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7019A -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7019A
KR20130057019A KR1020110122724A KR20110122724A KR20130057019A KR 20130057019 A KR20130057019 A KR 20130057019A KR 1020110122724 A KR1020110122724 A KR 1020110122724A KR 20110122724 A KR20110122724 A KR 20110122724A KR 20130057019 A KR20130057019 A KR 20130057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lecture
learning
contents
text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어플래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어플래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어플래닛
Priority to KR102011012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57019A/ko
Publication of KR20130057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7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와 자기주도 학습 환경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와, 교재 콘텐츠, 및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와,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와,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강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교재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LINE LEARNING SERVICES}
본 발명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와 자기주도 학습 환경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채용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닝(Electronic learning)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수준별 교수·학습이 가능한 교육 활동을 말한다. 이러닝(e-learning)은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학습할 수 있는 개방성, 학습자가 학습 방법과 진도에 대한 결정권을 가지는 융통성, 학습 자원이 여러 곳에 나누어져 있을 수 있는 분산성 등의 특성이 있다. 이러한 이러닝은 온라인 학습(Online learning)이라고도 불리며 오프라인 교재와 동영상 강의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016790호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플래폼의 구별 없이 적용가능한 이러닝 시스템을 개시한다. 개시된 이러닝 시스템은 표준화된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단말기와 네트워크에 상관없이 웹을 통해 수강자에게 강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대부분 동영상 화면 속에서 주로 칠판을 이용하는 일방적인 강의 형태를 가지므로 강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이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전자책(ebook)은 책의 내용을 디지털 정보로 가공하고 저장한 출판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형태의 전자책은 일반 서적뿐만 아니라 교과서, 참고서 등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현재 전자책 대부분은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에서 공식 표준으로 채택한 이펍(epub)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최근, 교과서나 참고서용 전자책의 경우, 전자책 내에 일부 해설 동영상 등을 포함하여 제작하거나 교재 내용을 포함하는 플래시북 형태의 전자책으로 제작되고 있다. 또한, 교과서나 참고서용 전자책은 멀티미디어 요소로 표현된 교과 내용과 참고서, 문제집, 학습사전, 공책 등의 기능을 하나로 묶은 디지털 교과서나 디지털 참고서로 진화하고 있다. 여기에서 디지털 교과서 또는 디지털 참고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내용을 디지털화하면서 참고서나 문제집 기능, 사전이나 자료검색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하이퍼링크 기능, 공책 기능 등을 결합한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가리킨다.
그러나, 기존의 디지털 교과서나 디지털 참고서는 기본적으로 서책형 교재 내용을 멀티미디어 형태로 제작한 전자책이므로, 학습자가 자신에게 맞는 수준별 강의를 선택하거나 학습자의 학습 진도에 따라 학습자가 강의 내용을 필요로 할 때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없고 따라서 학습자의 학습 수준이나 학습 진도를 고려한 수준별 학습이나 자기주도형 학습에 적용하기는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6790호(2011.02.1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전자책 형태의 교과서 또는 참고서가 가지는 학습 방식의 강점과 강의 중심의 이러닝이 가지는 장점을 결합한 이북(e-book) 기반 강의 선택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책 교재를 중심으로 하면서 개인별 수준이나 개인별 학습 형태에 따라 수강자가 필요할 때 교재에 동적 연결된 강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한 이북 기반의 강의선택 및 자기주도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개 배포되는 교재 및 강의 저작툴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생산하고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이러닝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이북 기반의 강의 선택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수준별 학습 커리큘럼을 이용하여 수강자가 직접 자신의 수준에 맞는 강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자기주도형 학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북 기반의 강의선택 및 자기주도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교재 콘텐츠, 및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강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교재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강의 콘텐츠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교재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부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강의 내용이나 학습 보조 도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4 단계 전에, 수강자에게 이러닝 콘텐츠를 실행하는 학습도구 또는 뷰어(Viewer)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4 단계 이후, 학습도구 또는 뷰어에 의해 이러닝 콘텐츠에 포함된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조합하여 수강자의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는 수강자의 디바이스에 실행되는 학습도구 또는 뷰어에 의해 수강자의 디바이스의 동일 화면에 함께 표시되고, 상기 화면에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닝 콘텐츠는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강의 콘텐츠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4 단계 이후, 수강자에게 제공한 이러닝 콘텐츠를 수강자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4 단계 이후, 수강자가 이러닝 콘텐츠에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에 추가한 메모 또는 학습 기록 내용을 포함하는 수강자 콘텐츠를 수강자 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4 단계 이후, 교재콘텐츠 제작자 또는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수강자의 학습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교재 콘텐츠, 및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강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가 미리 조합된 이러닝 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닝 콘텐츠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교재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부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강의 콘텐츠의 강의 내용이나 학습 보조 도구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제4 단계 전에, 교재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부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강의 콘텐츠의 강의 내용이나 학습 보조 도구를 일체로 결합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재 콘텐츠 중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선택한 교재 콘텐츠와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강의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강사측 서버; 교재 콘텐츠와 이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강의 콘텐츠를 포함한 이러닝 콘텐츠 또는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가 조합된 이러닝 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웹 서버; 및 강사측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 연결되며, 웹 서버 또는 강사측 서버에 접속하는 회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강사측 서버와 웹 서버 및 이들의 콘텐츠를 관리하는 관리자측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전자책 형태의 참고서가 가지는 학습 방식의 강점과 강의 중심의 이러닝이 가지는 장점을 결합한 이북(e-book) 기반의 강의선택 및 자기주도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교재를 중심으로 하면서 개인별 수준이나 개인별 학습 형태에 따라 수강자가 필요할 때 교재에 동적 연결된 강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강자가 선수 학습, 복습, 정리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 중심의 학습보다 집중력을 증대시켜 학습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북 기반의 강의선택 및 자기주도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개 배포되는 교재 및 강의 저작툴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콘텐츠를 생산하고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도록 하면서 하나의 교재 콘텐츠와 함께 해당 교재 컨텐츠에 대하여 수준별 또는 특성별로 제작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강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이러닝 콘테츠를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아울러 자기주도형 학습에 적합하고 수강자의 개인별 수준이나 개인별 학습 형태에 동조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준별 학습 커리큘럼 등을 통해 수강자가 직접 자신의 수준에 맞는 강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이용함으로써 자기주도형 학습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북 기반 강의 선택 자기주도형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으로 구성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수강자용 학습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교재콘텐츠 제공자(10)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공급받아 저장하고, 저장된 교재 콘텐츠를 이용하여 강의콘텐츠 제작자(20)가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함으로써, 수강자(30)에게 다양한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한다.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웹상에 콘텐츠 마켓을 개설하고 이러닝 콘텐츠를 구매한 수강자(30)에게 별도의 교육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교재 콘텐츠는 강의 콘텐츠의 소스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콘텐츠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재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국제 디지털 출판 포럼에서 공식 표준으로 채택한 이펍(epub)에 따라 만들어진 전자책에 대응하지만, 전자 문서 표현의 개방형 표준인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형식으로 만들어진 PDF 파일이나, 워드(Word)나 한글 등의 기존 문서편집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문서 파일 또는 기타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으로 작성된 이미지 파일 등을 소정의 편집기로 변환한 것에 대응할 수 있다.
강의 콘텐츠는 교재 콘텐츠에 대하여 밑줄, 메모, 특정 내용 정리, 음성 해설 클립, 동영상 클립 등이 동적 연결된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강의 콘텐츠는 특정 강의 소스에 해당하는 교재 콘텐츠에 마크업(markup) 언어로 강의 내용을 동적 연결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강의 콘텐츠는 하나의 교재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수강자(30)는 하나의 교재 콘텐츠와 이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강의 콘텐츠를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강자(30)는 구매한 교재 또는 강의 콘텐츠를 공급한 교재콘텐츠 제작자(10)나 강의콘텐츠 제작자(20)와 해당 콘텐츠 관련 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이러닝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지칭한다. 이러닝 콘텐츠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공급하는 전용 뷰어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하면, 수강자(30)는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다양한 강의 콘텐츠 중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강의 콘텐츠를 선택하여 자기주도형 학습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교재콘텐츠 제작자(10), 강의콘텐츠 제작자(20), 수강자(30) 및 클라우드 시스템(200)에 연결되고, 이러닝 콘텐츠를 판매하는 마켓을 중심으로 수강자(30)가 구매한 콘텐츠를 클라우드 시스템(200)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즉,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수강자(30)가 구매한 이러닝 콘텐츠를 자동으로 클라우드 시스템(200)에 저장하고 수강자(30)의 동의 또는 설정에 따라 해당 이러닝 콘텐츠의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수강자(30)는 자신의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클라우드 시스템(20)에 접속하여 자신의 구매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 수강자(30)의 디바이스는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 컴퓨터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교재콘텐츠 제작자(10)는 교과서나 참고서 등의 교재를 전자책 형태로 생성한 교재 콘텐츠를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교재콘텐츠 제작자(10)는 기본적으로 교재 콘텐츠를 직접 제작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구비한 것-예컨대, 전자책을 출판하는 출판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연결되는 출판사의 컴퓨터 단말 등을 포함함-을 지칭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교재콘텐츠 제작자(10)와 연관되어 소정의 교재 콘텐츠를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공급하는 중간 판매자나 지역 총판에 대응할 수 있다.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저장된 교재 콘텐츠를 이용하여 교재 콘텐츠에 강의 내용이 동적 연결된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기본적으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구비한 것-예컨대,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강사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연결되는 강사의 컴퓨터 단말 등을 포함함-을 지칭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강의콘텐츠 제작자(20)와 연관되어 소정의 강의 콘텐츠를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입점한 강의콘텐츠 중개상이나 강사 협회 등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교재콘텐츠 제작자(10)를 겸할 수 있다. 그 경우,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교재콘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교재 콘텐츠를 제작하고,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앞서 제작한 교재 콘텐츠에 강의 내용이 동적 연결되는 강의 콘텐츠를 제작한 후, 제작한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콘텐츠 마켓을 통해 수강자(30)에게 판매할 수 있다.
수강자(30)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접속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구매하고 구매한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수강자(30)는 기본적으로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구비한 것-예컨대,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회원으로 가입한 사람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받은 소정의 뷰어(Viewer)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를 실행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등을 포함함-을 지칭하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강자(30)와 연관되어 클라우드 시스템(200) 등과 같이 네크워크 상의 소정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강의 콘텐츠를 자신의 디바이스에서 실행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 또는 이 사용자 단말을 소유한 자에 대응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200)은 물리적인 여러 대의 서버(또는 컴퓨터)를 하나의 서버로 통합하는 클러스터링 기술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서버(또는 컴퓨터)를 지칭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교재 콘텐츠를 기반으로 제작된 복수의 강의 콘텐츠 중에서 수강자가 구매한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저장하고, 수강자나 그 연관된 자의 디바이스로 기저장된 강의 콘텐츠를 전송 또는 제공할 수 있는 수단 또는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를 구비한 것을 지칭한다. 이러한 클라우스 시스템(200)은 CDN(Content Delivery Network)이나, 스토리지 서비스(Storage Service) 시스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웹 서버(110), 강사측 서버(120) 및 관리자측 서버(130)를 구비한다.
웹 서버(110)는 수강자의 요청시 이러닝 콘텐츠로서 교재 콘텐츠 및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수강자에게 제공한다. 웹 서버(110)는 안드로이드 마켓이나 올레(olleh) 마켓, 삼성앱스, 애플스토어 등의 기존 온라인 콘텐츠 마켓 형태로 운영될 수 있다.
강사측 서버(120)는 판매자측 서버로서 교재콘텐츠 제작자로부터 받은 교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강사측 서버(120)는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재 콘텐츠 중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선택한 교재 콘텐츠와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제공하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강의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강사측 서버(120)는 강의 콘텐츠를 판매하는 강사나 이러한 강사 또는 판매자 전용의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관리자측 서버(130)는 웹 서버(110)와 강사측 서버(120)에 연결되어 이들에 접속하는 회원들의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관리자측 서버(130)는 웹 서버(110)와 강사측 서버(120)에 연결되어 이들 시스템과 콘텐츠를 관리한다. 이러한 관리자측 서버(130)는 기존 웹 서버와 판매자측 사이트 및 이들의 콘텐츠를 관리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서버(110)는 회원 가입부(111), 교재/강의 판매부(113), 학습관리부(115), 게시판부(117) 및 Q&A부(119)를 구비한다.
회원 가입부(111)는 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의 회원 가입 및 회원 관리를 담당한다. 회원 가입부(111)는 기존 포털 사이트의 로그인 정보를 공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회원 가입부(111)는 회원 가입시 가입자 정보에 따른 클라우드 시스템의 사용 권한을 부여하거나 기존 권한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부(111)는 수강자의 교재 콘텐츠나 강의 콘텐츠의 구매시 요구되는 보호자 설정 등의 회원 권한 관련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교재/강의 판매부(113)는 수강자 디바이스의 브라우징 화면상에서 수강자가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지원한다. 교재/강의 판매부(113)는 교재와 이 교재에 동적 연결되는 강의를 수강자에게 판매한다. 교재/강의 판매부(113)는 회원가입시 등록된 수강자의 클라우드 이용 설정에 따라 수강자가 구매한 콘텐츠가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되도록 해당 옵션 기능 또는 명령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학습관리부(115)는 수강자가 구매한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하고, 수강자의 여러 디바이스에서 해당 콘텐츠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습관리부(115)는 교재 콘텐츠나 강의 콘텐츠의 변경 또는 업데이트시 해당 변경 내용을 모바일 앱이나 게시판 등을 통해 수강자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학습관리부(115)는 불법복제 방지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학습관리부(115)는 수강자가 학습도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클라우드에 저장할 수 있다. 학습한 내용은 학습 이력 정보나, 교재 마크업 내용, 정리 노트, 북마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게시판부(117)는 웹이나 모바일 앱상에서 게시판을 운영하기 위한 수단이다. 게시판부(117)는 기존의 웹 사이트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게시판을 관리 운영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Q&A부(119)는 웹이나 모바일 앱상에서 Q&A를 운영하기 위한 수단이다. Q&A부(119)는 게시판부의 경우와 유사하게 기존의 웹 사이트나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의 게시판을 관리 운영하는 수단이나 이러한 수단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다.
강사측 서버(120)는 강사 가입부(121), 콘텐츠 업로드부(123), 콘텐츠 정보관리부(125), 수강생 관리부(127) 및 학습 피드백부(129)를 구비한다.
강사 가입부(121)는 강사 또는 강사와 연관된 강의콘텐츠 판매자가 온라인 학습 서비스의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회원 가입부(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강사 가입부(121)는 판매자로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판매자를 위한 옵션이나 설정을 선택하거나 변경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지원한다.
콘텐츠 업로드부(123)는 교재콘텐츠 제작자 또는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콘텐츠 저작도구나 이 교재콘텐츠 저작도구와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로 제작한 콘텐츠를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지원한다. 콘텐츠 업로드부(123)는 교재콘텐츠 저작도구 또는 강의콘텐츠 저작도구와 연동하여 콘텐츠를 간편하게 서버측으로 업로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정보관리부(125)는 콘텐츠의 대상, 제목, 저장 내용 등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관리한다. 콘텐츠 정보관리부(125)는 교재 콘텐츠와 이 교재 콘텐츠 위에 마크업 방식으로 작성된 강의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서로 대응하도록 저장한다.
수강생 관리부(127)는 콘텐츠를 구매한 수강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수강자에 대한 정보는 수강자의 이름이나 구매 콘텐츠 목록 등에 대한 정보 이외에 사이트 접속 시간, 접속 횟수, 접속 위치, 접속 단말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학습 피드백부(129)는 수강자측으로부터 학습 이력 정보 등을 수신하고 수신한 학습 이력 정보를 판매자측으로 전달하거나 수강자의 학습 능률을 높이기 위한 멘토링(mentoring) 정보를 판매자측으로부터 받아 수강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해당 기능을 지원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작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가 판매자로서 콘텐트 마켓에 입점하여 직접 특정 웹 사이트 페이지를 관리하거나 운영하는 경우, 강사측 서버(120)는 교재 제작/관리 파트와, 강의 제작/관리 파트와, 콘텐츠 판매 파트와, 정산 파트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동영상이나 음원처럼 수강자에게 판매하고, 판매대금과 입점수수료, 저작도구 사용관련 수수료 등을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측과 정산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측 서버(130)는 웹 서버(110)와 강사측 서버(120)에 연결되며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사용되는 콘텐츠를 관리하고, 메뉴 구성 및 이벤트 기획 등 콘텐츠 마켓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콘텐츠 공급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등 백오피스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리자측 서버(130)는 회원/강사 인증부(131), 콘텐츠 검증부(133), 게시판 운영부(135), 사이트 관리부(137) 및 통계정산부(139)를 구비한다.
회원/강사 인증부(131)는 회원 가입부(111)와 강사 가입부(121)로부터 수신한 회원 가입 정보를 검토하고 검토 결과에 기초하여 회원과 강사 또는 판매자를 인증한다. 회원/강사 인증부(131)는 기존의 포털 사이트의 로그인 인증부를 공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콘텐츠 검증부(133)는 교재콘텐츠 제작자나 교재콘텐츠 제작자와 연관된 교재콘텐츠 공급자, 및/또는 강의콘텐츠 제작자나 강의콘텐츠 제작자와 연관된 강의콘텐츠 공급자가 제공하는 콘텐츠를 검증한다. 또한, 콘텐츠 검증부(133)는 교재의 형식 또는 내용의 건전성을 검사하거나, 강의 실행을 테스트하거나, 교재와 강의의 합치 여부를 판독하거나, 발행일이나 저자 등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거나, 가격 정보를 처리하거나, 시즌별 자료를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거나, 선제작 교재를 배포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35)는 콘텐츠 공급자의 프로필을 관리하거나 사업체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거나 콘텐츠 공급자와의 스케줄을 관리한다. 또한, 회원 관리부(135)는 회원의 가입 정보 수정이나 탈퇴를 관리하고, 게시판, Q&A 등 판매자나 수강자의 소통 내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사이트 관리부(137)는 콘텐츠 마켓에 입점한 판매자의 사이트를 관리한다. 사이트 관리부(137)는 시즌별 학습 테마에 따른 사이트를 관리하거나 이벤트 등을 위한 사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통계정산부(139)는 콘텐츠별, 판매자별 또는 판매 사이트별, 기타 평가지표별로 통계 자료나 정산 자료를 작성한다. 통계정산부(139)는 정산기간 등의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양식으로 정산 처리를 수행한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2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저장되는 콘텐츠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본 시스템 내의 데이터베이스나 본 시스템에 연결된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되는 이러닝 콘텐츠는 하나의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여 복수의 강의 콘텐츠가 매칭되도록 저장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재 콘텐츠 1(501)에 대하여 강의 콘텐츠 1(511), 강의 콘텐츠 2(513), 강의 콘텐츠 3(515) 그리고 강의 콘텐츠 N(159) 등이 대응되도록 저장된다. 이와 유사하게 , 교재 콘텐츠 3(505)에 대하여도 강의 콘텐츠들(531, 533, 535, 539)이 대응되도록 저장된다. 물론, 교재 콘텐츠 2(503)의 경우와 같이 하나의 교재 콘텐츠에 하나의 강의 콘텐츠 1(521)이 대응되도록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교과서나 참고서 등의 전자책에 상응하는 교재 콘텐츠와 이 교재 콘텐츠에 강의 내용이 동적 연결된 서로 다른 복수의 강의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수강자가 자신의 학습 진도나 학습 행태에 따라 그에 적합한 이러닝 콘텐츠를 선택하고 선택한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하여 자기주도형 학습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우선 교재콘텐츠 제공자(10)가 공급하는 교재 콘텐츠를 받고(S610), 받은 교재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612).
다음, 본 시스템(100)은 강의콘텐츠 제작자(20)에게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를 제공한다(S614). 일 실시예에서,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통해 강의 콘텐츠를 판매하기 위하여 본 시스템(100)에 강의 콘텐츠 판매자로 회원 가입을 한 후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본 시스템(100)은 강의콘텐츠 제작자(20)에게 교재 콘텐츠를 제공한다(S616).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받은 교재 콘텐츠를 이용하여 강의 콘텐츠를 생성한다(S618). 강의 콘텐츠는 하나의 교재 콘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강사들이 서로 다른 강의 내용을 동적 연결한 것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강의콘텐츠 제작자(20)는 제작된 강의 콘텐츠를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업로드한다(S620).
다음, 본 시스템(100)은 업로드된 강의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622). 강의 콘텐츠는 강의 콘텐츠의 소스인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도록 저장된다. 여기에서, 대응하도록 저장되는 것은 예컨대 특정 교재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선택하는 경우, 해당 교재 콘텐츠와 함께 그것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도 함께 검색되거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저장되는 것을 지칭한다.
다음, 본 시스템(100)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회원으로 가입한 수강자(30)가 해당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S624), 수강자(30)가 원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검색하거나 볼 수 있도록 교재 콘텐츠의 목록과 각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의 목록을 웹상에 게시한다(S626).
다음, 본 시스템(100)은 수강자(30)로부터 이러닝 콘텐츠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S628), 선택된 교재 콘텐츠 또는 교재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수강자(30)에게 전송한다(S630). 여기에서, 이러닝 콘텐츠 선택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신호뿐만 아니라 선택한 콘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 신호나 구매 요청에 따른 일련의 결제 처리를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수강자(30)는 구매한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학습을 수행한다(S632). 즉, 수강자(30)는 이북(e-book) 형태로 제작된 교재 콘텐츠와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학습도구에서 실행한 후 수강자의 필요에 따라 특정 강의 내용을 선택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자기주도형 학습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수강자(30)에게 제공하는 전용 뷰어 등을 통해 수강자의 동의 또는 설정에 따라 수강자(30)로부터 학습 이력 정보 및/또는 수강자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S634). 학습 이력 정보 또는 수강자 콘텐츠는 수강자(30)나 강의콘텐츠 제작자(20)가 열람할 수 있도록 본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S636). 여기에서, 수강자 콘텐츠는 강의 콘텐츠 또는 이러닝 콘텐츠에 활성화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강자가 학습 중에 자신의 학습 기록 내용이나 메모 등을 추가한 것을 지칭한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학습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강자(30)의 학습 진도, 학습 점수 등에 대한 학습 피드백 정보를 강의콘텐츠 제공자(20)에게 제공할 수 있다(S638).
또한, 본 시스템(100)은 강의콘텐츠 제공자(20)로부터 학습 멘토링 정보를 수신하고(S640), 수신한 학습 멘토링 정보를 웹상에 게시할 수 있다. 학습 멘토링 정보는 강의 콘텐츠를 구매한 수강자(30)에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강의 콘텐츠의 효과적인 이용 방법이나 학습 피드백 정보에 기초한 코멘트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100)은 온라인 학습 서비스나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강의콘텐츠 제작자(20) 및 수강자(30)가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게시판이나 Q&A(Question and Answer)를 위한 웹 페이지 또는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운영할 수 있다(S642). 여기에서,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는 전자책 형태의 교재 콘텐츠를 기반으로 강의 내용이 동적 연결되는 강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강의콘텐츠 판매자인 강사측과 강의콘텐츠 구매자인 수강자측과 강의콘텐츠 마켓을 제공하는 본 시스템측이 상호 간에 웹 기반으로 강의 콘텐츠 관련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수단이나, 전자 우편,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또는 모바일 앱(App/Application)을 통해 상호 간에 강의콘텐츠 관련 소통을 행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채용가능한 저작도구와 학습도구에 대하여 웹상에 제공가능한 수강자의 디바이스의 화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의 일실시예에 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채용가능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의 문서 편집기 또는 이미지 편집기와 유사한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는 페이지 레이아웃을 표시하는 탐색 패널; 동영상이나 음성 파일을 삽입하거나 미디어 정보를 삽입하거나 교재의 기본 설명을 삽입하기 위한 삽입 메뉴 탭(Tab); 바탕화면이나 전자책 크기를 조절하거나 전체 디자인을 조절하거나 가독성을 고려한 글자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디자인 탭(Tab); 표 작성을 위한 표 도구 탭; 미리 정해진 웹 서버에 접속하여 교재 콘텐츠를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하거나 발행을 신청하기 위한 웹 연결 탭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를 이용하면 누구나 교재 콘텐츠를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일례로, 강의콘텐츠 제작자는 페이지 단위로 작성된 기존 전자책(712)에서 특정 페이지(714)를 삭제하거나 새로운 페이지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교재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는 온라인 전용 전자책을 만들기 위하여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전용 에디터(Editor)이거나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범용 문서 또는 이미지 편집기일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는 강의의 소스가 되는 교재의 대상, 제목, 저장 등의 메타 데이터 관리가 용이하고, 글상자, 표, 그림, 바탕이미지 조절 및 변경 기능 등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제작된 교재 콘텐츠를 디바이스 종류에 상관없이 우수한 가독율로 수강자의 디바이스에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또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는 페이지별 작업 방식으로 교재 콘텐츠의 제작이 용이하고, 강의 설명 동영상이나 음성 파일이 포함되고 문제 풀이 등을 학습자가 교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디지털 교재의 특징을 포함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페이지별 작업 방식을 이용하면 스마트폰 등의 화면이 작은 디바이스에서 교재의 페이지 크기를 지정하여 간편하게 교재 콘텐츠 제작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710)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소정 형태로 이미 완성된 교재 콘텐츠를 공급받는 경우에는 별도로 교재 콘텐츠를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교재콘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재콘텐츠 제작 작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720)는 교재와 강의 재료를 연결하는 도구로서 동영상, 음성 등의 미디어 파일을 해당 교재 내용에 대응하도록 가상 삽입하거나 밑줄, 메모 등의 마크업을 삽입하는 강의 작성 기능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의콘텐츠 저작도구(720)는 강의 콘텐츠(722)를 제작하기 위하여 교재 콘텐츠에 동영상 잘라붙이기, 메모 삽입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 경우, 강의콘텐츠 제작자는 미디어등록창(723)을 통해 교재 콘텐츠 내의 특정 부분 또는 위치에 동적 연결되는 비디오 클립을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720)는 도 9에서 강의 콘텐츠(722)의 또 다른 페이지 형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등록창(724)을 통해 교재 콘텐츠 내의 특정 부분 또는 위치에 동적 연결되는 메모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채용가능한 강의콘텐츠 저작도구(72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클립이나 메모 이외에 밑줄(725)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전술한 경우, 강의 콘텐츠(722)에는 비디오 클립을 재생하여 보여주는 미디어표시창(725), 미디어목록을 표시하는 미디어목록표시부(726), 강의 콘텐츠를 페이지 단위로 표시하는 탐색 패널(727)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강의 콘텐츠(722)에는 동적 연결된 강의 내용을 전자책 형태의 교재 콘텐츠 상에 표시하는 각종 아이콘이 구비될 수 있다. 아이콘은 특정 비디오 클립이나 오디오 파일에 링크된 미디어링크아이콘(728a, 728b), 메모에 링크된 메모링크 아이콘(728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를 이용하면, 강의콘텐츠 제작자는 강의 소스가 되는 교재 콘텐츠를 선택하고, 동영상이나 음성 등의 미디어 파일을 교재 내용별로 적절하게 잘라서 등록하고, 메모나 밑줄 등의 강의 보조 수단을 추가하여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제작된 강의 콘텐츠(722)에는 해당 교재 콘텐츠와의 연결 고리를 가지게 되고, 교재 콘텐츠의 어느 부분에 강의가 연결되는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교재 내용의 각 부분에 다양한 학습용 콘텐츠가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책 기반의 동영상 강의를 포함하는 강의 콘텐츠에 강사의 참조 그림, 표, 요약 정리 내용 등을 다양한 형태로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강의콘텐츠 제작자는 교재의 특정 범위나 특정 교재 내용에 따라 강의를 자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으므로 기존 동영상 강의와 같이 억지로 강의 시간을 늘리거나 하지 않아도 되고, 따라서 양질의 강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수강자용 학습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온라인 학습 서비스에 채용가능한 수강자용 학습도구(730)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 화면에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이러닝 콘텐츠(732)를 수강자의 디바이스에서 실행하는데 이용된다. 즉, 수강자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학습도구(730)를 통해 이러닝 콘텐츠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수강자는 학습도구(730)에 표시되는 교재 콘텐츠의 내용을 중심으로 학습을 수행하는 중에 이러닝 콘텐츠(73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강의 내용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강자는 이러닝 콘텐츠(732)에 포함된 미디어링크 아이콘(728a)을 선택하여 미디어표시창(725)에서 실행되는 비디오 클립을 시청하거나, 미디어표시창 아래의 강의내용 요약창(734)에서 해당 강의 내용을 확인하거나, 메모링크 아이콘(728c)을 클릭 또는 터치하여 해당 메모 내용을 확인하거나, 별도의 메모 생성창(736)을 활성화하여 학습 내용을 메모할 수 있다.
또한, 학습도구(730)에서는 도 12에서 이러닝 콘텐츠(732)의 또 다른 페이지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요내용정리 링크바(738)를 선택하여 해당 정리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수강자는 이러닝 콘텐츠(732)에 포함된 교재 콘텐츠에 상응하는 기타 다른 강의 콘텐츠나 학습 보조 수단을 자신의 학습 진도나 학습 행태에 따라 자기주도 방식으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강자는 한 화면에서 교재와 강의를 함께 볼 수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화면에서 자신의 노트를 정리할 수 있다. 또한, 강의와 교재가 동적 연결 방식으로 학습도구(730)에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동일 교재에 여러 강의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수강자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콘텐츠 마켓에서 교재(교재 콘텐츠에 대응)와 강의(강의 콘텐츠에 대응)를 구매하여 학습도구(730)에서 연결하여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강자가 선택한 교재에 따라 복수의 강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으며, 수강자는 학습 수준이나 학습 진도 또는 학습 행태에 따라 강의 목록에 표시된 강의 중에 자신이 원하는 강의를 선택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수강자는 최근 학습한 내용에 이어서 다음 강의 내용을 학습하거나 학습 내용을 노트하거나 마크업을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노트 내용이나 마크업 내용 등을 프린터를 통해 출력하거나 서버측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이러닝 콘텐츠는 교재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것으로, 수강자의 디바이스에서 전용 뷰어에서 일체화되어 한 화면에 표시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수강자가 교재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강의 콘텐츠를 구매할 때, 서버측 즉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측에서 수강자가 구매한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미리 조합 또는 일체로 결합된 형태로 수강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조합되어 수강자에게 제공되는 이러닝 콘텐츠는 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이러닝 콘텐츠(제1 이러닝 콘텐츠에 대응함)와의 구별을 위해 제2 이러닝 콘텐츠로 지칭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러닝 콘텐츠는 소정의 뷰어 또는 편집기에서 실행되는 전자책 형태로 발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 또는 강의콘텐츠 저작도구는 교재 컨텐츠와는 별도로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도구로서 언급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강의콘텐츠 저작도구에서 교재 콘텐츠를 포함한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교재 콘텐츠를 포함한 강의 콘텐츠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강의 콘텐츠(1차 강의 콘텐츠라 함)와 달리 교재 콘텐츠와 일체로 결합된 또는 조합된 형태를 구비하고, 2차 강의 콘텐츠라고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2차 강의 콘텐츠는 앞서 설명한 제2 이러닝 콘텐츠에 대응할 수 있다. 더욱이, 그러한 경우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강의콘텐츠 제작자로부터 2차 강의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수강자의 요청에 따라 2차 강의 콘텐츠를 이러닝 콘텐츠로서 수강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 의하면, 수강자는 전용 뷰어나 학습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전자책 뷰어 등의 일반 뷰어나 학습 도구를 사용하여 이러닝 콘텐츠를 실행시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10: 교재콘텐츠 제작자
20: 강의콘텐츠 제작자
30: 수강자
100: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laims (13)

  1.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교재 콘텐츠와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상기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강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교재 콘텐츠와 이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 콘텐츠는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상기 교재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부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강의 내용이나 학습 보조 도구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전에, 상기 수강자에게 이러닝 콘텐츠를 실행하는 학습도구 또는 뷰어(Viewer)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학습도구 또는 뷰어에 의해 상기 이러닝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를 조합하여 수강자의 디바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재 콘텐츠와 상기 강의 콘텐츠는 수강자의 디바이스에 실행되는 상기 학습도구 또는 뷰어에 의해 수강자의 디바이스의 동일 화면에 함께 표시되고, 상기 화면에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러닝 콘텐츠는 상기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강의 콘텐츠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수강자에게 제공한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수강자에 대응하여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수강자가 상기 이러닝 콘텐츠에 활성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러닝 콘텐츠에 추가한 메모 또는 학습 기록 내용을 포함하는 수강자 콘텐츠를 상기 수강자 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이후, 상기 교재콘텐츠 제작자 또는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상기 수강자의 학습 이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교재 콘텐츠와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상기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및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강자의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교재 콘텐츠와 상기 강의 콘텐츠가 미리 조합된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러닝 콘텐츠는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상기 교재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부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강의 콘텐츠의 강의 내용이나 학습 보조 도구가 일체로 결합된 것인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 전에, 상기 교재 콘텐츠의 특정 위치나 부분에 대응하도록 생성된 강의 콘텐츠의 강의 내용이나 학습 보조 도구를 일체로 결합하여 상기 이러닝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3. 온라인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교재콘텐츠 제작자측으로부터 교재 콘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재 콘텐츠 중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선택한 교재 콘텐츠와 강의콘텐츠 제작자가 상기 교재 콘텐츠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를 강의콘텐츠 제작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용 편집기에 의해 생성된 강의 콘텐츠를 상기 강의콘텐츠 제작자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강사측 서버;
    상기 교재 콘텐츠와 교재 콘텐츠에 대응하는 강의 콘텐츠를 포함한 이러닝 콘텐츠 또는 상기 교재 콘텐츠와 강의 콘텐츠가 조합된 이러닝 콘텐츠를 상기 수강자에게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상기 강사측 서버 및 상기 웹 서버에 연결되며, 상기 웹 서버와 상기 강사측 서버에 접속하는 회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강사측 서버와 웹 서버 및 이들의 콘텐츠를 관리하는 관리자측 서버
    를 포함하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10122724A 2011-11-23 2011-11-23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57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24A KR20130057019A (ko) 2011-11-23 2011-11-23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724A KR20130057019A (ko) 2011-11-23 2011-11-23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7019A true KR20130057019A (ko) 2013-05-31

Family

ID=48664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724A KR20130057019A (ko) 2011-11-23 2011-11-23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570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623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비상교육 자기 주도 학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582561B1 (ko) 2015-02-04 2016-01-06 주식회사 미래엔 디지털 참고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140029A (ko)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동영상 강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82385B1 (ko)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KR20220116910A (ko) 2021-02-16 2022-08-23 우원식 학습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3623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비상교육 자기 주도 학습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1582561B1 (ko) 2015-02-04 2016-01-06 주식회사 미래엔 디지털 참고서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KR20200140029A (ko) * 2019-06-05 2020-12-15 황종찬 동영상 강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16910A (ko) 2021-02-16 2022-08-23 우원식 학습서비스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382385B1 (ko) * 2021-09-16 2022-04-08 우석규 통합 온라인 교육 플랫폼 시스템 및 통합 온라인 교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ttershill et al. Using digital humanities in the classroom: a practical introduction for teachers, lecturers, and students
Zhang Teaching with Google Classroom
Stanford Moodle 1.9 for second language teaching
KR20140033347A (ko) 전자책 확장 시스템 및 방법
WO2013016719A1 (en) Management and provision of interactive content
Valstad et al. iPad as a pedagogical device
Nash et al.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Aberdour Moodle for mobile learning
Lewis Learning technology
Nash Moodle Course Design Best Practices: Design and Develop Outstanding Moodle Learning Experiences
KR20130057019A (ko)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lumb Creating electronic tutorials: On your mark, get set, go!
Grant et al. Web 2.0 in teacher education: Characteristic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US20140154658A1 (en) Educational application generator and educational reader
Helge et al. The teaching librarian: Web 2.0, technology, and legal aspects
Kirkup Challenges to producing high-quality distance learning
Moore et al. Guide to developing open textbooks
Graham et al. Google Tools Meets Middle School
O’Dell et al. “Blipping”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Ungerer Digital storytelling: Possible applications in an open distance e-learning environment
US20160049088A1 (en) Computer-based method for sharing online music education content
US11094214B1 (en) Online-based microcourses for learning core subjects
Michaelsen Digital tools for the classroom
Elder Google It! Supplementing Instructional Material in the Secondary Band Classroom with the Google Suite
Healey et al. Managing Technology: Feet on the Ground, Head in the Clou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