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363A -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 Google Patents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363A
KR20120014363A KR1020100076372A KR20100076372A KR20120014363A KR 20120014363 A KR20120014363 A KR 20120014363A KR 1020100076372 A KR1020100076372 A KR 1020100076372A KR 20100076372 A KR20100076372 A KR 20100076372A KR 20120014363 A KR20120014363 A KR 2012001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econdary
secondary battery
supersaturated solution
battery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3081B1 (ko
Inventor
최상규
신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00076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081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heat storage or buffering, e.g. heat capacity or liquid-solid phase changes or tran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과포화용액, 상기 과포화용액을 수용하는 포장재, 및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극저온시에는 전지의 저온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지 과열시에는 전지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HEATING APPARATUS CONTAINING SUPERSATURATED SOLUTIO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포화용액, 상기 과포화용액을 수용하는 포장재, 및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충방전이 가능하고 가벼우면서도 에너지 밀도 및 출력 밀도가 높은 리튬2차전지가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솔린 차량, 디젤 차량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체방안으로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배터리 전기자동차(BEV), 전기자동차(EV) 등이 제시되고 있는데, 리튬2차전지는 이러한 내연기관 대체 자동차의 동력원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리튬2차전지는 -20 ~ -40℃의 극저온상태에서는 그 출력이 급격히 줄어들어 자동차의 시동성에 문제가 생기게 되며, 자동차에 있어서 이와 같은 시동불량은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저온일 때 전지 내부 전해질과 이온의 mobility와 관계가 깊으며, 저온에서의 전지의 출력은 온도에 매우 민감한 경향을 보인다. 특히 리튬이온폴리머전지는 저온에서 매우 낮은 출력값을 보이는데, 온도가 수 ℃만 상승하여도 상당량의 출력 증가를 나타내는 등 온도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한다.
현재, 이러한 저온시동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EV에서는 저온시동을 내연기관이 담당하게 하고, PHEV에서는 소형의 내연기관을 이용하여 전지에 열을 가함으로써 저온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조치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오직 배터리만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BEV, EV에서는 HEV, PHEV에서와 같이 전지의 온도를 높여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으므로 전지의 저온 성능이 전체 성능을 좌우하게 된다. 한편 현재까지는 이러한 저온 성능 향상을 위한 노력보다는 공냉방식, 수냉방식 등 리튬2차전지에서 발생한 과열을 냉각시키는 것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전지의 과열 해소와 더불어 리튬2차전지, 특히 BEV, EV용 리튬2차전지의 저온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심도있는 연구와 다양한 실험을 거듭한 끝에, 과포화용액의 특성을 이용하여 전지의 저온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열장치를 개발하기에 이르렀고, 이 경우 저온시동성 향상은 물론 전지 과열시 열 발산을 용이하게 하는 냉각 역할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과포화용액, 상기 과포화용액을 수용하는 포장재, 및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과포화용액은 티오황산나트륨용액 또는 아세트산나트륨용액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포화용액 내 용질의 녹는점은 80℃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포장재는 폴리머시트인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머시트의 재질은 PVC인 것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폴리머시트의 두께는 1 내지 3m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수단은 온도센서를 구비한 BMS에 의해 제어되는 충격핀인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포화용액 내 용질의 결정화열은 10 내지 200kJ/mol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발열장치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는 각 단위셀 사이에 1개씩 포함되는 것이거나,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로 각 단위셀 사이에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장치는 단위셀 내의 전극조립체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위셀에 접촉되는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튬2차전지는 BEV 또는 EV용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이거나, 저온시동성 향상을 위한 별도 내연기관을 배제한 HEV 또는 PHEV용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과포화용액 및 상기 과포화용액을 수용하는 포장재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튬2차전지는 별도의 냉각시스템을 배제한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리튬2차전지는 상기 냉각장치 및 공냉식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것이거나, 상기 냉각장치 및 수냉식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튬2차전지의 조립시에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극저온시 전지의 저온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대로, 전지가 과열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가 전지 내부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함으로써, 전지를 냉각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의 수직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장치가 포함되어 조립된 리튬2차전지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 전지의 저온시동성 평가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2차전지(40)용 발열장치(10)는 과포화용액(11), 상기 과포화용액(11)을 수용하는 포장재(13), 및 작동수단(15)을 포함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전지 조립을 위해 단위셀(20)들을 array할 때 단위셀(20)들 사이에 발열과 냉각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과포화용액(11)을 이용한 장치를 포함시킴으로써, 소정의 작동수단(15)을 통해, 극저온시는 저온시동성을 향상시키고, 전지 과열시는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전지의 냉각을 돕는 발열 및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극저온시 전지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30) 등에 의해 제어되는 작동수단(15)이 과포화용액(11)에 작은 충격을 가하면 과포화용액(11)은 내포하고 있던 열을 발산하며 자신은 고체화되고, 이때 발산된 열이 전지에 전달되어 자동차의 저온 시동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시동이 걸려 전지가 방전되기 시작하면 점차적으로 열이 발생하게 되어 전지모듈 또는 전지팩의 내부온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전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고체화되었던 과포화용액(11)은 다시 녹아 용액화됨으로써 본래 상태로 복원된다.
반면, 전지의 오작동 등에 의해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과포화용액(11)이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전지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발열장치(10)는 극저온 상태에서만 작동하여 열을 발생시킬 것이기 때문에, 발생된 열이 배터리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또한, 상기 과포화용액(11) 내 용질의 녹는점은 8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운행시 전지팩의 내부온도가 약 70 ~ 80℃인 점을 고려할 때, 한번 고체화된 과포화용액(11)이 전지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다시 용이하게 녹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포화용액(11)으로 티오황산나트륨용액 또는 아세트산나트륨용액을 사용한다. 티오황산나트륨용액에 있어 고체화된 용질의 녹는 점은 48 ~ 50℃ 정도로 낮으며, 아세트산나트륨용액 역시 79℃ 전후에서는 고체화된 용질이 모두 녹을 수 있어, 추후 전지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쉽게 다시 용액화될 수 있다.
상기 포장재(13)로는 무게가 가벼운 폴리머 재질의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머시트로는 두께가 얇아 열전달 측면에서 유리하고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질긴 특성을 지니는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범용제품으로서 입수가 용이하고, 내산성, 내알칼리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며, 성형가공성 또한 뛰어난 열가소성 수지인 PVC(poly vinyl chloride) 재질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폴리머시트의 두께는 1 내지 3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해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정도의 발열, 냉각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두께가 너무 얇을 경우 외부 충격 등에 의해 파열될 우려가 있어 안전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작동수단(15)으로는 과포화용액(11)에 일정 충격(에너지)을 주어 발열(즉, 용액의 고체화)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센서를 구비한 BMS(30)에 의해 제어되는 충격핀(15) 같은 것이 사용 가능한 작동수단(15)이 된다. 상기 충격핀(15)은 포장재(13) 내에 과포화용액(11)과 함께 내장되며, 전지가 저온 상태가 되면 BMS(30)에 의해 작동되어 과포화용액(11)에 충격을 가하게 된다. 과포화용액(11)은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작은 충격만으로도 쉽게 고체화되어 열을 외부로 발산하게 된다.
상기 발열장치(10)의 발열량은 상기 과포화용액(11) 내 용질의 결정화열로서 표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포화용액(11) 내 용질의 결정화열은 10 내지 200kJ/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열이 200kJ/mol를 초과하여 너무 많을 경우, 과발생된 열이 셀들의 정상적인 작동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고, 결정화열이 10kJ/mol 미만으로 너무 적을 경우, 저온시동성의 개선 정도가 미비하여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티오황산나트륨의 용해(과포화 과정)는 흡열반응으로서 용해열은 약 47.5kJ/mol이다. 반대로 티오황산나트륨의 고체화는 발열반응으로서 약 47.5kJ/mol의 결정화열이 방출되어 저온시동성 개선의 역할을 하게 된다. 아세트산나트륨의 경우는 용해열과 결정화열이 약 19.7kJ/mol이다.
한편, 상기 발열장치(10)의 발열량은 과포화용액(11)의 양과 포장재(13)의 면적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과포화용액(11)의 농도가 높을수록 고체화 반응속도가 빨라지고 발열량도 늘어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발열장치(10)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40)에 관한 것이다.(도 2 참조)
즉, 전지 조립시에 발열과 냉각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상기 발열장치(10)를 포함시킴으로써 저온시동성이 개선되고, 전지 고온시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는 리튬2차전지(40)를 제공한다.
상기 발열장치(10)는 전지 조립시에 단위셀(20)과 단위셀(20) 사이마다 혹은 2개 이상의 단위셀(20)들 사이마다 개재되거나 부착되는 형식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단위셀(20)들 사이에 개재되는 경우 빈 공간에 열전도도가 낮은 공기층이 존재하게 되어 발열 및 냉각 효과가 다소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발열장치(10)를 단위셀(20)과 완전 부착 등의 형식으로 직접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장치(10)는 각 단위셀(20) 사이에 1개씩 포함되도록 하여 발열 및 냉각 효율을 극대화하고, 각 단위셀(20) 별로 균일하게 열전달이 일어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장치(10)는 단위셀(20)들 사이에 일체화된 1개의 용액시트 등의 형태로 포함시키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로 각 단위셀(20)들 사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발열장치(10)는 인접하는 단위셀(20) 내의 전극조립체 부분(실제 리튬이온의 삽입/탈리로 인한 충방전이 일어나는 부분)을 모두 덮을 수(cover) 있도록 단위셀(20)에 접촉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열전달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셀의 구조와 모델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terminal을 제외한 전체 단위셀(20) 면적의 약 90% 정도가 이에 해당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열장치(10)가 단위셀(20)과의 접촉면적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포함시킨다.
본 발명의 발열장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지의 온도를 높여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는 BEV 또는 EV용 전지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다만, 저온시동성 개선수단을 이미 구비하고 있는 HEV 또는 PHEV용 전지에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더욱 향상된 저온 성능을 부여할 수도 있고, 저온시동성 향상을 위한 별도 내연기관을 배제한 HEV 또는 PHEV용 전지에 사용하여 기존의 저온시동성 개선장치를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과포화용액(11) 및 상기 과포화용액(11)을 수용하는 포장재(13)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40)용 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40)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장치(10)는 전지에서 과열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과포화용액(11)이 발생된 열을 흡수하여 전지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하는 냉각장치가 될 수도 있다. 즉, 적절한 방법으로 상기 냉각장치를 전지에 결합하면 공냉식, 수냉식 등 기존의 냉각장치도 대체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지팩의 구조는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냉각장치는 기존에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냉각시스템과 병행하여 적용될 수 있다.
즉, 셀과 셀 사이에 공기의 통로를 확보하여 냉각하는 공냉식 냉각시스템 또는 셀과 셀 사이에 냉각수를 통과시켜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시스템과 더불어 전지 조립시에 본 발명에 따른 냉각장치를 셀과 셀 사이에 포함시킴으로써 더욱 향상된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발열장치(10)(또는 냉각장치)는 리튬2차전지(40)에 있어서 기존의 셀 외장재 또는 전지팩 외장재를 대체하는 새로운 기능의 외장재로서도 적용 가능성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발열장치의 제조
두께 2mm의 PVC 시트에 0.1N-티오황산나트륨(Na2S2O3)용액; 및
-20℃ 이하의 극저온시 PVC 시트 내의 0.1N-티오황산나트륨용액에 충격을 주어 티오황산나트륨을 고체화시키면서 결정화열을 방출하도록 하는 충격핀을 내장한 후, 밀봉함으로써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충격핀은 BMS에 의한 pulse 신호를 받아 충격에너지를 상기 티오황산나트륨용액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단위셀의 제조
상기 제조된 발열장치보다 면적이 작은 파우치형 단위셀 5개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양극: 양극활물질로 리튬 코발트 복합산화물 92중량%, 도전재로 카본 블랙 4 중량%, 바인더로 PVDF 4 중량%를 용제인 N-메틸-2 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20㎛인 양극 집전체의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였다.
음극: 음극활물질로 탄소 분말 96 중량%, 도전재로 카본 블랙 3 중량%,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1 중량%를 용제인 N-메틸-2 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10㎛인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였다.
단위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을 폴리에틸렌 분리막을 이용하여 스택킹(stacking)방식으로 조립한 후, 파우치 내에 수납한 다음, 전해액(에틸렌카보네이트(EC)/프로필렌카보네이트(PC)/디에틸카보네이트(DEC) = 30/20/50 중량%, 리튬헥사플로로포스페이트 (LiPF6) 1 몰)을 주입하여 단위셀을 제조하였다.
발열장치와 단위셀의 조립
셀의 모듈 조립을 위한 array시에, 단위셀 내의 전극조립체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발열장치를 단위셀과 단위셀 사이사이에 삽입, 부착함으로써 리튬2차전지팩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단위셀 조립시 상기 발열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같다.
실험예
실시예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전지팩을 대상으로, -40℃의 극저온 상태에서 Cold Cranking법을 통해 저온시동성을 평가하였다. 이때, 실시예의 경우 과포화용액으로부터 발산된 열이 전지에 전달되어 -36℃까지 온도가 상승한 반면, 발열장치가 없는 비교예의 경우 그대로 -40℃를 유지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해당 온도에서 5초로 2번 pulse를 가해주어 전압강하(IR drop) 값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의 (a)에 나타내었다. (도 3의 (b)는 상기 실험에 사용된 출력 및 전류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실시예의 경우(-36℃) 96.59W의 출력으로 방전했을 때, 전압이 약 1.7V 정도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의 경우(-40℃) 전압이 약 2.4V나 감소하여 1.3V의 매우 낮은 전압을 나타내었다.
즉,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보다 온도는 단지 4℃ 높지만, 동일 출력으로 방전했을 때 전압강하 값이 비교예보다 훨씬 작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극저온 상태에서 전지의 온도를 용이하게 높일 수 있으며, 이렇게 하여 온도가 소폭이라도 상승하게 되면 전지의 Spec을 만족하는 범위에서 출력을 더욱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전지의 저온시동성 또한 크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발열장치
11: 과포화용액
13: 포장재
15: 작동수단(충격핀)
20: 단위셀
30: BMS
40: 리튬2차전지

Claims (19)

  1. 과포화용액, 상기 과포화용액을 수용하는 포장재, 및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발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포화용액은 티오황산나트륨용액 또는 아세트산나트륨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포화용액 내 용질의 녹는점은 8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는 폴리머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시트의 재질은 PV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시트의 두께는 1 내지 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온도센서를 구비한 BMS에 의해 제어되는 충격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포화용액 내 용질의 결정화열은 10 내지 200kJ/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장치.
  9. 제1항에 따른 발열장치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는 각 단위셀 사이에 1개씩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는 2 이상의 부분으로 분리된 형태로 각 단위셀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장치는 단위셀 내의 전극조립체 부분을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상기 단위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2차전지는 BEV 또는 EV용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2차전지는 저온시동성 향상을 위한 별도 내연기관을 배제한 HEV 또는 PHEV용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5. 과포화용액 및 상기 과포화용액을 수용하는 포장재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냉각장치.
  16. 제15항에 따른 냉각장치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2차전지는 별도의 냉각시스템을 배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2차전지는 상기 냉각장치 및 공냉식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2차전지는 상기 냉각장치 및 수냉식 냉각시스템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2차전지.
KR1020100076372A 2010-08-09 2010-08-09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KR101553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72A KR101553081B1 (ko) 2010-08-09 2010-08-09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372A KR101553081B1 (ko) 2010-08-09 2010-08-09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363A true KR20120014363A (ko) 2012-02-17
KR101553081B1 KR101553081B1 (ko) 2015-09-14

Family

ID=45837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372A KR101553081B1 (ko) 2010-08-09 2010-08-09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0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365B1 (ko) * 2012-11-22 2013-12-11 자동차부품연구원 배터리 온도 조절 장치
KR101539584B1 (ko) * 2012-06-18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CN111641007A (zh) * 2020-06-16 2020-09-08 凌枭 一种低温地带用锂电池
EP3886238A4 (en) * 2019-05-15 2022-03-1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WITH RAPID PREHEATING STRUCTURE, BATTERY PACK COMMITMENT AND VEHICLE CONTAINING TH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7283B2 (ja) * 2001-03-30 2006-06-21 株式会社東芝 電池掃除機及び電池パッ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584B1 (ko) * 2012-06-18 2015-07-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KR101340365B1 (ko) * 2012-11-22 2013-12-11 자동차부품연구원 배터리 온도 조절 장치
WO2014081138A1 (ko) * 2012-11-22 2014-05-30 자동차부품연구원 배터리 온도 조절 장치
EP3886238A4 (en) * 2019-05-15 2022-03-1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WITH RAPID PREHEATING STRUCTURE, BATTERY PACK COMMITMENT AND VEHICLE CONTAINING THEM
CN111641007A (zh) * 2020-06-16 2020-09-08 凌枭 一种低温地带用锂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081B1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515B1 (ko) 배터리 모듈
EP3512008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8679660B2 (en) Electric power storage apparatus
KR101601123B1 (ko) 서로 탈착 가능한 2개의 전극리드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4918625B2 (ja) 電源装置
US20100255359A1 (en) Battery pack and battery-equipped device
JP2004087260A (ja) 積層型電池、組電池、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電気自動車
US11658364B2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battery pack includ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JP5386917B2 (ja) 二次電池
JP4438831B2 (ja) 蓄電装置及び車両
KR101553081B1 (ko) 과포화용액을 포함하는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
JP2004039274A (ja) 積層型電池の電極タブ取出し部構造
KR101539584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US11881597B2 (en) Battery module with improved safety, battery pack comprising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battery pack
CN103682193A (zh) 大容量锂离子电池
JP2013152880A (ja) ラミネートセルと、それを用いたモジュール
KR20170007876A (ko) 저융점 합금을 포함하는 전지케이스 및 그것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WO2023047741A1 (ja) 電池パック
KR20200050296A (ko) 안전성이 개선된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JP2017134970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5920620B2 (ja) 密閉型二次電池
KR20150050150A (ko) 상 변환 물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외장재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511817B1 (ko)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JP201322256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過充電抑止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Shiqi Development of a Simple Numerical Model to Study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Li-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