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152A - 표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 표식 및 표시된 표면 영역을 바탕으로 한 식별/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 표식 및 표시된 표면 영역을 바탕으로 한 식별/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152A
KR20120016152A KR1020117031428A KR20117031428A KR20120016152A KR 20120016152 A KR20120016152 A KR 20120016152A KR 1020117031428 A KR1020117031428 A KR 1020117031428A KR 20117031428 A KR20117031428 A KR 20117031428A KR 20120016152 A KR20120016152 A KR 201200161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position marker
radiation
identifying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게리크
안드레아스 배커
토마스 비르스쩨인
랄프 임호이저
크리스티안 로트
발터 스페트
지몬 호프
Original Assignee
바이엘 테크놀로지 서비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테크놀로지 서비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바이엘 테크놀로지 서비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20016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1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46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the marking being sensed by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 G06K19/1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using markings of different kinds or more than one marking of the same kind in the same record carrier, e.g. one marking being sensed by optical and the other by magnetic means at least one kind of marking being used for authentication, e.g. of credit or identity cards
    • G06K19/18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 G06K7/1087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sensing of data fields affixed to objects or articles, e.g. coded labels randomly oriented data-fields, code-marks therefore, e.g. concentric circles-co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대상 표면의 지정된 영역을 뚜렷하게 식별함으로써 상기 영역이 표면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표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별 및/또는 인증 목적으로 표면을 식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용도, 및 바람직하게는 대상의 식별 및/또는 인증 목적인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 표식 및 표시된 표면 영역을 바탕으로 한 식별/인증 방법{POSITION MARKING FOR IDENTIFYING A SURFACE REGION AND METHOD FOR IDENTIFYING/AUTHENTICATING ON THE BASIS OF THE MARKED SURFACE REGION}
본 발명은 대상에 연결될 수 있으며, 대상 표면의 지정된 영역을 뚜렷하게 표시함으로써 상기 영역이 표면의 다른 영역으로부터 분명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 표식(position indicator)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식별 및/또는 인증 목적으로 표면을 표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용도, 및 바람직하게는 대상의 식별 및/또는 인증 목적인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적 방법에 의한 대상의 자동 인식에 대해 선행 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가격과 같은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계에 의해 상품을 식별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바코드가 제공되어 있는 상품 및/또는 포장에 대해서는 모두가 친숙하다.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바코드는 국제 표준인 ISO/IEC 15420에 정의되어 있는 EAN 8 코드이다. 그것은 다양한 폭을 가지는 막대 및 간격 형태인 8종 숫자의 서열을 코딩한다. 상기 막대는 일반적으로 백색의 지지체, 예를 들면 표시될 대상의 포장에, 또는 대상 자체에 흑색의 인쇄 잉크로 인쇄된다.
기술된 EAN 8 코드 이외에, 숫자뿐만 아니라 문자, 특정 캐릭터 및 제어 기호까지도 코딩하는 수많은 다른 바코드들이 존재한다. 바코드의 한 가지 발전은 2D 코드로써, 여기에서는 정보가 단지 1-차원적인 것이 아닌 2차원으로 광학 코딩된다. 상기 2D 코드의 하위군이 소위 매트릭스 코드이다.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것으로는 예를 들면 국제 표준 ISO/IEC 16022에 정의되어 있는 데이터 매트릭스 코드(Data Matrix Code)이다.
상기언급된 바코드, 2D 코드 및 매트릭스 코드와 같은 기계-해독가능 광학 코드들은 물론, OCR 텍스트 (OCR = 광학적 문자 인식) 또는 유사하게 광학적으로 기계-해독가능한 코드들은 하기의 내용에서 광학 코드라는 일반명으로 분류될 것이다.
광학 코드는 첫째로 단순하고도 극히 비용-효과적으로 제작 (인쇄)될 수 있으며, 두 번째로 광학적으로 검출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빠르고도 신뢰성 있게 해독될 수 있다. 따라서, 그것은 대상을 식별하는 데에 이상적으로 적합하다. 광학 코드는 대상을 추적하는 데에 (위치 추적 관리(track & trace)) 특히 적합하다. 이 경우, 대상에는 예컨대 고유 번호가 할당되는데, 그 결과 물류관리 회로(logistics chain) 상의 각 스테이션에서 대상이 식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물류관리 회로상 하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또 다른 것으로의 대상의 이동이 추적될 수 있다.
그러나, 광학 코드는 위조에 대한 보호기구를 제공하지는 않는데, 그것이 간단한 방식으로 복제 및 재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조로부터의 보안을 위하여, 근래 식별 카드, 지폐, 공산품 등에는 특별한 지식 및/또는 고도의 기술적 복잡성에 의해서만 위조될 수 있는 요소가 제공된다. 이와 같은 요소는 본원에서 보안 요소로 지칭된다. 보안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보호될 대상에 분리불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안 요소가 악용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대상으로부터 보안 요소를 분리하려는 시도는 바람직하게는 그의 파괴로 이어진다.
대상의 신뢰성이 1종 이상의 보안 요소의 존재를 바탕으로 확인될 수 있다. 대상의 신뢰성을 확인하는 방법은 본원에서 인증으로 지칭된다.
예컨대 워터마크(watermark), 특수 잉크, 기요셰 패턴(guilloche pattern), 마이크로스크립트(microscript) 및 홀로그램과 같은 광학적 보안 요소들이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다. 전적인 것은 아니지만 특히 문서 보호에 적합한 광학적 보안 요소에 대한 개관은 하기의 서적에 제공되어 있다: [Rudolf L. van Renesse , Optical Document Security, Third Edition , Artech House Boston / London , 2005 (pp. 63-259)].
대상 자체에 의해 제공되는 것들 이외에는 어떠한 다른 특징도 사용되지 않는 식별 및/또는 인증 방법도 존재한다.
WO2005/088533(A1)호는 대상이 그의 특징적인 표면 구조를 바탕으로 식별 및 인증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당 건에서, 상기 방법은 예를 들면 대상에 연결되어 있는 보안 요소와 같은 추가적인 수단 없이 운용된다. 상기 방법에서는, 대상의 표면에 레이저 광선의 초점을 맞추고, 표면을 따라 움직이면서 (스캐닝),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상이한 위치에서 상이한 각도로 상이한 범위까지 산란되는 광선을 검출한다. 검출되는 상기 산란 방사선은 다수의 상이한 재료들 특유의 것으로써, 매우 어렵게만 위조될 수 있는데, 그것이 대상 제조시의 무작위 발생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종이-유형의 대상은 제조되는 각 대상에 고유한 제조-결정적 섬유 구조를 가진다. 개별 대상에 관한 산란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데, 차후 시점에 대상을 인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와 같은 목적으로, 대상은 다시 측정되며, 산란 데이터가 저장된 참조 데이터와 비교된다.
WO2005/088533(A1)호의 방법에 사용되는 대상의 무작위적인 특징은 위조에 대한 매우 고도의 보안을 초래한다.
WO2005/088533(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은 최초 검출 단계 및 반복 검출 단계를 포함한다. 최초 검출에서는, 한정된 표면 영역의 특징적인 산란 방사선이 측정된다. 측정된 산란 방사선은 - 예를 들면 코드의 형태로 대상 자체에, 또는 데이터 세트로서 데이터베이스에 - 저장된다. 반복 검출에서는, 다시 특징적인 산란 방사선이 기록된 후, 대상을 식별하거나 또는 대상의 아이덴티티를 확인하기 위하여 저장된 산란 방사선의 1개 이상 데이터 세트와 비교된다.
대상을 식별 및 인증하는 데에 WO2005/088533(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반복 검출에서의 표면 영역이 최초 검출에서의 표면 영역과 동일하다는 것이 보증되어야 한다.
대상이 점점 더 커질수록, 검출을 위한 영역 선택 사항의 수는 증가한다. WO2005/088533(A1)호는 검출 영역을 뚜렷하게 한정하기 위하여 대상 상의 독특한 표시가 사용될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대상의 눈에 띄는 지점 또는 경계, 예컨대 종이 서류의 가장자리가 검출 영역의 위치를 한정 및 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서 그와 같이 눈에 띄는 지점, 경계 또는 표시는 함께 분류되어 위치 표식으로 지칭된다.
이상적으로는, 위치 표식은 검출 영역의 바로 근접한 곳에 위치된다. 위치 표식과 검출 영역이 너무 멀리 떨어져 이격되는 경우, 검출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진다. 기계 (예컨대 우주 여행 또는 군사 기술에서)에서 고등급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되며 위치 표식을 가지는 대상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위치 표식의 바로 근접한 곳의 표면 영역이 특징적인 산란 방사선을 검출하는 데에는 전혀 적합하지 않거나, 또는 완성된 기계에서는 가려지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할 경우, 검출 역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다.
둥근 가장자리와 모서리를 가지는 고품질 향수용의 플라콘(flacon)과 같이 뚜렷한 위치 표식을 가지지 않는 대상도 있다. 그와 같은 대상은 WO2005/088533(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서 배제되게 되거나, 또는 검출 영역이 최초 검출 영역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응하는 반복 검출의 가능성을 높게 달성하기 위하여, 최초 검출에서 표면의 대부분이 검출되어야 하게 된다.
인쇄형의 위치 표식을 가지는 종이-유형의 대상이 예컨대 물에 의한 손상의 결과로써 해당 위치 표식을 상실할 수 있다는 것 역시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종이-유형의 대상은 여전히 WO2005/088533(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에 접근할 수 있을 가능성이 크지만, 상실된 위치 표식이 식별 및/또는 인증 과정을 복잡하게 할 것이다. 종이의 가장자리가 위치 표식으로 사용되나 시간이 지나면서 가장자리가 닳아버린 종이-유형의 대상도 마찬가지이다.
검출되는 영역이 더 클수록, 기록되는 데이터의 양 역시 더 커진다. 그러나, 대상 자체 상에 광학 코드로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은 제한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비용이 상승하고, 검출 과정에서의 저장된 데이터 세트에의 온라인 접근의 경우에는 식별 및/또는 인증 속도가 감소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가능한 한 작은 검출 영역이 사용된다면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검출 역역이 더 작을수록 해당 위치의 정확한 결정은 더욱 어렵다.
WO2005/088533(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은 결론적으로 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매우 안전한 반-위조 방법을 나타내나, 그의 실제적인 사용에는 수많은 제한이 존재한다.
상기 방법을 위치 표식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잠재적인 위치 표식이 검출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되는 대상에도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방법을 쉽게 손상될 수 있는 위치 표식만이 존재하는 대상에도 사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방법이 또한 작은 검출 영역에 제한 없이, 그리고 검출 영역의 크기가 감소함에 따라 위치 결정이 복잡해지는 것 없이 사용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선행 기술로 볼 때, 그의 표면 또는 부피의 특성을 고려하면 원칙적으로는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바탕으로 한 식별 및/또는 인증에 적합한 대상도 그의 크기, 형상 및 특성에 관계없이 그와 같은 방법에 실제 접근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는 목적이 제기된다.
놀랍게도, 대상에 연결되며, 한정 방식(terminating manner)으로 대상의 표면 영역을 표시하는 지정된 영역을 가지는 위치 표식에 의해, 이와 같은 목적이 간단하고도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적어도 대상의 선택된 표면 영역을 한정 방식으로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대상 상에서의 위치지정(placement)을 위한 위치 표식이다.
표면 영역을 한정 방식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해당 표면 영역이 모든 다른 표면 영역으로부터 분명하게 구별가능하도록, 그리고 그것이 표시 표면 영역에 속하는지 아닌지에 대한 어떠한 의심이 존재하는 표면 영역이 없도록, 대상 표면의 영역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에 의해 강조됨으로써 다른 표면 영역에 대비하여 한정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표식은, 표시 영역에 의해,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될 예정인 대상 표면의 영역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이 1개를 초과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검출하는 것은 전자기 방사선을 사용하여 대상의 영역을 조사하고, 적합한 검출기에 의해 대상으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을 수용하여, 저장가능한 신호로 전환시키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기의 내용에서, 대상을 조사하는 데에 사용되는 방사선은 투입 신호로 지칭될 것이며, 대상으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은 유출 신호로 지칭될 것이다. 유출 방사선은 반사 및/또는 산란된 방사선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은 반사로 수행되는데, 다시 말하자면 투입 신호를 위한 공급원과 유출 신호를 위한 검출기가 대상에서 보았을 때 동일한 측에 위치된다. 유출 신호의 검출이 투과로 수행되는 것 역시 생각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투입 신호를 위한 공급원과 유출 신호를 위한 검출기가 대상에서 보았을 때 대상의 서로 다른 측에 위치되며, 투입 신호 및 유출 신호의 일부가 대상의 일부를 통과해야 한다.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검출하는 예는 하기에서 추가 논의될 것이다.
상기 위치 표식은 양성 정합(positive fit)으로 대상 표면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영역을 가진다. 대상의 표면 영역이 바람직하게는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을 위하여 평면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 역시 1개 이상의 평면 영역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표시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절제부(cut-out)의 형태이다. 따라서, 위치 표식은 대상 표면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시에 위치 표식과 대상 사이의 절제부 영역에 위치되는 대상의 표면 영역을 뚜렷한 한정적 방식으로 표시하는 절제부를 가지는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방사선으로 조사하였을 때 대상의 표시 표면 영역과 상이한 거동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상이 전자기 방사선으로 조사하였을 때 그것을 광범위한 각도로 산란시키는 종이-유형 대상인 경우라면, 위치 표식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정반사 방식으로 설계되거나, 또는 조사 투입되는 방사선이 완전히 또는 사실상 완전히 흡수되도록 구성된다. 이의 장점은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검출할 때 위치 표식 자체로부터 신호-대-노이즈 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방사선이 가능하다면 없거나 적게 방사된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은 투입 신호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층을 포함한다. 상기 층은 하기에서 투명 층으로 지칭될 것이다. 유출 신호가 반사로 측정되는 경우, 상기 투명 층은 유출 신호에 대해서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상기 투명 층은 표시 영역을 포함 또는 함유한다. 투명 층의 사용은 검출을 위한 표면 영역이 투명 층에 의해 먼지, 긁힘, 수분 등과 같은 환경적 영향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는 장점을 가진다. 표시 표면 영역은 투명 층에 의해 피복되나, 투명성으로 인하여,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에도 접근가능하게 유지된다.
위치 표식은 바람직하게는 대상 표면의 일부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위치 표식은 예를 들면 자가-접착성 라벨의 형태인데, 다시 말하자면 그것은 대상 표면의 일부와의 접촉시 위치 표식과 대상을 연결시키는 접착제 층을 가진다. 위치 표식과 대상 사이의 연결은 분리가능하거나 분리가능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다. 분리가능한 연결은 대상 또는 위치 표식 상에 눈에 보이는 이전 연결의 흔적을 남기지 않고 분리될 수 있는 연결이다. 비-분리가능 연결은 연결을 제거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질 경우, 대상 및/또는 위치 표식이 손상을 겪는 연결이다. 비-분리가능 연결이 힘에 의해 분리되었을 경우, 위치 표식 및/또는 대상에 명백한 시각적 흔적이 남게 되는데, 그것은 분리 시도를 표시해 준다.
위치 표식은 추가적인 특징들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위치 표식은 1개 이상의 광학 코드를 가진다. 상기 광학 코드는 예를 들면 대상의 아이덴티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그것은 숫자의 형태로 표시 표면 영역의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을 식별하는 과정을 상당히 신속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의의 개별 경우에서 대상이 무엇인지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라면, 방사선 패턴이 해당 대상의 것과 가장 밀접하게 부합하는 대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대상의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대상의 모든 방사선 패턴과 비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방사선 패턴의 수 n이 존재하는 경우, 소위 1:n 비교). 대상의 아이덴티티가 광학 코드에 의해 미리 확인될 수 있는 경우라면, 해당 대상의 현재 검출된 방사선 패턴과의 소위 1:1 비교로써 그의 진위를 확인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1:1 비교는 n>>1로 주어지는 방사선 패턴의 수 n을 사용한 1:n 비교에 비해 상당히 적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은 어떠한 원하는 형상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자면 그것은 원형, 타원형, 계란형 또는 n각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0 mm2 내지 10,000 mm2 사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은 한정 방식으로 표면 영역을 표시하는 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대상은 상기 위치 표식의 한정 방식으로 대상의 표면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용도이기도 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은 분리가능하거나 분리가능하지 않게 대상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에서, 위치 표식은 비-분리가능 방식으로 대상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위치 표식은 바람직하게는 동시에 보안 요소로서 작용한다. 대상으로부터 위치 표식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게 되면, 위치 표식은 쓸모없게 된다. 위조에 대한 보안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위치 표식은 워터마크, 특수 잉크, 기요셰 패턴, 마이크로스크립트 및/또는 홀로그램과 같은 추가적인 보안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특징들 및 그의 조합이 위치 표식과 대상 사이의 연결을 비-분리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자면, 위치 표식 내에 분리 층을 도입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대상에 접착성으로 결합하기 위한 접착제 층과 상기 분리 층은 분리 층을 함께 유지하려는 힘이 접착제 층을 통하여 위치 표식과 대상을 함께 유지하려는 힘에 비해 더 약하게 되도록 서로 조화된다. 따라서, 대상으로부터 위치 표식을 제거하려고 시도하게 되면, 접착제 층이 대상으로부터 분리되기 보다는 분리 층이 떨어져 나갈 가능성이 더 크다. 따라서, 분리 층은 예정된 파손점을 형성한다.
분리가 시도되었음을 나타내는 또 다른 특징은 예를 들면 결정된 온도 한계를 초과하거나 및/또는 이르지 못할 경우 비가역적인 색상 변화를 초래하는 물질이다. 접착제 층은 제한된 온도 범위 (유효 접착 범위) 내에서만 그의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온에서는, 접착제가 취성이 됨으로써 깨지기 쉬워질 수 있고; 고온에서는, 접착제가 연화될 수 있다. 이는 잠재적인 위조자가 접착제 층이 유효한 범위 위 또는 아래로의 온도 변화를 이용하여 대상으로부터의 위치 표식의 분리를 수행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요소 경우에서의 그와 같은 시도는 보안 요소의 비가역적인 가시적 변경으로 이어지고, 이는 공격 시도를 표시해 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가역적 색상 변화는 유효 접착 범위 상위 온도 한계의 적어도 5 켈빈 아래, 및/또는 유효 접착 범위 하위 온도 한계의 적어도 5 켈빈 위에서 발생한다.
스탬핑 부분의 도입 역시 분리가 시도될 때 위치 표식의 분할을 초래함으로써, 대상으로부터의 위치 표식의 가역적인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분리가 시도될 때 위치 표식에 작용하는 힘은 스탬핑된 부분에 의해 정교한 방식으로 전환되어 그의 분할을 초래한다. 상기 분할은 바람직하게는 비가역적인 것으로써, 예를 들면 위치 표식의 모든 층으로 안내되지 않는 스탬핑 부분에 의해, 분할시에 스탬핑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층이 분할의 결과로서 비가역적이고 인식가능한 분리 (파괴)를 겪게 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위치 표식은 바람직하게는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되도록 예정된 표면의 영역을 뚜렷하게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대상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기 위하여 검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대상은 투입 신호를 사용한 조사시에 특징적인 유출 신호가 대상으로부터 방사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유출 신호는 대상의 뚜렷한 검출 (식별) 및/또는 대상의 아이덴티티 모니터링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상은 바람직하게는 대상의 식별 및/또는 인증을 목적으로 하며,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 방법이다:
(A) 대상의 표면 영역을 뚜렷한 한정적 방식으로 표시하는 위치 표식을 대상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B) 전자기 방사선을 사용하여 표시된 표면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
(C) 대상으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을 검출하는 단계,
(D) 검출된 방사선을 바탕으로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
단계 (a)에서의 위치지정은 위치 표식 및 대상의 실시양태에 따라, 물품 연결용으로 업계 숙련자에게 알려져 있는 기술에 의해, 예를 들면 접착성 결합, 라미네이트화, 용접, 납땜 또는 기타 기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B)에서의 조사는 대상의 특성에 따라, 조사시 대상이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생성시키는 파장 범위의 다색 또는 단색 방사선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방사선 프로필의 형태 (점, 선 또는 면 조사) 역시 대상, 및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특성에 맞추어진다.
대상의 식별 및/또는 인증에 WO2005/088533(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한 대상의 무작위 표면 특성이 사용되는 경우, 표시된 표면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선형 광선 프로필을 가지는 단색 방사선에 의해 스캐닝된다. 대상이 예를 들면 WO2009/036878(A1)호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금속 표시 판을 가지는 경우에는, 그의 무작위적인 분포 및/또는 배향이 대상의 식별 및/또는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대상은 금속 표시 판이 반사성이 되는 파장 범위의 다색 전자기 방사선에 의해 조사될 수 있다. 조사는 바람직하게는 선형 광선 프로필에 의한 스캔의 형태로 수행된다. 세부사항은 PCT/EP2009/000450호 출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대상이 예를 들면 US2007/0054120A1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은 무작위 분포 발광성 나노입자를 가지는 경우에는, 대상에서의 그의 분포가 식별 및/또는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대상은 여기 파장을 가지는 방사선에 의해 면 방식으로 조사될 수 있다.
단계 (C)에서의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 및 단계 (D)에서의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추출 및 저장은 대상 및 대상으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의 특성의 함수로서 이루어진다. 본원에서는 매 경우마다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각 방법을 참조한다 (예컨대 WO2009/036878(A1)호, PCT/EP2009/000450호, US2007/0054120A1호를 상응하여 참조하라).
통상적으로, 입사 전자기 방사선을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검출기가 방사선을 검출하는 데에 사용된다. 광검출기의 예로는 광다이오드, 광트랜지스터 및 CCD 센서 (CCD = 전하-결합 소자(charge-coupled device))가 있다.
다음에, 전기 신호는 경우에 따라 아날로그-대-디지털 전환 후에 디지털 파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광학 코드의 형태로 대상 또는 위치 표식 상에 인쇄될 수 있다.
차후의 대상의 식별 및/또는 인증은 적어도 하기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전자기 방사선을 사용하여 표시된 표면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
(b) 검출된 방사선을 바탕으로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확인하는 단계,
(c) 상기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초기 시점에 검출 및 저장되었던 1개 이상의 방사선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
(d) 단계 (c)에서의 비교 결과의 함수로서 대상의 아이덴티티/신뢰성에 관한 메시지를 유출하는 단계.
대상의 상기 식별 및/또는 인증은 바람직하게는 기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에 단계 (B), (C) 및 (D)에 이미 기재된 것들이 단계 (a) 및 (b)에 적용된다.
단계 (c)에서의 비교에서는,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이 일반적으로 초기 시점에 확인되었던 방사선 패턴의 100 %에 해당하지 않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 이유는 예를 들면 대상의 표면이 노화 과정에 적용되고,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이 환경적 영향의 결과로서 변화된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역치 S가 그에 따라 정의된다.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과 초기 시점에 확인되었던 방사선 패턴 사이의 일치도가 예컨대 S 이상인 경우, 일치성이 주어진 것으로 간주되며; 일치도가 S 미만인 경우, 비교용 데이터 세트는 상이한 것으로 간주된다.
방사선 패턴은 통상적으로 기계-처리가능 형태로, 즉 예를 들면 숫자 표로서 제공된다. 데이터 세트는 완전한 숫자 표를 바탕으로, 또는 숫자 표 유래의 고유한 특징을 바탕으로 비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는, 예를 들면 공지의 방법인 패턴 매칭(pattern matching)이 사용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데이터 세트들 간의 유사성에 대한 탐색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문헌 [Image Analysis and Processing: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ICIAP '95, San Remo, Italy, September 13-15, 1995. Proceedings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WO2005/088533(A1)호, WO2006/016114(A1)호, 문헌 [C. Demant, B. Streicher-Abel, P. Waszkewitz, Industrielle Bildverarbeitung, Springer-Verlag, 1998, pages 133 ff], [J. Rosenbaum, Barcode, Verlag Technik Berlin, 2000, pages 84 ff], US 7333641 B2호, DE10260642 A1호, DE10260638 A1호, EP1435586B1호를 참조하라).
단계 (d)에서는, 단계 (c)에서의 비교 결과의 함수로서 대상의 아이덴티티 및/또는 신뢰성에 관한 메시지가 유출된다.
단계 (d)에서는, 예를 들면 대상이 인증된 대상인지 또는 위조품인지에 관한 통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는 조명 신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단계 (c)에서 비교된 데이터 세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그것이 위조품이 아니라는 것이 분명할 경우에는, 예컨대 녹색 조명이 번쩍이며; 단계 (c)에서 비교된 데이터 세트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 그것이 위조품이라는 것이 분명할 경우에는, 예컨대 적색의 조명이 번쩍인다. 대안으로서, 인간의 감각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음향 신호 또는 또 다른 통지 역시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모니터 등을 통하여 일치도가 유출될 수 있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이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나, 거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 (b), (c) 및 (d)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모든 실시양태는 평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1(a)는 표시 영역 (2)을 나타내는 절제부를 포함하는 위치 표식 (1)을 보여준다. 대상 상에 위치 표식을 위치시킴으로써, 표시 영역 (2) 내에 위치되는 대상의 표면 영역이 뚜렷한 한정적 방식으로 강조 및 표시된다.
도 1(b)는 표시 영역 (2)으로서 투명한 층을 가지는 위치 표식 (1)을 보여준다. 대상 상에 위치 표식을 위치시킴으로써, 표시 영역 (2) 아래에 위치되는 대상의 표면 영역이 뚜렷한 한정적 방식으로 강조 및 표시된다. 동시에, 그것은 유해한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1(a) 및 1(b)에서의 위치 표식의 표면 (3)은 바람직하게는 전자기 방사선을 사용한 조사시 그것이 신호를 유출하지 않거나, 또는 위치 표식이 표시하는 대상의 표면 영역과 가능한 한 상이한 신호를 유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1(c)는 투명한 층 복합재로서 설계된 위치 표식 (1)을 보여준다. 인쇄를 통하여 실현될 수 있는 선 표시가 층 복합재의 외부 테두리를 표시하고 있다. 대상 상에 위치 표식을 위치시킴으로써, 층 복합재 아래 및 표시 (4) 내에 위치되는 대상의 표면 영역이 뚜렷한 한정적 방식으로 강조 및 표시된다. 동시에, 그것은 유해한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1(d)의 실시예에서는, 표시가 층 복합재의 외부 영역에 위치되지 않고, 대신 위치 표식 내의 한정된 영역을 표시한다. 예를 들면, 접착제 층이 제공된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의 필름이 상기 층 복합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필름은 예를 들면 테사(tesa) SE 사에 의해 테사(Tesa)?-필름이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되고 있다.
도 2(a) 및 (b)는 자가-접착성 라벨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표식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a)는 상기 위치 표식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점 A와 A' 사이의 점선에 따른 그의 단면을 보여준다.
상기 위치 표식은 하기 3종 유형의 스탬핑된 부분을 가진다: 위치 표식 가장자리 영역의 방사상으로 스탬핑된 보안 부분 (20), 위치 표식 전체에 걸쳐 연장된 파-형 스탬핑 보안 부분 (21), 및 가장자리 영역의 스탬핑된 외부 윤곽 부분 (22).
상기 위치 표식은 또한 대상의 아이덴티티와 관련된 세부사항이 저장될 수 있는 광학 코드를 가진다.
상기 위치 표식은 층 복합재의 형태이다. 층 순서는 최저 층으로부터 시작하여 하기와 같다: 접착제 보호 층 (10), 접착제 층 (11), 섬유질 재료를 포함하는 층 (12), 인쇄 층 (13) 및 보호 층 (14). 본 경우에서, 상기 섬유질 재료 층 (12)은 분리 시도시 예정된 파손점을 제공하는 기능 (분리 층)뿐만 아니라, 인쇄 잉크를 수용하는 기능 (인쇄 층)도 수행한다.
도 2(b)에 나타낸 층 순서는 예를 들자면 하기와 같이 실현될 수 있다: 저부 영역은 3M 사의 특수 종이 7110 (3 M 7110 리소지(litho paper), 백색)으로 형성된다. 상기 특수 종이는 이미 접착제 보호 층, 접착제 층 및 섬유질 재료 층의 층 순서를 포함하는 복합재 재료이다. 제조자의 정보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 층은 기재 (예컨대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와 관련된 접착력이 섬유질 재료 층의 강도보다 더 큰, 강하게 접착하는 아크릴레이트 접착제이다. 따라서, 상기 섬유질 재료 층은 분리 시도시에 찢어지는 분리 층으로 작용한다.
상기 특수 종이 7110은 -40 ℃ 내지 175 ℃ 범위 내에서 온도-저항성이다. 매트 표면은 인쇄를 가능케 하며, 그에 따라 광학 코드 (및 경우에 따라 추가적인 인쇄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인쇄 잉크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수 종이 7110 상의 프라이머 (예컨대 휴렛 패커드(Hewlett Packard) 사의 인디고 토파즈 10 솔루션(Indigo Topaz 10 Solution) MPS-2056-42)가 사용될 수 있다. 색상 변화 층 및 인쇄 층은 공지의 인쇄 기술 (예컨대 디지털 인쇄)에 의해 프라이머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략 120 ℃의 온도가 초과되는 경우에 투명으로부터 흑색으로의 색상의 비가역적인 변화를 초래하는 색상 변화 층으로는, 제조자 플렉소 & 그라비어 잉크(Flexo & Gravure Ink) 사의 서마플랙(ThermaFlag) W/B가 적합하다. 상기 변화 잉크는 바람직하게는 코드 영역에만 인쇄된다. 상기 광학 코드는 공지의 인쇄 기술 (예컨대 디지털 인쇄)에 의해 변화 잉크 상에 인쇄된다. 복합재의 마감은 보호 층, 예컨대 UPM 라플라탁(Raflatac) 사의 라미네이트 PET 오버람(Overlam) RP35로 형성되는데, 이것은 공지의 라미네이트화 방법에 의해 적용될 수 있다.
1 위치 표식
2 표시 영역
3 위치 표식의 표면
4 선 표시
10 접착제 보호 층
11 접착제 층
12 섬유질 재료 층
13 인쇄 층
14 보호 층
20 방사상 스탬핑된 보안 부분
21 파-형 스탬핑된 보안 부분
22 스탬핑된 외부 윤곽 부분
60 광학 코드

Claims (11)

  1. 적어도 대상 표면의 일부와 양성 정합으로 접촉될 수 있는 일 영역, 및 대상의 선택된 표면 영역을 한정 방식으로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대상 상에서의 위치지정을 위한 위치 표식.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영역이 절제부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표식.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표시 영역이 적어도 일부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투명 층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표식.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위치 표식을 대상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표식.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가-접착성 라벨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표식.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영역 이외에는, 반사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표식.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영역 이외에는, 주로 가시광 범위의 전자기 방사선을 흡수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표식.
  8. 대상의 표면 영역을 한정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위치 표식의 용도.
  9. 제8항에 있어서, 위치 표식이 대상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0. 제8항에 있어서, 위치 표식이 대상에 분리가능하지 않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1. 적어도
    (A) 대상의 표면 영역을 뚜렷한 한정적 방식으로 표시하는 위치 표식을 대상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B) 전자기 방사선을 사용하여 표시된 표면 영역을 조사하는 단계,
    (C) 대상으로부터 방사되는 방사선을 검출하는 단계,
    (D) 검출된 방사선을 바탕으로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을 확인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징적인 방사선 패턴의 검출 방법.
KR1020117031428A 2009-05-30 2010-05-18 표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 표식 및 표시된 표면 영역을 바탕으로 한 식별/인증 방법 KR201200161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9023536A DE102009023536A1 (de) 2009-05-30 2009-05-30 Positionsgeber
DE102009023536.1 2009-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152A true KR20120016152A (ko) 2012-02-22

Family

ID=42310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1428A KR20120016152A (ko) 2009-05-30 2010-05-18 표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 표식 및 표시된 표면 영역을 바탕으로 한 식별/인증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20162666A1 (ko)
EP (1) EP2435994A1 (ko)
JP (1) JP2012529062A (ko)
KR (1) KR20120016152A (ko)
CN (1) CN102449669A (ko)
BR (1) BRPI1011550A2 (ko)
DE (2) DE102009023536A1 (ko)
RU (1) RU2011153768A (ko)
WO (1) WO2010139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15014A1 (de) 2010-04-14 2011-10-20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Optischer Scanner
DE102010020810A1 (de) 2010-05-18 2011-11-24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Identifizierung von Gegenständen
DE102010021380A1 (de) 2010-05-25 2011-12-01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Identifizierung von Gegenständen
EP2682912A4 (en) 2011-03-04 2014-08-27 Nec Corp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DISTRIBUTION MANAGEMENT PROCESS AND DEVICE, LABEL AND PROGRAM THEREFOR
JP2013190478A (ja) * 2012-03-12 2013-09-26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媒体、粘着ラベル、転写箔及びラベル付き物品
CN106271882B (zh) * 2016-08-29 2019-01-04 中航动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涡轮盘二维码标记加工时的对针及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761B1 (en) * 1996-12-09 2001-03-13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Validation method for electronic cash cards and digital identity cards utilizing optical data storage
US5932865A (en) * 1996-12-09 1999-08-03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Anti-counterfeit validation method for electronic cash cards employing an optical memory stripe
DE19907697A1 (de) * 1999-02-23 2000-08-24 Giesecke & Devrient Gmbh Wertdokument
US6145742A (en) * 1999-09-03 2000-11-14 Drexler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aser writing microscopic data spots on cards and labels readable with a CCD array
CA2470094C (en) * 2001-12-18 2007-12-04 Digimarc Id Systems, Llc Multiple image security features for identification docume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DE10226114A1 (de) * 2001-12-21 2003-07-03 Giesecke & Devrient Gmbh Sicherheitselement für Sicherheitspapiere und Wertdokumente
JP4043822B2 (ja) * 2002-03-28 2008-0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偽造防止用紙
JP4030830B2 (ja) 2002-08-13 2008-01-09 日本電気株式会社 縞模様画像鑑定装置および縞模様画像鑑定方法
DE10260638B4 (de) 2002-12-23 2005-08-11 Siemens Ag Verfahren zur Bestimmung einer Anzahl von übereinstimmenden Minutien zweier Fingerprints
DE10260642B4 (de) 2002-12-23 2007-12-20 Siemens Ag Verfahren zur Erstellung einer Referenz für Fingerprints und zum Vergleich von Fingerprints
JP3719435B2 (ja) 2002-12-27 2005-1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指紋照合方法及び指紋照合装置
ES2283674T3 (es) 2003-04-30 2007-11-01 Centrum Fur Angewandte Nanotechnologie (Can) Gmbh Nanoparticulas de cucleos/recubrimientos luminiscentes.
JP4337422B2 (ja) * 2003-06-20 2009-09-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物品登録装置、物品確認装置、及び物品登録確認装置
US20050072849A1 (en) * 2003-09-03 2005-04-07 Jones Robert L. Identification document with optical memory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DE10342252A1 (de) * 2003-09-11 2005-04-07 Giesecke & Devrient Gmbh Foliensicherheitselement
JP2005193584A (ja) * 2004-01-09 2005-07-21 Toppan Printing Co Ltd 偽造防止情報担体およびその認証方法
SG184722A1 (en) 2004-03-12 2012-10-30 Ingenia Holdings Ltd Authenticity verification methods, products and apparatuses
JP4555017B2 (ja) * 2004-07-29 2010-09-29 聚和国際股▲分▼有限公司 メモ帳
GB2417592B (en) 2004-08-13 2006-07-26 Ingenia Technology Ltd Authenticity verification of articles
DE102004059557A1 (de) * 2004-12-10 2006-06-22 Hueck Folien Gmbh & Co. Kg Etikett, insbesondere für eine Getränkeflasche
FR2890665B1 (fr) * 2005-09-15 2017-11-03 Arjowiggins Article securise, notamment un document de securite et/ou de valeur.
GB2440386A (en) * 2006-06-12 2008-01-30 Ingenia Technology Ltd Scanner authentication
DE102007044146A1 (de) 2007-09-12 2009-03-19 Bayer Materialscience Ag Thermoplast mit Metallkennzeichnungsplättchen
KR20100127748A (ko) 2008-02-05 2010-12-06 바이엘 테크놀로지 서비시즈 게엠베하 보안 소자
DE102008016435A1 (de) * 2008-03-31 2009-10-15 Siemens Aktiengesellschaft Haftetikett und Verfahren zum Kennzeichnen und zum Authentifizieren eines Gegenstandes mit Haftetiket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9669A (zh) 2012-05-09
BRPI1011550A2 (pt) 2016-03-29
RU2011153768A (ru) 2013-07-10
JP2012529062A (ja) 2012-11-15
EP2435994A1 (de) 2012-04-04
WO2010139396A1 (de) 2010-12-09
DE102009023536A1 (de) 2010-12-02
US20120162666A1 (en) 2012-06-28
DE202010017843U1 (de)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18253A1 (en) Security element
TWI448991B (zh) 標記與識別或鑑定一項目的方法
KR102488710B1 (ko) 적층체, 신분증명서, 및, 신분증명서의 검증 방법
EP2002385B1 (fr) Procede de lecture d'au moins un code a barres et systeme de lecture d'un code a barres
CN107486627B (zh) 形成识别标记的方法以及通过该方法形成的识别标记
US20130300101A1 (en) Laminated Documents and Cards Including Embedded Security Features
KR20120016152A (ko) 표면 영역을 식별하기 위한 위치 표식 및 표시된 표면 영역을 바탕으로 한 식별/인증 방법
US824592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authenticating objects
KR101586885B1 (ko) 홀로그램 호일 및 인쇄된 기계판독가능 표식이 구비된 보안 문서
JP2017531847A (ja) 光学活性物品及びこの光学活性物品が使用され得るシステム
CN114898508A (zh) 检查系统及游艺用代用货币
GB2527508A (en) Object-assisted identification label
RU2493968C2 (ru) Элемент безопасности
JP2008080610A (ja) 機械読み取り可能な情報印刷物
JP2009172811A (ja) 印刷物、該印刷物の品質管理方法及び真偽判別方法
WO2013143009A1 (en) Security document having an ir, magnetic or fluorescent see-through motif
JP2010173217A (ja) 機械読み取り可能な情報印刷物
JP2007136838A (ja) 認証用印刷物およびその認証方法
US12003967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ing microtransponders
US20220250405A1 (en) Security insert with tactile varnish arrangement for an identity docu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ecurity insert
RU2523174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информации на материальном (бумажном) носителе
JP2014172309A (ja) 識別媒体およびその識別方法
JP2010198543A (ja) 印刷物の情報読み取り方法
JPH01278397A (ja) カード、及び前記カードの種類を識別する方法
JP2015223766A (ja) 暗証情報印刷物及びその判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