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972A -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 Google Patents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972A
KR20040091972A KR1020030025768A KR20030025768A KR20040091972A KR 20040091972 A KR20040091972 A KR 20040091972A KR 1020030025768 A KR1020030025768 A KR 1020030025768A KR 20030025768 A KR20030025768 A KR 20030025768A KR 20040091972 A KR20040091972 A KR 20040091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hive
entrance
frame
entrances
rum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경섭
Original Assignee
김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숙 filed Critical 김향숙
Priority to KR102003002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1972A/en
Publication of KR20040091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972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23Q2/48Flint; Guides for, or arrangements of, fl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16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 F23Q2/161Lighters with gaseous fuel, e.g. the gas being stored in liquid phase with friction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23Q2/36Casings
    • F23Q2/38Casings with containers for flints or t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00Lighters containing fuel, e.g. for cigarettes
    • F23Q2/3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23Q2/46Friction wheels; Arrangement of friction wheels

Abstract

PURPOSE: A gateway structure of a wooden beehive is provided to keep best living conditions for a beehive of bees, prevent a swarming fever and increase bee products such as honey. CONSTITUTION: The gateway structure(1) of a wooden beehive comprises: a main body(10) consisting of a first frame(20) with a first entrance portion(21) formed at a lower center part and second and third entrance portions(23,25) formed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entrance portion(21) and a second frame(50) of a platy type having a ridge(51) formed integral with one lengthwise end of the first frame(20) and a recess portion(53) formed at a lower part; and a pair of control boards slidably disposed along the length of the recess portion(53)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10,20) and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to third entrance portions(21,23)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width thereof.

Description

벌통의 소문구조{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Gate structure of wooden beehives

본 발명은 양봉에 사용되는 벌통의 출입구, 즉 소문에 설치되는 벌통의 소문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벌통에서 꿀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유밀기시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벌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벌꿀 등의 봉산물을 증산시키게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used for beekeeping, that is, the beehive installed in the rumors, and in particular, while maintaining the optimum living conditions of the bees for the beehive by variably adjust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ees in the beehive It also relates to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which prevents the heat of division such as the deterioration of the bees' foreign activities during the milking, and makes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efficient,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bee products such as honey.

일반적으로 "양봉"이라 함은 벌꿀과 밀랍(bee wax) 등의 봉산물을 생산하기 위해 꿀벌들을 사양하는 일을 말한다. 이러한 양봉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벌통이 사용됨이 주지된 사실이다.In general, "beekeeping" refers to the specification of bees to produce bees, such as honey and beeswax (bee wax). It is well known that beehives are used in carrying out such beekeeping.

이러한 벌통은 통상 덮개로 개폐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 사각함체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 본체의 하부에는 내외부를 연락하는 출입구, 즉 소문이 형성되며, 이 출입구를 통하여 꿀벌들은 출입하며 인근의 밀원식물로부터 꽃꿀을 채집하여 본체의 내부 공간에 착탈되게 설치된 벌집, 즉 소비에 벌꿀 등을 저장하며 봉산물을 생산하게 된다.The beehive is usually composed of a body of a rectangular box that forms an inner spac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and at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 entrance, that is, a rumor,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rough which the bees enter and enter a nearby wheat plant. Flower honey is collected from the honeycomb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that is to store honey and the like in consumption to produce the bee products.

한편,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을 갖고 있어, 우리나라의 봉군의 상황은 계절의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즉, 밀원식물이 크게 번성하는 하절기에는 봉산물을 생산하기 위한 봉군이 크게 형성되는 시기(이하 "유밀기"라고 한다)인 반면, 밀원식물이 퇴보하는 동절기(이하 "무밀기"라고 한다)에는 다음 해(年)를 위한 봉군만을 관리하였다. 따라서, 계절의 변화에 따른 봉군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유밀기시에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였다.On the other hand, Korea has four distinct seasons, so the situation of Bonggun in Korea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change of seasons. In other words, during the summer season when the wheat plants flourish, the Bong-gun for the production of the bee product is largely form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oiltight"), while the winter season when the wheat plants degener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nsity") Only the army for the year was manag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Bong-gu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ason, and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 heat of division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bees' foreign activities, especially during the oil confinement.

또한, 꿀벌들은 생리적 특성상, 빛·계절·날씨·기온 등의 변화에 상당히 민감하고 추위에 매우 약하다. 따라서, 특히 동절기에는 꿀벌들에 대한 보온과 체력소모를 최소화하여 사봉율을 줄이도록 벌통의 관리가 매우 중요하였다.In addition, bees are very sensitive to changes in light, seasons, weather, and temperature due to thei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re very weak to cold. Therefore, the management of beehives was especially important in winter to minimize bee keeping by minimizing heat retention and stamina.

이에, 종래에는 벌통의 출입구에 판재를 못으로 박아 설치하여 계절 등의 변화에 따른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관리하였는데, 그러나 이는 출입구에 대한 그 조절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Thus, in the related art, a board was nailed and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beehive to manage bonbon, split heat or bee be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son, etc. However, this had a problem in that the adjustment for the entrance was not made correctly. .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75782호로 개시된 소상의 소문마개, 즉 벌통의 출입구인 소문에 소문마개를 소문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하여 소문을 조절하도록 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the rumor stopper disclosed in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75782, that is, the rumor stopper installed on the rumor that is the entrance of the beehive slides along the length of the rumor to install the rumor A structure for adjusting is disclosed.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26837호로 개시된 양봉용 입체소문은 벌통의 출입구에 출입부가 형성된 소문부재를 별도로 설치하고, 이 소문부재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출입부의 폭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설치하여, 이 조절부재가 삽입공을 따라 슬라이드되게 이동가능하며 소문부재의 출입부의 폭을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벌통의 출입구를 조절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beekeeping three-dimensional rumors disclosed in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26837 is provided with a separate gossip member formed in the entrance of the beehive, the adjustment member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entrance to the insertion hole formed on the top of the rumor member By installing the, the control member is movable so as to slide along the insertion hole and by adjusting the width of the entrance of the rumor member, there is disclosed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eehive.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98517호로 개시된 벌통의 소문구조는 벌통의 소문에 대해 출입구를 구비한 고정 프레임을 고정 설치하고, 이 고정 프레임의 후측으로 가변 프레임을 설치하되, 고정 프레임에 대해 가변적으로 이동되게 설치하여, 이 가변 프레임의 이동으로 의해 고정 프레임의 출입구를 조절하도록 한 구조이다.In addition,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disclosed 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98517 is fixed to the fixed frame having an entrance to the rumors of the beehive, and to the rear of the fixed frame to install a variable frame, It is installed so as to move variably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and it is a structure which adjusts the entrance and exit of a fixed frame by the movement of this variable frame.

그러나, 이와 같이 개시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175782호, 20-0226837호 및 20-0298517호의 소문구조는 벌통의 출입구를 조절하여 계절 등의 변화에 따른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어느 정도 관리하고는 있으나, 단순 구조로 인해 벌통의 출입구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고, 결국 봉산물을 증산시키는 데에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rumor structures of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s. 20-0175782, 20-0226837 and 20-0298517 disclosed in this way control the entrance and exit of beehives, bonbon fever or bee bumble be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son. Although the back is managed to some extent, due to its simple structure, there was a limit in precisely controllin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eehive, and thus, there was a problem in increasing the production of a bee product.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벌통에서 꿀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유밀기시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벌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벌꿀 등의 봉산물을 증산시키게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trol the entrance doors that honey bees in the beehive variably to maintain the optimum living conditions of bees for the beehive, It is to provide a rumor structure of beehives to prevent bee fever,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bees foreign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bee products such as honey by effectively us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가 벌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eehive;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에서 몸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in the rumor structure of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몸체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in FIG. 2;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몸체를 나타낸 정면도,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ody in FIG. 2;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에서 몸체에 1쌍의 조절판이 설치되어 제2 및 제3 출입부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ontrol plates are installed on the body in a rumor structure of a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lock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s;

도6은 도5에서 1쌍의 조절판이 제1 출입부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ontrol plates blocks a first entrance in FIG. 5;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가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eehive;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A-A선 부분 확대 단면도,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도9는 도 2에 있어서 몸체에 설치되는 차폐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eld installed in the body in Figure 2,

도10은 도9에서 몸체에 차폐구들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FIG.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shields are assembled to a body in FIG. 9;

도11은 도10의 상태로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Fig. 11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being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hive in the state of Fig. 10;

도12는 도3에서 몸체의 제1 끼움홈에 격리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is install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of the body in FIG. 3;

도13은 도12의 상태로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beehive is installed in the state of Fig. 12;

도14는 도13의 상태에서 몸체의 다른 제1 끼움홈들에 다른 격리판들이 각각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fferent separators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other first fitting grooves of the body in the state of FIG. 13;

도15는 본 발명에서 위치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sition adjust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16은 도15에 대한 위치조절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 16 is a partially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position adjusting tool for FIG. 15;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 10: 몸체1: rumor structure 10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20: 제1프레임 21: 제1출입부20: first frame 21: first entrance

23: 제2출입부 25: 제3출입부23: second entrance 25: third entrance

27: 설치홈 29: 턱부27: mounting groove 29: jaw

30: 돌편 50: 제2프레임30: stone 50: second frame

51: 턱 53: 홈부51: jaw 53: groove

55: 가이드 홈 60: 제1탄성편55: guide groove 60: first elastic sheet

70: 제1차폐구 71: 제2차폐구70: first shield 71

73: 제3차폐구 75: 돌부73: third shield 75: stone

77: 요홈 79: 홈77: home 79: home

80: 제1끼움홈 90: 위치조절구80: first fitting groove 90: position adjustment

91: 제2끼움홈 93: 제2탄성편91: second fitting groove 93: second elastic group

100: 조절판 200: 벌통100: throttle 200: beehive

210: 출입구 300: 격리판210: doorway 300: separator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는 양봉용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벌통용 소문구조에 있어서, 상기 벌통의 출입구에 삽입되는 크기 및 길이를 가지며 하부 중앙에 제1출입부가 형성되고 이 제1출입부의 좌우 양측으로 크기가 작은 제2 및 제3 출입부가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된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의 일측 길이단에 턱을 형성하며 일체로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제1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 모두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된 판상형의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제1 및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홈부의 길이를 따라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1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출입부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그 개폐폭을 조절하는 조절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umor structure for beehives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beehive beehive, having a size and length to be inserted into the entrance of the beehive and has a first entrance in the lower center The first and second access portions having small sizes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entrance and the first entrance, respectively, are formed at a distance, and are integrally formed by forming a jaw at one length end of the first frame and the first at the bottom. A body installed in the doorway of the beehive, including a plate-shaped second frame having a groove formed to receive all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of the frame; And a control plate installed in pairs so as to slide independently along the length of the groove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of the body an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and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width thereof.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이 구조에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몸체의 제2 및 제3 출입부를 차단함과 아울러 서로 맞닿으면 상기 몸체의 제1출입부를 차단하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structure, the control plate is preferably sized to block the second entrance and the third entrance of the body and to block the first entry and exit of the body when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 상기 몸체의 제1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는 벌통에 대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탄성편들이 각각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elastic pieces to maintain the inserted state for the beehive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frame of the body.

또, 상기 몸체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에는 대응하여 상기 벌통에 대한 내외부의 연락을 차폐하는 차폐구들이 분리되게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 the third access portion of the body is further provided to separate the shields for shielding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o the beehive.

또, 상기 제1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의 내측 윗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그 측면들의 각 선단부에는 턱부들이 더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차폐구에는 이 설치홈 및 턱부들과 대응하는 돌부 및 요홈들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n installation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of the first frame, and jaws are formed at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surfaces thereof, and in the shielding port,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s and the jaws are formed. And grooves are further formed.

또, 상기 몸체의 제1프레임의 타측 길이단에는 벌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 분할하여 그 구획 분할된 공간들을 격리시키는 격리판이 끼워지는 하나이상의 제1끼움홈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first fitting grooves are further formed at the other length of the first frame of the body to partition the inner space of the beehive and insert a separator to isolate the partitioned spaces.

또, 상기 몸체의 제1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출입부의 설치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상기 제1프레임과 동일 구조인 위치조절구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frame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beehive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frame of the body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and position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It is preferable to.

이러한, 본 발명은 벌통에서 꿀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유밀기시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벌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벌꿀 등의 봉산물을 증산시키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variably adjusts the entrances and exits of bees in the hive to maintain optimal living conditions for the hive, while preventing the heat of division such as deterioration of foreign activities of honey bees at the time of milk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can be used efficiently to provid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amount of bee products such as honey.

상기 목적 및 장점 그리고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dvantages and other features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가 벌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에서 몸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몸체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몸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에서 몸체에 1쌍의 조절판이 설치되어 제2 및 제3 출입부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6은 도5에서 1쌍의 조절판이 제1 출입부를 차단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가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8은 도7에 있어서의 A-A선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beehive,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in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shows the body in FIG. Figure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dy in Figure 2, Figure 5 is a rumored structur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control plates are installed on the body to block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s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ir of control panels blocked the first entrance in Figure 5,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doorway of the beehive, FIG. 8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통의 소문구조(1)는 벌통(200)의 출입구(210), 즉 소문에 설치되는 구조로, 몸체(10)와 이 몸체(10)에 설치되어 벌통(200)의 출입구(210)를 조절하는 조절판(100)으로 대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210, that is, rumors of the beehive 200, the body 10 and the beehive is installed on the body 10 It is roughly divided into a control panel 100 for adjusting the door 210 of the 200.

상기 몸체(10)는 제1프레임(20)과 제2프레임(50)으로 대별되며, 제1 및 제2 프레임(20,50)은 서로 일체화 된 구조로, 플라스틱으로 성형되거나 나무로 가공되어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내식성이 강하면서도 가벼운 알루미늄 등의 비금속재질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그러나, 대량 생산 및 저렴한 가격으로의 공급을 위해, 상기 몸체(10)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The body 10 is roughly divided into a first frame 20 and a second frame 50,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 and 5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are molded from plastic or processed into wood. Can be.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may be manufactured by being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aluminum while having strong corrosion resistance. However, for mass production and low cost supply, the body 10 is preferably made of plastic.

상기 제1프레임(20)은 상기 벌통(200)의 출입구(210)에 삽입되게 출입구 (2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제1프레임(20)은 상기 벌통(200)의 출입구(210)와 동일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프레임(20)을 사각모양으로 형성하였지만, 이는 단지 예시한 것으로 상기 벌통(200)의 출입구(21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The first frame 2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oorway 210 to be inserted into the doorway 210 of the beehive 200, for this purpose, the first frame 20 is the doorway of the beehive 200 ( 210 and the same size and length. Although the first frame 20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in the drawing, this is just an example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ntrance 210 of the beehive 200.

상기 제1프레임(20)은 하부에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을 구비하며, 이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은 벌통(200)에 대해 외부와 연락시켜 꿀벌들이 출입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frame 20 has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are provided to the beehive 200. It keeps the bee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제1출입부(21)는 제1프레임(2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고, 제2 및 제3 출입부 (23,25)들은 이 제1출입부(21)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즉 제1프레임(20)의 좌우 끝단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제2 및 제3 출입부(23,25)들은 제1출입부(21)보다는 작으면서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entry part 21 is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first frame 20, and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 parts 23 and 25 ar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trance part 21 at both left and right sides. That is, the left and right end portions of the first frame 20 are respectively formed.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s 23 and 25 may be smaller than the first entrance 21 and have the same size.

이와 같이, 제1프레임(20)에 대해 다수개의 출입부(21,23,25)들을 형성한 것은 하기와 같이 벌통(200)의 내부 공간의 분할 유무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s such, the plurality of entrances 21, 23, and 25 are formed in the first frame 20 to correspond to the division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200 as described below,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2프레임(50)은 판상형의 형태로써, 상기 제1프레임(20)의 일측 길이단에 일체로 설치되는데, 제1프레임(20)에 대해 턱(51)이 형성되도록 제1프레임 (20)보다 크게 설치된다. 이 턱(51)은 벌통(200)의 출입구(210)에 대한 제1프레임 (20)의 더 이상의 진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econd frame 50 is in the form of a plate,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t one side end of the first frame 20, so that the jaw 51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0. It is installed bigger than). The jaw 51 serves to prevent further entry of the first frame 20 into the entrance 210 of the beehive 200.

이와 같이, 제2프레임(50)은 제1프레임(20)에 대한 스토퍼의 역할과, 출입구 (210)에 형성될 수 있는 간극을 막아 빛 또는 냉기 등의 출입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제2프레임(50)의 하부에는 홈부(53)가 형성되며, 이 홈부(53)는 제1프레임(20)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 모두를 수용하는 크기로 형성된다.As such, the second frame 50 functions as a stopper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0 and blocks a gap that may be formed in the entrance and exit 210 to block entrance or exit of light or cold air. A groove 53 is formed below the second frame 50, and the groove 53 accommodates all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of the first frame 20. It is formed in size.

상기 조절판(100)은 제1 및 제2 프레임(20,50)의 사이의 위치에서 몸체(10)에 1쌍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설치된다. 즉, 제1 및 제2 프레임(20,50)의 사이에서 홈부(53)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홈(55)에 탈착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되며, 그 이동은 가이드 홈(55)을 따라 홈부(53)의 내에서 좌우로 슬라이드되게 이동된다.The adjusting plate 100 is installed to slide in a pair in the body 10 at a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 and 50.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0 and 50 are installed in such a way as to be detachably fitted in the guide groove 55 formed along the length of the groove portion 53, the movement of which is along the guide groove 55. It is moved so as to slide left and right in the groove portion 53.

상기 조절판(100)은 상기 제2 및 제3 출입부(23,25)들을 충분히 차단함과 아울러 서로 맞닿으면 제1출입부(21)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조절판(100)은 서로 독립적으로 슬라이드하게 이동하며 대응하는 제2 및 제3 출입부 (23,25)들을 차단시키며, 서로 맞닿아져 제1출입부(21)를 차단하게 된다.The control plate 100 is formed to have a size enough to block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s 23 and 25 and to block the first entrance 21 when contact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adjustment plate 100 slides independently of each other, blocks the corresponding second and third entrances 23 and 25, and abuts each other to block the first entrance 21.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이와 같은 구조로 벌통(200)의 출입구(210)에 삽입 설치되어 봉산물의 증산 및 꿀벌들의 사양을 위해 출입구(210)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그 개폐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entrance 210 of the beehive 200 in such a structure to open and close the entrance 2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width for the production of bee products and the specification of bees It can be adjusted.

즉,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계절, 날씨, 기온 등의 변화에 따라 벌통(200)의 내외부를 연락하는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을 조절판(100)으로 조절하게 하여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관리하게 한다.That is,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to contact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eehive 200 according to a change in season, weather, temperature, and the like. Control the beekeepers, division of fever or beekeepers.

예컨대,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유밀기시 꿀벌들이 상기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출입하도록 조절판(100)으로 조절하여 봉군을 관리하게 되며, 또한 유밀기가 끝나는 시점에서 꿀벌들의 출입을 제한하여 봉군열을 예방하게 한다. 한편, 무밀기시 벌통(200)의 내부로 냉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여 벌통(200)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한다.For example,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bee group by adjusting the control panel 100 so that honey bees enter or exit all or any one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during oiltightness. In addition, at the end of the oil seal, bees are prevented from entering by restricting honeybees from entering. On the other hand, by preventing the inflow of cold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beehive (200) during infertility to maintain the optimum living conditions of bees for the beehive (200).

또한,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에 의하면, 몸체(10)의 제1프레임(20)의 좌우 양측단에는 제1탄성편(60)들이 더 설치된다. 이 제1탄성편(60)들은 판상형으로, 제1프레임(20)에 대해 V자 모양이 되게 설치되며, 몸체(10)의 성형시에 함께 성형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piece 60 is further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frame 20 of the body 10. The first elastic pieces 60 are plate-shaped, are installed to have a V shape with respect to the first frame 20, and are molded together at the time of forming the body 10.

이러한 제1탄성편(60)들은 벌통(200)의 출입구(210)에 대한 제1프레임(20)의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벌통(200)에 대한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의 설치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또한, 제1탄성편(60)들은 벌통(200)의 이동시 또는 운반시 벌통(200)의 출입구(210)에서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의 이탈을 방지하게 한다.These first elastic pieces 60 to maintain the inserted state of the first frame 20 with respect to the entrance 210 of the hive 200, rumor structure (1) of the 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hive 200 ) Keep the installation state stable.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piece 60 prevents the departure of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entrance 210 of the beehive 200 during movement or transportation of the beehive 200.

도9는 도 2에 있어서 몸체에 설치되는 차폐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10은 도9에서 몸체에 차폐구들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11은 도10의 상태로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hield installed in the body in Figure 2, Figure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eld is assembled in the body in Figure 9, Figure 11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beehive in the state of Figure 10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상기 몸체(10)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에 대응하여 끼움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차폐구 (70,71,73)들을 더 구비한다. 이를 위해, 제1 내지 제3 차폐구(70,71,73)들은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과 동일 구조로 형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to third shields fitt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25 of the body 10 Further provided with spheres 70, 71, 73. To this end, the first to third shields 70, 71, and 73 are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corresponding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즉, 상기 제1차폐구(70)는 상기 제1출입부(21)에 끼움 설치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및 제3 차폐구(71,73)들은 대응하는 상기 제2 및 제3 출입부(23,25)에 끼움 설치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That is, the first shielding opening 70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that is fitted to the first access portion 21, and the second and third shielding openings 71 and 73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second and third openings. It is formed in a size and shape that is fitted to the third entrance (23, 25).

이러한 상기 제1 내지 제3 차폐구(70,71,73)들은 대응하는 상기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에 분리되게 설치되어 그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을 벌통(200)에 대한 내외부의 연락을 차폐시킨다.The first to third shields 70, 71 and 73 are separately installed on the corresponding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so that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25 shield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tact to the hive 200.

전술한 바와 같이, 꿀벌들은 추위에 상당히 약하기 때문에, 꿀벌들은 약한 냉기에도 쉽게 동사하게 되며, 또한 꿀벌들은 빛에 상당히 민감하기 때문에, 벌통의 내부에 빛이 조금이라도 스며들게 되면, 꿀벌들의 움직임은 활발해지고 때로는 벌통 밖으로 나오려고 하는 등의 체력 소모가 증가되어 꿀벌들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As mentioned above, bees are very susceptible to cold, and bees tend to be easily vulnerable to mild cold, and also bees are very sensitive to light, so if any light penetrates inside the beehive, the movements of the bees become active. Sometimes stamina is consumed, such as trying to get out of the hive, which shortens the bees' lifespan.

따라서, 제1 내지 제3 차폐구(70,71,73)들은 계절, 날씨, 기온 등의 변화에 따라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에 설치되어 벌통(200)에 대한 내외부의 연락을 차폐하여 벌통(200) 및 꿀벌들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한다.Therefore, the first to third shields 70, 71, and 73 are installed in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corresponding to changes in seasons, weather, temperature, and the like, and the beehive 200 Shield internal and external contacts for) to better manage beehives 200 and bees.

예컨대, 동절기, 즉 무밀기시 제1 내지 제3 차폐구(70,71,73)들이 대응하는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 모두에 설치되면 추위에 따른 냉기 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꿀벌들의 사봉율을 크게 방지하게 한다. 또한, 벌통(200)에 대한 빛의 유입을 차단하여 꿀벌들의 체력 소모 등을 크게 방지하게 함으로써 다음 해의 유밀기시 봉산물을 크게 증산시키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to third shields 70, 71, and 73 are installed in all of the corresponding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during the winter season, that is, during cold press, By blocking the influx, it maintains the optimum living conditions of the bees and thereby greatly prevents the bee's rounding rate. In addition, by blocking the inflow of light to the beehive 200 to greatly prevent the consumption of stamina of the bees to greatly increase the production of oil products during the next year's oil.

또한, 상기 몸체(10)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의 내측 윗면에 설치홈(27)을 형성하고 그 측면들의 각 선단부에 턱부(29)들을 더 형성함과 아울러, 제1 내지 제3 차폐구(70,71,73)들에서 이 설치홈(27) 및 턱부(29)들과 대응하는 돌부(75) 및 요홈(77)들을 더 형성함으로써, 제1 내지 제3 차폐구(70,71,73)들이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들을 더 안정되게 차폐하게 한다.In addition, the installation grooves 27 are formed on the inner upper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of the body 10, and the jaws 29 are further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side surfaces thereof. By further forming the protrusions 75 and the recesses 77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grooves 27 and the jaws 29 in the first to third shields 70, 71, and 73, The three shields 70, 71 and 73 allow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and 25 to be shielded more stably.

또한, 길이가 긴 제1출입부(21)의 설치홈(27) 내에 다수개의 돌편(30)을 더 형성하고, 이 제1출입부(21)에 끼워지는 제1차폐구(70)의 돌부(75)에 상기 돌편 (30)들에 대응하는 홈(79)을 더 형성함으로써, 제1차폐구(70)가 제1출입부(21)에 안정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제1출입부(21)를 더 안정되게 차폐하게 한다.Further, a plurality of protrusion pieces 30 are further formed in the installation grooves 27 of the first access part 21 having a long length, and the protrusion parts of the first shielding opening 70 fitted into the first access part 21 are formed. By further forming grooves 79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pieces 30 in the 75, the first shielding opening 70 is stably installed in the first entry portion 21 and the first entry portion 21. To shield more stably.

도12는 도3에서 몸체의 제1 끼움홈에 격리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도13은 도12의 상태로 벌통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4는 도13의 상태에서 몸체의 다른 제1 끼움홈들에 다른 격리판들이 각각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15는 본 발명에서 위치조절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16은 도15에 대한 위치조절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parator plate is install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 of the body in FIG. 3, FIG. 13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ehive is installed in the state of FIG. 12, and FIG. 14 is another view of the body in the state of FIG.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other separators are installed in the first fitting grooves, respectively,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 adjustment tool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상기 몸체(10)의 제1프레임(20)의 타측 길이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80)들을 더 구비한다(도2 참조). 도면에서는 3개의 제1끼움홈(80)들이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벌통(200)의 크기에 따라 증감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first fitting grooves 80 formed at the other length end of the first frame 20 of the body 10 (see Fig. 2). ). Although three first fitting grooves 80 are shown in the figure, they ar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ehive 200.

이러한, 제1끼움홈(80)들에는 격리판(300)이 입설되게 끼움 설치되며, 격리판(300)은 벌통(20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여 그 분할된 공간들을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fitting grooves 80 ar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eparator plate 300 is inserted therein, and the separator plate 300 serves to isolate the divided spaces by dividing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200.

예컨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가 벌통 (200)의 출입구(210)에 설치된 상태에서 몸체(10)의 제1프레임(20)의 중앙에 형성된 제1끼움홈(80)에 상기 격리판(300)이 설치되면, 벌통(200)의 내부 공간은 2개의 내부 공간(X,Y)으로 구획 분할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structu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frame 20 of the body 10 in the state in which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210 of the beehive 200 When the separator 300 is installed in the fitting groove 80,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200 is divided into two internal spaces X and Y.

이와 같이, 벌통(200)의 내부 공간이 2개로 구획 분할되면, 이 분할된 내부 공간(X,Y)들은 상기 출입부(21,23,25)들 중에서 특히 제2 및 제3 출입부(23,25)와 대응하게 된다. 물론, 제1출입부(21)의 일부위와도 대응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interior space of the beehive 200 is divided into two, the divided interior spaces X and Y are particularly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s 23, 23, 25. 25). Of course, a part of the first access portion 21 also corresponds.

따라서, 이 분활된 내부 공간(X,Y)들로 인해 상기 벌통(200)은 1군 2왕을 형성하여 봉산물을 크게 증산하게 한다. 즉, 내부 공간(X,Y)들에 여왕벌이 각각 사양되어 봉산물을 크게 증산한다.Therefore, due to the divided internal spaces (X, Y), the beehive 200 forms a first group and two kings,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peak product. That is, the queen bee is specified in the internal spaces X and Y, respectively, to greatly increase the product.

특히, 1군 2왕을 형성한 상기 벌통(200)의 내부 공간들에는 다수개의 벌집들이 비교적 좁은 간격을 두고 설치되기 때문에, 무밀기인 동절기시 벌통(200)의 내부 공간(X.Y)들에 대한 보온을 크게 향상시킴과 아울러, 꿀벌들에 대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소비를 작게 함으로써 꿀벌들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킨다.In particular, since the plurality of honeycombs are installed at relatively narrow intervals in the inner spaces of the beehive 200 forming the first group and two kings, the inner spaces XY of the beehive 200 during the winter season, which is a compact, Significantly improves warmth, while minimizing the movement of honey bee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greatly extending the life of honey bees.

이 상태로, 본 발명자가 동절기시 내부 공간(X,Y)들의 온도를 수차례 측정해 본 결과, 대략 35℃의 온도로 지속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하였고, 또한 새로운 꿀벌들이 종래보다 더 많이 산란됨을 알아 내었다.In this state, the inventors measured the temperature of the internal spaces (X, Y) several times during the winter season, and found that it was continuously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35 ° C, and also found that new bees spawn more than before. Came out.

따라서,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에 대한 격리판(300)의 설치로 밀원식물이 개화하는 시기에 맞추어 꿀벌들을 바로 일을 하게 하는 역봉을 만들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다량 산란으로 인한 새로운 꿀벌들의 증가로 유밀기시 봉산물이 크게 증산됨이 판명되었다.Therefore, by installing the separator 300 for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only easy to make a reverse rod that makes honeybees work immediately at the time of the flowering of wheat plants, but also due to the large amount of scattering. The increase in honeybees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production of sewage products.

한편, 나이가 들어 노련한 여왕벌(이하 "구왕"이라 한다)은 산란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에 그 세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봉산물의 증산을 위해 밀원식물이 개화하기 전에 이 구왕을 젊고 새로운 여왕벌(이하 "신왕"이라 한다)로 교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as a mature queen bee (hereinafter referred to as "King of Kings"), the ability to spawn is significantly reduced, thereby degrading its pow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place this old king with a young and new queen be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new king") before the wheat plants can bloom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bongsan.

예컨대, 밀원식물이 개화하기 전인 이 구왕들로 1군 2왕이 형성된 상기 벌통 (200)에서, 구왕들을 격리시키도록 상기 제1프레임(20)의 양단들에 위치한 다른 제1끼움홈(80)들에 다른 격리판(300)들을 각각 설치하면, 상기 구왕들은 내부 공간 (X,Y)에 각각 격리된다. 이때, 이 다른 격리판(300)들로 인해 새롭게 형성된 내부 공간(X',Y')들에는 신왕이 교미되어 각각 사양된다.For example, in the beehive 200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kings are formed by the two kings before the wheat plants bloom, the other first fitting grooves 80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20 to isolate the kings. If different separators 300 are installed in the field, the kings are isolated in the inner spaces (X, Y),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new king is mated to the internal spaces X 'and Y' newly formed by the other separators 300,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2∼3일이 경과된 후, 상기 구왕들을 내부 공간(X,Y)들로부터 빼내어 꿀벌들이 냄새를 맡지 못하도록 벌통(200)으로부터 약 4㎞이상 되는 원격지에 격리시킨 다음, 벌통(200)에서 상기 다른 격리판(300)들을 각각 제거하면, 벌통 (200)은 다시 1군 2왕되고, 꿀벌들은 신왕들의 아래에 놓이게 되면서 동화된다.After two or three days have elapsed in this state, the kings are removed from the internal spaces (X, Y) and isolated from the beehive 200 at a distance of more than 4 km to prevent the bees from smelling the beehives (200). By removing each of the other separators 300), the hives 200 are re-grouped, and the bees are assimilated while they are placed under the gods.

이 상태에서 아카시아꽃이 개화되면, 각 신왕들은 꿀벌들에게 일을 많이 시켜 이 아카시아 꽃꿀을 채취하게 하는 한편, 새로운 꿀벌들을 왕성하게 산란하여 봉군을 크게 형성하게 한다.When the acacia flowers bloom in this state, each god-king works on the honeybees to harvest the acacia nectar, while vigorously spawning new bees to form a great arm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벌통(200)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는 격리판(300)을 설치하게 하여 밀원식물이 개화하기 전, 즉 아카시아꽃이 개화하기 전에 구왕을 신왕으로 쉽게 교체하게 함으로써 봉산물을 크게 증산시키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 생산된 봉산물은 종래에 비해 1.5배이상 증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separator 300 to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200 to be installed, so that the king is before the flowering of the wheat plant, that is, before the acacia flower is blooming. By making it easy to replace it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ncreasing the product. The present inventors can confirm that the produced product produced in this manner is increased 1.5 times or m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벌통의 소문구조(1)는 몸체(10)의 제1프레임(20)과 동일 구조인 위치조절구(90)를 더 구비한다. 참조부호 91은 제1끼움홈(80)과 대향하며 격리판(300)을 끼우는 제2끼움홈을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93은 제1탄성편(60)과 동일 기능을 하는 제2탄성편을 나타낸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the rumor structure 1 of the beehiv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90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frame 20 of the body 10. Reference numeral 91 denotes a second fitting groove facing the first fitting groove 80 and sandwiching the separator 300, and reference numeral 93 denotes a second elastic piece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elastic piece 60. It is shown.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조절구(90)는 벌통(200)의 출입구(210)에 설치된 상기 몸체(10)의 제1프레임(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출입구(210)에 대한 제1 내지 제3 출입부(21,23,25)의 설치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게 한다.As shown in FIG. 16,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90 is installed at the lower side of the first frame 20 of the body 10 installed at the doorway 210 of the beehive 200, and is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oorway 210.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and position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21, 23, 25).

이러한 위치조절구(90)는 계절, 날씨, 기온 등의 변화에 따라 설치되어 봉군, 분봉열 또는 꿀벌들의 사봉율 등을 관리하게 하여 봉산물을 증산하게 하며, 특히 꿀벌들의 수에 따라 다수개로 설치된다.The position control unit 9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sons, weather, temperature, etc. to manage the Bongun, Bunbong fever or the beekeeper's rate of bees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bee products, in particular a number of bees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bees .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so far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s merely illustrativ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벌통에서 꿀벌들이 출입하는 출입구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게 하여 벌통에 대한 꿀벌들의 최적 생활조건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유밀기시 꿀벌들의 외역활동의 격감 등의 분봉열을 방지하게 함과 아울러 벌통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벌꿀 등의 봉산물을 증산시키게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bees to be variably controlled in and out of the beehive to maintain optimal living conditions for the beehive, while preventing the heat of fever, such as deterioration of foreign activities of honey bees during hermetic In add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is effectively us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bee products such as honey.

Claims (7)

양봉용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벌통용 소문구조에 있어서,In the rumor structure for beehives provided i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beehive, 상기 벌통의 출입구에 삽입되는 크기 및 길이를 갖으며 하부 중앙에 제1출입부가 형성되고 이 제1출입부의 좌우 양측으로 크기가 작은 제2 및 제3 출입부가 거리를 두고 각각 형성된 제1프레임과, 이 제1프레임의 일측 길이단에 턱을 형성하며 일체로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제1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 모두를 수용하는 홈부가 형성된 판상형의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몸체와;A first frame having a size and a length to be inserted into an entrance and exit of the beehive, and having a first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and a second entrance having a small size on both sides of the first entrance, respectively; A jaw is formed integrally with one end of the length of the first frame and is integrally installed and has a plate-shaped second frame formed therein with a groove for accommodating all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of the first frame. A body to be installed; 상기 몸체의 제1 및 제2 프레임의 사이에서 홈부의 길이를 따라 독립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게 1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출입부를 개폐시킴과 아울러 그 개폐폭을 조절하는 조절판;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And a control plate installed in pairs so as to slide independently along the length of the groove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of the body an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and to adjust the opening and closing width thereof. Rumor structure of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re 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몸체의 제2 및 제3 출입부를 차단함과 아울러 서로 맞닿으면 상기 몸체의 제1출입부를 차단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The rumor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plate blocks the second and third entrances and exits of the body and blocks the first entrance and exit portions of the body when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프레임의 좌우 양측단에는 벌통에 대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탄성편들이 각각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벌통의 소문구조.The rumor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frame of the body are further provided with elastic pieces for maintaining the inserted state with respect to the beehi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에는 대응하여 상기 벌통에 대한 내외부의 연락을 차폐하는 차폐구들이 분리되게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2. The rumor structure of a beehiv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first to third entrances to said body are further provided with separate shields for correspondingly shielding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with said beehi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출입부의 내측 윗면에는 설치홈이 형성되고 그 측면들의 각 선단부에는 턱부들이 더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차폐구에는 이 설치홈 및 턱부들과 대응하는 돌부 및 요홈들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installat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of the first frame and the jaws are further formed at each of the front end portions of the side surface, and the installation groove and the jaws in the shield Rumor structure of the beehi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s and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urther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프레임의 타측 길이단에는 벌통의 내부 공간을 구획 분할하여 그 구획 분할된 공간들을 격리시키는 격리판이 끼워지는 하나이상의 제1끼움홈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other side length end of the first frame of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first fitting groove is further formed to partition the internal space of the beehive is fitted with a separator to isolate the partitioned spaces. Rumor structure of beehiv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벌통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 출입부의 설치 높이 및 위치를 조절하게 하는 상기 제1프레임과 동일 구조인 위치조절구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통의 소문구조.According to claim 6, Position adjustment i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frame is installed in the entrance of the beehive to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frame of the body to adjust the installation height and position of the first to third entrances The rumor structure of a beehive, further comprising a sphere.
KR1020030025768A 2003-04-23 2003-04-23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KR2004009197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768A KR20040091972A (en) 2003-04-23 2003-04-23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768A KR20040091972A (en) 2003-04-23 2003-04-23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2583U Division KR200319814Y1 (en) 2003-04-23 2003-04-23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972A true KR20040091972A (en) 2004-11-03

Family

ID=37372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768A KR20040091972A (en) 2003-04-23 2003-04-23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1972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18B1 (en) * 2010-08-12 2013-04-29 김문성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CN104273053A (en) * 2014-09-09 2015-01-14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Novel beehive
CN107079837A (en) * 2016-02-15 2017-08-22 曹银晧 Beehive with variable gateway
KR20190001048U (en) * 2017-10-24 2019-05-03 조상균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9018B1 (en) * 2010-08-12 2013-04-29 김문성 A beehive developing 2 king Beol to one group
CN104273053A (en) * 2014-09-09 2015-01-14 长兴意蜂蜂业科技有限公司 Novel beehive
CN107079837A (en) * 2016-02-15 2017-08-22 曹银晧 Beehive with variable gateway
KR20190001048U (en) * 2017-10-24 2019-05-03 조상균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0767B (en) BIKUPSSAMMANSAETTNING
RU2558110C2 (en) Modular beehive and module of beehive
EP2888934B1 (en) Production device for queen bees and royal jelly
US11666038B2 (en) Breather-feeder inner cover
US11425893B2 (en) Beehive system, kit and method
CN103181341A (en) Square automatic constant-temperature Chinese bee hive with sloping bottom
KR20040091972A (en)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KR200319814Y1 (en) Gateway structure of wooden beehive
CN105475176A (en) Safe beehive capable of controlling bees to fly in and fly out
KR200374037Y1 (en) beehive
CN112956428A (en) Beehive that is fit for chinese bee and breeds and is convenient for sanitation and clean
KR200495848Y1 (en) A door for beekeeping box to open and close the doorway of the beehive according to the mounting direction.
KR100376798B1 (en) A hive
KR20110015488A (en) Double soled beehive
KR200298517Y1 (en) Gateway construction of beehive
KR200491209Y1 (en) The thermokeeping compatibility bee hive with yang and bong tobong
KR200226837Y1 (en) An apparatus for regulating the size of an entrance of beehive
KR200491066Y1 (en) Small gate structure of bee hive
KR200492068Y1 (en) Beehive structure with shading and small doors
KR20180002028U (en) for easy pollen collecting prefabricated hive entrance
KR200282594Y1 (en) beehive
KR102290518B1 (en) Door for beekeeping beehive
KR101837745B1 (en) Hive for queen bee mating
KR200186570Y1 (en) bee feed contatner both roayalgeey device
CN216452676U (en) Bee queen bee rear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