등을 세정하는 방법 및 장치
CA2894480C (en) Device and method for cooling rolled stock
KR20110120453A (ko) 압연장치용 디스케일러
CN104289550B (zh) 一种冷轧高强罩式退火板平直度的控制方法
JP5276946B2 (ja) 切断装置
CN108907131A (zh) 一种降低板坯连铸头尾坯表面裂纹的二冷控制方法
KR20130047796A (ko) 연원료 이송장치
JP5450807B2 (ja) 素材速度測定装置
CN203227688U (zh) 一种矫直机前的精除鳞机
KR101377511B1 (ko) 압연기용 디스케일러
KR101148949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
JP2014516792A (ja) 水蒸気遮断装置
KR101767831B1 (ko) 스케일 제거장치
KR101536480B1 (ko) 자성롤을 구비하는 압연설비
CN104846166A (zh) 一种连铸铸坯在线淬火设备及其工艺
KR101193879B1 (ko) 압연기용 가이드장치
KR101148948B1 (ko) 소재속도 측정장치를 갖는 루퍼
KR20120133399A (ko) 수증기 차단장치
KR101291536B1 (ko) 압연용 측면가이드
KR20100034948A (ko) 열간압연설비
KR101159660B1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140848B1 (ko) 선재 측정장치용 커버
KR10142442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