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826B1 -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8826B1
KR101718826B1 KR1020100082845A KR20100082845A KR101718826B1 KR 101718826 B1 KR101718826 B1 KR 101718826B1 KR 1020100082845 A KR1020100082845 A KR 1020100082845A KR 20100082845 A KR20100082845 A KR 20100082845A KR 101718826 B1 KR101718826 B1 KR 101718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sonator
resonance
band
reson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578A (ko
Inventor
김동조
권상욱
박윤권
박은석
홍영택
유영호
김남윤
최진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8826B1/ko
Priority to CN201180041327.8A priority patent/CN103069687B/zh
Priority to EP11820174.8A priority patent/EP2609668B1/en
Priority to JP2013525827A priority patent/JP6097215B2/ja
Priority to PCT/KR2011/006230 priority patent/WO2012026747A2/en
Priority to US13/218,897 priority patent/US8987942B2/en
Publication of KR20120019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8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8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ac
    • G05F3/0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ac using combination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inductive devices, e.g. combined with resonant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 H04B5/7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mitter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부와,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파워 증폭부 및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기본 공진기와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하모닉 공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다중밴드 공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transmit resonance power by multi-band}
기술분야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중 대역을 통해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진 전력은 전자기 에너지를 의미한다. 공진 전력 전달 시스템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종으로서, 공진 전력을 전송하는 소스 장치와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타겟 장치를 포함한다. 공진 전력은 소스 장치로부터 타겟 장치로 무선으로 전달된다.
한편, 현재 구상되고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하나의 소스 장치를 이용해서 다수의 타겟 장치들에게 동시에 공진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하지만, 동일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다수의 타겟 장치들에게 동시에 공진 전력을 전달하는 경우 타겟 장치들의 간격이 특정 거리 이상 가까워 지게 되면 임피던스 변화에 의한 커플링(Coupling)이 발생하게 되어 공진 주파수가 틀어지게 되고, 공진 전력의 전달효율이 20~30% 이하로 떨어지게 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부와,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하는 파워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두개 이상의 공진기를 포함하는 다중밴드 공진부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파워 증폭부는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상기 다중밴드 공진부로 전달하고, 상기 다중밴드 공진부는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기본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하모닉 공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공진 전력이 비선형 소자인 상기 파워 증폭부를 통과할 때 발생된다.
이때,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를 갖는다.
이때, 상기 다중밴드 공진부는,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루프(Loop) 형태의 기본 공진기와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루프 형태의 하모닉 공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 하는 다중 루프(Multi-Loop)형태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단계와,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에서 다중 밴드의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공진 전력의 파워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기 에너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기본 공진기를 통해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고 하모닉 공진기를 통해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공진 전력이 비선형 소자인 상기 파워 증폭부를 통과할 때 발생된다.
이때,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를 갖는다.
다중 대역을 통해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중 대역을 통해 공진전력을 전송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통해 공진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수신 장치들이 인접한 경우에도 간섭없이 공진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전력전송 장치는 파워 증폭부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하모닉의 전력을 저전력의 무선전력수진 장치를 위한 공진 대역으로 사용함으로써 전력낭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부를 통해 하모닉 대역의 공진전력의 발생을 나타낸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00W급의 파워 증폭부의 스팩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밴드 공진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적용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4는 공진기 구조에 대한 다양한 예들을 나타낸다.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중 대역을 통해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의 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은 공진 전력(resonance power)이라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와 타겟으로 구성되는 소스-타겟 구조이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와 타겟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 장치와 타겟 장치로 구성되는 소스-타겟 구조이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 장치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와 타겟 장치에 해당하는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를 포함한다.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외부의 전압 공급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부(111) 및 소스 공진기(115)를 포함한다. 또한, 공진 전력 전송 장치(110)는 공진주파수 또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소스부(111)는 외부의 전압 공급기로부터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킨다. 소스부(111)는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교류 신호의 신호 레벨을 원하는 레벨로 조정하기 위한 AC-AC Converter, AC-AC Converter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신호를 정류함으로써 일정 레벨의 DC 전압을 출력하는 AC-DC Converter, AC-DC Converter에서 출력되는 DC 전압을 고속 스위칭함으로써 수 MHz ~ 수십MHz 대역의 AC 신호를 생성하는 DC-AC I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소스 공진기(115)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소스 공진 대역폭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또는 소스 매칭 주파수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소스 공진 대역폭 설정부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한다. 소스 매칭 주파수 설정부는 소스 공진기(115)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소스 공진기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소스 공진기(115)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15)는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타겟 공진기로 전달(transferring)한다. 즉, 소스 공진기(115)는 타겟 공진기(121)와의 마그네틱 커플링(101)을 통해 공진 전력을 타겟 장치(120)로 전달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115)는 설정된 공진 대역폭 내에서 공진한다.
공진 전력 수신 장치(120)는 타겟 공진기(121), 공진주파수 또는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Matching control부(123) 및 수신된 공진 전력을 부하로 전달하기 위한 타겟부(125)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기(121)는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수신한다. 이때, 타겟 공진기(121)는 설정된 공진 대역폭 내에서 공진한다.
Matching control부(123)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한다. Matching control부(123)는 타겟 공진 대역폭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또는 타겟 매칭 주파수 설정부(도시 되지 않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타겟 공진 대역폭 설정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을 설정한다. 타겟 매칭 주파수 설정부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를 설정한다. 이때,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또는 타겟 공진기(121)의 임피던스 매칭 주파수 설정에 따라서 타겟 공진기(121)의 Q-factor가 결정될 수 있다.
타겟부(125)는 수신된 공진 전력을 부하로 전달한다. 이때, 타겟부(125)는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타겟 공진기(121)로 수신되는 AC 신호를 정류하여 DC 신호를 생성하는 AC-DC Converter와, DC 신호의 신호 레벨을 조정함으로써 정격 전압을 디바이스(device) 또는 부하(load)로 공급하는 DC-DC Converter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공진기(115) 및 타겟 공진기(121)는 헬릭스(helix)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스파이럴(spiral)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meta-structured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큐-펙터의 제어 과정은,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Resonance Bandwidth) 및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설정하고,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마그네틱 커플링을 통해 전자기(electromagnetic) 에너지를 상기 소스 공진기(115)로부터 상기 타겟 공진기(121)로 전달(transferr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은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이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 보다 넓거나 좁게 설정됨으로써, 소스 공진기의 BW-factor와 상기 타겟 공진기의 BW-factor는 서로 불평형(unbalance) 관계가 유지된다.
공진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에서, 공진 대역폭은 중요한 factor이다.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사이의 거리 변화, 공진 임피던스의 변화, 임피던스 미스 매칭, 반사 신호 등을 모두 고려한 Q-factor를 Qt라 할 때, Qt는 수학식 1과 같이 공진 대역폭과 반비례 관계를 갖는다.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1
수학식 1에서, f0는 중심주파수,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2
는 대역폭,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3
는 공진기 사이의 반사 손실, BWS는 소스 공진기(115)의 공진 대역폭, BWD는 타겟 공진기(121)의 공진 대역폭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BW-factor는 1/ BWS 또는 1/BWD를 의미한다.
한편,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거리가 달라지거나, 둘 중 하나의 위치가 변하는 등의 외부 영향에 의하여, 소스 공진기(115)와 타겟 공진기(121) 간의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할 수 있다. 임피던스 미스 매칭은 전력 전달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전송신호의 일부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함으로써, 임피던스 미스 매칭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반사파의 파형 분석을 통해 공진 포인트를 검출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매칭 제어부(Matching control)(113)는 반사파의 파형에서 진폭(amplitude)이 최소인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소스 공진기(115) 및/또는 타겟 공진기(121)는 도 8 내지 도 14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라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의 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무선 전력은 공진 전력(resonance power)이라 가정한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와 타겟으로 구성되는 소스-타겟 구조이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소스에 해당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200)와 타겟에 해당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210, 220)를 포함한다.
이때, 무선전력 전송 장치(200)는 소스부(202), 파워 증폭부(204) 및 다중밴드 공진부(206)을 포함한다.
소스부(202)는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켜서 파워 증폭부(204)로 전달한다.
파워 증폭부(204)는 소스부(202)로부터 전달받은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다중밴드 공진부(206)로 전달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워 증폭부를 통해 하모닉 대역의 공진전력의 발생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파워 증폭부(204)는 비선형 소자로서 전달받은 공진 전력(310)을 증폭해서 증폭된 공진전력(320)를 출력한다. 여기서, 증폭된 공진전력(320)은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포함한다. 이때,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를 갖는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00W급의 파워 증폭부의 스팩트럼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200W급의 파워 증폭부는 13.6MHz의 입력 신호가 수신한 경우, 기본(Fundamental) 대역인 13.6MHz의 공진 전력과 2차 하모닉(Harmonic) 대역인 27.2MHz의 신호 등이 출력된다. 이때, 기본(Fundamental) 대역과 2차 하모닉(Harmonic) 대역의 파워 차이는 약 15.15 dB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중밴드 공진부(206)는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두개 이상의 공진기를 포함한다. 이때, 다중밴드 공진부(206)는 아래 도 5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밴드 공진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중밴드 공진부(206)는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212)로 전송하는 루프(Loop) 형태의 기본 공진기(510)와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214)로 전송하는 루프 형태의 하모닉 공진기(520)를 적어도 하나 포함 하는 다중 루프(Multi-Loop)형태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기본 공진기(510), 하모닉 공진기(520), 제1 대상 공진기(212) 및/또는 제2 대상 공진기(214)는 도 8 내지 도 14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의 적용 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무선전력전송 장치(200)는 다중밴드 공진부(206)를 통해서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과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전송한다. 그러면, TV 등의 대전력의 무선전력 수진장치(210)는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공급받고, Mobile 등의 저전력의 무선전력 수진장치(240)는 2차 또는 3차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공급받는다. 도 6과 같은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무선전력 수진장치(210)와 무선전력 수진장치(240)는 서로 근접거리에 위치하여도 서로 다른 공진대역을 통해 공진 전력을 공급받음으로 간섭없이 무선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시스템에서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을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전력전송 장치에서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무선전력전송 장치(200)는 710단계에서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무선전력전송 장치(200)는 720단계에서 공진 전력을 증폭한다. 이때, 무선전력전송 장치(200)는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생성한다.
그리고, 무선전력전송 장치(200)는 730단계에서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무선전력전송 장치(200)는 기본 공진기(510)를 통해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212)로 전송하고 하모닉 공진기(520)를 통해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214)로 전송한다.
한편, 소스 공진기 및/또는 타겟 공진기는 헬릭스(helix)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스파이럴(spiral) 코일 구조의 공진기, 또는 meta-structured 공진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미 잘 알려진 내용들이지만,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관련 용어들을 기술한다. 모든 물질들은 고유의 투자율(Mu) 및 유전율(epsilon)을 갖는다. 투자율은 해당 물질에서 주어진 자계(magnetic field)에 대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속밀도(magnetic flux density)와 진공 중에서 그 자계에 대해 발생하는 자기력선속밀도의 비를 의미한다. 그리고, 유전율은 해당 물질에서 주어진 전계(electric field)에 대해 발생하는 전기력선속밀도(electric flux density)와 진공 중에서 그 전계에 대해 발생하는 전기력선속밀도의 비를 의미한다. 투자율 및 유전율은 주어진 주파수 또는 파장에서 해당 물질의 전파 상수를 결정하며, 투자율 및 유전율에 따라 그 물질의 전자기 특성이 결정된다. 특히,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인공적으로 설계된 물질을 메타 물질이라고 하며, 메타 물질은 매우 큰 파장(wavelength) 또는 매우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도 쉽게(즉, 물질의 사이즈가 많이 변하지 않더라도) 공진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 차원 구조의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 차원 구조의 공진기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커패시터(820), 매칭기(830) 및 도체들(841, 842)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820)는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며, 그에 따라 전계(electric field)는 커패시터(820)에 갇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 하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체를 포함하며, 상부에 있는 도체를 통해서는 전류가 흐르며, 하부에 있는 도체는 전기적으로 그라운드된다(grounded). 본 명세서에서는 전송 선로의 상부에 있는 도체를 제1 신호 도체 부분(81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812)로 나누어 부르고, 전송 선로의 하부에 있는 도체를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으로 부르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800)는 2 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을 포함하고, 하부에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을 통하여 흐른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811)의 한쪽 단은 도체(842)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8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의 한쪽 단은 도체(841)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820)와 연결된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80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커패시터(820)는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삽입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패시터(82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커패시터(82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커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82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진기(800)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메타물질이란 자연에서 발견될 수 없는 특별한 전기적 성질을 갖는 물질로서, 인공적으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물질들의 전자기 특성은 고유의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지며, 대부분의 물질들은 양의 유전율 및 양의 투자율을 갖는다. 대부분의 물질들에서 전계, 자계 및 포인팅 벡터에는 오른손 법칙이 적용되므로, 이러한 물질들을 RHM(Right Handed Material)이라고 한다. 그러나, 메타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유전율 또는 투자율을 가진 물질로서, 유전율 또는 투자율의 부호에 따라 ENG(epsilon negative) 물질, MNG(mu negative) 물질, DNG(double negative) 물질, NRI(negative refractive index) 물질, LH(left-handed) 물질 등으로 분류된다.
이 때,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상기 공진기(800)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공진기는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800)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공진기(800)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상기 공진기(8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상기 공진기(8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상기 MNG 공진기(800)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800)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800)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MNG 공진기(800)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82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800)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근접 필드(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에 삽입된 커패시터(820)에 집중되므로, 커패시터(82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magnetic field)가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그리고, MNG 공진기(800)는 집중 소자의 커패시터(820)을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큐-팩터는 무선 전력 전송에 있어서 저항 손실(ohmic loss)의 정도 또는 저항(resistance)에 대한 리액턴스의 비를 나타내는데, 큐-팩터가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이 큰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MNG 공진기(800)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기(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칭기(830)는 MNG 공진기(800) 의 자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 가능(tunable)하고, 매칭기(830)에 의해 MNG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결정된다. 그리고, 전류는 커넥터(840)를 통하여 MNG 공진기(800)로 유입되거나 MNG 공진기(800)로부터 유출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84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또는 매칭기(83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커넥터(840)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또는 매칭기(830) 사이에는 물리적인 연결이 형성될 수도 있고, 커넥터(840)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또는 매칭기(830) 사이의 물리적인 연결 없이 커플링을 통하여 전력이 전달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기(830)는 공진기(800)의 루프 구조로 인해 형성되는 루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매칭기(830)는 물리적인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매칭기(83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으로부터 거리 h 만큼 떨어진 위치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도체(8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거리 h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매칭기(830)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기(830)는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830)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830)의 도체(831)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칭기(830)의 물리적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다양한 팩터들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매칭기(8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부분(831)과 같은 수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능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능동 소자가 매칭기(830)에 포함되는 경우, 능동 소자는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그 제어 신호에 따라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기(830)에는 능동 소자의 일종인 다이오드가 포함될 수 있고, 다이오드가 '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off''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공진기(800)의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800)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구조의 공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 차원 구조의 공진기(80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을 포함하는 전송 선로 및 커패시터(8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커패시터(820)는 전송 선로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과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사이에 위치에 직렬로 삽입되고, 전계(electric field)는 커패시터(820)에 갇히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기(800)는 3차원 구조의 형태를 갖는다. 전송 선로는 상부에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을 포함하고, 하부에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을 포함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을 통하여 x 방향으로 흐르며, 이러한 전류로 인해 -y 방향으로 자계(magnetic field) H(w)가 발생한다. 물론, 도 9에 도시된 것과 다르게, +y 방향으로 자계(magnetic field) H(w)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 도체 부분(811)의 한쪽 단은 도체(842)와 접지(short)되고,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82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의 한쪽 단은 도체(841)와 접지되며, 다른 쪽 단은 커패시터(820)와 연결된다. 결국,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은 서로 연결됨으로써, 공진기(800)는 전기적으로 닫혀 있는 루프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루프 구조'는 원형 구조,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의 구조 등을 모두 포함하며, '루프 구조를 갖는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닫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820)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및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커패시터(820)는 집중 소자(lumped element) 및 분산 소자(distributed element)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분산 소자의 형태를 갖는 분산된 커패시터는 지그재그 형태의 도체 라인들과 그 도체 라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유전율을 갖는 유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820)가 전송 선로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공진기(800)는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집중 소자로서 삽입된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가 적절히 정해지는 경우, 상기 공진기(800)는 메타물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를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공진기(800)는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음의 투자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진기(800)는 MNG 공진기로 불려질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를 정하는 전제(criterion)들은 다양할 수 있다. 공진기(800)가 메타물질(metamaterial)의 특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제(criterion), 상기 공진기(8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음의 투자율을 갖도록 하는 전제 또는 상기 공진기(800)가 대상 주파수에서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도록 하는 전제 등이 있을 수 있고, 상술한 전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전제 아래에서 커패시터(820)의 커패시턴스가 정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상기 MNG 공진기(800)는 전파 상수(propagation constant)가 0일 때의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가질 수 있다. MNG 공진기(800)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공진 주파수는 MNG 공진기(800)의 물리적인 사이즈에 대해 독립적일 수 있다. MNG 공진기(800)에서 공진 주파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커패시터(820)를 적절히 설계하는 것으로 충분하므로, MNG 공진기(800)의 물리적인 사이즈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MNG 공진기(800)를 참조하면, 근접 필드(near field)에서 전계는 전송 선로(810)에 삽입된 커패시터(820)에 집중되므로, 커패시터(820)로 인하여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magnetic field)가 도미넌트(dominant)해진다. 특히, 영번째 공진(Zeroth-Order Resonance) 특성을 갖는 MNG 공진기(800)는 자계 다이폴(magnetic dipole)과 유사한 특성들을 가지므로,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가 도미넌트하며, 커패시터(820)의 삽입으로 인해 발생하는 적은 양의 전계 또한 그 커패시터(820)에 집중되므로, 근접 필드에서는 자계가 더더욱 도미넌트해진다. MNG 공진기(800)는 집중 소자의 커패시터(820)을 이용하여 높은 큐-팩터(Q-Factor)를 가질 수 있으므로, 전력 전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MNG 공진기(800)는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매칭기(8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매칭기(830)는 MNG 공진기(800)의 자계의 강도를 적절히 조절 가능(tunable)하고, 매칭기(830)에 의해 MNG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결정된다. 그리고, 전류는 커넥터(840)를 통하여 MNG 공진기(800)로 유입되거나 MNG 공진기(800)로부터 유출된다. 여기서, 커넥터(84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또는 매칭기(830)와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칭기(830)는 공진기(800)의 루프 구조로 인해 형성되는 루프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매칭기(830)는 물리적인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매칭기(830)는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으로부터 거리 h 만큼 떨어진 위치에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도체 부분(8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거리 h를 조절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매칭기(830)를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가 존재하는 경우, 매칭기(830)는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830)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에 따라 매칭기(830)의 도체(831)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830) 사이의 거리 h가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매칭기(830)의 물리적 형태가 변경됨으로써,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매칭기(830)의 도체(831)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830) 사이의 거리 h는 다양한 방식들로 조절될 수 있다. 즉, 첫째, 매칭기(830)에는 여러 도체들이 포함될 수 있고, 그 도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거리 h가 조절될 수 있다. 둘째, 도체(831)의 물리적인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거리 h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h는 컨트롤러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컨트롤러는 다양한 팩터들을 고려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컨트롤러가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매칭기(8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체 부분(831)과 같은 수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능동 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능동 소자가 매칭기(830)에 포함되는 경우, 능동 소자는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될 수 있으며, 그 제어 신호에 따라 공진기(800)의 임피던스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칭기(830)에는 능동 소자의 일종인 다이오드가 포함될 수 있고, 다이오드가 'on' 상태에 있는지 또는 'off'' 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공진기(800)의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MNG 공진기(800)를 관통하는 마그네틱 코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마그네틱 코어는 전력 전송 거리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bulky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신호 도체 부분(811)과 도체(842)는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신호 도체 부분(812)과 도체(841) 역시 하나의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신호 도체 부분(812)과 도체(841)가 개별적으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는 경우, 이음매(850)로 인한 도체 손실이 있을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신호 도체 부분(812)과 도체(841)는 별도의 이음매 없이(seamless) 서로 연결되며, 도체(841)와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도 별도의 이음매 없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음매로 인한 도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결국, 제2 신호 도체 부분(812)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는 별도의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과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는 별도의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제작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이음매 없이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둘 이상의 부분(partition)들을 서로 연결하는 유형을 'bulky typ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 11은 Hollow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Hollow type으로 설계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각각은 내부에 비어 있는 공간을 포함한다.
주어진(given) 공진 주파수에서, 유효 전류는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각각의 모든 부분을 통해 흐르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부분만을 통해 흐르는 것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주어진 공진 주파수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두께(depth)가 각각의 skin depth보다 지나치게 두꺼운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즉, 그것은 공진기(800)의 무게 또는 공진기(800)의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어진 공진 주파수에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각각의 skin depth를 기초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각각의 두께를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각각이 해당 skin depth보다 크면서도 적절한 두께를 갖는 경우, 공진기(800)는 가벼워질 수 있으며, 공진기(800)의 제작 비용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의 두께는 d m로 정해질 수 있고, d는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4
를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f는 주파수,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5
는 투자율,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6
는 도체 상수를 나타낸다. 특히,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도체들(841, 842) 이 구리(copper)로서 5.8x10^7의 도전율(conductivity)을 갖는 경우에, 공진 주파수가 10kHz에 대해서는 skin depth가 약 0.6mm일 수 있으며, 공진 주파수가 100MHz에 대해서는 skin depth는 0.006mm일 수 있다.
도 12는 parallel-sheet이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parallel-sheet이 적용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에 포함된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각각의 표면에는 parallel-sheet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은 완벽한 도체(perfect conductor)가 아니므로, 저항 성분을 가질 수 있고, 그 저항 성분으로 인해 저항 손실(ohmic loss)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 손실은 Q 팩터를 감소시키고, 커플링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각각의 표면에 parallel-sheet을 적용함으로써, 저항 손실을 줄이고, Q 팩터 및 커플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2의 부분(870)을 참조하면, parallel-sheet이 적용되는 경우,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각각은 복수의 도체 라인들을 포함한다. 이 도체 라인들은 병렬적으로 배치되며,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각각의 끝 부분에서 접지(short)된다.
제1 신호 도체 부분(811), 제2 신호 도체 부분(812) 각각의 표면에 parallel-sheet을 적용하는 경우, 도체 라인들이 병렬적으로 배치되므로, 도체 라인들이 갖는 저항 성분들의 합은 감소된다. 따라서, 저항 손실을 줄이고, Q 팩터 및 커플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3은 분산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에 포함되는 커패시터(820)는 분산된 커패시터일 수 있다.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는 상대적으로 높은 등가 직렬 저항(Equivalent Series Resistance: ESR)을 가질 수 있다.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가 갖는 ESR을 줄이기 위한 여러 제안들이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820)를 사용함으로써, ESR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ESR로 인한 손실은 Q 팩터 및 커플링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8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재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820)는 지그 재그 구조의 도체 라인 및 유전체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분산 소자로서의 커패시터(820)를 사용함으로써,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들을 병렬적으로 사용함으로써,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왜냐 하면,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들 각각이 갖는 저항 성분들은 병렬 연결을 통하여 작아지기 때문에, 병렬적으로 연결된 집중 소자로서의 커패시터들의 유효 저항 또한 작아질 수 있으며, 따라서,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0pF의 커패시터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1pF의 커패시터들 10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함으로써, ESR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14는 2 차원 구조의 공진기 및 3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서 사용되는 매칭기들의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의 A는 매칭기를 포함하는 도 8에 도시된 2 차원 공진기의 일부를 나타내며, 도 14의 B는 매칭기를 포함하는 도 14에 도시된 3 차원 공진기의 일부를 나타낸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매칭기는 도체(831), 도체(832) 및 도체(833)을 포함하며, 도체(832) 및 도체(833)는 전송 선로의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및 도체(831)와 연결된다. 도체(8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에 따라 2 차원 공진기의 임피던스는 결정되며, 도체(8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도체(8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는 다양한 방식들로 조절될 수 있으며, 도체(831)가 될 수 있는 여러 도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도체(831)의 물리적인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매칭기는 도체(831), 도체(832) 및 도체(833)을 포함하며, 도체(832) 및 도체(833)는 전송 선로의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및 도체(831)와 연결된다. 도체(8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에 따라 3 차원 공진기의 임피던스는 결정되며, 도체(8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된다. 2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 포함되는 매칭기와 마찬가지로, 3 차원 구조의 공진기에 포함되는 매칭기에서도 도체(831) 및 그라운드 도체 부분(813) 사이의 거리 h는 다양한 방식들로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체(831)가 될 수 있는 여러 도체들 중 어느 하나를 적응적으로 활성화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도체(831)의 물리적인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으로써, 거리 h를 조절하는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매칭기는 능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공진기의 임피던스를 조절하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다. 즉,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매칭기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경로를 변경함으로써, 공진기의 임피던스가 조절될 수 있다.
도 15는 도 8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도 15에 도시된 등가 회로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10의 등가 회로에서 CL은 도 2의 전송 선로의 중단부에 집중 소자의 형태로 삽입된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영번째 공진 특성을 갖는다. 즉, 전파 상수가 0인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공진기는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7
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다고 가정한다. 이 때, 공진 주파수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8
는 하기 수학식 2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MZR은 Mu Zero Resonator를 의미한다.
Figure 112010055139851-pat00009
상기 수학식 2을 참조하면, 공진기의 공진 주파수
Figure 112010055139851-pat00010
Figure 112010055139851-pat00011
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공진 주파수
Figure 112010055139851-pat00012
와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는 서로 독립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
Figure 112010055139851-pat00013
와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가 서로 독립적이므로, 공진기의 물리적인 사이즈는 충분히 작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소스부;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하는 파워 증폭부; 및
    상기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두개 이상의 공진기를 포함하는 다중밴드 공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증폭부는,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상기 다중밴드 공진부로 전달하고,
    상기 다중밴드 공진부는,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기본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하모닉 공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 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공진 전력이 비선형 소자인 상기 파워 증폭부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를 갖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밴드 공진부는,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루프(Loop) 형태의 기본 공진기와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루프 형태의 하모닉 공진기를 적어도 하나 포함 하는 다중 루프(Multi-Loop)형태인
    무선전력 전송 장치.
  6. 에너지를 수신하여 공진 전력을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 전력의 파워를 증폭하는 단계는,
    상기 공진 전력을 증폭해서 기본(Fundamental) 대역의 공진 전력과 증폭할 때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모닉(Harmonic) 대역의 공진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증폭된 공진 전력을 서로 다른 공진 대역을 사용하여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본 공진기를 통해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1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고 하모닉 공진기를 통해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을 제2 대상 공진기로 전송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에서 다중 밴드의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공진 전력이 파워 증폭을 위한 비선형 소자를 통과할 때 발생되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에서 다중 밴드의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닉 대역의 공진 전력은,
    상기 기본 대역의 공진 전력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파워를 갖는
    무선전력 전송 장치에서 다중 밴드의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방법.
KR1020100082845A 2010-08-26 2010-08-26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718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45A KR101718826B1 (ko) 2010-08-26 2010-08-26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CN201180041327.8A CN103069687B (zh) 2010-08-26 2011-08-23 使用多个频带发送谐振功率的无线电力发送器以及方法
EP11820174.8A EP2609668B1 (en) 2010-08-26 2011-08-23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that transmits resonance power using multiple bands
JP2013525827A JP6097215B2 (ja) 2010-08-26 2011-08-23 無線電力送信装置及びそのマルチバンド共振電力送信方法
PCT/KR2011/006230 WO2012026747A2 (en) 2010-08-26 2011-08-23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that transmits resonance power using multiple bands
US13/218,897 US8987942B2 (en) 2010-08-26 2011-08-26 Wireless power transmitter and method that transmits resonance power using multiple band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45A KR101718826B1 (ko) 2010-08-26 2010-08-26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78A KR20120019578A (ko) 2012-03-07
KR101718826B1 true KR101718826B1 (ko) 2017-03-23

Family

ID=4569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45A KR101718826B1 (ko) 2010-08-26 2010-08-26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87942B2 (ko)
EP (1) EP2609668B1 (ko)
JP (1) JP6097215B2 (ko)
KR (1) KR101718826B1 (ko)
CN (1) CN103069687B (ko)
WO (1) WO20120267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5012A2 (ko) *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위한 공진기
US9536656B2 (en) * 2012-05-21 2017-01-03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of reduction of parasitic losses in a wireless power system
US20150244199A1 (en) * 2012-09-11 2015-08-27 Yulong Computer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Wireless charger and multi-terminal wireless charging method
US9768643B2 (en) 2012-11-02 2017-09-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apable of continuing power transmission while suppressing heatup of foreign objects
KR101492318B1 (ko) * 2013-02-20 2015-02-2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적도 증가와 간섭 저감을 위한, 메타재질 0차 공진형 자기장 분포를 갖는 소형 구간 결합형 루프 안테나와 그의 다중 배치 구조
KR102062212B1 (ko) * 2013-10-04 2020-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안테나 장치
US10116230B2 (en) 2013-12-30 2018-10-30 Eaton Capital Unlimited Company Methods, circuit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configuring DC output filter circuits
WO2015105812A2 (en) * 2014-01-07 2015-07-16 NuVolta Technologies Harmonic reduction apparatus for wireless power transfer systems
US10135305B2 (en) * 2014-06-10 2018-11-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ulti-mode wireless power transmitter
US9635222B2 (en) 2014-08-03 2017-04-25 PogoTec, Inc. Wearable camera systems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 eyewear camera
EP3175289A4 (en) 2014-08-03 2018-04-18 Pogotec, Inc. Wearable camera system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camera systems or other electronic devices to wearable articles
US9984815B2 (en) 2014-12-22 2018-05-29 Eaton Capital Unlimited Company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and power supplies including overlapping magnetic cores
US9628707B2 (en) 2014-12-23 2017-04-18 PogoTec, Inc. Wireless camera systems and methods
US10038324B2 (en) * 2015-01-06 2018-07-3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ethods, circuits and articles of manufacture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transfer responsive to controller circuit states
CN105322892B (zh) * 2015-05-26 2018-09-18 苏州能讯高能半导体有限公司 一种基于薄膜体声波谐振器谐波调谐放大器
WO2016201261A1 (en) 2015-06-10 2016-12-15 PogoTec, Inc. Eyewear with magnetic track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10481417B2 (en) 2015-06-10 2019-11-19 PogoTec, Inc. 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US10341787B2 (en) 2015-10-29 2019-07-02 PogoTec, Inc. Hearing aid adapted for wireless power reception
US11558538B2 (en) 2016-03-18 2023-01-17 Opkix, Inc. Portable camera system
CN106230054B (zh) * 2016-08-15 2019-02-05 镇江博联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发射端装置
WO2018089533A1 (en) 2016-11-08 2018-05-17 PogoTec, Inc. A smart case for electronic wearable device
CN108258815B (zh) * 2016-12-29 2022-07-22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系统及射频接收端
WO2020102237A1 (en) 2018-11-13 2020-05-22 Opkix, Inc. Wearable mounts for portable camera
US10637444B1 (en) * 2018-12-21 2020-04-28 Northrop Gruman Systems Corporation Near field RFID probe with tunn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078B2 (ja) 1999-12-09 2006-12-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給電システム
JP2010503368A (ja) * 2006-09-01 2010-01-28 パワーキャスト コーポレイション ハイブリッドパワー取り出しおよび方法
JP2010141966A (ja) * 2008-12-09 2010-06-24 Hitachi Ltd 非接触電力送信装置、非接触電力受信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1057A (ja) * 1993-04-26 1994-11-04 Nec Corp 無線電力送信装置
JP3761293B2 (ja) 1997-08-06 2006-03-29 Nec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レクテナ装置
JP4240748B2 (ja) 2000-04-25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無接点給電装置
JP2002152997A (ja) 2000-11-09 2002-05-24 Nippon Baruufu Kk 高周波形リモート電源供給装置
JP3906722B2 (ja) 2002-03-26 2007-04-18 松下電工株式会社 非接触給電システム
US7084605B2 (en) * 2003-10-29 2006-08-01 University Of Pittsburgh Energy harvesting circuit
US20080125060A1 (en) * 2006-07-05 2008-05-29 Via Technologies, Inc. Radio Frequency Transceiver
US20090152954A1 (en) * 2007-07-17 2009-06-18 Triet Tu Le RF energy harvesting circuit
JP4600454B2 (ja) 2007-09-26 2010-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送電制御装置、送電装置、無接点電力伝送システム、2次コイルの位置決め方法
KR100971748B1 (ko) * 2007-11-30 2010-07-22 정춘길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US8629650B2 (en) * 2008-05-13 2014-01-1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transfer using multiple transmit antennas
US8111042B2 (en) * 2008-08-05 2012-02-07 Broadcom Corporation Integrated wireless resonant power charging and communication channel
JP4911148B2 (ja) * 2008-09-02 2012-04-04 ソニー株式会社 非接触給電装置
US8532724B2 (en) * 2008-09-17 2013-09-10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ters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8682261B2 (en) * 2009-02-1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sharing for wirelessly powered devices
US9407327B2 (en) * 2009-02-13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power for chargeable and charging devices
US8547057B2 (en) * 2009-11-17 2013-10-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US9094054B2 (en) * 2009-11-30 2015-07-28 Broadcom Corporation IC controlled wireless power opera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including control channel communication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6078B2 (ja) 1999-12-09 2006-12-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給電システム
JP2010503368A (ja) * 2006-09-01 2010-01-28 パワーキャスト コーポレイション ハイブリッドパワー取り出しおよび方法
JP2010141966A (ja) * 2008-12-09 2010-06-24 Hitachi Ltd 非接触電力送信装置、非接触電力受信装置およ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97215B2 (ja) 2017-03-15
US20120049647A1 (en) 2012-03-01
CN103069687B (zh) 2016-08-24
JP2013536672A (ja) 2013-09-19
US8987942B2 (en) 2015-03-24
KR20120019578A (ko) 2012-03-07
EP2609668B1 (en) 2020-07-15
WO2012026747A2 (en) 2012-03-01
EP2609668A4 (en) 2017-05-10
CN103069687A (zh) 2013-04-24
WO2012026747A3 (en) 2012-05-31
EP2609668A2 (en)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826B1 (ko) 다중 대역으로 공진전력을 전송하는 무선전력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739283B1 (ko) 적응형 공진 전력 전송 장치
KR10143935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위한 공진기
KR101753607B1 (ko) 방사형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장치
KR101859191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726195B1 (ko) 공진 전력 전달 시스템에서 공진 임피던스 트래킹 장치 및 방법
KR101313662B1 (ko) 지연 고정 루프를 이용한 능동형 정류기, 능동형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KR101735558B1 (ko)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공진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730824B1 (ko) 무선 전력 트랜시버 및 무선 전력 시스템
KR101813131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공진 임피던스 및 공진 주파수의 제어 방법
JP5980773B2 (ja) 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共振帯域幅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782083B1 (ko) 공진 전력 전송을 이용한 지붕형 충전 장치
KR101829207B1 (ko) 마그네틱 필드의 세기가 강화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00525B1 (ko) 무선 전력을 이용한 인 밴드 데이터 통신 시스템
JP5689139B2 (ja) 近接フィールドフォーカシングを用いた無線電力送信装置
KR101358280B1 (ko)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한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809470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공진 주파수 트래킹 방법 및 장치
KR101817194B1 (ko)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1813129B1 (ko) 무선 전력 송수신 시스템
KR101366013B1 (ko) 고효율 정류기, 상기 정류기를 포함하는 무선전력 수신 장치
KR101314145B1 (ko)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의 전력 변환기 및 공진 전력 전송 장치
KR101847814B1 (ko) 공진 전력 전송 시스템, 공진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KR101952604B1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