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811B1 -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811B1
KR101984811B1 KR1020120117646A KR20120117646A KR101984811B1 KR 101984811 B1 KR101984811 B1 KR 101984811B1 KR 1020120117646 A KR1020120117646 A KR 1020120117646A KR 20120117646 A KR20120117646 A KR 20120117646A KR 101984811 B1 KR101984811 B1 KR 101984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target
source
feeder
wireless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2199A (ko
Inventor
박재현
유영호
권상욱
김기영
박윤권
송금수
안치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811B1/ko
Priority to PCT/KR2013/009403 priority patent/WO2014065555A1/ko
Priority to US14/438,076 priority patent/US10594161B2/en
Priority to EP13848491.0A priority patent/EP2913886A4/en
Publication of KR20140052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811B1/ko
Priority to US16/790,251 priority patent/US110119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Abstract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된다. 3차원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는, 적어도 하나의 셀(cell),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및 상기 셀 및 공진기를 입체적인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FIELD CONTROLLABLE 3D FLEXIBLE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
아래의 설명은 핸드폰 및 소형 전자기기/의료기기 등의 무선충전에 있어서 기기의 위치자유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3차원 플렉서블(flexible)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은,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의미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은,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와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타겟 디바이스(target device)를 포함한다. 이때, 소스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라 칭할 수 있다. 또한, 타겟 디바이스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라 칭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소스 공진기(source resonator)를 구비하고, 타겟 디바이스는 타겟 공진기(target resonator)를 구비한다. 소스 공진기와 타겟 공진기 사이에 마그네틱 커플링 또는 공진 커플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셀(cell),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진기 및 셀 및 공진기를 입체적인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셀을 다이렉트(direct) 형태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셀을 크로스(cross) 형태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셀을 캐패시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시터 값의 변화에 따라 공진 모드가 변경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셀 및 공진기를 육면체 구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셀 및 공진기를 사면체 구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셀 및 공진기를 다면체 구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공진 모드가 단방향이 되도록 다이렉트 또는 크로스 형태로 셀 및 공진기를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공진 모드가 양방향이 되도록 셀 및 공진기를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는, 공진 모드가 전방향이 되도록 셀 및 공진기를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셀은 인덕터를 포함하고, 공진기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피더의 피딩에 따른 공진기의 내부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탑재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구성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및 공진기의 공진 모드에 따른 필드(field) 분포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의 연결부를 도시한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의 연결부의 선택에 따른 공진 모드를 도시한다.
최근 들어 IT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휴대 전자제품이 출시되면서 각 개인이 소유하고 휴대하는 단말기의 수량이 급증하는 바, 휴대용 전자제품의 다양화, 복잡화에 따라 기기의 전원 충전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휴대기기뿐만 아니라 생활가전제품도 무선으로 데이터(data) 전송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전력(power) 때문에 기기간 전원 선이 항상 따라다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기술 (wireless power transmission)이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바,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실용화가 된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선 충전 시스템에 대해서 에너지를 쉽게 공급할 수 있다. 전력 전송의 무선화에 의해 언제 어디서나 충전이 가능하여 전원이 없어도 기기(device)간 전원 공유가 가능한 환경을 구현할 수 있고, 폐건전지로부터 생길 수 있는 자연 또는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CE기기(휴대폰, 카메라 등), 모바일기기 및 의료기기(보청기, 의료용 센서 등)에 무선 전력 전송을 적용하는데 있어서 전력 전송 효율 향상이 최우선 과제인 바, 기기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함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이 급변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숙지하거나 특정위치에 기기를 위치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전력 전송 효율의 향상을 고려하여 무선충전기기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하여도 최적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전력 전송 효율이 유지될 수 있는 공진기의 구조에 대한 기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술은 CE기기뿐만 아니라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무선충전 및 전송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의 구조는 무선충전 및 전송시스템에서 모바일 기기 및 의료기기 등에 전력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기기의 위치나 각도를 변경하더라도 최적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스(source)와 타겟(target) 간에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은 인 밴드 통신 방식과 아웃 밴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인 밴드 통신 방식은 소스와 타겟이 전력의 전송에 이용하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에서 통신하는 방식이고, 아웃 밴드 통신 방식은 소스와 타겟이 전력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와는 다른 별도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110) 및 타겟(120)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110)는 무선 전력을 공급하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에는 패드, 단말, TV 등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타겟(120)은 무선 전력을 공급받는 디바이스를 의미하며, 디바이스에는 단말, TV, 자동차, 세탁기, 라디오, 전등 등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전자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소스(source)(110)는 가변 SMPS(Variable SMPS)(111),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112),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113), Tx 제어부(Tx control logic)(114) 및 통신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변 SMPS(Variable Switching Mode Power Supply)(111)는 전력 공급기(power supply)로부터 출력되는 수십 Hz 대역의 AC 전압을 스위칭하여 DC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가변 SMPS(Variable SMPS)(111)는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거나 Tx 제어부(Tx control logic)(114)의 제어에 따라 DC 전압의 출력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검출기(power detector)(116)는 가변 SMPS(Variable SMPS)(111)의 출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류 및 전압에 대한 정보를 Tx 제어부(114)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검출기(power detector)(116)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112)의 입력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전력 증폭기(112)는 수 MHz ~ 수십 MHz 대역의 스위칭 펄스 신호에 의하여 일정한 레벨의 DC 전압을 AC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112)는 기준 공진 주파수 FRef를 이용하여 전력 증폭기(112)에 공급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함으로써, 복수의 타겟 디바이스들에서 사용되는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용 전력은 0.1~1mWatt의 작은 전력을 의미하고, 충전용 전력은 타겟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로드에서 소비되는 1mWatt~200Watt의 큰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충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전"이라는 용어는 전력을 소비하는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에 전력을 공급하는 의미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닛(unit) 또는 요소(element)는, 예를 들어 배터리,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회로, 메인 프로세서, 각종 센서들을 포함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준 공진 주파수"는 소스(110)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공진 주파수일 수 있다. 또한, "트래킹 주파수"는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조정된 공진 주파수일 수 있다.
Tx 제어부(Tx control logic)(114)는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에 대한 반사파를 검출하고, 검출된 반사파에 기초하여 타겟 공진기(target resonator)(133)와 소스 공진기(source resonator)(131) 사이의 미스매칭(mismatching)을 검출할 수 있다. Tx 제어부(114)는 반사파의 포락선(envelop)을 검출함으로써 미스매칭을 검출하거나, 또는 반사파의 전력량을 검출함으로써 미스매칭을 검출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113)는 Tx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간의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최적의 매칭으로 보상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13)는 캐패시터 또는 인덕터의 조합으로 Tx 제어부(114)의 제어에 따라 스위치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Tx 제어부(114)는 소스 공진기(131) 또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112)의 출력 전압의 레벨 및 상기 반사파의 전압 레벨에 기초하여 전압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계산하고,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크면 상기 미스매칭이 검출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Tx 제어부(114)는 상기 전압정재파비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기 설정된 N개의 트래킹 주파수 각각에 대한 전력 전송 효율을 계산하고, 상기 N개의 트래킹주파수 중 전력 전송 효율이 가장 좋은 트래킹 주파수 FBest를 결정하고, 상기 FRef를 상기 FBest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Tx 제어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Tx 제어부(114)의 제어에 의하여 스위칭 펄스 신호의 주파수가 결정될 수 있다. Tx 제어부(114)는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112)를 제어함으로써, 타겟(120)에 전송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120)에 다양한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Tx 제어부(114)는 반사파를 검출하고, 반사파의 포락선을 통해 타겟(120)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Tx 제어부(114)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인-밴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변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x 제어부(114)는 스위칭 펄스 신호를 온/오프 함으로써,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Tx 제어부(114)는 델타-시그마 변조를 수행하여,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x 제어부(114)는 일정한 포락선을 가지는 펄스폭 변조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5)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5)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5)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타겟(120)에 데이터(140)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31)는 전자기 에너지(electromagnetic energy)(130)를 타겟 공진기(133)로 전송(transferring)한다. 예를 들어, 소스 공진기(131)는 타겟 공진기(133)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타겟(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타겟(target)(120)은 매칭 네트워크(matching network)(121), 정류기(rectifier)(122), DC/DC 컨버터(DC/DC converter)(123), 통신부(124) 및 Rx 제어부(Rx control logic)(125)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 공진기(131)로부터 (electromagnetic energy)(130)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타겟 공진기(133)는 소스 공진기(13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소스(110)로부터 "통신용 전력" 또는 "충전용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타겟 공진기(133)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11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140)를 수신할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21)는 소스(110) 측으로 보이는 입력 임피던스와 부하(Load)측으로 보이는 출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킬 수 있다. 매칭 네트워크(121)는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기(122)는 교류 전압을 정류함으로써, DC 전압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정류기(122)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된 교류 전압을 정류할 수 있다.
DC/DC 컨버터(123)는 정류기(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부하(Load)에서 필요로 하는 용량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C/DC 컨버터(123)는 정류기(122)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의 레벨을 3~10Volt로 조정할 수 있다.
전력 검출기(power detector)(127)는 DC/DC 컨버터(123)의 입력단(126)의 전압과 출력단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detect)할 수 있다. 검출된 입력단(126)의 전압은 소스에서 전달되는 전력의 전송 효율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된 출력단의 전류 및 전압은 제어부(Rx Control Logic)(125)가 부하(Load)에 전달되는 전력을 계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소스(110)의 Tx 제어부(114)는 부하(Load)의 필요전력과 부하(Load)에 전달되는 전력을 고려하여, 소스(110)에서 전송해야 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통신부(124)를 통해 계산된 출력단의 전력이 소스(110)로 전달되면, 소스(110)는 전송해야 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Rx 제어부(Rx control logic)(125)는 타겟 공진기(133)과 정류기(122) 사이의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하거나, 정류기(122)의 출력 신호를 검출하여 수신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x 제어부(Rx control logic)(125)는 인-밴드 통신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복조할 수 있다. 또한, Rx 제어부(Rx control logic)(125)는 매칭 네트워크(121)를 통하여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를 조정함으로써, 소스(110)에 전송하는 신호를 변조할 수 있다. 간단한 예로, Rx 제어부(Rx control logic)(125)는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를 증가 시킴으로써, 소스(110)의 Tx 제어부(114)에서 반사파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사파의 발생 여부에 따라, 소스(110)의 Tx 제어부(114)는 이진수 "0" 또는 "1"을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해당 타겟의 제품의 종류", "해당 타겟의 제조사 정보", "해당 타겟의 모델명", "해당 타겟의 배터리 유형(battery type)", "해당 타겟의 충전 방식", "해당 타겟의 로드(Load)의 임피던스 값", "해당 타겟의 타겟 공진기의 특성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의 사용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 "해당 타겟의 소요되는 전력량", "해당 타겟의 고유의 식별자" 및 "해당 타겟의 제품의 버전 또는 규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소스(110)의 통신부(115)로 전송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종류는 구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4)는 통신 채널을 이용하는 아웃-밴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24)는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아웃-밴드 통신을 통해 소스(110)와 데이터(140)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소스(110)로부터 웨이크-업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전력 검출기(power detector)(127)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을 검출하며, 통신부(124)는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를 소스(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타겟 공진기(133)에 수신되는 전력의 양에 대한 정보는, "정류기(122)의 입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정류기(122)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 또는 "DC/DC 컨버터(123)의 출력 전압 값 및 전류 값"이다.
도 1에서, Tx 제어부(114)는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의 설정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31)의 큐-팩터(Q-factor) QS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Rx 제어부(Rx control logic)(125)는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의 설정에 따라서, 타겟 공진기(133)의 큐-팩터(Q-factor) QS가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은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될 수 있다.
통신을 통해, 소스(110)와 타겟(120)은 소스 공진기(131) 및 타겟 공진기(133) 각각의 공진 대역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타겟(120)으로부터 기준값 보다 높은 전력(high power)이 요구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31)의 큐-팩터 QS는 100 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타겟(120)으로부터 기준 값 보다 낮은 전력(low power)이 요구되는 경우, 소스 공진기(131)의 큐-팩터 QS는 100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 공진 대역폭은 중요한 팩터(factor)이다.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매칭, 반사 신호 등을 모두 고려한 큐-팩터(Q-factor)를 Qt라 할 때, Qt는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대역폭과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1
수학식 1에서, f0는 중심주파수,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2
는 대역폭,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3
는 공진기 사이의 반사 손실, BWS는 소스 공진기(131)의 공진 대역폭, BWD는 타겟 공진기(133)의 공진 대역폭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 U는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4
여기서, K는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계수,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5
는 소스 공진기(131)에서의 반사계수,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6
는 타겟 공진기(133)에서의 반사계수,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7
는 공진 주파수, M은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RS는 소스 공진기(131)의 임피던스, RD는 타겟 공진기(133)의 임피던스, QS는 소스 공진기(131)의 Q-factor, QD는 타겟 공진기(133)의 Q-factor, QK는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Q-factor일 수 있다.
상기 수학식 2를 참조하면, 큐-팩터(Q-factor)는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과 관련이 높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큐-팩터(Q-factor)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QS 와 QD가 각각 지나치게 높은 값으로 설정된 경우, 에너지 커플링에 대한 결합 계수 K의 변화,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등에 의하여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소스 공진기(131)와 타겟 공진기(133) 각각의 공진 대역폭을 지나치게 좁게(narrow) 설정하면, 외부의 작은 영향에도 임피던스 미스매칭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임피던스 미스매칭을 고려하면, 수학식 1은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8
도 1에서, 소스(110)는 타겟(120)의 웨이크-업을 위한 웨이크 업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신호(configuration signal)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소스는(110)는 상기 구성 신호(configuration signal)의 수신 감도 값을 포함하는 서치 프레임을 상기 타겟(120)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타겟(120)의 조인을 허락하고,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에서 상기 타겟(12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타겟(120)으로 전송하고, 전력 제어를 통해 충전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충전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타겟(1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타겟(120)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웨이크 업 전력을 수신하고, 상기 웨이크-업 전력을 사용하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고, 상기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들 각각의 무선 전력 전송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한 구성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구성 신호의 수신 감도에 기초하여 소스(110)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소스(110)로부터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공진기"는 소스 공진기 및 타겟 공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별도의 피더를 통해 공진기가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는 피더에서 자기장이 발생하고, 공진기에서도 자기장이 발생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피더(210)에서 입력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230)이 발생한다. 피더(210) 내부에서의 자기장의 방향(231)과 외부에서의 자기장의 방향(233)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질 수 있다. 피더(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230)에 의해 공진기(220)에서 유도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유도 전류의 방향은 입력 전류의 방향과 반대일 수 있다.
유도 전류에 의해 공진기(220)에서 자기장(240)이 발생한다. 자기장의 방향은 공진기(220)의 내부에서는 동일한 방향을 가진다. 따라서, 공진기(220)에 의해 피더(21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241)과 피더(210)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243)은 동일한 위상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피더(210)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기장과 공진기(2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을 합성하면, 피더(210)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되고, 피더(210)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따라서, 도 2과 같은 구조의 피더(210)를 통해 공진기(2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공진기(220)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외곽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공진기(220) 상에서 자기장의 분포가 균일(uniform)하지 않은 경우, 입력 임피던스가 수시로 변화하므로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자기장의 세기가 강한 부분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이 잘되고, 자기장의 세기가 약한 부분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이 잘 되지 않으므로, 평균적으로 전력 전송 효율이 감소한다.
도 2b는 소스 공진기(250)와 피더(260)가 공통의 접지를 가진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소스 공진기(250)는 캐패시터(25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260)는 포트(261)를 통하여, RF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피더(260)에는 RF 신호가 입력되어, 입력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피더(260)에 흐르는 입력 전류는 자기장을 생성하고, 상기 자기장으로부터 소스 공진기(250)에 유도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소스 공진기(250)를 흐르는 유도 전류로부터 자기장이 발생한다. 이때, 피더(260)에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과 소스 공진기(250)에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진다. 따라서, 소스 공진기(250)와 피더(260) 사이의 영역에서,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271)과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273)은 동일한 위상을 가지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반면에, 피더(260)의 내부에서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281)과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283)은 반대 위상을 가지므로,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소스 공진기(250)의 중심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해지고, 소스 공진기(250)의 외곽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될 수 있다.
피더(260)는 피더(260) 내부의 면적을 조절하여, 입력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임피던스는 피더(260)에서 소스 공진기(250)를 바라볼 때, 보이는 임피던스를 의미한다. 피더(260) 내부의 면적이 커지면 입력 임피던스는 증가하고, 내부의 면적이 작아지면 입력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그런데, 입력 임피던스가 감소하는 경우에도, 소스 공진기(250) 내부의 자기장 분포는 일정하지 않으므로, 타겟 디바이스의 위치에 따라 입력 임피던스 값이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을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입력 임피던스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큰 입력 임피던스를 작은 출력 임피던스에 매칭시키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가 소스 공진기(250)와 같은 구성이고, 타겟 공진기의 피더가 피더(260)와 같은 구성인 경우에도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할 수 있다. 타겟 공진기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타겟 공진기의 피더에서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은 서로 반대 위상을 가지기 때문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 및 피더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공진기(310)는 캐패시터(311)를 포함할 수 있다. 피더(320)는 캐패시터(311)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는 도 3의 a의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한 도면이다. 이때, 공진기(310)는 제1 전송선로, 제1 도체(341), 제2 도체(342), 적어도 하나의 제1 캐패시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350)는 제1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33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33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전계(electric field)는 제1 캐패시터(350)에 갇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포함하며, 상부에 있는 도체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며, 하부에 있는 도체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 된다(grounded).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전송 선로의 상부에 있는 도체를 제1 신호 도체 부분(33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332)로 나누어 부르고, 제1 전송 선로의 하부에 있는 도체를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333)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는 2 차원 구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3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332)을 포함하고, 하부에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33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3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332)과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33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3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33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331)의 한쪽 단은 제1 도체(341)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제1 캐패시터(35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332)의 한쪽 단은 제2 도체(342)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제1 캐패시터(350)와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331), 제2 신호 도체 부분(332) 및 제1 그라운드 도체 부분(333), 도체들(341, 3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캐패시터(350)는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캐패시터(35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33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33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제1 캐패시터(35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캐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캐패시터(35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소스 공진기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없는 특별한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인공적으로 설계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의 전자기 특성은 고유의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대부분의 물질들은 양의 유전율 및 양의 투자율을 갖는다.
대부분의 물질들에서 전계, 자계 및 포인팅 벡터에는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RHM(Right Handed Material)이라고 한다. 그러나,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서,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에 따라 ENG(epsilon negative) 물질, MNG(mu negative) 물질, DNG(double negative) 물질,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물질, LH(left-handed) 물질 등으로 분류된다.
이 때,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제1 캐패시터(350)의 캐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소스 공진기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캐패시터(350)의 캐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소스 공진기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소스 공진기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제1 캐패시터(350)의 캐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소스 공진기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소스 공진기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제1 캐패시터(350)의 캐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MNG 공진기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제1 캐패시터(35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근접장(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에 삽입된 제1 캐패시터(350)에 집중되므로, 제1 캐패시터(35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기장(magnetic field)이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그리고, MNG 공진기는 집중 소자의 제1 캐패시터(350)를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큐-팩터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저항 손실(ohmic loss)의 정도 또는 저항(resistance)에 대한 리액턴스의 비를 나타내는데, 큐-팩터가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피더(320)는 제2 전송선로, 제3 도체(371), 제4 도체(372), 제5 도체(381) 및 제6 도체(3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3 신호 도체 부분(3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362)을 포함하고, 하부에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3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신호 도체 부분(3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362)과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36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전류는 제3 신호 도체 부분(361) 및 제4 신호 도체 부분(36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신호 도체 부분(361)의 한쪽 단은 제3 도체(371)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제5 도체(381)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신호 도체 부분(362)의 한쪽 단은 제4 도체(372)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제6 도체 (382)와 연결될 수 있다. 제5 도체(381)는 제1 신호 도체 부분(331)과 연결되고, 제6 도체 (382)는 제2 신호 도체 부분(332)과 연결될 수 있다. 제5 도체(381)와 제6 도체(382)는 제1 캐패시터(350)의 양단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5 도체(381) 및 제6 도체(382)는 RF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 포트로 사용될 수 있다.
결국, 제3 신호 도체 부분(361), 제4 신호 도체 부분(362) 및 제2 그라운드 도체 부분(363), 제3 도체(371), 제4 도체(372), 제5 도체(381), 제6 도체(382) 및 공진기(310)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310) 및 피더(32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한다. 제5 도체(381) 또는 제6 도체(382)를 통하여 RF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 전류는 피더(320) 및 공진기(310)에 흐르게 되고,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하여, 공진기(310)에 유도 전류가 유도된다. 피더(320)에서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과 공진기(310)에서 흐르는 유도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공진기(310)의 중앙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공진기(310)의 외곽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공진기(310)와 피더(320) 사이 영역의 면적에 의해 입력 임피던스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상기 입력 임피던스의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는 필요하지 않다. 매칭 네트워크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피더(320)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입력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매칭 네트워크의 구조는 단순해질 수 있다. 단순한 매칭 네트워크 구조는 매칭 네트워크의 매칭 손실을 최소화한다.
제2 전송 선로, 제3 도체(371), 제4 도체(372), 제5 도체(381), 제6 도체(382) 는 공진기(310)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진기(310)가 루프 구조인 경우에는 피더(320)도 루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공진기(310)가 원형 구조인 경우에는 피더(320)도 원형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피더의 피딩에 따른 공진기의 내부에서 자기장의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무선 전력 전송에서 피딩은, 소스 공진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에서 피딩은, 정류기에 AC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4a는 피더에서 흐르는 입력 전류의 방향 및 소스 공진기에서 유도되는 유도 전류의 방향을 도시한다. 또한, 도 4a는 피더의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소스 공진기의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낸다. 도 4a는 도 4의 공진기(410) 및 피더(420)를 좀 더 간략하게 표현한 도면이다. 도 4b는 피더와 공진기의 등가회로를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피더의 제5 도체 또는 제6 도체는 입력 포트(410)로 사용될 수 있다. 입력 포트(410)는 RF 신호를 입력 받는다. RF 신호는 전력 증폭기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는 타겟 디바이스의 필요에 따라 RF 신호의 진폭을 증감시킬 수 있다. 입력 포트(410)에서 입력된 RF 신호는 피더에 흐르는 입력 전류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피더를 흐르는 입력 전류는 피더의 전송선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그런데, 피더의 제5 도체는 공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5 도체는 공진기의 제1 신호 도체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전류는 피더 뿐만 아니라 공진기에도 흐르게 된다. 공진기에서 입력 전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흐른다. 공진기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하여 자기장이 발생하고,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기에 유도 전류가 생성된다. 유도 전류는 공진기에서 시계방향으로 흐른다. 이때 유도 전류는 공진기의 캐패시터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유도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한다. 도 4a에서 피더 및 공진기에 흐르는 입력 전류는 실선으로 표시되고,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는 점선으로 표시되었다.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방향은 오른나사의 법칙을 통해 알 수 있다. 피더 내부에서, 피더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421)과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423)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피더 내부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된다.
또한, 피더와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 피더에 흐르는 입력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433)과 소스 공진기에 흐르는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의 방향(431)은 서로 반대 위상이다. 따라서, 피더와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약화된다.
루프 형태의 공진기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진기의 중심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하고, 공진기의 외곽부분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하다. 그런데 도 4a를 참조하면, 피더가 공진기의 캐패시터 양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의 유도 전류의 방향과 피더의 입력 전류의 방향이 동일해 진다. 공진기의 유도 전류의 방향과 피더의 입력 전류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피더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피더의 외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된다. 결과적으로 루프 형태의 공진기의 중심에서는 피더로 인하여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공진기의 외곽부분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진기 내부에서는 전체적으로 자기장의 세기가 균일해질 수 있다.
한편, 소스 공진기에서 타겟 공진기로 전달되는 전력 전송의 효율은 소스 공진기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므로, 소스 공진기의 중심에서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됨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도 증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피더(440) 및 공진기(450)는 등가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피더(440)에서 공진기 측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입력 임피던스 Zin은 다음의 수학식 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2086133075-pat00009
여기서, M은 피더(440)와 공진기(450)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를 의미하고, ω는 피더(440)와 공진기(450) 간의 공진 주파수를 의미하고, Z는 공진기(450)에서 타겟 디바이스 측을 바라볼 때 보이는 임피던스를 의미할 수 있다.
Zin은 상호 인덕턴스 M에 비례할 수 있다. 따라서, 피더(440) 및 공진기(450) 간의 상호 인덕턴스를 조절함으로써 Zin을 제어할 수 있다. 상호 인덕턴스 M은 피더(440)와 공진기(450) 사이 영역의 면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피더(440)의 크기에 따라 피더(440)와 공진기(450) 사이 영역의 면적이 조절될 수 있다. Zin은 피더(44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전력 증폭기의 출력 임피던스와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매칭 네트워크가 필요하지 않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포함된 타겟 공진기 및 피더도 위와 같은 자기장의 분포를 가질 수 있다. 타겟 공진기는 소스 공진기로부터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되는 무선 전력을 통하여 타겟 공진기에서는 유도 전류가 생성될 수 있다. 타겟 공진기에서 유도 전류에 의해 발생한 자기장은 피더에 다시 유도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4a의 구조와 같이 타겟 공진기와 피더가 연결되면, 타겟 공진기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피더에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동일해진다. 따라서, 피더의 내부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화되고, 피더와 타겟 공진기 사이의 영역에서는 자기장의 세기가 약화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은 소스 시스템(510), 소스 공진기(520), 타겟 공진기(530), 타겟 시스템(540) 및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5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은 도 1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과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은 소스 시스템(510) 및 소스 공진기(520)로 구성되는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은 타겟 공진기(530) 및 타겟 시스템(540)로 구성되는 타겟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소스 시스템(510)은 도 1의 소스(110)와 같이, 가변 SMPS(Variable SMPS),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매칭 네트워크, Tx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타겟 시스템(540)은 도 1의 타겟(120)과 같이, 매칭 네트워크, 정류기, DC/DC 컨버터, 통신부 및 Rx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550)는 타겟 시스템(540)에 의해 충전 될 수 있다.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은 수 KHz~수십 MHz의 공진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소스 시스템(510)은 충전 차량의 종류, 배터리의 용량,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따라 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력을 타겟 시스템(540)으로 공급할 수 있다.
소스 시스템(510)은 소스 공진기(520) 및 타겟 공진기(530)의 정렬(alignment)를 맞추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시스템(510)의 제어부는 소스 공진기(520)와 타겟 공진기(530)의 정렬(alignment)이 맞지 않은 경우, 타겟 시스템(540)으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정렬(alignment)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정렬(alignment)이 맞지 않은 경우란, 타겟 공진기(530)의 위치가 마그네틱 공진(magnetic resonance)이 최대로 일어나기 위한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정확하게 정차되지 않은 경우, 소스 시스템(510)은 차량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소스 공진기(520)와 타겟 공진기(530)의 정렬(alignment)이 맞도록 유도할 수 있다.
소스 시스템(510)과 타겟 시스템(540)은 통신을 통해, 차량의 식별자를 송수신할 수 있고, 각종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된 내용들은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500)은 수 KHz~수십 MHz의 공진 주파수를 사용하고,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550)를 충전하기 위해 수십 watt이상의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탑재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패드(610)와 모바일 단말(620) 간의 무선 전력 충전을 나타내고, 도 6b는 패드들(630, 640)과 보청기들(650, 660) 간의 무선 전력 충전을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패드(610)에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모바일 단말(620)에 탑재될 수 있다. 이때, 패드(610)는 하나의 모바일 단말(620)을 충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제1 패드(630) 및 제2 패드(640) 각각에 탑재될 수 있다. 보청기(650)는 왼쪽 귀의 보청기를 나타내고, 보청기(660)는 오른쪽 귀의 보청기를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2개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보청기(650) 및 보청기(660) 각각에 탑재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7a는 인체에 삽입된 전자기기(710)와 모바일 단말(720) 간의 무선 전력 충전을 나타내고, 도 7b는 보청기(730)와 모바일 단말(740) 간의 무선 전력 충전을 나타낸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모바일 단말(720)에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인체에 삽입된 전자기기(710)에 탑재될 수 있다. 인체에 삽입된 전자기기(710)는 모바일 단말(72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모바일 단말(740)에 탑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는 보청기(730)에 탑재될 수 있다. 보청기(730)는 모바일 단말(7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다. 보청기(730)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이어폰과 같은 다양한 저전력 전자기기들도 모바일 단말(74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충전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8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810)는 도 6의 제1 패드(630) 및/또는 제2 패드(640) 각각에 탑재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810)는 도 7의 모바일 단말(720) 및/또는 모바일 단말(740)에 탑재될 수 있다.
도 8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는 도 6의 보청기(650) 및/또는 보청기(660) 각각에 탑재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810)는 도 1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10)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전송 장치(810)는 마그네틱 커플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통신 및 트래킹부(811)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와 통신을 수행하고,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임피던스 제어 및 공진 주파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및 트래킹부(811)는 도 1의 Tx 제어부(114) 및 통신부(115)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는 도 1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120)와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는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는 타겟 공진기(target resonator)(또는 Rx 공진기(Rx resonator)), 정류기(rectifier), DC/DC 컨버터(DC/DC converter), 충전기 회로(charger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는 통신 및 제어부(82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및 제어부(823)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810)와 통신을 수행하고, 과전압 및 과전류 보호를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820)는 청각기기 회로(821)를 포함할 수 있다. 청각기기 회로(821)는 배터리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청각기기 회로(821)는 마이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프로세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및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각기기 회로(821)는 보청기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910) 및 공진기의 공진 모드에 따른 필드(field) 분포(921, 922, 923)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용 공진기는 송수신 공진기가 면대면으로 바라보고 있을 때 전송 효율이 가장 높으며, 면대면에서 어느 공진기의 각도가 변하면 전송 효율이 극심하게 떨어지게 되므로, 전송방향에 있어서 특성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휴대기기 및 의료기기의 실제적인 상황을 고려했을 때, 기기 내부의 PCB는 도체로서 송수신 공진기 사이에 위치할 경우 전송 효율이 매우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핸드폰 및 소형 전자기기 또는 의료기기의 무선충전을 고려할 경우 기기가 놓일 수 있는 위치에 따라 전력 전송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는 기기가 어떻게 위치하더라도 높은 전력 전송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무선 전력 전송용 송수신장치의 형태에 적합한 근거리 자기장(magnetic near field)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소스 공진기 또는 타겟 공진기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이상적인(ideal) 3차원 입체 공진기(910)는 육면체 구조로 구성되고 x, y, z의 모든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공진기들이 일정 간격을 가질 수 있다. 각 공진기들은 임의의 모양, 크기, 두께를 갖는 단일루프 혹은 멀티루프 형태의 인덕터와 캐패시터로 구성되며, 공진기들은 각각 임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공진기, 입체 공진기, 3차원 입체 공진기는 동일한 공진기일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공진기로 구성되는 이상적인 3차원 입체 공진기는 다양한 공진모드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하단에 도시된 그래프의 세로축은 입력 임피던스로서 단위는 옴이고, 가로축은 공진 주파수로서 단위는 MHz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방향, 양방향, 전방향에 해당하는 모드 들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설정 및 급전방법에 따라서 선택가능하기 때문에, 무선 전력 전송이 필요한 기기(device)의 형태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모드로 설정된 공진기(911)는 H-필드(H-filed) 분포(921)를 보이고 그래프에서 입력 임피던스의 첫번째 피크(peak) 지점에 해당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제2 공진 모드로 설정된 공진기(912)는 양방향으로서 H-필드 분포(922)를 보이고 그래프에서 입력 임피던스의 두번째 피크 지점에 해당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공진 모드로 설정된 공진기(913)는 전방향으로서 H-필드 분포(923)를 보이고 그래프에서 입력 임피던스의 세번째 피크 지점에 해당하는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입체 공진기의 공진 모드가 상술한 세 가지 모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공진 주파수 설정 및 급전방법에 따라 다수의 공진 모드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의 구조를 도시한다. 여기서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는 여러 개의 셀(cell)로 구성되어 있으며 셀의 전류를 유도하는 방법에 있어서 셀 사이를 다이렉트(direct) 또는 크로스(cross)형태로 연결시키거나 캐패시터를 삽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1010)는 연결부(1012)를 통해 셀 및 공진기(1011)가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육면체 구조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셀은 캐패시터가 없이 단일루프 또는 멀티루프 형태의 인덕터 및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진기는 인덕터 및 캐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셀은 공진기와 연결부를 통해 결합되어 전체로서 하나의 3차원 입체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셀 및 공진기의 루프 형태도 사각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루프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1020)는 연결부(1022)를 통해 셀 및 공진기(1021)가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고 사면체 구조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셀 및 공진기의 루프 형태는 삼각형으로 한정하지 않고 루프를 형성할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는 연결부를 통해 셀 및 공진기가 임의의 형태를 가지고 다면체 구조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의 연결부를 도시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는 하나의 셀 및 하나의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렉트 형태의 연결부(1112)로 연결된 공진기(1111)는 동일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루프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우측 루프도 동일하게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 형태의 연결부(1122)로 연결된 공진기(1121)는 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루프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면 우측 루프는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패시터 형태의 연결부(1132)로 연결된 공진기(1131)는 캐패시터에 의해 각 공진기의 루프가 커플링되어 각 캐퍼시터의 캐퍼시턴스 값에 따라 전류의 방향 및 크기가 변화될 수 있다.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의 연결부의 선택에 따른 공진 모드를 도시한다.
다이렉트 및 크로스 형태의 연결부는 근접한 셀과의 전류방향을 동일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도 12a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3차원 입체 공진기의 필드를 선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셀에 캐패시터를 삽입하여 임의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공진기로서 이용하면, 공진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에 따라서 전류의 방향 및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캐패시터의 커패시턴스 값을 변화시키면서 근거리 자기장(magnetic near field)의 모드를 기기의 형태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공진 모드의 공진 방향은 오른나사의 법칙에 따라 셀 및 공진기의 전류 방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12a에 도시된 입체 공진기(1210)는 다이렉트 형태의 연결부(1212)와 크로스 형태의 연결부(1213)를 사용하여 셀 및 공진기(1211)가 육면체 구조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공진기(1210)는 도 9에 도시된 입체 공진기(911)과 동일한 공진 모드로서 각 셀 및 공진기에 도시된 전류 방향에 오른나사의 법칙을 적용하면 공진 방향이 단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2b에 도시된 입체 공진기(1220)는 다이렉트 형태의 연결부(1222)를 사용하여 셀 및 공진기(1221)가 육면체 구조로 연결된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 공진기(1220)는 도 9에 도시된 입체 공진기(923)과 동일한 공진 모드로서 각 셀 및 공진기에 도시된 전류 방향에 오른나사의 법칙을 적용하면 공진 방향이 전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무선 전력 전송의 전류가 흐르는 적어도 하나의 셀(cell); 및
    상기 셀을 입체적인 구조로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셀은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선택된 공진 모드에 따라 상기 셀을 다이렉트(direct) 형태로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셀을 크로스(cross) 형태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셀을 커패시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 값의 변화에 따라 공진 모드가 변경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셀을 육면체 구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셀을 사면체 구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셀을 다면체 구조로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공진 모드가 단방향이 되도록 상기 셀을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공진 모드가 양방향이 되도록 상기 셀을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공진 모드가 전방향이 되도록 상기 셀을 연결하는,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은 인덕터를 포함하고,
    입체 플렉서블 공진기.
KR1020120117646A 2012-10-23 2012-10-23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KR10198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46A KR101984811B1 (ko) 2012-10-23 2012-10-23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PCT/KR2013/009403 WO2014065555A1 (ko) 2012-10-23 2013-10-22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US14/438,076 US10594161B2 (en) 2012-10-23 2013-10-22 Magnetic field adjusting three-dimensional flexible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EP13848491.0A EP2913886A4 (en) 2012-10-23 2013-10-22 MAGNETIC FIELD FOR ADJUSTING A THREE-DIMENSIONAL FLEXIBLE RESONATOR FOR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US16/790,251 US11011938B2 (en) 2012-10-23 2020-02-13 Magnetic field adjusting three-dimensional flexible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646A KR101984811B1 (ko) 2012-10-23 2012-10-23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99A KR20140052199A (ko) 2014-05-07
KR101984811B1 true KR101984811B1 (ko) 2019-06-03

Family

ID=5054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646A KR101984811B1 (ko) 2012-10-23 2012-10-23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용 자계조절 3차원 플렉서블 공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594161B2 (ko)
EP (1) EP2913886A4 (ko)
KR (1) KR101984811B1 (ko)
WO (1) WO20140655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97960B2 (en) * 2016-03-30 2018-06-12 The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Board Of Trustees Misalignment insensitive wireless power transfer with cylindrical, spherical and conical transmitter and receiver elements
WO2018083283A1 (en) * 2016-11-07 2018-05-11 Koninklijke Philips N.V.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ferring pow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2582A (ja) * 2005-02-08 2006-08-24 Nippon Signal Co Ltd:The 三軸タグアンテナ及び物品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3856A (en) * 1976-02-03 1977-10-11 Fisher Sidney T Quasi-toroidal inductor and resonator
KR20050009101A (ko) * 2003-07-15 2005-01-24 조인호 스마트 안테나장치
JP4992345B2 (ja) 2006-08-31 2012-08-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伝送線路型共振器と、これを用いた高周波フィルタ、高周波モジュールおよび無線機器
KR100960044B1 (ko) 2008-10-21 2010-05-31 국방과학연구소 전송선로에 3차원 dgs를 갖는 공진기
WO2011005012A2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위한 공진기
KR101799606B1 (ko) * 2009-07-24 2017-11-20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무선 전력 서플라이
US8716900B2 (en) * 2010-03-30 2014-05-06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101753607B1 (ko) 2010-08-24 201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EP2691947A2 (en) * 2011-03-29 2014-02-05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Vibro-acoustic attenuation or reduced energy transmission
KR101305823B1 (ko) * 2011-11-25 2013-09-06 한국전기연구원 무선전력 중계장치, 무선전력 전송 방법 및 공진주파수 조절 방법
JP2015065795A (ja) * 2013-09-26 2015-04-09 ソニー株式会社 蓄電装置、蓄電制御装置および蓄電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2582A (ja) * 2005-02-08 2006-08-24 Nippon Signal Co Ltd:The 三軸タグアンテナ及び物品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4161B2 (en) 2020-03-17
WO2014065555A1 (ko) 2014-05-01
EP2913886A4 (en) 2016-04-27
US20200185970A1 (en) 2020-06-11
US11011938B2 (en) 2021-05-18
US20150295417A1 (en) 2015-10-15
KR20140052199A (ko) 2014-05-07
EP2913886A1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009B1 (ko)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 및 방법
KR101817194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925959B1 (ko)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임피던스 제어 방법
KR10180947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공진 주파수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10188003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2개의 소스 공진기를 이용해서 자기장을 제어하는 소스 장치 및 방법
KR101896979B1 (ko)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공진 주파수 제어 방법
KR101897160B1 (ko) 무전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을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8009B1 (ko) 공진 주파수를 조정해서 커플링 효율을 높이는 무전전력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808086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이용한 사운드 시스템
KR10181326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382213B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방법,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101947982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27504B1 (ko) 복수의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무선 전력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40021095A (ko) 모바일 기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KR101813125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검출 파라미터에 기초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KR102108546B1 (ko) 안정적인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격리도가 향상된 공진기 장치
KR20140032631A (ko) 자기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KR20150000028A (ko) 충전 환경 판별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20130050783A (ko) 임피던스 매칭 조건을 고려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무선전력 전송 방법
KR20120132375A (ko) 무선 전력을 이용한 인 밴드 데이터 통신 시스템
KR102024015B1 (ko) 모바일 기기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US11011938B2 (en) Magnetic field adjusting three-dimensional flexible resonator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KR20120134030A (ko)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930801B1 (ko)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06353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