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899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899A
KR20120019899A KR1020100083483A KR20100083483A KR20120019899A KR 20120019899 A KR20120019899 A KR 20120019899A KR 1020100083483 A KR1020100083483 A KR 1020100083483A KR 20100083483 A KR20100083483 A KR 20100083483A KR 20120019899 A KR20120019899 A KR 20120019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member
sliding door
air conditionin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3661B1 (ko
Inventor
김학규
최영호
주영복
정재경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6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42Modula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35Air-tight sea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열교환기가 내장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양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면의 양단부에 가이드핀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제1실링부와,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부재를 포함한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샤프트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양측벽에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핀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핀가이드홈 및 상기 실링부재를 슬라이딩 지지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부와 제2실링부가 각각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의 실링면에 실링부재를 이중사출함으로써 실링부재의 이중사출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에는 러버 재질의 제1실링부를 형성하고,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에는 폼 재질의 제2실링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출시 제2실링부가 변형되지 않아 조립성이 우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시 공조케이스에 제2실링부가 걸리지 않게 되어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벤트가 설치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입구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증발기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를 구비하여 차량의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기 위한 냉방시스템과, 차량의 실내를 난방하기 위한 난방시스템을 포함한다.
냉방시스템은 압축기의 구동에 의하여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Receiver Dryer),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거쳐 다시 압축기로 순환하는 냉매와, 송풍기에 의해 증발기 표면을 거치는 송풍공기와의 열교환에 의해 상기 송풍공기가 냉기로 바뀌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냉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난방시스템은 냉각수를 히터코어로 유입하여 송풍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차량 실내를 난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그 한 가지로,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각각 별도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결합된 쓰리 피스 타입(Three Piece Type)의 공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공조장치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차량 실내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짐은 물론 생산성 저하 등 각종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차량 실내 공간의 효율성 증대를 위하여 차량 공조장치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최근에는 증발기 유니트와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세미 센터 마운팅 타입(Semi-Center Mountion type)의 공조장치 또는 송풍기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 유니트가 일체화된 센터 마운팅 타입(Center Mounting Type)의 공조장치의 적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 세미 센터 타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송풍기 유니트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공조장치(1)는 출구에 각각 모드도어(11a)(12a)(13a)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되는 디프로스트 벤트(11), 페이스 벤트(12) 및 플로어 벤트(13)가 설치된 공조케이스(10)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입구(10a)에 연결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송풍하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공조케이스(10)에 내장되는 증발기(2) 및 히터코어(3)와; 그리고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20)로는 플렛형(Flat Type), 돔형(Dome Type), 슬라이딩형(Sliding Type) 등이 있으며, 도 1에는 슬라이딩형 온도조절도어가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공조케이스(10)의 내부 양측벽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단부에 가이드핀(21c)이 형성되고 일측면에 기어부(21a)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21)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양측벽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슬라이딩 도어(21)의 기어부(21a)와 기어결합되도록 기어부(22a)가 형성되어 슬라이딩 도어(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21)의 일측면 둘레에는 폼(FOAM)재질의 실부재(21b)가 부착된다. 상기 실부재(21b)는 슬라이딩 도어(21)의 작동시 공조케이스(10)의 내측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공기의 리크를 방지하는 등 실링성을 향상하게 된다.
이러한 온도조절도어(20)는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기와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1)에 의하면,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기통로(P1)를 개방함과 아울러 온기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냉기통로(P1)를 폐쇄함과 아울러 온기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2)를 거치면서 증발기(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냉기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ixing Chamber, 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또한, 최대난방모드가 가동될 경우, 송풍공기는 온기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3)를 거치면서 히터코어(3)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그리고,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냉방모드, 즉 1/2냉방모드가 가동될 경우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도조절도어(20)는 중립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냉기통로(P1) 및 상기 온기통로(P2)를 모두 개방시킨다. 따라서, 증발기(2)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3)를 거친 온기가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여 혼합되면서,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21)는, 실링성을 위해 슬라이딩 도어(21)의 일측면에 작업자가 직접 폼재질의 실부재(21b)를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추가되어 원가가 상승함은 물론 작업자의 작업 미숙에 따른 품질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슬라이딩 도어의 실링면에 실링부재의 이중사출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링부재의 사출시 변형되지 않아 조립성이 우수하여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열교환기가 내장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양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면의 양단부에 가이드핀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제1실링부와,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제2실링부로 이루어진 실링부재를 포함한 슬라이딩 도어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샤프트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양측벽에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핀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핀가이드홈 및 상기 실링부재를 슬라이딩 지지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부와 제2실링부가 각각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실링부와 제2실링부는 서로 다른 재질로서, 상기 제1실링부는 러버 재질이고, 상기 제2실링부는 폼 재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실링부와 제2실링부는 별도의 코너부 없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의 폭은 상기 제2실링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구간에서 실링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의 제1실링부와 대응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의 양단부 구간에는 실링부재 가이드홈의 폭(W)을 다른 구간보다 축소시킨 홈축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의 외측면에 공조케이스의 양측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실링부는 상기 기어부의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가이드핀은, 상기 공조케이스내의 측벽을 향해 상기 제2실링부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 도어의 실링면에 실링부재를 이중사출함으로써 실링부재의 이중사출에 따른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슬라이딩 도어의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에는 러버 재질의 제1실링부를 형성하고,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에는 폼 재질의 제2실링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출시 제2실링부가 변형되지 않아 조립성이 우수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구동시 공조케이스에 제2실링부가 걸리지 않게 되어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실링부와 제2실링부를 별도의 코너부 없이 직선 형태로 구성하여 실링부재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링부재 가이드홈의 폭을 제2실링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여 슬라이딩 도어의 작동력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구간과 같이 실링성이 중요한 구간에서는 슬라이딩 가이드홈의 폭을 축소시킨 홈축소부를 형성함으로써, 최대냉,난방 구간에서 슬라이딩 도어의 실링부재가 상기 홈축소부에 위치하면서 다른 구간보다 더욱 밀착되어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1/2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핀가이드홈과 실링부재 가이드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핀가이드홈과 실링부재 가이드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난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1/2냉방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실링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핀가이드홈과 실링부재 가이드홈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가 핀가이드홈과 실링부재 가이드홈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슬라이딩 도어와 기어샤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내부에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각 통로(P1)(P2)에 열교환기인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가 내장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증발기(101)를 거친 냉기와 히터코어(102)를 거친 온기의 양을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에는 송풍기(미도시)가 설치되어, 내기 또는 외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출구쪽에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 및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각 벤트들은 모드 도어(130)에 의하여 개폐되면서 그 개도가 조절된다.
상기 히터코어(102)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온기통로(P2) 상에 설치되며, 상기 증발기(101)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냉기통로(P1), 즉, 온기통로(P2)의 상류측인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입구(111)쪽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한편,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내부에 상기 모드도어(130), 온도조절도어(120) 등을 설치하기 위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 도어(121)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전방측(상류측)에 위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마주하는 양측벽에 형성된 관통공(11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슬라이딩 도어(121)를 작동시키는 기어샤프트(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123)와, 상기 기어부(123)의 외측면에 공조케이스(110)의 양측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핀가이드홈(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124)과, 상기 본체(122) 및 기어부(123)의 일측면 둘레에 이중사출됨과 아울러 공조케이스(110)의 양측벽과 마주하는 부위가 아래에서 설명될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링부재(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부(123)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핀(124)은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양단부측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가이드핀(124)은, 도 8과 같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측벽을 향해 상기 실링부재(125)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125)의 내측단부는 상기 본체(122) 및 기어부(123)의 일측면 둘레에 이중사출을 통해 성형되고, 외측단부는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일측면 둘레(실링면)에 실링부재(125)를 이중사출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절감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25)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러버 재질의 제1실링부(125-1)와,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폼 재질의 제2실링부(125-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제2실링부(125-2)가 폼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출시 제2실링부(125-2)가 변형되지 않아 조립성이 우수하여 슬라이딩 도어(121)의 구동시 공조케이스(110)에 제2실링부(125-2)가 걸리지 않게 되어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실링부(125-1)와 제2실링부(125-2)는 별도의 코너부 없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제1실링부(125-1)와 제2실링부(125-2)가 변형이 쉽게 발생되는 코너부 없이 직선 형태로 구성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실링부(125-2)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본체(12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123)의 반대편에 위치한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링부(125-1)와 제2실링부(125-2)는 각각 분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본체(122)는 평면 형태이지만, 상기 본체(12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기어부(123)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본체(122)측에 형성되는 제1실링부(125-1)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곡면 형태인 기어부(123)측에 형성되는 제2실링부(125-2)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내에 삽입되는 제2실링부(125-2)가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어샤프트(126)에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기어부(12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기어부(127)가 형성되어 상호 기어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어샤프트(126)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샤프트(126)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121)가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기와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마주하는 양측벽에는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핀(124)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핀가이드홈(140) 및 상기 실링부재(125)를 슬라이딩 지지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양측벽에는 상기 핀가이드홈(140) 및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이 각각 형성되도록 둘레벽(142)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핀가이드홈(140)과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이 상호 분리되어 형성되도록 상기 둘레벽(142)내의 핀가이드홈(140)과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사이에는 격벽(145)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격벽(145)을 기준으로 공기유동방향 상류측에는 핀가이드홈(140)이 형성되고 하류측에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작동을 위해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마주하는 양측벽상에 가이드핀(124)이 슬라이딩하는 핀가이드홈(140)과 실링부재(125)가 슬라이딩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을 상호 독립적으로 분리함으로써, 풍압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121)의 공기유동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풍압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121)의 이동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실링부재(125)가 실링부재 가이드홈(150)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작동할 때 일정한 탄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풍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작동력을 유지할 수 있고 내구성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을 상기 제2실링부(125-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을 제2실링부(125-2)의 두께보다 크게 하게 되면 상기 제2실링부(125-2)가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도 슬라이딩 작동이 원활해지므로 슬라이딩 도어(121)의 작동력이 감소되고 이로 인해 내구성도 향상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은 상기 제2실링부(125-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되, 최대폭은 상기 상기 제2실링부(125-2)가 실링성에 문제가 없을 정도의 탄력으로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실링성이 중요한 구간 즉,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구간에서 실링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양단부에 형성된 제1실링부(125-1)와 대응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양단부 구간에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을 다른 구간보다 축소시킨 홈축소부(151)가 형성된다.
도 6과 같이,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상단부와 하단부, 그리고 중간부에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을 다른 구간보다 축소시킨 홈축소부(1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구간과 같이 실링성이 중요한 구간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양단부에 형성된 제1실링부(125-1)가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홈축소부(151)에 위치하면서 다른 구간보다 밀착성이 향상되어 실링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을 제2실링부(125-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하되, 실링성이 중요한 최대냉,난방 구간에서만 폭(W)을 축소하여 작동력 감소는 물론 실링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상기 홈축소부(151)와 대응하는 핀가이드홈(140)에는 핀가이드홈(140)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124)의 이동경로를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측 방향으로 일정량 이동되게 변경시켜주는 핀경로변경부(1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구간과 같이 실링성이 중요한 구간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가이드핀(124)이 상기 핀경로변경부(141)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도어(121)가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측 방향(공기유동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2실링부(125-2)가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내측면에 더욱 밀착되어 실링성을 향상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홈축소부(151)와 핀경로변경부(141)는, 홈축소부(151)와 핀경로변경부(141) 구간에 형성된 격벽(145a) 부분을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측 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여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격벽(145a) 부분과 마주하는 핀가이드홈(140)의 내벽면도 격벽(145a) 부분과 동일방향으로 일정량 이동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조립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가이드핀(124)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벽에 형성된 핀가이드홈(140)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2실링부(125-2)는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에 삽입 설치된다.
이후,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에 설치된 엑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상기 기어샤프트(126)가 회전하면, 상기 기어샤프트(126)와 기어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 도어(121)가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여 냉기와 온기의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작동시, 상기 가이드핀(124)과 제2실링부(125-2)는 상기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형성된 핀가이드홈(140)과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을 따라 슬라이딩 작동하게 된다.
도 2는, 최대냉방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냉기통로(P1)를 개방하고 온기통로(P2)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의 제1실링부(125-1)는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하단부와 중간부에 형성된 홈축소부(151)에 위치하여 더욱 밀착되므로 실링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증발기(101)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기로 바뀐 뒤, 냉기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벤트모드, 플로어모드, 디프로스트모드, 바이레벨모드, 믹스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냉방이 수행된다.
도 3은 최대난방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냉기통로(P1)를 폐쇄하고 온기통로(P2)를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의 제1실링부(125-1)는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상단부와 중간부에 형성된 홈축소부(151)에 위치하여 더욱 밀착되므로 실링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후, 온기통로(P2)를 통하여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히터코어(102)의 내부를 유동하는 냉각수와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쪽으로 유동하여,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하여 차량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차량 실내의 난방이 수행된다.
도 4는 최대냉방모드가 아닌 1/2냉방모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중간위치로 이동하여 냉기통로(P1)와 온기통로(P2)를 모두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미도시된 송풍기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는, 증발기(101)를 거치면서 냉각되고, 이후 슬라이딩 도어(121)에 의해 일부 공기를 냉기통로(P1)를 통해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고, 일부 공기는 온기통로(P2)를 통해 히터코어(102)를 거치면서 열교환되어 온기로 바뀐 뒤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기 믹싱 챔버(MC) 쪽으로 유동한 냉기와 온기는 서로 혼합된 후, 소정의 공조모드에 따라 개방되는 벤트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어 적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가이드핀(124)과 실링부재(125)를 슬라이딩 지지하도록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벽에 핀가이드홈(140)과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을 격벽(145)을 통해 상호 분리되게 형성한 구성을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 쓰리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입구 112: 디프로스트 벤트
113: 페이스 벤트 114: 플로어 벤트
120: 온도조절도어 121: 슬라이딩 도어
122: 본체 123,127: 기어부
124: 가이드핀 125: 실링부재
125-1: 제1실링부 125-2: 제2실링부
126: 기어샤프트 130: 모드도어
140: 핀가이드홈 141: 핀경로변경부
142: 둘레벽 145: 격벽
150: 실링부재 가이드홈 151: 홈축소부

Claims (8)

  1. 열교환기가 내장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벽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면의양단부에 가이드핀(124)이 형성되고 슬라이딩 방향 양단부에 형성된 제1실링부(125-1)와, 슬라이딩 방향 양측면에 형성된 제2실링부(125-2)로 이루어진 실링부재(125)를 포함한 슬라이딩 도어(121)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와 기어결합되는 기어샤프트(126)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벽에 슬라이딩 도어(121)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핀(124)을 슬라이딩 지지하는 핀가이드홈(140) 및 상기 실링부재(125)를 슬라이딩 지지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실링부(125-1)와 제2실링부(125-2)가 각각 분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125-1)와 제2실링부(125-2)는 서로 다른 재질로서,
    상기 제1실링부(125-1)는 러버 재질이고, 상기 제2실링부(125-2)는 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링부(125-1)와 제2실링부(125-2)는 별도의 코너부 없이 직선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은 상기 제2실링부(125-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최대냉방 또는 최대난방 구간에서 실링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도어(121)의 제1실링부(125-1)와 대응하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양단부 구간에는 실링부재 가이드홈(150)의 폭(W)을 다른 구간보다 축소시킨 홈축소부(15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22)와;
    상기 본체(122)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기어부(123)와;
    상기 기어부(123)의 외측면에 공조케이스(110)의 양측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핀가이드홈(14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핀(1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링부(125-2)는 상기 기어부(12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도어(121)의 가이드핀(124)은,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측벽을 향해 상기 제2실링부(125-2) 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00083483A 2010-08-27 2010-08-27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483A KR101703661B1 (ko) 2010-08-27 2010-08-27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483A KR101703661B1 (ko) 2010-08-27 2010-08-27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99A true KR20120019899A (ko) 2012-03-07
KR101703661B1 KR101703661B1 (ko) 2017-02-07

Family

ID=4612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483A KR101703661B1 (ko) 2010-08-27 2010-08-27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6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720A (ko) * 2013-08-21 2015-03-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28047A (ko) * 2013-09-05 2015-03-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789A (ko) * 1997-02-06 2000-11-25 오오 노 하루 오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JP2001253221A (ja) * 2000-03-09 2001-09-18 Denso Corp 空気通路切替装置
JP2004122930A (ja) * 2002-10-02 2004-04-22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7112246A (ja) * 2005-10-19 2007-05-10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0789A (ko) * 1997-02-06 2000-11-25 오오 노 하루 오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의 도어 기구
JP2001253221A (ja) * 2000-03-09 2001-09-18 Denso Corp 空気通路切替装置
JP2004122930A (ja) * 2002-10-02 2004-04-22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
JP2007112246A (ja) * 2005-10-19 2007-05-10 Denso Corp 空気通路開閉装置及び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720A (ko) * 2013-08-21 2015-03-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028047A (ko) * 2013-09-05 2015-03-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661B1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52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00120348A1 (en) Blowing-mode door for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vehicle air-condition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9410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6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73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251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499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8000938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온도조절도어 조립구조
KR10170570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886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9979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471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251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209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068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0668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1012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350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634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482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3013621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0343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8932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