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033A -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033A
KR20120019033A KR1020100082110A KR20100082110A KR20120019033A KR 20120019033 A KR20120019033 A KR 20120019033A KR 1020100082110 A KR1020100082110 A KR 1020100082110A KR 20100082110 A KR20100082110 A KR 20100082110A KR 20120019033 A KR20120019033 A KR 20120019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unit
wireless power
resonators
matc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3607B1 (ko
Inventor
유영호
박은석
권상욱
이정해
박재현
박병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3607B1/ko
Priority to US13/178,100 priority patent/US8994222B2/en
Publication of KR20120019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33A/ko
Priority to US14/640,908 priority patent/US96736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3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02J50/40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the two or more transmitting or the two or more receiv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same unit, e.g. power mats with several coils or antennas with several sub-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03H7/40Automatic matching of load impedance to source impe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무선 전력 전송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x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공진기들, y축을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공진기들, z축을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피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APPARATUS FOR RADIATIO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기술분야는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전송에 대한 연구는 휴대기기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기기의 폭발적 증가로 인한 유선전력공급의 불편함 증가 및 기존 battery 용량의 한계 봉착 등을 극복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들 중 하나는 RF 소자들의 공진(resonance) 특성을 이용한다. 공진 특성을 이용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력을 공급하는 소스와 전력을 공급받는 타겟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와 타겟의 위치가 서로 수직 또는 수평인 경우 전력 전송 효율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가 여러 개인 멀티 디바이스 시스템의 경우 디바이스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전송효율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공진기는 효율적인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소스와 타겟의 다양한 위치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x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공진기들, y축을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공진기들, z축을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피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이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매칭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이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매칭기,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이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매칭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들 중 일부 매칭기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전송이 특정 방향에서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각각은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에 대응되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과 상기 그라운드 도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도체,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과 상기 그라운드 도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도체 및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을 흐르는 전류에 대하여 직렬로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은 서로 연결되어 육면체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는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x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단위 공진기,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제2 단위 공진기, z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제3 단위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피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단위 공진기가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매칭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단위 공진기가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매칭기, 상기 제3 단위 공진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 단위 공진기가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매칭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들 중 일부 매칭기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전송이 특정 방향에서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는 원형 모양을 가지고,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는 서로 연결되어 구형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는 원형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x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공진기들, y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공진기들, z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피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중 일부 공진기들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을 특정 방향에서 집중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거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로 방사되는 파동의 반사계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전력 전송 이득 및 커플링 효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x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제1 단위 공진기,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제2 단위 공진기, z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제3 단위 공진기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피딩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중 일부 공진기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이 특정 방향에서 집중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거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로 방사되는 파동의 반사계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전력 전송 이득 및 커플링 효율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무선 전력 전송 방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타겟의 다양한 위치에 대응하여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단위 공진기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서 일부 단위 공진기만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특정 방향으로 집중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방향을 조절함으로써, 타겟의 각도 및 방향에 관계없이 최적의 전송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복수개의 단위 공진기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스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타겟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 차원 구조의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구조의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bulky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Hollow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parallel-sheet이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분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2 차원 구조의 공진기 및 3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서 사용되는 매칭기들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일측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에 이용되는 무선 전력전송 기술을 설명한다.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전자기 유도 방식, 전파 수신 방식, 전장 혹은 자장의 공진방식 등 3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전자기 유도 방식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코일을 가까이 접근 시킨 후 한쪽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자속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다른 코일 한쪽에도 기전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한다. 전자기 유도방식은 전력 이용 효율이 대략 60~98%에 이르는 등 고효율 및 실용화가 가장 많이 진행되어 있다.
둘째, 전파 수신 방식은 전파 에너지를 안테나로 수신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교류 전파 파형을 정류회로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전력을 얻는다. 전파수신방식은 가장 긴 거리간(수 m 이상)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하다.
셋째, 공진방식은 전장 혹은 자장의 공진을 이용한 것으로 기기간에 동일 주파수로 공진하여 에너지를 전달한다. 자장의 공진을 이용하는 경우 LC공진기 구조를 활용한 자계공진(magnetic resonance coupling)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킨다. 자계공진방식은 사용 주파수의 파장에 비해 짧은 거리의 근접장(near field)효과를 이용하는 기술로써, 전파 수신 방식과는 달리 비방사형(non-radiative) 에너지 전송이며, 송수신부간의 공진주파수를 일치시켜 전력을 전송한다. 자계공진방식을 통해 전력 전송효율은 약 50~60% 정도로 높아지며, 이 정도의 효율은 전파 방사를 통한 전파 수신형 보다 상당히 높은 것이다. 송수신기간 거리는 약 수 m로써, 비록 전파 수신 방식보다는 근거리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나, 수 mm 이내의 전자 유도형 방식보다는 매우 먼 거리에서도 전력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의 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은 공진 전력(resonance power)이라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와 타겟으로 구성되는 소스-타겟 구조이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와 타겟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외부의 전압 공급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부(111) 및 소스 공진기(115)를 포함한다. 또한,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공진주파수 또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스부(111)는 외부의 전압 공급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킨다. 소스부(111)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신호의 신호 레벨을 원하는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AC-AC Converter, AC-AC Converter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정류함으로써 일정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는 AC-DC Converter, AC-DC Converter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고속 스위칭함으로써 수 MHz ~ 수십MHz 대역의 AC 신호를 생성하는 DC-AC 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소스 공진기(115)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소스 공진 대역폭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또는 소스 매칭 주파수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소스 공진 대역폭 설정부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한다. 소스 매칭 주파수 설정부는 소스 공진기(115)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소스 공진기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15)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15)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타겟 공진기로 전달(transferring)한다. 즉, 소스 공진기(115)는 타겟 공진기(12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101)을 통해 공진 전력을 타겟 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115)는 설정된 공진 대역폭 내에서 공진한다.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는 타겟 공진기(121), 공진주파수 또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Matching control부(123) 및 수신된 공진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기 위한 타겟부(125)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기(121)는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 공진기(121)는 설정된 공진 대역폭 내에서 공진한다.
Matching control부(123)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Matching control부(123)는 타겟 공진 대역폭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또는 타겟 매칭 주파수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 대역폭 설정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한다. 타겟 매칭 주파수 설정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타겟 공진기(121)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
타겟부(125)는 수신된 공진 전력을 부하로 전달한다. 이때, 타겟부(125)는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타겟 공진기(121)로 수신되는 AC 신호를 정류하여 DC 신호를 생성하는 AC-DC Converter와, DC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정격 전압을 디바이스(device) 또는 부하(load)로 공급하는 DC-DC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15) 및 타겟 공진기(121)는 헬릭스(helix)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스파이럴(spiral)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meta-structured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큐-펙터의 제어 과정은,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및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설정하고,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상기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상기 타겟 공진기(121)로 전달(transferr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은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이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됨으로써, 소스 공진기의 BW-factor와 상기 타겟 공진기의 BW-factor는 서로 불평형(unbalance) 관계가 유지된다.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 공진 대역폭은 중요한 factor이다.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반사 신호 등을 모두 고려한 Q-factor를 Qt라 할 때, Qt는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대역폭과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수학식 1에서, f0는 중심주파수,
Figure pat00002
는 대역폭,
Figure pat00003
는 공진기 사이의 반사 손실, BWS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 BWD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BW-factor는 1/ BWS 또는 1/BWD를 의미한다.
한편,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거리가 달라지거나, 둘 중 하나의 위치가 변하는 등의 외부 영향에 의하여,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할 수 있다. 임피던스 미스 매칭은 전력 전달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전송신호의 일부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함으로써,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반사파의 파형 분석을 통해 공진 포인트를 검출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반사파의 파형에서 진폭(amplitude)이 최소인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진기는 헬릭스(helix)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스파이럴(spiral)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meta-structured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내용들이지만,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관련 용어들을 기술한다. 모든 물질들은 고유의 투자율(Mu) 및 유전율(epsilon)을 갖는다. 투자율은 해당 물질에서 주어진 자계(magnetic field)에 대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와 진공 중에서 그 자계에 대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속밀도의 비를 의미한다. 그리고, 유전율은 해당 물질에서 주어진 전계(electric field)에 대해 발생하는 전기력선속밀도(electric flux density)와 진공 중에서 그 전계에 대해 발생하는 전기력선속밀도의 비를 의미한다. 투자율 및 유전율은 주어진 주파수 또는 파장에서 해당 물질의 전파 상수를 결정하며, 투자율 및 유전율에 따라 그 물질의 전자기 특성이 결정된다. 특히,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인공적으로 설계된 물질을 메타 물질이라고 하며, 메타 물질은 매우 큰 파장(wavelength) 또는 매우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도 쉽게(즉, 물질의 사이즈가 많이 변하지 않더라도) 공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위 공진기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자계(magnetic field)의 주 방향은 단위 공진기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다. 특히, 근접장(near field)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경우에는 수직 방향의 자계가, 형성되는 자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따라서,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가 서로 직교하는 경우에는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실제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는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가 임의의 방향에 위치한다. 소스 공진기는 임의의 방향에 위치한 타겟 공진기에 대응하여 공진을 통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 및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제3 단위 공진기들(230) 및 피딩부(24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은 x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 x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는 것은 x축과 평행한 타겟 공진기와 자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은 상기 타겟 공진기로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은 x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은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은 x축과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단위 공진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 에서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은 y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 y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는 것은 y축과 평행한 타겟 공진기와 자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은 상기 타겟 공진기로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은 y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은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은 y축과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단위 공진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 에서 제3 단위 공진기들(220)은 z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 z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는 것은 z축과 평행한 타겟 공진기와 자계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은 상기 타겟 공진기로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은 z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은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은 z축과 평행한 적어도 두 개의 단위 공진기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및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은 x축에 평행하고,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은 y축에 평행하며,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은 z축에 평행하기 때문이다.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및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을 구성하는 단위 공진기들은 사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각 단위 공진기들은 연결되어서 도 2와 같이 육면체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육면체 구조의 소스 공진기는 육면체 구조의 위, 아래, 좌우, 앞뒤에 위치한 타겟 공진기와 자계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소스 공진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타겟 공진기가 탑재된 타겟 장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피딩부(240)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및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을 통한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한다. 피딩부(240)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및 제3 단위 공진기들(23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피딩부(240)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및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을 통한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한다. 피딩부(240)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 제2 단위 공진기들(220) 및 제3 단위 공진기들(23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딩부(240)는 제1 매칭기(241), 제2 매칭기(243) 및 제3 매칭기(2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칭기(241)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매칭기(241)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이 타겟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매칭기(241)는 제1 단위 공진기들(210)이 소스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매칭기(243)는 제2 단위 공진기들(220)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매칭기(243)는 제2 단위 공진기들(230)이 타겟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매칭기(243)는 제2 단위 공진기들(220)이 소스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매칭기(245)는 제3 단위 공진기들(230)과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매칭기(245)는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이 타겟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매칭기(245)는 제3 단위 공진기들(230)이 소스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장치는 타겟 공진기를 포함한다.
또한, 피딩부(240)는 제1 매칭기(241), 제2 매칭기(243) 및 제3 매칭기(245)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각 매칭기와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들이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피딩부(240)는 특정 매칭기만 동작시킴으로써, 특정 방향의 단위 공진기만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또는 수신이 특정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각 매칭기는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들과 자계 커플링을 통하여 단위 공진기들이 공진 전력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매칭기도 자계 커플링을 할 수 있는 공진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칭기는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단위 공진기에서 전송 또는 수신되는 공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매칭기(241), 제2 매칭기(243) 및 제3 매칭기(245)는 사각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매칭기는 매칭기와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와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매칭기는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됨으로써, 자계 커플링을 통해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 공진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제3 단위 공진기(310,350) 및 피딩부(340,38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제1 단위 공진기(320,360)는 x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 또한, 제1 단위 공진기(320,360)는 상기 타겟 공진기로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제1 단위 공진기(320,360)는 x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위 공진기(320,360)는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제2 단위 공진기(330,370)는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 또한, 제2 단위 공진기(330,370)는 상기 타겟 공진기로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제2 단위 공진기(330,370)는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위 공진기(330,370)는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z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한다. 또한,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상기 타겟 공진기로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수신 장치에서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z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자계를 통하여 공진 전력을 수신한다.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및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1 단위 공진기(320,360)는 x축에 평행하고, 제2 단위 공진기(330,370)는 y축에 평행하며,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z축에 평행하기 때문이다.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및 제3 단위 공진기(310,350)는 다각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단위 공진기는 사각형 또는 원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각형 구조의 소스 공진기는 다각형 구조를 구성하는 각 단위 공진기와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타겟 공진기와 자계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즉, 소스 공진기의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은 타겟 공진기가 탑재된 타겟 장치의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다각형 구조는 도 2의 육면체 구조보다 간결한 구조로서 육면체 구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피딩부(340,380)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및 제3 단위 공진기(310,350)를 통한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한다. 피딩부(340,380)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및 제3 단위 공진기(310,35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무전 전력 전송 장치에서 피딩부(240)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및 제3 단위 공진기(310,350)를 통한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한다. 피딩부(240)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 제2 단위 공진기(330,370) 및 제3 단위 공진기(310,350)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딩부(340,380)는 제1 매칭기(343), 제2 매칭기(345) 및 제3 매칭기(3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매칭기(343)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매칭기(343)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매칭기(343)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가 타겟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매칭기(343)는 제1 단위 공진기(320,360)가 소스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매칭기(345)는 제2 단위 공진기(330,370)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 매칭기(345)는 제2 단위 공진기(320,36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매칭기(345)는 제2 단위 공진기(320,360)가 타겟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매칭기(345)는 제2 단위 공진기(320,360)가 소스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제3 매칭기(341)는 제3 단위 공진기(310,350)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3 매칭기(341)는 제3 단위 공진기(310,350)와 평행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3 매칭기(341)는 제3 단위 공진기(310,350)가 타겟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매칭기(341)는 제3 단위 공진기(310,350)가 소스 장치와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피딩부(340,380)는 제1 매칭기(343), 제2 매칭기(345) 및 제3 매칭기(341)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켜 각 매칭기와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들이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피딩부(340,380)는 특정 매칭기만 동작시킴으로써, 특정 방향의 단위 공진기만 자계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또는 수신이 특정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각 매칭기는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들과 자계 커플링을 통하여 단위 공진기들이 공진 전력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매칭기도 자계 커플링을 할 수 있는 공진기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매칭기는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단위 공진기에서 전송 또는 수신되는 공진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매칭기(343), 제2 매칭기(345) 및 제3 매칭기(341)는 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매칭기는 매칭기와 평행한 위치에 있는 단위 공진기와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매칭기는 동일한 모양으로 구성됨으로써, 자계 커플링을 통해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 공진 전력 전송 효율 및 공진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스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400)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 및 전처리부(42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는 도 2, 도 3a, 도 3b, 도 6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되는 공진기일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에 의해 전파(propagate)되는 파동(wave)에 의해 전력이 무선으로 전송된다.
전처리부(42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400)의 외부 또는 내부의 전원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전류 및 주파수를 생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처리부(420)는 AC-DC 변환기(421), 주파수 생성기(422), 파워 증폭기(423), 제어부(424), 검출기(425)를 포함한다.
AC-DC 변환기(421)는 전원 공급기로부터 공급된 교류(AC) 에너지를 직류(DC) 에너지 또는 직류 전류로 변환한다. 이 때, 주파수 생성기(422)는 그 직류 에너지 또는 직류 전류에 따라 원하는 주파수(ie. 공진 주파수)를 생성하며,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를 생성한다. 원하는 주파수를 갖는 전류는 증폭기(423)에 의해 증폭될 수도 있다.
제어부(424)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주파수 생성기(422)에 의해 생성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주파수 대역들 중 전력 전송 이득, 커플링 효율 등이 극대화되는 최적의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24)는 피딩부(411)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피딩부(411)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한다. 피딩부(411)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딩부(411)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와 자계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검출기(425)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거리,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로 방사(radiation)되는 파동(wave)의 반사 계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전력 전송 이득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커플링 효율 등을 검출한다.
이 때, 제어부(424)는 상기 거리, 반사 계수, 전력 전송 이득, 커플링 효율 등을 고려하여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410)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거나, 주파수 생성기(422)에 의해 생성되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타겟에 적용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500)는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정류기(520, rectifier), 검출기(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는 도 2, 도 3a, 도 3b, 도 6내지 도 13을 통해 설명된 공진기일 수 있으며,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의해 전파(propagate)되는 파동(wave)을 수신한다.
정류기(520)는 수신된 파동에 의한 전력을 직류 에너지로 변환하며, 그 직류 에너지의 전부 또는 일부는 타겟 디바이스로 제공된다.
또한, 검출기(530)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500)의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사이의 거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로 방사(radiation)되는 파동(wave)의 반사 계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사이의 전력 전송 이득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사이의 커플링 효율 등을 검출한다.
또한, 제어부(540)는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500)의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사이의 거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로 방사(radiation)되는 파동(wave)의 반사 계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사이의 전력 전송 이득 또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 사이의 커플링 효율 등을 기초로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540)는 피딩부(511)를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피딩부(511)는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의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한다. 피딩부(511)는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피딩부(511)는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510)와 자계 커플링을 통하여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 차원 구조의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 차원 구조의 공진기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커패시터(620), 매칭기(630) 및 도체들(641, 642)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620)는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전계(electric field)는 커패시터(620)에 갇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포함하며, 상부에 있는 도체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며, 하부에 있는 도체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된다(grounded). 본 명세서에서는 전송 선로의 상부에 있는 도체를 제1 신호 도체 부분(61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612)로 나누어 부르고, 전송 선로의 하부에 있는 도체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600)는 2 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을 포함하고, 하부에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611)의 한쪽 단은 도체(642)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6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의 한쪽 단은 도체(641)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620)와 연결된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60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패시터(620)는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패시터(62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커패시터(62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커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62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진기(600)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없는 특별한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인공적으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의 전자기 특성은 고유의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대부분의 물질들은 양의 유전율 및 양의 투자율을 갖는다. 대부분의 물질들에서 전계, 자계 및 포인팅 벡터에는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RHM(Right Handed Material)이라고 한다. 그러나,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서,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에 따라 ENG(epsilon negative) 물질, MNG(mu negative) 물질, DNG(double negative) 물질,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물질, LH(left-handed) 물질 등으로 분류된다.
이 때,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상기 공진기(600)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공진기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600)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공진기(600)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공진기(6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공진기(6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MNG 공진기(600)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600)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600)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MNG 공진기(600)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62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600)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근접 필드(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에 삽입된 커패시터(620)에 집중되므로, 커패시터(62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magnetic field)가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그리고, MNG 공진기(600)는 집중 소자의 커패시터(620)을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큐-팩터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저항 손실(ohmic loss)의 정도 또는 저항(resistance)에 대한 리액턴스의 비를 나타내는데, 큐-팩터가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MNG 공진기(600)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칭기(630)는 MNG 공진기(600) 의 자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 가능(tunable)하고, 매칭기(630)에 의해 MNG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결정된다. 그리고, 전류는 커넥터(640)를 통하여 MNG 공진기(600)로 유입되거나 MNG 공진기(60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64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또는 매칭기(6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커넥터(640)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또는 매칭기(630) 사이에는 물리적인 연결이 형성될 수도 있고, 커넥터(640)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또는 매칭기(630) 사이의 물리적인 연결 없이 커플링을 통하여 전력이 전달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기(630)는 공진기(600)의 루프 구조로 인해 형성되는 루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매칭기(630)는 물리적인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매칭기(63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으로부터 거리 h 만큼 떨어진 위치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도체(6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거리 h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매칭기(630)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기(630)는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630)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630)의 도체(631)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칭기(630)의 물리적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다양한 팩터들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매칭기(6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부분(631)과 같은 수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능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능동 소자가 매칭기(630)에 포함되는 경우, 능동 소자는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그 제어 신호에 따라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기(630)에는 능동 소자의 일종인 다이오드가 포함될 수 있고, 다이오드가 '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off''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공진기(600)의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600)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구조의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구조의 공진기(60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및 커패시터(6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시터(620)는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고, 전계(electric field)는 커패시터(620)에 갇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600)는 3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을 포함하고, 하부에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을 통하여 x 방향으로 흐르며, 이러한 전류로 인해 -y 방향으로 자계(magnetic field) H(w)가 발생한다. 물론, 도 7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y 방향으로 자계(magnetic field) H(w)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611)의 한쪽 단은 도체(642)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6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의 한쪽 단은 도체(641)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620)와 연결된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60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62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커패시터(62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커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62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진기(600)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공진기(600)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공진기(6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600)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공진기(600)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공진기(6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공진기(6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커패시터(620)의 커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MNG 공진기(600)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600)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600)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MNG 공진기(600)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62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600)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MNG 공진기(600)를 참조하면, 근접 필드(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610)에 삽입된 커패시터(620)에 집중되므로, 커패시터(62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magnetic field)가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특히,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는 MNG 공진기(600)는 자계 다이폴(magnetic dipole)과 유사한 특성들을 가지므로,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가 도미넌트하며, 커패시터(620)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적은 양의 전계 또한 그 커패시터(620)에 집중되므로,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가 더더욱 도미넌트해진다. MNG 공진기(600)는 집중 소자의 커패시터(620)를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MNG 공진기(600)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기(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칭기(630)는 MNG 공진기(600)의 자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 가능(tunable)하고, 매칭기(630)에 의해 MNG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결정된다. 그리고, 전류는 커넥터(640)를 통하여 MNG 공진기(600)로 유입되거나 MNG 공진기(600)로부터 유출된다. 여기서, 커넥터(64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또는 매칭기(63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기(630)는 공진기(600)의 루프 구조로 인해 형성되는 루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매칭기(630)는 물리적인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매칭기(63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으로부터 거리 h 만큼 떨어진 위치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도체 부분(6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거리 h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매칭기(6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기(630)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630)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630)의 도체(631)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칭기(630)의 물리적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매칭기(630)의 도체(631)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는 다양한 방식들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첫째, 매칭기(630)에는 여러 도체들이 포함될 수 있고, 그 도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거리 h가 조절될 수 있다. 둘째, 도체(631)의 물리적인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거리 h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h는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다양한 팩터들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매칭기(6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부분(631)과 같은 수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능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능동 소자가 매칭기(630)에 포함되는 경우, 능동 소자는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그 제어 신호에 따라 공진기(6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기(630)에는 능동 소자의 일종인 다이오드가 포함될 수 있고, 다이오드가 '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off''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공진기(600)의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600)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bulky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신호 도체 부분(611)과 도체(642)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신호 도체 부분(612)과 도체(641) 역시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신호 도체 부분(612)과 도체(641)가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는 경우, 이음매(650)로 인한 도체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신호 도체 부분(612)과 도체(641)는 별도의 이음매 없이(seamless) 서로 연결되며, 도체(641)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도 별도의 이음매 없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음매로 인한 도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결국, 제2 신호 도체 부분(612)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은 별도의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은 별도의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둘 이상의 부분(partition)들을 서로 연결하는 유형을 'bulky typ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9는 Hollow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Hollow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각각은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주어진(given) 공진 주파수에서, 유효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각각의 모든 부분을 통해 흐르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부분만을 통해 흐르는 것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주어진 공진 주파수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두께(depth)가 각각의 skin depth보다 지나치게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즉, 그것은 공진기(600)의 무게 또는 공진기(600)의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어진 공진 주파수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각각의 skin depth를 기초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각각의 두께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각각이 해당 skin depth보다 크면서도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경우, 공진기(600)는 가벼워질 수 있으며, 공진기(600)의 제작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의 두께는 d mm로 정해질 수 있고, d는
Figure pat00004
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f는 주파수,
Figure pat00005
는 투자율,
Figure pat00006
는 도체 상수를 나타낸다. 특히,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도체들(641, 642) 이 구리(copper)로서 5.8x10^7의 도전율(conductivity)을 갖는 경우에, 공진 주파수가 10kHz에 대해서는 skin depth가 약 0.6mm일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가 100MHz에 대해서는 skin depth는 0.006mm일 수 있다.
도 10은 parallel-sheet이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를 참조하면, parallel-sheet이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에 포함된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각각의 표면에는 parallel-sheet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은 완벽한 도체(perfect conductor)가 아니므로, 저항 성분을 가질 수 있고, 그 저항 성분으로 인해 저항 손실(ohmic loss)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손실은 Q 팩터를 감소시키고, 커플링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각각의 표면에 parallel-sheet을 적용함으로써, 저항 손실을 줄이고, Q 팩터 및 커플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0의 부분(670)을 참조하면, parallel-sheet이 적용되는 경우,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각각은 복수의 도체 라인들을 포함한다. 이 도체 라인들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각각의 끝 부분에서 접지(short)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611), 제2 신호 도체 부분(612) 각각의 표면에 parallel-sheet을 적용하는 경우, 도체 라인들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므로, 도체 라인들이 갖는 저항 성분들의 합은 감소된다. 따라서, 저항 손실을 줄이고, Q 팩터 및 커플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분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에 포함되는 커패시터(620)는 분산된 커패시터일 수 있다.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는 상대적으로 높은 등가 직렬 저항(Equivalent Series Resistance: ESR)을 가질 수 있다.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가 갖는 ESR을 줄이기 위한 여러 제안들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620)를 사용함으로써, ESR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ESR로 인한 손실은 Q 팩터 및 커플링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62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재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620)는 지그 재그 구조의 도체 라인 및 유전체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620)를 사용함으로써,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들을 병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왜냐 하면,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들 각각이 갖는 저항 성분들은 병렬 연결을 통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병렬적으로 연결된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들의 유효 저항 또한 작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pF의 커패시터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1pF의 커패시터들 10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2 차원 구조의 공진기 및 3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서 사용되는 매칭기들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매칭기를 포함하는 도 6에 도시된 2 차원 공진기의 일부를 나타내며, 도 12의 B는 매칭기를 포함하는 도 7에 도시된 3 차원 공진기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매칭기는 도체(631), 도체(632) 및 도체(633)을 포함하며, 도체(632) 및 도체(633)는 전송 선로의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및 도체(631)와 연결된다. 도체(6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에 따라 2 차원 공진기의 임피던스는 결정되며, 도체(6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도체(6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는 다양한 방식들로 조절될 수 있으며, 도체(631)가 될 수 있는 여러 도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도체(631)의 물리적인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매칭기는 도체(631), 도체(632) 및 도체(633)을 포함하며, 도체(632) 및 도체(633)는 전송 선로의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및 도체(631)와 연결된다. 도체(6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에 따라 3 차원 공진기의 임피던스는 결정되며, 도체(6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2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 포함되는 매칭기와 마찬가지로, 3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 포함되는 매칭기에서도 도체(6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613) 사이의 거리 h는 다양한 방식들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631)가 될 수 있는 여러 도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도체(631)의 물리적인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매칭기는 능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다. 즉,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매칭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도 13에 도시된 등가 회로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13의 등가 회로에서 CL은 도 6의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집중 소자의 형태로 삽입된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이 때, 도 6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갖는다. 즉, 전파 상수가 0인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Figure pat00007
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때,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08
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MZR은 Mu Zero Resonator를 의미한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9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12
와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Figure pat00013
와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가 서로 독립적이므로,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는 충분히 작아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7)

  1.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x축을 기준으로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공진기들;
    y축을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공진기들;
    z축을 기준으로 상기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피딩부
    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이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매칭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이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매칭기;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이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매칭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내부에 형성된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들 중 일부 매칭기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전송이 특정 방향에서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각각은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과,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에 대응되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과 상기 그라운드 도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도체;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과 상기 그라운드 도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도체; 및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을 흐르는 전류에 대하여 직렬로 상기 제1 신호 도체 부분 및 상기 제2 신호 도체 부분 사이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은 서로 연결되어 육면체 모양을 형성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는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x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단위 공진기;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제2 단위 공진기;
    z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타겟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타겟 공진기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제3 단위 공진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피딩부
    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단위 공진기가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매칭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단위 공진기가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2 매칭기;
    상기 제3 단위 공진기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3 단위 공진기가 상기 타겟 장치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매칭기;
    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들 중 일부 매칭기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전송이 특정 방향에서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는 원형 모양을 가지고,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는 서로 연결되어 구형 모양을 형성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매칭기, 상기 제2 매칭기 및 상기 제3 매칭기는 원형 모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4.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있어서,
    x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 단위 공진기들;
    y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단위 공진기들;
    z축을 기준으로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적어도 두 개의 제3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의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피딩부
    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 단위 공진기들, 상기 제2 단위 공진기들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들 중 일부 공진기들만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무선 전력 수신이 특정 방향에서 집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거리,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로 방사되는 파동의 반사계수, 상기 무선 전력 전송 공진기와 무선 전력 수신 공진기 사이의 전력 전송 이득 및 커플링 효율을 검출하는 검출기
    를 더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17.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있어서,
    x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제1 단위 공진기;
    y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제2 단위 공진기;
    z축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소스 공진기와 자계(magnetic field)를 형성하고, 상기 소스 공진기로부터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제3 단위 공진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위 공진기, 상기 제2 단위 공진기 및 상기 제3 단위 공진기의 공진 전력 수신을 제어하는 피딩부
    를 포함하는 방사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20100082110A 2010-08-24 2010-08-24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1753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10A KR101753607B1 (ko) 2010-08-24 2010-08-24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US13/178,100 US8994222B2 (en) 2010-08-24 2011-07-07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US14/640,908 US9673666B2 (en) 2010-08-24 2015-03-06 Apparatus for radiativ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power rece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10A KR101753607B1 (ko) 2010-08-24 2010-08-24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33A true KR20120019033A (ko) 2012-03-06
KR101753607B1 KR101753607B1 (ko) 2017-07-04

Family

ID=4569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10A KR101753607B1 (ko) 2010-08-24 2010-08-24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994222B2 (ko)
KR (1) KR1017536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2519A1 (ko) * 2012-05-14 2013-11-21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자기 에너지 빔포밍 방법 및 장치
US9293950B2 (en) 2012-02-29 2016-03-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N113241862A (zh) * 2021-05-20 2021-08-10 青岛通产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巡检机器人无线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WO2023085903A1 (ko) * 2021-11-15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공진기들을 포함하는 가변형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4306B (zh) * 2009-07-06 2015-04-01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电力传输系统及用于该系统的共振器
US8203224B2 (en) * 2009-08-03 2012-06-19 Schulte David J Power generator
KR101896977B1 (ko) * 2011-08-05 201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1984811B1 (ko) 2012-10-23 201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US20150001950A1 (en) * 2013-07-01 2015-01-01 City University Of Hong Kong Apparatus for transferring electromagnetic energy
KR102227504B1 (ko) * 2013-08-07 2021-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JP6476721B2 (ja) * 2014-10-10 2019-03-06 株式会社Ihi 受電コイル装置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9929569B2 (en) 2014-11-07 2018-03-27 The Boeing Company Methods for steering a magnetic field for smart wireless power transmission
KR102109104B1 (ko) * 2018-11-28 2020-05-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1710A (ja) 2001-08-07 2003-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円偏波アンテナ
US7952526B2 (en) 2006-08-30 2011-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act dual-band resonator using anisotropic metamaterial
CN101842962B (zh) 2007-08-09 2014-10-08 高通股份有限公司 增加谐振器的q因数
KR101473600B1 (ko) 2007-09-17 2014-12-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전력 자기 공진기에서의 고효율 및 고전력 전송
WO2009039113A1 (en) 2007-09-17 2009-03-26 Nigel Power, Llc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wireless energy transfer
KR101371765B1 (ko) 2007-11-15 2014-03-1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JP2009253762A (ja) 2008-04-08 2009-10-29 Sony Corp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06237B2 (ja) 2008-05-02 2012-12-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US8629650B2 (en) * 2008-05-13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multiple transmit antennas
US8111042B2 (en) 2008-08-05 2012-02-07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US7893564B2 (en) 2008-08-05 2011-02-22 Broadcom Corporation Phased array wireless resonant power delivery system
US20100034238A1 (en) 2008-08-05 2010-02-11 Broadcom Corporation Spread spectrum wireless resonant power delivery
US9601261B2 (en) * 2008-09-27 2017-03-21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energy transfer using repeater resonators
CN102217168B (zh) * 2008-11-17 2014-08-06 奥林巴斯株式会社 无线供电装置、送电线圈单元以及无线供电系统
JP5350758B2 (ja) * 2008-11-17 2013-11-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力供給装置
US8970070B2 (en) * 2010-07-02 2015-03-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950B2 (en) 2012-02-29 2016-03-2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O2013172519A1 (ko) * 2012-05-14 2013-11-21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자기 에너지 빔포밍 방법 및 장치
KR101341510B1 (ko) * 2012-05-14 2013-12-13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자기 에너지 빔포밍 방법 및 장치
CN113241862A (zh) * 2021-05-20 2021-08-10 青岛通产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巡检机器人无线充电系统及其充电方法
WO2023085903A1 (ko) * 2021-11-15 2023-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공진기들을 포함하는 가변형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9643A1 (en) 2012-03-01
KR101753607B1 (ko) 2017-07-04
US20150180442A1 (en) 2015-06-25
US9673666B2 (en) 2017-06-06
US8994222B2 (en) 201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191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753607B1 (ko)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1718826B1 (ko)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358280B1 (ko)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한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739283B1 (ko) 적응형 공진 전력 전송 장치
KR101313662B1 (ko)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능동형 정류기, 능동형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KR10143935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위한 공진기
KR101726195B1 (ko) 공진 전력 전달 시스템에서 공진 임피던스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1850527B1 (ko) 휴대용 디바이스 및 휴대용 디바이스의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KR101896979B1 (ko)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KR101735558B1 (ko)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공진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730824B1 (ko) 무선 전력 트랜시버 및 무선 전력 시스템
KR101782083B1 (ko) 공진 전력 전송을 이용한 지붕형 충전 장치
US9178388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KR101374691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120020452A (ko) 공진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120102316A (ko)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101366013B1 (ko) 고효율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KR101314145B1 (ko)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변환기 및 공진 전력 전송 장치
KR10195260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