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796A -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796A
KR20120014796A KR1020100076989A KR20100076989A KR20120014796A KR 20120014796 A KR20120014796 A KR 20120014796A KR 1020100076989 A KR1020100076989 A KR 1020100076989A KR 20100076989 A KR20100076989 A KR 20100076989A KR 20120014796 A KR20120014796 A KR 2012001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e
learning
content
functio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범
고용지
김동훈
배종필
신지수
안영진
이기연
조정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796A/ko
Publication of KR2012001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되는 학습컨텐츠를 통해 학습하는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노트내용을 토대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통합/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필요 시 편리하게 원하는 노트내용을 검색/조회할 수 있는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학습단말장치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면,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NOTE FUNCTION MANAGEM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되는 학습컨텐츠를 통해 학습하는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노트내용을 토대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통합/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필요 시 편리하게 원하는 노트내용을 검색/조회할 수 있는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노트기능관리서버 및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학습단말장치 및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설 학원은 학생의 성적, 출석, 신상 등의 DB(Data Base)를 관리하고 교사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러한 관리 시스템은 모든 관리의 전산화로 인해서 업무를 보다 빠르고 편하게 만들고, 학생 및 교사의 관리를 매우 편리하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동 시간이 많아지고 여러 학원을 다녀야 하는 현대사회의 학생들은, 이동 시간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거나 또는 학원 간 이동 시간을 절약하여 온라인으로 강의를 수강하고자 하는 욕구를 느끼고 있으며, 최근 이에 부응하여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으로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헌데, 이러한 기존의 학습 시스템에서는, 학생 입장에서 자신의 학습단말을 이용하여 강의(학습컨텐츠)를 수강하는 경우 노트 필기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예를 들어, 학습단말을 통해 강의를 들으면서 공책, 펜과 같은 별도의 필기도구를 마련하여 노트 필기를 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노트 필기된 공책을 가지고 다녀야만 필요한 때 자신의 노트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강의 내용과 노트 내용을 매칭시켜 확인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학습단말장치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면,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노트내용을 토대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통합/관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각 학습자 별 노트(note)리스트를 저장/관리하고,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관리부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관리하며,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및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노트내용을 토대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통합/관리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고,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 및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학습자의 노트내용을 토대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통합/관리하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 및 상기 학습단말장치에서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하여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는, 각 학습자 별 노트(note)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정보관리부; 및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관리부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저장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는, 각 학습자 별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노트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 노트내용 및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상기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조회된 노트정보의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타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더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기 저장하고,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단말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선택에 따라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학습단말장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재생부; 학습자로부터 노트기능 관련 입력을 입력받는 학습자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재생부를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노트기능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트기능제어부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따라 노트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생성/저장하여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 종료 시 상기 생성/저장된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트기능제어부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을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노트기능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방법은, 학습단말장치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하여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자 별 노트(note)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정보 관리단계;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관리부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저장하는 노트리스트 관리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리스트 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는, 각 학습자 별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노트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 노트내용 및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상기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조회된 노트정보의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타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더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노트기능템플릿을 토대로 상기 학습단말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기능템플릿 제공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트기능템플릿 제공단계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트기능템플릿 제공단계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느느,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선택에 따라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단계;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노트기능 실행단계; 및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노트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트기능 실행단계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따라 노트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생성/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 종료 시 상기 생성/저장된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노트기능 실행단계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을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노트기능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최적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이를 통해 노트기능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노트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편리하게 관리하고 원하는 시점에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노트정보를 검색/조회/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의 노트리스트 검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100)와, 학습단말장치(100)에서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하여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학습단말장치(100)는, 학생 등의 학습자가 소지/조작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학습자 인증과정을 통해 노트기능관리서버(2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학습강의를 수강하거나, 또는 미리 다운로드된 학습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재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학습단말장치(10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학습자에게 제공/표시한다.
그리고, 학습단말장치(100)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한다.
또한, 학습단말장치(100)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노트리스트 검색을 요청하거나 또는 노트정보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학습단말장치(100)는, PC와 노트북과 PDA와 스마트폰단말과 이동전화단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에서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
이에,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리스트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각 학습자 별 노트(note)리스트를 저장/관리하는 정보관리부(220)와,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정보관리부(220)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하고,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서버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정보관리부(220)는,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하고 서버제어부(230)에 의해 업데이트됨에 따라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는, 각 학습자 별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노트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 노트내용 및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상기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는, 학습자A의 노트정보들을 학습자A의 학습과목(예 : 영어, 국어 등) 및 강의카테고리(예 : 텍스트기반, 동영상기반 등) 및 학습제공자(예 : A교육원, B학원 등) 및 학습단원(예 : reading 코스1, listening 코스1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정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노트정보는, 학습자A에 의해 기록된 노트내용(예 : 텍스트 형태) 및 노트내용에 대한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 및 노트입력일자 및 노트내용이 기록된 해당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해당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30)는,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노트정보를 토대로 정보관리부(220)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자 하는 학습컨텐츠들을 저장/관리하고, 저장/관리되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관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노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를 토대로 금번 노트정보가 어떤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처럼 학습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인지/확인하게 되면 컨텐츠관리부(210)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컨텐츠가 어떤 학습과목이고 강의카테고리가 무엇이고 학습제공자가 누구이고 학습단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가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학습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서버제어부(2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 학습컨텐츠를 제공하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노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를 토대로 금번 노트정보가 어떤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처럼 학습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인지/확인하게 되면 학습관련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학습컨텐츠가 어떤 학습과목이고 강의카테고리가 무엇이고 학습제공자가 누구이고 학습단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서버제어부(23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를 학습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리스트 검색이 요청되면,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제어부(23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노트리스트 중 특정 노트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서버제어부(230)는,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노트키워드나 노트토픽이나 노트입력일자가 선택되어 이에 대응되는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서버제어부(230)는, 노트정보 검색 요청에 따른 해당 노트키워드나 노트토픽이나 노트입력일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서버제어부(230)는, 조회된 노트정보가 갖는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 및 노트입력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타 노트정보를 노트리스트에서 조회하여, 금번 노트정보 검색 요청에 따른 연관노트정보로서 상기 조회된 타 노트정보를 학습단말장치(10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학습단말장치(100)를 통해 학습하는 학습자가 자신의 노트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편리하게 관리하고 원하는 시점에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노트정보를 검색/조회/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서버제어부(230)는,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기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서버제어부(23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예를 들면, 서버제어부(230)는,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과,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서버제어부(2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제어부(230)는,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서버제어부(230)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학습단말장치(100)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과 노트화면이 함께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해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후술할 사전 기능 실행에 의한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에서 학습자가 노트화면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학습컨텐츠의 텍스트 및/또는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발췌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입력된 노트내용을 토대로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의 일 영역에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서버제어부(230)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한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
즉, 서버제어부(23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에서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예 : 학습컨텐츠1)를 인지하여 컨텐츠관리부(210)로부터 추출/확보하고,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의 위치정보에 따라 노트내용을 확보한 해당 학습컨텐츠(예 : 학습컨텐츠1) 내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예 : post-it 형태)함으로써, 노트내용들이 부가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노트내용들이 부가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
한편, 서버제어부(2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버제어부(230)는,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서버제어부(230)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표시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재생구간선택항목을 조작하여 재생구간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학습단말장치(100)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선택된 재생구간의 재생화면과 재생구간의 스크립트정보와 노트화면이 함께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해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후술할 사전 기능 실행에 의한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에서 학습자가 노트화면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 및/또는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발췌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입력된 노트내용을 토대로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의 일 영역에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서버제어부(230)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한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
즉, 서버제어부(23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에서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예 : 학습컨텐츠2)를 인지하여 컨텐츠관리부(210)로부터 추출/확보하고,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의 위치정보에 따라 노트내용을 확보한 해당 학습컨텐츠(예 : 학습컨텐츠2) 내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예 : bookmark 형태)함으로써, 노트내용들이 부가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제어부(230)는, 노트내용들이 부가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에서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최적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이를 통해 노트기능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재생부(110)와, 학습자로부터 노트기능 관련 입력을 입력받는 학습자입력부(120)와, 컨텐츠재생부(110)를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학습자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하는 노트기능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컨텐츠재생부(110)는, 노트기능관리서버(2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또는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에 기 저장된 학습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학습자입력부(120)는, 학습자로부터 노트기능 관련 입력을 입력받는 입력 기능부로서, 터치 입력을 지원하는 터치입력부 및 키패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노트기능제어부(130)는, 컨텐츠재생부(110)를 통해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입력부(120)를 통해 학습자로부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노트기능제어부(130)는, 학습자입력부(120)를 통해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한다.
구체적을 설명하면, 학습단말장치(100)에는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이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노트기능제어부(1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따라 노트기능을 실행하여, 노트화면을 제공/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노트기능제어부(130)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생성/저장하고,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 종료 시 생성/저장된 노트정보를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노트기능제어부(130)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노트기능제어부(130)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학습단말장치(100)에는 노트기능템플릿이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노트기능제어부(130)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한다. 이에, 노트기능 실행 요청에 따라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노트기능제어부(130)는, 노트화면을 제공/표시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노트기능제어부(130)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노트기능제어부(130)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은,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최적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이를 통해 노트기능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노트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편리하게 관리하고 원하는 시점에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노트정보를 검색/조회/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단말장치(100)는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한다(S10). 여기서 학습단말장치(100)는, 학생 등의 학습자가 소지/조작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학습자 인증과정을 통해 노트기능관리서버(2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제공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여 학습강의를 수강하거나, 또는 미리 다운로드된 학습컨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재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처럼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에 의한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S20), 학습단말장치(100)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학습자에게 제공/표시한다(S30).
그리고, 학습단말장치(100)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한다(S40).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에서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S50).
그리고, 학습단말장치(100)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노트리스트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S60)
이에, 노트기능관리서버(200)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리스트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7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S100).
여기서,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는, 각 학습자 별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노트정보를 저장/관리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 노트내용 및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상기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는, 학습자A의 노트정보들을 학습자A의 학습과목(예 : 영어, 국어 등) 및 강의카테고리(예 : 텍스트기반, 동영상기반 등) 및 학습제공자(예 : A교육원, B학원 등) 및 학습단원(예 : reading 코스1, listening 코스1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정렬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노트정보는, 학습자A에 의해 기록된 노트내용(예 : 텍스트 형태) 및 노트내용에 대한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 및 노트입력일자 및 노트내용이 기록된 해당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해당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10),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2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기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대응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과,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의 판단 결과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학습단말장치(100)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과 노트화면이 함께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해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후술할 사전 기능 실행에 의한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에서 학습자가 노트화면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학습컨텐츠의 텍스트 및/또는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발췌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입력된 노트내용을 토대로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의 일 영역에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의 판단 결과,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표시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재생구간선택항목을 조작하여 재생구간을 선택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학습단말장치(100)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선택된 재생구간의 재생화면과 재생구간의 스크립트정보와 노트화면이 함께 표시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해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거나,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하며, 더 나아가 후술할 사전 기능 실행에 의한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되는 입력내용을 노트내용으로 입력 받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에서 학습자가 노트화면에서 터치펜을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키패드를 이용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하거나,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 및/또는 사전화면 내 텍스트를 발췌하여 노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입력된 노트내용을 토대로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것이다.
그리고,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표시되는 노트화면의 일 영역에는,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학습단말장치(100)에서는,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에서 전술과 같은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는지 판단하여(S130),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S140).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자 하는 학습컨텐츠들을 저장/관리하고, 저장/관리되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관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노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를 토대로 금번 노트정보가 어떤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처럼 학습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인지/확인하게 되면 컨텐츠관리부(210)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컨텐츠가 어떤 학습과목이고 강의카테고리가 무엇이고 학습제공자가 누구이고 학습단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학습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 학습컨텐츠를 제공하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노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를 토대로 금번 노트정보가 어떤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처럼 학습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인지/확인하게 되면 학습관련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학습컨텐츠가 어떤 학습과목이고 강의카테고리가 무엇이고 학습제공자가 누구이고 학습단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를 학습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한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0),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S160),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S165).
즉,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에서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예 : 학습컨텐츠2)를 인지하여 확보하고,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의 위치정보에 따라 노트내용을 확보한 해당 학습컨텐츠(예 : 학습컨텐츠2) 내 해당 재생구간 또는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예 : post-it 형태, bookmark 형태 등)함으로써, 노트내용들이 부가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노트내용들이 부가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전술한 도 5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한다(S10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135),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제공된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한다(S145).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고자 하는 학습컨텐츠들을 저장/관리하고, 저장/관리되는 각 학습컨텐츠 별로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관련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관리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노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를 토대로 금번 노트정보가 어떤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처럼 학습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인지/확인하게 되면 컨텐츠관리부(210)에 기초하여 해당 학습컨텐츠가 어떤 학습과목이고 강의카테고리가 무엇이고 학습제공자가 누구이고 학습단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하기 위한 학습컨텐츠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 학습컨텐츠를 제공하는 별도의 학습관련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노트정보 내 컨텐츠식별정보를 토대로 금번 노트정보가 어떤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정보인지를 인지할 수 있고, 이처럼 학습컨텐츠가 무엇인지를 인지/확인하게 되면 학습관련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해당 학습컨텐츠가 어떤 학습과목이고 강의카테고리가 무엇이고 학습제공자가 누구이고 학습단원이 무엇인지를 알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를 학습단말장치(100)에 대응되는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에 추가함으로써 해당 학습자(예 : 학습자A)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학습단말장치(100)에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이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 경우의 실시예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한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0),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S160),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한다(S165).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에서 노트리스트 검색을 지원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한 도 5의 S100단계 및 S140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하며 새롭게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업데이트 관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리스트 검색이 요청되는지 판단하고(S170), 판단 결과 노트리스트 검색이 요청되면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17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는지 판단하고(S180), 판단 결과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85).
즉,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된 노트리스트 중 특정 노트정보가 선택됨에 따라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학습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노트키워드나 노트토픽이나 노트입력일자가 선택되어 이에 대응되는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노트정보 검색 요청에 따른 해당 노트키워드나 노트토픽이나 노트입력일자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학습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S185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관리서버(200)의 동작 방법은, 조회된 노트정보가 갖는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 및 노트입력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타 노트정보를 노트리스트에서 조회하여, 금번 노트정보 검색 요청에 따른 연관노트정보로서 상기 조회된 타 노트정보를 학습단말장치(100)로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노트기능관리서버(200) 또는 별도의 학습관리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학습컨텐츠를 재생하거나 또는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에 기 저장된 학습컨텐츠를 재생한다(S200).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학습자로부터 노트기능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10),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구체적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이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따라 노트기능을 실행하여, 노트화면을 제공/표시할 수 있다(S230).
그리고,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생성/저장하고, 현재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 종료 시 생성/저장된 노트정보를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S240).
한편, 학습단말장치(100)에는 노트기능템플릿이 기 저장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210단계의 판단 결과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하여 이에 따라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부터 노트기능템플릿을 수신/제공 받는다(S220).
이에, 제공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노트화면을 제공/표시하고(S230),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생성하여 노트기능관리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S240).
한편,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자 선택에 따라 노트기능을 요청/이용할 것이다(S250).
즉,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자에 의해 노트리스트 검색이 선택되면 노트리스트 검색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하고, 학습자에 의해 노트정보 검색이 선택되면 노트정보 검색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이 선택되면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열람을 선택하면 노트기능관리서버(200)에 요청하여 해당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열람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단말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사전연동요청항목이 선택되면 기 설정된 학습단말장치(100) 내부의 사전 기능을 실행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웹사전서버(미도시)에 접속/연동을 통해 사전 기능을 실행하여 사전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방법은,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최적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이를 통해 노트기능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노트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편리하게 관리하고 원하는 시점에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노트정보를 검색/조회/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최적의 노트기능템플릿을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이를 통해 노트기능을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노트필기를 원하는 학습자에게 학습컨텐츠에 대응하는 최적의 노트기능을 제공하고,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노트정보를 토대로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저장/관리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노트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편리하게 관리하고 원하는 시점에 빠르고 간편하게 원하는 노트정보를 검색/조회하는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학습자의 만족도 및 편의성, 학습 효율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및 학습단말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학습단말장치
200 : 노트기능관리서버

Claims (24)

  1.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학습단말장치; 및
    상기 학습단말장치에서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하여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며,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2. 각 학습자 별 노트(note)리스트를 저장하는 정보관리부; 및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노트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관리부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저장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는,
    각 학습자 별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노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 노트내용 및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상기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조회된 노트정보의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타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기 저장하고,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단말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선택에 따라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
  10.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재생부;
    학습자로부터 노트기능 관련 입력을 입력받는 학습자입력부; 및
    상기 컨텐츠재생부를 통해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학습자입력부를 통해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노트기능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기능제어부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따라 노트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생성/저장하여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 종료 시 상기 생성/저장된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기능제어부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을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에 요청하고, 상기 노트기능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
  13. 학습단말장치가 소정의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학습단말장치가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노트정보를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하여 각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가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방법.
  14. 각 학습자 별 노트(note)리스트를 저장하는 정보 관리단계;
    소정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학습단말장치에서 노트기능이 실행됨에 따라 상기 노트기능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정보관리부 내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저장하는 노트리스트 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의 노트리스트 검색 요청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를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리스트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별 노트리스트는,
    각 학습자 별로 해당 학습자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및 학습제공자 및 학습단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노트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노트정보는 상기 노트내용 및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컨텐츠식별정보 및 상기 학습컨텐츠 내에서 해당 노트내용의 위치 또는 재생구간을 나타내는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정보 검색이 요청되면, 이에 따라 해당 학습자의 노트리스트 중 검색 요청된 해당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조회된 노트정보의 노트키워드 및 노트토픽(topic) 및 노트입력일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대응되는 타 노트정보를 조회하여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더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노트기능템플릿을 토대로 상기 학습단말장치에서 재생 중인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노트기능템플릿 제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기능템플릿 제공단계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텍스트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위치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텍스트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기능템플릿 제공단계는,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가 동영상기반 강의카테고리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구간을 선택할 수 있는 재생구간선택항목을 포함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상기 학습컨텐츠의 재생화면을 전체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하고 선택된 재생구간에 대응되는 텍스트형태의 스크립트(script)정보를 다른 일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노트화면을 나머지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터치입력을 통한 핸드라이팅(handwriting) 입력 및 키패드를 통한 키 입력 및 상기 스크립트정보 내 텍스트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발췌하여 입력하는 드래그 앤드 드롭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입력 기능을 지원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을 상기 학습컨텐츠의 해당 재생구간에 추가/삽입하여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을 요청할 수 있는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및 사전기능으로의 접속을 요청할 수 있는 사전연동요청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는 동영상기반 노트기능템플릿을 상기 학습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노트적용 학습컨텐츠 제작요청항목 선택에 따라 노트 적용된 별도의 학습컨텐츠 제작이 요청되면, 상기 학습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상기 노트정보를 토대로 해당 학습컨텐츠에 노트내용을 추가/삽입한 노트적용 학습컨텐츠를 생성하여, 해당 학습자에 대응시켜 저장/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트기능관리서버의 동작 방법.
  22.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단계;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노트(note)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에 대응되는 노트화면을 제공하는 노트기능 실행단계; 및
    상기 노트화면을 통해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노트정보를 해당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노트정보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기능 실행단계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학습컨텐츠의 학습과목 및 강의카테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따라 노트기능을 실행하여,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생성/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 중인 학습컨텐츠 종료 시 상기 생성/저장된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기능 실행단계는,
    상기 학습컨텐츠를 재생하는 중 상기 노트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노트기능 선택에 따른 노트기능 실행을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노트기능 실행 요청에 따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노트기능템플릿에 의해, 상기 노트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노트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노트내용에 따른 상기 노트정보를 상기 노트기능관리서버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076989A 2010-08-10 2010-08-10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4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89A KR20120014796A (ko) 2010-08-10 2010-08-10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89A KR20120014796A (ko) 2010-08-10 2010-08-10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796A true KR20120014796A (ko) 2012-02-20

Family

ID=45837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89A KR20120014796A (ko) 2010-08-10 2010-08-10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7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456A1 (ko) * 2012-10-24 2014-05-01 씨에스 주식회사 E북을 이용한 광고, 메모 및 sns 서비스 방법
WO2017115994A1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파수닷컴 인공 지능 기반 연관도 계산을 이용한 노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1054525A1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산타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456A1 (ko) * 2012-10-24 2014-05-01 씨에스 주식회사 E북을 이용한 광고, 메모 및 sns 서비스 방법
KR101437555B1 (ko) * 2012-10-24 2014-09-16 씨에스 주식회사 e북을 이용한 광고, 메모 및 SNS 서비스 방법
WO2017115994A1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파수닷컴 인공 지능 기반 연관도 계산을 이용한 노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10896291B2 (en) 2015-12-28 2021-01-19 Fasoo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notes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rrelation calculation
WO2021054525A1 (ko) * 2019-09-16 2021-03-25 주식회사 산타 비디오 플레이어에서 메모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2916B2 (ja) 学習コンテンツ提示方法、学習コンテンツ提示システム、および学習コンテンツ提示プログラム
Wang et al. Intelligent mobile cloud education: smart anytime-anywhere learning for the next generation campus environment
KR20140033347A (ko) 전자책 확장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80556A (ko) 통합된 가르침과 학습의 생성, 전달, 사용 및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11288976B2 (en) Language fluency system
KR20180066709A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GB2565405A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KR20110099971A (ko) 학습자 필기가 가능한 동영상 강의 시스템
US9104880B2 (en) Apparatus for E-learning and method therefor
KR20000054518A (ko)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원격 교육 방법 및시스템
KR20120014796A (ko) 노트기능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0393A (ko) 학습 컨텐츠 설계 및 재생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학습 컨텐츠를 설계 및 재생하는 방법
KR20130057019A (ko)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hih et al. Ubiquitous e-learning with multimodal multimedia devices
KR100835234B1 (ko)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및 온라인 학습 제공 시스템
KR20120027647A (ko) 학습컨텐츠 생성 시스템 및 방법
KR102057706B1 (ko) 컨텐츠의 목차 입력 방법 및 재생 방법
Ostashewski et al. The iPad in the classroom: Three implementation cases highlighting pedagogical activities, integration issues, and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JP2022051500A (ja) 関連情報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30103069A1 (en) Navigator
KR20090002546A (ko) 인터넷상에서의 강의자료 제작방법 및 온라인-오프라인접목 강의 시스템
Cross Digital media in the music classroom
KR20120014805A (ko) 학습 지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73835B1 (ko) 그룹 단위 마스터 슬레이브 방식 전자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7331025B2 (ja) 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729

Effective date: 2014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