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821A - 다용도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용도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821A
KR20120015821A KR1020100078274A KR20100078274A KR20120015821A KR 20120015821 A KR20120015821 A KR 20120015821A KR 1020100078274 A KR1020100078274 A KR 1020100078274A KR 20100078274 A KR20100078274 A KR 20100078274A KR 20120015821 A KR20120015821 A KR 20120015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ir
drying system
dry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544B1 (ko
Inventor
이용춘
이누리
Original Assignee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혜자 filed Critical 황혜자
Priority to KR20100078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5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buildings
    • Y02B40/7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4Heat exchang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이 가능한 본체, 본체에 설치되며,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설비를 이용하여 고온의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건조설비시스템으로부터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받는 건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수용공간의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내부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다용도 건조기에 수납된 건조물을 외부의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설비 또는 가정용 연료전지설비의 고온수를 이용하여 각종 건조물을 건조하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의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에너지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기의 설치가 용이하며, 절첩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건조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 및 신선도가 떨어지는 채소류, 과일류를 건조하여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지 않아 쓰레기 배출량을 줄일수 있어 친환경적으로 할용 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건조시스템 {Multi having drying system}
본 발명은 다용도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 설비의 고온수를 이용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름철 특히 장마 기간에는 음식물이 부패하기 쉽기도 하지만, 세탁된 옷이 잘 마르지 않아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름철이 아닌 타 계절에도 먹다 남은 과일, 각종야채가 보관 중 신선도가 떨어져 건조하여 보관하려 하여도 도시의 주거지(아파트, 원룸, 오피스텔 등)에서는 건물구조의 특성상 일조건 및 통풍이 좋지 않아 건조가 불가능하여 건조 가능한 채소, 과일류 등을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전기 음식물 건조기 는 부피가 많은 과일류, 호박, 고추, 무, 배추, 시레기등은 건조 할수 없고, 건조시 발생되는 독특한 냄새가 건조기에 배여 냄새가 남는 이유로 건조 종류별 건조기(의류, 이불/과일, 체소/음식물 쓰레기)를 구분 구매하여 사용하고, 기존의 옷장 건조기는 옷장 내부에 건조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옷장의 구조가 복잡함은 물론, 상대적으로 옷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세탁후 물에 젖은 의류는 옷장에서 건조가 불가하며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건조시스템은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각종 과일, 채소류 및 옷의 건조를 수행하기 때문에, 전기료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설비 및 가정용 연료전지설비는 주로 겨울철에 가정에 난방수를 공급하는데 이용되며, 여름철에는 난방수가 공급되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온수로서 공급된다. 따라서,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설비 및 가정용 연료전지설비의 경우, 여름철에 생산된 고온수의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고, 외부로 버려지기 때문에, 에너지의 불필요한 낭비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설비 또는 가정용 연료전지설비의 고온수를 이용하여 건조하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의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에너지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하며 상황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용도 건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설비를 이용하여 고온의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건조설비시스템으로부터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받는 건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내부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에 수납된 채소류, 과일류, 옷과 같은 각종 건조물을 외부의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설비 또는 가정용 연료전지설비의 고온수를 이용하여 건조하기 때문에 전기 에너지의 소모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에너지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 소요처가 없어서 외부로 버려지는 태양열집열기 또는 지역난방설비 또는 가정용 연료전지설비의 고온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지역난방설비의 이용 효율이 크게 향상되며, 신선도가 떨어지는 채소류, 과일류를 건조하여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지 않아 친환경 분야에 크게 기여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며, 절첩이 가능하여 상황에 따라 부피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본체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어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시스템에 관련된 배관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크게 감소할 수 있고,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에 빌트인 타입으로 설치할 경우, 설치가 더욱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를 절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본체에 칸막이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용도 건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용도 건조시스템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건조시스템은, 본체(100), 건조 공기 공급부(200), 내부 공기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0)는, 챔버형상으로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되어 있고, 전방 일측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상기 수용공간(120)으로 채소류, 과일류, 옷 등 각종 건조물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자바라식으로 절첩이 가능한 구조로서 상기 수용공간(120)의 부피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이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본체(100)는 절첩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본체(100)는 부직포, 섬유 등 절첩이 가능한 재질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단열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의 고온의 열이 상기 본체(100)가 설치된 장소로 전달되어, 상기 본체(100)가 설치된 장소가 고온의 상태로 되지 않게 한다.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가 직접 본체(100)를 절첩할 수도 있으며, 이 외 전동모터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100)를 전동식으로 절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가 절첩되는 구조는, 블라인드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절첩할 수 있는 구조 또는, 모터의 정역회전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절첩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가 절첩되는 상세한 구조는, 모터, 와이어 등에 의하여 절첩되는 일반적인 절첩구조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100)를 수직방향에 대하여 자바라식으로 절첩되는 구조를 예로 하였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본체(100)를 여러겹 포개는 방식으로 절첩되는 등 상기 본체(100)를 수직방향에 대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라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다용도 건조기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되는 옷의 길이 또는 수용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상기 본체(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전방 일측에 상기 수용공간(12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부(110)는 절첩이 용이한 지퍼(Zipper; 111) 또는 벨크로(Velcro; 112)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본체는 실내를 비롯하여 베란다 또는 다용도실 등의 다양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본체(100)를 일정 공간에 거치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지만, 지지행거(400)에 의하여 걸어져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행거(400)는, 일단이 지지물(미도시)과 고정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하여 상기 본체(100)를 상부에서 지지한다. 상기 지지행거(400)는 횡단면형상이 직사각형인 경우 안정적인 지지를 위하여 본체(100)의 상부 각 모서리 4군데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행거(400)는 상기 본체(100)의 크기와 횡단면 형상에 따라 상기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그 설치위치 및 개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행거(400)의 일단이 고정결합되는 지지물은 천정 또는 거치물 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행거(400)는 상기 본체(100)와 착탈가능한 구조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행거(400)와 상기 다용도 건조본체(100)의 착탈가능한 구조를 상기 지지행거(400)의 타단을 끼움홀(410)이 형성된 구조로 하고,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고리와 같은 걸림부(420)로 이루어진 구조로 하였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지지행거(400)와 상기 본체(100)가 착탈가능한 구조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행거(400)가 상기 다용도 건조본체(100)와 착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를 절첩하여 수직방향에 대한 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상기 지지행거(400) 중의 일측 부분의 지지행거(400a)는 상기 본체에서 분리하고, 상기 지지행거(400) 중의 타측 부분의 지지행거(400b)는 상기 본체와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본체(100)를 수직한 방향으로 세울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기본체(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공간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도 2에서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와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를 생략하여 나타내었으나, 상기 다용도 건조본체(100)가 절첩되고 세워졌다고 해도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와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설치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는, 상기 다용도 건조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건조설비시스템(600)으로부터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20)으로 상기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은,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70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설비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수를 이용하여, 건조 공기 공급부(200) 상의 공기를 고온의 건조공기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700)는 고온의 열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온의 열원을 제공하는 소스로서 상기 태양열집열기(태양광설비),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를 예로 하였지만, 이 외에 외부에서 공급되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상기 수용공간(120)으로부터 다습한 공기를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와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를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는, 상기 본체(100)가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본체(100)의 절첩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와 내부 공기 배출부(300)의 설치위치는 본체(100)의 구조에 따라 상부, 하부 및 측부 중 다양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설치가능하다.
한편,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는, 절첩되고 세워져 형상구조 및 위치가 변형되는 본체(100)에 대응하여 플렉서블하고 형상변형이 용이하며 내열성이 있는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내습성이 있고 플렉서블하고 형상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의 수용공간(120)으로부터 내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일측단부를 상기 본체(100)에 연결하고 타측단부를 외부와 연통되게 연결하여, 상기 수용공간(120)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별도의 공급부를 구비한다.
이와 달리,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32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20)의 공기가 순환되는 구조로서, 일측단부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120)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다습한 공기를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으로 유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예는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를 복수개 구비하여, 일부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과 연결하고 나머지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본체(100)로부터 유출하는 다습한 공기를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 또는 외부로 선택적으로 유출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500)는, 상기 수용공간(120)을 복수 개의 분할공간들로 구분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칸막이(900)를 더 포함한다. 이렇게 상기 칸막이(900)에 의하여 상기 본체(500)의 수용공간(120)이 분할되어 복수 개의 분할공간(521,522)으로 이루어진 본체(500)는, 상기 복수 개의 분할공간(521,522)들 각각에 제1 및 제2 건조 공기 공급부(210,220)들과 제1 및 제2 내부 공기 배출부(31,320)들을 연통되게 설치하여, 각각의 분할공간(521,522)이 개별적으로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구조로 한다.
상기 칸막이(900)는 상기 본체(500)와 같이 절첩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칸막이(900)는, 지퍼나 벨크로를 통하여 상황에 따라 상기 본체(500)의 내벽에 착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경우에 따라 수용되는 각기 다른 종류의 건조물(냄새, 향기, 악취등) 성향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20)을 선택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칸막이(900)는 중앙에 하나의 칸막이(900)를 두고 서로 부피가 동일한 분할공간들로 나누어진 예를 실시예로 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칸막이(900)의 위치를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분할공간들의 부피가 서로 다르게 다양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고, 그 개수 또한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칸막이(900)는, 복수 개의 분할공간(521,522)들이 형성되게 하여, 건조물의 냄새유무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수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는, 상기 분할공간(521,522)들 중 냄새가 나는 건조물을 수용할 제1분할공간(521)에는 제1 내부 공기 배출부(310)를 설치하고, 상기 분할공간(521,522)들 중 냄새가 나지 않는 건조물을 수용할 제2분할공간(522)에는 제2 내부 공기 배출부(32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분할공간(521)과 제2분할공간(522) 각각에 제1 내부 공기 배출부(310)와 제2 내부 공기 배출부(320)를 각각 설치하여, 제1분할공간(521)과 제2분할공간(522)의 공기가 각각 개별적으로 유출되게 한다. 이때,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제1 내부 공기 배출부(310)는, 상기 냄새가 나는 공기가 순환되어 재공급되는 것을 피하도록 외부와 연결되게 하여 상기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냄새가 없는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제2 내부 공기 배출부(320)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과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공간(522)의 공기를 순환되게 한다.
한편,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으로부터 상기 본체(100,500)로 유입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제1유량조절밸브(721)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상기 본체(100,500)로부터 유출되는 다습한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제2유량제어밸브(7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내부 공기 배출부(310)와 상기 제2 내부 공기 배출부(320)는 서로 연결되어, 상기 제2 내부 공기 배출부(320)에서 배출되는 공기 일부를 상기 제1 내부 공기 배출부(310)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3유량제어밸브(722)와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체크밸브(7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 내부 공기 배출부(310)는, 외기를 유입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외기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제4유량제어밸브(724)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유량조절밸브(721)와 상기 본체(100,500) 사이에는 공급되는 고온의 건조한 공기를 상기 본체(100,500)의 제1 및 제2분할공간(521,522)과 외부설비부(230)로 각각 배분하여 유입하는 유입헤더(67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설비부(230)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으로부터 공급되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본 실시예의 본체(100,500)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건조기, 식기 세척기 및 건조겸용 세탁기 등 고온 건조한 공기가 필요로 하는 외부설비에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에너지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외부설비를 거쳐 유출되는 공기는, 만약 상기 음식물쓰레기 건조기나 식기 세척기 등과 같이 유출되는 공기 중에 악취 등의 냄새를 포함하고 있는 설비를 거치는 경우 상기 건조설비시스템으로 유입되어 순환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냄새가 포함되는 공기를 유출하는 설비(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식기세척기)와 냄새가 포함되지 않는 공기를 유출하는 설비(건조겸용 세탁기, 옷장 건조시스템)을 분리하여, 냄새가 포함되는 공기는 외부로 유출시키고, 냄새가 포함되지 않는 공기는 순환시켜 재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상기 지역난방설비(70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수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고온수 조절밸브(710)를 구비한다.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는 유동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65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는 유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65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유량제어밸브(721,720,722,724)와, 제1 및 제2조절밸브(616,617)와, 드레인밸브(642) 및 고온수 조절밸브(710)는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일반적인 제어밸브 또는 온/오프(on/off)밸브 등 상기한 유량조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며, 또한 작동방식에 있어서도 유압식, 전동식 등 모두 가능하다.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은, 제습설비(610), 가열설비(620), 송풍설비(630) 및 제어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습설비(610)는, 다용도 건조기로부터 제거된 습기를 포함하여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에서 배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습설비(610)는, 압축기(613), 응축기(611), 팽창기구(615) 및 증발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100,500)로부터 유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제습하는 제1증발부(611)와, 세대의 냉방 공기의 소요처에 설치되는 제2증발부(6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증발부(611)와 상기 제2증발부(612)의 입구에는 각각 제1조절밸브(616) 및 제2조절밸브(6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2조절밸브(617)는 상기 제2증발부(61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로서, 세대의 에어콘에 설치된 냉방공기를 이용하고자 할 때 개방하여, 상기 다습한 공기의 건조 효과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습설비(610)가 상기 본체(100,50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제습만을 위하여, 세대의 냉방설비와는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설치비용이 증가하나, 운전 조작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제습설비(610)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부(640)에 모인다. 상기 응축수 저장부(640)의 하부에는 드레인 배관(6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레인 배관(641) 상에는 드레인 밸브(6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640)는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6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위 감지 센서(643)는 최대 설정 수위와 최소 설정 수위를 감지하는 전극식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가열설비(620)는,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 상에서 상기 제습설비(6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습설비(610)에서 제습된 저온의 건조공기를 가열하여 고온의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설비(620)는, 상기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설비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고온수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공기를 고온의 건조공기로 변화시킨다.
상기 가열설비(620)는 열교환기(621), 고온수 유입배관(731) 및 환수배관(732)을 포함한다. 상기 고온수 유입배관(731)은 지역난방설비(700)의 고온수를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시키고, 상기 환수배관(732)은 열교환된 고온수를 다시 상기 지역난방설비(700)로 환수시킨다. 이러한 가열 방식은 지역난방설비(700)의 고온수를 직접 이용하는 방식이며, 건조 공기의 온도를 높은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역난방설비(700)의 고온수를 간접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가열설비(620)는 지역난방설비(700)로부터 유입 받은 고온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세대들이 속한 공동관리설비의 기계실 내에 설치된 온수 열교환기(미도시)로 유입된 냉수를 가열하여 온수를 생성한다. 통상적으로, 각 세대에서는 지역난방설비(700)로부터 유입되는 고온수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 상기 온수 열교환기(미도시)를 이용하는 바,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설비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다용도 건조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난방설비(700)의 고온수를 이용할 수 있지만, 세대에 설치된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태양열집열기 등의 작동에 의하여 생성되는 고온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설비(630)는, 상기 고온의 건조공기를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로 공급한다. 상기 송풍설비(630)는 공기가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200)와 내부 공기 배출부(300)를 따라 순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제1송풍기(631) 및 제2송풍기(6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송풍기(631)는 상기 본체(100,500)와 상기 제1증발부(611)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송풍기(632)는 제1증발부(611)와 상기 열교환기(621) 사이에 설치된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 송풍설비(630)는 그 개수 및 설치 위치가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송풍설비(630)는, 용량이 인버터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송풍기(631)과 상기 제2송풍기(632)는 인버터 제어되어 필요한 공기의 양에 따라 용량이 제어된다. 하지만, 이 외 상기 송풍설비(630)는 상기한 인버터 방식이 아니라 대수를 조절하여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어부(8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습도센서(652)에 감지된 습도 및 입력부(810)를 통한 사용자의 작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2유량제어밸브(720)를 조작하여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300)를 개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센서(651)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 및 상기 작동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고온수 조절밸브(710)를 제어하여 상기 고온수의 유량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다용도 건조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810)를 통하여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을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부(800)는 제2유량제어밸브(720)를 개방하고, 상기 제1송풍기(631) 및 상기 제2송풍기(632)를 기동하여, 공기의 순환을 발생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습설비(610)에서 상기 압축기(613)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1 및 제2조절밸브(616,617)를 개방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고온수 조절밸브(710)를 개방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온도센서(651)로부터의 감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열교환기(621)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를 가지도록 상기 고온수 조절밸브(710)의 개도를 조절한다. 즉, 상기 공기의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보다 낮으면 상기 고온수 조절밸브(710)의 개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설정 온도보다 높으면 상기 고온수 조절밸브(710)의 개도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습도센서(652)의 설정 습도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설정 습도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의 임무 종료 조건을 의미한다. 즉, 상기 본체(100,50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의 습도가 상기 설정 습도 이상이면 고온수 조절밸브(710)의 개도를 그대로 유지하며, 상기 공기의 습도가 상기 설정 습도보다 낮으면 고온수 조절밸브(710)를 폐쇄한다.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이 작동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643)로부터 수위 정보를 계속 입력받는다. 만일, 상기 응축수 저장부(640)의 응축수 수위가 상기 최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제1송풍기(631) 및 상기 제2송풍기(632)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드레인 밸브(642)를 개방한다. 이 때, 상기 압축기(613)의 작동 정지 및 상기 고온수 조절밸브(710)의 폐쇄도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드레인 밸브(642)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개1송풍기(631) 및 상기 제2송풍기(632)가 작동을 하면, 상기 드레인 배관(641)을 통하여 공기가 유출되어 소음이 발생하거나, 응축수가 주변으로 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송풍기(631) 및 상기 제2송풍기(632)의 작동을 정지시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드레인 밸브(642)의 개방 후, 상기 응축수 저장부(640)의 응축수 수위가 최저 설정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드레인 밸브(642)를 폐쇄하고, 상기 제1송풍기(631) 및 상기 제2송풍기(632)를 작동 정지 이전의 상태로 복귀시켜서,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의 작동을 재시작 한다.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의 모든 습도가 해당 설정 습도 조건을 만족하여, 고온수 조절밸브(710) 및 제2유량제어밸브(720)가 폐쇄되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600)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사용자에게 음성 알람 장치(미도시)나 디스플레이 알람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알려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상으로 상기 다용도 건조시스템 중 옷이 수용되는 옷장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옷 외 이불, 채소 등 건조를 필요로 하는 건조물이라면 모두 적용하다. 미설명부호 10은 옷걸이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500... 본체 110... 개폐부
200... 건조 공기 공급부 300... 내부 공기 배출부
400... 거치대 600... 건조설비시스템
800... 제어부 900... 칸막이

Claims (14)

  1. 개폐가 가능하며 내부의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설비를 이용하여 고온의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건조설비시스템으로부터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받는 건조 공기 공급부;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다습한 공기를 배출하는 내부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는, 일측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다습한 공기를 상기 건조설비시스템으로 유입되게 하는 다용도 건조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는, 일측단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단부는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상기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유출하는 다용도 건조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수용공간을 복수 개의 분할공간들로 구분하는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칸막이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복수 개의 분할공간들 각각에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들과 상기 내부 공기 배출부들을 연통되게 설치하며,
    상기 다용도 건조시스템은,
    상기 분할공간들 중 냄새가 나는 옷을 수용하는 제1분할공간에는 제1 내부 공기 배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내부 공기 배출부는 외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분할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분할공간들 중 냄새가 나지 않는 물품을 수용하는 제2분할공간에는 제2 내부 공기 배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 내부 공기 배출부는 상기 건조설비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제2분할공간의 공기를 순환되게 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전방에 상기 수용공간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개폐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폐부는 지퍼 또는 벨크로로 형성된 다용도 건조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일단은 지지물과 고정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행거를 더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절첩되어 상기 수직방향에 대한 길이가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지지행거 중의 일측 부분은 상기 본체에서 분리하고, 상기 지지행거 중의 타측 부분은 상기 본체와 연결하여, 상기 본체를 상기 지지행거의 타측 부분에 의하여 세워지게 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설비시스템은,
    상기 본체로부터 유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건조공기를 생성하는 제습설비;
    상기 태양열집열기, 지역난방 및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설비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고온수를 이용하여, 상기 건조공기를 고온의 건조공기로 변화시키는 가열설비;
    상기 고온의 건조공기를 상기 건조 공기 공급부로 공급하는 송풍설비; 및
    상기 건조설비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습설비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및 증발기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본체로부터 유출되는 다습한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하여 제습하는 제1증발부와, 세대의 냉방 공기의 소요처에 설치되는 제2증발부를 포함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베란다 또는 다용도실에 설치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송풍설비는, 인버터방식으로 용량이 제어되는 다용도 건조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자바라식으로 절첩이 가능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부피를 변경가능한 다용도 건조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단열소재로 형성된 다용도 건조시스템.
KR20100078274A 2010-08-13 2010-08-13 다용도 건조시스템 KR101180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8274A KR101180544B1 (ko) 2010-08-13 2010-08-13 다용도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8274A KR101180544B1 (ko) 2010-08-13 2010-08-13 다용도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821A true KR20120015821A (ko) 2012-02-22
KR101180544B1 KR101180544B1 (ko) 2012-09-06

Family

ID=4583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8274A KR101180544B1 (ko) 2010-08-13 2010-08-13 다용도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7793A (zh) * 2012-05-24 2015-04-01 Scl国际特种涂料实验室 用于干燥至少一个光学玻璃的装置
CN105333699A (zh) * 2015-11-06 2016-02-17 海宁光泰太阳能工业有限公司 太阳能空气集热烘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6290A (ja) * 1999-10-14 2001-04-27 Toto Ltd 暖房乾燥機
KR100927824B1 (ko) 2009-06-04 2009-11-23 주식회사 세트이엔지 하폐수열을 이용한 슬러지 저온 건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87793A (zh) * 2012-05-24 2015-04-01 Scl国际特种涂料实验室 用于干燥至少一个光学玻璃的装置
CN104487793B (zh) * 2012-05-24 2016-06-08 Scl国际特种涂料实验室 用于干燥至少一个光学玻璃的装置
CN105333699A (zh) * 2015-11-06 2016-02-17 海宁光泰太阳能工业有限公司 太阳能空气集热烘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544B1 (ko)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061B2 (en) Clothes dryer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AU2007277599B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302708B (zh) 衣物干燥机
JP3600106B2 (ja) 衣類乾燥機
CN203700812U (zh) 干衣柜
CN107558128B (zh) 衣物干燥设备及其控制方法
AU2007277518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JP2001116290A (ja) 暖房乾燥機
CN107761337B (zh) 干衣机及其控制方法
JP5309871B2 (ja) 衣類乾燥機
JP2007209526A (ja) 衣類乾燥機
JP2007068870A (ja) 衣類乾燥機
KR101436754B1 (ko) 옷 건조시스템
CN201258401Y (zh) 利用热泵系统烘干的洗衣干衣机
KR100782375B1 (ko)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CN201095705Y (zh) 新型热泵式干衣柜
KR101180544B1 (ko) 다용도 건조시스템
CN206956390U (zh) 吸顶式除湿干衣机
JP5266951B2 (ja) 衣類乾燥機
JP2007143711A (ja) 衣類乾燥除湿機
KR101294677B1 (ko) 세탁기 건조시스템
KR100977926B1 (ko) 의류 건조기
KR101180180B1 (ko) 지역난방설비 또는 가정용 연료전지 설비를 이용하는 건조 시스템
CN217209626U (zh) 一种台式多功能生活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