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395A -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395A
KR20120020395A KR1020100083988A KR20100083988A KR20120020395A KR 20120020395 A KR20120020395 A KR 20120020395A KR 1020100083988 A KR1020100083988 A KR 1020100083988A KR 20100083988 A KR20100083988 A KR 20100083988A KR 20120020395 A KR20120020395 A KR 20120020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resh
signals
control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0680B1 (ko
Inventor
이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100083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0680B1/ko
Priority to US12/958,233 priority patent/US8493809B2/en
Publication of KR2012002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0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0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8Refresh operations over multiple banks or interl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리프레시 제어회로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REFRESH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프레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 중 디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은 대표적인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이다. 디램(DRAM)의 메모리 셀(Memory Cell)은 셀 트랜지스터 및 셀 캐패시터로 구성된다. 셀 트랜지스터는 셀 캐패시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셀 캐패시터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하를 저장한다. 즉, 셀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하량에 따라 하이레벨의 데이터 또는 로우레벨의 데이터로 구분된다.
한편, 디램(DRAM)의 메모리 셀은 누설성분에 의해서 셀 캐패시터로 전하가 유입되거나 유출되므로, 주기적으로 해당하는 데이터를 다시 저장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데이터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동작을 리프레시 동작(Refresh Operation)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디램(DRAM)은 64ms 동안 4K번 또는 8K번의 리프레시를 수행하는데, 이와 같은 리프레시 사이클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디램(DRAM)의 메모리부는 복수의 메모리 뱅크로 구분되는데, 리프레시 동작은 기본적으로 모든 메모리 뱅크에 동시에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모든 메모리 뱅크가 동시에 활성화 되어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될 때의 피크 전류(Peak Current)가 매우 크므로, 순간적인 전력소모가 매우 크며, 과도한 피크 전류로 인해서 동작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 뱅크를 그룹별로 활성화시킴으로써, 리프레시 사이클을 조절할 수 있는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의 제어에 따라 리프레시 주기가 조절되는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레시 제어회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예정된 어드레스 범위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카운팅 하여,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토글링 되는 카운팅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카운팅부; 및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며,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하는 리프레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상기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에 해당하는 메모리 블록을 리프레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의 제어에 따라 리프레시 주기가 조절되는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은 각각, 예정된 어드레스 범위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카운팅 하여,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토글링 되는 카운팅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카운팅부; 및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며,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하는 리프레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상기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에 해당하는 메모리 블록을 리프레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어드레스 카운팅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프레시 제어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요 내부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소자, 블록 등을 지칭할 때 사용하는 용어, 기호, 부호등은 필요에 따라 세부단위별로 표기할 수도 있으므로, 동일한 용어, 기호, 부호가 전체회로에서 동일한 소자 등을 지칭하지 않을 수도 있음에 유의하자. 일반적으로 회로의 논리신호 및 이진 데이터 값은 전압레벨에 대응하여 하이레벨(HIGH LEVEL, H) 또는 로우레벨(LOW LEVEL, L)로 구분하며, 각각 '1' 과 '0' 등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하이임피던스(High Impedance, Hi-Z) 상태 등을 가질 수 있다고 정의하고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10)와, 리프레시 제어부(20)와, 어드레스 카운팅부(30)와, 어드레스 선택부(40)와, 메모리부(50)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10) 및 어드레스 선택부(40)는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요소이다. 또한, 메모리부(50)는 4개의 메모리 뱅크로 구분되어 있다고 가정하며, 각 메모리 뱅크는 뱅크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10)는 퓨즈의 전기적인 연결상태 또는 테스트 신호(TM_REF_C)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출력한다.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10)는 전원이 안정화되었음을 나타내는 파워업 신호(PWRUP)가 활성화 되면, 내부에 구비된 퓨즈의 전기적인 상태에 따라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10)는 테스트 신호(TM_REF_C)가 활성화 되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활성화 시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는 리프레시 사이클을 조절하는 신호로서 정의된다.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예정된 어드레스 범위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인가될 때마다 카운팅 하여,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BK<0:11>)를 출력한다. 이때,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토글링 되는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를 출력한다. 즉,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어드레스 범위를 모두 카운팅한 이후에 다시 어드레스 범위를 처음부터 카운팅 하는데, 다시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를 토글링 하여 출력한다. 즉,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는 최초에 어드레스 범위를 카운팅할 때 로우레벨을 유지하고 있다면, 이후의 어드레스 범위를 처음부터 카운팅할 때 하이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참고적으로 어드레스 카운팅 순서는 실시예마다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업 카운팅 또는 다운 카운팅을 할 수 있으며 임의의 순서로 카운팅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어드레스 카운팅부(30)에 입력되는 리프레시 펄스신호(REF)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입력될 때마다 예정된 구간동안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인가될 때마다 카운팅 동작을 수행한다.
리프레시 제어부(20)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를 활성화시킨다. 이때, 리프레시 제어부(20)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입력될 때마다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활성화 되어 있으면,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킨다. 또한, 리프레시 제어부(20)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입력될 때마다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비활성화 되어 있으면,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뱅크 선택신호(BK<0>) 및 제2 뱅크 선택신호(BK<1>)는 제1 뱅크 그룹의 메모리 뱅크를 선택하는 신호라고 정의하고, 제3 뱅크 선택신호(BK<2>) 및 제4 뱅크 선택신호(BK<3>)는 제2 뱅크 그룹의 메모리 뱅크를 선택하는 신호라고 정의한다. 리프레시 제어부(20)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입력되면,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의 논리레벨에 따라 제1 뱅크 그룹을 선택하는 제1 및 제2 뱅크 선택신호(BK<0>,BK<1>)를 활성화 시켜 출력하거나, 제2 뱅크 그룹을 선택하는 제3 및 제4 뱅크 선택신호(BK<2>,BK<3>)를 활성화 시켜 출력한다. 반면에 리프레시 제어부(20)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비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에서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입력되면, 제1 내지 제4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한다.
한편, 리프레시 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리프레시 펄스신호(REF)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활성화 될 때 활성화 되고, 펄스조절신호(TRANSMIN)가 활성화 될 때 비활성화 되는 신호이다. 따라서 펄스조절신호(TRANSMIN)의 활성화 시점, 즉 펄싱시점에 의해서 리프레시 펄스신호(REF)의 활성화 구간이 조절된다. 펄스조절신호(TRANSMIN)는 커맨드 관련 제어회로에서 출력되는 신호로서 정의된다. 또한, 파워업 신호(PWRUP)는 리프레시 제어부(20)의 내부로직을 인에이블 시키거나 초기화 시키는 신호로서 정의된다.
어드레스 선택부(40)는 액티브 펄스신호(ACTP)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REF)에 응답하여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BK<0:11>) 또는 외부에서 인가된 복수의 어드레스 신호(ADDR<0:11>를 출력 어드레스(RA<0:11>)로서 출력한다. 즉, 어드레스 선택부(40)는 액티브 펄스신호(ACTP)가 활성화 되면 복수의 어드레스 신호(ADDR<0:11>를 출력 어드레스(RA<0:11>)로서 출력하고, 리프레시 펄스신호(REF)가 활성화 되면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BK<0:11>)를 출력 어드레스(RA<0:11>)로서 출력한다. 어드레스 선택부(40)에서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BK<0:11>)에 해당하는 출력 어드레스(RA<0:11>)가 출력된다고 가정하면, 메모리부(50)는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 및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BK<0:11>)에 해당하는 메모리 블록을 리프레시 한다. 이때 리프레시 어드레스는 워드라인 어드레스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워드라인의 제어를 받는 복수의 메모리 셀이 리프레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활성화 되면 제1 뱅크 그룹 및 제2 뱅크 그룹별로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활성화 되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비활성화 되었을 때 보다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인가되는 주기가 더 빨라진다. 예를 들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비활성화 되면, 모든 메모리 뱅크가 동시에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 64ms 동안 4K 번의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한편,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활성화 되면, 제1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가 동시에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한 이후에, 다시 제2 뱅크 그룹에 해당하는 제3 및 제4 메모리 뱅크가 동시에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인가되는 주기가 상대적으로 2배 빨라질 경우, 결과적으로 64ms 동안 8K 번의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같이 뱅크 그룹별로 구분하여 리프레시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대적으로 피크 전류가 감소하므로, 순간적으로 과도한 전류 소모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10)는 퓨즈상태 출력부(11)와, 로직부(12)로 구성된다.
퓨즈상태 출력부(11)는 파워업 신호(PWRUP)에 응답하여 퓨즈(FUSE) 전기적인 연결상태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퓨즈상태신호(FSEN)를 출력한다. 퓨즈(FUSE)가 쇼트 되어 있으면, 파워업 신호(PWRUP)가 활성화 될 경우 퓨즈상태신호(FSEN)는 로우레벨로 출력된다. 반면에 퓨즈(FUSE)가 오픈 되어 있으면, 파워업 신호(PWRUP)가 활성화 될 경우 퓨즈상태신호(FSEN)는 하이레벨로 출력된다.
로직부(12)는 테스트 신호(TM_REF_C) 및 퓨즈상태신호(FSEN)를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직부(12)는 퓨즈상태신호(FSEN)와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입력으로 하여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출력하는 논리합 수단(NOR,INV2)으로 구성된다. 로직부(12)는 테스트 신호(TM_REF_C)가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면 퓨즈상태신호(FSEN)의 레벨에 관계없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하이레벨로 출력한다. 또한, 로직부(12)는 테스트 신호(TM_REF_C)가 로우레벨일 때 퓨즈(FUSE)가 컷팅 되어 있으면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를 하이레벨로 출력한다.
도 3은 도 1의 어드레스 카운팅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파워업 신호(PWRUP)의 제어에 따라 초기화 되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1비트 카운터(30_1~30_13)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1비트 카운터(30_1~30_13) 중 최하위 1비트 카운터(30_13)는 카운팅 값을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로서 출력한다.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인가될 때마다 하이레벨로 펄싱하는 리프레시 펄스신호(REF)가 입력되면 카운팅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어드레스 카운팅부(30)는 예정된 어드레스 범위를 모두 카운팅 하고, 다시 처음부터 어드레스 범위를 카운팅 하는 동작을 시작할 때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를 하이레벨로 출력한다. 즉, 리프레시 어드레스 범위는 제1 내지 제12 1비트 카운터(30_1~30_12)를 통해서 카운팅 되며, 최하위의 제13 1비트 카운터(30_13)는 예정된 리프레시 어드레스 범위를 모두 카운팅 한 이후에, 다시 처음부터 어드레스 범위를 카운팅 하는 것을 알려주는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를 출력한다.
도 4는 도 1의 리프레시 제어부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프레시 제어부(20)는 제1 제어펄스 출력그룹(21_1,21_2)과, 제2 제어펄스 출력그룹(21_3,21_4)과, 펄스 출력부(22)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 제어펄스 출력그룹(21_1,21_2)은 제1 제어펄스 출력부(21_1)와 제2 제어펄스 출력부(21_2)로 구성된다. 또한, 제2 제어펄스 출력그룹(21_3,21_4)은 제3 제어펄스 출력부(21_3)와 제4 제어펄스 출력부(21_4)로 구성된다.
제1 제어펄스 출력그룹(21_1,21_2)은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 및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1 제어펄스신호(SREFP<0>,SREFP<1>)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제어펄스 출력부(21_1)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 및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를 입력으로 하는 제1 부정 논리곱 수단(NAND1_1)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와 제1 부정 논리곱 수단(NAND1_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부정 논리곱 수단(NAND1_2)과, 제2 부정 논리곱 수단(NAND1_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1 제어펄스신호(SREFP<0>)를 출력하는 인버터(INV1)로 구성된다. 제2 제어펄스 출력부(21_2)도 제1 제어펄스 출력부(21_1)와 동일한 회로로 구성된다.
제2 제어펄스 출력그룹(21_3,21_4)은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 및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의 반전신호(FLAG_BKB)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2 제어펄스신호(SREFP<2>,SREFP<3>)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제어펄스 출력부(21_3)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 및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의 반전신호(FLAG_BKB)를 입력으로 하는 제1 부정 논리곱 수단(NAND3_1)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와 제1 부정 논리곱 수단(NAND3_1)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제2 부정 논리곱 수단(NAND3_2)과, 제2 부정 논리곱 수단(NAND3_2)의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3 제어펄스신호(SREFP<2>)를 출력하는 인버터(INV3)로 구성된다. 제4 제어펄스 출력부(21_4)도 제3 제어펄스 출력부(21_3)와 동일한 회로로 구성된다.
펄스 출력부(22)는 파워업 신호(PWRUP) 및 펄스조절신호(TRANSMIN)에 응답하여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SREFP<0>,SREFP<1>,SREFP<2>,SREFP<3>)의 활성화 시점에 각각 대응하여 활성화 되는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REF)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리프레시 펄스신호(REF)는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SREFP<0>,SREFP<1>,SREFP<2>,SREFP<3>) 중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활성화 된다. 또한,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BK<0>,BK<1>,BK<2>,BK<3>)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REF)는 펄스조절신호(TRANSMIN)의 활성화 시점에 모두 비활성화 된다. 파워업 신호(PWRUP)는 펄스 출력부(22)를 초기화 시키거나, 인에이블 시키는 신호로서 정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요 내부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다이어그램이다.
도 5의 타이밍 다이어그램과 도 1 내지 도 4를 동시에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주요 내부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은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어 뱅크 그룹별로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즉,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 되어 제1 내지 제4 메모리 뱅크(BANK0~BANK3)가 모두 동시에 64ms 동안 4K번의 리프레시 사이클로 리프레시 하는 동작과,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어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BANK0,BANK1)가 4K-1번째 까지의 리프레시 하는 동작은 이미 이전에 수행되었다고 가정한다.
우선,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 되어 있으므로,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하이레벨로 펄싱할 때마다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BANK0,BANK1)의 4K번째 리플레시 동작이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1 및 제2 메모리 뱅크(BANK0,BANK1)의 4K번째의 리프레시 동작이 종료되었으므로, 카운팅 플래그 신호(FLAG_BK)는 하이레벨로 활성화 된다. 따라서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REFCMD)가 하이레벨로 펄싱할 때마다 제3 및 제4 메모리 뱅크(BANK2,BANK3)의 첫 번째 리플레시 동작(전체적으로는 4K+1 번째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다.
결론적으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로우레벨로 비활성화 되면 64ms 동안 4K번의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되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하이레벨로 활성화 되면 64ms 동안 8K번의 리프레시 동작이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CHIP1~CHIP4)를 구비한다.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CHIP1~CHIP4)은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의 제어에 따라 리프레시 주기가 조절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CHIP1~CHIP4)은 서로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단일 패키지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에 평면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CHIP1~CHIP4)는 와이드 입출력(WIDE I/0) 버스(BUS)를 구성할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각 반도체 메모리 칩은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가 외부의 메모리 컨트롤러(CONTROLLER,100)에서 인가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동일한 회로로 구성된다. 따라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REF_CY)의 제어에 따라 각 반도체 칩의 리프레시 사이클은 조절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각 반도체 칩의 리프레시 사이클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을 하였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는 직접 관련이 없는 부분이지만,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성을 포함한 실시예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및 회로의 활성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액티브 하이(Active High) 또는 액티브 로우(Active Low)의 구성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의 변경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너무 경우의 수가 많고, 이에 대한 변경은 통상의 전문가라면 누구나 쉽게 유추할 수 있기에 그에 대한 열거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 퓨즈상태 출력부
12 : 로직부
21_1 : 제1 제어펄스 출력부
21_2 : 제2 제어펄스 출력부
21_3 : 제3 제어펄스 출력부
21_4 : 제4 제어펄스 출력부

Claims (21)

  1.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도록 구성되는 리프레시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제어회로는,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 제어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었을 때 보다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되는 주기가 더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제어회로는,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및 카운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1 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펄스 출력그룹;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및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2 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펄스 출력그룹; 및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각각 대응하여 활성화 되는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리프레시 제어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는 ,
    예정된 리프레시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토글링 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 제어회로.
  6. 예정된 어드레스 범위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카운팅 하여,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토글링 되는 카운팅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카운팅부; 및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며,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하는 리프레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상기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에 해당하는 메모리 블록을 리프레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었을 때 보다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되는 주기가 더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퓨즈의 전기적인 연결상태 또는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발생부는,
    파워업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퓨즈의 전기적인 연결상태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퓨즈상태신호를 출력하는 퓨즈상태 출력부; 및
    상기 테스트 신호 및 상기 퓨즈상태신호를 논리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로직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액티브 펄스신호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 또는 외부에서 인가된 복수의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 어드레스로서 출력하는 어드레스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카운팅부는,
    파워업 신호의 제어에 따라 초기화 되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1비트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비트 카운터 중 최하위 1비트 카운터의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및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1 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펄스 출력그룹;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및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2 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펄스 출력그룹; 및
    파워업 신호 및 펄스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각각 대응하여 활성화 되는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펄스신호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 중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상기 리프레시 펄스신호는,
    상기 펄스조절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5.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의 제어에 따라 리프레시 주기가 조절되는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은 각각,
    예정된 어드레스 범위를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카운팅 하여,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함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범위가 시작될 때마다 토글링 되는 카운팅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 카운팅부; 및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활성화시킴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복수의 뱅크 그룹별로 활성화 시키며,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면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를 모두 활성화 시켜 출력하는 리프레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상기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에 해당하는 메모리 블록을 리프레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활성화 되면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가 비활성화 되었을 때 보다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가 인가되는 주기가 더 빨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반도체 메모리 칩은 각각,
    액티브 펄스신호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신호 또는 외부에서 인가된 복수의 어드레스 신호를 출력 어드레스로서 출력하는 어드레스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카운팅부는,
    파워업 신호의 제어에 따라 초기화 되는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1비트 카운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비트 카운터 중 최하위 1비트 카운터의 카운팅 값에 대응하는 레벨을 갖는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제어부는,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및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1 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제어펄스 출력그룹;
    상기 리프레시 커맨드 신호, 상기 리프레시 사이클 선택신호 및 상기 카운팅 플래그 신호의 반전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 되는 복수의 제2 제어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제어펄스 출력그룹; 및
    파워업 신호 및 펄스조절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각각 대응하여 활성화 되는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리프레시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펄스 출력부;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레시 펄스신호는,
    상기 복수의 제1 및 제2 제어펄스신호 중 활성화된 어느 하나의 제어펄스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뱅크 선택신호 및 상기 리프레시 펄스신호는,
    상기 펄스조절신호의 활성화 시점에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20100083988A 2010-08-30 2010-08-30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1190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988A KR101190680B1 (ko) 2010-08-30 2010-08-30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2/958,233 US8493809B2 (en) 2010-08-30 2010-12-01 Refresh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988A KR101190680B1 (ko) 2010-08-30 2010-08-30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395A true KR20120020395A (ko) 2012-03-08
KR101190680B1 KR101190680B1 (ko) 2012-10-16

Family

ID=4569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988A KR101190680B1 (ko) 2010-08-30 2010-08-30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93809B2 (ko)
KR (1) KR1011906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1954B2 (en) 2013-08-09 2016-06-07 SK Hynix Inc. Memory device,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9607678B2 (en) 2014-12-05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including same
CN112037830A (zh) * 2014-09-05 2020-12-04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刷新控制电路以及使用该刷新控制电路的半导体器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9566B2 (en) * 2010-12-09 2014-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mory system with a programmable refresh cycle
US8887014B2 (en) 2012-12-11 2014-11-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errors in a DRAM by weak cell encoding
US8898544B2 (en) 2012-12-11 2014-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RAM error detection, evaluation, and correction
KR102299352B1 (ko) * 2015-02-02 2021-09-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419535B1 (ko) * 2016-03-18 2022-07-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KR102592359B1 (ko) 2016-06-27 2023-10-2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US10181346B2 (en) 2016-08-02 2019-01-15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s and operations thereof
US11217286B2 (en) 2016-06-27 2022-01-04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power down operation
US11133042B2 (en) 2016-06-27 2021-09-28 SK Hynix Inc. Semiconductor memory system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can be remotely initialized
US10147471B2 (en) 2016-08-02 2018-12-04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s and semiconductor systems
KR20180032391A (ko) * 2016-09-22 2018-03-3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0822B2 (en) 2001-05-07 2003-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partial array self-refresh operation in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29872B1 (ko) 2001-06-27 2004-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메모리 시스템및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방법
KR100474551B1 (ko) * 2003-02-10 2005-03-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셀프 리프레쉬 장치 및 방법
KR100631165B1 (ko) 2004-05-06 2006-10-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칩 면적을 줄인 반도체메모리소자 및 그의 구동방법
JP4299849B2 (ja) * 2006-08-22 2009-07-22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リフレッシュ制御方法
KR100809960B1 (ko) 2006-09-28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시 회로 및 리프레시 방법
JP2009059452A (ja) 2007-09-03 2009-03-19 Toshiba Microelectronics Corp 半導体記憶装置
KR101132800B1 (ko) 2010-06-09 2012-04-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데이터입력회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1954B2 (en) 2013-08-09 2016-06-07 SK Hynix Inc. Memory device, memor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037830A (zh) * 2014-09-05 2020-12-04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刷新控制电路以及使用该刷新控制电路的半导体器件
CN112037830B (zh) * 2014-09-05 2024-01-02 爱思开海力士有限公司 刷新控制电路以及使用该刷新控制电路的半导体器件
US9607678B2 (en) 2014-12-05 2017-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93809B2 (en) 2013-07-23
US20120051169A1 (en) 2012-03-01
KR101190680B1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680B1 (ko)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그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681578B2 (en) Semiconductor device that performs refresh operation
US9653139B1 (en) Simultaneous plural wordline within a bank refreshing control device and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34461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lective row refreshes
US8743643B2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with fully independent partial array refresh function
US2015015502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refresh control system, and refresh control method
KR20050046427A (ko) 리플레쉬 동작을 수행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JP2012038399A (ja) 半導体装置
US69407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DRAMs with reduced self-refresh current requirements
CN102655023A (zh) 用于半导体存储器件的刷新控制电路及方法
US8638629B2 (en) Refresh control circuit, memory apparatus and refresh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32091A (ko) 리프레시 제어 장치
KR20120075983A (ko) 반도체메모리장치
US20140068171A1 (en) Refresh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607489B1 (ko) 리프레쉬 제어회로,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시스템
US8982602B2 (en) Memory devices, circuits and, methods that apply different electrical conditions in access operations
US20110072205A1 (en) Memory device and memory system comprising same
US7835180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29036B1 (ko) 셀프 리프레시 전류를 줄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KR20120020315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프 리프레시 제어회로 및 제어 방법
KR10071249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프 리프레쉬 회로 및 그 방법
CN105845169B (zh) 半导体器件及其驱动方法
US20090003094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fresh mod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200032465A (ko) 메모리 및 메모리의 리프레시 동작 방법
KR102128860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