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086A -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 Google Patents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086A
KR20120013086A KR1020100075256A KR20100075256A KR20120013086A KR 20120013086 A KR20120013086 A KR 20120013086A KR 1020100075256 A KR1020100075256 A KR 1020100075256A KR 20100075256 A KR20100075256 A KR 20100075256A KR 20120013086 A KR20120013086 A KR 2012001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ckboard
frame
steering
carving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박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filed Critical 박성진
Priority to KR102010007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3086A/ko
Publication of KR2012001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0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조향성을 갖고 있어 방향조절 및 위험물을 작은 곡률반경으로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조향이 가능하게 구성한 카빙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빙 킥보드는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앞바퀴들이 장착된 조향부와, 선단부가 상기 조향부에 힌지 결합되며 후단부에는 뒷바퀴가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가 결합된 힌지는 상기 조향부의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Carving Kickboard with Steering Ability}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향성을 갖고 있어 방향조절 및 위험물을 작은 곡률반경으로 신속하게 안정적으로 피할 수 있도록 조향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킥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보이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킥보드(1)는 한 쪽 발을 올릴 수 있는 발판(3)과, 상기 발판(3)의 선단에 연결된 앞바퀴(5F)와, 상기 발판(3)의 후단에 연결된 뒷바퀴(5B)와, 상기 앞바퀴(5F)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단에는 양측으로 손잡이(7)가 연결된 스템(9)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킥보드(1)를 이용하여 보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발판(3) 위에 왼발 또는 오른발을 올리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박차면서 전진한다. 지면을 박차는 힘으로 동력이 발생하며, 발생한 동력에 의해 앞바퀴(5F)와 뒷바퀴(5B)는 회전하며 전진하게 된다. 앞바퀴(5F)와 뒷바퀴(5B)가 회전하면서 바퀴는 넘어지지 않고 세워지려는 자이로 힘을 받게 되고, 이 상태에서 지면을 박차던 발을 발판(3)에 올려놓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직진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킥보드는 발판과 앞바퀴가 브라켓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었을 뿐 조향성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박차는 발로 지면을 디딘 상태에서 앞바퀴 또는 킥보드 전체를 들어 방향전환을 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하는 조향 시에 주행속도가 현저히 떨어지며 스릴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앞바퀴가 고정된 브라켓에서 상향으로 수직하게 스템이 고정되기 때문에 손잡이를 파지하고 보딩하는 중에는 손잡이가 신체의 앞에 위치하기 때문에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된다. 이와 같은 자세로 보딩하다보면 앞바퀴가 턱에 걸리거나 급제동을 걸었을 때에 관성에 의해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 전방으로 넘어지거나 뒤집히는 전복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직진하는 방향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조향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방향전환 시에 선회하는 안쪽방향으로 발판이 기울어지면서 카빙의 효과가 있도록 구성한 카빙 킥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카빙 킥보드는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앞바퀴들이 장착된 조향부와, 선단부가 상기 조향부에 힌지 결합되며 후단부에는 뒷바퀴가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가 결합된 힌지는 상기 조향부의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향부는 조향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앞바퀴와, 조향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앞바퀴와, 상기 좌측 앞바퀴와 우측 앞바퀴가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지지축과, 상기 발판의 반대쪽인 전방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축의 길이 중간지점에 고정된 힌지축과,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축에 고정된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템은 상기 발판이 위치한 방향인 후방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이 상기 힌지공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뒷바퀴는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카빙 킥보드는 손잡이를 파지하고 전방으로 보딩하는 중에 전방에 위험물이 있거나 또는 좌우측으로 급선회하고자 할 경우에 손잡이를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틀어 주행방향을 전환하는 조향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빙 킥보드는 방향전환 시에 앞바퀴에 의해 방향전환하면서 선회하는 곡률반경의 안쪽으로 발판이 기울어지면서 탑승자의 무게중심이 곡률반경의 중심 쪽으로 이동하면서 보다 안정적인 구조로 선회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발판이 기울어지면서 선회하기 때문에 곡률반경을 줄일 수 있어 보다 신속하게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며 또한 스릴을 크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빙 킥보드는 손잡이가 발판이 위치한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손잡이를 파지하고 보딩할 시에 무게중심이 종래와 같이 수직하게 세워진 킥보드에 비해 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앞바퀴가 턱에 걸리거나 또는 급제동에도 균형을 쉽게 잡을 수 있어 전복사고의 위험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킥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빙 킥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빙 킥보드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보이는 지지축에 힌지축 및 스템의 각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향부를 나타낸 측면 상세도이고,
도 6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조향부가 회전하였을 때에 앞바퀴들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빙 킥보드의 정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카빙 킥보드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카빙 킥보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빙 킥보드의 측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보이는 지지축에 힌지축 및 스템의 각도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향부를 나타낸 측면 상세도이고, 도 6은 힌지축을 중심으로 조향부가 회전하였을 때에 앞바퀴들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빙 킥보드(100)는 좌우양측에 각각 바퀴가 장착된 조향부(110)와, 상기 조향부(11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조향부(110)에 대해 상대 회전하는 발판(120)과, 상기 발판(120)의 후단에 고정브라켓(1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뒷바퀴(12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향부(110)의 좌측에 위치한 바퀴를 '좌측 앞바퀴(111L)'라하고, 조향부(110)의 우측에 위치한 바퀴를 '우측 앞바퀴(111R)'라고 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카빙 킥보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에 보이듯이, 조향부(110)는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를 구비하며,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는 지지축(113)의 양단에 각각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지지축(113)의 길이 중간에는 힌지축(114)이 고정되는데, 도 4에 보이듯이, 상기 힌지축(114)은 발판(120)의 반대편이 전방쪽으로 약 5°~7°의 각도(θ1)로 기울어져 위치한다. 그리고 역Y자형 스템(115)이 힌지축(114)에 고정되는데, 상기 스템(115)은 발판(120) 쪽인 후방으로 약 5°~7°의 각도(θ2)로 기울어져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템(115)의 상단에는 좌측과 우측으로 손잡이(117)가 형성된다.
한편, 발판(120)의 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프레임(130)이 고정되고, 프레임(130)의 선단에는 힌지공(131)이 형성되고 힌지축(114)이 힌지공(131)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된다. 따라서 발판(120)은 조향부(11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조향부(110)에 힌지 결합된 프레임(130)의 후단에는 뒷바퀴(123)가 장착되는데, 상기 뒷바퀴(123)는 고정브라켓(12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로 고정브라켓(121)이 프레임(130)의 후단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카빙 킥보드(100)에 있어서,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 및 뒷바퀴(123)는 지면과 면접촉하도록 원주면의 폭이 넓게 구성된 통바퀴 구조이거나 또는 지면과 선접촉하도록 원주의 단면이 타원형 구조인 날바퀴 구조이더라도 무방하다. 하지만, 저항을 줄이는 회전법으로서 작은 곡률반경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회전할 수 있는 카빙의 효과를 충분히 살리기 위해서는 통바퀴 보다는 날바퀴로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래에서는 조향에 따라 카빙으로 선회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서 굵은선과 굵은 이점쇄선의 궤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를 지면에 접하지 않게 든 상태에서 조향부(110)를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축(113)이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는 회전방향에 따라 좌측 앞바퀴(111L)의 높이와 우측 앞바퀴(111R)의 높이가 다르게 된다.
만약, 도 6에서 가는선과 가는 이점쇄선의 궤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이 지지축의 길이 중간에 수직으로 형성되었다면, 좌측 앞바퀴와 우측 앞바퀴는 평면에서 손잡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높이차가 발생하지 않지만, 굵은 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114)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지지축(113)에 연결되기 때문에 손잡이(117)의 회전에 따라 지지축(113)의 양단에 장착된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 중 어느 한 쪽이 높게 위치하고 다른 한 쪽은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여 결국 높이차(2L)가 발생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손잡이(117)를 우측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113)은 힌지축(1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힌지축(114)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후방으로 이동하는 우측 앞바퀴(111R)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좌측 앞바퀴(111L)에 비해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카빙 킥보드(100)를 지면에 놓고 발판(120)에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117)를 우측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좌측 앞바퀴(111L)는 지지축(11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지면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에 대한 반력에 의해 카빙 킥보드(100)의 길이 중심선에 대한 우측편이 들려지는 힘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카빙 킥보드(100)의 우측편이 상향으로 반력을 받게 되면, 발판(120)은 좌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뒷바퀴(123) 또한 좌측으로 기울어져 뒷바퀴(123)의 좌측부가 지면에 접하고 뒷바퀴(123)의 우측부는 상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손잡이(117)가 우측방향(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지지축(113)에 장착된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발판(120) 및 뒷바퀴(123) 또한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선회하게 되면서 카빙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발판(120)이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발판(120)에 올라선 탑승자의 체중 중심은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선회하는 반경의 중심점을 향하게 되고 보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소정의 곡률반경으로 선회할 경우에는 속도 및 무게에 따라 원심력을 받게 되는데, 이때 원심력의 반대인 구심쪽으로 체중의 중심을 이동하게 되면 선회궤도에서 탈선하지 않으면서 보다 작은 곡률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어 신속한 방향 전환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안전하면서 신속하게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탑승자는 보다 스릴을 느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에서는 우측(시계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선회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좌측(반시계방향)으로 방향전환할 시에는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 중에서 우측 앞바퀴(111R)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력은 카빙 킥보드(100)의 길이 중심선을 기준으로 우측편에 발생함에 따라 발판(120)은 좌측으로 기울면서 뒷바퀴(123)의 좌측부가 지면에 접하여 선회하는 원리로 방향 전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향부(110)에 장착된 2개의 좌측 앞바퀴(111L)와 우측 앞바퀴(111R)가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카빙 킥보드(1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방향전환하는 쪽의 반대편을 상향으로 올리는 반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카빙 킥보드(100) 전체가 방향전환하려는 쪽으로 기울어져 카빙스키판의 특성과 같은 회전법으로 저항을 줄이면서 작은 곡률반경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의 카빙 킥보드를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카빙 킥보드와 비교하였을 때에 프레임과 발판이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다른 구성요소와 작동원리는 동일하다.
도면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카빙 킥보드의 정면도이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카빙 킥보드(100)에서는 발판(120)과 프레임(130)이 별개의 구성으로 발판(120)의 저면에 프레임(130)이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120)과 프레임을 일체로 형성하고 발판(120)의 선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브라켓(125)에 힌지공(131)이 형성되며, 발판(120)의 후단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21)에 뒷바퀴(123)가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더라도 앞에서 설명한 카빙 킥보드(100)의 작동과 동일하게 작동할 수 있다.
100 : 카빙 킥보드
110 : 조향부
111L : 좌측 앞바퀴
111R : 우측 앞바퀴
113 : 지지축
114 : 힌지축
115 : 스템
117 : 손잡이
120 : 발판
121 : 고정브라켓
123 : 뒷바퀴
125 : 브라켓
130 : 프레임
131 : 힌지공
θ1 : 힌지축의 기울기 각도
θ2 : 스템의 기울기 각도

Claims (7)

  1.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앞바퀴들이 장착된 조향부와,
    선단부가 상기 조향부에 힌지 결합되며 후단부에는 뒷바퀴가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발판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와 상기 프레임의 선단부가 결합된 힌지는 상기 조향부의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조향부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앞바퀴와,
    조향부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앞바퀴와,
    상기 좌측 앞바퀴와 우측 앞바퀴가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각각 장착된 지지축과,
    상기 발판의 반대쪽인 전방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축의 길이 중간지점에 고정된 힌지축과,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축에 고정된 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은 상기 발판이 위치한 방향인 후방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상기 지지축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선단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이 상기 힌지공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는 고정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프레임의 후단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빙 킥보드.

KR1020100075256A 2010-08-04 2010-08-04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KR20120013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56A KR20120013086A (ko) 2010-08-04 2010-08-04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56A KR20120013086A (ko) 2010-08-04 2010-08-04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086A true KR20120013086A (ko) 2012-02-14

Family

ID=4583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256A KR20120013086A (ko) 2010-08-04 2010-08-04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30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767B1 (ko) 3­바퀴형 후방­조향 스쿠터
US7798510B2 (en) Multi-wheeled vehicle
EP2285593B1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US9527546B2 (en)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JP3158460U (ja) 揺動式スクーター
EP3256372B1 (en) Scooter with rotational connection
JP6648407B2 (ja) 電動車
CN109789908B (zh) 可折叠防震滑板车
TWI576272B (zh) 使用者推進式騎乘車
US20130307240A1 (en) Scooter
US20140070508A1 (en) Kick skater
JP2010530290A (ja) ステップボード
JP6735335B2 (ja) 改良した三輪スクーター
EP3169579B1 (en) Vehicle with spherical wheels
KR20120013086A (ko) 조향성을 갖는 카빙 킥보드
WO2012104622A2 (en) Foot propelled vehicle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US10807672B2 (en) Bicycle
KR101214579B1 (ko) 자세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
CN215706852U (zh) 具有侧倾和转向限制机构的电动滑板车
KR102410821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1244951B1 (ko) 카빙 선회방식의 트라이보드
KR200328318Y1 (ko) 삼륜 이송보드
KR20110007252U (ko) 유아용 씽씽이
KR200454652Y1 (ko) 스윙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