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004A - 차량용 휴대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휴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004A
KR20120016004A KR1020110075789A KR20110075789A KR20120016004A KR 20120016004 A KR20120016004 A KR 20120016004A KR 1020110075789 A KR1020110075789 A KR 1020110075789A KR 20110075789 A KR20110075789 A KR 20110075789A KR 20120016004 A KR20120016004 A KR 20120016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ubstrate
fixing piece
vehicl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102B1 (ko
Inventor
도시아끼 사이또오
미쯔루 나까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2001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용 휴대기에 있어서, 부품 개수 및 가공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이다.
휴대기(101)를 구성하는 얕은 용기 형상의 케이스 본체(1)에, 기판(6)의 전자 부품(3)을 수용하는 제1 공간부(12)와, 기판 본체(2)를 수용하는 제2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공간부(12)와 제2 공간부(13)의 제1 단차면(18)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편(21)의 선단부를 열 코킹함으로써, 기판 본체(2)의 이면[전자 부품(3)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면)의 외주연부를 압박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휴대기 {PORTABLE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지 가능하고, 대상물(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과의 사이에서 전파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차량용 휴대기(이하, 단순히 「휴대기」라고 함)에 관한 것이다. 또한, 휴대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함으로써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 및/또는 로크하는 시스템은 「스마트 엔트리 시스템」, 「키레스 엔트리 시스템」 등으로 칭해지고 있다.
차량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어서, 전파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의 도어의 언로크 및/또는 로크를 행하는 시스템이 공지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예를 들어, 운전자)는 소형의 휴대기를 소지하고, 무선 통신에 의한 그 휴대기와의 ID 코드의 대조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의 언로크 또는 로크가 행해진다. 본 출원인도 휴대기에 대한 출원을 행하고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휴대기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것이므로, 경량이고, 또한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종류의 휴대기는 일본 전파법의 규정에 의해, 기판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없는 하우징으로 덮는 것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도 10에 도시되는 종래의 휴대기(100)에서는, 기판(51)의 상측의 면(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는 면)에 있어서 스위치부를 제외한 부분을 소자 보호 커버(52)로 덮고, 또한 하측의 면(전지 홀더가 설치되어 있는 면)을 전지 홀더 형성 커버(53)로 덮고, 소자 보호 커버(52)로부터 연장 설치된 고정편(54)을 열 코킹함으로써 기판(51)과 커버(52, 53)를 일체화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태(일체화함으로써 용이하게 개폐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기판 어셈블리(55)를 상하의 케이스체(56, 57)에 수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부품 개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가공 공정수도 많아져, 비용 상승의 요인으로 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9-21573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차량용 휴대기에 있어서 부품 개수 및 가공 공정수를 삭감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측의 통신 대상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차량을 사용할 때에 필요한, 이용자가 소지하고 휴대하기 위한 차량용 휴대기이며,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부품이 표면에 실장된 기판과,
그 기판을 내부에 유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그 케이스는 상기 기판을 직접 내포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조립 부착된, 제1 및 제2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장착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상기 장착부의 주연 부위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고 그 기판의 외주연부로 변형된 고정편에 의해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차량용 휴대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전자 부품이 실장된 기판이 케이스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케이스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장착부에 장착된다. 그리고, 장착부의 주연으로부터 돌출된 고정편이, 기판의 외주연부에서 변형됨으로써, 케이스부와 기판이 일체화된다. 이에 의해, 기판이 케이스부에,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는 상태에서 일체로 장착된다.
종래의 휴대기에서는, 전파법의 규정을 준수하기 위해, 케이스부와는 별도로 기판을 덮는 커버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부품 개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가공 공정수도 많이 필요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부에 직접적으로 기판을 장착하고, 또한 케이스부에 설치된 고정편으로 케이스부와 기판을 일체화하고 있다. 이 결과, 부품 개수가 삭감되고, 또한 가공 공정수도 적어진다고 하는 작용 효과가 발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는 수지제이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장착부가 형성된 한쪽의 케이스부는 얕은 용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기판은 얕은 용기 형상을 이루는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저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의 분리 시에 상기 기판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이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기판의 이면의 외주연부로 변형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일체화된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에 대해, 다른 쪽의 케이스부가 상기 기판의 이면을 덮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판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는 양쪽 모두 얕은 용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각각의 개구부에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부의 장착부는 상기 기판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기판의 기판 본체가 배치되는 제2 공간부가 단차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기판은 그 기판 본체의 외주연부가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의 단차면에 접촉함으로써 위치 결정 상태로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스부의 장착부에 기판이 설치될 때, 기판의 기판 본체가 제1 및 제2 공간부의 단차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기판이 위치 결정되므로, 그 설치 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케이스부의 단차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상기 기판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기판의 이면을 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선단부가 열 코킹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기판을 일체화해도 좋다.
즉, 고정편의 선단부를 변형시키기 위해, 열 코킹을 할 수 있다. 이 열 코킹은 고정편의 선단부에 가열한 지그를 누름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편의 선단부를 변형시키기 위해, 열 코킹 이외의 수단(예를 들어, 프레스 성형)을 행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고정편의 외주면과 상기 단차면의 접속부에는 상기 고정편의 외주면을 상기 기판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태로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홈부의 저면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홈부의 깊이분만큼 고정편의 변형량이 많아져, 케이스부와 기판을 확실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편은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주연에 있어서의 전체 둘레 부분에 걸쳐서 돌출되어 있어도, 주연의 복수 부위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의 결합면에 고무 링이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 및 제2 케이스부를 결합했을 때에, 고무 링에 의해 수밀이 도모되어, 생활 방수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휴대기(101)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a는 휴대기(101)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휴대기(10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휴대기(101)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케이스 본체(1)의 저면도.
도 5a와 도 5b는 고정편(21)을 절곡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복수의 고정편(21)이 설치된 케이스 본체(1)의 저면도.
도 7은 제2 실시예의 휴대기(102)의 사시도.
도 8a는 제2 실시예의 휴대기(102)의 단면도이고, 도 8b는 작용 설명도.
도 9는 휴대기(101)를 휴대 전화기(36)의 스트랩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a는 종래의 휴대기(100)의 사시도, 도 10b는 휴대기(100)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기판 어셈블리(55)를 상하의 케이스체(56, 57)에 조립 부착하는 상태의 작용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휴대기(101)의 분해 상태의 사시도, 도 2a는 휴대기(101)의 단면도, 도 2b는 휴대기(101)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휴대기(101)의 분해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케이스 본체(1)의 저면도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휴대기(1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의 휴대기(101)는 상면이 폐색되고, 하면이 개방되는 대략 짧은 원통 형상(얕은 용기 형상)이고, 내부에 공간부(후술)가 형성된 케이스 본체(1)(제1 케이스부)와, 기판 본체(2)의 일측의 면(상면)에 전자 부품(3)이 실장되고, 타측의 면(하면)에, 휴대기(101)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4)를 수용하는 전지 수용부(5)가 설치된 기판(6)과, 케이스 본체(1)의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7)(제2 케이스부)와, 케이스 본체(1)와 덮개(7)의 접합부에 개재 장착되고, 휴대기(101)를 수밀 상태로 유지하는 고무 링(8)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기(101)의 경우, 전지 수용부(5)가 기판(6)에 설치되어 있지만, 이를 덮개(7)에 설치해도 좋다. 이하,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에, 케이스 본체(1)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 본체(1)는 수지재(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다. 케이스 본체(1)는 하면이 개방된 짧은 원통 형상이고, 의장성을 높이기 위해 그 주위벽부(9)의 외주면은 만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1)의 내측부에는 천장면(11)의 근방에 형성되어, 기판(6)의 전자 부품(3)을 수용하기 위한 제1 공간부(12)와, 원판 형상의 기판(6)의 기판 본체(2)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공간부(13)와, 개구의 근방에 형성되어, 덮개(7)를 끼워 맞추기 위한 제3 공간부(14)가, 단차 상태(그들의 단면적이 순차적으로 커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공간부(12)에 있어서, 천장면(11)과 제1 공간부(12)의 내주면(15)은 축선(16)에 대해 기울어지는[하방을 향할수록, 제1 공간부(2)의 단면적이 커짐] 접속면(1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1 공간부(12)와 제2 공간부(13)의 접합부에는 제1 단차면(1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공간부(13)와 제3 공간부(14)의 접합부에는 제2 단차면(19)이 설치되어 있다. 제2 공간부(13)의 내주연부[제1 공간부(12)의 내주면(15)과의 접합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박육[두께(t)]의 고정편(21)이, 축선(16)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단차면(19)과 고정편(21)의 외주면(21b)의 접합부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폭(W)의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홈부(23)의 폭(W)은 고정편(21)의 두께(t)보다도 조금 작다. 여기서, 고정편(21)에 있어서의 제2 단차면(19)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H1로 기재하고, 홈부(23)에 있어서의 제2 단차면(19)으로부터의 깊이를 H2로 기재한다.
케이스 본체(1)에 기판(6)이 수용될 때, 기판(6)은 전자 부품(3)의 측을 먼저 케이스 본체(1)의 개구에 넣게 된다. 그리고, 기판(6)의 기판 본체(2)의 크기는 케이스 본체(1)의 제1 공간부(12)의 단면적보다도 크다. 이에 의해, 기판(6)의 전자 부품(3)은 케이스 본체(1)의 제1 공간부(12)에 배치되고, 기판(6)의 기판 본체(2)는 케이스 본체(1)의 제1 단차면(18)에 눌려 케이스 본체(1)의 제2 공간부(13)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고정편(21)의 선단부(하단부)는 기판(6)의 하면보다도 하방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정편(21)의 돌출 길이(H1)는 기판 본체(2)의 두께(T)보다도 크다. 이 상태에서, 고정편(21)이 내측[축선(16)의 측]을 향해 절곡됨(후술)으로써, 고정편(21)이 기판 본체(2)의 하면의 주연부를 압박한다. 기판(6)은 기판 본체(2)가 제1 단차면(18)과 고정편(21)으로 끼움 지지됨으로써, 축 방향 및 반경 방향으로 이동 불능으로 유지된다.
케이스 본체(1)에 있어서의 제3 공간부(14)의 내주면(24)의 하부에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이고, 내주면(24)으로부터 반경 방향을 따라서[즉, 축선(16)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25)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부(25)는 덮개(7)를 케이스 본체(1)의 제3 공간부(14)에 끼워 맞출 때, 외측으로 휘어(탄성 변형되어) 덮개(7)를 도입하는 동시에, 덮개(7)의 끼워 맞춤 상태에서 탄성 복원되어, 덮개(7)가 제3 공간부(14)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고 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에, 덮개(7)에 대해 설명한다. 덮개(7)는 케이스 본체(1)와 마찬가지로 수지재(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다. 덮개(7)는 상면이 개방되고, 하면이 폐색된 짧은 원통 형상이고, 그 주위벽부(26)가 케이스 본체(1)의 제3 공간부(14)에 끼워 맞추어진다. 덮개(7)의 저면부는 약간 만곡되고, 전지(3)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27)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7)의 주위벽부(26)의 상단부에는 단면 대략 삼각 형상이고, 반경 방향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부(28)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7)가 케이스 본체(1)에 끼워 맞추어질 때, 먼저, 케이스 본체(1)의 돌기부(25)의 하부 경사면(25a)과 덮개(7)의 돌기부(28)의 상부 경사면(28a)이 접촉한다. 케이스 본체(1)와 덮개(7)를 상대적으로 압입하면, 적어도 한쪽의 주위벽부(9, 26)가 휜다(탄성 변형).
또한, 케이스 본체(1)와 덮개(7)를 상대적으로 압입하면, 그들 돌기부(25, 28)의 정상부끼리가 통과한다. 그러면, 탄성 변형되어 있던 주위벽부(9, 26)가 탄성 복원되어, 케이스 본체(1)의 돌기부(25)의 상부 경사면(25b)과 덮개(7)의 돌기부(28)의 하부 경사면(28b)이 접촉한다. 이에 의해, 덮개(7)의 빠짐 방지가 도모된다.
케이스 본체(1)의 제2 단차면(19)과, 덮개(7)의 주위벽부(26)의 상면 사이에는 고무 링(8)이 개재 장착된다. 이에 의해, 휴대기(101)의 수밀이 도모되어, 케이스 본체(1)와 덮개(7)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한 물이, 기판(6)이 배치되어 있는 부분[제1 및 제2 공간부(12, 13)]으로 들어가는 일은 없다.
다음에, 케이스 본체(1)에 기판(6)을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편(21)을 절곡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에 기판(6)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성형형(29)이 하강한다. 성형형(29)의 선단부(하단부)에는 고정편(21)에 대응하여 만곡되는 성형부(29a)가 설치되어 있다. 성형형(29)의 성형부(29a)의 최대 내경(D1)은 케이스 본체(1)의 고정편(21)의 외경(d1)보다도 약간 크다. 또한, 성형부(29a)의 외경(D2)은 케이스 본체(1)의 홈부(23)의 내경(d2)보다도 약간 작다. 도시하지 않은 가열 수단에 의해 성형부(29a)가 가열된 성형형(29)이 하강한다. 그리고, 성형부(29a)가 고정편(21)의 선단부(상단부)에 접촉한다. 또한, 성형형(29)이 하강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21)의 선단부는 성형형(29)의 압박력에 의해 내측[축선(16)의 측]으로 절곡된다. 그리고, 성형부(29a)의 선단부가 홈부(23)에 들어간다. 이때, 고정편(21)의 선단부는 성형부(29a)의 만곡면에 따르면서 서서히 절곡되므로, 고정편(21)은 만곡(컬링)된다. 이때, 고정편(21)은 성형형(29)의 열에 의해 연화되므로, 한층 용이하게 절곡된다. 이에 의해, 만곡 상태의 고정편(21)의 선단부가, 기판(6)의 기판 본체(2)의 주연부를 압박한다. 기판(6)은 고정편(21)과 제2 단차면(18) 사이에서 끼움 지지되어 이동 불능으로 유지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케이스 본체(1)를 뒤집어, 상방으로부터 성형형(29)을 하강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케이스 본체(1)의 하방으로부터 성형형(29)을 상승시키는 경우라도 좋다.
본 실시예의 케이스 본체(1)의 경우, 고정편(21)의 외주 부분에는 고정편(21)의 외주면(21b)에 연속해서 홈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홈부(23)에 의해, 고정편(21)이 절곡될 때의 지지점(31)은 홈부(23)의 제2 단차면(19)으로부터의 깊이(H2)만큼 하방[케이스 본체(1)의 천장면(11)의 측]으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고정편(21)은 제2 단차면(19)보다도 깊이(H2)만큼 깊은 부분에 존재하는 지지점(31)을 중심으로 절곡된다. 이에 의해, 고정편(21)의 길이[제2 단차면(19)으로부터의 돌출 길이(H1). 도 2b를 참조]를 그다지 크게 하지 않아도, 절곡되었을 때의 고정편(21)의 선단부와 기판 본체(2)의 주연부의 겹침 길이(L)가 커진다고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고정편(21)을 절곡하는 방법으로서, 고정편(21)을 가열하면서 압박(프레스)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에 의해, 고정편(21)을 확실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정편(21)이 변형되기 쉬운 재질인 경우에는, 압박만으로 절곡해도 좋다.
또한, 고정편(21)은 전체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고정편(21)이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예를 들어, 8개의 고정편(21)이 둘레 방향으로 45도의 각도를 두고]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2 실시예]
다음에, 제2 실시예의 휴대기(102)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휴대기(102)의 케이스 본체(1)에는 누름 버튼 구멍(32)이 형성되고, 이 누름 버튼 구멍(32)에 누름 버튼(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 버튼(33)은,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를 언로크 또는 로크하기 위한 버튼이다. 누름 버튼(33)의 하단부에는 누름 버튼 구멍(32)의 내경보다도 큰 플랜지부(33a)가 설치되어, 누름 버튼(33)의 빠짐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기판(6)의 상면[누름 버튼(33)과 대향하는 면]에서, 누름 버튼(33)의 바로 아래에는 스위치부(34)를 갖는 전자 부품(3)이 실장되어 있다. 스위치부(34)를 누르면, 전자 부품(3)으로부터 전파가 송신된다. 또한, 누름 버튼(33)과 스위치부(34) 사이에는 얇은 고무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커버체(35)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체(35)는 그 주연부만이, 케이스 본체(1)의 제1 공간부(12)의 내주면(15)과 접속면(17)에 접착제 등의 수단으로 고착되어 있다. 통상의 상태[휴대기(102)의 비사용 상태]에서, 누름 버튼(33)은 커버체(35)에 의해 밀어 올려져 있어, 누름 버튼(33)과 스위치부(34)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체(35)는 누름 버튼 구멍(32)으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기판(6)을 수밀 상태로 유지한다고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기(102)의 사용자가 누름 버튼(33)을 누르면, 커버체(35)를 통해 스위치부(34)가 압입된다. 이에 의해, 도어를 언로크 또는 로크하기 위한 전파가 송신되어, 확실하게 도어의 언로크 또는 로크가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의 휴대기(101, 102)는 콤팩트한 것이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36)의 스트랩(37)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의 언로크 및/또는 로크를 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지하는 휴대기로서 이용할 수 있다.
1 : 케이스 본체(제1 케이스부)
2 : 기판 본체(기판)
3 : 전자 부품
6 : 기판
7 : 덮개(제2 케이스부)
8 : 고무 링
11 : 천장면(저면)
12 : 제1 공간부(장착부)
13 : 제2 공간부(장착부)
18 : 제1 단차면(주연)
19 : 제2 단차면(주연)
21 : 고정편
21b : 고정편의 외주면
23 : 홈부
34 : 스위치부(전자 부품)
101, 102 : 휴대기

Claims (8)

  1. 차량측의 통신 대상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차량을 사용할 때에 필요한, 이용자가 소지하고 휴대하기 위한 차량용 휴대기이며,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부품이 표면에 실장된 기판과,
    그 기판을 내부에 유지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그 케이스는 상기 기판을 직접 내포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조립 부착된, 제1 및 제2 케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 장착부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상기 장착부의 주연 부위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고 그 기판의 외주연부로 변형된 고정편에 의해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와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는 수지제이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 중에서, 적어도 상기 장착부가 형성된 한쪽의 케이스부는 얕은 용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기판은 얕은 용기 형상을 이루는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상기 장착부에, 상기 전자 부품이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저면에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의 분리 시에 상기 기판의 전자 부품이 실장되어 있지 않은 이면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기판의 이면의 외주연부로 변형되어 있고,
    상기 기판과 일체화된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에 대해, 다른 쪽의 케이스부가 상기 기판의 이면을 덮도록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기판이 상기 케이스에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는 양쪽 모두 얕은 용기 형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각각의 개구부에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장착부는 상기 기판의 전자 부품이 배치되는 제1 공간부와, 상기 기판의 기판 본체가 배치되는 제2 공간부가 단차 상태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은 그 기판 본체의 외주연부가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의 단차면에 접촉함으로써 위치 결정 상태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케이스부의 단차면에 있어서의 상기 기판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부터 상기 기판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돌출되어 설치되고, 그 선단부가 상기 기판의 이면을 넘어 배치되고,
    상기 고정편의 선단부가 열 코킹되어 절곡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와 상기 기판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의 외주면과 상기 단차면의 접속부에는 상기 고정편의 외주면을 상기 기판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형태로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홈부의 저면부와 대응하는 위치를 지지점으로 하여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상기 한쪽의 케이스부의 주연에 있어서의 복수 부위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케이스부의 결합면에 고무 링이 개재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휴대기.
KR20110075789A 2010-07-30 2011-07-29 차량용 휴대기 KR101237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1811A JP5454930B2 (ja) 2010-07-30 2010-07-30 車両用携帯機
JPJP-P-2010-171811 2010-07-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004A true KR20120016004A (ko) 2012-02-22
KR101237102B1 KR101237102B1 (ko) 2013-02-25

Family

ID=45838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75789A KR101237102B1 (ko) 2010-07-30 2011-07-29 차량용 휴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454930B2 (ko)
KR (1) KR101237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581A (ko) * 2019-02-21 2021-09-27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의 휴대형 전자 통신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37349B (zh) * 2017-05-18 2022-12-0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铁氧体芯固定构造的制造方法
JP7477287B2 (ja) * 2019-12-09 2024-05-01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気体濃度算出装置の製造方法、気体濃度算出装置
JP7398352B2 (ja) * 2020-09-18 2023-12-14 株式会社Lixil 開閉装置
JP2022051133A (ja) * 2020-09-18 2022-03-31 株式会社Lixil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895U (ja) 1982-12-21 1984-06-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シ−ルド板の固定部構造
JPS61140575U (ko) 1985-02-20 1986-08-30
JPH03128982U (ko) * 1990-04-05 1991-12-25
JP3864058B2 (ja) * 2001-03-29 2006-12-27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送信機
JP2005223299A (ja) * 2004-02-09 2005-08-18 Tokai Rika Co Ltd 基板又は電子部品の抜取防止構造及び携帯機
JP5405002B2 (ja) * 2007-04-06 2014-02-0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携帯用送信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6581A (ko) * 2019-02-21 2021-09-27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의 휴대형 전자 통신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31634A (ja) 2012-02-16
KR101237102B1 (ko) 2013-02-25
JP5454930B2 (ja)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102B1 (ko) 차량용 휴대기
US8479875B2 (en) Acoustic isolation mechanism
JP5099624B2 (ja) バッテリー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電子機器
US10322635B2 (en) Charg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be driven electrically
US9106042B2 (en) Battery connector system
US8516911B2 (en) Ultrasonic sensor module attaching device and attaching method
CN102480869B (zh) 壳体组件及应用该壳体组件的电子装置
JP5882127B2 (ja) 車載用アンテナ
HK1104991A1 (en) Steering lock assembly
CN110248076B (zh) 一种摄像头的保护镜片组件、摄像头组件以及电子设备
US20080020634A1 (en) Seal structure for electric circuit unit
CN105089896B (zh) 发动机起动开关
US10021469B2 (en) Sound emitter device
EP3174157A1 (en) Antenna for motor vehicles and assembling method
US6043462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cooking surface and method of mounting cooking surface
KR20150069181A (ko) 토크센서 커버
KR101977683B1 (ko) 안테나를 갖춘 후방 미러 조립체
CN101752529A (zh) 电池盖卡锁结构
CN218668919U (zh) 一种锁具
JP4473104B2 (ja) カバーのシール構造
JP2014201235A (ja) 車載用防水型電子機器筐体
US20150179369A1 (en) Button assembley of engine start/stop switch for vehicles and engine start/stop switch for vehicles including the same
JP2011217286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用ケース
CN103137363A (zh) 按键结构
JP3043640B2 (ja) 固定型アンテナ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