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926B1 - 의류 건조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926B1
KR100977926B1 KR1020080013876A KR20080013876A KR100977926B1 KR 100977926 B1 KR100977926 B1 KR 100977926B1 KR 1020080013876 A KR1020080013876 A KR 1020080013876A KR 20080013876 A KR20080013876 A KR 20080013876A KR 100977926 B1 KR100977926 B1 KR 100977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path
drying
air
outsid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6829A (ko
Inventor
사토루 니시와키
다츠오 이오쿠
기요테루 우마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36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80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150365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420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8007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4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6Heat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를 히트 펌프로 실시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건조 운전의 후반기에서의 응축기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건조 운전 초기의 건조실의 온도 상승을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통풍로(A30)의 증발기(A34) 배설 부분과 응축기(A35) 배설 부분 사이의 부분에 갖는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 건조 운전 중, 외부 공기가 도입됨으로써 건조 운전의 후반기에서의 응축기(A35)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압축기(A36)의 일의 양을 낮출 필요가 없어지므로, 건조 성능이 높아질 수 있고,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 설치한 PTC 히터(A41)로 통전하여 발열시킴으로써, 통풍로(A30)에는 외부 공기를 PTC 히터(A41)로 가열하면서 도입할 수 있고, 따라서 건조 운전의 초기에서의 건조실의 온도 상승을 빠르게 할 수 있고,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류 건조기{CLOTHING DRYER}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를 히트 펌프로 실시하는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의류 건조용으로 히트 펌프를 구비한 것은 건조 성능이 좋고 에너지의 절약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 히트펌프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서는 의류를 수용하는 건조실의 공기를 히트 펌프의 압축기와 사이클 접속한 증발기와 응축기를 설치한 통풍로를 통해 순환시키고, 그 중에 증발기에서 공기의 냉각 제습을 하고, 응축기에서 공기의 가열을 하여 건조실에 순차적으로 보내고, 또한 의류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공기를 통풍로에 통하게 하는 것을 반복하여 의류를 점차적으로 건조시키도록 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7562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983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52544호 참조).
따라서, 의류를 건조시킬 때 발생하는 수분을 증발기에서 회수하고, 이 때 회수한 잠열을 압축기에 의해 고온의 냉매 상태로 변환하고, 응축기에서 공기를 가열하는 에너지로서 재사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외부에는 약간의 방열 손실이 있는 것 외에 거의 에너지를 뺏기지 않고 재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건조 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건조 운전시의 히트 펌프에는 증발기에서 흡수하는 공기의 열량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압축기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에 부여되는 일(work)의 양 만큼의 열량이 가해진다. 가옥의 통상의 방 냉방을 실시하는 에어 컨디셔너(룸 에어콘(room-air conditioner))에서는 응축기가 옥외부 공기에 설치되고, 옥외의 공기로 냉각되어 열 밸런스를 취하지만, 의류 건조기의 경우, 응축기는 기내의 통풍로중에 있고, 옥외의 공기 보다도 온도가 높은 순환 공기의 가열에 제공하므로 열량이 축적된다. 이에 의해 건조 운전의 후반기에서는 응축기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고, 결과로서 압축기의 일의 양을 낮출(열교환량을 억제할) 필요가 생겨 건조 운전시의 입력을 올리지 않고, 건조 성능을 높이 얻을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또한, 건조 운전시의 히트 펌프에는 증발기에서 수분을 냉각 제습할 때의 잠열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압축기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냉매에 부여되는 일의 양만큼의 열량이 가해지지만, 증발기 및 응축기의 양쪽이 통풍로 내에 존재하므로 외부로의 방열이 없고, 열량이 축적된다. 이에 의해 건조 운전의 후반기에는 냉매 온도가 높아져 제습 효과가 저하된다.
이에 대해, 통풍로의 증발기 설치 부분과 응축기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를 설치하도록 고안된 것이 있다. 이는 건조 운전중, 그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통풍로로 외부 공기가 도입되는 것에 의해 통풍로를 통류(通流)하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져 건조 운전의 후반기의 응축기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압축기의 일의 양을 낮출 필요가 없고, 건조 운전시의 입력을 올릴 수 있어 건조 성능이 높이 얻어진다.
또한, 히트 펌프에서는 압축기를 기동하고 나서 응축기가 소정의 고온도로 따뜻해지고, 증발기가 순환 공기중의 수분을 냉각 제습할 수 있게 되기까지의 상승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건조실의 온도는 높을수록 포화 증기압이 높아지고, 단위 체적당 의류로부터의 수분의 방출량이 늘어난다. 한편, 의류의 수축 등 대미지의 관점에서는 온도에 상한이 있고, 약 85℃ 정도가 그 상한 온도라고 생각되고 있는 것이 통례이다. 따라서,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키고자 하면 그 상한 온도 85℃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유효하다.
이에 대해, 상술한 통풍로의 증발기 설치 부분과 응축기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를 설치하도록 고안된 것은 건조 운전의 후반기뿐만 아니라 전반기에도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통풍로로 외부 공기가 도입되므로 건조 운전의 전반기, 특히 초기의 건조실의 온도 상승이 느리고,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키는 것이 곤란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제 1 목적은 건조 운전의 후반기의 응축기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또한 건조 운전 초기의 건조실의 온도 상승을 빨리 할 수 있고,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한편, 히트 펌프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에서는 통풍로를 통류하는 공기를 응축기에 의해 가열하여 건조실로 보내므로 의류의 온도는 그다지 높지 않고, 이 때문에 천이 상하는 것이 적은 이점이 있다. 그러나, 반면 공기 온도의 낮음은 제균 능력의 저하를 초래하고, 특히 인체의 피부 표면이나 모공에 존재하는 황색 포도구 균(staphylococcal) 등을 제균하는 데에 충분한 분위기를 확보하기 어렵다. 황색 포도구균을 제균하는 데에는 일반적으로 습기가 적은 건조 상태에서는 의류 온도를 60℃ 이상에서 1 시간 이상, 습기가 많은 습열 분위기에서는 의류 온도를 60℃ 이상에서 15분 이상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일컬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983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52544호의 의류 건조기에서는 히터를 구비했다고는 해도 그 히터는 의류 온도를 올리기보다는 응축기에 의한 가열의 보조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제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19839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5-52544호에서는 히터를 통풍로중에 설치하고 있지만, 이는 히터가 통풍 저항이 된다. 히트 펌프의 증발기와 응축기에 의해 의류의 건조를 실시하는 의류 건조기에서는 순환풍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건조 성능을 높이는데에 중요하지만, 히터가 통풍을 방해하는 통풍 저항으로서 작용하면 순환 풍량이 저하하여 건조 효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 2 목적은 히터에 의해 순환 공기를 가열하여 제균을 실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트 펌프에 의한 건조시에 있어서 히터가 통풍 저항이 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의류 건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의 일 형태에서는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순환용 송풍기에 의해 건조실외로 보내고, 통풍로를 통해 건조실로 복귀시키는 순환을 실시시키는 순환장치와, 상기 순환장치의 상기 통풍로에 증발기와 응축기를 설치하고, 이들과 압축기 및 스로틀기를 압축기, 응축기, 스로틀기, 증발기 및 압축기 순으로 접속함으로써 냉동 사이클(refrigeration cycle)을 구성한 히트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장치에 의한 건조실 공기의 순환과 상기 히트 펌프에서의 냉매의 순환에 의해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 운전을 실시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의 증발기 설치 부분과 응축기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공기 도입구에 상기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에 도입되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 운전의 초기에 외부 공기를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하면서 상기 통풍로에 도입하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의류 건조기의 다른 형태에서는 건조실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풍로에 상기 통풍로 내를 통류하는 공기를 통풍로 외로 배출하는 배기구를 설치하고, 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통풍로 외의 공기를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하는 외부 공기 도입구를 상기 배기구보다도 하류에 설치하고, 이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의류 건조기의 일 형태에 의하면, 통풍로의 증발기 설치 부분과 응축기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있는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건조 운전 중, 통풍로에 외부 공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건조 운전의 후반기의 응축기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과잉으로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압축기의 일의 양을 낮출 필요가 없어지고, 건조 운전 시의 입력을 올릴 수 있으므로 높은 건조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외부 공기 도입구에 설치된 가열 부재에 통전하여 발열시킴으로써 통풍로에는 외부 공기를 가열 부재로 가열하면서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운전의 초기의 건조실의 온도 상승을 빨리 할 수 있어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의류 건조기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댐퍼 장치에 의해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을 많게 하면,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통풍로 내로 도입되는 공기량이 많아지고, 그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실 내의 의류 온도를 높게 하므로 의류의 제균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열 부재가 통풍로가 아니라 외부 공기 도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히트 펌프에 의한 건조시에 가열 부재가 통풍로를 통류하는 바람의 저항이 되지 않고, 통풍로를 통류하는 공기량을 확보할 수 있어 건조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는 세탁 건조기, 특히 드럼식(횡축형) 세탁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하우징체(A1)의 내부에 수조(A2)를 설치하고, 수조(A2)의 내부에 회전조(드럼)(A3)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수조(A2) 및 회전조(A3)는 모두 원통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전측(도 1중, 좌측)의 단면부에 각각의 개구부(A4, A5)를 갖고 있다. 그 중, 회전조(A3)의 개구부(A5)는 세탁 의류(이하, 단지 세탁물 또는 의류라고 함) 출입용이며, 이를 수조(A2)의 개구부(A4)가 포위하고 있다. 수조(A2)의 개구부(A4)는 하우징체(A1)의 전면부에 형성한 세탁물 출입용 개구부(A6)에 벨로우즈(bellows)(A7)로 늘어서 있고, 하우징체(A1)의 개구부(A6)에는 문(A8)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회전조(A3)에는 또한 둘레측부(본체부)의 거의 전역에 구멍(A9)이 형성되어 있고(일부만 도시), 이들 구멍(A9)은 세탁시 및 탈수시에 통수 구멍으로서 기능하고, 건조 시에는 통풍 구멍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 외에 회전조(A3)의 둘레측부의 내면에는 세탁물 교반용 배플(baffle)(A10)을 복수개 설치하고 있다.
수조(A2)에는 전측의 단면부의 상부(상기 개구부(A4) 보다 상방 부분)에 온풍 출구(A11)를 형성하고, 후측의 단면부의 상부에 온풍 입구(A12)를 형성하고 있다. 그 외에 수조(A2)의 저부의 최후부에는 배수구(A13)를 형성하고 있고, 이 배수구(A13)에 수조(A2) 외에서 배수 밸브(A14)를 접속하고, 또한 배수 밸브(A14)에 배수 호스(A15)를 접속하고, 이들에 의해 수조(A2) 내의 물을 기기외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회전조(A3)의 후측의 단면부의 후면(배면)에는 중심부에 회전축(A16)을 장착하고, 이 회전축(A16)을 수조(A2)의 후측의 단면부의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 통과하여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회전조(A3)의 후측의 단면부의 중심부 둘레에는 다수의 온풍 도입 구멍(A17)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수조(A2)의 후측의 단면부의 후면(배면)에는 세탁 모터(laundry motor)(A18)를 장착하고 있다. 이 세탁 모터(A18)는 아우터 로터형 브러시리스 DC 모터로서, 로터(18a)를 회전축(A16)에 장착하고, 이 구성에서 회전조(A3)를 회전 축(A16)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조(A2)는 복수(1 개만 도시)의 서스펜션(A19)에 의해 상기 하우징체(A1)의 저면상에 탄성 지지하고 있고, 그 지지 형태는 수조(A2)의 축 방향이 전후가 되는 횡축 형상이고, 또한 전측 상부의 경사 형상이며, 회전조(A3)도 동일 형태로 되어 있다.
수조(A2)의 하방(하우징체(A1)의 저면상)에는 대판(臺板)(A20)을 배치하고, 이 대판(A20)상에 통풍 덕트(A21)를 배치하고 있다. 이 통풍 덕트(A21)는 전단부의 상부에 흡풍구(A22)를 구비하고, 이 흡풍구(A22)에 상기 수조(A2)의 온풍 출구(A11)를 환풍 덕트(A23) 및 접속 호스(A24)를 통해 접속하고 있다. 또한, 환풍 덕트(A23)는 상기 수조(A2)의 개구부(A4)의 좌측을 우회하도록 배관하고 있다.
한편, 통풍 덕트(A21)의 후단부에는 순환용 송풍기(A25)의 케이싱(A26)을 접속하고, 이 케이싱(A26)의 출구부(A27)를 접속 호스(A28) 및 급풍 덕트(A29)를 통해 상기 수조(A2)의 온풍 입구(A12)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급풍 덕트(A29)는 상기 세탁 모터(A18)의 좌측을 우회하도록 배관하고 있다.
이들 결과, 환풍 덕트(A23), 접속 호스(A24), 통풍 덕트(A21), 순환용 송풍기(A25)의 케이싱(A26), 접속 호스(A28) 및 급풍 덕트(A29)에 의해 상기 수조(A2)의 온풍 출구(A11)와 온풍 입구(A12)를 접속하여 통풍로(A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순환용 송풍기(A25)는 케이싱(A26)의 내부에 송풍 팬(A31)을 구비하고, 이 송풍 팬(A31)을 케이싱(A26)의 외부에 설치한 팬모터(A32)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한 송풍 작용으로 회전조(A3) 내의 공기를 상기 통풍 로(A30)를 통해 회전조(A3) 외로 보낸 후, 회전조(A3)의 온풍 도입구(A17)로부터 회전조(A3) 내로 복귀시키는 순환을 실시시키도록 되어 있고, 통풍로(A30)와 순환용 송풍기(A25)에 의해 회전조(A3)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 장치(A33)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통풍로(A30)중에 통풍 덕트(A21)의 내부에는 전부에 증발기(A34)를 설치하고, 후부에 응축기(A35)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증발기(A34) 및 응축기(A35)는 모두 자세히는 도시하지 않지만, 냉매 통류 파이프(airflow pipe)에 전열 핀(heat transfer fin)을 가는 피치로 다수 배치하여 이루어진 핀 부착 튜브형(fin-tube type)으로 열교환성이 우수하고, 이들 전열핀의 각 사이를 상기 통풍 덕트(A21)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가 통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증발기(A34) 및 응축기(A35)는 도 2에 도시한 압축기(A36) 및 스로틀기(특히 전자식 스로틀 밸브 또는 캐필러리 튜브(capillary tube)(A37))와 함께 히트 펌프(A38)를 구성하고, 이 히트 펌프(A38)에서는 접속 파이프(A39)에 의해 압축기(A36), 응축기(A35), 스로틀기(A37), 증발기(A34) 및 압축기(A36) 순으로 이들을 사이클 접속하고(냉동 사이클), 압축기(A36)가 작동함으로써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압축기(A36)는 하우징체(A1) 내에서도 통풍 덕트(A21) 외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통풍로(A30)의 증발기(A34)를 설치한 부분과 응축기(A35)를 설치한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인 통풍 덕트(A21)의 중간부에는 상벽에 외부 공기 도입구(A40)를 형성하고, 이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는 가열 부재로서 전기 히 터(electric fire), 특히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A41)를 장전하여 설치하고 있다. 그 설치 방법은 PTC 히터(A41)의 상면이 통풍 덕트(A21)의 상면과 거의 면이 일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수조(A2) 하방의 배수 밸브(A14)나 배수 호스(A15) 등 하우징체(A1) 내의 다른 구성 부품이 회전조(A3) 회전시의 진동 등으로 PTC 히터(A41)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통풍로(A30)의 회전조(A3)와 증발기(A34)와의 사이의 부분인 흡풍구(A22)가 위치한 통풍 덕트(A21)의 전단부로부터 기기외 전방으로는 토풍로(吐風路)(A42)를 설치하고 있다. 이 토풍로(A42)는 통풍 덕트(A21)의 상기 흡풍구(A22)와 연통하고, 상기 연통 부분에는 전환 댐퍼(switch-over damper)(A43)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전환 댐퍼(A43)는 상세하게는 토풍로(A42)측에 위치하여 상단부를 지축(支軸)(A44)에 의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나 전자석 등 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회동되고, 도 1에 실선 및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풍로(A42)와 통풍 덕트(A21)(통풍로(A30))와의 연통, 차단을 함과 동시에 통풍로(A30)의 순환 장치(A33)의 연통, 차단을 하는 풍로 전환 장치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풍로(A30)의 증발기(A34)를 설치한 부분보다 회전조(A3)측의 부분으로서, 또한 통풍 덕트(A21)의 흡풍구(A22)와의 인접하는 상면 부분에는 배기구(A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배기구(A45)는 전환 댐퍼(A43)가 흡풍구(A22)를 폐쇄할 때(토풍로(A42)를 개방할 때)에 도달하는 위치에 있고, 따라서, 그 흡풍 구(A22)를 폐쇄할 때의 전환 댐퍼(A43)에 의해 폐쇄되고, 흡풍구(A22)를 개방할 때(토풍로(A42)를 폐쇄할 때)의 전환 댐퍼(A43)에 의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토풍로(A42)의 내부에는 토출용 송풍기(A46)를 설치하고, 이보다 전방의 토풍로(A42)의 출구부에는 도 1에서는 도시를 생략한 모터나 전자석 등 구동원의 동력에 의해 개폐되는 셔터(47)를 설치하고 있다.
이 외에 하우징체(A1) 내의 상부에는 전원계의 제어부(A48)와, 표시계의 제어부(A49), 급수 밸브(A50), 급수 호스(A51) 및 급수 호스(A52)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3에는 상기 전원계의 제어부(A48)와 표시계의 제어부(A49)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A53)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제어 장치(A53)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세탁 건조기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이 구비한 각종 조작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A54)로부터 각종 조작 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수조(A2) 내의 수위를 검지하도록 설치된 수위 센서(A55)로부터 수위 검지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증발기(A34)의 온도, 응축기(A35)의 온도, 압축기(A36)의 온도, 하우징체(A1)내(통풍로(A30)외)의 온도(외부 공기 온도)를 각각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인 수위 센서(A56~A59)로부터 각각 온도 검지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장치(A53)는 상기 각종 신호의 입력 및 미리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 모터(A18)와, 순환용 송풍기(A25), 압축기(A36), 스로틀기(A37), 전환 댐퍼(A43) 구동용 댐퍼 모터(A60), 셔텨 구동용 셔터 모터(A61), PTC 히터(A41), 토출용 송풍기(A46), 급수 밸브(A50) 및 배수 밸브(A14)를 구동 회 로(A62)를 통해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 구성의 세탁 건조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세탁 건조기에서는 표준적인 운전 코스(operation course)가 개시되면, 최초로 세탁(세탁 및 헹굼) 운전이 개시된다. 이 세탁 운전에서는 급수 밸브(A50)에서 수조(A2) 내로 급수하는 동작이 실시되고, 계속해서 세탁 모터(A18)가 작동됨으로써 회전조(A3)가 저속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번갈아 회전된다.
세탁 운전이 종료되면, 계속해서 탈수 운전이 개시된다. 이 탈수 운전에서는 수조(A2) 내의 물을 배출한 후, 회전조(A3)를 고속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이 실시된다. 이에 의해 회전조(A3) 내의 세탁물은 원심 탈수된다.
탈수 운전이 종료되면, 계속해서 건조 운전이 실행된다. 이 건조 운전에서는 전환 댐퍼(A43)가 도 1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풍로(A42)를 통풍로(A30)로부터 차단되고, 통풍로(A30)를 순환 장치(A33)에서 연통시키도록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회전조(A3)를 저속으로 정역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순환용 송풍기(A25)의 팬모터(A32)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송풍 팬(A31)의 송풍 작용으로 도 1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조(A2) 내의 공기가 온풍 출구(A11)로부터 통풍로(A30)의 환풍 덕트(A23) 및 접속 호스(A24)를 거쳐 통풍 덕트(A21) 내로 유입된다.
또한, 이 때에는 히트 펌프(A38)의 압축기(A36)의 작동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히트 펌프(A38)에 봉입된 냉매가 압축기(A36)에 의해 압축되어 고온 고압의 냉매가 되고, 그 고온 고압의 냉매가 응축기(A35)로 흘러 통풍 덕트(A21) 내의 공 기와 열교환된다. 그 결과, 통풍 덕트(A21) 내의 공기가 가열되고, 반대로 냉매의 온도는 저하되어 액화된다. 이 액화된 냉매가 계속해서 스로틀기(A37)를 통해 감압된 후, 증발기(A34)에 유입되어 기화된다. 이에 의해 증발기(A34)는 그에 접촉하여 통류하는 통풍 덕트(A21) 내의 공기를 냉각한다. 증발기(A34)를 통과한 냉매는 압축기(A36)로 복귀된다.
이들에 의해 상기 수조(A2) 내로부터 통풍 덕트(A21)내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A34)에서 냉각되어 제습되고, 그 후에 응축기(A35)에서 가열되어 온풍화된다. 그리고, 그 온풍이 접속 호스(A28), 급풍 덕트(A29)를 거쳐 온풍 입구(A12)로부터 수조(A2) 내로 공급되고, 또한 온풍 도입구(A17)로부터 회전조(A3)내로 공급된다.
회전조(A3) 내로 유입된 온풍은 세탁물의 수분을 빼앗은 후, 상기 온풍 출구(A11)로부터 환풍 덕트(A23) 및 접속 호스(A24)를 거쳐 통풍 덕트(A21)내에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증발기(A34)와 응축기(A35)를 구비한 통풍 덕트(A21)와 회전조(A3)와의 사이를 공기가 순환함으로써 회전조(A3)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따라서, 이 때 회전조(A3)는 건조실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건조 운전 중, 통풍 덕트(A21)(통풍로(A30)의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는 통풍로(A30)로 외부 공기가 도입되고,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 설치된 PTC 히터(A41)에 통전하여 발열시킨다(히터 on). 이에 의해 통풍로(A30)에는 외부 공기가 PTC 히터(A41)로 가열되면서 도입된다. PTC 히터(A41)의 발열은 건조 운전의 초기에 한해 실행 하는 것이며, 건조 운전의 개시부터 소정 시간 후에는 PTC 히터(A41)의 발열을 정지시키고(히터 off), 그 상태로 건조 완료까지를 실시한다. 따라서, PTC 히터(A41)의 발열을 정지시키고 나서는 통풍로(A30)에는 PTC 히터(A41)에 가열되지 않는 외부 공기가 도입된다.
또한, 상기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 통풍로(A30)로의 외부 공기의 도입과 함께, 통풍로(A30)의 증발기(A34)를 설치한 부분보다 회전조(A3) 측의 부분에 설치된 배기구(A45)로부터는, 회전조(A3) 내로부터 통풍로(A30)를 통류하는 순환 공기의 일부가 통풍로(A30)외로 배출된다.
또한, 이상의 건조 운전을 실시한 것에 대해, 세탁 건조기가 설치된 공간의 냉방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전환 댐퍼(A43)가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풍로(A42)를 통풍로(A30)에 연통시키고, 통풍로(A30)를 순환 장치(A33)에서 차단하도록 전환되며, 이 상태에서 히트 펌프(A38)의 압축기(A36)의 작동이 개시됨과 동시에 셔터(A47)가 도 1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되고, 토출용 송풍기(A46)가 작동된다.
이들에 의해 도 1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풍 덕트(A21)외의 공기가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 통풍 덕트(A21)내로 도입되어 증발기(A34)를 통해 냉각된다. 그리고, 그 냉각된 공기가 토풍로(A42)를 통해 기기외의 전방으로 토출되고, 세탁 건조기가 설치된 공간의 냉방을 실시한다.
또한, 이 때에는 고온이 되는 응축기(A35)를 냉각할 필요가 있고, 이를 예를 들면 급수 밸브(A5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실행하는 수냉(水冷) 배관을 응축 기(A35)에 조립하고 있다(도시 생략).
또한, 이 때, 전환 댐퍼(A43)는 상기 배기구(A45)를 폐쇄한다. 그 결과, 공기류가 통풍로(A30) 외로부터 증발기(A34)를 통하지 않고(냉각되지 않고) 기기외로 토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의류 건조기가 설치된 세면실 등의 공간의 냉방이 효과적으로 실시된다.
또한, 본 구성의 것은 세탁 건조기가 설치된 공간의 난방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전환 댐퍼(A43)가 상기와 마찬가지로 토풍로(A42)를 통풍로(A30)에 연통시키고, 통풍로(A30)를 순환 장치(A33)에서 차단하도록 전환되며, 이 상태에서 PTC 히터(A41)가 발열됨과 동시에 셔터(A47)가 개방되고, 토출용 송풍기(A46)가 작동된다(히트 펌프(A38)의 압축기(A36)는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통풍 덕트(A21) 외의 공기가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 PTC 히터(A41)에 가열되면서 통풍 덕트(A21) 내로 도입되어 증발기(A34)를 통하고(이 때, 증발기(A34)는 비작동 상태이고, 도입 외부 공기는 냉각되지 않는다), 토풍로(A42)를 통해 기기외의 전방으로 토출되어 세탁 건조기가 설치된 공간의 난방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본 구성은 통풍로(A30)의 증발기(A34) 설치 부분과 응축기(A35) 설치 부분과 사이의 부분에 있는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 건조 운전 중, 통풍로(A30)로 외부 공기가 도입된다. 따라서, 건조 운전의 후반기의 응축기(A35)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설정값 이상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압축기(A36)의 일의 양을 낮출 필요가 없어지고, 건조 운전시의 입력을 올릴 수 있으므로 건조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는 PTC 히터(A41)를 설치하고, 그 구성을 기초로 상기한 바와 같이 건조 운전 초기에 상기 PTC 히터(A41)에 통전하여 발열시킴으로써 통풍로(A30)에는 외부 공기를 PTC 히터(A41)로 가열하면서 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건조 운전의 초기의 회전조(A3) 내의 온도 상승을 빨리 할 수 있고(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터 가열되지 않는 외부 공기가 도입되어 회전조(A3) 내의 온도 상승이 저해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통풍로(A30)의 증발기(A34) 설치 부분과 응축기(A35)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A40)만을 갖는 것(히터 없음)의 건조 완료까지의 회전조(A3) 내의 온도의 변화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 PTC 히터(A41)를 설치하고, 이를 건조 운전 초기에 발열시킨 것(히터 있음)의 건조 완료까지의 회전조(A3) 내의 온도의 변화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4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후자는 전자 보다도 건조 운전을 시간(T1)만큼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의 경우, 전환 댐퍼(A43)를 토풍로(A42)를 통풍로(A30)에 연통시키고, 통풍로(A30)를 순환 장치(A33)에서 차단하도록 전환하고, 이 상태에서 PTC 히터(A41)에 통전하여 발열시킴과 동시에 셔터(A47)를 개방시키고, 토출용 송풍기(A46)를 작동시킴으로써 통풍 덕트(A21)외의 공기를 외부 공기 도입구(A40)로부 터 PTC 히터(A41)에 의해 가열하면서 통풍 덕트(A21) 내에 도입하여 토풍로(A42)로부터 기기외의 전방으로 토출하고, 따라서 세탁 건조기가 설치된 공간의 난방을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 대해, 도 5 내지 도 9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각각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 설치된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 뿐만 아니라 건조 운전의 종료 후에도 시간(T1)(예를 들면 20 분)에 한해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건조 운전의 종료 후에 증발기(A34)를 가열하여 건조시킬 수 있다.
의류의 건조를 실시할 때, 증발기(A34)에서는 통풍 덕트(A21) 내를 통류하는 공기의 냉각 제습이 실시되는 것에 따라 표면에 결로가 생긴다. 또한, 통풍 덕트(A21)의 증발기(A34)에 이르기까지의 풍로(風路)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필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 필터는 건조중인 의류로부터 산출(散出)하여 회전조(A3)내로부터 나오는 기류를 타고 운반되는 실찌꺼기를 포획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미세한 먼지류의 통과를 허용하여 막힘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필터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류가 증발기(A34)의 결로를 생기게 한 표면에 부착된다. 이들 중에는 곰팡이의 포자나 곰팡이를 번식시키는 잡균이 포함 되어 있어 곰팡이의 번식이 있을 수 있다. 곰팡이는 악취의 원인이 되어 사용자를 불쾌하게 한다.
이에 대해, 본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외부 공기 도입구(40)에 설치된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 뿐만 아니라 건조 운전의 종료 후에도 시간(T1)에 한해 실시하여 건조 운전의 종료 후에 증발기(A34)를 가열(예를 들면 30℃ 정도까지 승온)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A34)를 건조시켜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5는 통풍로(A30)의 증발기(A34) 설치 부분과 응축기(A35)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A40)를 갖는 것(히터 없음)의 건조 완료까지의 회전조(A3) 내의 온도의 변화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 PTC 히터(A41)를 설치하고, 이를 건조 운전의 초기와 건조 운전 후에 각각 발열시킨 것(히터 있음)의 건조 완료까지의 회전조(A3) 내의 온도의 변화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5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후자는 전자보다도 건조 운전 후의 시간(T1)(PTC 히터(A41)의 발열 시간), 회전조(A3) 내의 온도와 함께 증발기(A34)의 온도를 높게(예를 들면 30℃ 정도)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통풍로(A30)의 증발기(A34) 설치 부분과 응축기(A35) 설치 부분과의 사이의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A40)만을 갖는 것(히터 없음)의 건조 완료 후의 증발기(A34)의 표면 수분량의 변화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외부 공기 도입구(A40)에 PTC 히터(A41)를 설치하고, 이를 건조 운전 후에 발열시킨 것(히터 있음)의 증발 기(A34)의 표면 수분량의 변화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6으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후자는 전자보다도 빨리 증발기(A34)의 표면 수분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증발기(A34)를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건조 운전 종료 후에 PTC 히터(A41)에 통전하여 발열시키는 시간은 이전의 건조 운전 초기에 PTC 히터(A41)에 통전하여 발열시키는 것으로 건조 운전을 단축할 수 있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T1)으로 하고 있지만, 그보다 짧아도 또는 길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도 7에 도시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코스별로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건조 운전의 코스는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을 조작하여 선택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이 건조 운전의 코스에는 「표준 코스」, 「에너지 절약 코스」, 「추가 건조 코스」가 있다.
「표준 코스」에서는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 초기에 실행하고, 또한 건조 운전 후에도 실행한다.
「에너지 절약 코스」에서는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실행하지 않고, 건조 운전 후에만 실행한다.
「추가 건조 코스」에서는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 초기에만 실행하고, 건조 운전 후에는 실행하지 않는다.
이들 중, 「표준 코스」의 PTC 히터(A41)의 발열 제어는 제 2 실시형태와 동 일하며,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너지 절약 코스」의 PTC 히터(A41)의 발열 제어는 소비전력의 절감을 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 초기에는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킬 수는 없지만, 소비전력의 절감을 할 수 있다. 즉, 건조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키는 것 보다 소비전력의 절감을 우선시하는 코스이다. 또한, 이 경우에도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 후에는 실행함으로써 건조 운전 후, 증발기(A34)를 건조시켜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추가 건조 코스」의 PTC 히터(A41)의 발열 제외는 옥외에서 건조시킨 의류의 마무리 건조를 하는 경우에 적합하고,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에 실행함으로써, 본래 의류를 옥외에서 건조시키고 있는 관계상, 장시간을 요하지 않는 건조 운전을, 보다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옥외에서 건조시킨 의류는 그에 잔류하는 수분이 적어져 있고, 건조 운전시에 증발기(A34)에 발생하는 결로가 적으므로,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후에는 실행하지 않아도, 곰팡이의 번식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적게 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외부 공기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인 상기 수위 센서(A59)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PTC 히터(A41)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경우, 예를 들어 30℃를 기준으로, 검지 외부 공기 온도가 30℃ 이상이면,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에는 실행시키지 않고, 건조 운전후에만 예를 들어 5분간 실행한다.
그에 대해서, 검지 외부 공기 온도가 30℃ 미만이면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에 실행하고 또한 건조 운전후에도 상기 보다도 긴 예를 들어 전술한 20분간 실행한다.
검지 외부 공기 온도가 30℃ 이상인 경우, 외부 공기 도입 구멍(A40)으로부터 통풍로(A30)에 도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가 충분히 높으므로, PTC 히터(A41)을 동작시키지 않아도, 건조 운전을 충분히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PTC 히터(A41)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외부 공기 도입 구멍(A40)으로부터 통풍로(A30)에 도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가 30℃ 이상인 것에 의해, 건조 운전후의 증발기(A34)는 건조되기 쉽고, 따라서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후에는 예를 들어 5분간 실행하는 것만으로, 증발기(A34)를 건조시킬 수 있으므로,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검지 외부 공기 온도가 30℃ 미만인 경우, 외부 공기 도입 구멍(A40)으로부터 통풍로(A30)에 도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는 낮다. 따라서, 그 경우에는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초기에 실행시킴으로써, 저음의 외부 공기 온도를 PTC 히터(A41)에서 가열하여(온도를 상승시켜) 통풍로(A30)에 도입할 수 있으므로, 건조 운전을 조기에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검지 외부 공기 온도가 30℃ 미만인 것에 의해, 건조 운전후의 증발기(A34)는 건조되기 어렵다(결로 수분이 증발되기 어려움). 따라서, 이 경우에는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긴 시간, 예를 들어 20분간 실행하면, 증발기(A34)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고,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9는 건조 완료후의 증발기(A34)의 표면 수분량의 변화를, 외부 공기 온도별로 나타내고 있다. 외부 공기 온도가 30℃, 20℃, 10℃로 낮을수록, 건조 완료후의 증발기(A34)의 표면 수분량이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은 길게 소요된다. 그에 대해서, 외부 공기 온도가 30℃ 미만이어도 PTC 히터(A41)의 발열을 건조 운전후에 20분간 실행하는 것(히터 유)으로, 건조 완료후의 증발기(A34)의 표면 수분량을 재빠르게 없앨 수 있고, 즉 증발기(A34)를 충분히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고, 그에 따라서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 10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은 세탁 건조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체(B1) 내에는 수조(B2)가 설치되고, 수조(B2) 내에 회전조(드럼)(B3)가 설치되어 있다. 수조(B2)는 복수의 서스펜션(B4)(1개만 도시)에 의해, 수조(B2)(회전조(B3))의 축방향이 세탁 건조기의 전후 방향이 되는 횡축 형상으로, 또한 전방으로 올라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상기 수조(B2) 및 회전조(B3)는 모두 전방면부를 개방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중, 수조(B2)의 전방면 개구 부분과 하우징체(B1)의 전방면부에 형성된 세탁 의류(이하, 단지 세탁물 또는 의류라고 함)의 투입 취출용 개구(B5) 사이에는 벨로우즈(B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체(B1)에는 투입 취출용 개 구(B5)를 개폐하는 문(B7)이 설치되어 있다. 수조(B2) 내의 회전조(B3)는 세탁시에는 세탁실이 되고, 건조시에는 건조실이 된다.
상기 하우징체(B1)의 상부 내측에는 급수 밸브(B8)을 내장한 급수 케이스(B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수 밸브(B8)는 수도의 수도꼭지에 호스를 통하여 접속되어 세탁시에 수돗물을 수조(B2) 내에 공급한다. 수조(B2) 내에 공급된 물은 동시에 회전조(B3)의 둘레측부에 형성된 다수의 소구멍(B3a)이나 후단면부에 형성된 복수의 비교적 대직경인 통풍 구멍(B10)을 통하여 회전조(B3) 내에도 공급된다.
수조(B2)의 저부에는 배수구(B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B11)에는 배수밸브(B12)가 접속되며, 또한 상기 배수 밸브(B12)에 배수 호스(B13)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세탁 종료시 및 탈수시에는 세탁수 및 세탁물로부터 탈수된 물이 배수구(B11)로부터 배수 밸브(B12) 및 배수 호스(B13)를 통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또한, 수조(B2)의 후단면의 외측에는 세탁 모터(B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세탁 모터(B14)는 3상의 브러시리스 DC 모터로 구성되고, 그 회전축(B14a)은 회전조(B3)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수조(B2)의 전방부 상측에는 온풍 출구(B15)가 형성되고, 후단면 상부에는 온풍 입구(B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온풍 출구(B15)와 온풍 입구(B16) 사이가 통풍로(B17)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통풍로(B17)는 하우징체(B1)의 저면의 대판(B18) 상에 배치된, 세탁 건조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풍 덕트(B19)를 주체로 하여, 수조(B2)의 전면부에 온풍 출구(B15)와 연통하여 설치된 환풍 덕트(B20), 환풍 덕트(B20)와 통풍 덕트(B19)의 일단(전방단)측인 흡풍 구(B21)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 호스(B22), 수조(B2)의 후단면 외측에 온풍 입구(B16)와 연통하여 설치된 급풍 덕트(B23), 통풍 덕트(B19)의 타단(후단)측인 토출구(B24)와 급풍 덕트(B23) 사이를 연결하는 접속 호스(B2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통풍로(B17) 중, 통풍 덕트(B19)의 토출구(B24)측에는 순환용 송풍기(B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순환용 송풍기(B26)는 송풍팬(B27)과, 상기 송풍팬(B27)을 구동하는 3상 브러시리스 DC 모터로 이루어진 팬모터(B28)에 의해 구성되고, 송풍팬(B27)이 회전되면 수조(B2)(회전조(B3)) 내의 공기를 온풍 출구(B15)로부터 통풍로(B17) 내에 흡입되고, 그리고 통풍로(B17) 내를 하우징체(B1)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통류시켜 온풍 입구(B16)로부터 수조(B2) 내에 되돌리도록 순환시킨다. 이상과 같은 공기의 순환을, 도 10에 화살표 A에 의해 도시했다.
또한, 통풍로(B17) 중, 통풍 덕트(B19) 내에는 상류측인 전방측에 위치하는 증발기(B29), 하류측인 후측에 위치하는 응축기(B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증발기(B29) 및 응축기(B30)는 모두 냉매 통류 파이프(B29a 및 B30a)에 전열핀(B29b 및 B30b)을 가는 피치로 다수매 평행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진 핀 부착 튜브형의 것으로, 그들 전열핀(B29b, B30b)의 상호간을 공기가 통류함으로써, 그 통류 공기와 열교환한다.
이들 증발기(B29) 및 응축기(B30)는 도 12에 도시한 압축기(B31) 및 스로틀 밸브(B32)와 함께 히트 펌프(B33)를 구성한다. 또한, 스로틀 밸브(B32)는 캐필러리튜브(B)로 바꾸어도 좋다. 상기 히트 펌프(B33)에서는 접속 파이프(B34)에 의해 압축기(B31)의 토출구(B31a), 응축기(B30), 스로틀 밸브(B32), 증발기(B29) 및 압 축기(B31)의 흡입구(B31b)를 동일한 순서로 접속하여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압축기(B31)는 대판(B18) 상에 설치되어 있다.
통풍로(B17) 중 증발기(B29) 보다도 상류측, 예를 들어 통풍 덕트(B19)의 증발기(B29) 배치부와 흡풍구(B21) 사이에는 통풍로(B17)를 통류하는 공기를 통풍로(B17)의 외부인 하우징체(B1) 내에 배출하는 배기구(B3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B3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을 제어하기 위해, 통풍 덕트(B19)에는 댐퍼 장치(B3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 장치(B36)는 회전 가능한 댐퍼 부재(B37)와 상기 댐퍼 부재(B37)의 구동원인 댐퍼 모터(B3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 모터(B38)를 예를 들어 스텝핑 모터로 구성하고 댐퍼 부재(B37)의 회동량을 제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통풍로(B17) 중 배기구(B35)보다도 하류측, 즉 배기구(B35)보다도 하류측이고 응축기(B30)보다도 상류측, 예를 들어 통풍 덕트(B19)의 증발기(B29) 배치부와 응축기(B30) 배치부 사이에 하우징체(B1) 내의 공기를 통풍 덕트(B19) 내에 도입하는 외부 공기 도입구(B3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공기 도입구(B39)에는 가열 부재로서의 예를 들어 PTC 히터(B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PTC 히터(B40)는 하니컴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부 공기 도입구(B39)에 끼워 넣어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댐퍼 부재(B37)는 통풍 덕트(B19)를 배기구(B35)와 증발기(B29) 사이에서 완전 개방, 완전 폐쇄 또는 반 개방 상태로 함으로써, 배기구(B35)로부터의 배출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도 10에 도시한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배기구(B35) 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은 최소가 되고, 도 11에 도시한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배기구(B35)로부터의 배출 공기량은 최대가 된다. 그리고, 완전 개방 상태와 완전 폐쇄 상태 사이의 반 개방 상태에서는 그 개방도에 대응한 양의 공기가 배기구(B35)로부터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통풍 덕트(B19)가 완전 폐쇄 상태이어도 완전 밀폐로 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증발기(B29)로 흐르는 공기량은 제로가 되지는 않고, 소량의 공기가 증발기(B29)로 흐른다.
이에 대해서, 외부 공기 도입구(B39)로부터는 배기구(B35)로부터 배출된 양과 동등한 양의 공기가 통풍 덕트(B19) 내에 유입된다. 상기 유입 공기는 전량이 PTC 히터(B40)을 통과하여, PTC 히터(B40)의 통전(발열)시에는 상기 PTC 히터(B40)에 의해 가열되어 소정 온도의 온풍이 되어 통풍 덕트(B19) 내에 유입된다.
도 13에서는 상기 세탁 건조기의 제어 장치(B4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어 장치(B41)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하는 것으로, 세탁 건조기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어 장치(B41)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패널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로 이루어진 조작 입력부(B42)에서 각종 조작 신호, 수조(B2) 내의 수위를 검출하도록 설치된 수위 스위치(B43)로부터의 수위 검지 신호, 온풍 입구(B16) 및 온풍 출구(B15)에 각각 설치된 온풍 입구측 온도 센서(B44) 및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로부터의 온도 검지 신호 등이 입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B41)는 상기 각종 입력 신호 및 미리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 밸브(B8), 배수 밸브(B12), 세탁 모터(B14), 팬모 터(B28), 압축기(B31), 댐퍼 모터(B38), PTC 히터(B40)를 구동 회로(B46)를 통하여 제어한다. 이 경우, 세탁 모터(B14)는 인버터에 의한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의해 회전 속도가 제어된다. 또한, 댐퍼 모터(B38)는 입력 펄스수에 의해 회전각 제어가 이루어지고, 댐퍼 부재(B37)의 개폐도를 제어한다.
온풍 입구측 온도 센서(B44) 및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는 급풍 덕트(B23)로부터 수조(B2)로 유입되는 온풍 온도 및 수조(B2)로부터 환풍 덕트(B20)로 유출되는 온풍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B41)는 온풍 입구측 온도 센서(B44) 및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의 온도차를 구하고, 그 온도차값에 의해 회전조(B3)내의 의류의 건조율을 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건조 운전의 초기에서는 회전조(B3) 내에 유입된 온풍의 열은 주로 의류의 온도 상승과 의류내의 수분의 증발 잠열에 사용되고, 회전조(B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온도는 상승하기 어렵다. 건조가 진행되면 의류내의 수분량은 감소되고, 회전조(B3) 내에 유입된 온풍의 열은 의류, 회전조(B3), 공기 온도의 상승에 사용되어 회전조(B3)로부터 유출되는 공기 온도가 상승한다. 따라서, 건조가 진행되면, 온풍 입구(B16)와 온풍 출구(B15)의 온풍의 온도차가 점차 없어지므로, 온풍 입구(B16)와 온풍 출구(B15)의 온풍의 온도차에 의해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어 장치(B41), 온풍 입구측 온도 센서(B44) 및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는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하는 건조율 검출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온도차값에 의해 의류의 건조율을 구하는 수단으로서는 온도차값과 건 조율의 관계를 테이블화하여 제어 장치(B41)가 갖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켜 두어 상기 온도차값-건조율 테이블로부터 건조율을 구하거나, 또는 온도차값과 건조율의 관계를 수식화해 두어 상기 수식으로부터 구하는 등,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을 도 14의 타임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세탁 운전이 종료되고 건조 운전에 들어가면(도 14의 t0 시점), 제어 장치(B41)는 세탁 모터(B14)를 구동(회전조(B3)가 회전)하면서 히트 펌프(B33)의 압축기(B31), 팬모터(B28)를 구동한다. 이 때, 제어 장치(B41)는 댐퍼 장치(B36)를, 상기 댐퍼 부재(B37)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 덕트(B19)를 완전 개방한 상태로 제어한다.
그렇게 하면, 수조(B2) 내의 공기가 도 10의 화살표 A로 도시한 바와 같이 온풍 출구(B15)로부터 환풍 덕트(B20) 및 접속 호스(B22)를 거쳐 통풍 덕트(B19)에 흡입된다. 통풍 덕트(B19) 내에 흡입된 공기는 소량이 배기구(B35)로부터 외부로 유출되지만, 대부분의 공기는 그대로 통풍 덕트(B19) 내에서 증발기(B29)로 흐른다. 그리고, 배기구(B35)로부터 외부로 유출된 것과 동등한 양의 공기가 외부 공기 도입구(B39)로부터 통풍 덕트(B19)로 도입된다.
또한, 히트 펌프(B33)의 압축기(B31)에 의해 냉매가 압축되고, 고온 고압의 냉매가 되어 응축기(B30)에 유입되어, 통풍 덕트(B19) 내를 흐르는 공기와 열교환한다. 그 결과가, 통풍 덕트(B19) 내를 흐르는 공기가 가열되고, 반대로 냉매는 냉각되어 액화된다. 상기 액화된 냉매는 스로틀 밸브(B32)를 거쳐 증발기(B29)에 유입되고, 여기에서 기화되어 압축기(B31)에 흡입된다. 이에 의해, 증발기(B29)는 통풍 덕트(B19) 내를 흐르는 공기를 냉각한다.
이상에 의해, 수조(B2)(회전조(B3))로부터 통풍로(B17) 내에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증발기(B29)에 의해 냉각되어 제습되고, 그 후 응축기(B30)에 의해서 가열되어 온풍화된다. 그리고, 그 온풍이 접속 호스(B25) 및 급풍 덕트(B23)를 거쳐, 온풍 입구(B16)로부터 수조(B2) 내에 공급되고, 또한 소구멍(B3a) 및 통풍 구멍(B10)을 통하여 회전조(B3) 내에 유입된다. 회전조(B3) 내에 유입된 온풍은 의류로부터 수분을 빼앗은 후, 온풍 출구(B15)로부터 환풍 덕트(B20) 및 접속 호스(B22)를 거쳐 통풍 덕트(B19) 내에 유입된다. 이렇게 하여 증발기(B29)와 응축기(B30)를 배치한 통풍 덕트(B19)와 회전조(B3) 사이를 공기가 순환함으로써 회전조(B3) 내의 세탁물이 건조된다.
이와 같은 건조 운전시, 증발기(B29)와 함께 응축기(B30)가 통풍 덕트(19) 내에 설치되어 있어 열량이 축적되는 측면이 있기는 하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순환풍이 소량이라고는 해도 배기구(B35)로부터 외부(하우징체(B1)내)에 배출되고, 그 배출량과 동등한 양의 외부 공기가 외부 공기 도입구(B39)로부터 통풍 덕트(B19)내에 흡입되므로, 응축기(B30)에 접촉되어 통류하는 공기의 온도가 내려간다. 이 때문에, 응축기(B30)의 온도나 냉매의 고압측 압력이 과잉으로 상승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압축기(B31)의 운전률(일의 양)을 낮출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경우, 댐퍼 장치(B36)의 댐퍼 부재(B37)를 반 개방 상태로 하여 배기구(B3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 더 나아가서는 외부 공기 도입구(B39)로부터 도입 되어 응축기(B30)를 냉각하는 공기량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은 건조 운전 중에, 제어 장치(B41)는 온풍 입구측 및 온풍 출구측의 두 온도 센서(B44 및 B45)의 검출 온도의 차를 구하고, 상기 온도차값으로부터 의류의 건조율을 상시 검출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 운전의 진행에 의해 의류의 건조율이 소정값 이상, 예를 들어 90% 이상이 되면, 제어 장치(B41)는 압축기(B31)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댐퍼 장치(B36)를 배기구(B35)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이 많아지는 방향,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그 댐퍼 부재(B37)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 덕트(B19)를 완전 폐쇄하는 상태로 전환한다(도 14의 t1 시점). 또한, 통풍 덕트(B19)를 완전 폐쇄해도 완전 밀폐가 곤란한 점에서, 소량의 공기는 댐퍼 부재(B36)를 통과하여 증발기(B29)로 흐른다.
제어 장치(B41)는 자신이 갖는 시계 기능에 의해, t1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단시간 경과를 검출하면, PTC 히터(B40)에 통전한다. 이상에 의해, 통풍 덕트(B19) 내에 유입된 공기의 대부분은, 도 11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배기구(B35)로부터 외부로 유출되고, 그 유출량과 동등한 양의 외부 공기가 도 11에 화살표 C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공기 도입구(B39)로부터 통풍 덕트(B19)내에 유입되고, 그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PTC 히터(B40)에 의해 가열되어 온풍이 되어 회전조(B3)로 공급된다. 상기 PTC 히터(B40)에 의한 가열은 응축기(B30)에 의한 가열보다도 고온의 공기로 할 수 있다. 또한, PTC 히터(B40)는 그 특성상, 풍량에 따라서 발열량을 변화시키므로, 도입 공기의 양이 변동되어도 그 도입 공기를 항상 거의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다.
PTC 히터(B40)에 의한 가열 공기가 회전조(B3) 내에 공급되면, 그때까지 60℃ 보다도 낮은 온도까지 밖에 가열되지 않았던 의류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고, 그리고 60℃를 초과하게 된다. 의류 온도가 60℃ 이상이 되면, 황색 포도구균에 대한 살균 능력이 생성된다. 이 때, 황색 포도구균의 제균은 습기가 적은 건조 분위기에서는 60℃ 이상으로 1시간 이상 유지할 필요가 있고, 습열 상태에서는 60℃ 이상으로 15분간 유지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실시 형태는 의류의 건조율이 90% 또는 그보다도 약간 높은 정도이므로, 습열 분위기가 얻어진다.
그래서, 제어 장치(B41)는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가 60℃ 이상을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30분간, PTC 히터(B40)의 통전을 계속한다. 이에 의해, 의류가 습열 분위기에서 60℃ 이상으로 30분간 유지된다(상기 운전을 건조 운전 중의 제균 행정이라고 함). 상기 제균 행정 중, 제어 장치(B41)는 온풍 입구측 온도 센서(B44)가 소정 온도 이상, 예를 들어 80℃ 이상을 검출했을 때, PTC 히터(B40)를 단전하고, 80℃ 미만을 검출했을 때 PTC 히터(B40)를 통전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의해 회전조(B3)내에 공급되는 온풍 온도가 80℃를 부근으로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온풍의 온도 제어는 의류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의류가 수축을 일으키는 것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어 장치(B41)는 제균 행정을 30분간 실시하면, PTC 히터(B40)를 단전하고(도 14의 t2 시점), 또한 소정의 단시간이 경과하면, 팬 모터(B28)를 단전한다. 이상에 의해 제균 행정이 종료되고, 상기 제균 행정의 종료에 수반하여 동시에 건조 운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건조 운전의 종료기의 살균 행정시에, 댐퍼 장치(B36)에 의해 통풍 덕트(B19)를 완전 폐쇄하고, 수조(B2)로부터 유출된 공기의 거의 전부를 하우징체(B1) 내에 배출되고, 그리고 그 배출량과 동등한 량의 하우징체(B1) 내의 공기를 외부 도입구(B39)로부터 통풍 덕트(B19) 내에 도입할 때, 그 도입 공기를 PTC 히터(B40)에 의해 가열하여 회전조(B3)내에 공급하도록 했으므로, 그 PTC 히터(B40)에 의한 가열 공기에 의해 의류를 제균 온도로 가열하여 황색 포도구균 등을 제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PTC 히터(B40)에 의한 가열을, 의류의 건조율이 건조율이 90%에 도달한 시점에서 개시하도록 했으므로, 제균 행정을 습열 분위기에서 실시할 수 있고, 단시간의 제습 운전으로 제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PTC 히터(B40)를 통풍 덕트(B19) 내에 배치하는 것이 아니고 외부 공기 도입구(B39)에 배치했으므로, 통상의 건조 운전시에는 PTC 히터(B40)의 통풍 저항을 받지 않고 온풍을 순환시킬 수 있다. 즉, PTC 히터(B40)는 하니컴 형상으로, 상기 PTC 히터(B40)를 바람이 통과할 때에는 상당한 저항을 받는다. 이와 같은 PTC 히터(B40)가 통풍 덕트(B19) 내에 존재하고 있으면, 통상의 건조 운전시의 순환 풍량이 감소되지만,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통풍 덕트(B19) 내는 아니므로 순환 풍량을 많이 확보할 수 있고, 양호한 건조 효율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압축기(B31)의 운전 종료에 의해 제균 행정이 개시되고 나서 잠시 동안, 댐퍼 장치(B36)를 반 개방 상태로 하여 순환풍의 예를 들어 20% 정도를 그대로 증발기(B29)에 통과시키도록 해도 좋다. 증발기(B29)는 압축기(B31)의 운전이 정지해도 액체 냉매가 남겨져 있어 냉각 능력을 갖고 있으므로, 제균 행정 개시후 잠시 동안, 댐퍼 장치(B36)를 반 개방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증발기(B29)에 냉각 능력이 잔존하고 있는 동안, 순환풍의 일부를 제습하면서 제균 행정을 실시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변형예인 제 5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 5 실시 형태는 히트 펌프(B33)의 구동전에 PTC 히터(B40)에 의해 가열된 열풍을 회전조(B3) 내에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 운전의 개시시(t0)에는 제어 장치(B41)는 댐퍼 장치(B36)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고 또한 팬 모터(B28) 및 PTC 히터(B40)에 통전한다. 또한, PTC 히터(B40)의 돌입 전류는 크므로, PTC 히터(B40)의 통전 타이밍과, 팬모터(B28), 댐퍼 모터(B38)의 통전 타이밍과는 어긋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PTC 히터(B40)를 복수개의 PTC 히터 소자체로 구성하고, 각 PTC 히터 소자체의 통전 타이밍을 서로 어긋나게 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팬 모터(B28) 및 PTC 히터(B40)의 통전과 댐퍼 장치(B36)의 완전 폐쇄에 의해, 순환풍의 대부분이 배기구(B35)로부터 하우징체(B1) 내에 유출되고, 그리고 PTC 히터(B40)에 가열되어 열풍화되어 회전조(B3) 내에 공급되고, 상기 열풍에 의해 의류가 가열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B41)는 PTC 히터(B40)의 통전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후(도 15에서는 t시점), 댐퍼 장치(B36)를 완전 개방 상태로 전환 하고 또한, PTC 히터(B40)를 단전하고 압축기(B31)의 운전을 개시한다.
또한, t시점은 의류가 소정 온도로 가열되었을 때 설정하기 위해,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가 소정 온도를 검출한 시점으로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t시점은 반드시 건조 운전 개시 시점으로 할 필요는 없고, 헹굼 세탁 후의 배수중, 또는 헹굼 세탁후의 배수를 종료하고 건조 운전에 들어가기 전에 실시하는 탈수 운전(회전조(B3)를 고속 회전시킴) 중에 정해도 좋다.
상기 제 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응축기(B30)에 의한 공기 가열 온도는 고작 60℃ 정도로 그다지 높지는 않으므로 의류가 더워지지 않고, 순환풍을 발생시켜도 압축기(B31)를 기동시키고 나서 상당히 장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의류 건조 기능이 진행되지 않지만, 사전에 PTC 히터(B40)에 의해 의류를 가열시켜 둘 수 있으므로, 압축기(B31)의 기동으로부터 빠른 시기에 의류 건조를 개시할 수 있게 되어 건조 소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제 6 실시 형태>
도 16은 제 6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 6 실시 형태는 제균 행정을 건조율이 80% 이상이 된 시점으로부터 개시하고 또한 제균 행정의 종료후에 다시, 히트 펌프(B33)를 운전(재기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어 장치(B41)는 온풍 입구측 및 온풍 출구측의 두 온도 센서(B44 및 B45)의 검출 온도차에 의해 의류의 건조율이 80% 이상이 된 것을 검출하면(t3 시점), 압축기(B31)의 운전을 정지한 후, 댐퍼 장치(B36)를 완전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PTC 히터(B40)에 통전한다. 건조율이 80% 이상이 된 시점에서 살균 행정 을 실시하므로, 제 1 실시형태에 비하여 보다 습기가 높은 상태를 생성하기 쉽고, 제균에 있어 보다 좋은 습열 상태를 생성하여 제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가 60℃ 이상을 검출하고 나서 20분을 경과한 시점(t4시점)에서 제균 행정을 종료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균 행정 후, 댐퍼 장치(B36)를 제균 행정시보다도 배기구(B35)로부터의 배출 공기량이 감소하는 방향,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완전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압축기(B31)를 기동시켜 히트 펌프(B33)를 재운전한다. 이에 의해, 고습열 상태에서 고효율의 제균 행정이 실시된 후의 의류의 건조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B41)가 100%의 건조율을 검출한 시점(t5 시점)에서 압축기(B31)가 정지되고, 히트 펌프(B33)의 운전이 정지된다.
<제 7 실시 형태>
도 17 및 도 18은 제 7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 7 실시 형태는 제균 행정을 건조율이 80% 이상이 된 시점에서 개시하고 또한 제균 행정의 종료 후, 히트 펌프(B33)를 다시 운전하도록 한 점에서는 상술한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지만, 제균 행정 중, 압축기(B31)를 저능력(저속 회전)으로 하여 히트 펌프(B33)의 운전을 계속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제 7 실시 형태에서는 압축기(B31)는 인버터에 의한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의해 회전 속도의 제어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히트 펌프(B33)는 능력 가변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B41)는 건조율 80% 이상을 검출하면, 압축기(B31)의 회전수를 저하시켜 통상(100% 운전)시의 예를 들어 20%의 능력에서의 운 전을 계속시킨다. 한편, 제어 장치(B41)는 댐퍼 장치(B36)의 댐퍼 부재(B37)를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 개방 상태로 하여 순환풍의 전체 풍량의 예를 들어 80%가 배기구(B35)로부터 하우징체(B1) 내에 배출되고, 남은 20%가 증발기(B29)를 통하여 응축기(B30)로 흐르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PTC 히터(B40)에 통전하여 제균 행정이 실시된다. 그리고,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가 60℃ 이상을 검출한 시점에서 20분이 경과되면, 댐퍼 장치(B36)가 완전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또한 PTC 히터(B40)가 통전되고, 그리고 압축기(B31)가 통상의 고능력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에 의해, 또한 의류의 건조가 진행되고 100%의 건조율이 된 시점에서, 압축기(B31), 팬모터(B28)가 단전되고, 건조 운전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균 행정시에서도 압축기(B31)가 저능력이기는 하지만 운전을 계속하고 있으므로, 제균 행정 후의 히트 펌프(B33)의 고능력 운전시에서의 증발기(B29), 응축기(B30)의 냉각, 가열의 기동 시간이 단시간이어도 된다.
<제 8 실시 형태>
도 19 및 도 20은 제 8 실시 형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 8 실시 형태는 제균 행정시에 건조실내에 적극적으로 습한 공기를 공급하여 습열 분위기를 생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 덕트(B19) 내의 응축기(B30)의 상부에는 급수 수단으로서의 다공의 편평 케이스(B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급수 케이 스(B9) 내에는 급수 밸브(B8)와는 별도의 급수 밸브(B4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편평 케이스(B47)와 급수 밸프(B48) 사이가, 튜브(B49)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B41)는 건조율 100%를 검출하면, 제균 행정을 개시한다. 상기 제균 행정은 압축기(B31)를 단전하여 히트 펌프(B33)의 운전을 정지시키고 또한 댐퍼 장치(B36)를 배기구(B35)로부터의 배출 공기량이 그때까지 보다도 많아지는 방향,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전 폐쇄 상태로 전환하고, 또한 급수 밸브(B48)에 통전하고, 그리고 PTC 히터(B40)에 통전함으로써 실시된다.
급수 밸브(B48)가 통전되면, 수돗물이 상기 급수 밸브(B48)로부터 평편 케이스(B47)로 공급되고, 또한 편평 케이스(B47)의 도시하지 않은 소구멍군으로부터 적하되어 응축기(B30)에 쏟아져 들어간다. 그리고, PTC 히터(B4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응축기(B30)를 통과할 때, 응축기(B30)에 들어간 물이 증발하고, 습기를 포함한 열풍이 되어 회전조(B3)내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회전조(B3) 내가 습열 분위기가 되고 제균 효과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제균 행정은 온풍 출구측 온도 센서(B45)의 검출 온도가 60℃ 이상이 된 시점(t7시점)으로부터 20분을 경과한 지점(t8 시점)에서 종료한다. 또한, 제균 행정 중, 편평 케이스(B47)로부터 적하된 물 중 증발되지 않고 통풍 덕트(B19)의 저면에 적하된 물은 도시하지 않은 탱크에 저장되고 배수 펌프에 의해 세탁기 밖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도시한 제 1 실시 형태나 제 2 실 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횡축형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조 및 회전조를 종축 형상으로 갖는 종축형이어도 좋고, 건조실은 회전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세탁 건조기에 한정되지 않고, 건조 기능만을 갖는 의류 건조기에 적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댐퍼 장치(B36)는 배기구(B35)의 개방도를 조절함으로써 통풍로(B17)로부터 외부에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정하는 것이어도 좋고, 건조율 검출수단은 온풍 입구(B16)와 온풍 출구(B15)의 온도차에 의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균 행정시에 댐퍼 장치(B36)를 통과하여 통풍 덕트(B19) 내를 흐르는 공기에 대해서 증발기(B29)에서 냉각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 배기구(B35)의 위치는 외부 공기 도입구(B39)의 상류측이면 어느 곳이어도 좋고, 외부 공기 도입구(B39)로부터 통풍 덕트(B19) 내에 도입된 공기에 의해 응축기(B30)를 냉각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외부 공기 도입구(B39)의 위치도 증발기(B29)와 응축기(B30) 사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세탁 기능은 없어도 좋고, 히트 펌프에 의한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 건조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시한 전체의 종단측면도,
도 2는 히트 펌프의 사이클 구성도,
도 3은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
도 4는 건조 운전시의 건조실 내의 온도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4 상당도,
도 6은 건조 운전후의 증발기의 표면 수분량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 1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실시 형태(건조 운전의 코스별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실시 형태(검지 외부 공기 온도별 제어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 상당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댐퍼 장치를 완전 개방한 상태에서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 측면도,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의 댐퍼 장치를 완전 폐쇄한 상태에서의 세탁 건조기의 종단 측면도,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의 히트 펌프의 사이클 구성도,
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제 2 실시 형태의 건조 운전의 타임차트,
도 15는 제 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건조 운전의 타임차트,
도 16은 제 2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건조 운전의 타임차트,
도 17은 제 2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건조 운전의 타임차트,
도 19는 제 2 실시 형태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세탁 건조기의 종단측면도, 및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실시 형태의 건조 운전의 타임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3, B3: 회전조(건조실) A25, B26: 순환용 송풍기
A30: 통풍로 A33: 순환 장치
A34, B29: 증발기 A35: 응축기
A36, B31: 압축기 A37: 스로틀기
A38, B33: 히트 펌프 A40, B39: 외부 공기 도입구
A41, B40: PTC 히터(가열 부재) A42: 토풍로
A43: 전환 댐퍼(풍로 전환 장치) A46: 토출용 송풍기
A59: 수위 센서(온도 검지 수단) B15: 온풍 출구
B16: 온풍 입구 B30: 응축기
B35: 배기구 B36: 댐퍼 장치
B41: 제어 장치(건조율 검출 수단)
B44 및 B45: 온풍 입구측 및 온풍 출구측의 온도 센서(건조율 검출 수단)
B47: 편평 케이스(급수 수단) B48: 급수 밸브

Claims (10)

  1. 건조실과, 상기 건조실의 공기를 순환용 송풍기에 의해 건조실외로 보내고, 통풍로를 통해 건조실로 복귀시키는 순환을 실시시키는 순환 장치와, 상기 순환 장치의 상기 통풍로에 증발기와 응축기를 설치하고, 이들과 압축기 및 스로틀기를 압축기, 응축기, 스로틀기, 증발기 및 압축기순으로 접속함으로써 냉동 사이클을 구성한 히트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 장치에 의한 건조실 공기의 순환과 상기 히트 펌프에서의 냉매의 순환에 의해 의류를 건조시키는 건조 운전을 실시하는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의 증발기 설치 부분과 응축기 설치 부분과의 사이 부분에 외부 공기 도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외부 공기 도입구에 상기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에 도입되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건조 운전의 초기에 외부 공기를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하면서 상기 통풍로에 도입하는 제어를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로부터 기기외로 통하는 토풍로를 구비하고, 또한 이 토풍로와 상기 통풍로의 연통, 차단 및 상기 통풍로의 순환 장치의 연통, 차단을 하는 풍로 전환 장치 및 상기 토풍로를 통한 토풍을 하는 토출용 송풍기를 구비하고,
    외부 공기 도입구에 설치된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하면서 도입한 공기를 토풍로를 통해 기기외로 토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 도입구에 설치된 가열 부재의 발열을 건조 운전 종료 후에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 도입구에 설치된 가열 부재의 발열을 건조 운전의 코스별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공기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외부 공기 도입구에 설치된 가열 부재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에 설치되고, 상기 통풍로 내를 통류하는 공기를 상기 통풍로 외로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댐퍼 장치,
    상기 통풍로에 상기 배기구보다도 하류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통풍로 외의 공기를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하는 도입구, 및
    상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건조실내의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하는 건조율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건조율이 소정값 이상이 될 때, 배기구로부터 통풍로 외로 배출되는 공기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댐퍼 장치를 동작시키고, 또한 가열 부재에 통전하여 발열시켜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8. 제 6 항에 있어서,
    건조실 내의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하는 건조율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건조율이 소정값 이상이 될 때, 히트 펌프를 정지시키고, 또한 배기구로부터 통풍로 외로 배출되는 공기량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댐퍼 장치를 동작시키고, 또한 가열 부재에 통전하여 발열시켜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소정 시간 후,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외로 배출되는 공기량이 감소되는 방향으로 상기 댐퍼 장치를 동작시키고, 또한 상기 히트 펌프를 재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건조실 내의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하는 건조율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히트 펌프는 능력 가변형이며, 배기구는 증발기보다도 상류측에 위치하여 설치되고,
    상기 건조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건조율이 소정값 이상이 될 때, 상기 히트 펌프를 저능력 운전으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건조실로부터 통풍로로 보내진 공기의 일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통풍로 외로 배출되고, 나머지가 그대로 통풍로를 통과하도록 댐퍼 장치를 동작시키고, 또한 가열 부재에 통전하여 발열시켜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내로 도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고,
    소정 시간 후, 상기 가열 부재의 발열을 정지시키고, 또한 상기 히트 펌프를 고능력 운전으로 전환하고, 또한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외로 배출되는 공기량이 적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댐퍼 장치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건조실 내의 의류의 건조율을 검출하는 건조율 검출 수단, 및
    외부 공기 도입구 보다도 하류측에서 통풍로 내로 급수되는 급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건조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건조율이 소정값 이상이 될 때, 배기구로부터 통풍로 외로 배출되는 공기량이 많아지는 방향으로 댐퍼 장치를 동작시키고, 또한 가열 부재에 통전하여 발열시켜 외부 공기 도입구로부터 상기 통풍로 내 로 도입된 공기를 가열하고, 또한 상기 급수 수단에 상기 통풍로 내로의 급수를 실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
KR1020080013876A 2007-02-16 2008-02-15 의류 건조기 KR100977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6240A JP4388088B2 (ja) 2007-02-16 2007-02-16 衣類乾燥機
JPJP-P-2007-00036240 2007-02-16
JP2007150365A JP4384203B2 (ja) 2007-06-06 2007-06-06 衣類乾燥機
JPJP-P-2007-00150365 2007-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829A KR20080076829A (ko) 2008-08-20
KR100977926B1 true KR100977926B1 (ko) 2010-08-24

Family

ID=3987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876A KR100977926B1 (ko) 2007-02-16 2008-02-15 의류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677B1 (ko) * 2017-04-18 2020-07-29 주식회사 에어로네트 음압식 공기제트 의류 건조기 제어방법
CN109295653B (zh) * 2017-07-24 2022-02-18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洗干一体机的冷凝器及洗干一体机
CN114525666B (zh) * 2020-10-30 2023-10-27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的连接组件以及衣物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965A (ja) * 2003-02-07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JP2006149459A (ja) * 2004-11-25 2006-06-15 Aruze Corp 遊技機
JP2007082830A (ja) *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6965A (ja) * 2003-02-07 2004-08-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JP2006149459A (ja) * 2004-11-25 2006-06-15 Aruze Corp 遊技機
JP2007082830A (ja) * 2005-09-22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6829A (ko) 2008-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552B1 (ko) 의류 건조기
JP4388088B2 (ja) 衣類乾燥機
JP4976965B2 (ja) 衣類乾燥機
US20180030643A1 (en) Washing drying machine having heat pump and drying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JP5251173B2 (ja) 除湿加温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乾燥装置
JP2008220817A (ja) 洗濯乾燥機
US1018420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09526A (ja) 衣類乾燥機
JP6239846B2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JP2006116004A (ja) 乾燥機、洗濯乾燥機およびそれらの運転方法
US10995448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a condenser
JP4384203B2 (ja) 衣類乾燥機
JP2013244171A (ja) 衣類乾燥機
JP2008220814A (ja) 乾燥機
JP2009034409A (ja) 衣類乾燥機
KR100977926B1 (ko) 의류 건조기
JP2011087623A (ja) 衣類乾燥機
JP5965848B2 (ja) 洗濯乾燥機
JP4690936B2 (ja) 衣類乾燥機
JP4795871B2 (ja) 衣類乾燥機
JP2013179953A (ja) ヒートポンプ式乾燥機
JP2013153934A (ja) 衣類乾燥機
JP2011120746A (ja) 衣類乾燥機
JP2009240737A (ja) 衣類乾燥機
JP2010194027A (ja) 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