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074A -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074A
KR20120019074A KR1020100082193A KR20100082193A KR20120019074A KR 20120019074 A KR20120019074 A KR 20120019074A KR 1020100082193 A KR1020100082193 A KR 1020100082193A KR 20100082193 A KR20100082193 A KR 20100082193A KR 20120019074 A KR20120019074 A KR 2012001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finishing
base
injection molding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594B1 (ko
Inventor
방건경
방용식
Original Assignee
방건경
방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건경, 방용식 filed Critical 방건경
Priority to KR1020100082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59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38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 B29C45/382Cutting-off equipment for sprues or ingates disposed outside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53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 B29C2045/0077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ombined with a final operation, e.g. shaping removing burrs or fl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이 제각각인 사출물들을 사상을 위한 정위치에 좀 더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어서 사상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사출물과 트레이의 픽업 및 이송이 하나의 픽업수단에서 함께 이루어져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물(1) 제작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요입홈(21)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 저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서 거치대(30)쪽으로 왕복이동되는 엔드밀(43)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Finishing device and system of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이 제각각인 사출물들을 사상을 위한 정위치에 좀 더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어서 사상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사출물과 트레이의 픽업 및 이송이 하나의 픽업수단에서 함께 이루어져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전자기기의 케이스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며, 사출성형과정에서 사출물에 게이트가 불필요하게 생성된다. 사출물 사상장치로 상기 게이트를 제거하게 되는데, 도 1에서 종래 사출물 사상장치의 일례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사출물의 사상장치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10)와, 이 베이스(10)의 상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11)와, 이 거치대(11)의 상면에서 승강되는 엔드밀(12)로 구성된다. 이때, 베이스(10)는 직육면체 형상이며, 거치대(11)는 베이스(10)의 상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전자기기의 케이스인 사출물(1)이 거치된다.
그런데, 상기 사출물(1)은 규격이 제각각인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구비되므로, 상기 사이즈가 제각각인 사출물(1)들이 거치대(11)의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기가 쉽지 않다. 즉, 작업자는 사출물(1)을 거치대(11)에 올려놓고 사출물(1) 제작시 형성된 게이트가 엔드밀(12)의 위치와 대응되도록 직접 정렬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게이트를 제거한 사출물(1)은 복수개의 수납홈이 형성된 트레이에 수납되는데, 작업자는 일일이 사출물(1)을 트레이의 수납홈에 수납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사출물(1)이 수납된 트레이는 따로 적층시켜서 보관해야하므로 역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의 효율성도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로봇팔 등의 픽업수단을 이용하여 사출물(1)을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하지만, 사출물(1)을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것과는 별도로 사출물(1)이 수납된 트레이를 따로 적층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기는 마찬가지다. 이에 따라, 트레이 적층도 로봇팔과 같은 별도의 픽업수단을 이용하게 되었지만, 설치된 픽업수단들이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게 되어 공간의 효율적 이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이 제각각인 사출물을 간편하게 엔드밀 또는 커터와 대응되게 정렬시킬 수 있어서 사상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사상된 사출물을 트레이에 수납함과 동시에 사출물이 수납된 트레이를 적층시키는 공정이 하나의 픽업장치에 의해 구현되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출물(1) 제작시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요입홈(21)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 저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서 거치대(30)쪽으로 왕복이동되는 엔드밀(43)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출물(1) 제작시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요입홈(2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요입홈(21)과 연통되는 가이드공(23)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 저면에 구비되고 측면부가 상기 가이드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가이드공(23)을 관통하도록 수평으로 왕복이동되는 커터(5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30)에는 사출물(1)에 인서트 매입된 너트 또는 보스(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너트 또는 보스(3)의 매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사상 대상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부(R)와, 이 사상부(R)를 통해 사상된 사출물(1)이 수납되는 수납부(S)와, 상기 사상부(R)에서 사상된 사출물(1)을 수납부(S)로 이송시키는 이송부(C)와, 상기 사상부(R)와 수납부(S) 및 이송부(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S)는 상면에 개구부(59)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트레이(4)가 적층되며, 적층된 빈 트레이(4)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1)이 구비된 제1수납실(60)과, 이 제1수납실(60)의 일측면에 인접되며 상면에 개구부(59)가 형성되고 상기 사상된 사출물(1)이 수납되는 트레이(4)가 적층되며, 적층된 트레이(4)를 하강시키는 하강수단(66)이 구비된 제2수납실(61)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C)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실(60, 61)의 상면과 상기 사상부(R)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74)과, 이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사출물(1)과 트레이(4)를 픽업하는 픽업장치(70)로 구성되며,
이 픽업장치(70)는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동자(71)와, 이 가동자(71)의 일측방에 구비되어 사상된 사출물(1)을 픽업하여 빈 트레이(4)로 수납하는 사출물픽업부(72)와, 상기 가동자(71)의 타측방에 구비되어 사출물(1)이 채워진 트레이(4)를 제2수납실(65)로 이송하거나 또는 빈 트레이(4)를 제2수납실(65)로 이송하는 트레이픽업부(73)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80)는 픽업장치(70)의 사출물픽업부(72)가 사상부(R)에서 사상된 사출물(1)을 픽업하여 트레이(4)에 수납시키고, 트레이픽업부(73)가 빈 트레이(4) 또는 사출물(1)이 충전된 트레이(4)를 이송시키며, 제1 및 제2수납실(60, 61)의 승강 및 하강수단(62, 66)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사상부(R)에는 제1수납실(60)의 측방에 구비된 기대(4)에 사상장치가 설치되며, 이 사상장치는 상기 기대(4)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요입홈(2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요입홈(21)과 연통되는 가이드공(23)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의 저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거치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가이드공(23)을 관통하도록 수평으로 왕복이동되는 커터(50)와, 상기 기대(4)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되며 그 선단에는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커팅하는 엔드밀(43)이 승강되게 장착된 작동프레임(4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출물(1) 제작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장치에서, 사출물(1)이 거치되는 거치대(30)를 내측면이 안내경사면(22)을 이루는 요입홈(21)이 상면에 형성된 베이스(20)의 저면에 구비함으로써, 규격이 제각각인 사출물(1)을 거치대(30)에 거치시킬 때 사출물(1)이 안내경사면(22)을 따라 거치대(30)에 사상을 위한 정위치에 안착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상을 위해 사출물(1)의 위치를 정렬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뿐만 아니라, 거치대(30)에 사출물(1)에 인서트 매입된 너트 또는 보스(3)의 매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를 구비하여, 사출물(1)을 사상함과 함께 보스(3)의 매입여부까지 감지할 수 있어서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부(R)와, 이 사상부(R)를 통해 사상된 사출물(1)이 수납되는 수납부(S)와, 상기 사상부(R)에서 사상된 사출물(1)을 수납부(S)로 이송시키는 이송부(C)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구비하고, 이송부(C)에서 수납부(S)와 사상부(R)를 왕복이동하면서 사출물(1)을 픽업하고, 픽업된 사출물(1)을 트레이(4)에 수납시킴과 함께 수납된 트레이(4)를 적층시키는 픽업장치(70)를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작업공정이 별도로 진행되던 것에 비해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픽업장치(70)가 사출물(1)을 픽업할 뿐만 아니라 픽업된 사출물(1)을 트레이(4)에 수납시킴은 물론 수납된 트레이(4)를 별도로 적층시키기까지 하므로, 픽업장치(70)의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어서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S)를 제1 및 제2수납실(60, 61)로 구성하며, 각각에 적층된 트레이(4)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빈 트레이(4)를 보다 신속하고도 효과적으로 이송 및 적층시킬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이 더욱 증대된다.
도 1은 종래 사출물의 사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상장치가 구비된 사상시스템의 일실시예인 정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 중 픽업장치를 확대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평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실시예 중 베이스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장치는 사출물(1) 제작시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것으로, 상면에 요입홈(21)이 형성되고 측벽에 가이드공(23)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 저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서 거치대(30)쪽으로 승강되는 엔드밀(43)과, 상기 베이스(20)의 가이드공(23)을 관통하여 요입홈(21) 내부로 침투되는 커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지면 또는 테이블에 거치되는 것으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요입홈(21)이 형성된다. 이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을 형성한다. 그리고, 베이스(20)의 일측벽에는 요입홈(21)과 연통되도록 슬릿 형태의 가이드공(23)이 형성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베이스(20)는 상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별도의 테두리부재가 구비되어, 이 별도의 테두리부재가 베이스(2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거치대(30)는 사상 대상의 사출물(1)이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저면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공(23)은 거치대(30)의 측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거치대(20)에는 사출물(1)에서 하향 형성된 게이트(2)가 삽입되는 삽입공(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치대(30)의 테두리부에는 사출물(1)의 테두리부에 인서트된 너트 또는 보스(3)와 대응되는 위치에 감지센서(25)가 구비되어, 너트 또는 보스(3)가 매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감지된 매입여부의 신호가 센서본체(26)로 송출되며, 이 센서본체(26)에서 감지된 상태에 따라 이를 경고음이나 표시창에 표시하게 된다. 더욱이, 정확하게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감지센서(25)는 너트 또는 보스(3)가 비뚤어지게 매입되었거나 덜 매입된 경우까지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감지센서(25)가 사출물(1)의 너트 또는 보스(3)의 매입부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상기의 경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엔드밀(43)은 베이스(20)의 상측에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부(41)와, 이 수평부(41)를 지면 또는 테이블에 지지하는 지지부(42)로 이루어진 작동프레임(40)에 장착되어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프레임(40)의 수평부(41)에는 상기 엔드밀(43) 이외에 사출물(1)을 고정시키는 도시안된 가압바가 장착되며, 이 수평부(41)가 지지부(42)에서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엔드밀(43)에는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 제거시 발생되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호스(45)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작동프레임(40)의 지지부(43)는 지면 또는 테이블에 형성된 수평레일(5)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한편, 상기 엔드밀(43)은 전원이 인가된 구동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인 매커니즘을 통해 자동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방식과 조작레버방식을 각각 갖는 두 개의 수평부(41)가 지지부(42)에 착탈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두 가지 방식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터(50)는 베이스(20)의 측방에 구비되는 커터설치블록(51)에 장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50)는 커터설치블록(51)에서 좌우로 왕복이동되도록 장착되며, 선단부가 베이스(20)의 가이드공(23)에 삽입되어 요입홈(21)에 구비된 거치대(30)의 하측부에 구비된다. 상기 커터(50)가 전후진되면서 거치대(30)에 거치되어 거치대(30)의 삽입공(24)을 통해 거치대(30)의 하측에 구비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커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엔드밀(43)과 커터(50)는 작업자가 직접 승강 또는 수평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안된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장치를 이용하여 사상작업을 할 때, 사출물(1)을 거치대(30)에 거치하는 과정에서 사출물(1)이 베이스(20)의 안내경사면(22)을 따라 거치대(30)에 정렬배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와 엔드밀 또는 커터의 위치가 정확하게 대응되도록 작업자가 일일이 사출물(1)을 거치대(30)에 정렬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서 작업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상기 실시예 중 픽업장치를 확대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장치가 구비된 사상시스템은 크게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부(R)와, 게이트(2)가 제거된 사출물(1)이 수납되는 수납부(S)와, 상기 사상부(R)에서 사상된 사출물(1)을 수납부(S)로 이송시키는 이송부(C)와, 상기 사상부(R), 수납부(S) 및 이송부(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납부(S)는 하나의 하우징이 격벽(58)에 의해 제1 및 제2수납실(60, 61)로 구획되며, 제1수납실(60)에는 사출물(1)이 수납되는 복수개의 수납홈(5)이 완전히 채워지지 않은 트레이(4)가 적층되고, 제2수납실(65)에는 사출물(1)이 상기 수납홈(5)에 모두 채워진 트레이(4)가 적층된다. 이때, 제1수납실(60)에는 적층된 트레이(4)를 승강되는 승강수단(61)이 구비되는데, 이 승강수단(61)은 제1모터(62)와, 이 제1모터(62)에 의해 구동되는 승강레일(63)과, 이 승강레일(63)을 따라 승강되며 빈 트레이(4)가 적층되는 승강적층판(6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수납실(65)에는 사출물(1)이 꽉 채워진 트레이(4)를 하강시키는 하강수단(66)이 구비되는데, 이 하강수단(66)은 제2모터(67)와, 이 제2모터(67)에 의해 구동되는 하강레일(68)과, 이 하강레일(68)을 따라 하강되며 트레이(4)가 적층되는 하강적층판(69)으로 구성된다. 한편, 제1 및 제2수납실(60, 65)의 상면에는 개구부(59)가 각각 형성되어, 트레이(4)가 수납실(60, 65)의 상면으로 노출된다.
상기 사상부(R)는 상기 제1수납실(60)의 상면의 측방으로 연장된 기대(6)에 구비되어 사출물(1)을 사상하는 것으로, 상기한 사상장치가 기대(6)의 상면에 설치된다. 단, 상기 사상장치 중 작동프레임(40)은 기대(6)에서 전후방향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사상장치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기대(6)에는 수평레일(7)이 구비되고, 작동프레임(40)은 제1구동모터(44)에 의해 수평레일(7)을 따라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작동프레임(40)에 구비된 엔드밀(42)의 승강 및 커터(50)의 수평이동도 제1구동모터(44)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C)는 제1 및 제2수납실(60, 61)의 상면 개구부(59)의 둘레부에 구비되며 제1 및 제2수납실(60, 61)과 사상부(R)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레일(74)과, 이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왕복이동되면서 사출물(1)과 트레이(4)를 픽업하는 픽업장치(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픽업장치(70) 또는 가이드레일(74)은 제2구동모터(75)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74)은 상기 기대(4)에 구비된 수평레일(5)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장치(70)는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가이드레일(74)과 직교되도록 설치되며, 그 일단부가 가이드레일(74)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자(71)와, 이 가동자(71)의 일측방에 구비되어 제1수납실(60)의 빈 트레이(4)를 픽업하여 제2수납실(65)로 이송하는 트레이픽업부(73)와, 사상부(R)에서 사출물(1)을 픽업하여 상기 제2수납실(65)의 상단에 구비된 빈 트레이(4)에 수납시키는 사출물픽업부(7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사출물픽업부(72)와 트레이픽업부(73)에는 사출물(1)과 트레이(4)를 진공흡착하는 진공흡착단부(72a, 72b)가 하향 형성된다. 따라서, 사출물(1)과 트레이(4)는 픽업장치(70)에 의해 진공흡착방식으로 픽업되며, 진공이 해제되면 픽업도 해제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달리, 사출물픽업부(72)가 사상부(R)에서 사출물(1)을 픽업하여 제1수납실(60)의 빈 트레이(4)에 수납시키고, 트레이픽업부(73)가 제1수납실(60)의 상단에 구비되어 사출물(1)이 채워진 트레이(4)를 제2수납실(65)로 이송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출물픽업부(72)는 가동자(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3구동모터(76)에 의해 왕복이동되도록 구성되어, 트레이(4)의 수납홈(5)들에 사출물(1)을 차례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출물픽업부(72)와 트레이픽업부(73)는 승강되는 형태로 픽업 및 픽업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제1 내지 제3구동모터(44, 75, 76)와 제1 및 제2모터(62, 67)를 제어하는 것으로, 작동프레임(40)의 엔드밀(42)의 승강 및 커터(50)의 수평이동에 의해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공정, 작동프레임(40)이 수평이동되어 베이스(20)의 요입홈(21)이 상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공정, 픽업장치(70)를 이동시켜서 사출물(1)을 픽업하는 공정, 픽업장치(70)를 다시 이동시켜서 픽업된 사출물(1)을 빈 트레이(4)에 충전하는 공정, 제2수납실(65)의 최상단에 구비된 트레이(4)가 충전되면 하강수단(66)을 통해 하강되는 공정, 픽업장치(70)를 다시 이동시켜서 제1수납실(60)의 빈 트레이(4)를 픽업하여 제2수납실(65)의 최상단에 이송시키는 공정 등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출물의 사상시스템에 의해 사출물의 게이트를 제거하여 트레이에 수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동프레임(40)의 수평부(41)가 베이스(20)의 상면을 덮지 않도록 수평이동된 상태에서, 사상부(R)에 구비된 사상장치의 거치대(30)에 사출물(1)을 거치시키는데, 작업자는 사출물(1)을 베이스(20)의 요입홈(21)을 통해 거치대(30)에 거치시키면 사출물(1)은 베이스(20)의 안내경사면(22)을 따라 거치대(30)의 정위치에 거치된다. 이때,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의 형태에 따라 엔드밀(42)과 커터(50)가 작동되어 게이트(2)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게이트(2)가 제거된 사출물(1)은 트레이(4)에 수납되는데, 먼저, 제2수납실(65)의 상단에 비어있는 트레이(4)가 구비된 상태에서, 가이드레일(74)을 따라 픽업장치(70)가 제2수납실(65)에서 제1수납실(60)쪽으로 이동되며, 픽업장치(70)의 사출물픽업부(72)가 사상부(R)에 구비된 사출물(1)을 픽업한다. 그리고, 픽업장치(70)가 제2수납실(65)쪽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사출물픽업부(72)가 픽업장치(70)의 가동자(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제2수납실(65)의 상단에 구비된 트레이(4)의 비어있는 수납홈(5)과 사출물픽업부(72)에 픽업된 사출물(1)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때까지 가동자(71)와 사출물픽업부(72)는 작동된다.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 사출물픽업부(72)는 픽업된 사출물(1)을 트레이(4)의 수납홈(5)에 수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수납실(65)의 상단에 구비된 트레이(4)에 사출물(1)이 꽉 채워진 경우, 픽업장치(70)가 제1수납실(60)쪽으로 이동하며 트레이픽업부(72)가 제1수납실(60)의 상단에 구비된 빈 트레이(4)를 픽업하여 제2수납실(65)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제2수납실(65)에 구비된 하강적층판(69)이 하강되어 다시 제2수납실(65)의 상단에는 비어있는 트레이(4)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수납실(60)의 승강적층판(64)은 승강되어 빈 트레이(4)의 공급준비가 완료된다. 그리고 한편, 상기와 같은 매커니즘은 회로구성을 통해 전자모듈화되어 있을 수 있으며, 각각의 공정은 제어부(80)에 의해 제어되어 순차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5)

  1. 사출물(1) 제작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요입홈(21)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 저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서 거치대(30)쪽으로 왕복이동되는 엔드밀(43)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
  2. 사출물(1) 제작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요입홈(2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요입홈(21)과 연통되는 가이드공(23)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 저면에 구비되고 측면부가 상기 가이드공(23)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안착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가이드공(23)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대(30)에 거치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커팅하는 커터(5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0)에는 사출물(1)에 인서트 매입된 너트 또는 보스(3)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너트 또는 보스(3)의 매입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장치.
  4. 사상 대상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제거하는 사상부(R)와, 이 사상부(R)를 통해 사상된 사출물(1)이 수납되는 수납부(S)와, 상기 사상부(R)에서 사상된 사출물(1)을 수납부(S)로 이송시키는 이송부(C)와, 상기 사상부(R)와 수납부(S) 및 이송부(C)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S)는 상면에 개구부(59)가 형성되고 내부에 빈 트레이(4)가 적층되며, 적층된 빈 트레이(4)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61)이 구비된 제1수납실(60)과, 이 제1수납실(60)의 일측면에 면접되며 상면에 개구부(59)가 형성되고 상기 사상된 사출물(1)이 수납되는 트레이(4)가 적층되며, 적층된 트레이(4)를 하강시키는 하강수단(66)이 구비된 제2수납실(61)로 구성되고,
    상기 이송부(C)는 상기 제1 및 제2수납실(60, 61)의 상면과 상기 사상부(R)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가이드레일(74)과, 이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왕복이동하면서 사출물(1)과 트레이(4)를 픽업하는 픽업장치(70)로 구성되며,
    이 픽업장치(70)는 가이드레일(74)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가동자(71)와, 이 가동자(71)의 일측방에 구비되어 사상된 사출물(1)을 픽업하여 빈 트레이(4)로 수납하는 사출물픽업부(72)와, 상기 가동자(71)의 타측방에 구비되어 사출물(1)이 채워진 트레이(4)를 제2수납실(65)로 이송하거나 또는 빈 트레이(4)를 제2수납실(65)로 이송하는 트레이픽업부(73)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80)는 픽업장치(70)의 사출물픽업부(72)가 사상부(R)에서 사상된 사출물(1)을 픽업하여 트레이(4)에 수납시키고, 트레이픽업부(73)가 빈 트레이(4) 또는 사출물(1)이 충전된 트레이(4)를 이송시키며, 제1 및 제2수납실(60, 61)의 승강 및 하강수단(62, 66)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부(R)에는 제1 또는 제2수납실(60, 65)의 상단 측방에 구비된 기대(4)에 사상장치가 설치되며, 이 사상장치는 상기 기대(4)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면에는 요입홈(21)이 형성되고 측벽에는 요입홈(21)과 연통되는 가이드공(23)이 형성된 베이스(20)와, 상기 요입홈(21)의 저면에 구비되며 사출물(1)이 거치되는 거치대(30)와, 상기 베이스(20)의 가이드공(23)을 관통하여 상기 거치대(30)에 거치된 사출물(1)에 형성된 게이트(2)를 커팅하는 커터(50)와, 상기 기대(4)에서 수평으로 왕복이동되며 그 선단에는 사출물(1)의 게이트(2)를 커팅하는 엔드밀(43)이 승강되게 장착된 작동프레임(40)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20)의 요입홈(21)의 내측면에는 입구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하향경사진 안내경사면(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물의 사상시스템.
KR1020100082193A 2010-08-24 2010-08-24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KR101142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93A KR101142594B1 (ko) 2010-08-24 2010-08-24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93A KR101142594B1 (ko) 2010-08-24 2010-08-24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74A true KR20120019074A (ko) 2012-03-06
KR101142594B1 KR101142594B1 (ko) 2012-05-10

Family

ID=4612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93A KR101142594B1 (ko) 2010-08-24 2010-08-24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5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32B1 (ko) * 2012-12-21 2014-06-11 이재영 로봇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의 바디 사상 자동화 시스템
CN107696425A (zh) * 2017-11-18 2018-02-16 珠海市春生五金工业有限公司 注塑件水口切除设备及其切除方法
CN112297363A (zh) * 2020-10-16 2021-02-02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水口废料去除装置及产品生产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3200B1 (ko) 2016-10-20 2018-06-04 방건경 자동 위치정렬 지그가 구비된 사출물 사상장치
CN112677424B (zh) * 2020-12-25 2021-10-08 河北铁科翼辰新材科技有限公司 一种尼龙挡板水口自动切削装置
KR20240033404A (ko) 2022-09-05 2024-03-12 율천공업(주) 스마트 로봇 사상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3636B1 (ko) * 1991-02-11 1999-05-15 안시환 사출물의 게이트 절단장치
KR950022963U (ko) * 1994-01-19 1995-08-21 윤규태 합성수지제상자의 몸체성형장치
JP2002240050A (ja) * 2001-02-19 2002-08-28 Denso Corp バリ処理方法およびバリ処理装置
KR200342818Y1 (ko) * 2003-11-28 2004-02-18 이상열 사출물 스프루의 자동 절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32B1 (ko) * 2012-12-21 2014-06-11 이재영 로봇을 이용한 모바일 기기의 바디 사상 자동화 시스템
CN107696425A (zh) * 2017-11-18 2018-02-16 珠海市春生五金工业有限公司 注塑件水口切除设备及其切除方法
CN112297363A (zh) * 2020-10-16 2021-02-02 广东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水口废料去除装置及产品生产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594B1 (ko)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2594B1 (ko) 사출물의 사상장치 및 사상시스템
US7621710B2 (en) Work sheet conveying and housing system and work sheet conveying and housing method
US5203661A (en) Handling device for articles or containers
KR101306259B1 (ko) 인서트 공급 및 사출성형물 포장장치와 그의 방법
CN108357925B (zh) 一种产品自动装盘机
CN109644562B (zh) 自动上料机构及柔性电路板的喷砂流水线系统
JP2007039113A (ja) 空袋供給装置
US20220198868A1 (en) Automatic bill handling system
CN207434549U (zh) 一种上料装置
CN109664548B (zh) 酒盒自动组装机的贴围条装置
CN213356165U (zh) 一种动簧片自动化上、下料的系统
EP0267172B1 (en) Box handling apparatus
CN111438514A (zh) 一种在线式组装锁螺丝机
CN209531298U (zh) 一种直驱双轨自动点胶机
CN110481829B (zh) 一种自动套箱生产线
CN110329689B (zh) 一种智能化文件存取装置
CN112706342A (zh) 树脂供给机构、树脂成形装置及树脂成形品的制造方法
CN213260152U (zh) 放底板设备
JP3225335B2 (ja) マガジン固定構造
CN111216939A (zh) 装箱机
KR101399923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방법
CN213618159U (zh) 一种嵌件自动摆盘机构和注塑自动化生产线
JPS591127A (ja) 部品収容装置
CN216795288U (zh) 圆弧磁铁组装至无线充电耳机壳设备
CN216300162U (zh) 自动贴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