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690B1 - 스케일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스케일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690B1
KR102127690B1 KR1020170104070A KR20170104070A KR102127690B1 KR 102127690 B1 KR102127690 B1 KR 102127690B1 KR 1020170104070 A KR1020170104070 A KR 1020170104070A KR 20170104070 A KR20170104070 A KR 20170104070A KR 102127690 B1 KR102127690 B1 KR 102127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e
cover
hood
coanda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327A (ko
Inventor
원성연
이소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04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690B1/ko
Priority to CN201810147185.7A priority patent/CN109396199A/zh
Publication of KR20190019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6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of strip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3/00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 C23G3/02Apparatus for cleaning or pickling metallic material for cleaning wires, strips, filaments continuously
    • C23G3/027Associated apparatus, e.g. for pretreating or after-tr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Abstract

스케일 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는 이송되는 강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전방후드; 전방후드로부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후방후드; 및 전방후드 배출덕트와 후방후드의 배출덕트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송풍장치는 배출덕트와 연결되는 원통형 몸체부와, 몸체부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에어로포일형 코안다 표면과, 코안다 표면보다 상류 측의 몸체부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코안다 표면을 이격되게 덮어 코안다 표면과의 사이에 출구가 배출덕트 하류를 향하는 노즐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배출덕트의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덮개부와, 내부유로와 구획되도록 코안다 표면 헤드부와 덮개부 내면 사이에 마련되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노즐부로 공급하는 급기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케일 배출장치{SCALE DISCHARGE DEVICE}
본 발명은 강판 표면으로부터 탈락한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스케일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연강판은 통상 800℃ 이상의 고온에서 마무리 압연되기 때문에 표면에 다량의 스케일(산화철)이 발생한다. 스케일은 냉간압연 시 제품 표면 손상은 물론이고 도금성, 도장성을 저해하므로 이들 공정을 수행하기 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강판의 스케일을 제거할 때는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을 함께 이용한다. 기계적 방법은 강판을 이송하는 가운데 스케일 브레이커(Scale Breaker)로 강판의 표면을 가압해 스케일에 크랙(Crack)을 발생시킨다. 화학적 방법은 기계적 방법을 거친 강판을 산세조에 담근 상태로 통과시켜 스케일을 제거한다. 강판 표면의 스케일은 스케일 브레이커를 통과하며 크랙이 형성된 상태에서 산세조에 담기게 되므로 산세조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스케일 브레이커에서 탈락된 스케일은 스케일 브레이커 내 집진수단에 의해 대부분 제거된다. 하지만, 일부 스케일은 강판 상면에 가라 앉은 상태로 강판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디플렉트롤을 거쳐 산세조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으로 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강판을 따라 배출되는 스케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스케일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강판 상면의 스케일을 부상시킴으로써 스케일의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는 스케일 배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송되는 강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전방후드; 상기 전방후드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후방후드; 및 상기 전방후드 배출덕트와 상기 후방후드의 배출덕트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배출덕트와 연결되는 원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에어로포일형 코안다 표면과, 상기 코안다 표면보다 상류 측의 상기 몸체부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안다 표면을 이격되게 덮어 상기 코안다 표면과의 사이에 출구가 상기 배출덕트 하류를 향하는 노즐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배출덕트의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내부유로와 구획되도록 상기 코안다 표면 헤드부와 상기 덮개부 내면 사이에 마련되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급기유로를 포함하는 스케일 배출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코안다 표면의 테일부를 향하는 확산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코안다 표면을 덮는 부분이 상류로부터 하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되다가 다시 확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방후드의 흡입구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좁게 길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후드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스케일을 흡입하고, 상기 후방후드의 흡입구는 상기 전방후드의 흡입구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후드보다 약한 흡입력으로 스케일을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 배출장치는 상기 후방후드 후방의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하측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해 상기 강판 상면의 스케일을 부상시키며 스케일의 누설을 차단하는 에어나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나이프는 상기 후방후드 후방에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분사부; 및 상기 중간분사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양쪽 측단 전방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두 측방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나이프는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에어의 분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후드 흡입기류의 영향을 차단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는 에어나이프의 분사기류가 강판 상면의 스케일을 전방후드의 흡입구 쪽으로 부상시키기 때문에 강판을 따라 배출되는 스케일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는 비교적 입자가 큰 스케일을 전방후드가 강한 흡입력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고, 전방후드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부유하는 스케일을 후방후드가 흡입하여 배출시키며, 에어나이프가 스케일의 누설을 차단하기 때문에 스케일의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는 송풍장치의 노즐부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코안다 표면의 테일부를 향하는 확산기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송풍장치의 내부유로 유속이 빨라져 송풍장치가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스케일의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가 적용된 스케일 제거설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의 전방후드에 설치된 송풍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A부분 상세도이다.
도 6은 도 2의 B부분 상세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가 적용된 스케일 제거설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스케일 제거설비는 강판(10)의 이송경로에 마련된 스케일 브레이커(20)와, 스케일 브레이커(20)의 출구 측에 설치되어 강판(10)과 함께 배출되는 스케일을 집진하여 배출시키는 스케일 배출장치(100)와, 스케일 배출장치(100)를 거쳐 이송되는 강판(10)의 이송방향을 변경시키는 복수의 디플렉트롤(30)과, 복수의 디플렉트롤(30)을 거쳐 이송되는 강판(10)을 산세액에 침적시켜 스케일을 제거하는 산세조(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 브레이커(20)는 복수의 가압롤(21)이 이송되는 강판(10)의 상면과 하면을 가압하여 강판(10) 표면의 스케일에 크랙을 발생시킴으로써 이후 산세조(40)에서 스케일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스케일 브레이커(20)는 외부가 집진커버(22)에 의해 포위된 상태이므로 가압롤들(21)의 가압에 의해 탈락된 스케일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케일 브레이커(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강판(10)으로부터 탈락된 스케일은 집진커버(22) 내측에 마련된 별도의 집진수단(미도시)에 의하여 대부분 제거될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스케일은 이송되는 강판(10) 상면에 가라 앉은 상태로 출구(24)를 통해 강판(10)과 함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스케일은 스케일 브레이커(20)의 출구(24) 측에 마련된 스케일 배출장치(100)에 의해 배출됨으로써 스케일이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스케일 배출장치(100)는 이송되는 강판(1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0)와, 스케일 브레이커 출구(24)와 인접한 위치의 커버(110)에 설치되며 강판(10) 상부의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전방후드(120)와, 전방후드(120)로부터 강판(10)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커버(110)에 설치되며 강판(10) 상부의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후방후드(130)와, 후방후드(130) 후방의 커버(110)에 마련되며 하측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해 강판(10) 상면의 스케일을 부상시키며 스케일의 누설을 차단하는 에어나이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되는 강판(10)의 폭보다 넓은 사각패널형태일 수 있다. 커버(110)의 양측 단부는 강판(10) 이송경로의 양측을 각각 덮는 측면커버(112)와 연결될 수 있다.
전방후드(120)는 강판(10)의 폭방향으로 좁고 길게 형성되어 후방후드(130)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스케일을 흡입하는 흡입구(121)를 구비한다.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는 강판(10)의 폭방향으로 강판(10)의 폭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전방후드(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21)에 연이어 연결된 3개의 연결덕트(122), 각 연결덕트(122)마다 연결된 3개의 배출덕트(123), 각 배출덕트(123)에 설치되어 스케일의 배출을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3개의 송풍장치(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후드(120)의 각 송풍장치(124)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덕트(123)와 연결되는 원통형 몸체부(124a)와, 몸체부(124a)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에어로포일(Aerofoil)형 코안다 표면(124c)과, 코안다 표면(124c)보다 상류 측의 몸체부(124a)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코안다 표면(124c)을 이격되게 덮어 코안다 표면(124c)과의 사이에 출구가 배출덕트(123) 하류를 향하는 노즐부(124d)를 형성하고 내측에 배출덕트(123)의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내부유로(124b)를 형성하는 덮개부(124e)와, 내부유로(124b)와 구획되도록 코안다 표면(124c)의 헤드부(124c-1)와 덮개부(124e) 내면 사이에 마련되며 에어공급원(60)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노즐부(124d)로 공급하는 급기유로(124f)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포일형 코안다 표면(124c)은 배출덕트(123) 하류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확대되는 디퓨져(Diffuser)의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124e)는 노즐부(124d)의 출구로 배출되는 에어가 코안다 표면(124c)의 테일부(124c-2)를 향하는 확산기류를 형성하도록 코안다 표면(124c)을 덮는 부분이 상류로부터 하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되다가 다시 확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즉 덮개부(124e)는 노즐부(124d)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코안다 표면(124c)의 형상에 대응하는 곡면일 수 있다. 또 노즐부(124d)의 틈은 0.05 ~ 0.3mm일 수 있다.
이러한 송풍장치(124)는 노즐부(124d)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코안다 표면(124c)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코안다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내부유로(124b)의 유속이 빨라진다. 이러한 에어흐름은 배출덕트(123) 하류 쪽으로 흐름을 유지하면서 내부유로(124b)의 압력저하를 유발하므로 전방후드(120) 흡입구(121) 쪽 공기가 배출덕트(123)의 출구 쪽으로 흐를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송풍장치(124)는 노즐부(124d)로부터 토출되는 에어가 코안다 표면(124c)의 테일부(124c-2)를 향하는 확산기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내부유로(124b)의 유속이 더욱 빨라지도록 하므로 흡입구(121)에서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커버(110) 하측의 공기와 부유하는 스케일이 전방후드(120)를 통과하여 집진기(70) 쪽으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전방후드(120)는 후방후드(1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흡입구(121, 좁고 긴 흡입구)를 구비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3개의 송풍장치(124)가 흡입구(12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따라서 전방후드(120)는 후방후드(130)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강판(10) 상부의 스케일을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후방후드(130)는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 흡입구(131)를 구비한다. 후방후드(1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131)에 연결되는 하나의 연결덕트(132), 연결덕트(132)에 연결된 하나의 배출덕트(133), 배출덕트(133)에 설치된 송풍장치(134)를 포함할 수 있다.
후방후드(130)의 송풍장치(134)는 전방후드(120)의 송풍장치(12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만 후방후드(130)는 전방후드(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은 흡입구(131)를 구비하고, 하나의 송풍장치(134)가 흡입구(13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므로 전방후드(120)보다 약한 흡입력으로 강판(10) 상부에 부유하는 스케일을 흡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스케일은 전방후드(120)에 의해 흡입될 수 있고, 전방후드(120)에 의해 흡입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은 스케일은 후방후드(130)에 의해 재차 흡입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나이프(140)는 커버(110)로부터 전방 하측의 강판(10) 상면을 향하여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하는 분사부(141)와, 분사부(141)로 에어를 분산공급하도록 분사부(141)의 상부를 덮는 분배커버(142)와, 분배커버(142)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에어공급원(60)으로부터 연장된 에어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나이프(140)의 분사부(14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후드(130) 후방에 강판(10)의 폭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중간분사부(141a)와, 중간분사부(141a)의 양단으로부터 커버(110)의 양쪽 측단 전방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두 측방분사부(141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사부(141)의 상부에 결합되는 분배커버(142)도 이에 대응하는 형태일 수 있다.
에어나이프(14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0) 상면의 스케일을 부상시켜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 쪽으로 유도하는 분사기류(145)를 발생시킨다. 또 이 분사기류(145)는 강판(1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강판(10) 상면에 분사되므로 스케일의 누설을 차단하는 차단벽의 기능을 한다. 즉 강판(10) 상부에 부유하는 스케일이 강판(10)의 이송방향으로 유동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한다. 분사기류(145)와 강판(10)의 각도(θ)는 30 ~ 75°이고, 분사기류(145)의 분사속도는 10 ~ 50m/s일 수 있다.
에어나이프(14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분사부(141a) 양측에 경사지게 마련된 측방분사부(141b)를 구비하므로, 강판(10) 상면 양측의 스케일이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 또는 후방후드(130)의 흡입구(131) 쪽으로 모이도록 유도해 스케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한다.
에어나이프(140)의 분사기류(14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0) 상면에 부딪힌 후 후방후드(130)의 흡입구(131) 하측에서 소용돌이 기류를 일으킨다. 또 에어나이프(140)의 분사기류(145)는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에 도달하여 전방후드(130)의 흡입구(131) 하측에서도 소용돌이 기류를 일으켜 강판(10) 상면을 따라 이송된 비교적 큰 입자의 스케일들을 부상시킨다. 따라서 강판(10) 상면을 따라 배출되는 스케일은 비교적 입자가 큰 것까지 전방후드(120)의 강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전방후드(120)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부유하는 스케일은 후방후드(130)의 흡입구(131)에 이르러 에어나이프(140) 분사기류(145)에 의해 배출이 차단되면서 소용돌이에 의해 후방후드 흡입구(131) 쪽으로 부상하므로 후방후드(130)에 의해 배출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스케일 배출장치는 에어나이프(140)의 분사기류(145)가 강판(10) 상면의 스케일을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 쪽으로 부상시키기 때문에 강판(10)을 따라 배출되는 스케일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예의 스케일 배출장치는 비교적 입자가 큰 스케일을 전방후드(120)가 강한 흡입력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고, 전방후드(120)에 의해 배출되지 않고 부유하는 스케일을 후방후드(130)가 흡입하여 배출시키며, 에어나이프(140)가 스케일의 누설을 차단하기 때문에 스케일의 배출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에어나이프(14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10)의 내면으로부터 에어의 분사방향으로 연장되어 분사기류(145)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46)를 포함한다. 에어가이드(146)는 후방후드(130)의 흡입기류 영향을 차단해 에어나이프(140)의 분사기류(145)가 강판(10) 상면까지 직진으로 분사되어 분사기류(145)가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분사기류로 인하여 후방후드(130) 흡입기류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한다. 에어나이프 분사기류(145)의 속도가 50m/s인 경우, 에어가이드(146)를 설치하지 않았을 때는 후방후드 흡입구(131)의 기류 속도가 15 ~30m/s 였지만, 에어가이드(146)를 설치한 후에는 후방후드 흡입구(131)의 기류 속도가 40 ~ 60m/s로 빨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같은 조건에서 에어가이드(146)의 설치만으로 후방후드(130)의 흡입이 더욱 원활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10)와 연결되는 후방 측에 마련된 곡면형 유입안내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형 유입안내부(126)는 전방후드(120)의 흡입구(121)로 흡입되는 기류가 코안다효과에 의해 정체없이 곡면을 따라 원활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전방후드(120)의 흡입이 원활하도록 하여 스케일의 배출효과를 향상시킨다.
10: 강판, 20: 스케일 브레이커,
100: 스케일 배출장치, 110: 커버,
120: 전방후드, 121: 전방후드의 흡입구,
124: 전방후드의 송풍장치, 126: 유입안내부,
130: 후방후드, 131: 후방후드의 흡입구,
134: 후방후드의 송풍장치, 140: 에어나이프,
141: 분사구, 142: 분배커버,
146: 에어가이드.

Claims (6)

  1. 이송되는 강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전방후드;
    상기 전방후드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후방후드; 및
    상기 전방후드 배출덕트와 상기 후방후드의 배출덕트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배출덕트와 연결되는 원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에어로포일형 코안다 표면과, 상기 코안다 표면보다 상류 측의 상기 몸체부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안다 표면을 이격되게 덮어 상기 코안다 표면과의 사이에 출구가 상기 배출덕트 하류를 향하는 노즐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배출덕트의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내부유로와 구획되도록 상기 코안다 표면 헤드부와 상기 덮개부 내면 사이에 마련되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급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후드의 흡입구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좁게 길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후드보다 강한 흡입력으로 스케일을 흡입하고,
    상기 후방후드의 흡입구는 상기 전방후드의 흡입구보다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전방후드보다 약한 흡입력으로 스케일을 흡입하는 스케일 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노즐부의 출구로 배출되는 에어가 상기 코안다 표면의 테일부를 향하는 확산기류를 형성하도록 상기 코안다 표면을 덮는 부분이 상류로부터 하류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축소되다가 다시 확장되는 형태인 스케일 배출장치.
  3. 삭제
  4. 이송되는 강판의 상부를 덮는 커버;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전방후드;
    상기 전방후드로부터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스케일을 흡입해 배출시키는 후방후드;
    상기 전방후드 배출덕트와 상기 후방후드의 배출덕트에 각각 설치되는 송풍장치; 및
    상기 후방후드 후방의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하측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에어를 분사해 상기 강판 상면의 스케일을 부상시키며 스케일의 누설을 차단하는 에어나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장치는 배출덕트와 연결되는 원통형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내측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내면이 만곡되게 형성된 에어로포일형 코안다 표면과, 상기 코안다 표면보다 상류 측의 상기 몸체부 내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코안다 표면을 이격되게 덮어 상기 코안다 표면과의 사이에 출구가 상기 배출덕트 하류를 향하는 노즐부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배출덕트의 유로보다 단면적이 작은 내부유로를 형성하는 덮개부와, 상기 내부유로와 구획되도록 상기 코안다 표면 헤드부와 상기 덮개부 내면 사이에 마련되며 에어공급원으로부터 에어를 공급받아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급기유로를 포함하는 스케일 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는,
    상기 후방후드 후방에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중간분사부; 및
    상기 중간분사부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커버의 양쪽 측단 전방을 향하여 각각 경사지게 연장된 두 측방분사부를 포함하는 스케일 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는 상기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에어의 분사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후방후드 흡입기류의 영향을 차단하는 에어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스케일 배출장치.

KR1020170104070A 2017-08-17 2017-08-17 스케일 배출장치 KR102127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070A KR102127690B1 (ko) 2017-08-17 2017-08-17 스케일 배출장치
CN201810147185.7A CN109396199A (zh) 2017-08-17 2018-02-12 氧化皮排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070A KR102127690B1 (ko) 2017-08-17 2017-08-17 스케일 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27A KR20190019327A (ko) 2019-02-27
KR102127690B1 true KR102127690B1 (ko) 2020-06-29

Family

ID=6556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070A KR102127690B1 (ko) 2017-08-17 2017-08-17 스케일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6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4039A1 (en) * 2012-08-03 2014-02-06 Yiwei Qi Air exchange system with multiple air blowers or fans to produce a cyclone-like air flow
KR101483436B1 (ko) * 2014-07-25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WO2015144631A1 (de) * 2014-03-28 2015-10-0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walzenreinigung und verfahren hierfü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34039A1 (en) * 2012-08-03 2014-02-06 Yiwei Qi Air exchange system with multiple air blowers or fans to produce a cyclone-like air flow
WO2015144631A1 (de) * 2014-03-28 2015-10-01 Thyssenkrupp Steel Europe Ag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walzenreinigung und verfahren hierfür
KR101483436B1 (ko) * 2014-07-25 2015-01-22 주식회사 삼우에코 스트립 표면의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327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776B1 (ko) 에어 집진 장치
JP2018516760A (ja) 金属ストリップから金属板を切断する装置
KR20140063420A (ko) 제진 장치
JP2006278859A (ja) 基板処理装置
KR20120047842A (ko) 분사재 회수 장치, 분사재 회수 장치를 구비한 블라스트 가공 장치 및 블라스트 가공 방법
JP2009148699A (ja) 基板処理装置
JP2006346515A (ja) 除塵装置
KR102127690B1 (ko) 스케일 배출장치
KR102094346B1 (ko) 스케일 배출장치
CN204866722U (zh) 一种卷材表面吹吸尘装置
CN109396199A (zh) 氧化皮排出装置
CN104958045A (zh) 吸尘器
KR101187882B1 (ko) 기판의 건조장치
CN216639752U (zh) 一种用于异纤清除机的异纤剔除装置
JPH07132270A (ja) 液体除去装置
JP6123698B2 (ja) 焼結機の排気ダクトのダスト堆積防止方法
KR101225779B1 (ko) 수증기 제거장치
CN105041730A (zh) 一种无叶风扇
JP2003282525A (ja) 基板処理装置
TWI741062B (zh) 玻璃基板之製造方法
KR200470844Y1 (ko) 분진처리시스템의 덕트라인 막힘방지장치
JPH11138752A (ja) 枚葉印刷機のシート案内装置
JP3629411B2 (ja) エアーナイフ乾燥装置
JP6110111B6 (ja) 除塵装置
JPS58157559A (ja) ビ−ムブランク形連鋳片の冷却水排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