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290A -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290A
KR20120019290A KR1020100082626A KR20100082626A KR20120019290A KR 20120019290 A KR20120019290 A KR 20120019290A KR 1020100082626 A KR1020100082626 A KR 1020100082626A KR 20100082626 A KR20100082626 A KR 20100082626A KR 20120019290 A KR20120019290 A KR 20120019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or
parcel
reception
parcel deli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원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82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290A/ko
Priority to US13/217,373 priority patent/US20120053940A1/en
Publication of KR20120019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택배 우편물 접수처리 정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택배 우편물의 접수 신청정보 및 접수정보를 처리하는 우체국 서버와 집하원의 단말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에서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는, 택배 우편물의 접수신청 및 집하 현장정보를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 블록과,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화된 상기 접수신청 정보 및 상기 접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접수신청 정보 및 상기 접수정보를 처리하여, 택배 접수 업무의 각각의 단계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과, 상기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저장하는 접수관리 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Door-to-Door parcel acceptance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voice recognition}
본 발명은 택배 우편물 접수처리 정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택배 신청부터 집하 후 마감처리까지 택배 접수처리 시 수반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택배접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택배 우편물 접수처리 정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우정기술연구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과제관리번호: KI001494, 과제명: 실시간 우편물류 요소기술 개발]
우편서비스는 크게 통상 우편서비스와 소포 우편서비스가 있으며 각 서비스는 접수부터 배달까지 특별취급 처리하며 배송하는 과정을 기록관리 해주는 등기 우편서비스와 기록관리 없이 우편물을 배송해주는 일반 우편서비스가 있다. 통상 우편서비스는 일반적인 편지봉투와 서류봉투 우편물이 대부분이며, 소포 우편서비스는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다루기 힘들며 30Kg 미만의 물건을 우편으로 이용될 때 제공되는 서비스로 우체국내 창구접수 시에는 일반 소포접수와 등기 소포접수 서비스가 이루어지지만 방문택배 우편서비스는 전량 기록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기 우편서비스로 접수되고 있다. 이는 우체국 외부에 있는 고객이 원하는 장소에서 우편물이 발생되어 운반되기 때문에 분실 또는 훼손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택배 우편서비스의 접수신청 방법은 전화신청(지역우체국전화번호 또는 우체국 콜센터 전화번호)과, 인터넷신청과, 우체국에 방문하여 신청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택배 접수신청은 전화신청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선전화로 콜센터에 전화하여 신청할 경우, 신청지역의 우체국 접수담당으로 바로 연결되지만 핸드폰으로 신청 할 경우 콜센터에서 신청 접수를 받아 해당지역 우체국의 접수담당자에게 보내게 된다.
접수담당자는 자국 관할구역별로 집하를 담당하는 집하원에게 해당구역 신청정보를 제공한다. 집하원은 담당구역 택배 신청정보를 수합하여 집하 장소로 이동하면서 도착 예정시간 및 상세한 집하 장소를 확인한다.
접수담당자가 차량을 운행하면서 각 택배 신청자에게 전화를 걸어 집하 장소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사고의 위험성이 있고, 이와 달리 도로 가에 차량을 세워놓고 각 택배신청자와 통화하기에는 시간이 허용되지 않을뿐더러 교통 체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전화로 택배를 접수하는 경우, 접수 담당자가 고객으로부터 접수정보를 모두 받기에는 그 정보가 많아 고객에게 불편함을 끼치게 되고, 오 인지된 글자가 많기 때문에 활용가치가 떨어지므로 신청정보로 발송인 성명, 주소, 전화번호만 받아서 집하지를 찾아갈 수 있는 정보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택배 신청접수 업무는 종이 기반으로 수기에 의존하기 때문에, 불편하고, 기표지를 사용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한다.
또한, 접수정보가 접수 즉시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되지 못하므로, 접수 담당자는 우체국에 귀국하여 일일이 컴퓨터 키보드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그날 입고되는 소포 개수와 실적을 상호 확인 검토 할 수도 없고, 수금한 택배요금과 실물 소포를 확인하여 수납하지 못하고 집하원이 제시하는 금액을 일단 수납 후에 정보가 입력되면 그때 정산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소포 분실 시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활용하여 음성 POI(point of interest, 이하 'POI'라 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처리 단계별 신청 및 접수정보를 제공하여 업무 수행 시 효율성을 제고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정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수 현장에서 접수정보를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접수하고, 영수증과 기표지(송장)를 인쇄하여 종이 기표지를 절약함으로써, 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정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수현장에서 접수정보 입력이 완료됨에 따라, 접수실적 자동 집계를 통해서 소포 개수와 실적을 확인하고, 택배요금을 자동으로 집계할 수 있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정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는, 택배 우편물의 접수신청 및 집하 현장정보를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 블록과,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화된 상기 접수신청 정보 및 상기 접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접수신청 정보 및 상기 접수정보를 처리하여, 택배 접수 업무의 각각의 단계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과, 상기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저장하는 접수관리 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택배 우편물의 접수신청을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성명, 주소 및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수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접수신청 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과 집하원을 배정하는 단계와, 집하 현장에서 현장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수취인 정보, 발송인 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결제정보에 따라 해당 접수 건에 대한 영수증 및 기표지의 출력신호를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배 우편물 접수 시, 우편물 접수신청 정보와 택배 접수정보를 음성으로 컴퓨터나 PDA 또는 핸드폰과 같은 우편물 접수 장치에 입력하여 해당 접수 정보를 문자 정보화하고, 실시간으로 고객과 우체국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업무 수행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수 담당자의 귀국 후 마감처리 업무를 쉽게 이루어지게 하여, 전체 접수 처리업무 단계가 편리하고 간편해지기 때문에, 원가 절감은 물론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수 담당자는 귀국 후 실적과 소포 실물 및 요금 수납에 관련된 업무를 편리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기 지표지를 휴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업무 수행 시 발생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접수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PO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PO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을 통해 택배 신청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인식된 택배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해당구역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택배 수집 집하원 배정/확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인식된 택배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현장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우편물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영수증 및 기표지를 발행하고 정보들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우체국 내근자에게 우편물 인수인계와 최종적인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택배요금 결제 후 발급된 영수증과 라벨 기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접수 단말장치에 입력된 접수 정보의 일 예와 이에 따른 기표지 라벨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순서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접수 단말장치에 입력된 접수 정보의 일 예와 이에 따른 기표지 라벨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단말(100)과 우체국 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단말(100)은 고객이 전화로 택배를 신청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과 집하원이 택배 소포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우체국 서버(200)와 유무선통신망으로 연동되는 일반전화, PDA, 핸드폰, 아이폰, 위폰, 스마트폰 등을 의미한다.
우체국 서버(200)는 음성 입력 블록(210),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 접수관리 블록(2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 블록(210)은 예를 들면, 전화의 수화기 또는 단말(100)의 마이크등을 통해 음성으로 입력되는, 우편물을 접수하기 위한 택배 신청정보 및 택배 접수정보를 처리한다.
상세하게는 음성 입력 블록(210)은 택배 우편물 접수신청을 위해 성명,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 받고, 택배 집하 접수 시 필요한 발송인정보, 수취인정보, 우편물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음성으로 입력 받아, 그 음성 데이터를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으로 전달한다.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음성 PO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집하 담당 우체국이나 집하원을 결정하기 위한 각종 접수 신청정보(예를 들면, 신청인 성명, 집하 지역 주소, 전화번호 정보 등)를 음성 인식하고, 택배 우편물 접수를 위한 각종 접수정보(예를 들면, 수취인 정보, 발송인 정보, 우편물(물품) 정보, 결제 정보 등)를 음성 인식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신청정보 및 접수정보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해당지역 음성인식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함으로써, 음성 인식의 지역범위를 해당 신청지역에 국한하여 음성 인식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성명, 주소(동 레벨까지), 전화번호의 정보를 획득한다. 만약, 유선전화로 집하 지역과 다른 타지역권에서 택배신청이 있거나 핸드폰으로 택배신청이 있는 경우,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전국을 지역권으로 분할한 코드를 입력하여 음성인식 범위를 줄이고 고객의 지역 구분 코드입력이 없을 경우는 전국을 대상으로 음성 인식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인식된 접수신청 정보를 이용하여, 택배 집하 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 및 담당 집하원을 결정하여, 집하원의 단말(100)에 택배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현장에서 집하원의 단말(100)을 통해 입력된 음성을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 받고, 이를 음성 인식하여 접수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획득한 접수정보를 토대로 집하원의 단말(100)로 영수증을 1장만, 소포에 붙일 기표지(송장)는 소포마다 1장씩 프린트하라는 신호를 전송한다. 기존에는 10개의 소포를 접수할 경우 영수증 10개와 소포에 붙이는 기표지 10개 그리고 우체국 보관용 10장 모두 30장을 3연식 기표지를 이용하여 발행하고 있지만,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수증 1장과 소포 라벨용 10장으로 모두 11장만 발행하면 되므로 기표지 비용이 대폭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접수신청 정보와 우편물 접수를 위해 획득되는 발송인 정보, 수취인 정보, 우편물 정보, 결제 정보 등을 우편물 접수정보로 인식하고, 인식된 우편물 접수정보를 접수관리 블록(230)으로 출력한다.
한편, 접수관리 블록(230)은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으로부터 출력되는 택배 우편물 접수처리 정보를 디스플레이한 후에, 우편물 접수자의 확인 입력에 따라 해당 우편물 접수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우편물 접수처리를 완료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에서 접수신청 정보, 택배 접수정보를 각각 획득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주소와 우편번호는 상호 연계되는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화될 수 있으므로, 우편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우편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성하여 주소 단어와, 우편번호 숫자를 함께 검색함으로써, 주소 정보와 우편번호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음성 POI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면, 신청정보에 관한 성명 특징벡터 데이터베이스, 주소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 전화번호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와 접수정보에 관한 주소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 우편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 권역 별 우편번호 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 우편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 우편물 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 우편물 정보 데이터베이스,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하는 우편물 접수를 위해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택배 신청정보인 성명, 주소, 전화번호와 접수정보인 주소 정보, 우편번호 정보, 전화번호 정보, 우편물 정보 및 결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양한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와 다양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우편물 접수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220)은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와, 택배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223)와,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224)와, 택배 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225)와,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226)와, 택배 접수정보 처리 관리부(227)를 포함한다.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는 음성 입력 블록으로부터 택배 접수신청을 위한 신청인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에 대한 음성입력 데이터가 전달되면, 해당 음성 데이터에서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서 패턴 매칭을 수행한 후, 상기 음성 특징 벡터와 패턴이 일치하는 성명, 주소, 전화번호 단어를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는 추출된 단어 중 주소 단어를 우편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해당 주소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는 입력되는 주소 음성입력 데이터에서 주소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주소 발성 방식에 따라 음성 특징 벡터를 분리하고, 분리된 주소 음성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동 이름 특징 벡터 또는 구(면)+동(리)이름 특징 벡터 등을 포함하는 주소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는 입력되는 전화번호 음성입력 데이터에서 전화번호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전화번호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특징 벡터 패턴을 매칭시킨 후에, 전화번호 단어(숫자)를 추출하고, 추출된 전화번호 단어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해당 전화번호가 있으면 신청고객의 추가정보를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혼합된 택배 신청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는 3개 단어로 전화번호 음성 특징 벡터를 분리하며, 분리된 전화번호 특징 벡터를 지역/핸드폰 특징 벡터, 국번호 특징 벡터, 전화번호 특징 벡터 등을 포함하는 전화번호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단어에 따라 전화번호 특징 벡터의 패턴을 매칭시킨 후에, 매칭된 패턴에 따라 지역/핸드폰, 국번호, 전화번호 등과 같은 전화번호 단어를 추출하고, 고객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전화번호 단어를 검색함으로써, 택배 신청정보에 대한 전화번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택배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223)는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로부터 택배접수신청 정보가 전달되면, 주소정보로부터 우편번호를 추출하고, 추출된 우편번호를 기반으로 우체국/집하국 담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담당하는 우체국과 담당 집하원을 검색하여, 해당 집하원의 단말로 접수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224)는 현장에서 전달되는 접수정보 음성데이터에서, (예를 들어, 수취인 정보(성명, 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발송인 정보(성명, 주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소포 정보(소포 내용, 중량, 크기, 요금, 부가 취급, 운송 방법 등), 결제 정보(즉납, 별납, 후납, 미납, 카드)) 각각의 접수정보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를 접수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을 수행하여, 문자 접수정보를 획득한다.
택배 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225)는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224)로부터 접수정보를 전달 밭아 해당 접수 건에 대한 접수번호와 소포등기번호를 부여하여, 영수증 및 기표지(송장)를 프린트하라는 신호를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집하원의 단말에 전송한다.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226)는 현장에서 택배 접수한 우편물의 접수정보를 취합하여, 마감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마감정보는 집계한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한 집하원 별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및 등기번호 비교 결과 등을 포함한다.
한편, 집하원은 택배 집하를 완료한 후, 우체국에 귀국하여 수금한 택배요금을 우체국의 수납 담당자에게 수납하는데, 수납 담당자는 출력된 마감정보를 이용하여 집하원 별 택배요금을 쉽게 수납할 수 있고, 집하원도 단말에 출력된 마감정보를 이용하여 자신이 수납한 택배요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집하원 및 발착 담당자는 집하된 택배소포의 등기번호를 일일이 비교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등기번호가 비교된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수인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택배 접수정보 처리 관리부(227)는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와, 택배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223)와,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224)와, 택배 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225)와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226)을 통해 택배 우편물 접수처리를 위한 택배 신청정보, 접수정보, 접수번호, 등기번호 등의 택배 우편물 처리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우편물 처리정보를 접수관리 블록(230)으로 전달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음성 데이터에서 택배 신청정보를 획득하는데 적합한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222)는, 택배신청자 음성 추출부(222a)와, 신청정보 패턴 매칭부(222b)와, 신청정보 단어 추출부(222c)와, 신청고객 정보 검색부(222d)와, 신청정보 출력부(222e)와, 권역/전국 특징벡터 데이터베이스(202f)와, 권역별 택배 이용고객 데이터베이스(222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청정보 음성 추출부(222a)는 음성 입력 블록으로부터 전달되는 택배신청인의 택배신청 음성 데이터에서 택배신청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신청정보 패턴 매칭부(222b)는 추출된 택배신청 음성 특징 벡터를 성명, 주소, 전화번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성명, 주소, 전화번호 각각을 성명, 주소 및 전화번호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된 권역/전국 특징벡터 데이터베이스(222f)에서 패턴 매칭을 수행하여, 성명, 주소, 전화번호를 획득한다.
신청정보 단어 추출부(222c)는 신청정보 패턴 매칭부(222b)에서 획득한 신청정보 단어를 추출하며 성명, 주소, 전화번호를 분리하여 신청고객 정보 검색부(222d)로 전달한다.
신청고객 정보 검색부(222d)는 신청정보 단어 추출부(222c)로부터 전달 받은 주소, 전화번호 및 성명을 기반으로 권역별 택배 이용고객 데이터베이스(222g)를 활용하여 기존 등록된 고객인지 검색해보고 일치하는 고객이 없으면 신규 등록하고, 검색 결과를 신청정보 출력부(222e)로 전송한다.
신청정보 출력부(222e)는 검색 또는 획득한 신청정보를 택배접수 정보처리 관리부로 출력한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청정보에서 택배지역을 담당하는 집하원을 배정하는데 적합한 집하원 배정/확인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택배 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223)는 집하원 분류/배정부(223a)와, 택배 집하정보 수집부(223b)와, 택배신청 방문시간 확인부(223c)와, 집하 담당구역 데이타베이스(223d)와, 권역별 택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223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집하원 분류/배정부(223a)는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로부터 전달 받은 신청정보 중,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집하 담당구역 데이터베이스(223d)를 검색하고, 그 결과 매핑된 담당 우체국, 집하원을 분류/배정하고, 해당 집하원의 단말로 신청날짜 별 신청정보를 전송한다.
택배 집하정보 수집부(223b)는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로부터 전달 받은 신청정보 중,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권역별 택배 지리정보(GIS) 데이터베이스(223e)를 검색하고, 그 결과 매칭된 순로정보(신청된 주소의 지리정보)에 따라, 그 순서대로 신청정보를 정열 하고, 정렬된 신청정보를 해당 집하원의 단말로 전송한다.
택배신청 방문시간 확인부(223c)는 집하원이 현장 집하를 위해 현장 순회를 시작하면, 택배 신청정보가 담긴 메시지를 고객에게 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서 수집한 음성 정보를 토대로 접수정보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224)는, 접수정보 음성 인식부(224a)와, 방문택배 접수정보 추출부(224b)와, 권역/전국 특징벡터 데이터베이스(224c) 등을 포함한다.
접수정보 음성 인식부(224a)는 집하원의 단말에 음성으로 입력된, 발송인 정보, 수취인정보, 소포정보 및 결제정보 등의 접수정보를 권역/전국 음성 특징벡터 데이터베이스(224c)와 특징벡터 패턴 매칭을 하여 접수정보를 음성 인식하고, 음성 인식의 결과를 방문택배 접수정보 추출부(224b)로 전달한다.
방문택배 접수정보 추출부(224b)는 전달 받은 음성 인식된 접수정보를 발송인정보, 수취인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의 항목별로 분류하여 집하원의 단말로 전송한다. 이 경우 항목별로 분류된 접수정보는 집하원의 단말에 문자 정보로 표시 되는데,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확인을 거친 후(예를 들어, 단말에 표시된 접수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단말의 확인 버튼을 누름), 방문택배 접수정보 추출부(224b)에 전송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수정보를 활용하여 영수증과 기표지를 발행하는 택배 접수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접수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택배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225)는 영수증/기표지 발행부(225a)와, 접수정보 등록부(225b)와,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225c) 등을 포함한다.
영수증/기표지 발행부(225a)는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로부터 결제완료 정보가 포함된 접수정보가 전달되면 고객에게 발부할 영수증과 소포에 붙일 기표지를 프린트하라는 신호를 집하원의 단말에 전송한다.
접수정보 등록부(225b)는 영수증 및 기표지를 프린트한 집하원의 단말로부터문자 정보로 구성된 최종적인 접수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거나, 집하원이 우체국에 귀국 후 단말을 컴퓨터 도킹장치인 단말 크레들에 장착하는 경우, 전달 받아, 이를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225c)에 저장한다.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225c)에는 최종적인 접수정보가 저장된다. 즉, 현장에서 단말을 통해서 수집된, 발송인정보, 수취인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 등이 저장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접수정보를 활용하여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226)는 택배우편물 인수인계부(226a)와 접수요금 수납 택배마감 처리부(226b)로 구성된다.
택배우편물 인수인계부(226a)는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인수인계 결과를 제공한다.
집하원 및 발착 담당자는 화면 등에 출력됨으로써 제공되는 인수인계 결과를 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인수인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접수요금 수납 택배마감 처리부(226b)는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집하된 택배소포의 전체 결제 요금 및 개별 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집하원, 수납 담당자 및 발착 담당자는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226)로부터 제공되는 마감정보를 이용하여 택배요금 수납업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개별 택배소포를 자동으로 인수, 인계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음성 PO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을 통해 우편물을 접수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택배 접수 신청을 위한 신청정보, 예를 들면 성명, 주소(구/면+동/리), 전화번호 등이 음성으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810).
판단 결과, 택배 접수를 위한 음성이 입력되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서 성명, 주소, 전화번호 정보를 획득한다(S820).
예를 들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입력된 음성 데이터에서 성명, 주소(구/면+동/리), 전화번호의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각각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한 후, 성명, 주소, 전화번호 단어를 추출한다.
여기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추출된 신청정보 중 주소 단어를 우편주소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해당 주소와 성명, 전화번호를 합하여 신청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획득한 신청정보 중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주소 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과 집하원을 배정하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택배신청이 접수되었다는 SMS 문자 메시지를 고객에게 전송한다(S830).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접수정보인 수취인 정보, 발송인 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전달되면, 해당 음성 데이터에서 수취인정보, 발송인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를 정보를 획득한다(S840).
예를 들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해당 음성 데이터에서 접수정보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이를 접수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한 후, 접수정보 단어를 추출한다.
여기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추출된 접수정보 단어를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추출된 접수정보 단어와 일치하는 고객정보를 통해 접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획득한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택배 기표지와 영수증을 발행한다(S850).
예를 들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택배접수 건수 1통 또는 여러 통을 합산한 결제금액, 각각의 접수번호, 각 택배의 등기번호를 명시한 영수증을 인쇄하여 발부하고,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송장번호), 발송인정보(성명, 주소, 전화번호, 우편번호), 수취인정보(성명, 주소, 전화번호, 우편번호), 소포정보(소포 내용, 중량, 크기, 요금, 부가 취급, 운송 방법 등), 결제정보(즉납, 별납, 후납, 미납, 카드) 등을 명시한 기표지를 인쇄하여 발부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현장에서 택배 접수한 우편물의 접수정보를 취합하여, 마감정보를 출력한다(S860). 여기서, 마감정보는 집계한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집하원 별 개별 택배소포의 요금 및 등기번호 등을 포함한다.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인수인계 결과를 제공한다.
집하원 및 발착 담당자는 화면 등에 출력됨으로써 제공되는 인수인계 결과를 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인수인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집하된 택배소포의 전체 결제 요금 및 개별 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집하원, 수납 담당자 및 발착 담당자는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226)로부터 제공되는 마감정보를 이용하여 택배요금 수납업무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개별 택배소포를 자동으로 인수, 인계하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택배 우편물 접수를 위한 신청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POI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음성 인식을 통해 택배 신청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우편물 접수신청을 위한 신청정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S910), 수신된 신청정보 음성 데이터에서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S920).
그리고,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를 권역/전국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 베이스에 패턴 매칭하고(S930), 매칭 결과 해당하는 신청정보 단어를 추출한다(S940).
예를 들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전화신청 지역에 따라 패턴 매칭에 사용되는 권역/전국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한다.
만약, 대전으로부터 택배신청 전화를 수신하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대전 접수정보 특징벡터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특징 벡터의 패턴 매칭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권역별 음성 특징벡터를 분리하여 패턴 매칭함으로써, 패턴 매칭 범위를 줄여 음성인식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S940 단계에서 추출된 단어를 권역별 택배이용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S950), 검색된 신청자의 추가정보(예를 들어, 우편번호, 핸드폰/전화번호, 상세주소 등)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택배 신청정보를 획득한다 (S960).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택배 우편물 집하를 위한 해당 우체국과 집하원을 배정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인식된 택배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의 해당구역 담당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택배 수집 집하원 배정/확인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최종적으로 획득한 택배 신청정보 중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집하 담당 구역 데이터베이스에서 신청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과 담당 집하원을 검색하고 배정한다(S1010).
그리고,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신청접수가 완료되었다는 것을 전해주기 위하여 집하 날짜와 집하원 정보를 고객에게 SMS 메시지로 전송하고(S1020), 집하 담당자의 단말(PDA, 핸드폰, 아이폰, 위폰 등)로도 신청정보를 전송한다(S1030).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집하원 별로 수집된 신청정보를 권역별 택배 GIS 순로 데이터베이스와 매핑하여 집하 순서인 순로를 결정한다(S1040).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우편물 접수를 위한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음성 인식된 택배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현장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집하 현장에서 접수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다(S1110). 여기서 접수정보는 발송인정보, 수취인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음성으로 입력된 접수정보에서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S1120),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를 권역/전국 접수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하여(S1130), 접수정보 단어를 추출한다(S1140).
도 12 및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우편물 접수에 대한 영수증발급과 기표지 프린트 및 접수정보 등록 단계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우편물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영수증 및 기표지를 발행하고 정보들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택배요금 결제 후 발급된 영수증과 라벨 기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결제완료 신호를 입력 받아(S1210), 집하원 단말의 고유 접수번호를 생성한다(S1220).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단말 고유의 접수번호가 기재된 영수증과 기표지를 출력하고(S1230), 결제완료 정보를 이동통신망 또는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우체국 서버에 전송한다(S1240).
만약, 한 고객이 여러 통 접수할 경우 접수번호 하나에 개별소포에 붙일 기표지가 필요하며 기표지에는 등기번호를 담은 바코드를 프린트해야 하므로 영수증에는 접수번호, 총 금액 개별택배소포 금액, 개별소포 등기번호, 발송인 등(도 15참조)의 필수정보가 있어야 하고 기표지에는 발송인 성명, 주소, 우편번호, 등기번호, 수취인의 우편번호, 주소, 성명, 정화, 소포내용, 서비스, 접수일 등(도 14참조)을 담은 기표지를 프린트하여 소포에 붙여야 하며 기표지는 라벨용지를 디자인하여 소포에 쉽게 붙일 수 있다.
그리고, 결재완료 정보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단말에서 자동으로 우체국 서버로 전송될 수 있고, 귀국 후 PC 및 PDA같은 접수 단말의 도킹장치인 크레들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라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방법에서 접수정보를 기반으로 최종적인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개별 택배소포가 발착계로 이동하면서 우체국 컨베이어 입구에 설치된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등기번호 ID를 입력 받는다(S1310).
다음으로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S1320), 이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여(S1330), 인수인계 결과를 제공한다(S1340).
집하원 및 발착 담당자는 화면 등에 출력됨으로써 제공되는 인수인계 결과를 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인수인계 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은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집하된 택배소포의 전체 결제 요금 및 개별 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한다(S135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도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단말 200: 우체국 서버
210: 음성 입력 블록 220: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
230: 접수관리 블록 222: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
223: 택배수집 집하원 배정/확인부 224: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
225: 택배 접수등록 영수증/기표지 발행부
226: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
227: 택배 접수정보 처리 관리부

Claims (18)

  1. 택배 우편물의 접수 신청정보 및 접수정보를 처리하는 우체국 서버와 집하원의 단말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우체국 서버에 있어서,
    택배 우편물의 접수신청 및 집하 현장정보를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하는 음성 입력 블록;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화된 상기 접수신청 정보 및 상기 접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접수신청 정보 및 상기 접수정보를 처리하여, 택배 접수 업무의 각각의 단계에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 및
    상기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이를 저장하는 접수관리 블록
    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접수정보 처리 블록은,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화된 접수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
    상기 접수신청 정보에 따라, 택배 신청 지역의 담당 집하원을 배정하는 집하원 배정/확인부;
    상기 음성 데이터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정보화된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
    상기 접수정보에 따라 영수증 및 기표지의 출력 신호를 집하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택배 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 및
    상기 접수정보를 취합하여, 집하원 별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및 등기번호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전화신청 지역에 따라 패턴 매칭에 사용되는 권역/전국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전화신청 지역 기반 권역별 음성인식을 수행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서 주소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주소 발성 방식에 따라 상기 주소 음성 특징 벡터를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주소 음성 특징 벡터를 이용하여, 동 이름 특징 벡터 또는 구(면)+동(리)이름 특징 벡터 등을 포함하는 주소정보를 획득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신청정보 획득부는,
    상기 음성 데이터에서 전화번호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 음성 특징 벡터를 전화번호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을 수행한 후, 전화번호 단어(숫자)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전화번호 단어를 고객의 신상 정보가 저장된 고객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검색된 해당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고객의 상기 신상 정보를 추출하여 문자 정보화된 접수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하원 배정/확인부는,
    상기 접수신청 정보 중, 주소정보로부터 우편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우편번호를 기반으로 우체국/집하국 담당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담당 우체국과 담당 집하원을 할당하고, 상기 집하원의 단말로 상기 접수신청 정보를 전송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집하원 배정/확인부는,
    상기 접수신청 정보 중,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권역별 택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 매칭된 순로 정보(신청된 주소의 지리정보)에 따라, 그 순서대로 상기 접수신청 정보를 정열하고, 상기 정렬된 접수신청 정보를 상기 집하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접수정보 획득부는,
    상기 음성데이터에서 발송인 정보, 소포 정보, 결제 정보 각각에 대한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를 접수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을 수행하여, 상기 문자 정보화된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는,
    상기 접수정보에 따라 해당 접수 건에 대한 접수번호와 소포 등기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접수번호와 상기 소포 등기번호가 인쇄된 영수증 및 기표지의 출력 신호를 집하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10. 제2항에 있어서, 택배 접수 등록/영수증/기표지 발행부는,
    영수증 및 기표지를 프린트한 상기 집하원의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문자 정보로 구성된 최종적인 접수정보를 저장하는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택배 마감정보 처리부는,
    상기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인수인계 결과를 제공하는 택배우편물 인수인계부; 및
    상기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집하된 택배소포의 전체 결제 요금 및 개별 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접수요금 수납 택배마감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
    인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를 위한 우체국 서버.
  12. 택배우편물의 접수 신청정보 및 접수정보를 처리하는 우체국 서버와 집하원의 단말을 포함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에서 상기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택배 우편물의 접수신청을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인식을 수행하여 성명, 주소 및 전화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접수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접수신청 정보에 따라 해당 지역을 담당하는 우체국과 집하원을 배정하는 단계;
    집하 현장에서 현장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 받아, 이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여 수취인 정보, 발송인 정보, 소포정보, 결제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결제정보에 따라 해당 접수 건에 대한 영수증 및 기표지의 출력신호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부터 전달 받은 문자 정보로 구성된 최종적인 접수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적인 접수정보로부터 집하원 별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및 등기번호 비교 결과를 포함하는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택배 우편물 접수신청을 위한 신청정보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터에서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를 권역/전국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하는 단계;
    매칭 결과, 상기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에 해당하는 신청정보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신청정보 단어를 고객의 신상 정보가 저장된 권역별 택배이용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 결과, 상기 신청정보 단어에 대응하는 고객의 상기 신상 정보를 추출하여 문자 정보화된 접수신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권역/전국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입력 받는 전화신청 지역에 따라 패턴 매칭에 사용되는 상기 권역/전국 음성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우체국과 집하원을 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수신청 정보 중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주소를 담당하는 우체국 및 담당 집하원을 배정하는 단계;
    상기 담당 집하원 및 집하 날짜에 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담당 집하원의 단말로 상기 접수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정보를 기반으로 권역별 택배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 검색 결과 매칭된 순로 정보(신청된 주소의 지리정보)에 따라, 그 순서대로 상기 접수신청 정보를 정열하고, 상기 정렬된 접수신청 정보를 상기 담당 집하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택배 우편물의 접수정보에 대한 음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터에서 음성 특징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를 권역/전국 접수정보 특징 벡터 데이터베이스에 패턴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 결과, 상기 추출된 음성 특징 벡터에 해당하는 접수정보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신호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집하원의 단말로부터 결제완료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집하원의 단말의 고유 접수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접수번호가 인쇄된 영수증 및 기표지의 출력신호를 상기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인식된 개별 택배소포의 등기번호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자동으로 수행하여, 인수인계 결과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접수정보 저장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최종적인 접수정보에서 집하된 개별 택배소포의 결제 요금, 집하된 택배소포의 전체 결제 요금 및 개별 소포의 등기번호를 포함하는 개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인 우체국 서버가 수행하는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00082626A 2010-08-25 2010-08-25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20019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26A KR20120019290A (ko) 2010-08-25 2010-08-25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US13/217,373 US20120053940A1 (en) 2010-08-25 2011-08-25 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processing door-to-door parcel acceptance information based on voice recogn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626A KR20120019290A (ko) 2010-08-25 2010-08-25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290A true KR20120019290A (ko) 2012-03-06

Family

ID=4569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626A KR20120019290A (ko) 2010-08-25 2010-08-25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53940A1 (ko)
KR (1) KR201200192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123A (ko) * 2012-10-19 2014-05-07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원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휴대용 배송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790A (ko) 2016-10-07 2016-10-20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기사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2636A (ko) * 2010-11-16 2012-05-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온톨로지 기반의 품목분류코드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10719521B (zh) * 2019-09-29 2021-11-23 青岛聚好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画像的个性化显示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2186A (en) * 1995-06-07 1998-05-12 Jeman Technologies, Inc. Access free wireless telephony fulfillment service system
US8065205B2 (en) * 1998-04-01 2011-11-22 R&L Carriers, Inc. Bill of lading transmission and processing system for less than a load carriers
US20060036459A1 (en) * 2004-08-11 2006-02-16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User configurable one click punchout tracking
US8346674B2 (en) * 2006-10-30 2013-0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lligent physical mail handling system
US8649775B2 (en) * 2007-12-28 2014-02-11 uFollowit, Inc. Acquisition of a voice signature for status tracking and proof of delivery of shipped goods
CA2829920C (en) * 2011-03-21 2022-03-29 Trucktrax, Llc Tracking and manageme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2123A (ko) * 2012-10-19 2014-05-07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원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휴대용 배송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21790A (ko) 2016-10-07 2016-10-20 김장현 택배회사와 택배기사 상호 간의 이득을 꾀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3940A1 (en) 201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9744B2 (en) Mail routing system including a data block analyzer
CN111260296B (zh) 快件派送方式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H03137975A (ja) 配達物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9516203A (ja) 国際間輸送用の物流情報の取得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20019290A (ko) 음성인식 방문택배 접수처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N103902650A (zh) 一种快递行业中基于收件人的联系电话确定收件地址邮政编码的解决方法
CN107341527A (zh) 一种物流新增订单管理方法及系统
WO2016186137A1 (ja) 会計支援システム
CN113627438A (zh) 基于票据识别和配置引擎自动报销差旅费的方法及系统
CN111429073B (zh) 快件签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936867B1 (ko) 우편물 무인 접수 시스템 및 그 접수 방법
CN108694530A (zh) 一种共享式快递运送方法
CN107025535A (zh) 一种物流管理系统
CN109614834A (zh) 一种自动识别快递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KR100413972B1 (ko) 다량의 등기 우편물 자동 접수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N108376365B (zh) 一种银行编号确定方法及装置
CN112487120A (zh) 收件地址归类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20110114861A (ko) 우편물 접수 장치
KR101384409B1 (ko) 반송 우편물의 반송정보 수집 및 파일링 방법 및 시스템
KR102527365B1 (ko) 물품 배송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10111059A (zh) 一种发货人和收货人与物流企业网点距离叠加检索方法
CN109978438A (zh) 一种物流寄递方法及系统
US11900732B1 (en) Digital recreation of original bag tag identifier
JP2005041665A (ja) 郵便ポスト番号を利用した集荷サービスシステムと方法、管理サーバ、集配局端末、及びプログラム
CN108364410B (zh) 一种用于快递的共享派件方法及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