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682A -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 Google Patents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682A
KR20120015682A KR1020100077995A KR20100077995A KR20120015682A KR 20120015682 A KR20120015682 A KR 20120015682A KR 1020100077995 A KR1020100077995 A KR 1020100077995A KR 20100077995 A KR20100077995 A KR 20100077995A KR 20120015682 A KR20120015682 A KR 20120015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bees
beehive
diaphrag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9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9018B1 (en
Inventor
김문성
Original Assignee
김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문성 filed Critical 김문성
Priority to KR1020100077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018B1/en
Publication of KR2012001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6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0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9/00Rearing-boxes; Queen transporting or introducing c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PURPOSE: A beehive container enabling users to raise each queen bee in separated beehives is provided to improve the harvesting amount of honey using separated internal spaces. CONSTITUTION: A beehive container for raising two queen bees with one container includes a bottom board(500), a supporter, a main container(100), a connection member, and a cover(700). The bottom board includes outlets formed on both sides of a fixing stand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board. A fixing groove is installed in between the outlets. Guiding plat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board. A protrusion to be fitted to the fixing groov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er. A partition groove is formed on the main container. The connection member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main container.

Description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본 발명은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벌통 내부를 격판으로 분리하고, 그에 따라 각각의 입구를 형성하며, 분리되어진 벌통의 내부를 벌들이 소통하지 못하도록 하여 분리된 벌통에 각각의 여왕벌을 두어 양봉할 수 있는 벌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ehive for raising two bees in a group, and more specifically, to separate the inside of the conventional beehive with a plate, thereby forming each inlet, and to prevent the bees from communicating inside the separated beehive It is about a beehive that can bee keep each queen bee in a separate hive.

일반적으로 양봉이란 일벌들이 꽃꿀을 수집하여 벌집에 저장한 꿀벌의 식량인 벌꿀의 몸 안에 있는 전화효소의 적용으로 자당이 과당과 포도당으로 변하여 사람에게 유익한 식품인 벌꿀을 생산하는 산업이다.In general, beekeeping is an industry that produces honey, a food beneficial to humans, by turning sucrose into fructose and glucose by the application of a telephone enzyme in the body of honey, which is the food of honey bees that worker bees collect and store flower honey.

상기한 꿀벌은 산란만을 하는 한 마리의 여왕벌과 여왕벌과의 교미를 위한 숫벌과 봉군의 운영에 필요한 모든 일을 맡아 하는 일벌이 한 무리로 구성된다.The bees consist of one queen bee that only spawns, a bee for mating with the queen bee, and a group of worker bees that take care of all the work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bong.

상기와 같은 꿀벌의 습성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꿀벌의 서식지인 벌통을 제공하고, 벌집에 저장되는 꿀을 채밀기를 사용하여 채취하게 된다.By using the habit of the bees as described above artificially provide a beehive beehive habitat, the honey stored in the honeycomb is collected by using a plunger.

상기한 벌통은 주로 송판이나 나왕 판으로 직사각형의 나무상자를 만들어 그 안에 벌집을 인공적으로 만들어 벌들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며, 상기 벌통이 하나 있는 것을 단상이라고 하고 두 개를 겹쳐서 만드는 것을 계상이라고 하고, 벌통의 밑판은 벌통의 원 몸체보다 3 ~ 5cm 정도 앞으로 나오게 하여 벌들이 드나드는 작은 출입구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모든 벌통은 꽃과 꿀이 많아 밀원이 풍부한 5월말이나 6월초에 해당하는 유밀기에 새로운 일벌들이 많이 태어나고 유밀이 왕성해지면 봉군의 세력이 크게 불어나 여왕벌은 더 이상 알을 낳을 곳이 없어지는 한편, 일벌들은 꿀이나 꽃가루를 저장할 장소의 제한을 받게 되어 새로운 여왕벌을 만들어 분봉에 나서게 되는 꿀벌의 습성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따르는 것이었다.
The beehives are mainly made of pine or nawang plate to make a rectangular wooden box and artificially make a beehive in it to provide habitat for bees. The bottom plate of the hive comes out 3 to 5 cm ahead of the original body of the hive, forming a small entrance to the bees. However, all the existing beehives are rich in flowers and honey, and there are a lot of new worker bees born in milk in late May or early June. On the other hand, worker bees were limited in the places where they store honey and pollen, and they were una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bee's habit of producing new queen bees.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벌통을 다단으로 적재하여 충분한 활동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자연적인 분봉을 막을 수 있으나, 이 경우 반드시 일벌들의 수요증가가 뒤따라야만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natural distribution by loading the beehives in multiple stages and providing sufficient activity space, but in this case, the demand for worker bees must be followed.

그러나 종래에는 통상 1군 1왕벌의 체제를 이룸으로서 하나의 여왕벌로는 정작 수밀작업을 하는 일벌들의 증식에 한계가 있어 유밀기에 품질이 우수한 양질의 벌꿀을 대략으로 생산할 수 없어 양봉 경영에 어려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in the past, a queen bee has a system of 1 queen bee, and one queen bee has a limitation in the growth of worker bees who work watertightly. There is a situation.

또한, 종래에는 제일 밑단의 벌통이 밑판과 결착되어 있어 제일 밑단의 채집을 못하고, 계상된 벌통의 채집만으로 벌꿀을 수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conventionally, the beehive at the bottom of the hem is bound to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harvest at the bottom of the hem cannot be collected, and the honey must be harvested only by collecting the beehi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본체통과 결합되는 밑판의 일 측에 각각의 출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출입구의 사이에 상부에 끼움 하여 결합되는 본체통의 내부에도 격판으로 각각의 출입구와 일치하도록 분리시켜 내부에는 여왕벌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리된 각각의 내부공간에 다량의 꿀을 채집할 수 있으며, 다수의 본체통을 상하 교환할 수 있어 다량의 벌꿀을 채집할 수 있는 물건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Each doorwa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base plate coupled with the main body cylinder, and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between the doorways, and separated into the diaphragm to match the respective doorways with a diaphragm, so that the queen bee is placed inside. Therefore, a large amount of honey can be collected in each of the separated inner spaces, and a plurality of main bodies can be exchanged up and down to provide an object capable of collecting a large amount of hone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일 측면에 구성된 고정대의 양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의 사이에 고정 홈이 형성된 밑판과 일 측에는 상기 밑판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움 하여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와 상부에는 홈이 구성된 받침대와 내부에 상호 대응하는 격판 홈이 형성된 본체통과 상기 본체통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연결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본체통의 상부에 끼움 하여 결합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Doo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stand formed on one side, and the bottom plate formed with a fixing groove between the doors and a 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fixing plate formed on the bottom plat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the inside of which the groove is form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ain body formed with a diaphragm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cover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통의 상부에는 테두리로 된 띠방이 형성되고, 테두리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끼움 되는 밑판과 분리판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ylinder is formed with a strip of rim, the upper portion of the rim is formed, the low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er to be caught on the bottom plate and the separation plate to be fitted.

상기 연결부재에는 본체통의 격판 홈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격판과 양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되 일 측에는 상기 격판을 끼움 할 수 있는 끼움 홈이 구성된 격판받침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diaphragm which is coupled to the diaphragm of the main body and a diaphragm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one side of the diaphragm includes a diaphragm configured to fit the diaphragm.

상기 본체통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본체통을 끼움 하여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분리판을 사용하여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ain body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nfigured in a multi-stage us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that can be connected by fitting the respective main body.

본 발명에 따른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에 의하면, 본체통의 내부를 격판으로 분리하여 1군에 2왕벌을 키우도록 하여 산란의 증가를 통해 일벌들을 충분하게 증식함으로써 벌꿀의 채집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밑판에 끼움 하여 연결된 본체통과 다단으로 구성된 본체통을 상호 교환을 할 수 있어 다량의 벌꿀을 채집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자연적인 분봉을 방지하여 일벌들의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어 유밀기에는 품질이우수한 양지의 벌꿀을 생산하는 등 효과가 큰 발명이다.
According to the beehive for raising two bees to the first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eparati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nto a plate to raise the two bees to the first group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honey bees through the increase of spawning to improve the collection of honey It can be connected to the base plate and the main body consisting of multi-stage can be exchanged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honey, thereby preventing the natural distribution and increase the demand of worker bees. It is an invention with great effect, such as producing good quality hone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받침대와 밑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받침대와 연결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the base plate which is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받침대와 밑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받침대와 연결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the base plat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demonstrates together as sectional drawin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 측면에 구성된 고정대(510)의 양측으로 출입구(530)(530‘)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530)(530’)의 사이에 고정 홈(520)이 형성된 밑판(500)과 일 측에는 상기 밑판(500)에 형성된 고정 홈(520)에 끼움 하여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210)와 상부에는 홈(220)이 구성된 받침대(200)가 구성되며, 내부에 상호 대응하는 격판 홈(140)이 형성된 본체통(100)과 상기 본체통(100)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연결되는 연결부재(300) 및 상기 본체통(100)의 상부에 끼움 하여 결합되는 덮개(700)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진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3, the doorway (530, 530 ')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stand 510 is configured on one side, between the doorway (530, 530') A base 200 having a fixing groove 520 and a protrusion 210 that can be fitted into one side and a fixing groove 520 formed on the bottom plate 500 and a groove 220 formed thereon. Is formed, and the connecting member 3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the diaphragm 140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formed there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700 that is fitted by fitting.

상기 본체통(100)의 상부에는 테두리로 된 띠방(110)이 형성되고, 테두리의 상부에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끼움 되는 밑판(500)과 분리판(600)에 걸릴 수 있는 걸림대(130)가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본체통(100)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본체통(100)을 끼움 하여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분리판(600)을 사용하여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분리판(600)을 사용하여 본체통(100)을 다단으로 구성하였을 시에는 분리판(600)의 내측에 중공부(h)가 생성되도록 하여야 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rim band 110 is formed, the upper portion of the edg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120, the lower can be caught in the bottom plate 500 and the separating plate 600 is fitted. Hanger 130 is to be configured.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it should be to be configured in a multi-stage by us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600 that can be connected by fitting the respective main body (100). In addition, when the main body 100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separating plate 600, the hollow portion (h) should be generated inside the separating plate 600.

상기 연결부재(300)에는 본체통(100)에 상호 대응하도록 형성된 격판 홈(140)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격판(310)과 양측에는 걸림부(330)(331)가 형성되되 일 측에는 상기 격판(310)을 끼움 할 수 있는 끼움 홈(340)이 구성된 격판받침대(320)가 포함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 connecting member 300 has a partition plate 310 coupled to the partition groove 140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ain body 100 and the engaging portions 330 and 331 on both sides, the one side of the partition plate ( It is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ate 320 is configured with a fitting groove 340 that can be fitted 310.

상기 밑판(500)의 하단에는 벌통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통풍구(540)가 있고, 배면에는 본체통(100)의 내부에 격판(310)으로 분리되는 만큼 구성되는 보조출입구(560)(560‘)가 구성되어야 한다.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plate 500 there is a vent 540 for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beehive, the rear side has an auxiliary entrance 560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a diaphragm 310 in the interior of the main barrel 100 ( 560 ') should be constructed.

상기 밑판(500)에 형성된 가이드판(550)과 본체통(100)에 형성된 걸림대(130)에는 지지 홈(551)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홈(551)에 끼움 하여 연결되는 핀(800)이 포함되어 구성되도록 하여야 한다.
A guide groove 551 is formed in the guide plate 550 formed on the bottom plate 500 and the hanger 130 formed on the main body cylinder 100, and a pin 800 connected to the support groove 551 is inserted thereinto. It should be included and configured.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Referring to the action according to the beehives to raise two bees to the present inventors 1 group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설명하면,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밑판(500)의 일 측면에 고정대(51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대(510)의 양측으로 벌들의 출입구(530)(530‘)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출입구(530)(530‘)는 손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양측으로 구성된 출입구(530)(530‘)의 사이에는 고정 홈(520)이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밑판(500)의 내부에서 끼움 하여 결합되는 받침대(200)의 돌출부(2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First, a fixing stand 510 is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base plate 500, and entrances 530 and 530 ′ of bees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xing stand 510, and the entrances 530 and 530 ′ are provided. It should be configured to allow manual opening and closing. A fixing groove 520 is formed between the entrances 530 and 530 ′ formed at both sides, and the protrusion 210 of the pedestal 200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plate 500 may be coupled. Should be available.

상기 받침대(200)가 고정 홈(520)에 끼움 하여 결합된 밑판(500)의 상부로 본체통(100)을 끼움 하여 결합 시 상기 본체통(100)의 양측에 구성된 걸림대(130)에 걸리도록 구성되어야 한다.The pedestal 200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520 so that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500 coupled so that the pedestal 200 is caught by the hooks 1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It must be constructed.

이때 상기 밑판(500)에 형성된 가이드판(550)과 본체통(100)에 형성된 걸림대(130)에는 지지 홈(551)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 홈(551)에 핀(800)을 끼움 하여 연결하여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밑판(500)과 본체통(100)의 연결 시 본체통(100)이 밑판(5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upport plate 550 is formed in the guide plate 550 formed in the bottom plate 500 and the hanger 130 form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 pin 800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551. Is to connect and hang. This serves to prevent the main body 10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plate 500 when the base plate 500 and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그리고 상기 본체통(100)의 내부에 상호 대응하며 형성된 격판 홈(140)에 격판(310)이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격판(310)의 상부에 끼움 하여 결합되는 격판받침대(320)에 형성된 끼움 홈(340)에 결합하면 연결부재의 연결이 완성되는 것이다.
The diaphragm 310 is slidably coupled to the diaphragm 14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iaphragm 310 is formed on the diaphragm 320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310. When coupled to the fitting groove 340 is the connec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is completed.

상기와 같이 밑판(500)과 본체통(100)의 조립이 완성된 상부에 덮개(700)를 결합하여 1단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벌통은 많은 양의 채집을 위해 본체통(100)을 다단으로 사용하기에 상기 조립이 완성된 본체통(100)에 덮개(700)를 결합하지 아니하고 분리판(600)을 본체통(100)의 상부에 테두리형식으로 형성된 띠방(110)으로 인해 형성된 돌출부(120)에 맞게 끼움 하여 결합하고, 상단에 구성되는 본체통(100‘)은 분리판(600)에 끼움 하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ver plate 700 may be used in the first stage by assembling the cover 700 to the upper part where the assembly of the base plate 500 and the main body 100 is completed, but the beehive generally uses the main body 100 for collecting a large amount. Protruding portion formed by the band chamber 110 formed in the frame ty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cylinder 100 without the cover 70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cylinder 100, the assembly is completed for use in multiple stages Fit by fitting to the 120, the main body 100 'configured on the top is to be fitted to the separation plate 600 to combine.

상기와 같이 분리판(600)을 사용하여 본체통(100)을 다단으로 구성하였을 때 분리판(600)의 내측에는 중공부(h)가 생성되도록 하여야 한다.When 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using the separator plate 600 as described above, the hollow portion h must be generated inside the separator plate 600.

상기 중공부(h)는 본체통(10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120)와 본체통(100‘)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대(130’)의 하부의 돌출된 부분에 끼움 하여 결합되었을 때 돌출부(120)와 걸림대(130‘)의 하부 돌출된 부분과의 틈을 나타내는 것이다.The hollow portion (h) is a protrusion (12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protrusion when the fitting portion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nger (130 ')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120 and the gap between the bottom protruding portion of the hanger 130 '.

이는 본체통(100)과 본체통(100‘) 사이에 틈을 두어 벌들이 끼움 되어 죽게 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작은 틈으로 인해 벌들이 죽게 되면, 죽은 벌들에게서 나오는 호르몬으로 인해 다른 벌들이 예민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This is to prevent the bees from being killed by placing a gap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body (100 '). When bees die due to small gaps, they are also used to prevent other bees from becoming sensitive to hormones from dead bees.

또한, 본체통(100)의 상부에 테두리형식으로 형성된 띠방(110)은 상부에 돌출부(120)를 형성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측 테두리로 일정 각을 형성하여 깎여져 있어 본체통(100)의 내부로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자연스럽게 하부로 흐르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elt chamber 110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n the form of a frame is cut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to the outer edge at the same time to form a protrusion 120 in the upper portion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Rainwater does not penetrate into the natural flow down.

그리고 상기 본체통(100) 상부에 결합된 격판받침대(320)와 대응하도록 격판받침대(320‘)를 구성하고, 격판받침대(320’)의 끼움 홈(340‘)과 상단의 본체통(100’) 내부에 형성된 격판 홈(140‘)에 격판(310’)이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격판(310‘)의 상부에 격판받침대(320’‘)의 끼움 홈(340’‘)이 끼움 될 수 있도록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aphragm 320 ′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diaphragm 3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fitting groove 340 ′ of the diaphragm 320 ′ and the main body tube 100 ′ of the upper portion are formed. The plate 310 'is slidingly coupled to the diaphragm 140' formed therein, and the fitting groove 340 '' of the diaphragm 320 ''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310 '. It can be combined to make it possible.

이렇게 다단으로 조립이 완성된 본체통(100‘)의 상부에 테두리형식으로 형성된 띠방으로 인해 형성된 돌출부(120’)에 맞게 끼움 하여 결합하도록 덮개(700)를 덮어주게 되면 본 발명인 1단으로 2왕벌을 키울 수 있는 벌통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When the cover 700 is covered to fit and fit to the protrusion 120 'formed by the strip formed in the form of a frame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cylinder 100', in which the assembly is completed in multiple stages, the second beeple in the first stage of the present inventors The assembly of beehives can be raised.

종래의 벌통은 조립을 하거나 계상을 하게 되면, 사이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그 틈으로 벌들이 죽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었다. 그로 인해 죽은 벌들이 페로몬을 발생하게 되는데, 그러한 페로몬으로 인해 다른 벌들이 난폭하게 되었는데, 본 발명은 조립 시 일체의 틈이 없도록 구성되어 있어 벌들이 죽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When the conventional beehive is assembled or engraved, a gap is generated between the beehives, and the bees die by the gap. As a result, dead bees generate pheromones, and other bees are violent due to such pheromones.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re is no gap during assembly, and thus the bees do not die.

본 발명은 크게 지지대 역할을 하는 밑판(500)과 메인인 본체통(100), 상기 본체통(100)을 다단으로 구성할 시 연결할 수 있는 분리판(600) 및 최상부에 구성되는 덮개(700)로 구성되되 밑판(500)과 덮개(700)를 제외한 본체통(100)과 분리판(600)을 사용하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 상부로 다단을 구성할 수 있는 큰 이점이 있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plate 500 and a main body cylinder 100, which serves as a large support, a separation plate 600 that can be connected when configuring the body cylinder 100 in a multi-stage and cover 700 is formed on the top The main plate 100 and the separation plate 600 except for the bottom plate 500 and the cover 700, which is configured as shown in Figure 7 has a great advantage that can be configured in a multi-st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will be.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인 받침대와 밑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설명하면, 일 측면에 구성된 고정대(510)의 양측으로 각각의 출입구(530)(530‘)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출입구(530)(530’) 사이에 고정 홈(520)이 형성되어 있는 밑판(500)에 일 측에는 상기 밑판(500)에 형성된 고정 홈(520)에 끼움 하여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210)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홈(220)이 형성된 받침대(200)를 끼움 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것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the bottom plat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entrances 530, 53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table 510 configured on one side, the respective entrances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500, the fixing groove 520 is formed between the (530) (530 ') is formed a protrusion 210 which can be fitted to the fixing groove 520 formed in the bottom plate 500. And, the upper portion is to be coupled to the pedestal 200 is formed with a groove (220).

여기서 받침대(200)는 일 측에만 돌출부(210)가 되어 있으며, 타 측에는 상기 밑판(500)의 고정대(510)와 마주하는 곳에 끼움 하여 결합하여 밑판(500)을 양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pedestal 200 has a protrusion 210 only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fitted to the position facing the fixing table 510 of the bottom plate 500 to combine the bottom plate 500.

또한, 상기 밑판(500)의 바닥 면에는 그물망(541)으로 덮여져 있으며, 벌통에서 발생하는 열을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황에 따라 열고 닫을 수 있는 통풍구(540)가 구성되어 있어 본체통(100)의 내부로 공기가 충분히 통풍될 수 있어 벌들이 죽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500 is covered with a net 541, the ventilating opening 54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circulat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beehive body main body 100 The air can be ventilated sufficiently to prevent the bees from dying.

상기 밑판(500)의 배면에는 본체통(100)의 내부에 격판(310)으로 분리되는 만큼 구성되는 보조출입구(560)(560‘)가 구성되어 있어 출입구(530)에 의해 새로운 왕벌의 교체 시에 한해서 선택적으로 개방을 할 수 있다.On the back of the base plate 500, the auxiliary entrances 560 and 560 'are configured to be separated by the diaphragm 310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when the new beeple is replaced by the doorway 530. It can be opened selectively.

상기 격판(310)에 의해 분리된 내부공간이 기존의 출입구(530)와 차단된 상태가 되면, 상기 보조출입구(560)(560‘)를 통해 새로운 일벌들이 출입하면서 수밀작업을 하는 등의 제 기능을 다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interior space separated by the diaphragm 310 is blocked from the existing entrance 530, the auxiliary entrances 560, 560 'through the new worker bees go in and out of water, such as a function Will be done.

새로운 왕벌에 의한 산란이 증가하게 되면, 기존의 왕벌을 인위적으로 분봉시킨 후 상기 격판(310)을 제거하면 분리된 내부공간에 서식하던 일벌들이 한무리로 합쳐져 합군을 이룰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보조출입구(560)(560‘)를 닫아주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spawning by the new bees increases, the artificial bees of the existing bees are removed, and then the diaphragm 310 is removed, and the worker bees inhabiting the separated inner space are combined into a group to form an alliance. By closing 560 and 560 ', confidentiality can be maintained.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받침대와 연결부재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설명하면, 밑판(500)에 결합되는 받침대(200)의 홈(220)에 상기 격판(310)을 끼움 하여 결합하고, 상기 격판(310)의 상부에 격판받침대(320)에 형성된 끼움 홈(340)이 끼움 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하는 것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edestal and the connecting member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tting the diaphragm 310 into the groove 220 of the pedestal 20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500, The fitting groove 340 formed in the plate 32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310 is to be coupled to be fitted.

또한, 상기 격판받침대(320)의 상부에 대응하도록 격판받침대(320‘)를 구성하고, 격판받침대(320’)의 끼움 홈(340‘)에 상기와 같은 격판(310’)을 끼움 하여 결합한 후 격판(310‘)의 상부에 상기 격판받침대(320’‘)의 끼움 홈(340’‘)을 끼움 하는 방식이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late plate 320 ′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plate 320, and the plate 310 ′ as described above is fitted into the fitting groove 340 ′ of the plate plate 320 ′ and then coupled. The fitting groove 340 ″ of the diaphragm 320 ″ is inserted into an upper portion of the diaphragm 310 ′.

이때 격판(310)의 길이는 끼움 홈(340)의 길이와 같게 하고, 격판받침대(32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330)(331)는 본체통(100)에 내부에 형성된 격판 홈(140)의 상부에 걸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diaphragm 310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itting groove 340, and the protrusions 330 and 331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iaphragm 320 are diaphragm grooves formed therein in the main body 100. Should be able to catch on top of 140.

상기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밑판(500)에서부터 상부로 순차적으로 끼움 하여 결합되는 받침대(200), 격판(310), 격판받침대(320), 격판받침대(320‘), 격판(310’), 격판받침대(320‘’)로 인해 본 발명의 본체통(100)(100‘) 내부를 완벽히 양분할 수 있어 벌들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여 싸움이 없도록 할 수 있으며, 1군에 2왕벌을 키울 수 있어 산란의 증가를 통해 일벌들을 충분하게 증식할 수 있어 벌꿀의 채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pedestal 200, the diaphragm 310, the diaphragm 320, the diaphragm 320 ′, and the diaphragm 200 which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late 500 sequentially from above and are coupled thereto. 310 '), plate plate 320''can completely dividing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bees from flowing, so that there is no fight, two bees to one group It is possible to raise the spawn through the increase of spawning enough to be able to improve the collection of honey.

100 : 본체통 110 : 띠방 120 : 돌출부
130 : 걸림대 140 : 격판 홈
200 : 받침대 210 : 돌출부 220 : 홈
300 : 연결부재 310 : 격판 320 : 격판받침대
330 : 걸림부 340 : 끼움 홈
500 : 밑판 510 : 고정대
520 : 고정 홈 530 : 출입구
540 : 통풍구 541 : 그물망
550 : 가이드판 551 : 지지 홈 560 : 보조출입구
600 : 분리판 700 : 덮개 800 : 핀
100: main body cylinder 110: strip chamber 120: protrusion
130: hanger 140: diaphragm groove
200: base 210: protrusion 220: groove
300: connecting member 310: diaphragm 320: diaphragm
330: catching portion 340: fitting groove
500: base plate 510: holder
520: fixed groove 530: doorway
540: vent 541: the net
550: guide plate 551: support groove 560: auxiliary entrance
600: Separator 700: Cover 800: Pin

Claims (7)

일 측면에 구성된 고정대의 양측으로 출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의 사이에 고정 홈이 형성되며, 양측에 가이드판이 형성된 밑판;
일 측에는 상기 밑판에 형성된 고정 홈에 끼움 하여 결합할 수 있는 돌출부와 상부에는 홈이 구성된 받침대;
내부에 상호 대응하는 격판 홈이 형성된 본체통;
상기 본체통의 내부를 가로지르며 연결되는 연결부재;
상기 본체통의 상부에 끼움 하여 결합되는 덮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Door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stand configured on one sid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doors, the bottom plate formed with guide plates on both sides;
A pedestal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protrusion and a groove form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protrusion being able to be coupled to the fixing groove formed at the bottom plate;
A main body tube formed therei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 connecting member connected acros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barrel;
A cover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coupling; Beehives raising two bees as a grou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통의 상부에는 테두리로 된 띠방이 형성되고, 테두리의 상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끼움 되는 밑판과 분리판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barrel is formed with a rim band, the upper part of the rim is formed with a protrusion, the lower part of the grou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ger to be caught on the bottom plate and the separating plate is composed of two king bees Raising Beeh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본체통의 격판 홈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되는 격판과 양측에는 걸림부가 형성되되 일 측에는 상기 격판을 끼움 할 수 있는 끼움 홈이 구성된 격판받침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 which is slid to the plate groove of the main body and a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and one side includes a plate plate consisting of a fitting groove for fitting the plate. Raising Beehiv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통은 다수로 구성될 수 있고, 각각의 본체통을 끼움 하여 연결할 수 있는 다수의 분리판을 사용하여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다단으로 구성될 시 분리판의 내측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main body can be composed of a plurality, it can be configured in a multi-stage using a plurality of separation plates that can be connected by fitting the respective main body, it is formed that the hollow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separation plate when the multi-stage A hive to raise two bees with one group to be characteriz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구성된 격판과 격판받침대는 다수로 구성되는 본체통에 따라 다수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The method of claim 2,
The beehives for raising two bees in one group,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phragm and diaphragm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configured in a plurality according to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하단에는 벌통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는 통풍구가 있고, 배면에는 본체통의 내부에 격판으로 분리되는 만큼 구성되는 보조출입구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has a vent for circulating the air inside the beehive, the back of the beehive to raise the two bees in a group,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a secondary entrance configured to be separated into a diaphragm inside the main body barre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에 형성된 가이드판과 본체통에 형성된 걸림대에는 지지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 홈에 끼움 하여 연결되는 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으로 2왕벌을 키우는 벌통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plate is formed in the guide plate formed in the bottom plate and the main body barrel is formed, the beehive to raise two bees in one group,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groove is connected to
KR1020100077995A 2010-08-12 2010-08-12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KR1012590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95A KR101259018B1 (en) 2010-08-12 2010-08-12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95A KR101259018B1 (en) 2010-08-12 2010-08-12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82A true KR20120015682A (en) 2012-02-22
KR101259018B1 KR101259018B1 (en) 2013-04-29

Family

ID=4583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995A KR101259018B1 (en) 2010-08-12 2010-08-12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018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3609A (en) * 2012-07-25 2012-11-07 陈盛禄 Ship/vehicle-mounted multi-queen beehive
CN103329822A (en) * 2013-06-06 2013-10-02 张�诚 Double anti-enemy beehive leg
KR101464461B1 (en) * 2014-07-31 2014-12-04 이지근 Beehive honey picking for Bong Sik beehives Assembly and Western honey bees beekeeping method
CN104813963A (en) * 2015-04-20 2015-08-05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Beehive fixing device
KR20190026556A (en) * 2018-07-05 2019-03-13 한영란 Honeycomb for beekeeping share with queen bee
KR102359025B1 (en) * 2020-11-23 2022-02-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뜨락 Multi-function box for beekeep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82B1 (en) * 2016-02-15 2016-09-06 조은호 Beehive having variable entran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4244B2 (en) 1996-12-12 1998-11-11 実治 小松 Honeycomb box with two groups
KR20040091972A (en) * 2003-04-23 2004-11-03 김향숙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KR200374037Y1 (en) * 2004-11-05 2005-01-27 한경섭 beehiv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3609A (en) * 2012-07-25 2012-11-07 陈盛禄 Ship/vehicle-mounted multi-queen beehive
CN102763609B (en) * 2012-07-25 2014-04-16 陈盛禄 Ship/vehicle-mounted multi-queen beehive
CN103329822A (en) * 2013-06-06 2013-10-02 张�诚 Double anti-enemy beehive leg
KR101464461B1 (en) * 2014-07-31 2014-12-04 이지근 Beehive honey picking for Bong Sik beehives Assembly and Western honey bees beekeeping method
CN104813963A (en) * 2015-04-20 2015-08-05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Beehive fixing device
CN104813963B (en) * 2015-04-20 2017-03-15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A kind of beehive fixing device
KR20190026556A (en) * 2018-07-05 2019-03-13 한영란 Honeycomb for beekeeping share with queen bee
KR102359025B1 (en) * 2020-11-23 2022-02-0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뜨락 Multi-function box for beekeep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018B1 (en) 2013-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9018B1 (en)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CN111418526B (en) Chinese bee beehive, honey cutting knife and honeycomb passing case strip
EP2888934B1 (en) Production device for queen bees and royal jelly
KR101464461B1 (en) Beehive honey picking for Bong Sik beehives Assembly and Western honey bees beekeeping method
KR101820068B1 (en) A clip-on beehive for honeybee
KR20200008182A (en) Bumblebee hive selection or box for progeny-queen mass production
CN107912330B (en) Application method of field-shaped beehive
CN104012430A (en) Combined n-type queen-isolating nest door
MX2012008469A (en) Bumblebee nest box.
KR200374037Y1 (en) beehive
KR102044366B1 (en) assembly type dispersion tool for queen bee
CN109692798B (en) Drone screening device and drone screening method
KR101348172B1 (en) Beehive
JP4191367B2 (en) Beehive for beekeeping
CN213719390U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beehive nest door
CN105900862B (en) It is sleeping to put formula trunk honeybee beehive
RU159830U1 (en) Beehive UNIVERSAL
CN208228063U (en) Swarming catching device
CN209151967U (en) A kind of high-quality sweet type combined lifting type beehive of volume production
KR20190142052A (en) A beehive entrance partitioning device having a beehive identification function for growing two queen bees on one beehive
CN217364263U (en) Prevent multi-functional beehive of wasp
KR20090025995A (en) Beekeeping a beehive
KR102476577B1 (en) A breeding segregation board with automatic bee-breeding device on both sides
WO2008087398A1 (en) Apparatus for a hive
KR200486296Y1 (en) Improved beegi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